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173U - 경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경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173U
KR20160003173U KR2020150001585U KR20150001585U KR20160003173U KR 20160003173 U KR20160003173 U KR 20160003173U KR 2020150001585 U KR2020150001585 U KR 2020150001585U KR 20150001585 U KR20150001585 U KR 20150001585U KR 20160003173 U KR20160003173 U KR 201600031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situation
alarm
unit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1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173U/ko
Publication of KR201600031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17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경보 제공 장치는 선박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가 참조되어 판단된 위험 상황 및 위험 수준에 따른 경보 조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larm}
본 고안은 경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다를 항해 중인 선박은 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선박 내의 위험 요인으로는 화재, 폭발, 테러 등이 포함되고, 선박 외의 위험 요인으로는 폭풍, 낙뢰, 해일, 해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위험 요인으로 인하여 선박이 좌초되거나, 승무원 및 승객의 안전이 위험 받을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4475호 (2013.09.25)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선박 내에 발생한 위험 상황을 승객 및 승무원에게 신속하게 통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경보 제공 장치의 일 면(aspect)은 선박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가 참조되어 판단된 위험 상황 및 위험 수준에 따른 경보 조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험 상황은 상기 선박의 내부에서 발생된 상황 및 상기 선박의 외부에서 발생된 상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험 수준은 상기 위험 상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보 조치는 상기 선박의 내부로 전달되는 정보 및 상기 선박의 외부로 전달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보 제공 장치는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상황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위험 상황과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위험 수준을 판단하는 수준 판단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경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선박 내에 발생한 위험 상황을 신속하게 통지함으로써 승객 및 승무원의 안전을 보장하고, 선박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제공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조치가 전달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경보 제공 시스템(10)은 센서(11), 경보 제공 장치(100), 경보 출력 장치(12) 및 구명 장치(13)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제공 시스템(10)은 선박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차량 또는 항공기에 경보 제공 시스템(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빌딩과 같은 건물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선박에 경보 제공 시스템(10)이 구비된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11)는 선박의 상황을 감지하여 통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센서(11)는 선박 내외부의 기온, 선박에 발생된 진동의 크기, 선박의 기울기, 선박의 이동 방향, 선박 내외부의 장면, 및 선박 내에 발생된 음성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센서(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동일한 종류의 센서(11)가 선박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 진동 감지 센서, 중력 센서, 지자기 센서, 영상 센서, 음성 센서 등이 선박에 구비될 수 있으나, 센서(11)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경보 제공 장치(100)는 센서(11)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경보 조치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경보 조치는 승객 또는 승무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영상 또는 음성을 포함하고, 선박에 구비된 장치 또는 시설물의 동작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경보 조치는 선박 내의 상황을 설명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영상 또는 음성은 경보 출력 장치(12)를 통하여 승객 또는 승무원에게 전달되고, 동작 신호를 수신한 구명 장치(13)는 구명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경보 출력 장치(12)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 영상 출력 장치일 수 있고, 스피커를 구비한 음성 출력 장치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보 출력 장치(12)가 선박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동일한 경보 조치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정보가 각 경보 출력 장치(12)를 통하여 출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한 경우 승객이 위치해 있는 장소의 경보 출력 장치(12)는 대피 명령을 전파하고, 승무원이 위치해 있는 장소의 경보 출력 장치(12)는 화재가 발생된 장소의 위치 및 행동 요령 등을 전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보 제공 장치(100)는 선박에서 발생된 위험 상황의 종류 및 위험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경보 조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의 기울기가 정상 기울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 경보 제공 장치(100)는 그 벗어난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경보 조치를 출력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제공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경보 조치의 출력 과정은 모니터링(210), 위험 상황 판단(220), 위험 수준 판단(230) 및 경보 조치(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니터링(210)은 센서(11)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를 수집하여 선박의 내부 및 외부에서 발생된 상황들을 감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모니터링(210)은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일부 감지 정보를 참조한 모니터링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또 다른 일부 감지 정보를 참조한 모니터링은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수행될 수도 있다.
위험 상황 판단(220)은 위험 상황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박에서는 다양한 위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위험 상황 판단 과정을 통하여 위험 상황의 종류가 판단된다. 예를 들어, 신원 미확인 인물의 발견 또는 화재 등의 위험 상황이 판단될 수 있다.
위험 수준 판단(230)은 발생된 위험 상황의 수준을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발생된 위험 상황이 화재인 경우 위험 수준 판단 과정을 통하여 소규모 화재인지 대규모 화재인지가 판단되는 것이다.
경보 조치(240)는 위험 상황의 종류 및 그 수준에 따른 경보 조치가 출력되는 것을 의미한다. 경보 조치가 출력됨에 따라 안내 방송이 전파되거나 구명 장치(13)가 동작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경보 제공 장치(100)는 수신부(310), 입력부(320), 저장부(330), 제어부(340), 통신부(350), 상황 판단부(360), 수준 판단부(370) 및 출력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부(310)는 선박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1)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신부(310)는 선박에 구비된 모든 센서(11)로부터 동시에 감지 정보를 수신하거나 순차적으로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310)는 제 1, 2, 3 센서(미도시) 모두로부터 동시에 감지 정보를 수신하거나, 제 1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제 2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그 이후에 제 3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입력부(320)는 관리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특정 위험 상황의 특정 위험 수준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입력부(320)는 버튼, 휠, 조그 셔틀 등을 구비하여 관리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저장부(330)는 센서(11)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저장부(330)는 후술하는 경보 테이블(400)을 저장할 수 있다.
상황 판단부(360)는 수신부(310)에 의하여 수신된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신부(310)에 의하여 수신된 감지 정보는 지속적으로 상황 판단부(360)로 전달되는데, 우선 상황 판단부(360)는 수신된 감지 정보 중 위험 상황에 대응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하여, 수신된 감지 정보가 위험 상황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황 판단부(360)는 위험 상황의 종류를 판단하고, 수신된 감지 정보가 위험 상황에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황 판단부(360)는 지속적으로 수신된 감지 정보 중 위험 상황에 대응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준 판단부(370)는 상황 판단부(360)에 의하여 판단된 위험 상황 및 수신부(310)에 의하여 수신된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 수준을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험 수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고, 그 단계의 수는 위험 상황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에 구비된 센서(11) 중 연기 감지 센서(미도시)가 연기를 감지한 경우 이에 대한 감지 정보가 수신부(310)를 통하여 수신된다. 그리고, 감지 정보는 상황 판단부(360)로 전달되고, 상황 판단부(360)는 수신된 감지 정보 중 위험 상황에 대응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황 판단부(360)는 위험 상황의 종류를 판단하게 되는데, 감지 정보에 "연기"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위험 상황의 종류를 "화재"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험 상황의 종류는 수준 판단부(370)로 전달되고, 수준 판단부(370)는 전달된 위험 상황의 종류가 "화재"이기 때문에 선박에 구비된 열 감지 센서(미도시)의 감지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하여, 열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가 정상 상태의 범위인 경우 수준 판단부(370)는 위험 수준을 낮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열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가 정상 상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수준 판단부(370)는 그 벗어난 정도에 따라 위험 수준을 높게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수준 판단부(370)는 연기 감지 센서의 감지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가 정상 상태의 범위인 경우 수준 판단부(370)는 위험 수준을 낮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가 정상 상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수준 판단부(370)는 그 벗어난 정도에 따라 위험 수준을 높게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황 판단부(360) 및 수준 판단부(370)는 선박에 구비된 센서(11)로부터 수집된 감지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위험 상황 및 위험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특히, 특정 위험 상황이 예측된 경우 상황 판단부(360)는 예측된 상황에 대응하는 센서(11)의 감지 정보만을 고려할 수 있고, 특정 위험 상황이 판단된 경우 수준 판단부(370)는 해당 위험 상황에 대응하는 센서(11)의 감지 정보만을 고려할 수 있다.
출력부(380)는 수신부(310)에 의하여 수신된 감지 정보가 참조되어 판단된 위험 상황 및 위험 수준에 따른 경보 조치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출력부(380)는 선박에 구비된 경보 출력 장치(12) 및 구명 장치(13) 중 적어도 하나로 경보 조치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경보 조치를 전달받음에 따라 경보 출력 장치(12)는 경보 조치에 대응하는 안내 방송을 제공할 수 있고, 구명 장치(13)는 경보 조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경보 조치에 따라 경보 출력 장치(12)는 선박에 구비된 특정 객실에 위치하고 있는 승객들에게 갑판으로 이동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또는, 수신된 경보 조치에 따라 구명 보트를 고정시키고 있는 고정 수단이 해제됨에 따라 구명 보트가 해수면으로 투하될 수 있다.
또는, 출력부(380)는 영상 출력부(미도시) 및 음성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수신된 경보 조치를 직접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통신부(350)는 선박 외부의 다른 객체와 통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350)는 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관제소와 통신하거나 인접한 선박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경보 조치에 따라 출력부(380)는 선박 상황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350)로 전달할 수 있는데, 통신부(350)는 출력부(380)로부터 전달받은 선박 상황에 대한 정보를 해안 관제소 또는 인접 선박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50)는 해안 관제소 또는 인접 선박으로부터 수신된 안내 방송을 경보 출력 장치(12)로 전달하여, 안내 방송이 선내의 승객 및 승무원에게 통지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350)는 경보 제공 장치(100)에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경보 제공 장치(100)와는 별도로 선박에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제어부(340)는 수신부(310), 입력부(320), 저장부(330), 통신부(350), 상황 판단부(360), 수준 판단부(370) 및 출력부(38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위험 상황, 위험 수준 및 경보 조치는 테이블(400)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테이블(4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경보 테이블(400)은 위험 상황 필드(410), 위험 수준 필드(420) 및 경보 조치 필드(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험 상황 필드(410)에는 종류별 위험 상황이 포함되고, 위험 수준 필드(420)에는 위험 상황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험 수준이 포함된다. 그리고, 경보 조치 필드(430)에는 위험 상황 및 위험 수준별 경보 조치가 포함된다.
본 고안의 경보 조치는 승객 또는 승무원에게 전달하기 위한 안내 방송, 선박에 구비된 장치 또는 시설물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신호, 선박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외 승객의 안전과 선박의 보호를 위하여 취해져야 하는 다양한 동작 또는 정보가 경보 조치에 포함될 수 있다.
출력부(380)는 저장부(330)에 저장된 경보 테이블(400)을 참조하여 위험 상황 및 위험 수준에 대응하는 경보 조치를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위험 상황의 종류 및 위험 수준에 따라 경보 조치의 수신 대상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수신 대상은 경보 조치 필드(43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수준이 낮은 경우 경보 출력 장치(12)로만 경보 조치가 전달되고, 위험 수준이 높은 경우 경보 출력 장치(12) 및 통신부(350)로 경보 조치가 전달될 수 있다.
또는, 위험 수준과는 무관하게 특정 위험 상황의 경우 경보 출력 장치(12)로는 경보 조치가 전달되지 않고 통신부(350)로만 경보 조치가 전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테러 위협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선박에 구비된 경보 출력 장치(12)로는 경보 조치가 전달되지 않고, 통신부(350)로만 경보 조치가 전달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위험 상황은 선박(20)의 내부에서 발생된 상황(510) 및 선박(20)의 외부에서 발생된 상황(52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선박(20)의 내부에서 발생된 상황(510)에는 화재, 폭발, 테러가 포함될 수 있고, 선박(20)의 외부에서 발생된 상황(520)에는 폭풍, 낙뢰, 해일 및 해적이 포함될 수 있다.
상황 판단부(360)는 선박(20)에 구비된 센서(11)로부터 수집된 다수의 감지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 및 위험 상황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조치가 전달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선박(20)의 내부 및 외부에 구비된 경보 출력 장치(611, 612, 621, 622)는 출력부(380)로부터 전달된 경보 조치에 따른 안내 방송 또는 경고 방송을 선박 내부 및 선박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영상 경보 출력 장치(612, 622) 및 음성 경보 출력 장치(611, 621)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방식의 경보 출력 장치가 선박(20)에 구비될 수 있다.
통신부(350)는 전달된 경보 조치에 따른 선박 상황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50)는 외부로부터 전달된 안내 방송이 경보 출력 장치(611, 612, 621, 622)를 통하여 승객 및 승무원에게 전달되도록 하거나, 선박 외부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선박(20)에 구비된 센서(11)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한다(S710). 수신부(3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센서(11)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황 판단부(360)는 수신부(310)에 의하여 수신된 감지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위험 상황의 발생 유무를 확인한다(S720). 예를 들어, 특정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황 판단부(360)는 해당 감지 정보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위험 상황의 발생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황 판단부(360)는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황 판단부(360)는 위험 상황의 종류를 판단한다(S730). 예를 들어, 수신된 감지 정보에 "연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황 판단부(360)는 위험 상황의 종류가 "화재"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수신된 감지 정보에 "미확인 인물 발견"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황 판단부(360)는 위험 상황의 종류가 "테러"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험 상황의 종류가 판단되면, 수준 판단부(370)는 해당 위험 상황의 위험 수준을 판단한다(S740). 수준 판단부(370)는 위험 상황의 종류와 관련된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위험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위험 상황의 종류 및 위험 수준의 판단이 완료되면, 출력부(380)는 판단된 위험 상황의 종류 및 위험 수준에 대응하는 경보 조치를 추출한다(S750). 이 때, 출력부(380)는 저장부(330)에 저장된 경보 테이블(400)을 참조하여 경보 조치를 추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출력부(380)는 추출된 경보 조치를 출력한다(S760). 즉, 출력부(380)는 추출된 경보 조치를 경보 출력 장치(12), 구명 장치(13) 및 통신부(35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것이다.
경보 조치를 수신함에 따라 경보 출력 장치(12)는 경고 안내 방송을 전파하고, 구명 장치(13)는 구명을 위한 동작을 개시하며, 통신부(350)는 선박(20)의 상황을 관제소 또는 인접 선박으로 송신하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310: 수신부 320: 입력부
330: 저장부 340: 제어부
350: 통신부 360: 상황 판단부
370: 수준 판단부 380: 출력부

Claims (5)

  1. 선박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가 참조되어 판단된 위험 상황 및 위험 수준에 따른 경보 조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경보 제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은 상기 선박의 내부에서 발생된 상황 및 상기 선박의 외부에서 발생된 상황을 포함하는 경보 제공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수준은 상기 위험 상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로 구성되는 경보 제공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조치는 상기 선박의 내부로 전달되는 정보 및 상기 선박의 외부로 전달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 제공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상황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위험 상황과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위험 수준을 판단하는 수준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경보 제공 장치.
KR2020150001585U 2015-03-13 2015-03-13 경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600031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585U KR20160003173U (ko) 2015-03-13 2015-03-13 경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585U KR20160003173U (ko) 2015-03-13 2015-03-13 경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173U true KR20160003173U (ko) 2016-09-21

Family

ID=5704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585U KR20160003173U (ko) 2015-03-13 2015-03-13 경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317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255A (ko) * 2019-06-10 2020-12-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화재 감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475A (ko) 2012-03-14 2013-09-25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선박내의 위험감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475A (ko) 2012-03-14 2013-09-25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선박내의 위험감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255A (ko) * 2019-06-10 2020-12-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화재 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733B1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EP3198294B1 (en) Directional ultrasonic gas leak detector
WO2017137393A1 (en)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 drone
TWI674559B (zh) 水上船隻、安全監控單元、離岸安全監控系統和安全監控方法
KR101772806B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04913A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KR20180013425A (ko) 드론을 이용한 재난구조시스템 및 재난구조방법
CN105698797A (zh) 一种安全应急导航装置
KR102152123B1 (ko) 상가 화재를 감지 제어하는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지능형 휴대 단말의 영상처리시스템
KR20150136229A (ko) 선박의 조난신호 및 블랙박스의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0794730B1 (ko) 산불 자동음성문자 무인 감지장치 및 그 무인 감지 시스템
JP2017037516A (ja) トンネル内の避難誘導システムおよびトンネル内の非常用設備
WO2017033479A1 (ja) 爆発物警戒システム,爆発物警戒装置,爆発物検知センサ,不審物の収容容器
KR20160003173U (ko) 경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5678945A (zh) 一种监控装置
KR20160054350A (ko) 조난신호 발생장치
KR20140115684A (ko) 선박용 융합형 선박위치 자동 발신시스템
KR101882417B1 (ko) 선박의 음성 경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2235200A (ja) 作業装置の緊急停止システム、緊急停止装置及び作業装置
KR101750747B1 (ko) 블루투스 아이비콘을 이용한 전자식 화재감지기 및 수신시스템
US20070182539A1 (en) Emergency area confinement and safety system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CN206649152U (zh) 消防搜救设备及消防搜救系统
KR101658833B1 (ko) 다중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재난 방송 시스템
TWI293744B (ko)
KR20200084963A (ko)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음성 인식 모듈 및 드론을 이용한 확장형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