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644U - 분전반 - Google Patents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644U
KR20160002644U KR2020150000446U KR20150000446U KR20160002644U KR 20160002644 U KR20160002644 U KR 20160002644U KR 2020150000446 U KR2020150000446 U KR 2020150000446U KR 20150000446 U KR20150000446 U KR 20150000446U KR 20160002644 U KR20160002644 U KR 201600026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e protector
distribution board
rail
casing
distribu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032Y1 (ko
Inventor
강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트로닉스
Priority to KR2020150000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032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6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6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0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26Arrangements of fuses, resistors, voltage arrester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를 분배하여 공급하는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전반 케이싱의 일측에 마련되는 레일부를 마련하고, 서지 프로텍터 모듈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서지 프로텍터의 교체 내지 점검을 손쉽게 할 수 있는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전반{distribution board}
본 고안은 전기를 분배하여 공급하는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전반 케이싱의 일측에 마련되는 레일부를 마련하고, 서지 프로텍터 모듈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서지 프로텍터의 교체 내지 점검을 손쉽게 할 수 있는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필요로 하는 통신, 자동차, 선박, 건설, 가전 등 많은 분야에서 전기를 분배하여 급전할 때 분전반 장치(Power Distribution Unit)를 필요로 한다. 분전반은 전기를 분배하여 급전할 때, 여러 개의 배선을 열저항을 줄이고 간단하게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분전반은 일반적으로 배선을 연결하기 위한 공통의 부스바(BusBar)에 다수의 배선을 연결된다.
그리고 분전반에는 낙뢰나 과전압으로부터 내부회로 내지 내부소자를 보호하고 전력 차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서지 프로텍터를 설치한다.
종래 서지 프로텍터(surge protective device)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내에 AC fuse breaker, battery circuit breaker와 같은 소자와 함께 케이싱 내에 설치되어 있어 다수의 배선과 각종 소자가 밀집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서지 프로텍터를 교체하거나 점검하기 위해서는 케이싱의 전판 또는 상판은 물론, AC fuse breaker, battery circuit breaker와 같은 주변 소자까지 분리한 다음, 체결된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풀어야 하고, 결합시에도 역순으로 동일한 과정을 거쳐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서지 프로텍터를 손쉽게 케이싱 내에 인입하고 인출할 수 있는 구조의 분전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0156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9233호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분전반 케이싱의 일측에 마련되는 레일부를 마련하고, 서지 프로텍터 모듈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서지 프로텍터의 교체 내지 점검을 손쉽게 할 수 있는 분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은 분전반 케이싱의 일측에 마련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결합하는 서지 프로텍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서지 프로텍터 모듈은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마련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탑재되는 서지 프로텍터부와; 상기 기판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전기 접속부가 결합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분전반 케이싱에 인입, 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의 레일부는 상기 분전반 케이싱을 커팅 및 절곡하여 상기 분전반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의 서지 프로텍터 모듈은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분전반 케이싱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의 단자부는 접속홀과, 상기 접속홀에 체결되어 링 또는 반원 형상의 상기 전기 접속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의 단자부는 커넥터 타입의 상기 전기 접속부와 결합하도록 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에 의하면 서지 프로텍터를 모듈화하여 케이싱의 일측에 마련된 레일부를 통해 케이싱 내로 인입, 인출되기 때문에 서지 프로텍터의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도 1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서지 프로텍터 모듈이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서지 프로텍터 모듈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단자부가 핀 형태로 구성된 서지 프로텍터 모듈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 분전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 및 후술 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서지 프로텍터 모듈이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서지 프로텍터 모듈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분전반(100)은 전기를 분배하여 공급하는 것으로서, 분전반 케이싱(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레일부(113)와, 상기 레일부(113)에 결합하는 서지 프로텍터 모듈(130)을 구비한다.
상기 레일부(113)는 상기 서지 프로텍터 모듈(130)이 분전반 케이싱(110)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분전반 케이싱(110)의 측벽(111)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부(113)는 상기 분전반 케이싱(110)의 측벽(111)을 커팅하고 절곡하여 상기 분전반 케이싱(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전반 케이싱(110)의 측벽(111)에서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서지 프로텍터(133a)가 놓이는 수평부(115)와, 상기 수평부(115)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서지 프로텍터(133a)가 수평부(115)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가이드부(11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지 프로텍터 모듈(130)은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일면에 마련되는 기판(132)과, 상기 기판(132) 상에 탑재되는 서지 프로텍터부(133)와, 상기 기판(132)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분전반 내부회로와 접속되는 단자부(135)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3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115)와 대응되는 두께로 구성되어 일 측면이 상기 수평부(115) 상에 올려져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로 이동한다.
상기 몸체(131)의 후단부에는 커버(140)와 손잡이(145)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140)는 상기 분전반 케이싱(110)에 형성된 개구부(미도시)를 막아 분전반(100) 내로 먼지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분전반 케이싱(1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F)가 삽입되는 체결공(141)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45)는 상기 커버(140)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서지 프로텍터 모듈(130)의 인입과 인출이 용이하도록 해준다.
상기 기판(132)은 탑재된 서지 프로텍터부(133)와 단자부(135)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F)에 의해 상기 몸체(131)의 일면에 고정된다.
상기 서지 프로텍터부(133)는 낙뢰 또는 과전압으로부터 분전반 내부회로에 접속된 소자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3개의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3개의 서지 프로텍터(133a)와, 상기 서지 프로텍터(133a)를 보호하는 덮개(134)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자부(135)는 기판(132)의 전단부에 병설된 3개의 단자, 구체적으로 2개의 입력단자(135a,135b)와, 1개의 접지단자(135c)로 구성되며, 전기 접속부(150)를 통해 분전반 내부회로와 접속된다. 상기 전기 접속부(150)는 내부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단자부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링 또는 반원 형상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각 단자(135a,135b,135c)는 절연벽(136)에 의해 구획되며, 고정부재(F)가 결합하는 홀(137)이 형성된다.
상기 홀(137)에 고정부재(F)를 체결함으로써, 링 또는 반원 형상의 전기 접속부(150)를 고정한다.
도 4는 도 3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단자부가 핀 형태로 구성된 서지 프로텍터 모듈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자부(135a)와 전기접속부(150a)는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자부(135a)는 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접속부(150a)는 상기 단자부(135a)가 삽입하여 고정되는 커넥터 타입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서지 프로텍터 모듈을 분전반 케이싱에서 인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서지 프로텍터부(133)의 교체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커버(140)에 체결된 고정부재(F)를 제거한 다음, 손잡이(145)를 잡아당기면 상기 서지 프로텍터 모듈(130)이 레일부(113)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인출되는데, 이때 단자부(135)에 고정된 전기 접속부와, 상기 전기 접속부에 연결된 배선도 함께 인출된다.
그 다음, 서지 프로텍터부(133)의 교체 등 필요한 작업을 한 후, 상기 서지 프로텍터 모듈(130)을 레일부(113)를 따라 밀어넣고 고정부재(F)로 고정하게 된다.
종래 분전반에서는 분전반 케이싱 내에 설치된 다수의 각종 소자와 함께 서지 프로텍터가 병설되어 있기 때문에 교체 작업이 복잡했으나, 본 고안에서는 서지 프로텍터가 다른 소자들과 독립된 모듈 형태로 구성되고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손쉽게 인입, 인출하여 서지 프로텍터의 교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분전반 110 : 분전반 케이싱
111 : 측벽 113 : 레일부
115 : 수평부 117 : 가이드부
130 : 서지 프로텍터 모듈 131 : 몸체
132 : 기판 133 : 서지 프로텍터부
133a : 서지 프로텍터 134 : 덮개
135 : 단자부 136 : 절연벽
137 : 홀 140 : 커버
141 : 체결공 145 : 손잡이
150 : 전기접속부 F : 고정부재

Claims (5)

  1. 분전반 케이싱의 일측에 마련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결합하는 서지 프로텍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서지 프로텍터 모듈은,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마련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탑재되는 서지 프로텍터부와;
    상기 기판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전기 접속부가 결합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분전반 케이싱에 인입, 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분전반 케이싱을 커팅 및 절곡하여 상기 분전반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 프로텍터 모듈은,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분전반 케이싱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접속홀과, 상기 접속홀에 체결되어 링 또는 반원 형상의 상기 전기 접속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커넥터 타입의 상기 전기 접속부와 결합하도록 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KR2020150000446U 2015-01-20 2015-01-20 분전반 KR2004830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446U KR200483032Y1 (ko) 2015-01-20 2015-01-20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446U KR200483032Y1 (ko) 2015-01-20 2015-01-20 분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44U true KR20160002644U (ko) 2016-07-29
KR200483032Y1 KR200483032Y1 (ko) 2017-03-28

Family

ID=5661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446U KR200483032Y1 (ko) 2015-01-20 2015-01-20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0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021A (ko) * 2019-04-25 2020-11-04 옵티멀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전자 단자함 보관 하우징
CN113437665A (zh) * 2021-07-14 2021-09-24 青岛海尔能源动力有限公司 一种具备浪涌保护功能的配电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21068U (ko) * 1990-05-19 1991-12-20 금성기전 주식회사 배전기기류의 단레일 착탈장치
KR100610156B1 (ko) 2004-06-18 2006-08-10 삼성물산 주식회사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KR100779233B1 (ko) 2007-06-07 2007-12-05 주식회사 대홍전기 분전반
KR100928744B1 (ko) * 2007-12-18 2009-11-27 전주술 서지 보호기가 내장된 차단기
KR101357285B1 (ko) * 2013-09-04 2014-01-28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수배전반에 다적재가 가능한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KR101360239B1 (ko) * 2013-08-01 2014-02-12 (주)써지프리 모듈구조 외함과 안전커버로 구성된 일체형 서지보호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21068U (ko) * 1990-05-19 1991-12-20 금성기전 주식회사 배전기기류의 단레일 착탈장치
KR100610156B1 (ko) 2004-06-18 2006-08-10 삼성물산 주식회사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KR100779233B1 (ko) 2007-06-07 2007-12-05 주식회사 대홍전기 분전반
KR100928744B1 (ko) * 2007-12-18 2009-11-27 전주술 서지 보호기가 내장된 차단기
KR101360239B1 (ko) * 2013-08-01 2014-02-12 (주)써지프리 모듈구조 외함과 안전커버로 구성된 일체형 서지보호기
KR101357285B1 (ko) * 2013-09-04 2014-01-28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수배전반에 다적재가 가능한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021A (ko) * 2019-04-25 2020-11-04 옵티멀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전자 단자함 보관 하우징
CN113437665A (zh) * 2021-07-14 2021-09-24 青岛海尔能源动力有限公司 一种具备浪涌保护功能的配电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032Y1 (ko)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5384B2 (en) Bridging module having a housing with a latching device for latching to a mounting rail
EP2181487B1 (en) Panelboard
US20100315771A1 (en) Chassis
CN103116051A (zh) 插拔式电表箱
CN104377099A (zh) 直排式多路保险盒
US5627720A (en) Power distribution box with surge suppressor
CN100375355C (zh) 模块式组装设备
CN206313208U (zh) 一种防护插座
KR101506672B1 (ko) 전원 분배장치
KR200483032Y1 (ko) 분전반
US20140090866A1 (en) Wiring combiner box
CN2914370Y (zh) 一种适用于机柜的电源分配器
CN204795929U (zh) 高防护功能电器控制盒
JP3113266U (ja) ユニット式分電盤
CN205027796U (zh) 一种电表箱箱体
KR101082328B1 (ko)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US9806438B2 (en) Ground bracket for an outlet of a rack power distribution unit and related method
JP4958282B2 (ja) ブレーカユニット
CN106785652A (zh) 一种防护插座
JP4831763B2 (ja) 充電部保護カバーの取り付け構造
JP2006166622A (ja) 避雷器付分電盤
CN203553059U (zh) 插拔式漏电保护开关
CN101499629B (zh) 配电箱母排及绝缘支撑防护系统
CN204424698U (zh) 一种漏电保护组件及包含这种组件的配电箱/配电柜
CN209344666U (zh) 一种通信设备用线缆固定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