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533U - 도어의 안전고리 - Google Patents
도어의 안전고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2533U KR20160002533U KR2020150000186U KR20150000186U KR20160002533U KR 20160002533 U KR20160002533 U KR 20160002533U KR 2020150000186 U KR2020150000186 U KR 2020150000186U KR 20150000186 U KR20150000186 U KR 20150000186U KR 20160002533 U KR20160002533 U KR 2016000253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door
- leaf spring
- fixing base
- p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3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two or more pivoted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간단한 레버의 조작만으로 도어의 안전고리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거나 잠금을 해제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안전고리의 펴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도어의 안전고리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문틀에 결합되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로 구비된 연결핀을 포함하는 문틀 고정 베이스와, 상기 문틀에 마주하여 개폐 동작하는 문에 결합되는 문 고정 베이스와, 상기 연결핀에 걸림 고정 가능하도록 선단부를 통해 연결후크가 구비되며, 외장면을 통해 전, 후로 슬라이딩 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상기 레버를 가압 및 해제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제1몸체와, 선단부는 상기 제1몸체의 미단부와 연결되며, 미단부는 상기 문 고정 베이스와 연결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도어의 안전고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문틀에 결합되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로 구비된 연결핀을 포함하는 문틀 고정 베이스와, 상기 문틀에 마주하여 개폐 동작하는 문에 결합되는 문 고정 베이스와, 상기 연결핀에 걸림 고정 가능하도록 선단부를 통해 연결후크가 구비되며, 외장면을 통해 전, 후로 슬라이딩 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상기 레버를 가압 및 해제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제1몸체와, 선단부는 상기 제1몸체의 미단부와 연결되며, 미단부는 상기 문 고정 베이스와 연결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도어의 안전고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도어의 안전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레버의 조작만으로 도어의 안전고리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거나 잠금을 해제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안전고리의 펴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도어의 안전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단지 내 각 가정의 현관문에는 대부분 출입문 안전고리(이하, 간략히 '안전고리'라 함)가 따로 설치되어 있고, 또 많은 가정에서는 현관문에 자물쇠장치와 아울러 전자식 도어 잠금 장치도 함께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안전고리는 훅에 걸려 있는 잠금 상태에서도 문을 일정 폭만큼 열 수 있도록 허락하므로 침입 걱정 없이 미확인된 외부 방문객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도어 스토퍼와 함께 이용할 경우 내부의 환기도 유용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현재까지 알려진 안전고리의 경우 단순히 문틀의 걸림 장치에 걸림 고정 가능한 회동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있었기에, 조작성에 많은 불편이 따랐다. 예컨대, 안전고리의 걸림 및 해제 상태를 손쉽게 조절하기에 어려움이 따랐으며, 경우에 따라 안전고리가 걸린 상태로 외부인과 대화 등을 나눌 경우 일정 시간 동안 문을 개방하는 등과 같은 기능은 전무하였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8623호(공개일: 2011년 9월 9일)이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출입문 안전고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간단한 레버의 조작만으로 도어의 안전고리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거나 잠금을 해제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안전고리의 펴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도어의 안전고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문틀에 결합되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로 구비된 연결핀을 포함하는 문틀 고정 베이스; 상기 문틀에 마주하여 개폐 동작하는 문에 결합되는 문 고정 베이스; 상기 연결핀에 걸림 고정 가능하도록 선단부를 통해 연결후크가 구비되며, 외장면을 통해 전, 후로 슬라이딩 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상기 레버를 가압 및 해제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제1몸체; 및 선단부는 상기 제1몸체의 미단부와 연결되며, 미단부는 상기 문 고정 베이스와 연결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도어의 안전고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제1몸체의 외장면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레버플레이트; 및 상기 레버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레버그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몸체의 외장면에는, 상기 레버플레이트의 전, 후단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레버플레이트의 전, 후단을 감싸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전, 후방 슬라이딩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플레이트를 상기 제1몸체의 선단부 쪽으로 슬라이딩 시키면, 상기 레버플레이트의 전단이 상기 전방 슬라이딩가이드부를 통과하여 상기 연결후크와 연결핀 간의 걸림 상태를 유지시켜주며, 상기 레버플레이트를 상기 제1몸체의 미단부 쪽으로 슬라이딩 시키면, 상기 레버플레이트의 후단이 상기 후방 슬라이딩가이드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가 일직선상으로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의 미단부와 상기 제2몸체의 선단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결합핀; 및 상기 제1결합핀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서로 접히는 방향으로 복원시키는데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토션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몸체의 미단부와 상기 문 고정 베이스 사이를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결합핀; 및 상기 제2결합핀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몸체를 상기 문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복원시키는데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토션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레버플레이트가 상기 제1몸체의 외장면을 통해 슬라이딩 되는 경로 상에 밀착 배치되되, 상기 제1몸체의 선단부 쪽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돌기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과 상기 레버그립을 체결하는 결합피스를 더 구비하되, 상기 결합피스의 상단헤드는 상기 판스프링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결합피스의 하단스크류는 상기 판스프링에 마련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레버그립의 중공을 통해 삽입 체결되며, 상기 판스프링과 상기 레버그립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인 도어의 안전고리에 의하면, 간단한 레버의 조작만으로 도어의 안전고리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거나 잠금을 해제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안전고리의 펴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현관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안전고리의 세부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안전고리의 열림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안전고리를 걸림 후 고정시킨 상태에서 문을 개방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4는 도 3의 측면 방향에서 레버의 조작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안전고리의 다양한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안전고리의 열림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안전고리를 걸림 후 고정시킨 상태에서 문을 개방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4는 도 3의 측면 방향에서 레버의 조작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안전고리의 다양한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안전고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안전고리의 세부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안전고리의 열림 상태를 보여주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안전고리를 걸림 고정시킨 상태에서 문을 개방한 모습을 보여주고, 도 4는 도 3의 측면 방향에서 레버의 조작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에 도시된 도어의 안전고리는 문틀 고정 베이스(110), 제1몸체(130), 레버(150), 제2몸체(170), 그리고 문 고정 베이스(190)를 포함한다.
문틀 고정 베이스(110)는 문틀(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111)를 이용하여 문틀(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문틀 고정 베이스(110)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12)와 연결핀(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12)는 도시된 형상과 같은 판상의 브라켓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연결핀(113)은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12) 각각의 내측 면으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핀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연결핀(113)은 후술될 제1몸체(130)의 선단부(131) 쪽에 마련된 연결후크(131a)를 걸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문 고정 베이스(190)는 상기 문틀에 마주하여 개폐 동작하는 문(10) 쪽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191)를 이용하여 문(10)의 내측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몸체(130)는 선단부(131)를 통해 연결후크(131a)가 구비되고, 미단부(133)는 후술될 제2몸체(170)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막대 형상 부재이다.
상기 제1몸체(130)의 선단부(131) 쪽에 마련된 상기 연결후크(131a)는 상기 연결핀(113)에 걸림 및 해제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30)의 미단부(133)와 상기 제2몸체(170)의 선단부(171) 사이에는 제1결합핀(134)과, 제1토션스프링(13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핀(134)은 상기 제1몸체(130)의 미단부(133)와 상기 제2몸체(170)의 선단부(171)를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토션스프링(135)은 상기 제1결합핀(134)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몸체(130)와 제2몸체(170)를 서로 접히는 방향으로 복원시키는데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몸체(130)의 외장면을 통해 전, 후로 슬라이딩 되는 레버(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150)와 사이에는 상기 레버(150)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상기 레버(150)를 가압하여 위치 고정시키거나 또는 가압을 해제하여 레버(150)의 슬라이딩 동작을 원활하게 해주는 판스프링(137)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레버(150)는 레버플레이트(151)와 레버그립(1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버플레이트(151)는 상기 제1몸체(130)의 외장면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그립(153)은 상기 레버플레이트(15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파지하기에 용이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시된 형상에 반드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137)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플레이트(151)가 상기 제1몸체(130)의 외장면을 통해 슬라이딩 되는 경로 상에 밀착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30)의 선단부(131) 쪽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돌기부(137a)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버(150)의 구조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레버(150)를 좌, 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안전고리의 사용 형태를 걸림, 걸림 해제, 그리고 제1몸체부(130)와 제2몸체부(170)의 펼침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137)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상기 레버(150)를 걸림 및 해제 시 상기 레버(150)가 해당 위치에 고정되는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137)과 상기 레버그립(151)을 체결하는 결합피스(13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결합피스(138)는 상단헤드(138a)와 하단스크류(138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단헤드(138a)는 상기 판스프링(137)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하단스크류(138b)는 상기 판스프링(137)에 마련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레버그립(153)의 중공을 통해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판스프링(137)과 상기 레버(150) 사이에는 스페이서(13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몸체(130)의 외장면에는, 상기 레버플레이트의 전, 후단(151a, 151b, 도 4 참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를 감싸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전, 후방 슬라이딩가이드부(132a, 132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 후방 슬라이딩가이드부(132a, 132b)를 통과하여 상기 레버플레이트의 전, 후단(151a, 151b, 도 4 참조)은 제1몸체(130)의 선단부(131) 및 미단부(133) 쪽으로 인출되도록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버플레이트(151)를 상기 제1몸체(130)의 선단부(131) 쪽으로 슬라이딩 시키면, 상기 레버플레이트의 전단(151a, 도 4 참조)이 상기 전방 슬라이딩가이드부(132a)를 통과하여 상기 연결후크(131a)와 연결핀(113) 간의 걸림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이 상태를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걸림 상태로 펼친 후 "고정" 상태라 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레버플레이트(151)를 상기 제1몸체(130)의 미단부 쪽으로 슬라이딩 시키면, 상기 레버플레이트의 후단(151b, 도 4 참조)이 상기 후방 슬라이딩가이드부(132b)를 통과하여 상기 제1몸체(130)와 상기 제2몸체(170)가 일직선상으로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이 상태를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 상태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와 같이 접힌 상태에서 W1방향(도 3 참조) 을 "열림" 상태라 하고, 도 3과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W1방향(도 3 참조)을 "고정" 상태라 할 수 있다.
제2몸체(170)는 제1몸체(130)와 문 고정 베이스(190) 사이에 연결되는 막대 형상 부재로서, 상기 제2몸체(170)의 선단부(171)는 상기 제1몸체(130)의 미단부(133)와 연결되며, 상기 제2몸체(170)의 미단부(173)는 상기 문 고정 베이스(19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170)의 미단부(173)와 상기 문 고정 베이스(190) 사이에는 제2결합핀(174)과, 제2토션스프링(17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핀(174)은 상기 제2몸체(170)의 미단부(173)와 상기 문 고정 베이스(190) 사이를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토션스프링(175)은 상기 제2결합핀(174)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몸체(170)를 상기 문(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복원시키는데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안전고리의 열림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레버(150)의 위치가 열림 위치에 있으며, 제1몸체(130) 및 제2몸체(170)는 각각 제1, 2결합핀(134)(174)와 이들을 감싸 형성되는 제1, 2토션스프링(135, 175, 도 1 참조)의 복원력에 의해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안전고리를 걸림 후 다시 고정시킨 상태에서 문을 개방한 모습을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인으로부터 안전을 기하기 위하여 레버(150)를 W2 방향(즉 제1몸체의 선단부 쪽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연결핀(113)과 연결후크(131a) 간의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인과의 대화 등이 필요할 경우, 도어의 안전고리를 일직선상으로 길게 펼칠 필요가 있는데, 제1몸체(130)와 제2몸체(170)를 길게 펼친 상태에서 레버(150)를 W1 방향(즉 제1몸체의 미단부 쪽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제1, 2몸체(130)(140)가 펼쳐진 상태를 잠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외부인과의 대화 종료 등과 같이 용무가 끝난 경우, 다시 레버(150)를 제1몸체(130)의 중앙 쪽, 즉 걸림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제1, 2토션스프링(135, 175, 도 1 참조)의 복원력에 의해 제1몸체(130)와 제2몸체(170)는 다시 접혀 문(10)을 닫을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측면 방향에서 레버의 조작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레버(150), 더 구체적으로는 레버플레이트(151) 상에는 별도의 안내 문자, 예를 들면, "걸림", "열림", "고정"와 같은 안내 문자와, 화살표 등과 같은 도형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도어의 안전고리의 작용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레버(150)가 열림 상태에 위치한 도면으로서, 문 고정 베이스(190)에 제2몸체(170)가 제2결합핀(174) 및 미도시된 제2토션스프링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제2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몸체(170)는 문 쪽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1몸체(130)는 상기 제2몸체(170)와 제1결합핀(134) 및 미도시된 제1토션스프링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제1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몸체(130)는 상기 제2몸체(170)와 겹쳐져 접히는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한편 상기 제1몸체(130)의 선단부 쪽에 마련된 연결후크(131a)의 내측 중앙에는 센터플레이트(131b)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센터플레이트(131b)는 상기 연결후크(131a)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연결핀(113) 쪽으로 걸릴 때, 복수의 연결핀(113)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도 6은 레버(150)가 걸림 상태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몸체(130)가 문틀 고정 베이스(110)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레버(150)가 걸림 상태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상기 레버플레이트(151)의 전단(151a)이 전방 슬라이딩가이드부(132a)를 통과하여 문틀 고정 베이스(110) 쪽으로 진입하여, 제1몸체(130)가 연결핀(113)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레버(150)가 열린 상태에 위치하며, 제1몸체(130)와 제2몸체(170)가 일직선상으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레버(150)를 고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데, 레버플레이트(151)의 후단(151b)이 후방 슬라이딩가이드부(132b)를 통과하여 제2몸체(170) 쪽으로 진입하여 제1몸체(130)와 제2몸체(170)가 펼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8의 경우, 제1몸체(130)와 제2몸체(170)가 펼쳐진 상태에서 레버(150)가 다시 걸림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한 모습을 보여주며, 레버플레이트(151)의 전단(151a)은 문틀 고정 베이스(110)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연결후크(131a)와 연결핀(113)은 상호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안전고리는 특히 현관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짧은 구간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레버의 조작만으로 안전고리 기능의 사용과 미사용을 선택적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복원력으로 인해 문이 닫히려는 것을 막아 소정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1, 2몸체를 통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문의 개방상태에 비해 연결고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항시 일정한 접힘 형태로 복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간단한 레버의 조작만으로 도어의 안전고리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거나 잠금을 해제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안전고리의 펴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현관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인 도어의 안전고리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문
20: 문틀
110: 문틀 고정 베이스
111: 고정부재 112: 지지플레이트
113: 연결핀
130: 제1몸체
131: 선단부 131a: 연결후크
131b: 센터플레이트 132a: 전방 슬라이딩가이드부
132b: 후방 슬라이딩가이드부 133: 미단부
134: 제1결합핀 135: 제1토션스프링
137: 판스프링 137a: 돌기부
138: 결합피스 138a: 상단헤드
139b: 하단스크류 139: 스페이서
150: 레버
151: 레버플레이트 153: 레버그립
170: 제2몸체
171: 선단부 173: 미단부
174: 제2결합핀 175: 제2토션스프링
190: 문 고정 베이스
191: 고정부재
110: 문틀 고정 베이스
111: 고정부재 112: 지지플레이트
113: 연결핀
130: 제1몸체
131: 선단부 131a: 연결후크
131b: 센터플레이트 132a: 전방 슬라이딩가이드부
132b: 후방 슬라이딩가이드부 133: 미단부
134: 제1결합핀 135: 제1토션스프링
137: 판스프링 137a: 돌기부
138: 결합피스 138a: 상단헤드
139b: 하단스크류 139: 스페이서
150: 레버
151: 레버플레이트 153: 레버그립
170: 제2몸체
171: 선단부 173: 미단부
174: 제2결합핀 175: 제2토션스프링
190: 문 고정 베이스
191: 고정부재
Claims (7)
- 문틀에 결합되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로 구비된 연결핀을 포함하는 문틀 고정 베이스;
상기 문틀에 마주하여 개폐 동작하는 문에 결합되는 문 고정 베이스;
상기 연결핀에 걸림 고정 가능하도록 선단부를 통해 연결후크가 구비되며, 외장면을 통해 전, 후로 슬라이딩 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상기 레버를 가압 및 해제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제1몸체; 및
선단부는 상기 제1몸체의 미단부와 연결되며, 미단부는 상기 문 고정 베이스와 연결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도어의 안전고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제1몸체의 외장면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레버플레이트; 및
상기 레버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레버그립을 포함하는 도어의 안전고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외장면에는, 상기 레버플레이트의 전, 후단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레버플레이트의 전, 후단을 감싸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전, 후방 슬라이딩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플레이트를 상기 제1몸체의 선단부 쪽으로 슬라이딩 시키면, 상기 레버플레이트의 전단이 상기 전방 슬라이딩가이드부를 통과하여 상기 연결후크와 연결핀 간의 걸림 상태를 유지시켜주며,
상기 레버플레이트를 상기 제1몸체의 미단부 쪽으로 슬라이딩 시키면, 상기 레버플레이트의 후단이 상기 후방 슬라이딩가이드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가 일직선상으로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도어의 안전고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미단부와 상기 제2몸체의 선단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결합핀; 및
상기 제1결합핀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서로 접히는 방향으로 복원시키는데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도어의 안전고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미단부와 상기 문 고정 베이스 사이를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결합핀; 및
상기 제2결합핀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몸체를 상기 문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복원시키는데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도어의 안전고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레버플레이트가 상기 제1몸체의 외장면을 통해 슬라이딩 되는 경로 상에 밀착 배치되되, 상기 제1몸체의 선단부 쪽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돌기부를 갖는 도어의 안전고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과 상기 레버그립을 체결하는 결합피스를 더 구비하되,
상기 결합피스의 상단헤드는 상기 판스프링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결합피스의 하단스크류는 상기 판스프링에 마련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레버그립의 중공을 통해 삽입 체결되며,
상기 판스프링과 상기 레버그립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도어의 안전고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0186U KR200481140Y1 (ko) | 2015-01-09 | 2015-01-09 | 도어의 안전고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0186U KR200481140Y1 (ko) | 2015-01-09 | 2015-01-09 | 도어의 안전고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2533U true KR20160002533U (ko) | 2016-07-19 |
KR200481140Y1 KR200481140Y1 (ko) | 2016-08-18 |
Family
ID=56613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0186U KR200481140Y1 (ko) | 2015-01-09 | 2015-01-09 | 도어의 안전고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1140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4009U (ko) * | 2010-02-27 | 2010-04-15 | 박도준 | 완벽한 막대형 안전고리 |
KR200452453Y1 (ko) * | 2010-04-24 | 2011-03-02 | 최하웅 | 출입문 안전고리 |
KR20110008623U (ko) * | 2010-03-03 | 2011-09-09 | 김준태 | 출입문 안전고리 |
KR20110010936U (ko) * | 2010-05-18 | 2011-11-24 | 김준태 | 출입문 안전장치 |
-
2015
- 2015-01-09 KR KR2020150000186U patent/KR20048114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4009U (ko) * | 2010-02-27 | 2010-04-15 | 박도준 | 완벽한 막대형 안전고리 |
KR20110008623U (ko) * | 2010-03-03 | 2011-09-09 | 김준태 | 출입문 안전고리 |
KR200452453Y1 (ko) * | 2010-04-24 | 2011-03-02 | 최하웅 | 출입문 안전고리 |
KR20110010936U (ko) * | 2010-05-18 | 2011-11-24 | 김준태 | 출입문 안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1140Y1 (ko) | 2016-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467851B (zh) | 用于行李箱的多重锁定系统 | |
US8056943B2 (en) | Full width overlay drawer latch | |
US4103949A (en) | Safety door latch | |
JP3182214U (ja) | スーツケース用錠前装置 | |
US20140084605A1 (en) | Removable Door Stop | |
KR200481140Y1 (ko) | 도어의 안전고리 | |
KR101605784B1 (ko) | 트럭용 윙도어 잠금장치 | |
US20080104888A1 (en) | Locking Mechanism | |
US8136300B2 (en) | Window or door frame having brace device | |
US20170335599A1 (en) | Guard for a latch to prevent opening | |
US20180320415A1 (en) | Fence gate latch assembly | |
CN208792902U (zh) | 门锁 | |
US2294120A (en) | Latching means for luggage | |
KR101371255B1 (ko) |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 |
KR20090081802A (ko) |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 |
JP3183127U (ja) | スーツケース用錠前装置 | |
KR101831277B1 (ko) | 방충망용 잠금장치 | |
KR101827009B1 (ko) | 후드의 2단 해제 래치 | |
CN109763699A (zh) | 一种锁闩组件 | |
US11007103B2 (en) | Locking clip for patient sling | |
CA2732667C (en) | Slam catch for trailer gates and the like | |
WO2014195928A1 (en) | Inside door handle with locking function using single cable | |
KR102523037B1 (ko) |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 |
JP2007107196A (ja) | 引戸用自動施錠装置 | |
KR200456204Y1 (ko) | 안전창의 잠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