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637U - 착탈형 누전차단기 - Google Patents

착탈형 누전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637U
KR20160001637U KR2020140008148U KR20140008148U KR20160001637U KR 20160001637 U KR20160001637 U KR 20160001637U KR 2020140008148 U KR2020140008148 U KR 2020140008148U KR 20140008148 U KR20140008148 U KR 20140008148U KR 20160001637 U KR20160001637 U KR 201600016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breaker body
breaker
lower ends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희
Original Assignee
이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희 filed Critical 이문희
Priority to KR2020140008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637U/ko
Publication of KR201600016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63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28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having provisions for interchangeable or replaceabl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2071/006Provisions for user interfaces for electrical protection device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입동선과 인출동선이 압착볼트에 의해 각각 고정되고, 차단부가 내장되어 누전 발생시 조작스위치를 내려 전기공급을 자동적으로 차단시키는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상하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인입동선과 인출동선이 각각 인입된 상태에서 압착볼트에 의해 각각 조임되어 고정되는 상하부단자를 갖는 상하단 좌우측고정부가 각각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슬라이딩 삽입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삽입요부 내측면에는 상기 상하단 좌우측고정부의 하부단자가 연장되어 슬라이딩방향으로 길게 노출형성되고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통전고정케이스; 및 정면에는 상기 조작스위치가 형성되고 상기 통전고정케이스의 슬라이딩 삽입요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상하단 좌우측고정부의 하부단자와 각각 대응되어 접촉되는 상하단 좌우측슬라이딩단자가 형성되어 내부 설치된 차단부에 의해 누전 발생시 조작스위치를 내려 전기공급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차단기몸체를 구비한 착탈형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누전차단기를 벽체에 고정시키는 통전고정케이스와 손쉽게 착탈이 가능한 차단기몸체로 구성시킴으로써 고장시 누전차단기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차단부가 내장된 차단기몸체만을 교체시키게 되므로, 기술자가 꼭 동원되지 않더라도 누구나 차단기몸체를 손쉽게 갈아 끼워 누전차단기를 정상 동작시킬 수 있고, 고장신고로 인한 불필요한 출동을 방지하여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누전차단기의 고장 즉시 사용자가 차단기몸체만을 교체하여 정상적인 전기공급이 가능하므로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을 해결할 수 있으며, 고장 발생시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고장난 부위인 차단기몸체만을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누전차단기의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탈형 누전차단기{Circuit breaker of detachable type}
본 고안은 착탈형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전차단기를 벽체에 고정시키는 통전고정케이스와 손쉽게 착탈이 가능한 차단기몸체로 구성시킴으로써 고장시 누전차단기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차단부가 내장된 차단기몸체만을 교체시키게 되므로, 기술자가 꼭 동원되지 않더라도 누구나 차단기몸체를 손쉽게 갈아 끼워 누전차단기를 정상 동작시킬 수 있는 착탈형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전차단기는 누전사고 발생시 차단부에서 순간적으로 전기공급을 차단시킴으로서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 및 화재발생을 방지하게 되나, 상기 차단부는 전기소자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절연내력이 약하므로, 낙뢰, 전원 또는 가옥 측의 전기적 고장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이상 전압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노후 및 기다 절연불량으로 인한 잦은 고장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가정에서 누전차단기의 고장이 발생하여 전기공급이 차단되게 되면 대부분은 한국전력공사에 고장 신고를 하게 되고, 한국전력공사는 신고를 받고 나가게 되나 누전차단기는 한국전력공사의 소관업무와 무관하므로 별도의 수리기사를 불러 누전차단기를 사용자가 비용을 부담하여 교체토록 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누전차단기의 고장으로 인한 단전사고 발생시 한국전력공사측에서 보면 불필요한 고장 출동으로 인하여 1회에 약 3만원의 비용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가정에서는 누전차단기를 교체하는 수리기사의 수수료와 누전차단기 비용을 부담하여야 하는 한편 누전차단기의 작동 후 교체에 이르기까지 상황에 따라 수 십분에서 수 시간동안 일반가정과 사무실 등에서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누전차단기는 배전함에 넣어져 있고, 벽체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며, 누전차단기에는 인입동선과 인출동선이 결합되어 있어 일반인은 그 교체를 하기가 어려워 전문적인 수리기사를 불러야만 교체가 가능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누전차단기를 벽체에 고정시키는 통전고정케이스와 손쉽게 착탈이 가능한 차단기몸체로 구성시킴으로써 고장시 누전차단기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차단부가 내장된 차단기몸체만을 교체시키게 되므로, 기술자가 꼭 동원되지 않더라도 누구나 차단기몸체를 손쉽게 갈아 끼워 누전차단기를 정상 동작시킬 수 있고, 고장신고로 인한 불필요한 출동을 방지하여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착탈형 누전차단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누전차단기의 고장 즉시 사용자가 차단기몸체만을 교체하여 정상적인 전기공급이 가능하므로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을 해결할 수 있고, 고장 발생시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고장난 부위인 차단기몸체만을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누전차단기의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착탈형 누전차단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인입동선과 인출동선이 압착볼트에 의해 각각 고정되고, 차단부가 내장되어 누전 발생시 조작스위치를 내려 전기공급을 자동적으로 차단시키는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상하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인입동선과 인출동선이 각각 인입된 상태에서 압착볼트에 의해 각각 조임되어 고정되는 상하부단자를 갖는 상하단 좌우측고정부가 각각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슬라이딩 삽입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삽입요부 내측면에는 상기 상하단 좌우측고정부의 하부단자가 연장되어 슬라이딩방향으로 길게 노출형성되고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통전고정케이스; 및
정면에는 상기 조작스위치가 형성되고 상기 통전고정케이스의 슬라이딩 삽입요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상하단 좌우측고정부의 하부단자와 각각 대응되어 접촉되는 상하단 좌우측슬라이딩단자가 형성되어 내부 설치된 차단부에 의해 누전 발생시 조작스위치를 내려 전기공급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차단기몸체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상하단 좌우측고정부의 하부단자는 측단면이 "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통전고정케이스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압착볼트가 나사결합되는 지지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기몸체의 상하단 좌우측슬라이딩단자가 슬라이딩 접촉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딩통전부가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통전고정케이스의 슬라이딩삽입요부 상하측 내면에는 내측으로 길게 돌부형성된 가이드돌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차단기몸체의 상하단면에는 상기 가이드돌부가 삽입되는 가이드요부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통전고정케이스와 상기 차단기몸체의 통전을 안내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차단기몸체의 좌우측 하단부 내측에 좌우측체결요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체결요부에 대응되는 체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전고정케이스의 좌우측단에 축회동되게 설치되며 스프링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탄발되어 상기 차단기몸체가 상기 통전고정케이스의 슬라이딩삽입요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좌우측탄성체결바가 더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누전차단기를 벽체에 고정시키는 통전고정케이스와 손쉽게 착탈이 가능한 차단기몸체로 구성시킴으로써 고장시 누전차단기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차단부가 내장된 차단기몸체만을 교체시키게 되므로, 기술자가 꼭 동원되지 않더라도 누구나 차단기몸체를 손쉽게 갈아 끼워 누전차단기를 정상 동작시킬 수 있고, 고장신고로 인한 불필요한 출동을 방지하여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전차단기의 고장 즉시 사용자가 차단기몸체만을 교체하여 정상적인 전기공급이 가능하므로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을 해결할 수 있고, 고장 발생시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고장난 부위인 차단기몸체만을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누전차단기의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 예인 착탈형 누전차단기의 통전고정케이스에 차단기몸체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 예인 착탈형 누전차단기의 통전고정케이스에 차단기몸체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좌측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 예인 착탈형 누전차단기의 통전고정케이스에 차단기몸체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 예인 착탈형 누전차단기의 통전고정케이스에 차단기몸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측탄성체결바의 작동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좌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 예인 착탈형 누전차단기의 통전고정케이스에서 차단기몸체를 교체하는 모습을 보인 사요상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착탈형 누전차단기(1)는, 인입동선(30,30a)과 인출동선(31,31a)이 압착볼트(16)에 의해 각각 고정되고, 내부에 차단부(26)가 내장되어 누전 발생시 조작스위치(21)를 자동으로 내려 전기공급을 자동적으로 차단시키는 것으로, 벽체(40)에 고정설치되어 인입통선(30,30a)과 인출통선(31,31a)이 장착되는 통전고정케이스(10)와, 통전고정케이스(10)에 삽입되어 내부의 차단부(26)에 의해 과전압시 자동으로 전류를 차단시키고 또한 필요에 따라 분리되는 차단기몸체(20)로 구성된다.
상기 통전고정케이스(10)는, 상하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인입동선(30,30a)과 인출동선(31,31a)이 각각 인입된 상태에서 압착볼트(16)에 의해 각각 조임되어 고정되는 상하부단자(12a,12b,13a,13b)(14a,14b,15a,15b)를 갖는 상하단 좌우측고정부(12,13)(14,15)가 각각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슬라이딩 삽입요부(11)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삽입요부(11) 내측면에는 상기 상하단 좌우측고정부(12,13)(14,15)의 하부단자(12b,13b,14,15b)가 연장되어 슬라이딩방향으로 길게 노출형성되고, 벽체(40)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차단기몸체(20)는, 정면에는 상기 조작스위치(21)가 형성되고, 상기 통전고정케이스(10)의 슬라이딩 삽입요부(11)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상하단 좌우측고정부(12,13)(14,15)의 하부단자(12b,13b,14,15b)와 각각 대응되어 접촉되는 상하단 좌우측슬라이딩단자(22,23)(24,25)가 형성되어 내부 설치된 차단부(26)에 의해 누전 발생시 조작스위치(21)를 자동으로 내려 전기공급을 자동으로 차단시킴으로써 과전류에 의한 화재나 감전 등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상하단 좌우측고정부(12,13)(14,15)의 하부단자(12b,13b,14,15b)는 측단면이 "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통전고정케이스(10)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볼트(16)가 나사결합되는 지지체결부(12ba,13ba,14ba,15b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차단기몸체(20)의 상하단 좌우측슬라이딩단자(22,23,24,25)와 슬라이딩 접촉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딩통전부(12bb,13bb,14bb,15bb)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통전고정케이스(10)의 슬라이딩삽입요부(11) 상하측 내면에는 내측으로 길게 돌부형성된 가이드돌부(17a,17b)가 각각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차단기몸체(20)의 상하단면에는 상기 가이드돌부(17a,17b)가 삽입되는 가이드요부(27a,27b)가 각각 길게 형성되어 상기 통전고정케이스(10)와 상기 차단기몸체(20)의 통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차단기몸체(20)의 좌우측 하단부 내측에는 좌우측체결요부(28,29)가 더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체결요부(28,29)에 대응되는 체결돌부(18a,19a)가 형성되고 상기 통전고정케이스(10)의 좌우측단에 축회동되게 설치되며 스프링(18b,19b)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탄발되어 상기 차단기몸체(20)가 상기 통전고정케이스(10)의 슬라이딩삽입요부(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좌우측탄성체결바(18,19)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건물의 벽체(40)에 내장된 분전반 등에 통전고정케이스(10)를 고정설치한 상태에서, 하단 좌우측고정부(14,15)의 상하부단자(14a,14b)(15a,15b) 사이에 인출동선(31,31a)을 각각 삽입시킨 상태에서 압착볼트(16)로 각각 체결고정시키고, 다시 통전고정케이스(10) 상단 좌우측고정부(12,13)의 상하부단자(12a,12b)(13a,13b) 사이에 인입동선(30,30a)을 각각 삽입시킨 상태에서 압착볼트(16)로 각각 체결고정시킨다.
그 상태에서 조작스위치(21)가 오프상태인 차단기몸체(20)를 슬라이딩삽입요부(11) 내측으로 삽입시키면 된다. 이때, 슬라이딩삽입요부(11) 상하부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돌부(17a,17b)에 맞춰서 차단기몸체(20) 상하단면의 가이드요부(27a,27b)를 각각 맞춘 상태에서 차단기몸체(20)를 통전고정케이스(10)의 슬라이딩삽입요부(11) 내측으로 서서히 밀면, 차단기몸체(20) 외측면의 상하단 좌우측슬라이딩단자(22,23)(24,25)는 상기 통전고정케이스(10)의 슬라이딩삽입요부(11)로 돌출된 상하단 좌우측고정부(12,13)(14,15)의 하부단자(12b,13b)(14b,15b)의 슬라이딩통전부(12bb,13bb)(14bb,15bb)와 밀착 통전되는 상태로 내측으로 슬라이딩이동되고, 차단기몸체(20)의 내측면이 통전고정케이스(10)의 슬라이딩삽입요부(11) 내측면과 밀착되는 순간에는 통전고정케이스(10)의 좌우측탄성체결바(18,19)는 내부의 스프링(18b,19b)에 의한 탄성으로 내측의 체결돌부(18a,19a)는 차단기몸체(20)의 좌우측체결요부(28,29)에 각각 삽입되어 차단기몸체(20)가 슬라이딩삽입요부(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런 본 고안의 착탈형 누전차단기(1)는, 한몸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누전차단기(도시않음)를 벽체(40)에 고정시키는 통전고정케이스(10)와, 손쉽게 착탈이 가능한 차단기몸체(20)로 분리되게 구성시킴으로써, 고장시 누전차단기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차단부(26)가 내장된 차단기몸체(20)만을 교체시키게 되므로, 기술자가 꼭 동원되지 않더라도 누구나 차단기몸체를 손쉽게 갈아 끼워 누전차단기를 정상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누전차단기의 고장 즉시 사용자가 차단기몸체(20)만을 교체하면 정상적인 전기공급이 가능하므로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10 : 통전고정케이스 11 : 슬라이딩삽입요부
12,13,14,15 : 상하단 좌우측고정부 12a,13a,14a,15a : 상부단자
12b,13b,14b,15b : 하부단자 12ba,13ba,14ba,15ba : 지지체결부
12bb,13bb,14bb,15bb : 슬라이딩통전부 16 : 압착볼트
17a,17b : 가이드돌부 18,19 : 좌우측탄성체결바
18a,19a : 체결돌부 18b,19b : 스프링
20 : 차단기몸체 21 : 조작스위치
22,23,24,25 : 상하단 좌우측슬라이딩단자 26 : 차단부 27a,27b : 가이드요부 28,29 : 좌우측체결요부
30,30a : 인입동선 31,31a : 인출동선
40 : 벽체

Claims (4)

  1. 인입동선과 인출동선이 압착볼트에 의해 각각 고정되고, 차단부가 내장되어 누전 발생시 조작스위치를 내려 전기공급을 자동적으로 차단시키는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상하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인입동선과 인출동선이 각각 인입된 상태에서 압착볼트에 의해 각각 조임되어 고정되는 상하부단자를 갖는 상하단 좌우측고정부가 각각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슬라이딩 삽입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삽입요부 내측면에는 상기 상하단 좌우측고정부의 하부단자가 연장되어 슬라이딩방향으로 길게 노출형성되고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통전고정케이스; 및
    정면에는 상기 조작스위치가 형성되고 상기 통전고정케이스의 슬라이딩 삽입요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상하단 좌우측고정부의 하부단자와 각각 대응되어 접촉되는 상하단 좌우측슬라이딩단자가 형성되어 내부 설치된 차단부에 의해 누전 발생시 조작스위치를 내려 전기공급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차단기몸체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누전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단 좌우측고정부의 하부단자는 측단면이 "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통전고정케이스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압착볼트가 나사결합되는 지지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기몸체의 상하단 좌우측슬라이딩단자가 슬라이딩 접촉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딩통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누전차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고정케이스의 슬라이딩삽입요부 상하측 내면에는 내측으로 길게 돌부형성된 가이드돌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차단기몸체의 상하단면에는 상기 가이드돌부가 삽입되는 가이드요부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통전고정케이스와 상기 차단기몸체의 통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누전차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몸체의 좌우측 하단부 내측에 좌우측체결요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체결요부에 대응되는 체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전고정케이스의 좌우측단에 축회동되게 설치되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탄발되어 상기 차단기몸체가 상기 통전고정케이스의 슬라이딩삽입요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좌우측탄성체결바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누전차단기.
KR2020140008148U 2014-11-07 2014-11-07 착탈형 누전차단기 KR201600016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148U KR20160001637U (ko) 2014-11-07 2014-11-07 착탈형 누전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148U KR20160001637U (ko) 2014-11-07 2014-11-07 착탈형 누전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637U true KR20160001637U (ko) 2016-05-17

Family

ID=5609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148U KR20160001637U (ko) 2014-11-07 2014-11-07 착탈형 누전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63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5075A (zh) * 2019-03-04 2019-05-14 乐清市万联电器有限公司 一种模块化一体式小型漏电断路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5075A (zh) * 2019-03-04 2019-05-14 乐清市万联电器有限公司 一种模块化一体式小型漏电断路器
CN109755075B (zh) * 2019-03-04 2024-03-29 乐清市万联电器有限公司 一种模块化一体式小型漏电断路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27006A1 (en) Dc circuit breaker and disconnector
KR101799954B1 (ko) 과열로 인한 사고 확산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US20160352026A1 (en) Thermal overcurrent circuit breaker
US20220134895A1 (en) Controlling an electrical supply to an appliance
KR101239876B1 (ko)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멀티단자대
CA2684527A1 (en) Installation switching device
KR100904958B1 (ko) 옥내배선기구 및 전기기구
KR20160001637U (ko) 착탈형 누전차단기
JP2020024962A (ja) 開閉器及び分電盤
KR200479906Y1 (ko) 배선용 차단기용 부속 장치 단자대 취부 모듈
KR20130026295A (ko) 피뢰기를 내장한 컷아웃 스위치
Kaiser et al. A Comprehensive Approach for Safety in DC-Microgrids
CN201503970U (zh) 保护插座
CN105374639A (zh) 插拔式表前开关装置
KR101608751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CN205195050U (zh) 一种可靠供电的开关柜
KR101609306B1 (ko)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KR20120107896A (ko) 이탈착 방식의 누전 차단기
KR20150068208A (ko) 배전반용 모듈식 차단기
KR20190013059A (ko) 무정전 단자대
CN213277964U (zh) 一种家用家电的防短路结构
KR200262947Y1 (ko) 무정전상태의 전력량계 교환 장치
JP5112128B2 (ja) Spd活線分離装置
JP5250789B2 (ja) 2極回路遮断器
JP6714948B2 (ja) 遮断器及びスイッチギ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