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477B1 -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477B1
KR101196477B1 KR1020110140268A KR20110140268A KR101196477B1 KR 101196477 B1 KR101196477 B1 KR 101196477B1 KR 1020110140268 A KR1020110140268 A KR 1020110140268A KR 20110140268 A KR20110140268 A KR 20110140268A KR 101196477 B1 KR101196477 B1 KR 101196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y
side rail
fixing
fixing piec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영
김승철
Original Assignee
(주)석영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석영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석영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110140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32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
    • F16B5/004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 and using interlocking keys of circular, square, rectangular or 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56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레일을 볼트,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및 이를 위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편을 사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연결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수직하중에 대한 연결부위의 대항력을 강화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 STRUCTURE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사이드 레일을 볼트,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및 이를 위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고정편을 사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연결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수직하중에 대한 연결부위의 대항력을 강화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크고 작은 케이블이 천장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해서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여 정리 정돈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좌우 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하는 렁(지지대)로 구성된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게 되므로 건물의 천장이나 벽면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부터 볼트,너트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연결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볼트,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6296호 및 제10-0993138호의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에는,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사이드 레일의 양단에 천공된 복수 개의 관통부과,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는 테두리와 구멍이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레일의 관통부으로 관통된 테두리가 빠지지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편이 형성된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연결구조는 연결부위가 수직하중을 받게 되면 연결부위의 하단이 벌어지면서 V자 형태로 꺾이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는 종래의 고정편이 고리 모양 테두리의 구멍을 관통할 수 있도록 폭이 좁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고정편을 사이드 레일의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방향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구조적인 문제이다. 즉, 고정편을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면 연결부위의 수직하중이 고정편과 사이의 취약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V자 형태로 꺾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는 고정편이 단순히 테두리의 고리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고정편의 결합력이 느슨하여 진동 등에 의해서 고정편이 움직일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의 소정 위치에 결합구멍을 천공하여, 고정편에 대응하는 결합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연결부재의 고리 돌기부의 고리 구멍에 고정부재의 고정편을 끼우면, 고정부재의 결합돌기가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록킹되어, 고정부재가 케이블 트레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해결방법은 고정편을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는 방식이어서 종래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의 구조적인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고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는 케이블 트레이가 천장에 가까이 설치되는 경우에 고정부재를 고리 돌기부의 고리 구멍에 삽입하기 어려운 문제가 그대로 남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고정편을 사이드 레일의 상단으로부터 결합하여야 하고, 연결부재를 사이드 레일의 안쪽 면에 삽입하여야 하므로 작업자가 케이블 트레이 위로 올라가거나 사다리에 올라가서 작업해야 하므로 편한 자세를 취하기 어렵고 추락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접지점퍼(ground jumper)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고, 접지점퍼가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볼트,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맞대어진 케이블 트레이를 서로 연결하되,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부분이 수직하중을 받아도 연결부분 하단이 벌어지면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편을 사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여 작업자가 낮은 자세에서 편하게 연결작업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서 연결부재나 고정부재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부재에 접지점퍼를 관통시켜 안내할 수 있는 관통로를 설치하여 접지점퍼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체화된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사이드 레일의 외 측에서 바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 트레이 연결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연결작업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는,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사이드 레일의 양단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부과; 상기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에 삽입되는 다수 개의 꺾쇠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로 관통된 꺾쇠가 빠지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으로부터 사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삽입되는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 개의 꺾쇠는, 한쪽 끝을 꺾어 꼬부려서 'ㄱ'자 모양으로 하되 상하로 일정 거리 떨어져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편은,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 쪽에서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하여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지는 제1 고정편과, 다른 케이블 트레이 쪽에서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슬라이드 하여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지는 제2 고정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사이드 레일의 양단에는,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진 제1 및 제2 고정편을 사이드 레일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제1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에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사이드 레일의 양단에 형성된 제1 돌기에 대응하여 고정편을 사이드 레일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제2 돌기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의 후방에는 사이드 레일의 상,하부의 날개를 감쌀 수 있도록 절곡부가 형성된 확대부가 일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꺾쇠는 일정 높이의 수직 절편과 일정 길이의 수평 절편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꺾쇠의 수평 절편에는 고정편의 상면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밀착 돌기와 고정편에 형성된 걸림 홈에 결합하는 걸림 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사이드 레일의 안쪽 면에서 바깥쪽으로 결합하고, 상기 고정편은 사이드 레일의 외 측면을 따라 사이드 레일과 꺾쇠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사이드 레일의 바깥 면에서 안쪽으로 결합하고, 상기 고정편은 사이드 레일의 외 측면을 따라 사이드 레일과 연결부재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는,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사이드 레일의 양단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한쪽 끝을 꺾어 꼬부려서 'ㄱ'자 모양으로 하되 상하로 일정 거리 떨어져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다수 개의 꺾쇠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로 관통된 꺾쇠가 빠지지 않도록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 쪽에서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하여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지는 제1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로 관통된 꺾쇠가 빠지지 않도록 다른 케이블 트레이 쪽에서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슬라이드 하여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지는 제2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의 후방에는 사이드 레일의 상,하부의 날개를 감쌀 수 있도록 절곡부가 형성된 확대부가 일체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의 가운데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접지범퍼를 안내하는 관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의 후단에는 외 측으로 돌출되게 감아서 고정편을 결합하거나 분리하기 쉽도록 하는 커링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의 후단에는 접지범퍼를 결합하기 용이하도록 반원형으로 절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 예는,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사이드 레일의 양단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한쪽 끝을 꺾어 꼬부려서 'ㄱ'자 모양으로 하되 상하로 일정 거리 떨어져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다수 개의 꺾쇠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로 관통된 꺾쇠가 빠지지 않도록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 쪽에서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하여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지는 제1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로 관통된 꺾쇠가 빠지지 않도록 다른 케이블 트레이 쪽에서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슬라이드 하여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지는 제2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사이드 레일에 형성된 관통부에는 꺾쇠의 수직 절편이 삽입되는 보조관통부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사이드 레일의 바깥 면에서 안쪽으로 결합하고, 상기 고정편은 사이드 레일의 외 측면을 따라 사이드 레일과 연결부재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의 가운데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접지범퍼를 안내하는 관통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상부에는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사이드 레일의 상부 날개를 감싸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양단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한쪽 끝을 꺾어 꼬부려서 'ㄴ'자 모양으로 한 다수 개의 꺾쇠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날개를 감싼 절곡부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로 관통된 꺾쇠가 빠지지 않도록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 쪽에서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하여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지는 제1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날개를 감싼 절곡부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로 관통된 꺾쇠가 빠지지 않도록 다른 케이블 트레이 쪽에서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슬라이드 하여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지는 제2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는 사이드 레일의 바깥 면에서 안쪽으로 결합하고, 상기 고정편은 사이드 레일의 외 측면을 따라 사이드 레일과 연결부재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의 가운데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접지범퍼를 안내하는 관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의 후방에는 사이드 레일의 상,하부의 날개를 감쌀 수 있도록 절곡부가 형성된 확대부가 일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의 후단에는 외 측으로 돌출되게 감아서 고정편을 결합하거나 분리하기 쉽도록 하는 커링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의 후단에는 접지범퍼를 결합하기 용이하도록 반원형으로 절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맞대어진 케이블 트레이를 서로 연결하되,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부분이 수직하중을 받아도 연결부분 하단이 벌어지면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고정편을 사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낮은 자세에서 편하게 연결 작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항상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서 연결부재나 고정부재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에 접지점퍼를 관통시켜 안내할 수 있는 관통로를 설치하여 접지점퍼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깔끔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화된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사이드 레일의 외 측에서 바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 트레이 연결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연결작업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를 보여주는 것으로 특히 접지점퍼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접지점퍼 체결수단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접지동판을 사용하는 연결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접지점퍼를 설치한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되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를 이용한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는,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 단위체(10A)와 다른 케이블 트레이 단위체(10B)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크게 서로 맞대어진 사이드 레일(10a)(10b)의 양측 선단에 천공된 복수 개의 관통부(11)와. 사이드 레일(10a)(10b)에 형성된 관통부(11)를 관통하도록 다수 개의 꺾쇠(21)가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부재(20)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11)로 관통된 다수 개의 꺾쇠(21)가 빠지지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편(31)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3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20)는 사이드 레일(10a)(10b)의 안쪽 면에 맞춰 끼워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부에는 사이드 레일(10a)(10b)의 상,하부 날개(13)에 대응하는 제1 절곡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0)의 꺾쇠(21)는, 프레스 펀칭가공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사이드 레일(10a)(10b)에 형성된 관통부(11)를 관통할 수 있어야 하고, 관통된 다음 반대편으로 상기 고정부재(30)의 고정편(31)이 삽입가능한 정도로 돌출되어야 한다.
상기 꺾쇠(21)는, 펀칭가공된 절편의 한쪽 끝을 꺾어 꼬부려서 'ㄱ'자 모양으로 하여, 일정 높이의 수직 절편(25)과 일정 길이의 수평 절편(26)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하로 일정 거리 떨어진(D,L:도 4참조) 상,하부 꺾쇠(21a)(21b)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양측 사이드 레일(10a)(10b)의 선단에 각각 4개의 관통부(11)가 격자모양으로 천공되고, 상기 연결부재(20)에는 8개의 꺾쇠(21)가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고정부재(30a) 및 제2 고정부재(30b)는 사이드 레일(10a)(10b)과 관통부(11)를 관통한 꺾쇠(21)의 사이로 삽입된다. 제1 고정부재(30a)는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10a) 쪽에서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하여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21) 사이에 끼워지고, 제2 고정부재(30)는 다른 케이블 트레이(10b) 쪽에서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슬라이드 하여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21) 사이에 끼워진다.
고정부재(30a)(30b)는 사이드 레일과 꺾쇠(21) 사이로 끼워지는 고정편(31a)(31b)과, 상기 고정편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사이드 레일의 상,하부 날개(13)에 대응하도록 제2 절곡부(32)가 형성된 확대부(33a)(33b)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T자 형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트레이의 레일(10a)(10b)을 맞대놓고, 연결부재(20)를 사이드 레일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삽입하여 꺾쇠(21)를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11)를 관통시켜 바깥으로 노출되게 하고, 제1 고정부재(30a)와 제2 고정부재(30b)의 고정편(31a)(31b)을 각각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따라 밀어 넣어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21) 사이에 끼워지게 하면 연결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은,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와 대비할 때, 작업자가 낮은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으므로 고정부재(30)의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부재(30)를 사이드 레일의 외 측면을 따라 삽입하므로 천장과 케이블 트레이 사이의 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케이블 트레이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30)의 고정편(31)이 사이드 레일(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수직하중에 대한 연결부위의 대항력이 더욱 강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30)가 항상 탄성력을 받게 되므로 연결부재(20)와 사이드 레일(10) 사이의 결합력이 좋아져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서 연결부재(20)가 흔들거리거나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레일(10)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1 돌기(14)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의 확대부(33)에는 상기 제1 돌기(14)에 대응하도록 제2 돌기(34)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30)의 고정편(31)을 상,하부 꺾쇠(21a)(21b) 사이로 삽입하면, 상기 확대부(33)에 형성된 제2 돌기(34)와 사이드 레일(10)에 형성된 제1 돌기(14)가 서로 만나서 고정편(31)이 외 측으로 가압 되므로 고정편(31)과 꺾쇠(21) 사이에 소정의 탄성력이 발생하여 연결부재(20)와 사이드 레일(10) 그리고 고정편(31) 사이의 결합이 밀착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는 연결부재(20)의 꺾쇠(21)와 고정부재(30)의 고정편(31)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수단은 꺾쇠(21)의 수평 절편(25)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 돌기(53)와 상기 고정편(31)의 선단에 상기한 걸림 돌기(5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걸림 홈(56)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53)가 형성된 꺾쇠(21)에 이웃하는 꺾쇠에는 고정편의 상면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밀착 돌기(5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31)을 다수 개의 꺾쇠(21) 사이로 삽입하면, 상기 밀착 돌기(54)에 의해서 밀착되는 동시에 상기 걸림 돌기(53)가 걸림 홈(56)에 걸려서 고정편(31)이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위에 접지점퍼(ground bonding jumper)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고정부재(30a)(30b)를 가로질러 접지점퍼(40)가 설치된다. 즉, 케이블 트레이는 전기가 흐르는 전선이 올려져 있으므로 누전이 되는 경우 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이를 신속하게 지면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어 양측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한 후 접지점퍼(40)를 연결하여 전기가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접지점퍼(40)는 다수 개의 동선이 포함된 유연한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에는 체결수단이 구비되어 양측 사이드 레일(10a)(10b)에 형성된 체결구멍(15)에 고정하여야 한다. 이때, 케이블 트레이는 도금된 강판을 사용하여 사이드 레일과 렁(지지대)을 조립한 후 표면처리로 도장 작업을 실시하게 되므로, 접지점퍼(40)가 고정되는 사이드 레일의 체결구멍을 마스킹 시트를 부착한 후 도장작업을 하고, 도장작업이 끝난 후에 마스킹 시트를 제거한 후 접지점퍼를 결합하여 접지를 완벽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접지점퍼(40)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접지점퍼와 너트 및 볼트를 가지고 올라가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며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이드 레일의 체결구멍이나 그 주위를 마스킹 시트를 부착하였다가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접지점퍼(40)를 손쉽게 고정하기 위한 원터치 방식의 체결수단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점퍼 체결수단(60)은 사이드 레일(10)의 체결구멍(15)에 나사 결합하는 볼트부재(61)와, 접지점퍼(40)의 양단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리벳부재(41)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부재(61)는 체결구멍(15)에 체결되는 나사부(62)와 상기 나사부(62)의 머리부(63)의 상면에 형성된 요홈부(65)와, 상기 요홈부(65)의 양측 가장자리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탄성 핀(6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66은 상기 요홈부(65)에 삽입되는 임시덮개(64)로, 플라스틱이나 종이, 나무 등 소모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도장작업 후에 제거된다.
상기 리벳부재(41)는 접지점퍼(40)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부을 통해서 리벳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볼트부재(60)의 요홈부(65)에 삽입되고 두 개의 탄성 핀(64) 사이에 걸리는 걸림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점퍼 체결수단(60)을 이용하여 접지점퍼(40)를 고정할 때는, 먼저, 상기 볼트부재(61)의 나사부(62)를 사이드 레일(10)의 관통부(15)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볼트부재(61)가 체결된 상태의 사이드 레일(10)를 표면처리로 도장 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상기 볼트부재(61)의 요홈부(65)에는 임시덮개(66)를 끼워서 요홈부(65)가 코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사이드 레일(10)를 연결한 후, 접지점퍼(40)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리벳부재(41)의 걸림부(43)를 상기 볼트부재(61)의 요홈부(65)에 삽입하여 탄성 핀(64)에 의해 탄력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지점퍼 체결수단(60)은 볼트,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원터치 식으로 고정되는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이드 레일(10)에 임시덮개(66)가 구비된 볼트부재(61)를 미리 결합하기 때문에 마스킹 시트를 사용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여 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접지점퍼의 또 다른 설치 방법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특히, 연결부재(20)의 전면에 접지동판(50)을 삽입하기 위한 안착부(22)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22)에 접지동판(50)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20)를 양측 사이드 레일(10a)(10b)을 연결하면 맞대어진 부분이 접지동판(50)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전기가 잘 통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30)의 다른 실시 예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특히 접지점퍼(40)를 안내하기 위한 제1 관통로(35)가 일체로 구비된 고정부재(30)를 보여준다.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0)는 사이드 레일과 꺾쇠(21) 사이로 끼워지는 고정편(31)과, 상기 고정편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사이드 레일의 상,하부 날개(23)에 대응하도록 절곡부가 형성된 확대부(33)를 포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편(31)과 확대부(33)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운데에 접지점퍼(40)가 관통하여 제1 관통로(35)가 더 구비된다.
상기 관통로(35)는 접지점퍼(40)를 감쌀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로(36)의 후단에는 접지점퍼(40)의 체결수단(60)을 사용하기 쉽도록 반원형의 절개부(36)가 형성된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37은 고정부재(40)를 넣거나 뺄 때 사용하기 쉽도록 금속 편의 일부를 감아서 올린 커어링 손잡이 부분이다.
본 실시 예의 고정부재(40)로 이루어진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트레이의 레일(10a)(10b)을 맞대놓고, 연결부재(20)를 사이드 레일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삽입하여 꺾쇠(21)를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11)를 관통시켜 바깥으로 노출되게 하고, 제1 고정부재(30a)와 제2 고정부재(30b)의 고정편(31a)(31b)을 각각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따라 밀어 넣어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21) 사이에 끼워지게 한다.
그런 다음 상기 관통로(35)를 통해 접지점퍼(40)를 삽입하고, 접지점퍼(40)의 양단에 있는 리벳부재(41)를 가압하여, 사이드 레일(10)에 고정된 볼트부재(61)의 요홈부(65)에 체결함으로써 접지점퍼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지점퍼(40)가 관통로(35) 속으로 들어가므로 접지점퍼를 부식환경으로부터 격리시켜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관통로에 의하여 밀착고정되므로 외력에 의하여 접지점퍼가 끊어질 염려가 없으며, 점퍼에 부식이 발생하더라도 외부에서 육안으로 볼 수 없어서 케이블 트레이의 미관을 훼손할 염려가 없게 된다. .
그리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특히 사이드 레일의 외 측에서 결합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100)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100)는, 서로 맞대어진 사이드 레일(10a)(10b)의 양측 선단에 천공된 복수 개의 관통부(11)를 관통하도록 다수 개의 꺾쇠(21)가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부재(20)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11)로 관통된 다수 개의 꺾쇠(21)가 빠지지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편(31)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고정부재(30a)(30b)로 이루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20)의 상부와 하부에는 사이드 레일(10)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관통부(11)를 관통하고 서로 마주보는 'ㄱ'자 형태의 꺾쇠(21)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0)의 가운데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접지점퍼(40)가 관통하는 제2 관통로(28)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30a)(30b)는 고정편(31a)(31b)과 상기 고정편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사이드 레일의 상,하부 날개(23)에 대응하도록 절곡부가 형성된 확대부(33a)(33b)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이드 레일(10a)(10b)에 천공된 관통부(11)에는, 상기 관통부(11)를 관통한 꺾쇠(21)의 수평 절편(26)이 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관통부(111)가 형성된다. 즉, 상부 관통부(11a)는 상부 일측에 보조관통부(111a)가 형성되고, 하부 관통부(11b)는 하부 일측에 보조관통부(111b)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관통부(111)는 관통부(11)와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관통부(111)는 관통부(11)와의 사이에 수평 절편(25)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턱이 생기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100)를 사용할 때는 상기 연결부재(20)를 사이드 레일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삽입하되, 상기 연결부재(20)의 꺾쇠(21)가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11)를 관통하게 되면, 연결부재(20)를 보조관통부(111)가 형성된 쪽으로 이동시켜 꺾쇠(21)의 수평 절편(26)을 보조관통부(11)에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고정부재(30b)의 고정편(31a)(31b)을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따라 밀어 넣어 사이드 레일(10)과 연결부재(20) 사이에 끼워 넣으면 연결조립이 완료된다. 그런 다음 연결부재(20)의 관통로(28)를 통해 접지점퍼(40)를 관통시키고, 접지점퍼(40)의 양단에 있는 리벳부재(41)를 가압하여, 사이드 레일(10)에 고정된 볼트부재(61)의 요홈부(65)에 고정함으로써 접지점퍼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100)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20)와 고정부재(30) 그리고 접지점퍼(40)가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제품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100)는 이송 및 보관이 용이하고, 부품들이 미리 조립되어 있으므로 연결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100)를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11)에 삽입하여 결합한 다음 망치 등을 이용하여 고정부재(30)를 밀어 넣는 것으로 케이블 트레이 조립과정이 완료되게 된다.
끝으로, 도 14는 사이드 레일의 외측에서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0)의 상부에는 사이드 레일(10)의 날개(23)에 대응하는 제3 절곡부(27)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사이드 레일(10a)(10b)의 관통부(11)를 관통할 수 있도록 돌출되고 펀칭가공된 절편의 한쪽 끝을 꺾어 꼬부려서 'ㄴ'자 모양으로 한 꺾쇠(29)가 형성된다. 상기 꺾쇠(29)는 일정 높이의 수직 절편(25)과 일정 길이의 수평 절편(26)으로 이루어지되, 수직 절편(25)은 꺾쇠(21)와 연결부재(20) 사이로 고정판(31)이 삽입될 수 있는 높이로 이루어지고, 수평 절편(26)은 사이드 레일(10)의 하부 날개 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운데에는 접지점퍼(40)를 안내하기 위한 제2 관통로(28)가 형성된다.
통상, 양측 사이드 레일(10a)(10b)의 선단에는 각각 4개의 관통부(11)가 천공되어 있으나, 본 실시 예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사이드 레일(10a)(10b)의 선단에 각각 2개의 관통부(11)가 있어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0)는 사이드 레일(10)과 연결부재(20) 사이로 끼워지는 고정편(31a)(31b)과, 상기 고정편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사이드 레일의 상,하부 날개(23)에 대응하도록 절곡부가 형성된 확대부(33a)(33b)로 이루어진다. 상기 확대부(33)의 후단에는 접지점퍼(40)를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반원형의 절단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맞대어지는 고정편(31a)(31b)의 선단에는 서로 대응되는 단턱부(38)를 형성하여 수직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는, 양측 트레이의 레일(10a)(10b)을 맞대놓고, 연결부재(20)를 사이드 레일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삽입하되, 상기 연결부재(20)의 절곡부(27)가 사이드 레일(10)의 상부 날개(13)에 걸쳐지도록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삽입하면, 연결부재(20)의 절곡부(27)는 사이드 레일의 날개에 걸쳐지고 꺾쇠(21)는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11)를 관통하여 사이드 레일의 안쪽 면에 걸쳐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및 고정부재(30)의 고정편(31a)(31b)을 각각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따라 사이드 레일(10)과 연결부재(20) 사이에 끼워넣으면 연결조립이 완료된다. 그런 다음 연결부재(20)의 관통로(28)를 통해 접지점퍼(40)를 관통시키고, 접지점퍼(40)의 양단에 있는 리벳부재(41)를 가압하여, 사이드 레일(10)에 고정되어 있는 볼트부재(61)의 요홈부(65)에 고정함으로써 접지점퍼를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는, 두 개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따라 연결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결합하던 종래의 고정부재의 결합방식과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에 의해서 연결부위의 수직하중에 대한 대항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접지점퍼의 처리가 깔끔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설치하지 어려웠던 환경에서도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작업이 가능하고 안전사고와 진동이나 외력에 의한 연결부재 및 접지점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사이드 레일 11: 관통부
13: 날개 14: 제1 돌기
15: 체결구멍 20: 연결부재
21: 꺾쇠 23: 제1 절곡부
25: 수직 절편 26: 수평 절편
27: 제3 절곡부 28: 제2 관통로
30: 고정부재 31: 고정편
32: 제2 절곡부 33: 확대부
35: 제1 관통로 34: 제2 돌기
40: 접지점퍼 41: 리벳부재
43: 걸림부 53: 걸림 돌기
56: 걸림 홈 60: 접지점퍼 체결수단
61: 볼트부재 62: 나사부
65: 요홈부 66: 임시덮개
100: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111: 보조관통부

Claims (17)

  1.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사이드 레일의 양단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부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에 삽입되는 다수 개의 꺾쇠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로 관통된 꺾쇠가 빠지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으로부터 사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삽입되는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꺾쇠는, 한쪽 끝을 꺾어 꼬부려서 'ㄱ'자 모양으로 하되 상하로 일정 거리 떨어져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편은,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 쪽에서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하여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지는 제1 고정편과, 다른 케이블 트레이 쪽에서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슬라이드 하여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지는 제2 고정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사이드 레일의 양단에는,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진 제1 및 제2 고정편을 사이드 레일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에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사이드 레일의 양단에 형성된 제1 돌기에 대응하여 고정편을 사이드 레일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제2 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꺾쇠는 일정 높이의 수직 절편과 일정 길이의 수평 절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꺾쇠의 수평 절편에는 상기 고정편의 상면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밀착 돌기와 상기 고정편에 형성된 걸림 홈에 결합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의 후방에는 사이드 레일의 상,하부의 날개를 감쌀 수 있도록 절곡부가 형성된 확대부가 일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사이드 레일의 안쪽 면에서 바깥쪽으로 결합하고, 상기 고정편은 사이드 레일의 외 측면을 따라 사이드 레일과 꺾쇠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사이드 레일의 바깥 면에서 안쪽으로 결합하고, 상기 고정편은 사이드 레일의 외 측면을 따라 사이드 레일과 연결부재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9.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사이드 레일의 양단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한쪽 끝을 꺾어 꼬부려서 'ㄱ'자 모양으로 하되 상하로 일정 거리 떨어져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다수 개의 꺾쇠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로 관통된 꺾쇠가 빠지지 않도록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 쪽에서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하여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지는 제1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로 관통된 꺾쇠가 빠지지 않도록 다른 케이블 트레이 쪽에서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슬라이드 하여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지는 제2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의 후방에는 사이드 레일의 상,하부의 날개를 감쌀 수 있도록 절곡부가 형성된 확대부가 일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의 가운데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접지범퍼를 안내하는 관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사이드 레일의 양단에는,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진 제1 및 제2 고정편을 사이드 레일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에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사이드 레일의 양단에 형성된 제1 돌기에 대응하여 고정편을 사이드 레일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제2 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꺾쇠는 일정 높이의 수직 절편과 일정 길이의 수평 절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꺾쇠의 수평 절편에는 상기 고정편의 상면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밀착 돌기와 상기 고정편에 형성된 걸림 홈에 결합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13.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사이드 레일의 양단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한쪽 끝을 꺾어 꼬부려서 'ㄱ'자 모양으로 하되 상하로 일정 거리 떨어져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다수 개의 꺾쇠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로 관통된 꺾쇠가 빠지지 않도록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 쪽에서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하여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지는 제1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로 관통된 꺾쇠가 빠지지 않도록 다른 케이블 트레이 쪽에서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슬라이드 하여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지는 제2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사이드 레일에 형성된 관통부에는 꺾쇠의 수직 절편이 삽입되는 보조관통부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사이드 레일의 바깥 면에서 안쪽으로 결합하고, 상기 고정편은 사이드 레일의 외 측면을 따라 사이드 레일과 연결부재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가운데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외 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접지범퍼를 안내하는 관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15. 상부에는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사이드 레일의 상부 날개를 감싸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양단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한쪽 끝을 꺾어 꼬부려서 'ㄴ'자 모양으로 한 다수 개의 꺾쇠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날개를 감싼 절곡부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로 관통된 꺾쇠가 빠지지 않도록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 쪽에서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하여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지는 제1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날개를 감싼 절곡부와 상기 사이드 레일의 관통부로 관통된 꺾쇠가 빠지지 않도록 다른 케이블 트레이 쪽에서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슬라이드 하여 상하로 마주보는 꺾쇠 사이에 끼워지는 제2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사이드 레일의 바깥 면에서 안쪽으로 결합하고, 상기 고정편은 사이드 레일의 외 측면을 따라 사이드 레일과 연결부재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가운데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외 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접지범퍼를 안내하는 관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1020110140268A 2011-12-22 2011-12-22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 KR101196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268A KR101196477B1 (ko) 2011-12-22 2011-12-22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268A KR101196477B1 (ko) 2011-12-22 2011-12-22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477B1 true KR101196477B1 (ko) 2012-11-01

Family

ID=4756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268A KR101196477B1 (ko) 2011-12-22 2011-12-22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477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664B1 (ko) * 2013-02-15 2013-07-16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KR101443899B1 (ko) 2013-02-22 2014-11-04 김승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CN105305337A (zh) * 2015-12-04 2016-02-03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电缆桥架
KR101607113B1 (ko) 2014-05-09 2016-03-29 (주)대한트레이산업 케이블트레이의 측면프레임에 원터치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이음연결구를 사용하는 케이블트레이 및 그 이용방법
KR101735760B1 (ko) 2017-01-17 2017-05-16 신성컨트롤(주) 연결 클램프를 이용한 원터치 연결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KR101872316B1 (ko) 2017-02-16 2018-06-28 김동일 케이블 트레이용 면진장치
KR20190000181U (ko) * 2017-07-11 2019-01-21 손지현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체
CN109904806A (zh) * 2019-03-28 2019-06-18 江苏爱斯威尔电气工程有限公司 一种定位功能的电缆桥架
KR102013637B1 (ko) * 2019-02-22 2019-08-23 하성우 케이블 트레이
KR102015853B1 (ko) * 2019-02-19 2019-08-29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20190118408A (ko) 2018-04-10 2019-10-18 육성진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KR102280712B1 (ko) 2020-01-31 2021-07-22 에스알이엔지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용 조인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6495U (ko) 1973-04-21 1975-02-21
KR200345657Y1 (ko) 2003-12-17 2004-03-24 평화전기산업(주) 케이블 트레이의 그라운드 본딩 점퍼 결합 구조
KR100993138B1 (ko) 2010-05-26 2010-11-09 육홍수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6495U (ko) 1973-04-21 1975-02-21
KR200345657Y1 (ko) 2003-12-17 2004-03-24 평화전기산업(주) 케이블 트레이의 그라운드 본딩 점퍼 결합 구조
KR100993138B1 (ko) 2010-05-26 2010-11-09 육홍수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664B1 (ko) * 2013-02-15 2013-07-16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KR101443899B1 (ko) 2013-02-22 2014-11-04 김승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KR101607113B1 (ko) 2014-05-09 2016-03-29 (주)대한트레이산업 케이블트레이의 측면프레임에 원터치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이음연결구를 사용하는 케이블트레이 및 그 이용방법
CN105305337A (zh) * 2015-12-04 2016-02-03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电缆桥架
KR101735760B1 (ko) 2017-01-17 2017-05-16 신성컨트롤(주) 연결 클램프를 이용한 원터치 연결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KR101872316B1 (ko) 2017-02-16 2018-06-28 김동일 케이블 트레이용 면진장치
KR20190000181U (ko) * 2017-07-11 2019-01-21 손지현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체
KR200490126Y1 (ko) * 2017-07-11 2019-09-27 손지현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체
KR20190118408A (ko) 2018-04-10 2019-10-18 육성진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KR102015853B1 (ko) * 2019-02-19 2019-08-29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2013637B1 (ko) * 2019-02-22 2019-08-23 하성우 케이블 트레이
CN109904806A (zh) * 2019-03-28 2019-06-18 江苏爱斯威尔电气工程有限公司 一种定位功能的电缆桥架
KR102280712B1 (ko) 2020-01-31 2021-07-22 에스알이엔지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용 조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477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
KR101167028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 장치
KR20150122156A (ko) 사다리 가로대 브래킷 조립체
KR101291298B1 (ko) 케이블 트레이
JP5806833B2 (ja) 架空線の防鳥用細線の間隔保持材
EP3706272A1 (en) Bracket for cable management
KR200416740Y1 (ko) 가변형 케이블 트레이
CA3014819C (en) Splice plate assembly for cable tray
KR101946030B1 (ko)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
US9850707B2 (en) Joint element for cable ladder and a method for the mounting of the same
CN203834838U (zh) 护栏
JP5096305B2 (ja) コネクタ用固定具
KR101480480B1 (ko)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20170025729A (ko) 케이블 트레이
KR102043350B1 (ko) 케이블 트레이 렁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9093B1 (ko)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KR101113929B1 (ko) 전선관이 고정 부착되는 케이블 트레이
JP2019203325A (ja) フェンス連結部材
KR101966590B1 (ko)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
JP2015218453A (ja) 太陽電池パネルの配線格納ボックス
KR200451493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120007822U (ko) 그레이팅용 스탑볼트 어셈블리
KR101359869B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의 고정패드의 구조
KR20110019848A (ko) 매입형 전기 배선박스의 결합구조
KR200401349Y1 (ko) 케이블 정렬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