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574U - 슬래그 스토퍼 - Google Patents

슬래그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574U
KR20160002574U KR2020160000165U KR20160000165U KR20160002574U KR 20160002574 U KR20160002574 U KR 20160002574U KR 2020160000165 U KR2020160000165 U KR 2020160000165U KR 20160000165 U KR20160000165 U KR 20160000165U KR 20160002574 U KR20160002574 U KR 201600025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tube
buried
ro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훙 양
Original Assignee
노-하우 리프랙토리스 인더스트리얼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하우 리프랙토리스 인더스트리얼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노-하우 리프랙토리스 인더스트리얼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025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57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6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rs for pig-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53Tapholes; Opening or plugg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4Charging or discharging liquid or molten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45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조립이 용이하며, 나아가, 스토퍼 헤드와 로드의 분리가 방지된 슬래그 스토퍼가 제공된다. 스토퍼 헤드(4)는 본체(41)와 본체(41)를 관통한 관통 구멍(42)을 갖는다. 매립관(5)은 관통 구멍(42)에 매설되어 있는 매립 부분(51)과, 매립 부분(51)으로부터 관통 구멍(42)의 외측으로 연신되어 있는 연신 부분(52)을 갖는다. 슬리브관(7)은 매립관(5)의 관내 공간(50)에 끼움 삽입되어 있다. 로드(6)는 슬리브관(7)과 매립관(5)을 통해 본체(41)를 관통하고 있다. 나아가, 매립관(5)은, 연신 부분(52) 중 적어도 한 개소가 외측으로부터 함몰되며 내측으로 돌기한 제 1 걸림 고정부를 갖고, 슬리브관(7)은 제 1 걸림 고정부에 대응하는 개소에 있어서 외면에서 제 1 걸림 고정부의 돌기를 둘러싸면서 함몰되며 내측으로 돌기한 제 2 걸림 고정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슬래그 스토퍼{SLAG STOPPER}
본 고안은 제강 공정에서 용강을 노(爐)로부터 흘릴 때에 슬래그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래그 스토퍼(slag stopper)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강에 이용하는 종래의 전로(31)를 도시한다. 전로(31) 내에는, 용선(용융 선철)(32)이 주입되어 있다. 용선(32)의 액면에는 슬래그(33)가 떠 있다. 이는 슬래그(33)의 비중이 3.0~4.0g/㎤로, 용선(32)의 비중 7.0~7.2g/㎤에 비해 훨씬 작기 때문이다.
전로(31)를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울이면, 전로(31)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출액 구멍(311)으로부터 용선(32)이 유출된다. 용선(32)이 유출되어 전로(31) 내의 용선(32)의 액면이 소정의 값까지 낮아졌을 때, 슬래그 스토퍼(2)를 전로(31) 내에 넣는다. 슬래그 스토퍼(2)는, 비중이 용선(32)의 비중보다 약간 크고, 슬래그(33)의 비중보다 작으므로(구체적으로는 3.0~4.5g/㎤), 용선(32)과 슬래그(33)의 사이에 뜨게 된다. 거기서, 슬래그 스토퍼(2)를 출액 구멍(31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부상시키면, 용선(32)의 유출에 의해 출액 구멍(311)의 상방에서 용선(32)에 발생하는 소용돌이를 저해하므로, 슬래그(33)가 용선(32)과 함께 유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선(32)의 품질이 유지된다. 또한, 용선(32)의 액면이 더욱 낮아지면, 출액 구멍(311)의 상방에서 용선(32)에 발생하는 소용돌이에 인입되어 슬래그 스토퍼(2)가 출액 구멍(311)에 끼워져, 출액 구멍(311)이 막히므로, 슬래그(33)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에는 종래의 슬래그 스토퍼(2)의 구조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슬래그 스토퍼(2)는 스토퍼 헤드(21)와 로드(22)를 갖는다. 스토퍼 헤드(21)는, 상면이 평면인 대략 반구형의 본체(211)와, 본체(211)의 하측의 외주면에 복수 마련된 가이드 홈(212)(용선을 가이드 하기 위한 홈, 도면에서는 1개만 도시함)과, 본체(211)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13)을 갖고, 본체(211)의 상면 가까이에서 관통 구멍(213)을 둘러싸는 본체(211)의 내주면에는 나사 홈(214)이 형성되어 있다. 로드(22)는, 본체(211)의 관통 구멍(213)과 형상이 대응하며 관통 구멍(213)의 내측에 끼워지는 내측 끼움부(221)와, 내측 끼움부(221)로부터 하방으로 연신하여 본체(21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연신부(222)와, 내측 끼움부(221)로부터 상방으로 연신하여 본체(2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노출부(223)와, 내측 끼움부(221)와 노출부(223)의 사이에 위치하며 본체(211)의 나사 홈(214)과 나사 결합되어 있는 나사부(224)를 갖는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종래의 슬래그 스토퍼(2)를 제조할 때에는, 로드(22)를 본체(211)의 관통 구멍(213)에 삽입하고 로드(22)의 나사부(224)와 본체(211)의 나사 홈(214)을 나사 결합시켜, 로드(22)와 스토퍼 헤드(21)를 조립한다.
그렇지만, 슬래그 스토퍼(2)는, 로드(22)의 길이가 통상 1m~2m이며, 사이즈가 거대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 헤드(21)와 로드(22)를 조립하는 작업이 곤란하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조립시에는, 전용의 지그(도시 생략)로 로드(22)를 협지하면서, 나사 체결 공구(도시 생략)로 로드(22)의 나사부(224)와 본체(211)의 나사 홈(214)을 나사 결합시키는 작업을 실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 작업은 번잡하다. 또한, 나사 결합 이외의 조립 방법을 채용한 경우는, 슬래그 스토퍼(2)의 사용시에, 스토퍼 헤드(21)와 로드(22)가 분리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고안은 조립 작업이 용이하며, 나아가, 사용시에 있어서의 스토퍼 헤드와 로드의 분리가 방지된 슬래그 스토퍼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즉, 강로(鋼爐)에 마련된 출액 구멍으로부터 용강을 유출할 때에 슬래그가 상기 출액 구멍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래그 스토퍼로서, 스토퍼 헤드(4)와, 매립관(5)과, 로드(6)와, 슬리브관(7)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 헤드(4)는 본체(41)와, 상기 본체(41)를 관통한 관통 구멍(42)을 갖고, 상기 매립관(5)은, 관내 공간(50)을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스토퍼 헤드(4)의 상기 관통 구멍(42)에 매립되어 고정되어 있는 매립 부분(51)과, 상기 매립 부분(51)으로부터 상기 관통 구멍(42)의 외측으로 연신되어 있는 연신 부분(52)을 갖고, 상기 관내 공간(50)은 상기 연신 부분(52)에 둘러싸여 있는 구간인 연신 구간(501)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관(7)은 적어도 상기 연신 구간(501)을 관통하도록 상기 매립관(5)의 상기 관내 공간(50)에 끼움 삽입되어 있고, 상기 로드(6)는 상기 슬리브관(7) 및 상기 매립관(5)을 통해 상기 스토퍼 헤드(4)의 상기 본체(41)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매립관(5)은, 상기 연신 부분(52) 중 적어도 한 개소가 외측으로부터 함몰되며 상기 관내 공간(50)으로 돌기하여 형성된 제 1 걸림 고정부(521)를 갖고, 또한, 상기 슬리브관(7)은, 상기 제 1 걸림 고정부(521)에 대응하는 개소에 있어서 외면에서 상기 제 1 걸림 고정부(521)의 돌기를 둘러싸면서 함몰되며 내측으로 돌기하여 형성된 제 2 걸림 고정부(711)를 갖고, 상기 슬리브관(7)이 상기 제 1 걸림 고정부(521)에 접촉되어 상기 매립관(5)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로드(6)가 상기 제 2 걸림 고정부(711)에 접촉되어 상기 슬리브관(7)에 걸림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스토퍼를 제공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제 1 걸림 고정부(521)와 제 2 걸림 고정부(711)에 의해, 매립관(5)과 슬리브관(7)과 로드(6)가 서로 강고하게 조립된다. 이에 의해, 슬래그 스토퍼의 사용시에 로드(6)가 스토퍼 헤드(4)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로 및 슬래그 스토퍼의 일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슬래그 스토퍼의 일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슬래그 스토퍼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상기 실시형태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부분 측시도,
도 6은 상기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측시도,
도 7은 상기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8은 상기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상기 실시형태의 변화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슬래그 스토퍼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슬래그 스토퍼는, 제강 공정에 이용되는 전로에 마련된 출액 구멍으로부터 용강을 유출할 때에, 불순물인 슬래그가 출액 구멍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슬래그 스토퍼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슬래그 스토퍼는, 상기 출액 구멍을 막는 부재가 되는 스토퍼 헤드(4)와, 스토퍼 헤드(4)에 일부가 매립되어 있는 매립관(5)과, 매립관(5)에 삽입되는 슬리브관(7)과, 로드(6)를 구비한다.
스토퍼 헤드(4)는, 내화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바와 같이, 본체(41)와, 본체(41)를 관통한 관통 구멍(42)을 갖는다. 본체(41)는 상면(411)과, 상면(411)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신되어 있는 외주면(412)을 갖는다. 외주면(412)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2개의 가이드 홈(43)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홈(43)은 슬래그 스토퍼의 사용시에 용강의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강의 유동 속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가이드 홈(43)의 수량을 증감해도 좋으며, 본 실시형태의 2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관통 구멍(42)은 본체(41)의 상면(411)과 외주면(412)을 관통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여 마련되어 있다.
매립관(5)은, 관내 공간(50)을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스토퍼 헤드(4)의 관통 구멍(42)에 매립되어 고정되어 있는 매립 부분(51)과, 매립 부분(51)으로부터 관통 구멍(42)의 외측에 상방으로(본체(41)의 상면(411)측으로) 연신되어 있는 연신 부분(52)을 갖는다. 관내 공간(50)은 연신 부분(52)에 둘러싸여 있는 구간인 연신 구간(501)을 포함한다. 또한, 매립관(5)의 매립 부분(51)에 있어서의 관내 공간(50)에 면하는 내주면에는, 관내 공간(50)에 삽입되는 슬리브관(7)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돌기(51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조시에 금형 내에서, 스토퍼 헤드(4)를 구성하는 재료(내화재에 비중을 증가시키기 위한 필러를 혼합한 것)에 매립관(5)의 일부를 매립하고 나서 성형, 이형함으로써, 매립관(5)의 일부(매립 부분(51))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 헤드(4)에 매설된다.
슬리브관(7)은, 매립관(5)의 관내 공간(50)에, 적어도 연신 구간(501)을 관통하여 추가로 관내 공간(50)의 매립 부분(51)에 둘러싸여 있는 구간까지 연신하도록 끼움 삽입되어 있다. 매립관(5)에 삽입된 슬리브관(7)의 일단은 관내 공간(50)에서 위치 결정 돌기(511)에 접촉되어 걸림 고정된다. 이에 의해, 매립관(5)에 삽입된 슬리브관(7)이 매립관(5)을 빠져나가서 스토퍼 헤드(4)의 하방으로 노출되어 버리는 경우가 없다. 또한, 슬리브관(7)은, 관내 공간(50)의 연신 구간(501)에 위치하며 연신 부분(52)에 포위되어 있는 연신 포위 부분(71)을 포함하고 있다.
로드(6)는 철봉(61)과, 철봉(61)을 둘러싸는 내화재(6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로드(6)는 슬리브관(7) 및 매립관(5)을 통해 스토퍼 헤드(4)의 본체(41)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슬래그 스토퍼는, 스토퍼 헤드(4)와 매립관(5)과 슬리브관(7)과 로드(6)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타격 장치(9)를 이용해서, 매립관(5)의 연신 부분(52)의 외면에 타격을 가하여, 타격 개소에 대응하는 매립관(5)의 일부와 슬리브관(7)의 일부를 변형시킴으로써, 각각 변형된 개소에서 매립관(5)이 슬리브관(7)을 걸림 고정하고, 슬리브관(7)은 로드(6)를 걸림 고정함으로써, 매립관(5)과 슬리브관(7)과 로드(6)가 서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이 타격 장치(9)를 이용하여 매립관(5)과 슬리브관(7)과 로드(6)를 서로 고정하는 태양을 설명한다.
타격 장치(9)는 매립관(5)을 타격하는 타격 유닛(91)과, 타격 유닛(91)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92)을 갖는다. 타격 유닛(91)은 본체부(911)와, 본체부(91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동일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연신하며 그들 사이에 매립관(5)의 연신 부분(52)을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한쌍의 연신체부(912)와, 일방의 연신체부(912)로부터 다른 일방의 연신체부(912)를 향해 돌기된 접촉 돌기(913)와, 상기 다른 일방의 연신체부(912)로부터 접촉 돌기(913)와 대향하도록 돌기된 타격 돌기(914)를 갖는다. 타격 돌기(914)는 구동 유닛(92)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구동 유닛(92)에 구동되어 접촉 돌기(913)를 향하는 방향으로 튀어나가도록 이동할 수 있다.
타격 장치(9)를 이용할 때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타격 장치(9)를 스토퍼 헤드(4)의 상면(411)에 설치하고, 매립관(5)의 연신 부분(52)을 한쌍의 연신체부(912)의 사이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접촉 돌기(913)를 연신 부분(52)의 외면에 접촉시킨다. 이때, 접촉 돌기(913)의 선단과 타격 돌기(914)의 선단을 연결하는 선이 매립관(5)의 중심축을 통과하도록 타격 장치(9)를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구동 유닛(92)을 기동시키면, 타격 돌기(914)가 튀어나가 연신 부분(52)의 외면을 강하게 타격한다. 그러면, 타격 돌기(914)와 접촉 돌기(913)가 대향하도록 매립관(5)과 그 안의 슬리브관(7)을 가압한다.
상기 가압에 의해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매립관(5)은, 연신 부분(52)의 양방의 타격 개소가 외측으로부터 함몰되며 관내 공간(50)측으로 대향하여 돌기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제 1 걸림 고정부(521)를 갖게 된다. 또한, 슬리브관(7)의 연신 포위 부분(71)의 외면에서 각 제 1 걸림 고정부(521)에 대응하는 개소가 각 제 1 걸림 고정부(521)에 가압되는 것에 의해, 슬리브관(7)은, 각각 외면에서 제 1 걸림 고정부(521)의 대응의 돌기를 둘러싸면서 함몰되며 내측으로 대향하여 돌기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제 2 걸림 고정부(711)를 갖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예컨대 상술한 타격 장치(9)를 이용한 용이한 작업을 거침으로써, 제 1 걸림 고정부(521) 및 제 2 걸림 고정부(711)가 형성되므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관(7)이 한쌍의 제 1 걸림 고정부(521)의 돌기에 끼워져 걸림 고정되며, 또한, 로드(6)가 한쌍의 제 2 걸림 고정부(711)의 돌기에 끼워져 걸림 고정된다. 이에 의해, 스토퍼 헤드(4)와 매립관(5)과 슬리브관(7)과 로드(6)가 강고하게 조립되어, 슬래그 스토퍼의 사용시에 로드(6)가 스토퍼 헤드(4)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방지되며, 즉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구동 유닛(92)은 압축 공기식, 유압식 등 여러 가지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서, 스테핑 구동식의 공기압 실린더를 이용하면,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걸림 고정부(521) 및 제 2 걸림 고정부(711)는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대향하도록 한쌍씩 마련했지만,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걸림 고정을 더욱 강고하게 하기 위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걸림 고정부(521) 및 제 2 걸림 고정부(711)를 한쌍씩 마련한 후에, 타격 장치(9)를 회전시켜 접촉 돌기(913)와 타격 돌기(914)가 매립관(5)의 연신 부분(52)의 이미 타격된 개소 이외의 개소를 향하도록 하고, 다시 타격을 가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걸림 고정부(521) 및 제 2 걸림 고정부(711)를 2쌍씩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걸림 고정부(521) 및 제 2 걸림 고정부(711)는, 도 7 및 도 9의 태양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황에 따라서, 1개씩, 3개씩, 5개씩 마련되어도 좋으며, 이들의 수량은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1 걸림 고정부(521) 및 제 2 걸림 고정부(711)는 적어도 1개씩 마련되면 좋다. 예컨대 1개씩만 마련되어도, 슬리브관(7)이 제 1 걸림 고정부(521)에 접촉됨으로써 매립관(5)에 걸림 고정되며, 로드(6)가 제 2 걸림 고정부(711)에 접촉되어 슬리브관(7)에 걸림 고정되므로,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4 : 스토퍼 헤드 41 : 본체
411 : 상면 412 : 외주면
42 : 관통 구멍 43 : 가이드 홈
5 : 매립관 50 : 관내 공간
501 : 연신 구간 51 : 매립 부분
511 : 위치 결정 돌기 52 : 연신 부분
521 : 제 1 걸림 고정부 6 : 로드
61 : 철봉 62 : 내화재
7 : 슬리브관 71 : 연신 포위 부분
711 : 제 2 걸림 고정부 9 : 타격 장치
91 : 타격 유닛 911 : 본체부
912 : 연신체부 913 : 접촉 돌기
914 : 타격 돌기 92 : 구동 유닛

Claims (6)

  1. 강로(鋼爐)에 마련된 출액 구멍으로부터 용강을 유출할 때에 슬래그가 상기 출액 구멍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래그 스토퍼에 있어서,
    스토퍼 헤드(4)와, 매립관(5)과, 로드(6)와, 슬리브관(7)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 헤드(4)는 본체(41)와, 상기 본체(41)를 관통한 관통 구멍(42)을 갖고,
    상기 매립관(5)은, 관내 공간(50)을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스토퍼 헤드(4)의 상기 관통 구멍(42)에 매립되어 고정되어 있는 매립 부분(51)과, 상기 매립 부분(51)으로부터 상기 관통 구멍(42)의 외측으로 연신되어 있는 연신 부분(52)을 갖고, 상기 관내 공간(50)은 상기 연신 부분(52)에 둘러싸여 있는 구간인 연신 구간(501)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관(7)은 적어도 상기 연신 구간(501)을 관통하도록 상기 매립관(5)의 상기 관내 공간(50)에 끼움 삽입되어 있고,
    상기 로드(6)는 상기 슬리브관(7) 및 상기 매립관(5)을 통해 상기 스토퍼 헤드(4)의 상기 본체(41)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매립관(5)은, 상기 연신 부분(52) 중 적어도 한 개소가 외측으로부터 함몰되며 상기 관내 공간(50)으로 돌기하여 형성된 제 1 걸림 고정부(521)를 갖고, 또한, 상기 슬리브관(7)은, 상기 제 1 걸림 고정부(521)에 대응하는 개소에 있어서 외면에서 상기 제 1 걸림 고정부(521)의 돌기를 둘러싸면서 함몰되며 내측으로 돌기하여 형성된 제 2 걸림 고정부(711)를 갖고,
    상기 슬리브관(7)이 상기 제 1 걸림 고정부(521)에 접촉되어 상기 매립관(5)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로드(6)가 상기 제 2 걸림 고정부(711)에 접촉되어 상기 슬리브관(7)에 걸림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스토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헤드(4)의 상기 본체(41)는 상면(411)과, 상기 상면(411)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신되어 있는 외주면(412)을 갖고,
    상기 관통 구멍(42)은 상기 상면(411)과 상기 외주면(412)을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외주면(412)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복수의 가이드 홈(43)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슬래그 스토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관(5)의 상기 매립 부분(51)에 있어서의 상기 관내 공간(50)에 면하는 내주면에는, 상기 관내 공간(50)에서 상기 슬리브관(7)의 일단에 접촉하여 상기 슬리브관(7)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돌기(511)가 마련되어 있는
    슬래그 스토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 고정부(521)는, 상기 연신 부분(52)의 양측이 각각 외측으로부터 함몰되며 상기 관내 공간(50)측으로 대향하여 돌기한 한쌍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걸림 고정부(711)는, 각 상기 제 1 걸림 고정부(521)에 대응하는 개소에 있어서 각각 외면에서 대응의 상기 제 1 걸림 고정부(521)의 돌기를 둘러싸면서 함몰되며 내측으로 대향하여 돌기한 한쌍으로 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관(7)은 상기 한쌍의 제 1 걸림 고정부(521)의 돌기에 끼워져 걸림 고정되어 있고, 상기 로드(6)는 상기 한쌍의 제 2 걸림 고정부(711)의 돌기에 끼워져 걸림 고정되어 있는
    슬래그 스토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헤드(4)의 상기 본체(41)가 내화재로 구성되어 있는
    슬래그 스토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6)가 철봉(61)과, 상기 철봉(61)을 둘러싸는 내화재로 구성되어 있는
    슬래그 스토퍼.
KR2020160000165U 2015-01-14 2016-01-11 슬래그 스토퍼 KR20160002574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4200571 2015-01-14
TW104200571U TWM503418U (zh) 2015-01-14 2015-01-14 渣鏢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574U true KR20160002574U (ko) 2016-07-22

Family

ID=53937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165U KR20160002574U (ko) 2015-01-14 2016-01-11 슬래그 스토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02574U (ko)
TW (1) TWM50341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7711A (zh) * 2020-07-23 2020-09-11 北京利尔高温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锥形转炉出钢用挡渣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7711A (zh) * 2020-07-23 2020-09-11 北京利尔高温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锥形转炉出钢用挡渣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503418U (zh) 2015-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2574U (ko) 슬래그 스토퍼
ES2574329A2 (es) Tapón de estanqueidad para cerramiento de orificios en paredes y similares
KR101384534B1 (ko) 기어노브의 장착구조
KR101371025B1 (ko) 너트체결장치
KR200462907Y1 (ko) 바닥 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EA201100477A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и защитное кольцо для него
KR101785281B1 (ko) 소켓부를 구비한 망치 및 그 제작방법
JP5860507B2 (ja) ゴルフクラブおよびその管状パッド
KR20170001956U (ko) 용접 보조 장치
CN105643505A (zh) 一种安装夹持装置
KR101688692B1 (ko) 분리형 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KR20210050605A (ko) 풀림방지 너트 전용공구
JP6027313B2 (ja) 排水栓用玉鎖の固定方法
KR20090047712A (ko) 스터드 타이어의 스터드 홀 성형용 핀
JP6061978B2 (ja) 野球ベース
KR20140142517A (ko) 랜스
KR102177107B1 (ko) 중앙선 분리 장치
JP6537835B2 (ja) 作動油タンク
KR20150001972U (ko) 스프레이 기구용 노즐 연결체
CN209823653U (zh) 一种三相桥式整流器模块
KR101544201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소켓장치
KR101510955B1 (ko) 석재 가공용 정
KR200436945Y1 (ko) 이산화탄소용접용 용접토치
KR20090007160A (ko) 가조립 체결장치
CN207198195U (zh) 上针板培林套筒辅助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