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244U - 블록 리프팅용 지그 - Google Patents

블록 리프팅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244U
KR20160002244U KR2020140009416U KR20140009416U KR20160002244U KR 20160002244 U KR20160002244 U KR 20160002244U KR 2020140009416 U KR2020140009416 U KR 2020140009416U KR 20140009416 U KR20140009416 U KR 20140009416U KR 20160002244 U KR20160002244 U KR 201600022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late
cylindrical portion
lift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진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9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244U/ko
Publication of KR201600022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24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T- or I-section beams or girders

Abstract

블록 리프팅용 지그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는, 블록의 리프팅(lifting) 시 블록이 와이어로프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록 리프팅용 지그에 있어서, 블록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부, 및 원통부를 블록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 리프팅용 지그{JIG FOR BLOCK LIFTING}
본 고안은 블록 리프팅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구조물인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은 한번에 하나의 완성된 구조물로 제작되기보다는 소형의 단위체(블록)로 나누어 제작된 후 하나로 합치는 과정을 거쳐 제작된다. 이러한 블록이나 단위체의 형태나 크기 등은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해질 수 있다.
이러한 선박용 블록(또는 단위체)는 여러 개의 금속판(또는 금속부재)를 용접을 통해 결합시켜 제작하게 되는데, 이렇게 제작된 블록은 와이어로프를 통해 공중으로 리프팅(lifting)되어 이동될 수 있다.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8694호(2009.11.18, 리프팅러그 부착방법 및 이를 위한 러그부착용 지그)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블록을 리프팅하는 과정에서 와이어로프에 의해 블록이 파손되거나 와이어로프가 끊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블록 리프팅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록의 리프팅(lifting) 시 상기 블록이 와이어로프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록 리프팅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를 상기 블록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블록 리프팅용 지그가 제공된다.
상기 원통부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에 힌지결합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자력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자력체는 상기 제1 몸체에 설치되는 제1 자석; 및 상기 제1 자석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몸체에 설치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은 판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판형부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판형부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블록은 판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판형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는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은 판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원통부는 상기 판형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원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상기 원통부의 일단 또는 타단에 설치되는 고정쇠 지지부; 및 상기 고정쇠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원통부의 일단 또는 타단을 상기 판형부로부터 이격시키는 고정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을 리프팅하는 과정에서 와이어로프에 의해 블록이 파손되거나 와이어로프가 끊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블록 리프팅용 지그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와이어로프를 통해 선박용 블록을 들어올리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가 블록의 판형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가 블록의 판형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가 블록의 판형부에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가 블록의 판형부에 설치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와이어로프를 통해 선박용 블록을 들어올리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용 블록(10)는 여러 개의 금속판(또는 금속부재)를 용접을 통해 결합시켜 제작하게 되는데, 이렇게 제작된 블록(10)은 와이어로프(20)를 통해 공중으로 리프팅(lifting)되어 원하는 장소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블록(10)의 형태는 매우 다양할 수 있는데, 도 1의 점선으로 표기된 부분을 확대하면, 블록(10)의 돌출된 부분에 의해 와이어로프(20)가 절곡될 경우 와이어로프(20)의 상기 절곡된 부분이 마찰로 인해 끊어질 수 있다. 또한, 리프팅 과정에서 블록(10)의 하중이 와이어로프(20)와 블록(10)이 접하는 부분(즉, 블록(10)의 돌출된 부분)에 집중됨으로 인해, 블록(10)의 상기 돌출된 부분이 응력에 의해 파손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을 리프팅(lifting)하는 과정에서 와이어로프에 의해 블록이 파손되거나 와이어로프가 끊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블록 리프팅용 지그를 구현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와이어로프라는 용어는 그 형태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블록을 리프팅할 수 있는 모든 부재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가 블록의 판형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1000)는 원통부(100) 및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원통부(100)는 블록(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통부(100)는 블록(10)의 판형부(1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판형부(11)라 함은 블록(10)을 형성하는 금속부재들 중 상대적으로 평평한 면을 갖는 부재를 지칭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판형부(11)가 블록(10)을 구성하는 I형강의 플렌지(flange) 부분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판형부(11)는 금속플레이트의 돌출된 단부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원통부(100)는 반원형의 제1 몸체(110) 및 상기 제1 몸체(110)에 힌지결합되는 반원형의 제2 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는 각각 반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부재로,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몸체(110)는 도 3을 기준으로 볼 때 판형부(11)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몸체(120)는 판형부(11)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횡단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힌지(130)을 통해 힌지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는 서로에 대해 힌지결합됨으로써 블록(10)에 고정시킬 때 블록(10)의 판형부(11)에 보다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원통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 각각의 내측면에는 오목한 오목부(111, 121)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오목부(111, 121)에 의해 원통부(100)의 내부에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통부(100)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됨으로써, 예를 들어 판형부(11)의 단부에 상하로 돌출부(미도시)가 있더라도 이러한 돌출부로 인해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가 결합되지 못하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부(100)가 원형의 횡단면을 형성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여기서의 원형이라 함은 타원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제1 몸체(110)는 반타원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대응되는 제2 몸체(120)는 반타원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200)는 상술한 원통부(100)를 블록(10)의 판형부(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200)는 자력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자력체는 제1 자석(210) 및 제2 자석(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자석(210)은 원통부(100)의 제1 몸체(110)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자석(220)은 상기 제1 자석(210)에 대응되도록 원통부(100)의 제2 몸체(12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자석(220)의 제1 자석(210)의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자석(210)과 제2 자석(220)은 각각 패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을 기준으로 볼 때, 제1 몸체(110)의 일단에는 상기 패드 형상의 제1 자석(210)이 설치되도록 제1 패드부(112)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몸체(120)의 일단에는 상기 패드 형상의 제2 자석(220)이 설치되도록 제2 패드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힌지(130)은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의 타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통부(100)를 블록(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200)로서, 제1 자석(210)을 원통부(100)의 제1 몸체(110)에 구비하고, 제2 자석(220)을 원통부(100)의 제2 몸체(120)에 구비함으로써, 강철 재질로 이루어진 블록(10), 즉 판형부(11)에 원통부(10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블록(10)을 리프팅(lifting) 하여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킨 후, 원통부(100)를 블록(10)으로부터 분리시킬 때는, 고정부(200)가 제1 자석(210)과 제2 자석(220)을 포함하는 자력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원통부(100)가 블록(10)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10) 리프팅 시 블록(10)과 와이어로프(20)가 접촉하는 부분에 별도의 마찰 저감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러한 마찰 저감 부재 설치로 인한 블록(10) 표면의 손상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즉, 별도의 마찰 저감 부재를 블록(10) 표면에 용접시킬 필요가 없음에 따라 블록(10)의 표면을 미려한 표면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10)을 리프팅(lifting)하는 과정에서 와이어로프(20)에 의해 블록(10)이 파손되거나 와이어로프(20)가 끊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블록 리프팅용 지그(100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2000)가 블록(10)의 판형부(11)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2000)에서, 고정부(200)는 판형부(11)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230) 및 상기 볼트(230)와 체결되는 너트(2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볼트(230)는 너트(240)와 나사 결합되도록 블록(10)의 판형부(11)를 관통함으로써 판형부(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판형부(11)에는 볼트(230)의 직경에 상응하여 관통홀(미도시)이 미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볼트(230)는 원통부(100)의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 중 어느 하나와 일체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볼트(230)는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 중 어느 하나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볼트(230)의 머리 부분이 제1 몸체(110)의 일단과 일체로 결합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볼트(230)는 제2 몸체(120)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볼트(230)가 삽입되는 결합홀(25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110)의 일단에 일체로 부착된 볼트(230)가 판형부(11)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제2 몸체의 일단에 구비된 결합홀(250)에 삽입될 수 있고, 나사(240)가 결합홀(250)을 통과한 볼트(230)와 나사결합됨으로써, 원통부(100)가 블록(10)의 판형부(1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원통부(100)를 블록(10)으로부터 분리시킬 때는, 볼트(230)로부터 나사(240)를 풀어서 볼트(230)를 판형부(11)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원통부(100)가 블록(10)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230)가 제1 몸체(110)와 일체화로 이루어진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볼트(230)와 제1 몸체(110)는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2000)는 고정부(200)가 볼트(230) 및 너트(240)에 추가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제1 자석(210)과 제2 자석(2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10)을 리프팅(lifting)하는 과정에서 와이어로프(20)에 의해 블록(10)이 파손되거나 와이어로프(20)가 끊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블록 리프팅용 지그(2000)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2000)는 상술한 세부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100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3000)가 블록(10)의 판형부(11)에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3000)가 블록(10)의 판형부(11)에 설치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3000)에서, 고정부(200)는 고정쇠 지지부(260) 및 고정쇠(27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부(100)는 개구부(140)를 통해 블록(10)의 판형부(11)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가 힌지(130)를 통해 힌지회동함으로써 블록(10)의 판형부(11)가 삽입되도록 개방되는 구조를 설명한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부(100)에 힌지(130)가 설치될 필요가 없다.
이를 대신하여, 원통부(100)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부(11)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원통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된 형상의 개구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부(140)의 개방된 크기는 판형부(11)의 두께보다 적어도 같거나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통부(100)는 개구부(140)를 통해 판형부(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판형부(11)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200)는 개구부(140)를 기준으로 원통부(10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설치되는 고정쇠 지지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쇠 지지부(260) 상에는 상기 고정쇠 지지부(2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원통부(100)의 일단 또는 타단을 판형부(11)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고정쇠(2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쇠(270)는 판형상의 고정쇠 지지부(260)에 대해 수직(직교)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쇠 지지부(2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쇠(270)로는 예를 들어 나사산이 구비된 볼트가 사용될 수 있고, 고정쇠 지지부(260)는 이러한 고정쇠(270)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홀(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부(140)를 통해 원통부(100)가 판형부(11)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도 7 참조), 고정쇠(270)가 판형부(11)에 나란한 고정쇠 지지부(260)에 대해 그 수직한 방향(도 7의 화살표 참조)으로 회전하여 이동함으로써, 원통부(100)의 일단 또는 타단을 판형부(11)로부터 멀리 이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원통부(100)의 일단과 타단 중 어느 하나가 판형부(11)의 하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원통부(100)의 일단과 타단 중 나머지 하나가 판형부(11)로부터 멀리 이격됨으로써, 원통부(100)는 블록(10)의 판형부(1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쇠 지지부(260)가 개구부(140)를 기준으로 원통부(100)의 일단(도 7을 기준으로 상단)에 설치된 경우, 고정쇠(270)가 고정쇠 지지부(260)에 대해 나사홀(미도시)을 통해 회전 이동함으로써, 원통부(100)의 타단(도 7을 기준으로 하단)은 판형부(11)의 하면에 지지될 수 있고, 따라서 원통부(100)의 일단은 판형부(1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부(100)는 고정쇠 지지부(260) 및 고정쇠(2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정부(200)를 통해 블록(10)의 판형부(1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원통부(100)를 블록(10)으로부터 분리시킬 때는, 고정쇠(27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원통부(100)가 블록(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3000)는 고정부(200)가 고정쇠 지지부(260) 및 고정쇠(270)에 추가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제1 자석(210)과 제2 자석(2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3000)는 상술한 세부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용 지그(1000, 200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블록 11: 판형부
20: 와이어로프
1000, 2000, 3000: 블록 리프팅용 지그
100: 원통부 110: 제1 몸체
111: 제1 오목부 112: 제1 패드부
120: 제2 몸체 121: 제2 오목부
122: 제2 패드부 130: 힌지
140: 개구부
200: 고정부 210: 제1 자석
220: 제2 자석 230: 볼트
240: 너트 250: 결합홀
260: 고정쇠 지지부 270: 고정쇠

Claims (8)

  1. 블록의 리프팅(lifting) 시 상기 블록이 와이어로프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록 리프팅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를 상기 블록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블록 리프팅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에 힌지결합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는 블록 리프팅용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자력체를 포함하며,
    상기 자력체는,
    상기 제1 몸체에 설치되는 제1 자석; 및
    상기 제1 자석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몸체에 설치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는 블록 리프팅용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판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판형부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판형부의 타면에 결합되는 블록 리프팅용 지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판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판형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블록 리프팅용 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블록 리프팅용 지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판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부는 상기 판형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원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블록 리프팅용 지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상기 원통부의 일단 또는 타단에 설치되는 고정쇠 지지부; 및
    상기 고정쇠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원통부의 일단 또는 타단을 상기 판형부로부터 이격시키는 고정쇠를 포함하는 블록 리프팅용 지그.
KR2020140009416U 2014-12-19 2014-12-19 블록 리프팅용 지그 KR201600022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416U KR20160002244U (ko) 2014-12-19 2014-12-19 블록 리프팅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416U KR20160002244U (ko) 2014-12-19 2014-12-19 블록 리프팅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44U true KR20160002244U (ko) 2016-06-29

Family

ID=5634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416U KR20160002244U (ko) 2014-12-19 2014-12-19 블록 리프팅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24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8943B2 (en) Cable slider with symmetric pieces
US20160178090A1 (en) Dual p-clamp assembly
TW202001938A (zh) 用於三葉草型電纜配置的電纜夾
WO2017041003A1 (en) Deck attachment device
KR20160002244U (ko) 블록 리프팅용 지그
KR101480823B1 (ko) 복수의 내경을 갖는 이경 클램프
KR20170000576U (ko) 볼밸브의 밸브 시트 취외용 지그
CA2620068A1 (en) Cable hanger for use in a cable guided fishing assembly
JP4729546B2 (ja) 部材支持用クリップおよびその取付構造
US10060508B2 (en) Chain shackle
JP2017057704A (ja) ブレース連結金具
KR101542067B1 (ko) 회전형 파이프 클램프
JP6346506B2 (ja) 仮復旧用電柱バンド
JP2018530466A5 (ko)
JP5291498B2 (ja) ヘッダー固定具、及び、ヘッダー固定構造
US20160208963A1 (en) Loosening-preventing device for pipe fitting
JP2010209972A (ja) ヘッダー固定具、及び、ヘッダー固定構造
JP2005003014A (ja) 配管支持具用伴回り防止方法及び防止具
KR200478392Y1 (ko) 케이블 지지 구조체
KR20170024462A (ko) 인양용 체결구
US20190242455A1 (en) Connector for conveyor belts
JP6254773B2 (ja) 分岐管の閉止装置
JP2019060106A (ja) デッキプレート用インサート、デッキプレート用インサートの施工方法及び配管支持具の取り付け方法
JP5095513B2 (ja) 線材張設具
JP2010246258A (ja) 防巣具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