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894A -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단말 - Google Patents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894A
KR20160001894A KR1020140079915A KR20140079915A KR20160001894A KR 20160001894 A KR20160001894 A KR 20160001894A KR 1020140079915 A KR1020140079915 A KR 1020140079915A KR 20140079915 A KR20140079915 A KR 20140079915A KR 20160001894 A KR20160001894 A KR 20160001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ehicle
user terminal
service provid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철
석태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Priority to KR102014007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894A/ko
Publication of KR20160001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차량에 구비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정보인 차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차량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대응하는 운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운전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운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단말{METHOD, SERVER AND TERMINAL FOR PROVIDING SAFETY DRIVING SERVICE}
본 발명은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시간으로 운전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피드백할 수 있는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규모의 안전 사고의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에 대한 인식과 중요도는 증가하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개인이나 기업에서도 개인 차량이나 기업 차량에 안전을 위한 프로그램과 장치에 드는 비용을 늘리고 있다.
이때, 안전 운행을 서비스하는 방법은,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 주행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 속도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안전 운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8-0074555호(2008.08.13 공개)에는, 현재 위치에서의 전방 가시도를 측정하고, 도로 제한 속도에서 전방 가시도를 반영한 안전 운행 속도를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도로 주행 정보와 전방 가시도만을 가지고 사용자에게 안전 운행 속도를 알려준다고 하여 사용자가 경각심을 가지고 속도를 줄이는 일은 흔치 않다. 그리고, 안전하게 운행하였다고 할지라도 사용자가 운행중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그 사고를 신속하게 처리할 방법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제2008-0074555호(2008.08.13 공개)에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안전운행속도 안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속도 데이터 및 촬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 감지 요소를 실시간으로 분석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이를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고, 차량의 기준 초과 데이터를 빈도와 심도를 고려하여 이벤트로 기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운전 습관을 인지하게 할 수 있으며, 사고 발생시 서버 제어하에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원격에서라도 사고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구비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정보인 차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차량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대응하는 운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운전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운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운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운전 습관 및 운전 상황에 대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사고 발생시에도 신속하게 사고 상황을 파악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된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의 카메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분석한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안전 운행 서비스에 따라 생성한 데이터의 일 실시예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사고 데이터 및 안전 데이터를 생성한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차량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한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차량의 운행 경로를 분석한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원격으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을 통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 관리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100)로 명명될 수도 있으나, 모두 동일한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고 관리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Bluetooth, NFC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사용자 단말(100),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300), 관리자 단말(40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은,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속도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송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인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데이터는, 운전 데이터일 수 있고, 사고 보고 데이터, 안전 보고 데이터, 운전 습관 데이터, 운행 기록 데이터 및 에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 데이터는,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 데이터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수신되어 사용자 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동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미도시)와 차량의 실내를 촬영하는 제 2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는 일체로(2-way)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카메라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속도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실시간으로 피드백 데이터인 운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운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고가 발생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고 영상을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제어하에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신된 속도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차량 운전에 있어 위험 감지 요소가 존재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실시간으로 위험 감지 요소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인 운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차량의 속도 데이터를 일정 시간 동안 로그로 저장하고, 속도 데이터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초과하는 빈도(주기)와 심도(정도)를 이벤트로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400)이 차량에 대한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고, 관리자 단말(400)과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위험 상황이 발생하거나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운전 데이터를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카메라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된 화면의 일 실시예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의 카메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분석한 화면의 일 실시예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안전 운행 서비스에 따라 생성한 데이터의 일 실시예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사고 데이터 및 안전 데이터를 생성한 화면의 일 실시예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차량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한 화면의 일 실시예이고,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차량의 운행 경로를 분석한 화면의 일 실시예이고,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원격으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을 통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생성부(320), 전송부(330), 위험 관리부(340), 이벤트 관리부(350), 사고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안전 운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사용자 단말(100) 및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100) 및 관리자 단말(40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안전 운행 서비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100) 및 관리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200) 연결은 사용자 단말(100),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 관리자 단말(400)이 통신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된 것을 의미하며, 네트워크(200) 연결을 생성하는 것은,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차량에 구비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차량의 차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차량 데이터는 속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속도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0)의 GPS를 이용하거나,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되는 차량의 제어 유닛(ECU, TCU, MCU, HCU, AHB, OPU 등)과 CAN 통신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수신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차량의 제어 유닛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동되는 이동 단말 또는 고정 단말일 수 있다.
생성부(320)는, 수신된 차량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대응하는 운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 데이터는, 차량의 급가속 데이터, 급감속 데이터, 급회전 데이터, 급출발 데이터, 급정지 데이터, 과속 데이터, 공회전 데이터, 차선 이탈 데이터, 평균 속도 데이터, 평균 연비 데이터, 평균 운행 거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전송부(330)는, 생성된 운전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운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의 대시 보드(Dash Board) 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운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위험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차량의 실내 촬영 데이터 및 전방 촬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위험 관리부(340)는, 수신된 전방 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위험 감지 요소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위험 감지 요소가 발견된 시점 및 상기 발견된 시점 전후의 실내 촬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위험 관리부(340)는, 전방 촬영 데이터 및 실내 촬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험 감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위험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차량의 전방 촬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방 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선 이탈률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파악된 차선 이탈률이 기 설정된 차선 이탈률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한 차선 이탈률에 대응하는 운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위험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전방 카메라(미도시) 및 실내 카메라(미도시)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카메라 및 실내 카메라는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사용자 단말(10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동되는 카메라일 수 있다. 여기서, 전방 카메라 및 실내 카메라는 블랙박스에 구비된 2-way 카메라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방 카메라는 (a)와 같이 구비될 수 있고, 실내 카메라는 (b)와 같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전방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은 (c)와 같을 수 있다. 이때, 전방 카메라 및 실내 카메라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위험 관리부(340)로부터 생성된 영상은 도 6과 같을 수 있다. 즉, 차량이 전방 가속이 된 상태인 경우, 위험 관리부(340)는 이를 위험 관리 요소로 분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수신된 실내 촬영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이 상하로 진동된 경우, 위험 관리부(340)는 이를 역시 위험 관리 요소로 분류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수신된 실내 촬영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험 관리부(340)는, 운전중 흡연으로 도로 상태가 불량해졌기 때문에 전방 가속이 되었다든지 또는 운전중 휴대폰 사용으로 전방 차량에 근접했다는 이유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a) 운전 습관 개선 솔루션을 생성하거나, (b) 실시간으로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영상을 수신하여 분석하거나, (c) 차량에 대한 운전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이벤트 관리부(350)는, 수신된 차량 데이터, 예를 들어 속도 데이터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초과한 횟수 및 정도에 대응하는 초과 빈도 및 초과 심도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초과 빈도 및 초과 심도가 각각 기 설정된 기준 빈도 및 기준 심도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운전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로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는, 급정지 데이터, 급출발 데이터, 급가속 데이터, 급감속 데이터, 급회전 데이터, 과속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초과 빈도는 그 주기나 횟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준 빈도가 1 분당 1 번이고,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가 100km/h라고 가정하자. 그리고, 수신된 속도 데이터가 1시 1분에 101km/h, 1시 1분 30초에 103km/h, 1시 1분 40초에 105km/h라고 가정하면,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초과한 횟수가 40초 동안 3 번이므로, 기 설정된 기준 빈도인 1 분당 1 번을 초과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운전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로 초과 빈도가 기 설정된 기준 빈도를 초과했다는 것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심도는 그 크기(Magnitude, Dimension)나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준 심도가 100km/h를 기준으로 50km/h 이상 초과한 값이고,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가 100km/h라고 가정하자. 그리고, 수신된 속도 데이터가, 예를 들어 임펄스 형태로 100km/h에서 180km/h까지 급증했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기 설정된 기준 심도를 초과하였으므로,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운전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로 초과 심도가 기 설정된 기준 심도를 초과했다는 것을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 심도는 시간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이 시간, y축이 속도인 2차원 좌표에서, 2초간 100km/h를 기준으로 80km/h의 속도 증가를 보였을 경우를 기 설정된 기준 심도로 설정할 수 있다.
사고 제어부(36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전방 카메라 및 실내 카메라를 제어하여 사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사고 제어부(360)는, 촬영된 사고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사고 제어부(36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즉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고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방 카메라 및 실내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회전시켜 사고 상황을 사고 제어부(360)의 제어하에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고 제어부(360)는 사고 영상을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가 아닌, 사고 제어부(360)의 제어하에 수집 및 취득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a)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 제어부(360)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운전자 및 운행 정보를 요약한 데이터(A), 영상 및 GPS를 통하여 수집한 사고시점 전후 주요정보(B), 사고 장소 및 사고 요약(C)을 포함하는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b)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일지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운전 거리, 운전 속도 및 공회전과 같은 운전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행 정보(A), 하루동안 발생한 이벤트(B), 운전 안전도(C)를 포함하는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고 보고서(A), 안전 지수 보고서(B), 운행 기록 보고서(C), 에코 지수 보고서(D)를 포함하는 보고서를 사용자 단말(100)을 보유한 운전자별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차량의 운행 경로를 분석하고 연혁을 관리하기 위하여, 기간별로 차량의 운행 경로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설정한 기간 동안 차량의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고(A), 차량의 이동 경로를 시간 상태 바(Bar)를 통하여 GPS 지점과 매칭시킬 수 있다(B). 여기서, 기간은, 차량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C). 또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운행 차량 또는 운휴 차량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으며(D), 선택 차량의 기본 정보 및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E).
도 11을 참조하면,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 보고서를 생성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전방 촬영 데이터 및 실내 촬영 데이터를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제어하에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시간에 동기화하여 수집된 정보를 사고 정보 및 GPS 정보와 매핑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어느 지점에서 어떠한 상황이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사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고가 발생한 차량은, 예외적인 상황이므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제어하에 원격에서 사고 현장을 확인할 수 있는데, 사고 상황이 아닐지라도,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설정하는 예외적인 다른 상황이 존재하는 경우,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제어하에 원격에서 현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고가 발생한 경우, 관리자 단말(400)과 사용자 단말(100)은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서로 원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에 근접하게 위치하지 않을지라도 사고 상황에 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100)은, 모니터링부(110), 전송부(130), 수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부(110)는, 차량의 상태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전송부(130)는, 차량의 속도 데이터를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100)과 연동되는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150)는,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속도 데이터에 기반하여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전송되는 운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된 속도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대응하는 운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운전 데이터가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100)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운전 데이터를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100)은, 스마트 폰과 같은 통신 기능이 있거나, 통신망에 늘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네비게이션과 같이 통신 기능이 내장되지 않은 단말로 구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100)은, 라우터나 AP(Access Point)에 접속하려고 해도, 통신가능한 거리 또는 통신가능 채널영역 내에 라우터나 AP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의 데이터를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100)은, 통신가능한 거리 또는 통신가능 채널 영역 내에 라우터나 AP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일지라도, 스마트 단말과 같이 통신 네트워크에 항상 접속될 수 있는 단말을 AP 또는 라우터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한다. 즉,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100)은,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불가인 경우,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100)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통신망 연결 매체(미도시)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 연결 매체는, 스마트 단말이나 스마트 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100)은, 검색된 통신망 연결 매체(미도시)의 무선 모뎀 기능을 활성화시켜 통신망 연결 매체와 연결을 구축하고, 구축된 연결을 통하여 차량의 속도 데이터 및 촬영 데이터를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11의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2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실시간으로 속도 데이터 및 촬영 데이터를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2100). 여기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운전 데이터를 생성하고(S2200),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00)로 피드백인 운전 데이터를 전송하면(S2300),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한 운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2400).
그리고,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S2500), 위험 감지 요소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경우(S2510), 위험 감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과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한다(S2530). 이때, 관리자 단말(400)은 관리자 로그인을 통하여(S2110), 차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S2570), 사용자 단말(100)은 위험 감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550).
여기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였는지를 파악하고(S2600), 차선이 이탈된 경우 차선 이탈 노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과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한다(S2610).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과 관리자 단말(400)은 각각 차선 이탈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S2630), 위험 요소를 가진 차량을 모니터링하게 된다(S2650).
한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속도 데이터로부터 기준 데이터를 초과한 빈도 및 심도에 대응하는 초과 빈도 및 초과 심도를 산출할 수 있는데(S2700), 초과 빈도가 기준 빈도보다 높거나 초과 심도가 기준 심도보다 높은 경우(S2710),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이벤트로 기록할 수 있다(S2730). 여기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과 관리자 단말(400)로 이벤트를 전송한다(S2750).
그리고,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고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S2800), 관리자 단말(400)을 통하여 또는 직접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를 제어하게 된다(S2830). 여기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400)을 통하여 또는 직접 사용자 단말(100)로 영상 요청 명령을 전송하고(S2850),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영상이 전송될 수 있다(S2870). 그리고, 관리자 단말(400)은 사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과 관리자 단말(400)은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원격으로 연결될 수 있다(S2900).
상술한 단계들(S2100~S29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2100~S29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12의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11을 통해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는, 차량에 구비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차량 데이터를 수신한다(S3100).
그리고 나서,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된 차량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대응하는 운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한다(S3200).
이에 따라,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생성된 운전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운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3300).
이와 같은 도 13의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12를 통해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차량에 구비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의 정보인 차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차량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대응하는 운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운전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운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실내 촬영 데이터 및 전방 촬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방 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위험 감지 요소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험 감지 요소가 발견된 시점 및 상기 발견된 시점 전후의 실내 촬영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방 촬영 데이터 및 실내 촬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험 감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전방 촬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방 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선 이탈률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차선 이탈률이 기 설정된 차선 이탈률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한 차선 이탈률에 대응하는 운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데이터는, 차량의 급가속 데이터, 급감속 데이터, 급회전 데이터, 급출발 데이터, 급정지 데이터, 과속 데이터, 공회전 데이터, 차선 이탈 데이터, 평균 속도 데이터, 평균 연비 데이터, 평균 운행 거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차량의 속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속도 데이터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초과한 횟수에 대응하는 초과 빈도와, 상기 수신된 속도 데이터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초과한 정도에 대응하는 초과 심도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상기 초과 빈도 및 초과 심도가 각각 기 설정된 기준 빈도 및 기준 심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운전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로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는, 급정지 데이터, 급출발 데이터, 급가속 데이터, 급감속 데이터, 급회전 데이터, 과속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전방 카메라 및 실내 카메라를 제어하여 사고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사고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카메라 및 실내 카메라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동되는 카메라이고,
    상기 전방 카메라 및 실내 카메라는 상기 차량의 전방 및 차량의 실내를 촬영하는 카메라인 것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차량의 제어 유닛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동되는 이동 단말 또는 고정 단말인 것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불가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통신망 연결 매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통신망 연결 매체의 무선 모뎀 기능을 활성화시켜 상기 통신망 연결 매체와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구축된 연결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속도 데이터 및 촬영 데이터를 상기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11.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차량에 구비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차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차량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대응하는 운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생성된 운전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운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데이터는 차량의 속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속도 데이터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초과한 횟수에 대응하는 초과 빈도와, 상기 수신된 속도 데이터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초과한 정도에 대응하는 초과 심도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초과 빈도 및 초과 심도가 각각 기 설정된 기준 빈도 및 기준 심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운전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로 기록하는 이벤트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
  13.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에 있어서,
    차량의 차량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차량 데이터를 상기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과 연동되는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 데이터에 기반하여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전송되는 운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수신된 차량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대응하는 운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운전 데이터가 상기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운전 데이터를 상기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
  14.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단말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서버는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1020140079915A 2014-06-27 2014-06-27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단말 KR20160001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915A KR20160001894A (ko) 2014-06-27 2014-06-27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915A KR20160001894A (ko) 2014-06-27 2014-06-27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94A true KR20160001894A (ko) 2016-01-07

Family

ID=5516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915A KR20160001894A (ko) 2014-06-27 2014-06-27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8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695B1 (ko) * 2020-05-15 2021-10-14 주식회사 포도 영업용 차량을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30063390A (ko) * 2021-11-02 2023-05-09 주식회사 엔제로 교통약자 모빌리티를 지원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운전 평가방법
CN116091250A (zh) * 2023-02-09 2023-05-09 中国人民健康保险股份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保险风控管理方法与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4555A (ko) 2007-02-09 2008-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안전운행속도 안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4555A (ko) 2007-02-09 2008-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안전운행속도 안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695B1 (ko) * 2020-05-15 2021-10-14 주식회사 포도 영업용 차량을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30063390A (ko) * 2021-11-02 2023-05-09 주식회사 엔제로 교통약자 모빌리티를 지원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운전 평가방법
CN116091250A (zh) * 2023-02-09 2023-05-09 中国人民健康保险股份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保险风控管理方法与系统
CN116091250B (zh) * 2023-02-09 2023-12-15 中国人民健康保险股份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保险风控管理方法与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63201A1 (zh) 一种路况信息分享方法
KR102087073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US9501929B2 (en) Movement assistance device and movement assistance method
US201801583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nd predicting human and machine traffic
JP2020513617A (ja) 運転行為の確定方法、装置、機器及び記憶媒体
US2014021323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mobile applications using vehicle telematics data
US201601485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ffic incident reporting
KR101611547B1 (ko)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1920A (ko) 차량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856120B2 (en) Providing inter-vehicle data communications for multimedia content
US11756130B1 (en) Telematics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detection and notification
EP2823329A1 (en) Point of interest database maintenance system
KR101495674B1 (ko) 다중 사용자 관계 기반 내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관리 방법
KR20160001894A (ko) 안전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단말
KR20160005149A (ko)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교통위반 신고 시스템 및 그 신고 방법
KR20140100611A (ko) 길안내 시스템의 동작 방법 및 휴대 기기의 길안내 방법
KR20140126852A (ko) 사고 영상 수집 시스템 및 그의 사고 영상 수집 방법
CN104902245A (zh) 一种基于位置的信息互动系统
Sukuvaara et al. Vehicular-networking-and road-weather-related research in Sodankylä
CN204810436U (zh) 一种基于位置的信息互动系统
KR101314810B1 (ko) 승객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TWI530891B (zh) 雲端車輛動態系統
KR20140056674A (ko) 사고 처리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8077550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6645775B2 (ja) 列車接近警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29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601

Effective date: 2018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