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958B1 - 옥내배선기구 및 전기기구 - Google Patents

옥내배선기구 및 전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958B1
KR100904958B1 KR1020070055189A KR20070055189A KR100904958B1 KR 100904958 B1 KR100904958 B1 KR 100904958B1 KR 1020070055189 A KR1020070055189 A KR 1020070055189A KR 20070055189 A KR20070055189 A KR 20070055189A KR 100904958 B1 KR100904958 B1 KR 100904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indoor wiring
bimetal
insula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7189A (ko
Inventor
이우영
박경엽
정진교
오연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55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958B1/ko
Publication of KR20080107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01R13/713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with thermal interru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전선과 단자 간 접속불량에 의하여 발생되는 이상(異常), 즉 글로우잉 커넥션(glowing connection)이 발생되면 이 글로우잉 커넥션 결함을 단락사고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옥내배선기구 및 전기기구, 그리고 이와 같은 옥내배선기구나 전기기구를 이용하여 글로우잉 커넥션으로부터 옥내배선을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옥내배선 기구는, 옥내배선 상의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단자와의 접촉을 통하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단자와 상기 부하의 접촉 부위에서 상기 단자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두 단자가 서로 단락되어 상기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스위칭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락, 글로우잉 커넥션, 바이메탈, 배선기구, 소켓, 옥내배선, 전기기구, 콘센트, 플러그

Description

옥내배선기구 및 전기기구{Interior wiring device and electrical appliance}
도 1은 일반적인 콘센트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내배선기구의 일례인 콘센트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도 4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옥내배선기구 내 스위칭수단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스위칭수단과 알림유닛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옥내배선기구에 관련한 전기 계통관계가 도시된 배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구의 주요부가 도시된 부분단면도로서, 접속수단의 일례인 플러그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옥내배선기구의 절연체 53 : 옥내배선기구의 표시구멍
60 : 옥내배선기구의 단자 70, 170 : 스위칭수단
71, 75, 171, 175 : 바이메탈 80, 181 : 알림유닛
95 : 전기기구의 접속수단 97 : 접속수단의 단자
98 : 접속수단의 표시구멍
본 발명은 주로 전선과 단자 간 접속불량에 의하여 발생되는 이상(異常), 즉 글로우잉 커넥션(glowing connection)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옥내배선기구 및 전기기구, 그리고 이 옥내배선기구나 전기기구를 이용하여 옥내배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옥내배선기구라 함은 배전(配電)을 위하여 건물 등에 전선을 시설할 때 사용되는 로제트, 소켓, 스위치, 콘센트, 리셉터클, 플러그 따위를 말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노출형의 콘센트가 도시된 분해사시도로서, 이 콘센트의 구성을 통하여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콘센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인입구(1-1)를 갖춘 하부하우징(1), 이 하부하우징(1) 안의 바닥면에 마련된 홈(1-2)에 끼워지고 이렇게 끼워진 상태로 나사(S1)에 의하여 체결되는 단자(2), 위의 하부하우징(1)에 씌워진 상태로 결합되는 것으로 나사(S2)에 의하여 하부하우징(1)과 체결되고 전기기구의 플러그 핀을 위의 단자(2)에 접속시킬 수 있도록 플러그 핀 삽입구멍(31)이 형성된 상부하우징(3)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콘센트는 단자(2)를 체결하고 있는 나사(S1)를 일부 풀어 나사 몸체에 피복이 제거된 부위가 접촉되도록 전선을 감은 뒤 조임으로써 나사 머리로 전선을 압박하면 전선의 연결이 완료되는 바, 이 상태에서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으면 전기가 이 전기기구에 공급된다.
그러나 설명한 구성의 콘센트는 위처럼 전기기구를 접속시킨 때 이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완전하게 꽂지 않았거나 전선이 단자(2)에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는 등 접촉상태가 불량하게 되면 앞서 언급한 글로우잉 커넥션(glowing connection)이 발생되고, 이 글로우잉 커넥션에 수반되는 특이사항인 불완전접촉으로 인한 아크발생, 접촉저항의 상승에 따른 발열현상 등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되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위의 문제 중에서 전자에 해당하는 아크발생은 아크결함으로부터 옥내 배선을 보호하는 아크회로차단기(arc fault circuit interrupter ; AFCI)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일부 대처가 가능하고, 후자인 발열현상의 경우에도 옥내배선 상에 설치되어 있는 누전차단기나 배선차단기가 작동하는 것에 의하여 어느 정도는 대처가 가능하다. 하지만 AFCI는 아직까지 일반적으로 적용하지 않는 것인 데다가 발생되는 아크의 상태에 따라서는 이 AFCI가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누전차단기나 배선차단기는 발열현상으로 절연체인 상/하부하우징(1)(3)이 변형되거나 하여 절연기능을 잃게 되어서 단락(또는 접지 측과의 접촉)이 발생된 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작동되기 때문에 이미 상당한 시간 동안 글로우잉 커넥션이 진행된 상태이므로 이 차단 조취가 있기 이전에 전기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았다.
다른 한편,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문제점은 비단 위의 콘센트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콘센트와 같이 단자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부하인 전기기구가 접속되는 옥내배선기구(즉 로제트, 소켓, 스위치, 콘센트, 리셉터클, 플러그 따위), 그리고 이 옥내배선기구와 전기기구를 접속하는 데 사용되는 스위치를 갖는 전기기구의 접속수단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문제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목적은 다음과 같다.
글로우잉 커넥션의 경우 수반되는 특이사항으로는 앞서 언급한 아크발생, 발열현상 등이 있는데, 이 이외에 전류 및 전압 면에서는 식별하기가 어려워 이를 이용하여 글로우잉 커넥션에 대처하기란 쉽지 않은 상태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글로우잉 커넥션에 수반되는 발열현상을 이용, 이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면 글로우잉 커넥션이 발생된 것으로 간주하여 단락사고를 고의적으로 유발시킴으로써 옥내배선 상의 차단기가 작동되는 것에 의하여 글로우잉 커넥션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는 옥내배선기구, 전기기구 및 이 옥내배선기구나 전기기구를 이용한 옥내배선 보호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이 글로우잉 커넥션이 단락사고로 전환된 때 이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현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옥내배선기구, 전기기구 및 이를 이용한 옥내배선 보호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옥내배선기구는, 옥내배선 상의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단자와의 접촉을 통하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옥내배선기구에 있어서, 상기 단자와 상기 부하의 접촉 부위에서 상기 단자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두 단자를 서로 단락시켜 상기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스위칭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두 단자 중 어느 한 단자의 접촉 부위에 온도가 상승하면 휘어져서 다른 한쪽이 상기 두 단자 중 나머지 단자의 접촉 부위에 접속되는 바이메탈 스위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옥내배선기구는 상기 두 단자가 단락되면 단락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바, 상기 단자, 스위칭수단 및 알림유닛은 절연체 안에 구비된 콘센트나 리셉터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체는 한쪽에 표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바이메탈은 온도의 상승으로 휘어지는 때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표시구멍을 향하여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알림유닛은 상기 바이메탈이 휘어질 때 이 바이메탈과 함께 이동, 상기 표시구멍을 통하여 절연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체 안에 구비된 표시부재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절연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구는 옥내배선 상의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옥내배선기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서, 상기 옥내배선기구와 접촉되거나 상기 전기기구 내부에서 전선과 접촉되는 두 개의 단자를 갖는 접속수단을 구비하는 전기기구에 있어서, 상기 단자와 상기 옥내배선기구의 접촉 부위 혹은 상기 단자와 상기 전기기구 내부의 전선과의 접촉 부위에서 상기 단자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두 단자가 서로 단락되어 상기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스위칭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두 단자 중 어느 한 단자의 접촉 부위에 온도가 상승하면 휘어져서 다른 한쪽이 상기 두 단자 중 나머지 단자의 접촉 부위에 접속되는 바이메탈 스위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단자가 단락되는 경우 단락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자, 스위칭수단 및 알림유닛은 상기 전기기구 내에 구비된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옥내배선 보호방법은 옥내배선 상의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단자와의 접촉을 통하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하 접속단계와; 상기 단자와 상기 부하의 접촉 부위에서 상기 단자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두 단자가 서로 단락되어 상기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단락 유발단계와; 상기 단락 유발 단계에 의하여 단락이 발생되면 상기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차단기 작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단락 유발단계 이후 단락이 되었음을 알리는 단락 알림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내배선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와 도 6은 도 4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모두 옥내배선기구의 하나인 콘센트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옥내배선기구의 일례인 콘센트는 상부하우징(51)과 하부하우징(55)으로 구성되는 절연체(50)를 포함하는 바, 상부하우징(51)은 하부하우징(55)의 위에 씌워지는 상태로 결합되고, 이 상태로 나사에 의하여 하부하우징(55)과 서로 체결된다. 또한 상부하우징(51)은 윗면에 부하인 전기기구의 코드 끝에 달린 플러그(95)를 꽂을 수 있도록 2개 1조의 플러그 핀 삽입구멍(5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때, 플러그(95)는 전기기구라면 옥내배선기구와 접속시키는 데 사용하도록 대부분이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접속수단이 된다.
이와 같은 절연체(50)는 플러그 핀 삽입구멍(52)에 꽂힌 플러그 핀(96)과 접촉되도록 그 안에 2개의 단자(60)가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두 단자(60)에서 플러그 핀(96)과 접촉되는 각각의 면은 대략 호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전기를 내보내는 출력부분이 된다. 또 두 단자(60)는 하부하우징(55)의 안쪽 바닥에 마련된 홈(56)에 각각 끼워지고, 이렇게 끼워진 상태로 나사(S)로 체결되어 움직임이 방지되는 바, 이 나사(S)로 체결되는 부분은 전선에 의하여 전원과 연결되어 이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받아들이는 입력부분이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옥내배선기구는 평상시 위와 같은 두 단자(60)를 서로 잇고 있지 않다가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두 단자(60)를 서로 잇도 록 작동되어 단락을 유발시키는 스위칭수단(70)이 상기 두 단자(60)의 사이에 설치되고, 아울러 이 스위칭수단(70)의 작동으로 두 단자(60)가 서로 단락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유닛(80)이 구비된다. 상기 스위칭 수단(70)은 두 단자(60)와 플러그(95)의 접촉이 발생되는 부위 혹은 배선기구에 전선이 연결되는 부위와 같이 열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점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스위칭수단(70)과 알림유닛(80)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수단(70)은 두 단자(60) 사이에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된 바이메탈(bimetal)(71)(75)로 구성되는 바이메탈 스위치로서, 양측 모두 수평부분(72)(76)과, 이 수평부분(72)(76)의 한쪽 끝에서 끝이 하부하우징(55)의 바닥을 향하도록 연장된 수직부분(73)(77)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대략 ㄱ자형으로 형성되는 금속 플레이트이다.
여기에서, 바이메탈(71)(75)의 양 단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대응하도록 그 수직부분(73)(77)이 정면으로 마주하도록 위치되고, 수평부분(72)(76)의 경우에는 다른 한쪽 끝 부분(수직부분과 연결되지 않는 쪽)이 두 단자(60)에, 열전달이 용이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입력부분 측에 각각 고정된다.
바이메탈(71)(75)은 열팽창계수가 다른 두 종류의 얇은 금속판(M1)(M2)을 포개어 붙인 것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이 두 금속판(M1)(M2) 중에서 상대적으로 팽창이 잘 되지 않는 금속판 쪽으로 휘어지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이는, 바이메탈 중 하나의 수직부분이 온도상승 시 바이메탈 중 다른 하나 쪽으로 휘어져서 접촉되도 록 팽창이 잘 되지 않는 금속판(M2)이 서로 대면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한 측 바이메탈(75)의 온도가 상승하면 상대단자를 향하여 휘어지게 되는 바, 자세하게는 수평부분(76)과 수직부분(77)에 의하여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6과 같이 고정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듯이 휘어지게 되고, 이처럼 휘어지는 때에 수평부분(76)이 상부하우징(51)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바이메탈(71)(75)의 양 단자는 수직부분(73)(77) 중에서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 접점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접점은 바람직하게는 접촉되는 면적이 증대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알림유닛(80)은 상부하우징(51)과 바이메탈(71)(75) 사이에서 바이메탈(71)(75)의 수평 부분(72)(76) 위쪽에 위치되도록 절연체(50) 안에 구비되는 바,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하(상부하우징 측과 하부하우징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알림유닛(80)은 도 6에서와 같이 이 도 6에서 보았을 때 좌측의 바이메탈(75)이 휘어져서 수평부분(76)이 상부하우징(51) 측으로 이동하면 이 수평부분(76)에 밀려 상부하우징(51)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부하우징(51)은 알림유닛(80)과 마주하는 부분에 일정한 크기의 표시구멍(53)이 형성되는 바, 알림유닛(80)은 바이메탈(71)(75)이 휘어져서 수평부분(72)(76)이 상부하우징(51) 측으로 이동된 때 이 표시구멍(53)을 통하여 절연체(50) 밖으로 돌출되는 크기를 가지는 표시부재이다. 이때, 이 표시부재는 사용자와의 접촉에 따른 감전사고 등이 방지되도록 절연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알림유닛(80)은 반드시 위처럼 구성되어야 할 이유는 없는 바, 예를 들어, 이동하는 바이메탈(71)(75)의 힘에 의하여 조작되는 음향발생부(또는 발광부)와, 이 음향발생부(또는 발광부)가 작동하는 데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는 전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옥내배선기구에 관련한 전기 계통관계가 도시된 배선도로서, 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옥내배선기구는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두 단자(60)가 배선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에서는 위의 도 8과 같은 배전구조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옥내배선기구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에서 도면부호 91은 부하인 전기기구 본체로서, 이 전기기구 본체(91)와 코드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95)를 옥내배선기구에 꽂아 이 옥내배선기구의 두 단자(60)에 플러그 핀(96)을 접속시킨다. 이때, 전기기구는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 이렇게 전기가 전기기구에 공급되는 중 접촉불량(옥내배선기구에 플러그를 완전하게 꽂지 않았거나 단자에 전선이 느슨하게 연결된 상태)에 의한 글로우잉 커넥션이 발생되면 이 글로우잉 커넥션에 수반되는 발열현상으로 옥내배선기구에서는 열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하여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스위칭수단(70)의 바이메탈(75)이 휘어져 스위칭 접점 간격이 점차 가깝게 되고, 계속하여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결국 바이메탈(75)의 수직부분(77)은 상대 단자(71)의 수직부분(73)과 접촉된다. 이때, 옥내배선기구의 두 단자(60)는 서로 이어져 단락상태가 된다. 즉 글로우잉 커넥션 결함이 단락사고로 전환된 것이다.
그 다음, 이와 같이 두 단자(60)가 서로 이어지게 되면 이렇게 이어지기까지에는 위에서 언급하였던 것처럼 바이메탈(75)의 수평부분(76)이 상부하우징(51) 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알림유닛(80) 또한 함께 이동, 표시구멍(53)으로부터 튀어나와 절연체(50)의 밖으로 돌출된다. 이때, 사용자는 이 돌출된 알림유닛(80)에 의하여 해당 옥내내선기구에서 두 단자(60)가 단락이 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두 단자(60)가 서로 단락됨에 따라 배선차단기가 작동되어 전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바, 이에 글로우잉 커넥션 발생 초기에 이 글로우잉 커넥션 결함으로부터 옥내배선은 보호된다.
도 9는 설명한 바와 같은 옥내배선기구의 핵심 구성이 적용된 전기기구의 접속수단을 보인 부분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D-D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모두 접속수단의 하단인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도시한 것이다.
위의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내배선기구의 핵심 구성인 스위칭수단(70)과 알림유닛(80)은 접속수단의 일례인 플러그(95)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플러그(95)는 그 절연체의 내부에 2개의 단자(97)가 구비되는데, 이 두 단자(97)는 그 사이에 옥내배선기구의 스위칭수단(70)과 마찬가지 구성을 가지는 스위칭수단(170)이 설치되고, 또 옥내배선기구의 알림유닛(80)과 마찬가지 구성의 알림유닛(180)이 내장된다.
이와 같은 플러그(95)는 그 두 단자(97)에 전기기구 본체(91)와 연결되어 있는 코드의 전선이 접속되는 바, 이 전선이 플러그(95)의 단자(97)에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거나 하면 글로우잉 커넥션 결함이 발생된다. 그러면, 예를 들어 스위칭수단(170)의 한쪽 바이메탈(175)은 휘어져서 다른 한쪽 바이메탈(171)과 접촉되어 단락되고, 이에 따라 알림유닛(180)이 이동하는 바, 플러그(95)의 절연체는 이 절연체 밖으로 알림유닛(180)이 돌출되도록 한쪽에 표시구멍(98)이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 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는 핵심 구성인 스위칭수단 및 알림유닛이 콘센트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살펴보았는데, 핵심 구성은 콘센트 외 로제트, 소켓, 스위치, 리셉터클, 플러그와 같이 단자를 가지는 한편 이 단자와 부하를 접촉시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데 사용하는 옥내배선기구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 접속수단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전기기구의 플러그 이외에 상기 플러그에 연결된 전선과 상기 전기기구의 내부에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전기기구 내부에 형성된 단자를 가지는 형태의 접속수단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도시된 바 없으나, 전기기구라 함은 전기밥솥ㆍ전기난방기구ㆍ전기다리미ㆍ전기풍로와 같은 전열기, 전등, 전동기와 같은 각종의 (가정)전기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옥내배선기구나 전기기구의 접속수단에서 글로우잉 커넥션이 발생되면 이 글로우잉 커넥션에 수반되는 발열현상으로 해당 스위칭수단이 작동되어 해당 두 단자가 서로 단락되어, 글로우잉 커넥션 결함을 단락사고로 전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차단기가 작동되어 전기 공급이 차단되는 것에 의하여 글로우잉 커넥션에 신속히 대처, 옥내배선을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보호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전기화재에 따른 인명, 재산 등 각종의 피해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옥내배선 상의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단자와의 접촉을 통하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옥내배선기구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차단기가 작동되도록 상기 두 단자 중 한 단자에서 다른 단자를 향하여 휘어짐으로써 상기 두 단자를 단락시키는 바이메탈로 구성된 바이메탈 스위치, 상기 두 단자가 단락되면 이를 알리는 알림유닛, 안에 상기 두 단자, 바이메탈 스위치 및 알림유닛이 구비되는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체는 한쪽에 표시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바이메탈은 온도가 상승되어 휘어지는 때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표시구멍을 향하여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알림유닛은 상기 바이메탈이 휘어질 때 이 바이메탈과 함께 이동, 상기 표시구멍을 통하여 상기 절연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체의 안에 구비되는 표시부재인 옥내배선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는 절연물로 이루어진 옥내배선기구.
  3. 옥내배선 상의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옥내배선기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서 상기 옥내배선기구와 접촉되거나 내부에서 전선과 접촉되는 두 개의 단자를 가지는 접속수단을 구비한 전기기구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차단기가 작동되도록 상기 두 단자 중 한 단자에서 다른 단자를 향하여 휘어짐으로써 상기 두 단자를 단락시키는 바이메탈로 구성된 바이메탈 스위치, 상기 두 단자가 단락되면 이를 알리는 알림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두 단자, 바이메탈 스위치 및 알림유닛은 상기 접속수단의 절연체 안에 구비되며,
    상기 절연체는 한쪽에 표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바이메탈은 온도가 상승되어 휘어지는 때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표시구멍을 향하여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알림유닛은 상기 바이메탈이 휘어질 때 이 바이메탈과 함께 이동, 상기 표시구멍을 통하여 상기 절연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체의 안에 구비되는 표시부재인 전기기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70055189A 2007-06-05 2007-06-05 옥내배선기구 및 전기기구 KR100904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189A KR100904958B1 (ko) 2007-06-05 2007-06-05 옥내배선기구 및 전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189A KR100904958B1 (ko) 2007-06-05 2007-06-05 옥내배선기구 및 전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189A KR20080107189A (ko) 2008-12-10
KR100904958B1 true KR100904958B1 (ko) 2009-06-26

Family

ID=4036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189A KR100904958B1 (ko) 2007-06-05 2007-06-05 옥내배선기구 및 전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9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272B1 (ko) * 2020-08-06 2020-11-18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팽창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180277B1 (ko) * 2020-08-06 2020-11-18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180275B1 (ko) * 2020-08-06 2020-11-18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플런저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180278B1 (ko) * 2020-08-06 2020-11-18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엠보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626063B1 (ko) * 2023-11-14 2024-01-17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원통전원절체형 플러그안전분리 콘센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3204A (ja) * 1998-02-19 1999-08-27 Hiromichi Omiya 火災防止電源コンセント・電源プラ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3204A (ja) * 1998-02-19 1999-08-27 Hiromichi Omiya 火災防止電源コンセント・電源プラ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189A (ko) 200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4831B2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interrupter with fire protection means
JP6147768B2 (ja) 絶縁保持具を含むプラグイン式サーキットブレーカアセンブリ
US20110134575A1 (en) Heat sensor responsive to electrical overloads
KR100904958B1 (ko) 옥내배선기구 및 전기기구
JP2007173203A (ja) コンセントに接続するのに適した安全プラグ
JP2015518237A5 (ko)
US6678131B2 (en) Arc-safe electrical receptacles
JP3133218U (ja) 壁取付型リミットスイッチ
EP3358594B1 (en) Single-stage circuit breaker
EP3667690A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CN101958212A (zh) 插座式剩余电流断路器
CN201532918U (zh) 插座式剩余电流断路器
WO2017041707A1 (zh) 电涌保护器底座
JP7153526B2 (ja) 保護モジュールのための電源断路器、およびそのような断路器を含む保護モジュール
CN109524277B (zh) 一种连接组件及组合式断路器
TWM531682U (zh) 過熱破壞式插座構造
US9105424B2 (en) Rocker switch unit
CN218939562U (zh) 断路器
CN211788872U (zh) 一种便于拆卸的断路器
TWI541851B (zh) 電路遮斷器
KR200487464Y1 (ko) 배선용 차단기
CN216698247U (zh) 一种强弱电分离式上下结构断路器
CN210575790U (zh) 漏电断路器
JP2009268252A (ja) 分電盤
CN111566773B (zh) 配线用断路器的电子式跳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