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924A - 멀티-계층 비디오 코딩에서의 크로스 계층 픽처 타입 정렬의 표시 - Google Patents

멀티-계층 비디오 코딩에서의 크로스 계층 픽처 타입 정렬의 표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924A
KR20160002924A KR1020157032643A KR20157032643A KR20160002924A KR 20160002924 A KR20160002924 A KR 20160002924A KR 1020157032643 A KR1020157032643 A KR 1020157032643A KR 20157032643 A KR20157032643 A KR 20157032643A KR 20160002924 A KR20160002924 A KR 20160002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traction layer
network abstraction
unit type
layer unit
syntax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1569B1 (ko
Inventor
크리쉬나칸트 라파카
예-쿠이 왕
지안레 천
마르타 카르체비츠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02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calable video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video data packet, e.g. a network abstraction layer [NA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일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적어도 신택스 엘리먼트,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 및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코딩된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들은,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그 기술들은,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결정하는 것, 및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그 기술들은,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하면, 코딩된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다른 픽처들에 대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계층 비디오 코딩에서의 크로스 계층 픽처 타입 정렬의 표시{INDICATION OF CROSS-LAYER PICTURE TYPE ALIGNMENT IN MULTI-LAYER VIDEO CODING}
본 출원은 2013년 4월 1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813,120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개시는 비디오 코딩 및 압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비디오 능력들은 디지털 텔레비전들, 디지털 직접 브로드캐스트 시스템들, 무선 브로드캐스트 시스템들,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들 (PDA들), 랩탑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e-북 리더들, 디지털 카메라들, 디지털 레코딩 디바이스들,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들, 비디오 게이밍 디바이스들, 비디오 게임 콘솔들, 셀룰러 또는 위성 무선 전화기들, 소위 "스마트 폰들", 비디오 텔레컨퍼런싱 디바이스들, 비디오 스트리밍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디바이스들에 통합될 수 있다. 디지털 비디오 디바이스들은 MPEG-2, MPEG-4, ITU-T H.263, ITU-T H.264/MPEG-4, 파트 10, 어드밴스드 비디오 코딩 (AVC) 에 의해 정의된 표준들, 현재 개발 중인 고 효율 비디오 코딩 (HEVC) 표준, 및 그러한 표준들의 확장들에서 설명된 기술들과 같은 비디오 압축 기술들을 구현한다. 비디오 디바이스들은 그러한 비디오 압축 기술들을 구현함으로써 디지털 비디오 정보를 더 효율적으로 송신, 수신, 인코딩, 디코딩, 및/또는 저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압축 기술들은 비디오 시퀀스들에 고유한 리던던시를 감소 또는 제거하기 위해 공간 (인트라-픽처) 예측 및/또는 시간 (인터-픽처) 예측을 수행한다. 블록 기반 비디오 코딩에 대해, 비디오 슬라이스 (즉, 비디오 프레임 또는 비디오 프레임의 일부) 는 비디오 블록들로 파티셔닝될 수도 있으며, 이 비디오 블록들은 또한 트리블록들, 코딩 유닛들 (CU들) 및/또는 코딩 노드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픽처의 인트라-코딩된 (I) 슬라이스에서의 비디오 블록들은 동일 픽처의 이웃 블록들에서의 레퍼런스 샘플들에 대한 공간 예측을 이용하여 인코딩된다. 픽처의 인터-코딩된 (P 또는 B) 슬라이스에서의 비디오 블록들은 동일 픽처의 이웃 블록들에서의 레퍼런스 샘플들에 대한 공간 예측, 또는 다른 레퍼런스 픽처들에서의 레퍼런스 샘플들에 대한 시간 예측을 이용할 수도 있다. 픽처들은 프레임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으며, 레퍼런스 픽처들은 레퍼런스 프레임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공간 또는 시간 예측은 코딩될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발생시킨다. 잔차 데이터는 코딩될 오리지널 블록과 예측 블록 간의 픽셀 차이들을 나타낸다. 인터-코딩된 블록은 예측 블록을 형성하는 레퍼런스 샘플들의 블록을 포인팅하는 모션 벡터, 및 코딩된 블록과 예측 블록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잔차 데이터에 따라 인코딩된다. 인트라-코딩된 블록은 인트라-코딩 모드 및 잔차 데이터에 따라 인코딩된다. 추가적인 압축을 위해, 잔차 데이터는 픽셀 도메인으로부터 변환 도메인으로 변환되어, 잔차 변환 계수들을 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그 후, 이 잔차 변환 계수들은 양자화될 수도 있다. 2차원 어레이로 초기에 배열되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은 변환 계수들의 1차원 벡터를 생성하기 위해 스캐닝될 수도 있으며, 엔트로피 코딩이 훨씬 더 많은 압축을 달성하도록 적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는 픽처 타입들의 크로스 계층 정렬의 표시들을 위한 기술들을, 크로스 계층 픽처 타입들이 액세스 유닛 내에서 정렬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경우 그 표시가 미디어 송신 및 어플리케이션 시스템들에서의 상이한 엔터티들에 의해 용이하게 액세스가능한 방식으로 설명한다.
일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방법은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신택스 엘리먼트,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 및 코딩된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코딩된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신택스 엘리먼트는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는지 여부의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낸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코딩된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다른 픽처들에 대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은 액세스 유닛에 속하는 임의의 레퍼런스 계층 픽처들에 대해 직접 및/또는 간접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비디오 디코더를 포함하는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그 비디오 디코더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신택스 엘리먼트,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 및 코딩된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코딩된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고,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신택스 엘리먼트는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는지 여부의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고,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낸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결정하고,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코딩된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다른 픽처들에 대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은 액세스 유닛에 속하는 임의의 레퍼런스 계층 픽처들에 대해 직접 및/또는 간접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비디오를 코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장치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신택스 엘리먼트,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 및 코딩된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코딩된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수단,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신택스 엘리먼트는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는지 여부의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는 수단,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낸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결정하는 수단,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및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코딩된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다른 픽처들에 대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은 액세스 유닛에 속하는 임의의 레퍼런스 계층 픽처들에 대해 직접 및/또는 간접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며, 그 명령들은, 실행될 경우, 비디오 데이터를 코딩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게 하는 것으로서,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신택스 엘리먼트,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 및 코딩된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코딩된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게 하고,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게 하는 것으로서, 신택스 엘리먼트는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는지 여부의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게 하고,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낸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결정하게 하고,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코딩된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다른 픽처들에 대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하게 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방법은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는 단계로서,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는 단계, 액세스 유닛의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내기 위해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단계,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생성하는 단계, 및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코딩된 액세스 유닛, 신택스 엘리먼트, 및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비디오 인코더를 포함하는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그 비디오 인코더는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는 것으로서,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고, 액세스 유닛의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내기 위해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고,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생성하고, 그리고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코딩된 액세스 유닛, 신택스 엘리먼트, 및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비디오를 코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장치는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는 수단으로서,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는 수단, 액세스 유닛의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내기 위해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수단,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생성하는 수단, 및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코딩된 액세스 유닛, 신택스 엘리먼트, 및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며, 그 명령들은, 실행될 경우, 비디오 데이터를 코딩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게 하는 것으로서,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게 하고, 액세스 유닛의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내기 위해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게 하고,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생성하게 하고, 그리고 비트스트림을 출력하게 하며, 여기서,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코딩된 액세스 유닛, 신택스 엘리먼트, 및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예들의 상세들은 첨부 도면들 및 하기의 설명에 기재된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들, 목적들, 및 이점들은 그 설명 및 도면들로부터, 그리고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 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들을 활용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 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들을 구현할 수도 있는 비디오 인코더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 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들을 구현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비디오 디코더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 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이 구현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네트워크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 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기술들에 따른, 예시적인 디코딩 기술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 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기술들에 따른, 예시적인 인코딩 기술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개시는 멀티-계층 비디오 코딩을 위한 크로스 계층 픽처 타입들의 정렬을 나타내기 위한 방법들을 기술한다. 더 구체적으로, IRAP 픽처 타입들, 리딩 픽처 타입들, 트레일링 픽처 타입들, TSA 픽처 타입들, 및 STSA 픽처 타입들의 크로스 계층 정렬의 표시들을 위한 방법들이 개시된다. 그 방법들을 사용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또한 기술된다.
비디오 코딩 표준들은 ITU-T H.261, ISO/IEC MPEG-1 비주얼, ITU-T H.262 또는 ISO/IEC MPEG-2 비주얼, ITU-T H.263, ISO/IEC MPEG-4 비주얼, ITU-T H.264 (ISO/IEC MPEG-4 AVC 로서도 또한 공지됨) (그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SVC) 및 멀티-뷰 비디오 코딩 (MVC) 확장들을 포함), 및 ITU-T H.265 를 포함한다.
SVC 및 MVC 는 계층들에 걸친 정의된 픽처 타입들의 크로스 계층 정렬을 요구하지 않으며, HEVC 에서 정의된 다수의 픽처 타입들은 AVC/SVC/MVC 에서 정의되지 않는다. 현재, SHVC WD1 및 MV-HEVC WD3 에 있어서, CRA 픽처들은 크로스 계층 정렬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크로스 계층 픽처 타입 정렬을 요구하지 않는 것은 일부 사용 케이스 시나리오들에 대해 유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RA 픽처 정렬을 요구하지 않는 것은 상위 계층들보다 하위 계층들에서의 더 높은 효율로의 빈번한 랜덤 액세싱 또는 하위 계층들보다 상위 계층들에서의 더 높은 효율로의 빈번한 랜덤 액세싱을 요구하는 시나리오들에서 유리할 것이다. 이들 경우들에 있어서, 픽처 타입들의 크로스 계층 정렬은 계층들에 걸친 픽처들의 효율적인 사용을 허용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이는 코딩 효율의 손실 또는 증가한 랜덤 액세스 지연들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SHVC WD1 및 MV-HEVC WD3 은 현재 BLA 픽처들의 크로스 계층 정렬을 요구하고, IDR 픽처들, RASL 픽처, RADL 픽처, TSA 픽처들 및 STSA 픽처들의 크로스 계층 정렬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SHVC 및 MV-HEVC 의 장래 버전들은 CRA 픽처들에 대해서와 동일한 이유로 비-크로스 계층 정렬된 IDR 픽처들을 허용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이 문헌은 (코딩된) 픽처, 액세스 유닛 (AU), IRAP AU,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 (CVS), 및 비트스트림의 일부 개념들을 가정할 수도 있지만, 그 방법들은 또한 이들 가정들 중 일부가 변경되면 적용한다.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코딩된) 픽처는 현재 (코딩된) 픽처 정의와 유사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코딩된 픽처는 SVC 에서의 계층 표현, MVC 에서의 뷰 컴포넌트, 및 MVC+D 에서의 텍스처 또는 심도 뷰 컴포넌트와 균등이다. 액세스 유닛은 SVC 및 MVC 에서와 같은 액세스 유닛과 유사할 수도 있으며, 이는 동일한 출력 시간과 연관된 모든 코딩된 픽처들 및 그 연관된 비-VCL NAL 유닛들로 이루어진다. IRAP 액세스 유닛은, 모든 코딩된 픽처들이 IRAP 픽처들인 액세스 유닛일 수도 있다. CVS 는, 디코딩 순서에서, 1 과 동일한 NoRaslOutputFlag 를 갖는 IRAP 액세스 유닛 이후 1 과 동일한 NoRaslOutputFlag 를 갖는 IRAP 액세스 유닛들이 아닌 제로 또는 그 초과의 액세스 유닛들 (모든 후속 액세스 유닛들까지 포함 그러나 1 과 동일한 NoRaslOutputFlag 를 갖는 IRAP 액세스 유닛인 임의의 후속 액세스 유닛 불포함) 로 이루어진 액세스 유닛들의 시퀀스일 수도 있다. 비트스트림은 하나 이상의 CVS들의 표현을 형성하는, NAL 유닛 스트림 또는 바이트 스트림의 형태인 비트들의 시퀀스일 수도 있으며, 비트스트림에서의 제 1 액세스 유닛은 IRAP 액세스 유닛일 수도 있다.
하지만, CRA 픽처들 및 IDR 픽처들과 같은 비-크로스 계층 정렬된 픽처 타입들에 대해 허용하는 상기 서술된 이점들에도 불구하고, 비트스트림이 크로스 계층 정렬된 하나 이상의 또는 모든 픽처 타입들로 인코딩되면, 인텔리전트 미디어 게이트웨이들로서 또한 지칭되는 미디어 인식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MANE들) 및 서버들과 같은 시스템 엔터티들이 이러한 정보를 알고 이용하는 것은 유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RA 또는 IDR 픽처들이 크로스 계층 정렬됨을 MANE 가 통지받으면, MANE 는 액세스 유닛의 모든 픽처들의 수신을 대기하고 그들을 파싱하고 그 후 현재 액세스 유닛이 모든 계층들로의 완전한 랜덤 액세스가능성을 제공함을 결정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계층들의 임의의 세트로의 심플 랜덤 액세스, 계층들의 임의의 세트와의 스플라이싱, 및 임의의 계층으로의 스위칭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픽처 타입들의 크로스 계층 정렬의 표시들을 위한 메커니즘들을, 그 표시가 미디어 송신 및 어플리케이션 시스템들에서의 상이한 엔터티들에 의해 용이하게 액세스가능한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MANE 와 같은)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이 엔트로피 디코딩 또는 비디오 압축해제와 연관된 다른 파싱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엔트로피 디코딩 또는 비디오 압축해제와 연관된 다른 파싱을 요구하지 않는 방식으로 그러한 메커니즘들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픽처 타입들의 특정 세트 또는 특정 픽처 타입의 크로스 계층 정렬의 표시를 위한 신택스 엘리먼트 (예를 들어, vps_cross_layer_irap_align_flag 로 명명된 플래그) 는 VPS 에서 (예를 들어, VPS 와 같은 VPS 확장들에서) 시그널링되고, 신택스 엘리먼트는 특정 시맨틱스로 설계되고 해석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신택스 엘리먼트가 0 과 동일하게 시그널링될 경우, 하기에 리스트되는 것들과 같은 비트스트림 제한들이 적용될 수도 있거나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신택스 엘리먼트가 0 과 동일하면,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각각의 AU 에서의 모든 VCL NAL 유닛들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가질 수도 있거나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신택스 엘리먼트가 0 과 동일하면,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VCL NAL 유닛들의 특정 범위에서의 모든 VCL NAL 유닛들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가질 수도 있거나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신택스 엘리먼트가 1 과 동일할 때,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AU 에서의 하나의 VCL NAL 유닛의 nal_unit_type 이 NAL 유닛 타입의 특정 타입 (또는 특정 세트의 NAL 유닛 타입 값들 중 하나인 값) 과 동일할 경우, AU 에서의 모든 VCL NAL 유닛들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갖는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신택스 엘리먼트가 1 과 동일할 경우,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동일한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레퍼런스 픽처는 초기에 참조된 픽처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갖는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신택스 엘리먼트는 1 과 동일할 수도 있으며, 이는,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AU 에서의 하나의 VCL NAL 유닛의 nal_unit_type 이 BLA_W_LP...RSV_IRAP_VCL23 (16 내지 23) 의 범위에 있을 경우, AU 에서의 모든 VCL 유닛들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갖는다는 것을 명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신택스 엘리먼트가 1 과 동일할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될 수도 있다. 비트스트림 제한은, AU 에서의 하나의 픽처가 BLA_W_LP...RSV_IRAP_VCL23 (16 내지 23) 의 범위에서 nal_unit_type nutA 를 가질 경우, 동일한 액세스 유닛에서의 임의의 다른 픽처는 nutA 와 동일한 nal_unit_type 을 가질 것임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신택스 엘리먼트가 1 과 동일할 경우,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동일한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레퍼런스 픽처는 초기에 참조된 픽처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신택스 엘리먼트가 0 과 동일할 수도 있는 예들에 있어서,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AU 에서의 하나의 VCL NAL 유닛의 nal_unit_type 이 BLA_W_LP...RSV_IRAP_VCL23 의 범위에 있을 경우, AU 에서의 모든 VCL NAL 유닛들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가질 수도 있거나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방법은 다른 예들에서 설명된 방법들과 함께 또는 홀로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신택스 엘리먼트는 1 과 동일할 수도 있으며, 이는,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AU 에서의 하나의 VCL NAL 유닛의 nal_unit_type 이 IDR_W_RADL 또는 IDR_N_LP (19 또는 20) 과 동일할 경우, AU 에서의 모든 VCL 유닛들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갖는다는 것을 명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신택스 엘리먼트가 1 과 동일할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될 수도 있다. 비트스트림 제한은, AU 에서의 하나의 픽처가 IDR_W_RADL 또는 IDR_N_LP (19 또는 20) 와 동일한 nal_unit_type nutA 를 가질 경우, 동일한 액세스 유닛에서의 임의의 다른 픽처는 nutA 와 동일한 nal_unit_type 을 가질 것임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신택스 엘리먼트가 1 과 동일할 경우,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동일한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레퍼런스 픽처는 초기에 참조된 픽처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신택스 엘리먼트가 0 과 동일할 수도 있는 예들에 있어서,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AU 에서의 하나의 VCL NAL 유닛의 nal_unit_type 이 IDR_W_RADL 또는 IDR_N_LP (19 또는 20) 과 동일할 경우, AU 에서의 모든 VCL NAL 유닛들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가질 수도 있거나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방법은 다른 예들에서 설명된 방법들과 함께 또는 홀로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신택스 엘리먼트는 1 과 동일할 수도 있으며, 이는,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AU 에서의 하나의 VCL NAL 유닛의 nal_unit_type 이 TRAIL_N...RSV_VCL31 (0 내지 31) 의 범위에 있을 경우, AU 에서의 모든 VCL 유닛들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갖는다는 것을 명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신택스 엘리먼트가 1 과 동일할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될 수도 있다. 비트스트림 제한은, AU 에서의 하나의 픽처가 TRAIL_N...RSV_VCL31 (0 내지 31) 의 범위에서 nal_unit_type nutA 를 가질 경우, 동일한 액세스 유닛에서의 임의의 다른 픽처는 nutA 와 동일한 nal_unit_type 을 가질 것임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신택스 엘리먼트가 1 과 동일할 경우,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동일한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레퍼런스 픽처는 초기에 참조된 픽처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신택스 엘리먼트가 0 과 동일할 수도 있는 예들에 있어서,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AU 에서의 하나의 VCL NAL 유닛의 nal_unit_type 이 TRAIL_N...RSV_VCL31 (0 내지 31) 의 범위에 있을 경우, AU 에서의 모든 VCL NAL 유닛들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가질 수도 있거나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방법은 다른 예들에서 설명된 방법들과 함께 또는 홀로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신택스 엘리먼트는 1 과 동일할 수도 있으며, 이는,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AU 에서의 하나의 VCL NAL 유닛의 nal_unit_type 이 BLA_W_LP...BLA_N_LP (16 내지 18) 의 범위에 있을 경우, AU 에서의 모든 VCL 유닛들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갖는다는 것을 명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신택스 엘리먼트가 1 과 동일할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될 수도 있다. 비트스트림 제한은, AU 에서의 하나의 픽처가 BLA_W_LP...BLA_N_LP (16 내지 18) 의 범위에서 nal_unit_type nutA 를 가질 경우, 동일한 액세스 유닛에서의 임의의 다른 픽처는 nutA 와 동일한 nal_unit_type 을 가질 것임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신택스 엘리먼트가 1 과 동일할 경우,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동일한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레퍼런스 픽처는 초기에 참조된 픽처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신택스 엘리먼트가 0 과 동일할 수도 있는 예들에 있어서,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AU 에서의 하나의 VCL NAL 유닛의 nal_unit_type 이 BLA_W_LP...BLA_N_LP (16 내지 18) 의 범위에 있을 경우, AU 에서의 모든 VCL NAL 유닛들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가질 수도 있거나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방법은 다른 예들에서 설명된 방법들과 함께 또는 홀로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신택스 엘리먼트는 1 과 동일할 수도 있으며, 이는,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AU 에서의 하나의 VCL NAL 유닛의 nal_unit_type 이 CRA_NUT (21) 과 동일할 경우, AU 에서의 모든 VCL 유닛들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갖는다는 것을 명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신택스 엘리먼트가 1 과 동일할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될 수도 있다. 비트스트림 제한은, AU 에서의 하나의 픽처가 CRA_NUT (21) 과 동일한 nal_unit_type nutA 를 가질 경우, 동일한 액세스 유닛에서의 임의의 다른 픽처는 nutA 와 동일한 nal_unit_type 을 가질 것임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신택스 엘리먼트가 1 과 동일할 경우,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동일한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레퍼런스 픽처는 초기에 참조된 픽처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신택스 엘리먼트가 0 과 동일할 수도 있는 예들에 있어서, VPS 를 참조하는 CVS 내에서, AU 에서의 하나의 VCL NAL 유닛의 nal_unit_type 이 CRA_NUT (21) 과 동일한 범위에 있을 경우, AU 에서의 모든 VCL NAL 유닛들은 nal_unit_type 의 동일한 값을 가질 수도 있거나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방법은 다른 예들에서 설명된 방법들과 함께 또는 홀로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신택스 엘리먼트는 SEI 메시지 또는 SPS 에서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신택스 엘리먼트가, 예를 들어, 임의의 엔트로피 코딩된 (예를 들어, ue(v) 코딩된) 신택스 엘리먼트 이전 또는 일부 엔트로피 코딩된 신택스 엘리먼트들 이후, 신택스 엘리먼트에 액세스하기 위한 엔트로피 디코딩이 필요없는 NAL 유닛에서의 일 포지션에서 시그널링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신택스 엘리먼트의 파싱은 VPS 확장 신택스의 시작부에서와 같이 그 엔트로피 코딩된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파싱할 필요는 없다.
상기 제시된 예들에 추가적으로, nal_unit_type 은,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다른 값들 또는 범위들과 비교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AL 유닛 타입의 특정 값은 RADL_N (6) 일 수도 있다. 또다른 예로서, NAL 유닛 타입 값들의 특정 세트는 RASD_N 및 RASD_R (6 및 7) 일 수도 있다. 또다른 예로서, NAL 유닛 타입 값들의 특정 세트는 RADL_N, RADL_R, RASL_N, 및 RASL_R (6, 7, 8, 및 9) 일 수도 있다.
도 1 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들을 활용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시스템 (10) 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10) 은, 목적지 디바이스 (14) 에 의해 더 나중 시간에 디코딩될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소스 디바이스 (12) 를 포함한다. 소스 디바이스 (12) 및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데스크탑 컴퓨터들, 노트북 (즉, 랩탑)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셋탑 박스들, 소위 "스마트" 폰들과 같은 전화기 핸드셋들, 소위 "스마트" 패드들, 텔레비전들, 카메라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들, 비디오 게이밍 콘솔들, 비디오 스트리밍 디바이스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 (12) 및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무선 통신을 위해 장비될 수도 있다.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디코딩될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링크 (16) 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링크 (16) 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소스 디바이스 (12) 로부터 목적지 디바이스 (14) 로 이동 가능한 임의의 타입의 매체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에 있어서, 링크 (16) 는, 소스 디바이스 (12) 로 하여금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직접 목적지 디바이스 (14) 로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같은 통신 표준에 따라 변조되고, 목적지 디바이스 (14) 로 송신될 수도 있다. 통신 매체는 무선 주파수 (RF) 스펙트럼 또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송신 라인들과 같은 임의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매체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글로벌 네트워크와 같은 패킷 기반 네트워크의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통신 매체는 라우터들, 스위치들, 기지국들, 또는 소스 디바이스 (12) 로부터 목적지 디바이스 (14) 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데 유용할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장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인코딩된 데이터는 출력 인터페이스 (22) 로부터 저장 디바이스 (32) 로 출력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인코딩된 데이터는 입력 인터페이스에 의해 저장 디바이스 (32) 로부터 액세스될 수도 있다. 저장 디바이스 (32) 는 하드 드라이브, 블루-레이 디스크들, DVD들, CD-ROM들, 플래시 메모리,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지털 저장 매체들과 같은 다양한 분산된 또는 국부적으로 액세스된 데이터 저장 매체들 중 임의의 데이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의 예에 있어서, 저장 디바이스 (32) 는, 소스 디바이스 (12) 에 의해 생성된 인코딩된 비디오를 유지할 수도 있는 파일 서버 또는 다른 중간 저장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저장 디바이스 (32) 로부터의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에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를 통해 액세스할 수도 있다. 파일 서버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목적지 디바이스 (14) 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타입의 서버일 수도 있다. 예시적인 파일 서버들은 웹 서버 (예를 들어, 웹 사이트용), FTP 서버, 네트워크 접속형 저장 (NAS) 디바이스들, 또는 로컬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에, 인터넷 커넥션을 포함한 임의의 표준 데이터 커넥션을 통해 액세스할 수도 있다. 이는 파일 서버 상에 저장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에 액세스하기에 적합한 무선 채널 (예를 들어, Wi-Fi 커넥션), 유선 커넥션 (예를 들어, DSL, 케이블 모뎀 등),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저장 디바이스 (32) 로부터의 송신은 스트리밍 송신, 다운로드 송신,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기술들은 무선 어플리케이션들 또는 설정들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기술들은, 공중 경유 (over-the-air)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트들, 케이블 텔레비전 송신들, 위성 텔레비전 송신들,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스트리밍 비디오 송신들, 데이터 저장 매체 상의 저장을 위한 디지털 비디오의 인코딩, 데이터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의 디코딩,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들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들 중 임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지원으로 비디오 코딩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시스템 (10) 은 비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플레이백, 비디오 브로드캐스팅, 및/또는 비디오 전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기 위해 일방향 또는 양방향 비디오 송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의 예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 (12) 는 비디오 소스 (18), 비디오 인코더 (20), 및 출력 인터페이스 (22) 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출력 인터페이스 (22) 는 변조기/복조기 (모뎀) 및/또는 송신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소스 디바이스 (12) 에 있어서, 비디오 소스 (18) 는 비디오 캡쳐 디바이스, 예를 들어, 비디오 카메라, 이전에 캡쳐된 비디오를 포함하는 비디오 아카이브, 비디오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비디오를 수신하기 위한 비디오 피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컴퓨터 그래픽스 데이터를 소스 비디오로서 생성하기 위한 컴퓨터 그래픽스 시스템과 같은 소스, 또는 그러한 소스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비디오 소스 (18) 가 비디오 카메라이면, 소스 디바이스 (12) 및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소위 카메라 폰들 또는 비디오 폰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코딩에 적용가능할 수도 있으며, 무선 및/또는 유선 어플리케이션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캡쳐되거나 사전-캡쳐되거나 또는 컴퓨터 생성된 비디오는 비디오 인코더 (12) 에 의해 인코딩될 수도 있다.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소스 디바이스 (20) 의 출력 인터페이스 (22) 를 통해 목적지 디바이스 (14) 로 직접 송신될 수도 있다.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디코딩 및/또는 플레이백을 위한 목적지 디바이스 (14)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한 더 나중의 액세스를 위해 저장 디바이스 (32) 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입력 인터페이스 (28), 비디오 디코더 (3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1) 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 (28) 는 수신기 및/또는 모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목적지 디바이스 (14) 의 입력 인터페이스 (28) 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링크 (16) 상으로 수신한다. 링크 (16) 상으로 통신되는 또는 저장 디바이스 (32) 상에 제공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함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 (30) 와 같은 비디오 디코더에 의한 사용을 위해 비디오 인코더 (20) 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신택스 엘리먼트들에는, 통신 매체 상으로 송신되거나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파일 서버에 저장되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가 포함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1) 는 목적지 디바이스 (14) 와 통합되거나 그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통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목적지 디바이스 (14) 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1) 는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며, 액정 디스플레이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및 비디오 디코더 (30) 는 현재 개발 중인 고 효율 비디오 코딩 (HEVC) 표준과 같은 비디오 압축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고, HEVC 테스트 모델 (HM) 에 부합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비디오 인코더 (20) 및 비디오 디코더 (30) 는 MPEG-4, 파트 10, 어드밴스드 비디오 코딩 (AVC) 으로서 대안적으로 지칭되는 ITU-T H.264 표준과 같은 다른 전매특허 또는 산업 표준들, 또는 그러한 표준들의 확장들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개시의 기술들은 임의의 특정 코딩 표준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비디오 압축 표준들의 다른 예들은 MPEG-2, ITU-T H.263, 및 ITU-T H.265 를 포함한다.
비록 도 1 에 도시되지는 않지만, 일부 양태들에 있어서, 비디오 인코더 (20) 및 비디오 디코더 (30) 는 오디오 인코더 및 디코더와 각각 통합될 수도 있으며, 오디오 및 비디오 양자의 인코딩을 공통 데이터 스트림 또는 별개의 데이터 스트림들로 처리하기 위해 적절한 MUX-DEMUX 유닛들 또는 다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용가능하다면, 일부 예들에 있어서, MUX-DEMUX 유닛들은 ITU H.223 멀티플렉서 프로토콜, 또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UDP) 과 같은 다른 프로토콜들에 부합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및 비디오 디코더 (30) 각각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들), 주문형 집적회로들 (ASIC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들), 이산 로직,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들과 같은 다양한 적합한 인코더 회로 중 임의의 회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기술들이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경우, 디바이스는 적합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소프트웨어에 대한 명령들을 저장하고, 본 개시의 기술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사용하는 하드웨어로 명령들을 실행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및 비디오 디코더 (30) 각각은 하나 이상의 인코더들 또는 디코더들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는 개별 디바이스에 있어서 결합된 인코더/디코더 (CODEC) 의 부분으로서 통합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소스 디바이스 (12), 목적지 디바이스 (14), 링크 (16) 및 저장 디바이스 (32) 를 포함하는 시스템 (10) 은 무선 핸드셋,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등과 같은 단일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및 비디오 디코더 (30) 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들에 있어서, 비디오 인코더 (20) 는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는 것으로서,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고, 액세스 유닛의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내기 위해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고,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생성하고, 그리고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코딩된 액세스 유닛, 신택스 엘리먼트, 및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포함한다. 추가로, 일부 예들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 (30) 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신택스 엘리먼트,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 및 코딩된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코딩된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고,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신택스 엘리먼트는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는지 여부의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고,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낸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결정하고,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코딩된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다른 픽처들에 대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JCT-VC 는 HEVC 표준의 개발에 관하여 작업하고 있다. HEVC 표준화 노력들은 HEVC 테스트 모델 (HM) 로서 지칭되는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의 진화하는 모델에 기초한다. HM 은 예를 들어, ITU-T H.264/AVC 에 따른 기존의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들의 수개의 부가적인 능력들을 가정한다. 예를 들어, H.264 가 9개의 인트라-예측 인코딩 모드들을 제공하지만, HM 은 33개 만큼 많은 인트라-예측 인코딩 모드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HM 의 작업 모델은, 비디오 프레임 또는 픽처가 루마 및 크로마 샘플들 양자를 포함하는 트리블록들 또는 최대 코딩 유닛들 (LCU) 의 시퀀스로 분할될 수도 있음을 설명한다. 트리블록은 H.264 표준의 매크로블록과 유사한 목적을 갖는다. 슬라이스는 코딩 순서에 있어서의 다수의 연속적인 트리블록들을 포함한다. 비디오 프레임 또는 픽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로 파티셔닝될 수도 있다. 각각의 트리블록은 쿼드트리에 따라 코딩 유닛들 (CU들) 로 분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쿼드트리의 루트 노드로서 트리블록은 4개의 자식 노드들로 분할될 수도 있고, 각각의 자식 노드는 결국 부모 노드일 수도 있으며 또다른 4개의 자식 노드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쿼드트리의 리프 노드로서 최종의 미분할된 자식 노드는 코딩 노드, 즉, 코딩된 비디오 블록을 포함한다. 코딩된 비트스트림과 연관된 신택스 데이터는 트리블록이 분할될 수도 있는 최대 횟수를 정의할 수도 있으며, 또한 코딩 노드들의 최소 사이즈를 정의할 수도 있다.
CU 는 코딩 노드, 그리고 코딩 노드와 연관된 예측 유닛들 (PU들) 및 변환 유닛들 (TU들) 을 포함한다. CU 의 사이즈는 코딩 노드의 사이즈에 대응하고, 형상이 정방형이어야 한다. CU 의 사이즈는 8x8 픽셀들로부터, 최대 64x64 픽셀들 이상을 갖는 트리블록의 사이즈까지 이를 수도 있다. 각각의 CU 는 하나 이상의 PU들 및 하나 이상의 TU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CU 와 연관된 신택스 데이터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PU들로의 CU 의 파티셔닝을 기술할 수도 있다. 파티셔닝 모드들은 CU 가 스킵되거나 직접 모드 인코딩되거나, 인트라-예측 모드 인코딩되거나, 또는 인터-예측 모드 인코딩되는지 여부 간에 상이할 수도 있다. PU들은 형상이 비-정방형이도록 파티셔닝될 수도 있다. CU 와 연관된 신택스 데이터는 또한, 예를 들어, 쿼드트리에 따라 하나 이상의 TU들로의 CU 의 파티셔닝을 기술할 수도 있다. TU 는 형상이 정방형이거나 비-정방형일 수 있다.
HEVC 표준은 TU들에 따른 변환들에 대해 허용하며, 이는 상이한 CU들에 대해 상이할 수도 있다. TU들은 통상적으로, 파티셔닝된 LCU 에 대해 정의된 소정의 CU 내에서의 PU들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사이징되지만, 이것이 항상 그 경우인 것은 아닐 수도 있다. TU들은 통상적으로 PU들과 동일한 사이즈이거나 그 보다 더 작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CU 에 대응하는 잔차 샘플들은 "잔차 쿼드트리 (RQT)" 로서 공지된 쿼드트리 구조를 이용하여 더 작은 유닛들로 세분될 수도 있다. RQT 의 리프 노드들은 변환 유닛들 (TU들)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TU들과 연관된 픽셀 차이 값들은 변환 계수들을 생성하도록 변환될 수도 있으며, 이 변환 계수들은 양자화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PU 는 예측 프로세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PU 가 인트라-모드 인코딩될 경우, PU 는 그 PU 에 대한 인트라-예측 모드를 기술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PU 가 인터-모드 인코딩될 경우, PU 는 그 PU 에 대한 모션 벡터를 정의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PU 에 대한 모션 벡터를 정의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모션 벡터의 수평 컴포넌트, 모션 벡터의 수직 컴포넌트, 모션 벡터에 대한 분해능 (예를 들어, 1/4 픽셀 정밀도 또는 1/8 픽셀 정밀도), 모션 벡터가 포인팅하는 레퍼런스 픽처, 및/또는 모션 벡터에 대한 레퍼런스 픽처 리스트 (예를 들어, 리스트 0, 리스트 1, 또는 리스트 C) 를 기술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TU 는 변환 및 양자화 프로세스들을 위해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PU들을 갖는 소정의 CU 는 또한 하나 이상의 변환 유닛들 (TU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측 이후, 비디오 인코더 (20) 는 PU 에 대응하는 잔차 값들을 계산할 수도 있다. 잔차 값들은, 엔트로피 코딩을 위한 직렬화된 변환 계수들을 생성하기 위해 변환 계수들로 변환되고 양자화되고 TU들을 이용하여 스캐닝될 수도 있는 픽셀 차이 값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는 통상적으로 용어 "비디오 블록" 을 사용하여, CU 의 코딩 노드를 지칭한다. 일부 특정 경우들에 있어서, 본 개시는 또한 용어 "비디오 블록" 을 사용하여, 코딩 노드 그리고 PU들 및 TU 들을 포함하는 트리블록, 즉, LCU 또는 CU 를 지칭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시퀀스는 통상적으로, 비디오 프레임들 또는 픽처들의 시리즈를 포함한다. 픽처들의 그룹 (GOP) 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픽처들의 하나 이상의 시리즈를 포함한다. GOP 는, 그 GOP 에 포함된 다수의 픽처들을 기술하는 신택스 데이터를 GOP 의 헤더, 픽처들의 하나 이상의 헤더, 또는 다른 곳에 포함할 수도 있다. 픽처의 각각의 슬라이스는 개별 슬라이스에 대한 인코딩 모드를 기술하는 슬라이스 신택스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통상적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해 개별적인 비디오 슬라이스들 내의 비디오 블록들에 대해 동작한다. 비디오 블록은 CU 내의 코딩 노드에 대응할 수도 있다. 비디오 블록들은 고정 또는 가변 사이즈들을 가질 수도 있으며, 명시된 코딩 표준에 따라 사이즈가 상이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HM 은 다양한 PU 사이즈들에서의 예측을 지원한다. 특정 CU 의 사이즈가 2Nx2N 이라고 가정하면, HM 은 2Nx2N 또는 NxN 의 PU 사이즈들에서 인트라-예측을 지원하고, 그리고 2Nx2N, 2NxN, Nx2N, 또는 NxN 의 대칭적인 PU 사이즈들에서 인터-예측을 지원한다. HM 은 또한, 2NxnU, 2NxnD, nLx2N, 및 nRx2N 의 PU 사이즈들에서 인터-예측을 위한 비대칭 파티셔닝을 지원한다. 비대칭 파티셔닝에 있어서, CU 의 일 방향은 파티셔닝되지 않지만 다른 방향은 25% 및 75% 로 파티셔닝된다. 25% 파티션에 대응하는 CU 의 부분은 "n" 이후에 "상", "하", "좌", 또는 "우" 의 표시에 의해 표시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2NxnU" 는, 상부에서의 2Nx0.5N PU 및 하부에서의 2Nx1.5N PU 로 수평으로 파티셔닝된 2Nx2N CU 를 지칭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NxN" 및 "N 바이 N" 은 수직 및 수평 치수들의 관점에서의 비디오 블록의 픽셀 치수들, 예를 들어, 16x16 픽셀들 또는 16 바이 16 픽셀들을 지칭하도록 상호대체가능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16x16 블록은 수직 방향에서 16개의 픽셀들 (y = 16) 및 수평 방향에서 16개의 픽셀들 (x = 16) 을 가질 것이다. 유사하게, NxN 블록은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에서 N개의 픽셀들 및 수평 방향에서 N개의 픽셀들을 가지며, 여기서, N 은 음이 아닌 정수 값을 나타낸다. 블록에 있어서의 픽셀들은 로우들 및 컬럼들에서 배열될 수도 있다. 더욱이, 블록들은 반드시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에서와 동일한 수의 픽셀들을 가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블록들은 NxM 픽셀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M 은 반드시 N 과 동일할 필요는 없다.
CU 의 PU들을 이용한 인트라-예측 또는 인터-예측 코딩 이후, 비디오 인코더 (20) 는 CU 의 TU들에 대한 잔차 데이터를 계산할 수도 있다. PU들은 공간 도메인 (픽셀 도메인으로서도 또한 지칭됨) 에 있어서의 픽셀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TU들은 변환, 예를 들어, 이산 코사인 변환 (DCT), 정수 변환, 웨이블릿 변환, 또는 잔차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개념적으로 유사한 변환의 적용 이후에 변환 도메인에 있어서 계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잔차 데이터는 인코딩되지 않은 픽처의 픽셀들과 PU들에 대응하는 예측 값들 간의 픽셀 차이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CU 에 대한 잔차 데이터를 포함하는 TU들을 형성하고, 그 후, TU들을 변환하여 CU 에 대한 변환 계수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변환 계수들을 생성하기 위한 임의의 변환들 이후, 비디오 인코더 (20) 는 변환 계수들의 양자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양자화는 일반적으로, 변환 계수들이 그 계수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데이터의 양을 가능하게는 감소시키도록 양자화되어 추가 압축을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양자화 프로세스는 그 계수들의 일부 또는 그 모두와 연관되는 비트 심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비트 값은 양자화 동안 m비트 값으로 라운드-다운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n 은 m 보다 크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비디오 인코더 (20) 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스캔하기 위한 미리정의된 스캔 순서를 활용하여, 엔트로피 인코딩될 수 있는 직렬화된 벡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비디오 인코더 (20) 는 적응적 스캔을 수행할 수도 있다. 1차원 벡터를 형성하기 위해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스캔한 이후, 비디오 인코더 (20) 는, 예를 들어, 컨텍스트 적응 가변 길이 코딩 (CAVLC), 컨텍스트 적응 이진 산술 코딩 (CABAC), 신택스 기반 컨텍스트 적응 이진 산술 코딩 (SBAC), 확률 간격 파티셔닝 엔트로피 (PIPE) 코딩, 또는 다른 엔트로피 인코딩 방법에 따라 1차원 벡터를 엔트로피 인코딩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또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함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 (30) 에 의한 사용을 위해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연관된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엔트로피 인코딩할 수도 있다.
CABAC 를 수행하기 위해, 비디오 인코더 (20) 는 컨텍스트 모델 내의 컨텍스트를, 송신될 심볼에 할당할 수도 있다. 컨텍스트는, 예를 들어, 심볼의 이웃 값들이 제로가 아닌지 여부와 관련될 수도 있다. CAVLC 를 수행하기 위해, 비디오 인코더 (20) 는 송신될 심볼에 대한 가변 길이 코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VLC 에서의 코드워드들은, 상대적으로 더 짧은 코드들이 더 가능성있는 심볼들에 대응하지만 더 긴 코드들은 덜 가능성있는 심볼들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VLC 의 사용은, 예를 들어, 송신될 각각의 심볼에 대한 동일 길이 코드워드들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비트 절약을 달성할 수도 있다. 확률 결정은 심볼에 할당된 컨텍스트에 기초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인코더 (20) 는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은 본 개시의 기술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들에 있어서,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은 액세스 유닛의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내기 위해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은 또한,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들 단계들은 또한 다른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 (22) 는, 이들 단계들을 수행할 수도 있는 사후-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 디코더 (30) 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디코더 (30) 는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은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신택스 엘리먼트는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는지 여부의 표시를 포함한다.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은 또한,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낸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결정할 수도 있다.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은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추가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은, 코딩된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다른 픽처들에 대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들 단계들은 또한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들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 (28) 는, 이들 단계들을 수행할 수도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에 있어서, 본 개시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방법은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신택스 엘리먼트,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 및 코딩된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코딩된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신택스 엘리먼트는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는지 여부의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낸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코딩된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다른 픽처들에 대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2 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들을 구현할 수도 있는 비디오 인코더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비디오를 사후 프로세싱 엔터티 (27) 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사후 프로세싱 엔터티 (27) 는 본 개시에 설명된 기술들을 구현할 수도 있는 다른 예시적인 디바이스이다. 사후 프로세싱 엔터티 (27) 는 미디어 인식 네트워크 엘리먼트 (MANE), 스플라이싱/편집 디바이스, 또는 비디오 인코더 (20) 로부터의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도 있는 다른 중간 디바이스와 같은 비디오 엔터티의 일 예를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사후 프로세싱 엔터티는 네트워크 엔터티의 일 예일 수도 있다. 일부 비디오 인코딩 시스템들에 있어서, 사후 프로세싱 엔터티 (27) 및 비디오 인코더 (20) 는 별개의 디바이스들의 부분들일 수도 있지만,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사후 프로세싱 엔터티 (27) 에 대하여 설명된 기능은, 비디오 인코더 (20) 를 포함하는 동일한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비디오 인코더 (20) 는 비트스트림을 사후 프로세싱 엔터티 (27) 에 출력할 수도 있으며,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코딩된 액세스 유닛, 신택스 엘리먼트, 및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후 프로세싱 엔터티 (27) 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들에 있어서, 사후 프로세싱 엔터티 (27) 는 액세스 유닛의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내기 위해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사후 프로세싱 엔터티 (27) 는 또한,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사후 프로세싱 엔터티 (27) 는 코딩된 액세스 유닛을 수신할 수도 있다. 코딩된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인코딩되었으면, 사후 프로세싱 엔터티 (27) 는 크로스 계층 정렬이 이용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사후 프로세싱 엔터티 (27) 는 또한, 미리결정된 범위에 있다면,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픽처들이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이용하여 디코딩되어야 함을 나타낼 수도 있는,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생성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비디오 슬라이스들 내에서 비디오 블록들의 인트라-코딩 및 인터-코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트라-코딩은 소정의 비디오 프레임 또는 픽처 내 비디오에 있어서 공간 리던던시를 감소 또는 제거하기 위해 공간 예측에 의존한다. 인터-코딩은 비디오 시퀀스의 인접한 프레임들 또는 픽처들 내 비디오에 있어서 시간 리던던시를 감소 또는 제거하기 위해 시간 예측에 의존한다. 인트라-모드 (I 모드) 는 수개의 공간 기반 압축 모드들 중 임의의 모드를 지칭할 수도 있다. 단방향 예측 (P 모드) 또는 양방향 예측 (B 모드) 과 같은 인터-모드들은 수개의 시간 기반 압축 모드들 중 임의의 모드를 지칭할 수도 있다.
도 2 의 예에 있어서, 비디오 인코더 (20) 는 파티셔닝 유닛 (35), 예측 유닛 (41), 필터 유닛 (63),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64), 합산기 (50), 변환 프로세싱 유닛 (52), 양자화 유닛 (54), 및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을 포함한다. 예측 유닛 (41) 은 모션 추정 유닛 (42), 모션 보상 유닛 (44) 및 인트라 예측 프로세싱 유닛 (46) 을 포함한다. 비디오 블록 복원을 위해, 비디오 인코더 (20) 는 또한 역양자화 유닛 (58), 역변환 프로세싱 유닛 (60), 및 합산기 (62) 를 포함한다. 필터 유닛 (63) 은 디블록킹 (deblocking) 필터, 적응 루프 필터 (ALF), 및 샘플 적응 오프셋 (SAO) 필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루프 필터들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비록 필터 유닛 (63) 이 인-루프 (in loop) 필터인 것으로서 도 2 에 도시되지만, 다른 구성들에 있어서, 필터 유닛 (63) 은 포스트 루프 필터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인코더 (20) 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파티셔닝 유닛 (35) 은 그 데이터를 비디오 블록들로 파티셔닝한다. 이러한 파티셔닝은 또한, 예를 들어, LCU들 및 CU들의 쿼드트리 구조에 따른 비디오 블록 파티셔닝뿐 아니라 슬라이스들, 타일들, 또는 다른 더 큰 유닛들로의 파티셔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일반적으로, 인코딩될 비디오 슬라이스 내에서의 비디오 블록들을 인코딩하는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슬라이스는 다중의 비디오 블록들로 (및 가능하게는 타일들로서 지칭되는 비디오 블록들의 세트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예측 프로세싱 유닛 (41) 은 에러 결과들 (예를 들어, 코딩 레이트 및 왜곡의 레벨) 에 기반한 현재 비디오 블록에 대해 복수의 인트라 코딩 모드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인터 코딩 모드들 중 하나와 같이 복수의 가능한 코딩 모드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측 프로세싱 유닛 (41) 은 결과적인 인트라- 또는 인터-코딩된 블록을 합산기 (50) 에 제공하여 잔차 블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합산기 (62) 에 제공하여 레퍼런스 픽처로서의 사용을 위한 인코딩된 블록을 복원할 수도 있다.
예측 프로세싱 유닛 (41) 내의 인트라 예측 프로세싱 유닛 (46) 은 공간 압축을 제공하기 위해, 코딩될 현재 블록과 동일한 프레임 또는 슬라이스에 있어서의 하나 이상의 이웃 블록들에 대해 현재 비디오 블록의 인트라-예측 코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측 프로세싱 유닛 (41) 내의 모션 추정 유닛 (42) 및 모션 보상 유닛 (44) 은 시간 압축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픽처들에 있어서의 하나 이상의 예측 블록들에 대해 현재 비디오 블록의 인터-예측 코딩을 수행한다.
모션 추정 유닛 (42) 은 비디오 시퀀스에 대한 미리결정된 패턴에 따라 비디오 슬라이스에 대한 인터-예측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미리결정된 패턴은 시퀀스에서의 비디오 슬라이스들을, P 슬라이스들, B 슬라이스들 또는 GPB 슬라이스들로서 명시할 수도 있다. 모션 추정 유닛 (42) 및 모션 보상 유닛 (44) 은 고도로 통합될 수도 있지만, 개념적인 목적을 위해 별개로 도시된다. 모션 추정 유닛 (42) 에 의해 수행된 모션 추정은, 비디오 블록들에 대한 모션을 추정하는 모션 벡터들을 생성하는 프로세스이다. 모션 벡터는, 예를 들어, 레퍼런스 픽처 내에서의 예측 블록에 대한 현재 비디오 프레임 또는 픽처 내의 비디오 블록의 PU 의 변위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측 블록은 픽셀 차이의 관점에서 코딩될 비디오 블록의 PU 와 밀접하게 매칭하도록 발견되는 블록이며, 이 픽셀 차이는 절대 차이의 합 (SAD), 제곱 차이의 합 (SSD), 또는 다른 상이한 메트릭들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비디오 인코더 (20) 는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64) 에 저장된 레퍼런스 픽처들의 서브-정수 픽셀 포지션들에 대한 값들을 계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인코더 (20) 는 레퍼런스 픽처의 1/4 픽셀 포지션들, 1/8 픽셀 포지션들, 또는 다른 분수 픽셀 포지션들의 값들을 보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모션 추정 유닛 (42) 은 풀 픽셀 포지션들 및 분수 픽셀 포지션들에 대한 모션 탐색을 수행하고, 분수 픽셀 정밀도로 모션 벡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모션 추정 유닛 (42) 은 인터-코딩된 슬라이스에 있어서의 비디오 블록의 PU 에 대한 모션 벡터를, 그 PU 의 포지션을 레퍼런스 픽처의 예측 블록의 포지션과 비교함으로써 계산한다. 레퍼런스 픽처는 제 1 레퍼런스 픽처 리스트 (리스트 0) 또는 제 2 레퍼런스 픽처 리스트 (리스트 1) 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으며, 이 리스트들 각각은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64) 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픽처들을 식별한다. 모션 추정 유닛 (42) 은 계산된 모션 벡터를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및 모션 보상 유닛 (44) 으로 전송한다.
모션 보상 유닛 (44) 에 의해 수행된 모션 보상은 모션 추정에 의해 결정된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예측 블록을 페치 또는 생성하여, 가능하게는 서브픽셀 정밀도로 보간들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현재 비디오 블록의 PU 에 대한 모션 벡터를 수신할 시, 모션 보상 유닛 (44) 은, 모션 벡터가 레퍼런스 픽처 리스트들 중 하나에 포인팅하는 예측 블록을 로케이팅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코딩되고 있는 현재 비디오 블록의 픽셀 값들로부터 예측 블록의 픽셀 값들을 감산하여 픽셀 차이 값들을 형성함으로써 잔차 비디오 블록을 형성한다. 픽셀 차이 값들은 블록에 대한 잔차 데이터를 형성하고, 루마 및 크로마 차이 컴포넌트들 양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합산기 (50) 는 이러한 감산 연산을 수행하는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모션 보상 유닛 (44) 은 또한,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들을 디코딩함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 (30) 에 의한 사용을 위해 비디오 블록들 및 비디오 슬라이스와 연관된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인트라-예측 유닛 (46) 은 현재 블록을,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모션 추정 유닛 (42) 및 모션 보상 유닛 (44) 에 의해 수행된 인터-예측에 대한 대안으로서 인트라-예측할 수도 있다. 특히, 인트라-예측 유닛 (46) 은 현재 블록을 인코딩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인트라-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인트라-예측 유닛 (46) 은 예를 들어 별도의 인코딩 패스들 동안에 다양한 인트라-예측 모드들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을 인코딩할 수도 있으며, 인트라-예측 유닛 (46) (또는 일부 예들에서는 모드 선택 유닛 (40)) 은 테스팅된 모드들로부터의 이용을 위해 적절한 인트라-예측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트라-예측 유닛 (46) 은 다양한 테스팅된 인트라-예측 모드들에 대한 레이트-왜곡 분석을 이용하여 레이트-왜곡 값들을 계산하고, 테스팅된 모드들 중 최상의 레이트-왜곡 특성들을 갖는 인트라-예측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레이트-왜곡 분석은 일반적으로, 인코딩된 블록과 그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하도록 인코딩되었던 오리지널의 인코딩되지 않은 블록 간의 왜곡 (또는 에러) 의 양뿐 아니라 인코딩된 블록을 생성하는데 사용된 비트 레이트 (즉, 비트들의 수) 를 결정한다. 인트라-예측 유닛 (46) 은 다양한 인코딩된 블록들에 대한 왜곡들 및 레이트들로부터의 비율들을 계산하여, 어느 인트라-예측 모드가 그 블록에 대한 최상의 레이트-왜곡 값을 나타내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든, 블록에 대한 인트라-예측 모드를 선택한 이후, 인트라-예측 유닛 (46) 은 블록에 대한 선택된 인트라-예측 모드를 표시하는 정보를 엔트로피 코딩 유닛 (56) 에 제공할 수도 있다. 엔트로피 코딩 유닛 (56) 은, 본 개시의 기술들에 따라, 선택된 인트라-예측 모드를 표시한 정보를 인코딩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0) 는 송신된 비트스트림에, 복수의 인트라-예측 모드 인덱스 테이블들 및 복수의 수정된 인트라-예측 모드 인덱스 테이블들 (코드워드 매핑 테이블들로서도 또한 지칭됨) 을 포함할 수도 있는 구성 데이터, 다양한 블록들에 대한 인코딩 컨텍스트들의 정의들, 및 컨텍스트들 각각에 대한 사용을 위한 가장 가능성있는 인트라-예측 모드, 인트라-예측 모드 인덱스 테이블, 및 수정된 인트라-예측 모드 인덱스 테이블의 표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측 프로세싱 유닛 (41) 이 인터-예측 또는 인트라-예측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현재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한 이후, 비디오 인코더 (20) 는 현재 비디오 블록으로부터 예측 블록을 감산함으로써 잔차 비디오 블록을 형성한다. 잔차 블록에서의 잔차 비디오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TU들에 포함되고 변환 프로세싱 유닛 (52) 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변환 프로세싱 유닛 (52) 은 이산 코사인 변환 (DCT) 또는 개념적으로 유사한 변환과 같은 변환을 이용하여 잔차 비디오 데이터를 잔차 변환 계수들로 변환한다. 변환 프로세싱 유닛 (52) 은 잔차 비디오 데이터를 픽셀 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과 같은 변환 도메인으로 컨버팅할 수도 있다.
변환 프로세싱 유닛 (52) 은 결과적인 변환 계수들을 양자화 유닛 (54) 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양자화 유닛 (54) 은 비트 레이트를 추가로 감소시키기 위해 변환 계수들을 양자화한다. 양자화 프로세스는 그 계수들의 일부 또는 그 모두와 연관되는 비트 심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양자화의 정도는 양자화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수정될 수도 있다. 그 후, 일부 예들에 있어서, 양자화 유닛 (54) 은,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포함하는 매트릭스의 스캔을 수행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은 스캔을 수행할 수도 있다.
양자화 이후,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은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엔트로피 인코딩한다. 예를 들어,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은 컨텍스트 적응 가변 길이 코딩 (CAVLC), 컨텍스트 적응 이진 산술 코딩 (CABAC), 신택스 기반 컨텍스트 적응 이진 산술 코딩 (SBAC), 확률 간격 파티셔닝 엔트로피 (PIPE) 코딩, 또는 다른 엔트로피 인코딩 방법 또는 기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에 의한 엔트로피 인코딩 이후, 비트스트림은 비디오 디코더 (30) 로 송신되거나, 또는 비디오 디코더 (30) 에 의한 더 나중의 송신 또는 취출을 위해 아카이브될 수도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은 또한, 코딩되고 있는 현재 비디오 슬라이스에 대한 모션 벡터들 및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엔트로피 인코딩할 수도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은 본 개시의 기술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들에 있어서,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은 액세스 유닛의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내기 위해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은 또한,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생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생성된 신택스 엘리먼트들은, 비트스트림의 엔트로피 디코딩 또는 완전 압축해제를 수행할 필요없이 (예컨대, MANE 에 의해)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파싱하거나 해석할 능력을 보장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트스트림의 엔트로피 디코딩 또는 완전 압축해제를 수행할 필요없이 파싱될 수 있는 특정 신택스 엘리먼트들은, 엔트로피 디코딩 능력들을 요구하지 않는 고정 길이 코드들 또는 다른 기술들로 코딩될 수도 있다. 이들 단계들은 또한 다른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후-프로세싱 유닛 (27) 이 이들 단계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역양자화 유닛 (58) 및 역변환 프로세싱 유닛 (60) 은, 각각,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적용하여, 레퍼런스 픽처의 레퍼런스 블록으로서의 더 나중 사용을 위해 픽셀 도메인에서 잔차 블록을 복원한다. 모션 보상 유닛 (44) 은, 레퍼런스 픽처 리스트들 중 하나 내에서의 레퍼런스 픽처들 중 하나의 예측 블록에 잔차 블록을 부가함으로써 레퍼런스 블록을 계산할 수도 있다. 모션 보상 유닛 (44) 은 또한, 하나 이상의 보간 필터들을 복원된 잔여 블록에 적용하여, 모션 추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서브-정수 픽셀 값들을 계산할 수도 있다. 합산기 (62) 는 복원된 잔차 블록을, 모션 보상 유닛 (44) 에 의해 생성된 모션 보상된 예측 블록에 부가하여,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64) 로의 저장을 위한 레퍼런스 블록을 생성한다. 레퍼런스 블록은, 후속 비디오 프레임 또는 픽처에서의 블록을 인터-예측하기 위해 레퍼런스 블록으로서 모션 추정 유닛 (42) 및 모션 보상 유닛 (44) 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2 의 비디오 인코더 (20) 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인코더의 일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비디오 인코더 (20) 는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는 것으로서,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고, 액세스 유닛의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내기 위해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고,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생성하고, 그리고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코딩된 액세스 유닛, 신택스 엘리먼트, 및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포함한다.
도 3 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들을 구현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비디오 디코더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 의 예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 (30) 는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80), 예측 프로세싱 유닛 (81), 역양자화 유닛 (86), 역변환 유닛 (88), 합산기 (90), 필터 유닛 (91), 및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92) 를 포함한다. 예측 프로세싱 유닛 (81) 은 모션 보상 유닛 (82) 및 인트라 예측 프로세싱 유닛 (84) 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 (30) 는 도 2 로부터의 비디오 인코더 (20) 에 대하여 설명된 인코딩 패스에 일반적으로 상호적인 디코딩 패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디코딩 프로세스 동안, 비디오 디코더 (30) 는, 인코딩된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들 및 관련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나타내는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비디오 인코더 (20) 로부터 수신한다. 비디오 디코더 (30) 는 네트워크 엔터티 (29) 로부터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엔터티 (29) 는, 예를 들어, 서버, MANE, 비디오 편집기/스플라이서, 또는 상기 설명된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다른 그러한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엔터티 (29) 는 비디오 인코더 (20) 와 같은 비디오 인코더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설명된 기술들 중 일부는, 네트워크 (29) 가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비디오 디코더 (30) 로 송신하는 것 이전에 네트워크 엔터티 (29)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비디오 디코딩 시스템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엔터티 (29) 및 비디오 디코더 (30) 는 별개의 디바이스들의 부분들일 수도 있지만,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엔터티 (29) 에 대하여 설명된 기능은, 비디오 디코더 (30) 를 포함하는 동일한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신택스 엘리먼트,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 및 코딩된 액세스 유닛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엔터티 (29) 는 비트스트림의 다른 양태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엔터티 (29) 는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신택스 엘리먼트는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는지 여부의 표시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엔터티 (29) 는 또한,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낸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결정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엔터티 (29) 는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추가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엔터티 (29) 는, 코딩된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다른 픽처들에 대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엔터티 (29) 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디오 인코더 (20) 또는 사후 프로세싱 유닛 (27) 으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다.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신택스 엘리먼트,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 및 코딩된 액세스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엔터티 (29) 는 신택스 엘리먼트 및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판독할 수도 있으며, 이들 양자는 엔트로피 인코딩 프로세스의 외부에서 비트스트림에 부가될 수도 있고 엔트로피 디코딩 프로세스의 외부에서 디코딩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엔터티 (29) 는 신택스 엘리먼트에 대한 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크로스 계층 정렬이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함에 있어서 이용되었음을 나타내는 값과 신택스 엘리먼트가 동일하면, 네트워크 엔터티 (29) 는,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비트스트림 제한에서 표시된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하는지를 알기 위해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에 대한 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미리결정된 범위에 있으면, 네트워크 엔터티 (29) 는 모든 다른 픽처들에 대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엔터티 (29) 에서 이들 단계들을 수행하는 것은 수개의 이점들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RA 또는 IDR 픽처들이 크로스 계층 정렬됨을 네트워크 엔터티 (29) 가 통지받으면, 네트워크 엔터티 (29) 는 액세스 유닛의 모든 픽처들의 수신을 대기하고 그들을 파싱하고 그 후 현재 액세스 유닛이 모든 계층들로의 완전한 랜덤 액세스가능성을 제공함을 결정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계층들의 임의의 세트로의 심플 랜덤 액세스, 계층들의 임의의 세트와의 스플라이싱, 및 임의의 계층으로의 스위칭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엔트로피 인코딩 및 엔트로피 디코딩 프로세스의 외부에서 이러한 단계를 수행하는 것은 외부 디바이스로 하여금 어떠한 코딩 동작들 또는 완전 압축해제도 사용하지 않고 이들 특성들을 결정하게 하고, 이에 의해,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개선시킬 수도 있다.
비디오 디코더 (30) 의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80) 은 비트스트림을 엔트로피 디코딩하여, 양자화된 계수들, 모션 벡터들, 및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생성한다.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80) 은 모션 벡터들 및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예측 프로세싱 유닛 (81) 으로 포워딩한다. 비디오 디코더 (30) 는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비디오 슬라이스 레벨 및/또는 비디오 블록 레벨로 수신할 수도 있다.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80) 은 비트스트림의 다른 양태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80) 은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신택스 엘리먼트는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는지 여부의 표시를 포함한다.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80) 은 또한,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낸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결정할 수도 있다.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80) 은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추가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80) 은, 코딩된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다른 픽처들에 대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신택스 엘리먼트 및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은, 비트스트림의 엔트로피 디코딩 또는 완전 압축해제를 수행할 필요없이 (예컨대, MANE 에 의해)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파싱하거나 해석할 능력을 보장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인코딩 프로세스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트스트림의 엔트로피 디코딩 또는 완전 압축해제를 수행할 필요없이 파싱될 수 있는 특정 신택스 엘리먼트들은, 엔트로피 디코딩 능력들을 요구하지 않는 고정 길이 코드들 또는 다른 기술들로 코딩될 수도 있다. 이들 예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29) 는 이들 단계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비디오 슬라이스가 인트라-코딩된 (I) 슬라이스로서 코딩된 경우, 예측 프로세싱 유닛 (81) 의 인트라 예측 프로세싱 유닛 (84) 은 현재 프레임 또는 픽처의 이전에 디코딩된 블록들로부터의 데이터 및 시그널링된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비디오 프레임이 인터-코딩된 (즉, B, P 또는 GPB) 슬라이스로서 코딩된 경우, 예측 프로세싱 유닛 (81) 의 모션 보상 유닛 (82) 은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80) 으로부터 수신된 모션 벡터들 및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기초하여 현재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들을 생성한다. 예측 블록들은 레퍼런스 픽처 리스트들 중 하나 내에서의 레퍼런스 픽처들 중 하나로부터 생성될 수도 있다. 비디오 디코더 (30) 는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92) 에 저장된 레퍼런스 픽처들에 기초한 디폴트 구성 기술들을 이용하여 레퍼런스 픽처 리스트들, 즉, 리스트 0 및 리스트 1 을 구성할 수도 있다.
모션 보상 유닛 (82) 은 모션 벡터들 및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파싱함으로써 현재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정보를 결정하고, 그 예측 정보를 사용하여, 디코딩되고 있는 현재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들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모션 보상 유닛 (82) 은 수신된 신택스 엘리먼트들 중 일부를 사용하여, 비디오 슬라이스의 비디오 블록들을 코딩하는데 사용되는 예측 모드 (예를 들어, 인트라-예측 또는 인터-예측), 인터-예측 슬라이스 타입 (예를 들어, B 슬라이스, P 슬라이스, 또는 GPB 슬라이스), 슬라이스에 대한 레퍼런스 픽처 리스트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구성 정보, 슬라이스의 각각의 인터-인코딩된 비디오 블록에 대한 모션 벡터들, 슬라이스의 각각의 인터-코딩된 비디오 블록에 대한 인터-예측 상태, 및 현재 비디오 슬라이스에 있어서의 비디오 블록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다른 정보를 결정한다.
모션 보상 유닛 (82) 은 또한, 보간 필터들에 기초하여 보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모션 보상 유닛 (82) 은 비디오 블록들의 인코딩 동안 비디오 인코더 (20) 에 의해 사용된 바와 같은 보간 필터들을 이용하여, 레퍼런스 블록들의 서브-정수 픽셀들에 대한 보간된 값들을 계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션 보상 유닛 (82) 은 수신된 신택스 엘리먼트들로부터 비디오 인코더 (20) 에 의해 사용된 보간 필터들을 결정하고, 보간 필터들을 이용하여 예측 블록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역양자화 유닛 (86) 은 비트스트림에서 제공되고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80) 에 의해 디코딩되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역양자화, 즉, 양자화해제한다. 역양자화 프로세스는 비디오 슬라이스에 있어서의 각각의 비디오 블록에 대해 비디오 인코더 (20) 에 의해 계산된 양자화 파라미터의 이용을 포함하여, 적용되어야 하는 양자화의 정도 및 유사하게 역양자화의 정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역변환 프로세싱 유닛 (88) 은 픽셀 도메인에서 잔차 블록들을 생성하기 위해, 역변환, 예를 들어, 역 DCT, 정수 역변환, 또는 개념적으로 유사한 역변환 프로세스를 변환 계수들에 적용한다.
모션 보상 유닛 (82) 이 모션 벡터들 및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기초하여 현재 비디오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한 이후, 비디오 디코더 (30) 는 역변환 프로세싱 유닛 (82) 으로부터의 잔차 블록들을 모션 보상 유닛 (82) 에 의해 생성된 대응하는 예측 블록들과 합산함으로써 디코딩된 비디오 블록을 형성한다. 합산기 (90) 는 이러한 합산 연산을 수행하는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요구된다면, (코딩 루프에 있어서 또는 코딩 루프 이후에) 루프 필터들이 또한 픽셀 천이들을 평활하게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비디오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필터 유닛 (91) 은 디블록킹 필터, 적응 루프 필터 (ALF), 및 샘플 적응 오프셋 (SAO) 필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루프 필터들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비록 필터 유닛 (91) 이 인-루프 필터인 것으로서 도 3 에 도시되지만, 다른 구성들에 있어서, 필터 유닛 (91) 은 포스트 루프 필터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후, 소정의 프레임 또는 픽처에 있어서의 디코딩된 비디오 블록들이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92) 에 저장되고, 이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는 후속적인 모션 보상을 위해 사용되는 레퍼런스 픽처들을 저장한다. 레퍼런스 픽처 메모리 (92) 는 또한, 도 1 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1) 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으로의 더 나중의 프리젠테이션을 위해 디코딩된 비디오를 저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3 의 비디오 디코더 (30) 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디코더의 일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비디오 디코더 (30) 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신택스 엘리먼트,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 및 코딩된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코딩된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고,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신택스 엘리먼트는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는지 여부의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고,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낸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결정하고,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코딩된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다른 픽처들에 대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이 구현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네트워크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 는 네트워크 (100) 의 부분을 형성하는 디바이스들의 예시적인 세트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 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100) 는 라우팅 디바이스들 (104A, 104B) (라우팅 디바이스들 (104)) 및 트랜스코딩 디바이스 (106) 를 포함한다. 라우팅 디바이스들 (104) 및 트랜스코딩 디바이스 (106) 는, 네트워크 (100) 의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는 적은 수의 디바이스들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스위치들, 허브들, 게이트웨이들, 방화벽들, 브리지들, 및 다른 그러한 디바이스들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이 또한 네트워크 (10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더욱이, 추가적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이 서버 디바이스 (102) 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08) 사이의 네트워크 경로를 따라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서버 디바이스 (102) 는 소스 디바이스 (12) (도 1) 에 대응할 수도 있지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08) 는 목적지 디바이스 (14) (도 1)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라우팅 디바이스들 (104) 은 하나 이상의 라우팅 프로토콜들을 구현하여 네트워크 데이터를 네트워크 (100) 를 통해 교환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라우팅 디바이스들 (104) 은 프록시 또는 캐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예들에 있어서, 라우팅 디바이스들 (104) 은 프록시 디바이스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라우팅 디바이스들 (104) 은 라우팅 프로토콜들을 실행하여 네트워크 (100) 를 통한 루트들을 발견한다. 그러한 라우팅 프로토콜들을 실행함으로써, 라우팅 디바이스 (104B) 는 자신으로부터 라우팅 디바이스 (104A) 를 통한 서버 디바이스 (102) 로의 네트워크 루트를 발견할 수도 있다.
라우팅 디바이스들 (104) 중 하나 이상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을 이용하는 MANE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라우팅 디바이스들 (104) 중 하나 이상은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신택스 엘리먼트는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는지 여부의 표시를 포함한다. 라우팅 디바이스들 (104) 중 하나 이상은 또한,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낸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결정할 수도 있다. 라우팅 디바이스들 (104) 중 하나 이상은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추가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라우팅 디바이스들 (104) 중 하나 이상은, 코딩된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다른 픽처들에 대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들 단계들은 또한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29) 가 이들 단계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기술들은 그러한 라우팅 디바이스들 (104) 및 트랜스코딩 디바이스 (106) 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지만, 또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08)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라우팅 디바이스들 (104), 트랜스코딩 디바이스 (106),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08) 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들의 예들을 나타낸다. 더욱이, 도 1 의 디바이스들, 그리고 도 2 에 도시된 인코더 (20) 및 도 3 에 도시된 디코더 (30) 는 또한, 본 개시의 기술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바이스들이다.
도 5 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기술들에 따른, 예시적인 프로세싱 기술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 기술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 (30) 의 네트워크 엔터티 (29) 또는 엔트로피 디코딩 유닛 (80) 과 같은 비디오 디바이스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다 (140). 일부 예들에 있어서,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신택스 엘리먼트,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 및 코딩된 액세스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 디바이스는 비트스트림에서의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142). 신택스 엘리먼트는 코딩된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다는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코딩된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다고 표시하는 신택스 엘리먼트에 응답하여, 비디오 디바이스는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에 대한 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144). 비디오 디바이스는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의 값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146).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비디오 디바이스는, 코딩된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다른 픽처들에 대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148).
도 6 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기술들에 따른, 예시적인 인코딩 기술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 기술에 있어서, 비디오 인코더 (20) 의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과 같은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는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할 수도 있다 (160). 비디오 인코더 (20) 의 사후 프로세싱 유닛 (27) 또는 엔트로피 인코딩 유닛 (56) 과 같은 비디오 디바이스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162). 신택스 엘리먼트는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다는 표시일 수도 있다. 비디오 디바이스는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생성할 수도 있다 (164). 그 후, 비디오 디바이스는 비트스트림을 출력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코딩된 액세스 유닛, 신택스 엘리먼트, 및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포함한다 (166).
하나 이상의 예들에 있어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으로 저장 또는 전송되고 하드웨어 기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예를 들어,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매체 또는 통신 매체와 같은 유형의 매체에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반적으로 (1) 비-일시적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는 (2) 신호 또는 캐리어파와 같은 통신 매체에 대응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저장 매체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들의 구현을 위한 명령들, 코드 및/또는 데이터 구조들을 취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커넥션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명명된다.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쌍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명령들이 송신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쌍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하지만,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데이터 저장 매체는 커넥션들, 캐리어파들, 신호들, 또는 다른 일시적 매체를 포함하지 않지만 대신 비-일시적인 유형의 저장 매체로 지향됨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컴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 (disk) 는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 (disc) 는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들),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주문형 집적회로들 (ASIC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어레이들 (FPGA들), 또는 다른 등가의 집적된 또는 별도의 로직 회로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프로세서" 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의 구현에 적합한 전술한 구조 또는 임의의 다른 구조 중 임의의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양태들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은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해 구성되고 결합된 코덱에서 통합된 전용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그 기술들은 하나 이상의 회로들 또는 로직 엘리먼트들에서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들은 무선 핸드셋, 집적 회로 (IC) 또는 IC들의 세트 (예를 들어, 칩 세트) 를 포함하여 매우 다양한 디바이스들 또는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컴포넌트들, 모듈들 또는 유닛들이 개시된 기술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들의 기능적 양태들을 강조하기 위해 본 개시에서 설명되지만, 반드시 상이한 하드웨어 유닛들에 의한 실현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유닛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와 함께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여 코덱 하드웨어 유닛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상호운용식 하드웨어 유닛들의 집합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예들이 설명되었다. 이들 및 다른 예들은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64)

  1.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으로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신택스 엘리먼트,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 및 코딩된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코딩된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상기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는지 여부의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낸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상기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코딩된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다른 픽처들에 대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플래그인,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 (VPS) 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 (VPS) 확장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보충 강화 정보 (SEI) 메시지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SPS) 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에 액세스하도록 엔트로피 디코딩될 필요없는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에서의 포지션에서 시그널링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고정 길이 코딩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임의의 가변 길이 코딩된 엘리먼트들 이전에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에서 포지셔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일부 가변 길이 코딩된 엘리먼트들 이후에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에서 그리고 VPS 확장 엘리먼트들의 세트의 시작부에서 포지셔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확장 신택스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가변 길이 코딩된 엘리먼트들 이전에 하지만 일부 가변 길이 코딩된 엘리먼트들 이후에, 상기 확장 신택스 엘리먼트들의 세트 내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에서 포지셔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0 내지 31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16 내지 23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19 내지 20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16 내지 18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21 과 동일한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3가지 비트스트림 제한들이 결합하여 적용되며,
    상기 3가지 비트스트림 제한들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0 내지 31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제 1 비트스트림 제한;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16 내지 23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제 2 비트스트림 제한;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19 내지 20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제 3 비트스트림 제한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18.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로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신택스 엘리먼트,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 및 코딩된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코딩된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상기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는지 여부의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고;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낸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상기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코딩된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다른 픽처들에 대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플래그인,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 (VPS) 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 (VPS) 확장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보충 강화 정보 (SEI) 메시지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SPS) 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에 액세스하도록 엔트로피 디코딩될 필요없는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에서의 포지션에서 시그널링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고정 길이 코딩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임의의 가변 길이 코딩된 엘리먼트들 이전에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에서 포지셔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일부 가변 길이 코딩된 엘리먼트들 이후에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에서 그리고 VPS 확장 엘리먼트들의 세트의 시작부에서 포지셔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28.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확장 신택스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가변 길이 코딩된 엘리먼트들 이전에 하지만 일부 가변 길이 코딩된 엘리먼트들 이후에, 상기 확장 신택스 엘리먼트들의 세트 내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에서 포지셔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2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0 내지 31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3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16 내지 23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3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19 내지 20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3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16 내지 18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3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21 과 동일한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34. 제 18 항에 있어서,
    3가지 비트스트림 제한들이 결합하여 적용되며,
    상기 3가지 비트스트림 제한들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0 내지 31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제 1 비트스트림 제한;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16 내지 23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제 2 비트스트림 제한;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19 내지 20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제 3 비트스트림 제한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3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는 비디오 디코더인,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3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는 미디어 인식 네트워크 엘리먼트인,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37. 비디오를 프로세싱하는 장치로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신택스 엘리먼트,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 및 코딩된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코딩된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상기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는지 여부의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낸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상기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코딩된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다른 픽처들에 대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를 프로세싱하는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플래그인, 비디오를 프로세싱하는 장치.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보충 강화 정보 (SEI) 메시지에 포함되는, 비디오를 프로세싱하는 장치.
  4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0 내지 31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를 프로세싱하는 장치.
  4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16 내지 23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를 프로세싱하는 장치.
  42.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19 내지 20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를 프로세싱하는 장치.
  43. 명령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실행될 경우,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신택스 엘리먼트,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 및 코딩된 액세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코딩된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게 하고;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상기 액세스 유닛이 크로스 계층 정렬을 이용하여 코딩되었는지 여부의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게 하고;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낸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결정하게 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상기 타입 값들의 미리결정된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코딩된 액세스 유닛에서의 모든 다른 픽처들에 대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플래그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보충 강화 정보 (SEI) 메시지에 포함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6.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0 내지 31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7.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16 내지 23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8.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19 내지 20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9.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으로서,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는 단계로서, 상기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유닛의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내기 위해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생성하는 단계; 및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코딩된 상기 액세스 유닛,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플래그인,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보충 강화 정보 (SEI) 메시지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52.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0 내지 31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53.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16 내지 23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54.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19 내지 20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55.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로서,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는 것으로서, 상기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고;
    상기 액세스 유닛의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내기 위해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고;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생성하고; 그리고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코딩된 상기 액세스 유닛,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플래그인,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57.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는 보충 강화 정보 (SEI) 메시지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58.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0 내지 31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59.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16 내지 23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60.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낼 경우 비트스트림 제한이 적용되며, 상기 비트스트림 제한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이 수치들 19 내지 20 을 포함하는 범위 내의 값을 가질 것 및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각각의 다른 픽처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과 동일한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가질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61.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는 비디오 인코더인,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62.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는 사후 프로세싱 유닛인,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
  63. 비디오를 프로세싱하는 장치로서,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는 수단;
    상기 액세스 유닛의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내기 위해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생성하는 수단; 및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코딩된 상기 액세스 유닛,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포함하는, 비디오를 프로세싱하는 장치.
  64. 명령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실행될 경우,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액세스 유닛은 복수의 픽처들을 포함하는, 상기 액세스 유닛을 인코딩하게 하고;
    상기 액세스 유닛의 크로스 계층 정렬을 나타내기 위해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게 하고;
    상기 액세스 유닛에서의 픽처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생성하게 하고; 그리고
    비트스트림을 출력하게 하며,
    상기 비트스트림은 적어도 코딩된 상기 액세스 유닛,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유닛 타입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57032643A 2013-04-17 2014-04-17 멀티-계층 비디오 코딩에서의 크로스 계층 픽처 타입 정렬의 표시 KR102221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13120P 2013-04-17 2013-04-17
US61/813,120 2013-04-17
US14/254,400 US9602822B2 (en) 2013-04-17 2014-04-16 Indication of cross-layer picture type alignment in multi-layer video coding
US14/254,400 2014-04-16
PCT/US2014/034523 WO2014172549A1 (en) 2013-04-17 2014-04-17 Indication of cross-layer picture type alignment in multi-layer video co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924A true KR20160002924A (ko) 2016-01-08
KR102221569B1 KR102221569B1 (ko) 2021-02-26

Family

ID=5172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643A KR102221569B1 (ko) 2013-04-17 2014-04-17 멀티-계층 비디오 코딩에서의 크로스 계층 픽처 타입 정렬의 표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9602822B2 (ko)
EP (1) EP2987324B1 (ko)
JP (1) JP6363172B2 (ko)
KR (1) KR102221569B1 (ko)
CN (3) CN108718415B (ko)
ES (1) ES2842082T3 (ko)
WO (1) WO20141725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2822B2 (en) 2013-04-17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on of cross-layer picture type alignment in multi-layer video coding
US9525883B2 (en) * 2013-07-15 2016-12-20 Qualcomm Incorporated Cross-layer alignment of intra random access point pictures
CN106303673B (zh) * 2015-06-04 2021-01-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码流对齐、同步处理方法及发送、接收终端和通信系统
US10623755B2 (en) * 2016-05-23 2020-04-14 Qualcomm Incorporated End of sequence and end of bitstream NAL units in separate file tracks
US20190394494A1 (en) * 2017-02-20 2019-12-26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10812818B2 (en) * 2018-12-14 2020-10-20 Tencent America LLC Network abstraction unit layer type classes in network abstraction layer unit header
MX2021011021A (es) * 2019-03-11 2021-11-12 Huawei Tech Co Ltd Imágenes con tipos de unidad nal mezclados.
US11418779B2 (en) * 2019-06-11 2022-08-16 Qualcomm Incorporated Clipping indices coding for adaptive loop filter in video coding
CN115299063A (zh) 2020-02-27 2022-11-04 抖音视界有限公司 变换跳过残差编解码
WO2021208994A1 (en) * 2020-04-15 2021-10-21 Beijing Bytedance Network Technology Co., Ltd. Sub-bitstream extraction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5069B2 (en) * 2003-12-09 2008-08-19 Lsi Corporation Method for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infrequently changing sequence and picture parameter sets
US7885337B2 (en) * 2004-08-23 2011-02-08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video slicing
FR2899758A1 (fr) * 2006-04-07 2007-10-12 France Telecom Procede et dispositif de codage de donnees en un flux scalable
BRPI0714564B1 (pt) * 2006-07-20 2020-09-15 Interdigital Vc Holdings, Inc Método e aparelho para escalabilidade de visualização por sinalização em codificação de multivisualização em vídeo, estrutura de sinal de vídeo para codificação de vídeo e mídia de armazenagem
WO2008048605A2 (en) * 2006-10-16 2008-04-24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using a network abstract layer unit to signal an instantaneous decoding refresh during a video operation
AU2007319261B2 (en) * 2006-11-14 2010-12-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hannel switching
JP5108896B2 (ja) * 2006-12-21 2012-12-26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多視点映像符号化及び復号化用の、ハイレベルシンタックスを使用した改善されたシグナリング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90003431A1 (en) * 2007-06-28 2009-01-01 Lihua Zhu Method for encoding video data in a scalable manner
BRPI0810213A8 (pt) * 2007-05-16 2018-12-11 Thomson Licensing métodos e aparelho para uso de grupos de fatia na decodificação de informações de codificação de vídeo de múltiplas vistas (mvc).
CN101690229A (zh) * 2007-06-26 2010-03-31 诺基亚公司 用于指示时间层切换点的系统和方法
US8483282B2 (en) * 2007-10-12 2013-07-09 Qualcomm, Incorporated Entropy coding of interleaved sub-blocks of a video block
US8332736B2 (en) * 2007-11-29 2012-12-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ecoder with resiliency to handle errors in a received data stream
US20100091841A1 (en) * 2008-10-07 2010-04-15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of optimized bit extraction for scalable video coding
FR2940736B1 (fr) * 2008-12-30 2011-04-08 Sagem Comm Systeme et procede de codage video
CA2718447C (en) * 2009-04-28 2014-10-21 Panasonic Corporation Image decoding method, image coding method, image decoding apparatus, and image coding apparatus
US20120075436A1 (en) * 2010-09-24 2012-03-29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stereo video data
EP2664151A4 (en) * 2011-01-14 2016-01-20 Vidyo Inc HIGH-COATED SYNTAX FOR TIMELY SCALABILITY
WO2012105265A1 (en) * 2011-02-03 2012-08-09 Panasoni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decoding video which support compatibility functionality to legacy video players
US20130170561A1 (en) * 2011-07-05 2013-07-0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ding and decoding
US10237565B2 (en) * 2011-08-01 2019-03-19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parameter sets for various dimensions in video coding
US9532055B2 (en) * 2012-04-16 2016-12-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straints and unit types to simplify video random access
CN104380749A (zh) * 2012-04-16 2015-02-25 诺基亚公司 用于视频编码的方法和装置
US20150139338A1 (en) 2012-05-03 2015-05-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dentifying Leading Pictures in Video Coding
US9992490B2 (en) 2012-09-26 2018-06-05 Sony Corporation Video parameter set (VPS) syntax re-ordering for easy access of extension parameters
US20140218473A1 (en) 2013-01-07 2014-08-0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ding and decoding
US9807421B2 (en) 2013-04-05 2017-10-31 Sharp Kabushiki Kaisha NAL unit type restrictions
US9591321B2 (en) 2013-04-07 2017-03-07 Dolby International Ab Signaling change in output layer sets
CN105308964A (zh) 2013-04-12 2016-02-0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随机访问的多层视频编码方法及其装置以及用于随机访问的多层视频解码方法及其装置
US9602822B2 (en) 2013-04-17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on of cross-layer picture type alignment in multi-layer video coding
HUE032227T2 (en) * 2013-10-14 2017-09-28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Scaling an image sequence in scalable vide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e-Kui Wang, et al. AHG9: On cross-layer alignments in HEVC 3DV and scalable extensions, 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 (JCT-VC), JCTVC-M0266, 2013-04-09, pp. 1-6 *
Ye-Kui Wang, et al. MV-HEVC/SHVC HLS: On cross-layer alignments in HEVC 3DV and scalable extensions, Joint Collaborative Team on 3D Video Coding Extensions, JCT3V-D0046, 2013-04-10, pp. 1-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42082T3 (es) 2021-07-12
CN108718415B (zh) 2021-03-26
CN108718414B (zh) 2021-06-18
JP2016521503A (ja) 2016-07-21
US20140314140A1 (en) 2014-10-23
US9602822B2 (en) 2017-03-21
US20170171549A1 (en) 2017-06-15
CN105122798B (zh) 2018-08-10
US9712832B2 (en) 2017-07-18
CN108718414A (zh) 2018-10-30
EP2987324B1 (en) 2020-10-07
KR102221569B1 (ko) 2021-02-26
CN105122798A (zh) 2015-12-02
WO2014172549A1 (en) 2014-10-23
US9712831B2 (en) 2017-07-18
JP6363172B2 (ja) 2018-07-25
EP2987324A1 (en) 2016-02-24
US20170171550A1 (en) 2017-06-15
CN108718415A (zh) 201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258B1 (ko) 비디오 코딩에서 4:2:2 샘플 포맷에 대한 코딩된 블록 플래그 (cbf) 코딩
KR101633200B1 (ko) 콘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코딩을 위한 콘텍스트들의 개수 감소
RU2635892C2 (ru) Сигнализация идентификаторов уровней для рабочих точек при кодировании видео
KR102221569B1 (ko) 멀티-계층 비디오 코딩에서의 크로스 계층 픽처 타입 정렬의 표시
KR20190007427A (ko)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이웃 기반의 시그널링
KR102147553B1 (ko) 고정 길이 코딩된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 id (vps_id) 를 포함하는 sei 메시지
JP6177884B2 (ja) パラメータセットコーディング
KR20150013547A (ko) 브로큰 링크 픽처들을 갖는 비디오 시퀀스들에서 참조 픽처들의 마킹
KR20150036169A (ko) 타일들 및 파면 병렬 프로세싱
EP2774364A1 (en) Transform unit partitioning for chroma components in video coding
KR20160034321A (ko) 인트라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들의 개선된 교차-계층 정렬
KR101865453B1 (ko) 비디오 코더의 동작 포인트들에 대한 계층 식별자들의 개선된 시그널링
KR20150086533A (ko) 비디오 코딩에서 hevc 확장들을 위한 다중 계층들의 저복잡도 지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