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021A - 전자 단자함 보관 하우징 - Google Patents

전자 단자함 보관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021A
KR20200125021A KR1020190048639A KR20190048639A KR20200125021A KR 20200125021 A KR20200125021 A KR 20200125021A KR 1020190048639 A KR1020190048639 A KR 1020190048639A KR 20190048639 A KR20190048639 A KR 20190048639A KR 20200125021 A KR20200125021 A KR 20200125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guide
electrical terminal
housing
guid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3969B1 (ko
Inventor
정병희
Original Assignee
옵티멀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멀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옵티멀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8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96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45Details of casing, e.g. gas tight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3/00Cams ; Non-rotary cams; or cam-followers, e.g. rollers for gear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자함 보관 하우징에 있어서, 전기 단자함이 보관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전기 단자함이 용이하게 인입되고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전기 단자함이 보관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인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외부 각각에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인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하우징부; 상기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전기 단자함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 단자함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어,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내부 공간에만 위치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위치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연통 공간에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단자함 보관 하우징 {ELECTRONIC TERMINAL BOX STORAGE HOUSING}
본 발명은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 단자함이 보관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전기 단자함이 용이하게 인입되고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는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로서, 현대 사회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설비이다. 발전소는 수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많은 부품을 제어하기 위해서 각 각의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고 있다. 이 때, 각 부품들의 제어를 하기 위한 전기적인 부품들은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부에 배치되어 일괄적인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전기적인 부품들은 계기용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 써지흡수기(SA; Surge Absorber) 및 특고압용의 수전차단기(VCB; Vacuum Circuit Breaker)과 같은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전기 부품(이하, 전기 단자함)들은 수리 혹은 점검을 위해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가 빈번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하우징들(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4735호, 2008. 01. 10, 공개)내에 배치된 전기 부품들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하기 편하도록 하는 별도의 구성이 없기 때문에, 전자 부품들을 옮기는 과정에서 전자 부품들의 파손 혹은 작업자의 부상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 단자함을 용이하기 인출하거나 인입할 수 있는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자함 보관 하우징에 있어서, 전기 단자함이 보관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전기 단자함이 용이하게 인입되고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전기 단자함이 보관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인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외부 각각에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인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하우징부; 상기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전기 단자함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 단자함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어,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내부 공간에만 위치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위치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연통 공간에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가이드 본체부, 일단부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2 가이드 본체부 및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와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와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 단자함이 중력에 의해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동작되는 벨트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벨트부의 회전 가능 여부가 결정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이동 조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 조절부는, 상기 전기 단자함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 조절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 하우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 조절부는, 제한 위치일 경우 상기 벨트부와 접촉되어 상기 벨트부의 회전을 제한하고 자유 위치일 경우 상기 벨트부와 이격되어 상기 벨트부의 회전을 제한하지 못하는 위치 이동부재 및 회전을 통해 상기 위치 이동부재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회전 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는, 상기 가이드부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정면에서부터 상기 이송 수단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로 인입되어 상기 회전 캠부와 접촉되기 위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의 타단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캠부는, 상기 회전 캠부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경우 원래 위치로서 상기 위치 이동부재가 제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 이동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 캠부에 외력이 작용되어 상기 회전 캠부가 회전되는 경우 회전 위치로서 상기 위치 이동부재가 자유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 이동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조절부는, 상기 회전 캠부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회전 캠부가 상기 원래 위치에서 상기 회전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 캠부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회전 캠부가 상기 원래 위치에서 위치가 유지되도록, 상기 회전 캠부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이송 수단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로 인입되기 위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의 타단이 지면으로부터 수평이 되도록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의 높 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지면 상에 배치되어, 누수에 의해 지면 상에 존재하는 물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부가 상기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 하우징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의 면적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하면의 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수단이 구비하는 바퀴가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은 전기 단자함을 용이하게 인출하거나 인입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단자함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이 구비하는 도어부가 개방 위치이고 가이드부가 제1 위치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이 구비하는 도어부가 개방 위치이고 가이드부가 제2 위치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이 구비하는 가이드부의 전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의 이동 조절부가 이송 수단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이 구비하는 도어부가 개방 위치이고 가이드부가 제1 위치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이 구비하는 도어부가 개방 위치이고 가이드부가 제2 위치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100)은 전기 단자함(C10)이 보관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전기 단자함(C10)이 용이하게 인입되고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100)에 있어서, 상기 전기 단자함(C10)이 보관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인 내부 공간(S111)과 상기 내부 공간(S111)과 외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공간(S111)과 상기 외부 각각에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인 연통 공간(S112)을 제공하는 본체 하우징부(110), 상기 내부 공간(S111)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전기 단자함(C10)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 단자함(C10)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20) 및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어,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내부 공간(S111)에만 위치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위치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내부 공간(S111)과 상기 연통 공간(S112)에 배치되는 가이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면 상에 배치되어, 누수에 의해 지면 상에 존재하는 물이 상기 내부 공간(S11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부(110)가 상기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부(11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 하우징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공간(S111)과 외부와의 격리 여부를 결정하는 도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단자함(C10)은 내부에 전기적인 부품이 배치되어 있는 소정의 케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 하우징부(110)는 직 사각형의 형태로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인 내부 공간(S111)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본체 하우징부(11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본체 하우징부(110)의 일 측면이 관통되어 상기 내부 공간(S111)과 외부가 연통되는 연통 공간(S112)을 제공할 수 있다.
도어부(150)는 상기 본체 하우징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부(150)가 상기 연통 공간(S112)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내부 공간(S111)과 상기 외부는 서로 격리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150)가 상기 연통 공간(S112)으로부터 위치 이동되어 상기 도어부(150)가 외부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내부 공간(S111)과 상기 외부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20)는 상기 내부 공간(S111)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 단자함(C10)이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상면에는 상기 전기 단자함(C10)의 하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레일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전기 단자함(C1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베이스부(140)는 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 하우징부(1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140)의 상면의 면적은 상기 본체 하우징부(110)의 하면의 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140)의 상면에 상기 본체 하우징부(110)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부(140)의 상면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수단이 구비하는 바퀴가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140)의 측면은 오목한 형상인 오목부(V14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 수단의 바퀴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부(140)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130)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부(130)는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상기 가이드부(130)의 일단부가 상기 본체 하우징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기 가이드부(130)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기준으로 서술한다.
상기 가이드부(13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내부 공간(S111)에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 단자함(C1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상에서 슬라이딩되지 못하도록 상기 전기 단자함(C10)의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전기 단자함(C10)을 상기 내부 공간(S111)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 제 1 위치인 상기 가이드부(130)를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위치인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내부 공간(S111), 상기 연통 공간(S112) 및 외부에 걸쳐서 위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이 구비하는 가이드부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130)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가이드 본체부(131), 일단부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2 가이드 본체부(132) 및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와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132)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와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132)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 단자함(C10)이 중력에 의해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동작되는 벨트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벨트부(133)의 회전 가능 여부가 결정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이동 조절부(1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 조절부(134)가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 하우징부(1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와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132) 각 각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와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132)의 높 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13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와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132)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벨트부(133)는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와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132)에 연결되는 롤러부(133a), 복수의 상기 롤러부(133a)들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부(133a)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 본체부(133b-1, 133b-2, 133b-3) 및 상기 벨트 본체부(133b-1, 133b-2, 133b-3)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위치 이동부재(134a)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 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벨트 제한부(133c-1, 133c-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벨트 제한부(133c-1, 133c-2)는 상기 벨트 본체부(133b-1, 133b-2, 133b-3)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부(133a)에 의해 상기 벨트 본체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벨트 본체부(133b-1, 133b-2, 133b-3)는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와 이웃되는 제1 벨트 본체부(133b-1),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132)와 이웃되는 제2 벨트 본체부(133b-2) 및 상기 제1 벨트 본체부(133b-1)와 상기 제2 벨트 본체부(133b-2) 사이에 위치되는 제3 벨트 본체부(133b-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벨트 제한부(133c-1, 133c-2)는 상기 제1 벨트 본체부(133b-1)와 상기 제3 벨트 본체부(133b-3) 사이에 위치되어 서로에 연결되는 제1 벨트 제한부(133c-1)와 상기 제2 벨트 본체부(133b-2)와 상기 제3 벨트 본체부(133b-3) 사이에 위치되어 서로에게 연결되는 제2 벨트 제한부(133c-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벨트 제한부(133c-1, 133c-2)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는 경우 상기 벨트 본체부(133b-1, 133b-2, 133b-3)의 위치 이동도 제한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벨트 제한부(133c-1, 133c-2)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벨트 본체부(133b-1, 133b-2, 133b-3)의 위치 이동도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롤러부(133a)의 일단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 측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133a)의 타단부는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132) 측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132)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13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 조절부(134)는 제한 위치일 경우 상기 벨트부(133)와 접촉되어 상기 벨트부(133)의 회전을 제한하고 자유 위치일 경우 상기 벨트부(133)와 이격되어 상기 벨트부(133)의 회전을 제한하지 못하는 위치 이동부재(134a) 및 회전을 통해 상기 위치 이동부재(134a)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회전 캠부(134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조절부(134)는 상기 회전 캠부(134b)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34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조절부(134)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135)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캠부(134b)의 회전 중식이 되는 이동 축부(134d)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부(135)는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의 하면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조절부(134)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하우징부(135)는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132)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조절부(134)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고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135)의 내부 공간(S111)에 배치되는 상기 이동 조절부(134)의 개수는 두 개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135)는 상기 가이드부(130)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본체 하우징부(110)의 정면에서부터 상기 이송 수단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135)로 인입되어 상기 회전 캠부(134b)와 접촉되기 위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의 일단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또는 제2 가이드 본체부(132))의 타단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의 타단 방향으로 개구된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135)의 부분이 두 부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135)는 상기 벨트부(133)를 향하여 적어도 일부분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135)는 상기 제1 벨트 제한부(133c-1)를 향하여 적어도 일부분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135)는 상기 제2 벨트 제한부(133c-2)를 향하여 적어도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135)의 구조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한다.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135)는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측면부(135a) 및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132)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 측면부(135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135)는 상기 제1 가이드 측면부(135a)의 하단부와 상기 제2 가이드 측면부(135b)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가이드 하면부(135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135)는 상기 가이드 하면부(135c)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 조절부(134)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공간제공부(135d-1, 135d-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제공부(135d-1, 135d-2)는 상기 가이드 하면부(135c)과 상기 벨트부(1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제공부(135d-1, 135d-2)는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 방향으로 더 치우친 제1 공간제공부(135d-1)와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132) 방향으로 더 치우친 제2 공간제공부(135d-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제공부(135d-1)는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의 일단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의 타단 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 개구부(S1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제공부(135d-2)는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132)의 일단에서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132)의 타단 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 개구부(S2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135)는 상기 공간제공부(135d-1, 135d-2)의 상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간제공부(135d-1, 135d-2)가 제공하는 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측연장부(135e-1, 135e-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연장부(135e-1, 135e-2)는 상기 제1 공간제공부(135d-1)의 상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공간제공부(135d-1)가 제공하는 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상측연장부(135e-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연장부(135e-1, 135e-2)는 상기 제2 공간제공부(135d-2)의 상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공간제공부(135d-2)가 제공하는 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상측연장부(135e-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조절부(134)는 상기 제1 공간제공부(135d-1) 및 상기 제2 공간제공부(135d-2) 각 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조절부(134)의 특징을 상기 제1 공간제공부(135d-1)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상기 제2 공간제공부(135d-2)를 기준으로 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 제공부(135d-1)의 내면에 상기 이동 축부(134d)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축부(134d)에 상기 회전 캠부(134b)가 외삽되어, 상기 회전 캠부(134b)는 상기 이동 축부(134d)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34c)는 상기 이동 축부(134d)와 상기 회전 캠부(134b) 사이에 배치된 후 상기 이동 축부(134d)와 상기 회전 캠부(134b) 각 각에 연결되어 상기 상기 회전 캠부(134b)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캠부(134b)는 상기 이동 축부(134d)가 삽입되는 상기 회전 캠부(134b)의 홀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캠부(134b-1) 및 상기 이동 축부(134d)가 삽입되는 상기 회전 캠부(134b)의 홀을 기준으로 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캠부(134b-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캠부(134b)는 상기 제1 캠부(134b-1)와 상기 제2 캠부(134b-2)가 연결되며 상기 이동 축부(134d)가 삽입되는 캠본체부(134b-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이동부재(134a)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로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위치 이동부재(134a)는 상기 제1 상측연장부(135e-1)가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캠부(134b-1)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이동부재(134a)는 상기 회전 캠부(134b)의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캠부(134b-1)의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전기 단자함(C10)이 상기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 단자함(C10)을 인출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도어부(15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내부 공간(S111)과 외부는 연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제1 위치인 가이드부(130)를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130)가 상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이송 수단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135)로 인입되기 위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의 타단이 지면으로부터 수평이 되도록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의 높 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13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개구부(S10)와 상기 제2 개구부(S20)는 지면 혹은 상기 베이스부(140)의 상면과 수평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높낮이 조절부(136)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의 타단과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132)의 타단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높낮이 조절부(136)는 볼트로서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131)를 기준으로 상기 높낮이 조절부(136)가 회전되어 상술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높낮이 조절부(136)는 볼트로서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132)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132)를 기준으로 상기 높낮이 조절부(136)가 회전되어 상술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전기 단자함(C10)을 상기 가이드부(130)까지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의 이동 조절부가 이송 수단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5(a)는 상기 벨트부가 회전되지 못하는 상태일 때의 가이드부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상기 벨트부가 회전 가능한 상태일 때의 가이드부의 단면도이다.
상기 이동 조절부(134)는 상기 전기 단자함(C10)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캠부(134b)는 상기 회전 캠부(134b)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경우 원래 위치로서 상기 위치 이동부재(134a)가 제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 이동부재(134a)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캠부(134b)는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 캠부(134b)에 외력이 작용되어 상기 회전 캠부(134b)가 회전되는 경우 회전 위치로서 상기 위치 이동부재(134a)가 자유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 이동부재(134a)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캠부(134b)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회전 캠부(134b)가 상기 원래 위치에서 상기 회전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 캠부(134b)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회전 캠부(134b)가 상기 원래 위치에서 위치가 유지되도록, 상기 이동 조절부(134)는 상기 회전 캠부(134b)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34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 캠부(134b)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 이동부재(134a)는 제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캠부(134b)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의 상기 회전 캠부(134b)의 위치를 원래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이동부재(134a)가 제한 위치 일 경우, 상기 위치 이동부재(134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벨트 제한부(133c-1, 133c-2)가 제공하는 복 수의 홀 중에 하나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1 상측연장부(135e-1)에 위치되는 상기 위치 이동부재(134a)는 상기 제1 벨트 제한부(133c-1)가 제공하는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상측연장부(135e-2)에 위치되는 상기 위치 이동부재(134a)는 상기 제2 벨트 제한부(133c-2)가 제공하는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위치 이동부재(134a)가 제한 위치일 경우 상기 벨트부(133)는 회전되지 않고 상기 벨트부(133)에 안착된 상기 전자 단자함은 위치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 수단(Q10)이 상기 제1 개구부(S10)와 상기 제2 개구부(S20)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캠부(134b)의 제2 캠부(134b-2)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캠부(134b-2)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캠본체부(134b-3)가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캠부(134b-1)도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위치 이동부재(134a)는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상기 벨트 제한부(133c-1, 133c-2)에 삽입된 상기 위치 이동부재(134a)가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벨트 제한부(133c-1, 133c-2)와 접촉되지 않은 상기 위치 이동부재(134a)의 위치를 자유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벨트 제한부(133c-1, 133c-2)가 자유 위치일 때의 상기 회전 캠부(134b)의 위치를 회전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이동부재(134a)가 자유 위치일 경우, 상기 벨트부(133)는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부(130)의 일단부에 위치된 상기 전기 단자함(C10)은 상기 벨트부(133)에 회전에 맞춰 상기 가이드부(130)의 타단부로 이동된 후, 상기 운송 수단에 안착될 수 있다.
이동 조절부(134)는 운송 수단의 접촉 여부에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벨트부(133)의 회전 여부를 조절하기 때문에, 예상치 못하게 상기 전기 단자함(C10)이 위치 이동되어 바닥에 낙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10 : 본체 하우징부 120 : 지지 플레이트
130 : 가이드부 140 : 베이스부

Claims (9)

  1. 전기 단자함이 보관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전기 단자함이 용이하게 인입되고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전기 단자함이 보관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인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외부 각각에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인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하우징부;
    상기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전기 단자함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 단자함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어,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내부 공간에만 위치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위치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연통 공간에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가이드 본체부, 일단부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2 가이드 본체부 및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와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와 상기 제2 가이드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 단자함이 중력에 의해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동작되는 벨트부를 구비하는,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벨트부의 회전 가능 여부가 결정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이동 조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 조절부는,
    상기 전기 단자함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위치가 결정되는,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 조절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 하우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 조절부는,
    제한 위치일 경우 상기 벨트부와 접촉되어 상기 벨트부의 회전을 제한하고 자유 위치일 경우 상기 벨트부와 이격되어 상기 벨트부의 회전을 제한하지 못하는 위치 이동부재 및 회전을 통해 상기 위치 이동부재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회전 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는,
    상기 가이드부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정면에서부터 상기 이송 수단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로 인입되어 상기 회전 캠부와 접촉되기 위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의 타단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캠부는,
    상기 회전 캠부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경우 원래 위치로서 상기 위치 이동부재가 제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 이동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 캠부에 외력이 작용되어 상기 회전 캠부가 회전되는 경우 회전 위치로서 상기 위치 이동부재가 자유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절부는,
    상기 회전 캠부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회전 캠부가 상기 원래 위치에서 상기 회전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 캠부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회전 캠부가 상기 원래 위치에서 위치가 유지되도록, 상기 회전 캠부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하는,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이송 수단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부로 인입되기 위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의 타단이 지면으로부터 수평이 되도록 상기 제1 가이드 본체부의 높 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
  8. 제7항에 있어서,
    지면 상에 배치되어, 누수에 의해 지면 상에 존재하는 물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부가 상기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 하우징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의 면적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하면의 면적보다 더 큰,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이 구비하는 바퀴가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은 오목하게 형성된,
    전자 단자함 보관 하우징.
KR1020190048639A 2019-04-25 2019-04-25 전자 단자함 보관 하우징 KR102183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639A KR102183969B1 (ko) 2019-04-25 2019-04-25 전자 단자함 보관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639A KR102183969B1 (ko) 2019-04-25 2019-04-25 전자 단자함 보관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021A true KR20200125021A (ko) 2020-11-04
KR102183969B1 KR102183969B1 (ko) 2020-11-27

Family

ID=7357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639A KR102183969B1 (ko) 2019-04-25 2019-04-25 전자 단자함 보관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9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4089A1 (en) * 2000-10-27 2002-07-04 David Holt Ancillary cabinet system for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KR20160002644U (ko) * 2015-01-20 2016-07-29 주식회사 이지트로닉스 분전반
KR101865015B1 (ko) * 2018-01-12 2018-07-13 에임시스템 주식회사 높이 및 장력 조절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4089A1 (en) * 2000-10-27 2002-07-04 David Holt Ancillary cabinet system for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KR20160002644U (ko) * 2015-01-20 2016-07-29 주식회사 이지트로닉스 분전반
KR101865015B1 (ko) * 2018-01-12 2018-07-13 에임시스템 주식회사 높이 및 장력 조절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969B1 (ko) 202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7826B2 (en) Substrate conveyance robot and substrate conveyance apparatus
US20220260982A1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20240039253A1 (en) Motor control center (mcc) units with retractable power connector and interlocks including a power connector position interlock
KR100972346B1 (ko) 퍼니스 내에서 웨이퍼의 배치처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959372B1 (ko) 반도체 소자 이송장치, 핸들러, 및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JP4904995B2 (ja) ロードポート装置
US6914423B2 (en) Probe station
KR102183969B1 (ko) 전자 단자함 보관 하우징
US20160336209A1 (en) Container Transport Device and Container Transport Facility
PT1022757E (pt) Conjunto de seccionadores multipolares
US20190031440A1 (en) Storage apparatus and conveyance system
KR101508516B1 (ko)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
KR102228202B1 (ko) 전기 단자함 보관 하우징
KR102308671B1 (ko) 하이 스루풋 재공품 버퍼 시스템 및 방법
KR102202561B1 (ko) 서버 설비 케이스
KR20010071468A (ko) 물체를 저장하는, 특히 웨이퍼, 평면 패널 또는 cd와같은 디스크형 물체를 저장하는 장치
JP6169219B1 (ja) ブッシング更新装置、及びブッシング更新システム
JP4168724B2 (ja) ロードポート
US4800460A (en) Electrical power protection technique
JP2004165458A (ja) 容器開閉装置
JP7054460B2 (ja) 天井搬送車
US3158700A (en) Mounting assembly for drawout switchgear unit having track for forwardly tilting unit in disconnected position
US3157827A (en) Tilt out trunnion arrangement for enclosed switchboard structures
US20030059289A1 (en) Wafer cassette transport cart with self correcting fault alignment block and method
CN211151122U (zh) 一种便于移动的低压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