KR101966590B1 -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590B1
KR101966590B1 KR1020180072005A KR20180072005A KR101966590B1 KR 101966590 B1 KR101966590 B1 KR 101966590B1 KR 1020180072005 A KR1020180072005 A KR 1020180072005A KR 20180072005 A KR20180072005 A KR 20180072005A KR 101966590 B1 KR101966590 B1 KR 101966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able tray
cable
side rails
intermediat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민
Original Assignee
김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민 filed Critical 김강민
Priority to KR1020180072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발명은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널 또는 건물 등의 벽면이나 천장 등에 설치하여 케이블을 안내하고 케이블 자체를 고정 내지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케이블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좌우측 사이드레일(100, 200) 사이에 행거(300)가 결합되며, 상기 좌우측 사이드레일(100, 200)은 각각 상부고정부(110, 210)와 중간판(120, 220)과 하부고정부(130, 2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간판(120, 220)과 사이에 행거방향으로 절첩부(140)가 돌출하고, 하단도 행거방향으로 돌출한 하부절곡부(131, 231)가 형성되어 행거(300) 끝단이 삽입고정되는 고정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본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절첩부가 형성되는 하부고정부에 행거가 간편하고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작업시간이 빠르며 하자발생이 없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Cable tray production method formed with fold}
본발명은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측 사이드레일 사이에 행거가 결합되며, 중간판과 하부고정부 사이에 절첩부가 형성되어 케이블 트레이의 레일형태의 하부고정부에 행거가 간편하고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작업시간이 빠르며 하자발생이 없는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선에는 60Hz대역의 교류자기장이 방출되어 인체에는 유해하고 전기전자 기기에는 각종 노이즈를 야기한다.
한편, 전력선은 전기사 사용되는 모든 곳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어떤 장소든 전자기장 노출이 있게 마련이므로 천정의 경우는 케이블 트레이를, 바닥의 경우에는 플로어 덕트를 활용한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란 일반적으로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하여 금속제 또는 불연성 재료로 구성된 견고한 구조물을 말한다. 즉, 전선을 묶어서 정리할 수 있는 구조물을 뜻한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사다리형, 통풍 트러프형, 통풍 채널형, 바닥밀폐형 등이 있다.
케이블 트레이의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6733호에(고안의 명칭: 케이블 트레이) 평행하게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세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의 하연부 상부에 얹혀져, 세로부재의 내측에 직각방향으로 체결볼트
에 의해 결합되는 가로부재로 구성된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는 등 간격으로 케이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고정홀이 형성된 하면에는 전 길이에 걸쳐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트레이가 기술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144666호에(발명의 명칭: 케이블 트레이) 케이블이 지지될 수 있도록, 그 케이블의 연장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가로대들; 상기 가로대들을, 상기 케이블과 함께,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되어 있는 지지체에 지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각 가로대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레일들; 및 상기 각 가로대를 상기 한 쌍의 사이드레일들 사이에 위치시켜 놓은 상태에서 그 가로대를 사이드레일들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각 사이드레일은,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끼움레일들이 마련되어 있는 제1절곡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측 가장리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가로대는, 상기 한 쌍의 끼움레일들과 제1절곡부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가로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끼움리브들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공과 마주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리브를 구비하여서, 상기 가로대의 끼움리브들이 상기 한 쌍의 사이드레일의 끼움레일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가로대와 한 쌍의 사이드레일 간의 가조립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가조립 상태에서, 상기 가로대와 한 쌍의 사이드레일이,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가로대의 결합리브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가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작업이 불편하며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확실히 결합되지 않아 흔들리는 등 하자가 많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하부고정부에 행거가 간편하고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작업시간이 빠르며 하자발생이 없는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널 또는 건물 등의 벽면이나 천장 등에 설치하여 케이블을 안내하고 케이블 자체를 고정 내지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케이블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좌우측 사이드레일(100, 200) 사이에 행거(300)가 결합되며, 상기 좌우측 사이드레일(100, 200)은 각각 상부고정부(110, 210)와 중간판(120, 220)과 하부고정부(130, 2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간판(120, 220)과 사이에 행거방향으로 절첩부(140)가 돌출하고, 하단도 행거방향으로 돌출한 하부절곡부(131, 231)가 형성되어 행거(300) 끝단이 삽입고정되는 고정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절첩부가 형성되는 레일형태인 하부고정부에 행거가 간편하고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작업시간이 빠르며 하자발생이 없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평면도
본발명은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널 또는 건물 등의 벽면이나 천장 등에 설치하여 케이블을 안내하고 케이블 자체를 고정 내지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좌우측 사이드레일(100, 200) 사이에 행거(300)가 결합되며, 상기 좌우측 사이드레일(100, 200)은 각각 상부고정부(110, 210)와 중간판(120, 220)과 하부고정부(130, 2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간판(120, 220)과 사이에 행거방향으로 절첩부(140)가 돌출하고, 하단도 행거방향으로 돌출한 하부절곡부(131, 231)가 형성되어 행거(300) 끝단이 삽입고정되는 고정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부(110, 210)는 상단에서 직각으로 행거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절곡부(111, 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판(120, 220)에는 다수개의 장공(121, 221)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첩부 하변과 행거 끝단은 클렌칭방법에 의해 공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본발명 케이블 트레이는 터널 또는 건물 등의 벽면이나 천장 등에 설치하여 케이블을 안내하고 케이블 자체를 고정 내지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좌우측 사이드레일(100, 200) 사이에 행거(300)가 결합되며, 상기 좌우측 사이드레일(100, 200)은 각각 레일형태인 상부고정부(110, 210)와 가로대인 중간판(120, 220)과, 레일형태인 하부고정부(130, 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판과 사이에 행거방향으로 “⊃” 형상의 절첩부가 돌출하고, 하단도 행거방향으로 돌출한 하부절곡부가 형성되어 행거 끝단이 삽입고정되는 고정부 공간을 형성한다. 절첩부는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수평으로 맞닿은 형상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고정부(110, 210)는 상단에서 직각으로 행거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절곡부(111, 211)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판(120, 220)에는 다수개의 장공(121, 221)들이 형성된다.
상기 절첩부 하변과 행거 끝단은 클렌칭방법에 의해 공고하게 결합된다. 곧, 클런칭 툴인 펀치가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에는 다이가 위치되어 그 사이에 1차 전처리공정에서 “⊃” 형상의 절첩부 금속판소재를 안치한 후 상부로부터 펀치로 가압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랜칭 상변은 구멍이 형성되어 펀치가 구멍을 통과하여 하부의 하변을 가압할 수 있게 한다. 클렌칭을 하면 반대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므로 미관을 위하여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클렌칭을 한다.
또한, 상기 중간판(120, 220)에는 다수개의 장공(121, 221)들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 사이드레일(100, 200)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절첩부가 형성되는 레일형태인 하부고정부에 행거가 간편하고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작업시간이 빠르며 하자발생이 없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200 : 좌우측 사이드레일
300 : 행거
130, 230 : 하부고정부
110, 210 : 상부고정부 121, 221 : 장공
120, 220 : 중간판 140 : 절첩부
111, 211 : 상부절곡부

Claims (3)

  1. 터널 또는 건물의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하여 케이블을 안내하고 케이블 자체를 고정 내지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좌우측 사이드레일(100, 200) 사이에 행거(300)가 결합되며, 상기 좌우측 사이드레일(100, 200)은 각각 레일형태인 상부고정부(110, 210)와, 가로대인 중간판(120, 220)과, 레일형태인 하부고정부(130, 2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간판(120, 220)과 사이에 행거방향으로 “⊃” 형상의 절첩부(140)가 돌출하고, 하단도 행거방향으로 돌출한 하부절곡부(131, 231)가 형성되어 행거(300) 끝단이 삽입고정되는 고정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절첩부(140)는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수평으로 맞닿은 형상도 가능한 것이며,
    상기 상부고정부(110, 210)는 상단에서 직각으로 행거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절곡부(111, 211)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중간판(120, 220)에는 다수개의 장공(121, 221)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절첩부(140) 하변과 행거(300) 끝단은 클렌칭방법에 의해 공고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클런칭 툴인 펀치가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에는 다이가 위치되어 사이에 1차 전처리공정에서 “⊃” 형상의 절첩부 금속판소재를 안치한 후 상부로부터 펀치로 가압하면 되되, 상기 클랜칭 상변은 구멍이 형성되어 펀치가 구멍을 통과하여 하부의 하변을 가압할 수 있는 것이며, 클렌칭을 하면 반대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므로 미관을 위하여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클렌칭을 하게 하는 것이며,
    상기 좌우측 사이드레일(100, 200)은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절첩부(140)가 형성되는 레일형태인 하부고정부에 행거가 간편하고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작업시간이 빠르며 하자발생이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80072005A 2018-06-22 2018-06-22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 KR101966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005A KR101966590B1 (ko) 2018-06-22 2018-06-22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005A KR101966590B1 (ko) 2018-06-22 2018-06-22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590B1 true KR101966590B1 (ko) 2019-04-05

Family

ID=6610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005A KR101966590B1 (ko) 2018-06-22 2018-06-22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5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314B1 (ko) 2019-08-22 2020-01-10 김형태 트레이 제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865Y1 (ko) * 2000-01-13 2000-06-15 김두연 케이블 트레이
KR200441965Y1 (ko) * 2008-01-03 2008-09-24 (주)대성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335612B1 (ko) * 2013-07-17 2013-12-02 김강민 케이블 트레이 설치방법
KR20160000514A (ko) * 2014-06-24 2016-0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KR20170124374A (ko) * 2016-05-02 2017-11-10 (주)석영엔터프라이즈 알루미늄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865Y1 (ko) * 2000-01-13 2000-06-15 김두연 케이블 트레이
KR200441965Y1 (ko) * 2008-01-03 2008-09-24 (주)대성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335612B1 (ko) * 2013-07-17 2013-12-02 김강민 케이블 트레이 설치방법
KR20160000514A (ko) * 2014-06-24 2016-0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KR20170124374A (ko) * 2016-05-02 2017-11-10 (주)석영엔터프라이즈 알루미늄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314B1 (ko) 2019-08-22 2020-01-10 김형태 트레이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6943B2 (en) Cable support bracket
US6086028A (en) Table leg with cable management system
US20150001352A1 (en) Cable tray system with splice plate
KR101196477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
KR101726156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KR102575473B1 (ko) 케이블 트레이 접합부 및 이음매 판 결합 시스템
KR101291298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966590B1 (ko)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
ITTO20011096A1 (it) Organo di giunzione per passerelle portacavi a rete.
CA3014819C (en) Splice plate assembly for cable tray
KR101393061B1 (ko) 레이스 웨이용 조이너
ES2323507T3 (es) Elemento separador para conductop de malla para cables y un conducto de malla para cables que comprende ese elemento.
US10851937B2 (en) Mounting bracket with support structure
KR101335612B1 (ko) 케이블 트레이 설치방법
KR101864568B1 (ko)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KR100938426B1 (ko) 케이블 베어를 유도하는 시스템형 가이드
KR101323221B1 (ko) 무용접 접합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
KR101970104B1 (ko) 행거가 클렌칭에 의해 사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케이블 트레이
JP6763985B2 (ja) 屋根の配線構造
KR200475359Y1 (ko) 케이블 트레이용 지지대
KR20150128359A (ko) 케이블트레이의 측면프레임에 원터치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이음연결구를 사용하는 케이블트레이 및 그 이용방법
KR20170025729A (ko) 케이블 트레이
KR101966591B1 (ko)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레일
KR200488886Y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850067B1 (ko) 조립식 트레이용 측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