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899B1 -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899B1
KR101443899B1 KR1020130019069A KR20130019069A KR101443899B1 KR 101443899 B1 KR101443899 B1 KR 101443899B1 KR 1020130019069 A KR1020130019069 A KR 1020130019069A KR 20130019069 A KR20130019069 A KR 20130019069A KR 101443899 B1 KR101443899 B1 KR 101443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tray
piece
plate
connec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641A (ko
Inventor
김승호
Original Assignee
김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호 filed Critical 김승호
Priority to KR102013001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899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32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
    • F16B5/004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 and using interlocking keys of circular, square, rectangular or 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4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surface ducts; Ducts or cover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는,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밑판의 길이 방향 양측에 측판이 상측 방향으로 나란하게 절곡 형성되고 각 측판의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단판을 형성하며 측판의 단부에 하나 이상의 체결장공이 뚫어진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때에 인접하는 각 케이블 트레이의 각 세로형 체결공에 체결돌부가 각각 결합되는 트레이연결편와, 케이블 트레이의 체결장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트레이연결편의 체결돌부에 체결핀의 체결편을 삽입하여 접속한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트레이의 측판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장공은 둘 이상이 뚫어지는 분할형 체결장공 또는 하나가 뚫어지는 일괄형 체결장공인 것; 상기 트레이연결편은, 트레이접속판에 폭이 좁은 4개의 체결돌부를 형성한 협소형 트레이연결편 또는 폭이 넓은 2개의 체결돌부를 형성한 확개형 트레이연결편인 것; 상기 체결편은, 각 체결편의 하단을 첨예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첨예경사면의 상측에 결착돌편을 하나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트레이연결편을 체결돌편의 상측과 하측에는 체결유도공간을 체결공간부와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하고 체결돌편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며, 각 체결편의 하단을 첨예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덕트의 외측에서 트레이연결편의 체결돌부에 체결핀의 체결편을 삽입하여 체결시킬 때에 트레이연결편의 체결유도공간이 공간을 크게 확보하고 있으므로 체결편의 첨예경사면을 먼저 삽입하여 체결돌편으로 삽입시켜 줄 수 있고 따라서 체결핀(체결편)을 용이하게 결합(체결)시킬 수 있으며, 각 체결핀은 첨예경사면의 상측에 결착돌편을 형성하여 체결돌부에 체결편을 삽입(체결)시켰을 때에 결착돌편이 체결돌부의 하단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A Cable Tray Assembly}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전선 및 통신선 등 각종 케이블을 배선(설치)하는 개선된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A Cable Tray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길이가 긴 측면판의 상단과 하단을 내측으로 나란하게 절곡 하여 내향절곡판을 형성하고, 한 쌍의 측면판을 나란하게 대향시키되 내향절곡판이 마주보게 하며, 나란한 측면판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내향절곡판의 상측에 횡지지대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시켜 한 쌍의 측면판을 일체로 형성하며, 각 측면판의 단부에 하나 이상의 세로형 체결공이 뚫어진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때에 인접하는 각 케이블 트레이의 각 세로형 체결공에 체결돌편이 각각 결합되는 트레이연결편와, 케이블 트레이의 세로형 체결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트레이연결편의 세로형체결돌편에 체결핀의 체결편을 삽입하여 접속하되;
상기 트레이연결편은, 체결돌편의 상측과 하측에는 유도도입공을 체결공간부와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하고, 체결돌편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체결편은, 각 체결편의 하단을 첨예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첨예경사면의 상측에 결착돌편을 하나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A Cable Tray Assembly)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 건축 되면 건물의 내부에는 전선이나 통신 케이블 등의 각종 케이블이 배선되는데, 전선이나 통신 케이블은 직접 노출된 채로 배선되거나 또는 덕트나 트레이 및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설치(시설)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배선)되는 각종 케이블을 케이블 트레이 또는 케이블 덕트를 이용하여 설치할 때에는, 보편적으로 케이블 트레이 또는 케이블 덕트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면서 천장의 바로 하측에 장착하고, 케이블 트레이 또는 케이블 덕트의 내부에 케이블을 수용(배선)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 및 케이블 덕트는,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케이블 트레이 또는 케이블 트레이를 조립 설치하거나 분리시킬 때에 인접하는 케이블 트레이 또는 케이블 덕트의 단부와 트레이연결편을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조립 및 해제시켰으므로 조립 및 해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능률이 현저히 떨어지고, 선단과 후단에 위치하는 케이블 트레이 또는 케이블 트레이의 단부에 조립 설치되는 ㄷ형 단부플레이트도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조립 및 해제시켰으므로 조립 및 해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능률이 현저히 떨어진다.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를 형성하는 레일(측판)의 양단에 2열 횡대로 복수(대체로 4개 또는 6개)의 관통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 주고, 서로 다른 레일(측판)을 연접시키고, 연접된 단부의 외측에서 관통공이 뚫어지고 ㄷ형으로 형성된 연결판을 접속하여, 일치하는 레일(측판)과 연결판의 관통공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접속하였다. 그러나, 이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조립 및 해제시켰으므로 조립 및 해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능률이 현저히 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대소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의 특허등록 제10-816296호 및 특허등록 제10-993138호의 케이블 트레이의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는 레일(측판)의 양단에 2열 횡대로 복수(대체로 4개 또는 6개)의 작은 관통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진 케이블 트레이를 연접시키도록 하고, 연결판에는 레일(측판)의 관통공과 일치하도록 2열 횡대로 복수(대체로 4개 또는 6개)의 작은 테두리를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하며, 연결판을 연접하는 레일(측판)의 내측에서 결합하여 레일(측판)의 작은 관통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는 연결판의 고리돌기부에 고정부재의 고정편을 삽입하여 연결시키면서 설치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레일(측판)의 양단에 2열 횡대로 복수(대체로 4개 또는 6개)의 작은 관통공과 일치하도록 연결판에도 레일(측판)의 관통공과 일치하는 복수의 작은 테두리를 2열 횡대로 형성해 주어야 하므로 작은 테두리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없고, 레일(측판)의 작은 관통공과 연결판의 작은 테두리를 서로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형성시켜 주어야 하지만 조금이라도 편차가 발생하게 되면 결합 및 설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으며, 작은 관통공과 작은 테두리를 서로 결합시키므로 지지력이 약화 되는 현상도 발생한다.
또한, 고정부재에 형성된 고정편의 하단이 고정편의 두께를 유지하면서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판에 돌출되게 형성된 고리돌기부가 직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판을 레일의 내측에서 밀접하게 접속시켰을 때에 고리돌기부의 상하 단부(입구와 출구)에는 여유공간이 없으며, 고정부재의 고정편을 레일의 외면과 밀접하게 연접시키면서 삽입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고정부재의 고정편을 연결판의 고리돌기부에 용이하게 삽입(결합)시킬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A Cable Tray Assembly)는,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밑판의 길이 방향 양측에 측판이 상측 방향으로 나란하게 절곡 형성되고 각 측판의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단판을 형성하며 측판의 단부에 하나 이상의 세로형 체결공이 뚫어진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때에 인접하는 각 케이블 트레이의 각 세로형 체결공에 체결돌부가 각각 결합되는 트레이연결편와, 케이블 트레이의 세로형 체결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트레이연결편의 체결돌부에 체결핀의 체결편을 삽입하여 접속하되;
상기 트레이연결편은, 체결돌부의 상측과 하측에는 체결유도공간을 체결공간부와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하고, 체결돌부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체결편은, 각 체결편의 하단을 첨예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첨예경사면의 상측에 결착돌편을 하나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A Cable Tray Assembly)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레이연결편을 체결돌편의 상측과 하측에는 체결유도공간을 체결공간부와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하고 체결돌편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며, 각 체결편의 하단을 첨예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덕트의 외측에서 트레이연결편의 체결돌부에 체결핀의 체결편을 삽입하여 체결시킬 때에 트레이연결편의 체결유도공간이 공간을 크게 확보하고 있으므로 체결편의 첨예경사면을 먼저 삽입하여 체결돌편으로 삽입시켜 줄 수 있고 따라서 체결핀(체결편)을 용이하게 결합(체결)시킬 수 있으며, 각 체결핀은 첨예경사면의 상측에 결착돌편을 형성하여 체결돌부에 체결편을 삽입(체결)시켰을 때에 결착돌편이 체결돌부의 하단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A Cable Tray Assembly)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길이가 긴 측면판의 상단과 하단을 내측으로 나란하게 절곡 하여 내향절곡판을 형성하고, 한 쌍의 측면판을 나란하게 대향시키되 내향절곡판이 마주보게 하며, 나란한 측면판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내향절곡판의 상측에 횡지지대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시켜 한 쌍의 측면판을 일체로 형성하며, 각 측면판의 단부에 하나 이상의 세로형 체결공이 뚫어진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때에 인접하는 각 케이블 트레이의 각 세로형 체결공에 체결돌부가 각각 결합되는 트레이연결편과, 케이블 트레이의 세로형 체결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트레이연결편의 체결돌부에 체결핀의 체결편을 삽입하여 접속한 것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연결편은, 체결돌부의 상측과 하측에는 체결유도공간을 체결공간부와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하고, 체결돌부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한 것과;
상기 체결편은, 각 체결편의 하단을 첨예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첨예경사면의 상측에 결착돌편을 하나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밑판의 길이 방향 양측에 측판이 상측 방향으로 나란하게 절곡 형성되고 각 측판의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단판을 형성하며 측판의 단부에 하나 이상의 체결장공이 뚫어진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때에 인접하는 각 케이블 트레이의 각 세로형 체결공에 체결돌부가 각각 결합되는 트레이연결편와, 케이블 트레이의 체결장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트레이연결편의 체결돌부에 체결핀의 체결편을 삽입하여 접속한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트레이의 측판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장공은 둘 이상이 뚫어지는 분할형 체결장공 또는 하나가 뚫어지는 일괄형 체결장공인 것과;
상기 트레이연결편은, 트레이접속판에 폭이 좁은 4개의 체결돌부를 형성한 협소형 트레이연결편 또는 폭이 넓은 2개의 체결돌부를 형성한 확개형 트레이연결편인 것과;
상기 체결편은, 각 체결편의 하단을 첨예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첨예경사면의 상측에 결착돌편을 하나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트레이연결편을 체결돌편의 상측과 하측에는 체결유도공간을 체결공간부와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하고 체결돌편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며, 각 체결편의 하단을 첨예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덕트의 외측에서 트레이연결편의 체결돌부에 체결핀의 체결편을 삽입하여 체결시킬 때에 트레이연결편의 체결유도공간이 공간을 크게 확보하고 있으므로 체결편의 첨예경사면을 먼저 삽입하여 체결돌편으로 삽입시켜 줄 수 있고 따라서 체결핀(체결편)을 용이하게 결합(체결)시킬 수 있으며, 각 체결핀은 첨예경사면의 상측에 결착돌편을 형성하여 체결돌부에 체결편을 삽입(체결)시켰을 때에 결착돌편이 체결돌부의 하단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를 결합시킨 상태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를 결합시킨 상태의 평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에서 트레이연결편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에서 트레이연결편의 다른 실시 예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에서 트레이연결편을 발췌하여 보인 측단면도.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에서 체결핀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에서 트레이연결편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1)를 보인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의 평단면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1)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의 평단면도이며, 도 5a와 도 5b 및 도 6a과 도 6b 및 도 7은 본 발명에서 각기 다른 트레이연결편(20: 20-1, 20-2)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와 정면도및 측단면도이며,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에서 체결핀(40:40-1, 40-2)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서 트레이연결편(20:20-3)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1)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1)는 도 1과 도 2 및 도 3과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이 설치되는 케이블트레이(10)와, 상기 케이블트레이(10)를 연속적으로 설치할 때에 장착되는 트레이연결편(20) 및 체결핀(40)으로 크게 분할하여 형성하였다.
케이블에 설치되는 케이블트레이(10)는, 길이가 긴 측면판(12)의 상단과 하단을 내측으로 나란하게 절곡 하여 내향절곡판(13)을 형성하였고, 한 쌍의 측면판(12)을 나란하게 대향시키되 내향절곡판(13)이 마주보게 하였으며, 마주보는 하측의 내향절곡판(13)의 위에 횡지지대(11)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시켜 한 쌍의 측면판(12)을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각 측면판(12)의 양측 단부에는 체결장공(15)으로서 분할형 체결장공(15-1) 또는 일괄형 체결장공(15-1)을 형성하였다.
상기 트레이연결편(20)은 협소형 트레이연결편(20-1)과 확개형 트레이연결편(20-2)으로 형성하였다.
협소형 트레이연결편(20-1)은 도 1과 도 2 및 도 5a와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측면판(12)의 내부에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트레이접속판(21)을 장방형으로 형성하였고, 트레이접속판(21)의 상단과 하단에는 지지평판(22)을 나란하게 형성하였으며, 트레이접속판(21)의 양측에 2쌍씩의 체결돌부(23)를 각각 형성하되 폭이 좁은 2개씩의 협소형 체결돌부(23-1)를 각각 형성하였다.
확개형 트레이연결편(20-2)은 도 3과 도 4 및 도 6a와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측면판(12)의 내부에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트레이접속판(21)을 장방형으로 형성하였고, 트레이접속판(21)의 상단과 하단에는 지지평판(22)을 나란하게 형성하였으며, 트레이접속판(21)의 양측에 1개씩의 체결돌부(23)를 각각 형성하되 폭이 넓은 1개씩의 확개형 체결돌부(23-2)를 각각 형성하였다.
상기 협소형 트레이연결편(20-1)와 확개형 트레이연결편(20-2)은, 트레이접속판(21)에 복수(4개 또는 2개)의 협소형 체결돌부(23-1) 또는 확개형 체결돌부(23-2)를 형성하되, 협소형 체결돌부(23-1) 또는 확개형 체결돌부(23-2)를 형성할 때에 형성되는 공간부(26)의 상단과 하단에 체결유도공간(25)을 각각 형성하되, 체결유도공간(25)의 폭을 협소형 체결돌부(23-1) 또는 확개형 체결돌부(23-2)의 폭보다 양측으로 간격(d1)만큼씩 넓게 유지시켰으며, 협소형 체결돌부(23-1) 또는 확개형 체결돌부(23-2)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경사면(24)으로 각각 형성하되 경사면의 각도를 3 ~ 15도의 각도로 유지시켜 체결유도공간(25)과 체결돌부(23) 즉, 협소형 체결돌부(23-1) 또는 확개형 체결돌부(23-2)의 경사면(24)과의 사이에 간격(d2)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이와 같이 형성하여 줌으로써 차후에 설명되는 체결핀(40)의 체결편(42)을 체결유도공간(25)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결착핀(40)은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양측 케이블트레이(10)를 동시에(일괄) 체결할 수 있는 일괄체결핀(40-1)과 인접하는 양측 케이블트레이(10)를 각각 체결할 수 있는 분할체결핀(40-2)으로 형성하였다.
도 8a와 도 8b는 일괄체결핀(40-2)의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8a에 예시된 일괄체결핀(40-1)은, 폭이 좁은 4개의 결착편(42)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켜 형성하되 결착편(42)의 상단에는 안착편(41)을 직각으로 형성하였고, 각 결착편(42)의 하단은 첨예경사부(44)로 형성하였으며, 첨예경사부(44)의 상측에서 결착편(42)에는 결착돌편(43)을 안착편(41)의 반대방향으로 형성하였다.
도 8b에 예시된 일괄체결핀(40-2)은, 폭이 넓은 결착편(42)을 이격시켜 2개 형성하되, 결착편(42)의 상단에는 안착편(41)을 직각으로 형성하였고, 각 결착편(42)의 하단은 첨예경사부(44)로 형성하였으며, 첨예경사부(44)의 상측에서 결착편(42)에는 하나 이상의 결착돌편(43)을 안착편(41)의 반대방향으로 형성하였다.
도 8c 및 도 8d는 분할체결핀(40-2)의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8c에 예시된 분할체결핀(40-2)은, 폭이 좁은 결착편(42)을 2개 형성하되 결착편(42)의 상단에는 안착편(41)을 직각으로 형성하였고, 각 결착편(42)의 하단은 첨예경사부(44)로 형성하였으며, 첨예경사부(44)의 상측에서 결착편(42)에는 결착돌편(43)을 안착편(41)의 반대방향으로 형성하였다.
도 8d에 예시된 분할체결핀(40-2)은, 폭이 넓은 결착편(42)을 1개만 형성하되, 결착편(42)의 상단에 안착편(41)을 직각으로 형성하였고, 각 결착편(42)의 하단은 첨예경사부(44)로 형성하였으며, 첨예경사부(44)의 상측에서 결착편(42)에는 하나 이상의 결착돌편(43)을 안착편(41)의 반대방향으로 형성하되, 도 8d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결착돌편(43)을 좌우로 이격시켜 형성하거나 또는 구체적으러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하나의 결착돌편(43)을 중앙에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준다.
상기, 도 8a 내지 도 8d에 예시된 일괄체결핀(40-1)과 분할체결핀(40-2)은 도 8e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결착편(42)의 하단에 형성된 첨예경사부(44)는 전면과 배면을 중앙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중앙 하단이 첨예부가 되도록 하였으며, 첨예경사부(44)를 상기와 같이 형성하여 줌으로써 첨예경사부(44)를 협소형 트레이연결편(20-1)과 확개형 트레이연결편(20-2)의 체결유도공간(25)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1)에서 사용되는 트레이연결편(2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혼성형 트레이연결편(20-3)을 보인 것으로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트레이(10)에 사다리 등을 걸어 설치하고자할 때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혼성형 트레이연결편(20-3)은, 케이블트레이(10)를 형성하는 측면판(12)2)의 내부에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트레이접속판(21)을 장방형으로 형성하였고, 트레이접속판(21)의 상단과 하단에는 지지평판(22)을 나란하게 형성하였으며, 트레이접속판(21)의 일 측에는 폭이 좁은 2개씩의 협소형 체결돌부(23-1)를 나란하게 형성하였으며, 트레이접속판(21)의 타 측에서 트레이접속판(21)의 상단과 하단에서 덕트접속단판(21-1)(21-2)과 지지평판(22)을 분할절개선(27)에 의해 분할제거편(28)을 각각 형성되 각 분할절개선(27)의 수평선상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편(23)을 구비하여 분할제거편(28)이 스스로 탈락(절개) 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상기 덕트접속단판(21-1)(21-2)의 사이에서 트레이접속판(21)에는 볼트/너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체결할 수 있도록 복수의 체결장공(29)을 뚫어 형성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1)의 설치 상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1)는 협소형 트레이연결편(20-1)과 일괄체결핀(40-1)을 이용하여 케이블트레이(10)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인접하는 케이블트레이(10)에서 측면판(12)과 측면판(12)과의 사이 내측에서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은 협소형 트레이연결편(20-1)을 결합시키되, 협소형 트레이연결편(20-1)의 각 분할형 체결돌부(23-1)를 측면판(12)의 분할형 체결장공(15-1)에 결합시켜(끼워주어서) 주며, 각 분할형 체결돌부(23-1)를 측면판(12)의 분할형 체결장공(15-1)에 결합시켜주면 각 분할형 체결돌부(23-1)가 분할형 체결장공(15-1)을 통하여 측면판(12)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분할형 체결장공(15-1)의 상단과 하단을 통해 분할형 체결돌부(23-1)의 체결유도공간(25)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할형 체결돌부(23-1)가 분할형 체결장공(15-1)을 통하여 측면판(1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각 분할형 체결돌부(23-1)의 체결유도공간(25)에는 도 8a에 예시된 바와 같은 일괄체결핀(40-1)의 첨예경사부(44)를 삽입시키고, 첨예경사부(44)가 체결유도공간(25)에 삽입된 체결편(42)을 측면판(12)2)에 연접 또는 근접시킨 상태에서 일괄체결핀(40-1)을 아래쪽으로 밀어주게 되면 체결편(42)들이 분할형 체결장공(15-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분할형 체결돌부(23-1)에 삽입되며, 체결편(42)의 결착돌편(43)이 분할형 체결돌부(23-1)의 하측으로 돌출(노출)될 때까지 삽입시켜 주며, 체결편(42)의 결착돌편(43)이 분할형 체결돌부(23-1)의 하측에 걸려 일괄체결핀(40-1)은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1)에서 케이블트레이(10)는 협소형 트레이연결편(20-1)과 도 8c에 예시된 바와 같은 분할체결핀(40-3)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즉, 인접하는 케이블트레이(10)에서 측면판(12)과 측면판(12)과의 사이 내측에서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은 협소형 트레이연결편(20-1)을 결합시키되, 협소형 트레이연결편(20-1)의 각 분할형 체결돌부(23-1)를 측면판(12)의 분할형 체결장공(15-1)에 결합시켜(끼워주어서) 주며, 각 분할형 체결돌부(23-1)를 측면판(12)의 분할형 체결장공(15-1)에 결합시켜주면 각 분할형 체결돌부(23-1)가 분할형 체결장공(15-1)을 통하여 측면판(12)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분할형 체결장공(15-1)의 상단과 하단을 통해 분할형 체결돌부(23-1)의 체결유도공간(25)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할형 체결돌부(23-1)가 분할형 체결장공(15-1)을 통하여 측면판(1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측면판(12)의 분할형 체결장공(15-1)을 통해 노출되는 각 분할형 체결돌부(23-1)에는 도 8c에 예시된 바와 같은 분할체결핀(40-3)의 첨예경사부(44)를 삽입하여 결합시켜 준다.
특히, 체결유도공간(25)의 폭을 분할형 체결돌부(23-1)의 폭보다 양측으로 간격 d1 만큼씩 넓게 형성하였으므로 분할형 체결돌부(23-1)에는 분할체결핀(40-3)의 첨예경사부(44)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1-1)는 확개형 트레이연결편(20-2)과 일괄체결핀(40-2)을 이용하여 케이블트레이(10)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인접하는 케이블트레이(10)에서 측면판(12)과 측면판(12)의 사이 내측에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은 확개형 트레이연결편(20-2)을 결합시키되, 확개형 트레이연결편(20-2)의 각 확개형 체결돌부(23-2)를 측면판(12)2)의 확개형 체결장공(15-2)에 결합시켜(끼워주어서) 준다.
각 확개형 체결돌부(23-2)를 측면판(12)의 확개형 체결장공(15-2)에 결합시켜주면 각 확개형 체결돌부(23-2)가 확개형 체결장공(15-2)을 통하여 측면판(12)2)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확개형 체결장공(15-2)의 상단과 하단을 통해 확개형 체결돌부(23-2)의 체결유도공간(25)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간격(d2) 만큼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확개형 체결돌부(23-2)가 확개형 체결장공(15-2)을 통하여 측면판(12)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각 확개형 체결돌부(23-2)의 체결유도공간(25)에는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일괄체결핀(40-2)의 첨예경사부(44)를 삽입시킨다.
특히, 체결유도공간(25)의 폭을 확개형 체결돌부(23-2)의 폭보다 양측으로 간격 d1 만큼씩 넓게 형성하고, 확개형 체결돌부(23-2)의 체결유도공간(25)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간격(d2) 만큼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확개형 체결돌부(23-2)에는 일괄체결핀(40-2)의 첨예경사부(44)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후, 첨예경사부(44)가 체결유도공간(25)에 삽입된 체결편(42)을 측면판(12)에 연접 또는 근접시킨 상태에서 일괄체결핀(40-2)을 아래쪽으로 밀어주게 되면 체결편(42)이 확개형 체결장공(15-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확개형 체결돌부(23-2)에 삽입되며, 체결편(42)의 결착돌편(43)이 확개형 체결돌부(23-2)의 하측으로 돌출(노출)될 때까지 삽입시켜 주며, 체결편(42)의 결착돌편(43)이 확개형 체결돌부(23-2)의 하측에 걸려 일괄체결핀(40-2)은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1-2)에서 케이블트레이(10)는 확개형 트레이연결편(20-2)과 도 8d에 예시된 바와 같은 분할체결핀(40-4)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즉, 인접하는 케이블트레이(10)에서 측면판(12)과 측면판(12)과의 사이 내측에서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은 확개형 트레이연결편(20-2)을 결합시키되, 확개형 트레이연결편(20-2)의 각 확개형 체결돌부(23-2)를 측면판(12)의 확개형 체결장공(15-2)에 결합시켜(끼워주어서) 준다.
각 확개형 체결돌부(23-2)를 측면판(12)의 확개형 체결장공(15-2)에 결합시켜주면 각 확개형 체결돌부(23-2)가 확개형 체결장공(15-2)을 통하여 측면판(12)2)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확개형 체결장공(15-2)의 상단과 하단을 통해 확개형 체결돌부(23-2)의 체결유도공간(25)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간격(d2) 만큼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확개형 체결돌부(23-2)가 확개형 체결장공(15-2)을 통하여 측면판(1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도 8d에 예시된 바와 같은 분할체결핀(40-4)의 첨예경사부(44)를 간격(d2) 만큼이 노출되어 있는 각 확개형 체결돌부(23-2)의 체결유도공간(25)에 삽입하여 결합시켜 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1)에서 케이블트레이(10)는 확개형 트레이연결편(20-2)과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은 혼성형 트레이연결편(20-3)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혼성형 트레이연결편(20-3)에서 분할제거편(28)은 펜치와 같은 장비로 파지하고 상하로 흔들어 주게 되면 연결편(21-3)이 떨어지게 되며, 따라서 양측의 분할제거편(28)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분할제거편(28)이 제거된 혼성형 트레이연결편(20-3)을 이용하여 케이블트레이(1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인접하는 각 케이블트레이(10)의 내측에서 측면판(12)2)의 단부에 형성된 분할형 체결장공(15-1)에는 혼성형 트레이연결편(20-3)의 협소형체결돌부(23-1)를 삽입하여 측면판(12)의 외측에서 도 8c에 예시된 바와 같은 분할체결핀(40-3)의 체결편(42)을 삽입하여 체결시켜준다.
상기와 같이 분할제거편(28)이 제거되어 각 케이블트레이(10)에 설치된 혼성형 트레이연결편(20-3)는, 분할제거편(28)이 제거되어 트레이접속판(21)을 체결공(29)이 일치하도록 연접시키고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연결시키거나, 또는 분할제거편(28)이 제거되어 트레이접속판(21)과 트레이접속판(21)과의 사이에는 양단에 체결장공이 뚫어진 다른 연결판(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구비하여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연결된 분할제거편(28)이 제거되어 트레이접속판(21) 또는 연결판(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사다리와 같은 기구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1-1. 1-2: 케이블트레이어셈블리 10: 케이블트레이
11: 횡지지대 12: 측면판
15: 체결장공 15-1: 분할형 체결장공
15-2: 확개형 체결장공 20: 트레이연결편
20-1: 협소형 트레이연결편 20-2: 확개형 트레이연결편
20-3: 혼성형 트레이연결편 21: 트레이접속판
21-1. 21-2: 덕트접속단판 21-3: 연결편
22: 지지평판 23: 체결돌부
23-1: 분할형 체결돌부 23-2: 확개형 체결돌부
24: 경사면 25: 체결유도공간
27: 분할절개선 28: 분할제거편
40: 체결핀 40-1: 일괄체결핀
40-2: 분할체결핀 42: 체결편
43: 결착돌편 44: 첨예경사부

Claims (7)

  1. 길이가 긴 측면판의 상단과 하단을 내측으로 나란하게 절곡 하여 내향절곡판을 형성하고 한 쌍의 측면판을 나란하게 대향시키되 내향절곡판이 마주보게 하며 나란한 측면판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내향절곡판의 상측에 횡지지대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시켜 한 쌍의 측면판을 일체로 형성하며 각 측면판의 단부에 하나 이상의 세로형 체결공이 뚫어진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때에 인접하는 각 케이블 트레이의 각 세로형 체결공에 체결돌부가 각각 결합되는 트레이연결편과, 케이블 트레이의 체결장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트레이연결편의 체결돌부에 체결핀의 체결편을 삽입하여 접속한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트레이의 측판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장공은 둘 이상이 뚫어지는 분할형 체결장공 또는 하나가 뚫어지는 일괄형 체결장공인 것과;
    상기 트레이연결편은, 트레이접속판에 폭이 좁은 4개의 체결돌부를 형성한 협소형 트레이연결편 또는 폭이 넓은 2개의 체결돌부를 형성한 확개형 트레이연결편인 것과;
    상기 체결편은, 각 체결편의 하단을 첨예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첨예경사면의 상측에 결착돌편을 하나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트레이연결편은;
    체결돌부의 상측과 하측에는 체결유도공간을 체결공간부와 연통되게 형성하고, 체결돌부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체결유도공간과 체결돌부의 경사면과의 사이에 간격(d2)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트레이연결편은;
    체결유도공간의 폭을 체결돌부의 폭보다 양측으로 간격 d1 만큼씩 넓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체결편을 형성하는 체결편의 첨예경사면은;
    결착편의 전면과 배면을 중앙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중앙 하단이 첨예부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블 트레이와 케이블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연결시키는 트레이연결편은 혼성형 트레이연결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체결돌부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형성하는 경사면은;
    상기 경사면의 각도는 수평선상에서 3 ~ 1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케이블 트레이와 케이블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연결시키는 혼성형 트레이연결편은;
    케이블트레이를 형성하는 측면판의 내부에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트레이접속판을 장방형으로 형성하고, 트레이접속판의 상단과 하단에는 지지평판을 나란하게 형성한 것과;
    상기 트레이접속판의 일 측에는 폭이 좁은 2개씩의 협소형 체결돌부를 나란하게 형성한 것과;
    상기 트레이접속판의 타 측에서 트레이접속판의 상단과 하단에는 덕트접속단판과 지지평판을 분할절개선에 의해 분할제거편을 각각 형성하되 각 분할절개선의 수평선상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편을 구비하여 분할제거편이 스스로 탈락 되지 않도록 한 것과;
    상기 덕트접속단판의 사이에서 트레이접속판에는 볼트/너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복수의 체결장공을 뚫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KR1020130019069A 2013-02-22 2013-02-22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KR101443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069A KR101443899B1 (ko) 2013-02-22 2013-02-22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069A KR101443899B1 (ko) 2013-02-22 2013-02-22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641A KR20140105641A (ko) 2014-09-02
KR101443899B1 true KR101443899B1 (ko) 2014-11-04

Family

ID=5175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069A KR101443899B1 (ko) 2013-02-22 2013-02-22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8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96B1 (ko) 2008-01-02 2008-03-24 (주)광명이엔지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KR100993138B1 (ko) 2010-05-26 2010-11-09 육홍수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KR101140026B1 (ko) 2012-01-26 2012-05-02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체
KR101196477B1 (ko) 2011-12-22 2012-11-01 (주)석영엔터프라이즈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96B1 (ko) 2008-01-02 2008-03-24 (주)광명이엔지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KR100993138B1 (ko) 2010-05-26 2010-11-09 육홍수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KR101196477B1 (ko) 2011-12-22 2012-11-01 (주)석영엔터프라이즈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및 장치
KR101140026B1 (ko) 2012-01-26 2012-05-02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641A (ko) 2014-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35801A1 (en) Cable mount
US8297579B1 (en) Electrical box hanger assembly for a suspended ceiling
US9583926B2 (en) Hanger bar
US9670674B2 (en) Clip assembly for a suspended ceiling
US10082279B2 (en) Lighting system for suspended ceiling
US20130153256A1 (en) Electrical box wtih fitting flanges, and method of use
US8320115B2 (en) Mounting apparatus for disk drive
KR102065022B1 (ko) 건축용 천정 구조물 프레임 어셈블리
KR101514350B1 (ko) 결합구조를 가지는 앵글선반
US201501753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Elevator Cab
US20240055843A1 (en) Cable Tray Assembly
US7965501B2 (en) Modular fixture for a data storage unit inside a computer
US9033746B1 (en) Rail-based fastening structure for terminal block
US10801202B2 (en) Connection clip for securing a panel to a support grid
KR101443899B1 (ko)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TWI736939B (zh) 機殼元件與電器設備
US7576284B2 (en) Gangable electrical bracket
KR101554674B1 (ko) 천장프레임 시스템
US8714506B2 (en) Mounting assembly for electrical fixture
KR20130131153A (ko) 천정재 고정 시스템
JP7317682B2 (ja) パネル交換方法
KR20180003955A (ko) 케이블 덕트겸용 조인트 컨넥터
JP6940440B2 (ja) 管状体固定具及びその構造
CN105782114A (zh) 吊扇风叶结构及吊扇
KR20090003945U (ko) 케이블 트레이 가로대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