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044U -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044U
KR20160001044U KR2020140006893U KR20140006893U KR20160001044U KR 20160001044 U KR20160001044 U KR 20160001044U KR 2020140006893 U KR2020140006893 U KR 2020140006893U KR 20140006893 U KR20140006893 U KR 20140006893U KR 20160001044 U KR20160001044 U KR 201600010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penser
discharge line
purified water
wa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775Y1 (ko
Inventor
김민원
이재익
황필강
박상천
강성묵
조대연
김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to KR2020140006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75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0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0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의 도의 디스펜서와 물이 저장된 물탱크가 정수배출라인으로 연결되어 워터펌프의 구동에 의하여 디스펜서를 통해 냉장고 외부에서 물을 급수할 수 있게 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에 있어서 정수배출라인에 워터펌프의 동작 여부에 따라서 유로가 개방되거나 차단되는 차단요소와 외부의 공기가 정수배출라인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유입구를 포함하는 잔수차단밸브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급수를 중단한 후 잔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급수가 완료된 후에는 정수배출라인의 유로 상에 차있는 물의 수량을 줄여 급수개시를 위한 워터펌프의 작동시 초기 구동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water supplying control Structure of dispenser for refrigerator}
본 고안은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디스펜서에 연결되는 정수배출라인의 구조를 개선하여 디스펜서를 통하여 급수한 후 급수를 중단하는 과정에서 잔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워터펌프의 초기구동부하를 줄여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구비되어 냉동사이클 장치에 의하여 저장 공간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도록 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냉장고를 음식물의 보관 기능만을 위하여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보관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이 냉장고에 요구되고 있다.
디스펜서는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냉장고에 설치되는 것으로, 냉장고에 저장된 탱크 또는 외부의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장고 도어에서 직접 배출시킴으로써 냉장고 도어를 열지 않고도 간편하게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펜서는 사용자가 컵 또는 손을 이용하여 급수버튼(또는 급수레버)을 누르면 급수를 개시하게 되는 것으로, 급수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고, 급수 버튼에서 컵이나 손을 떼면 급수가 중단된다.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도어에 설치되는 디스펜서(100)와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200)가 정수배출라인(1)으로 연결되고, 정수배출라인(1)에는 워터펌프(300)가 장착되어 디스펜서(100)의 급수버튼(11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서 워터펌프(300)의 작동이 개시되면서 물이 배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워터펌프(300)의 작동을 중단시켜 유로를 차단하면서 급수가 중단되도록 된다.
하지만, 이러한 급수 제어구조의 문제가 디스펜서는 냉장고의 전면부에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반면에 냉매순환라인은 냉장고의 후방에 위치되므로 디스펜서로 배출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정수배출라인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디스펜서의 급수버튼 동작이 중단되었다 하더라도 이미 정수배출라인에 채워져 있는 물은 급수가 차단된 상태에서도 유로 상에 물이 잔류하게 되므로 급수 중단 이후에도 정수배출라인에 잔류하고 있는 물(잔수)이 디스펜서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펜서에서 컵을 뺀 이후에도 정수배출라인의 유로 상에 남아 있는 물이 배출되므로 디스펜서 하부의 바닥에 물이 떨어져 지저분하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정수배출라인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모두 배출될 때까지 컵을 빼지 않고 기다려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한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디스펜서의 차단과 동시에 잔수가 배출되지 않고 급수 중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수배출라인의 말단부, 즉 디스펜서의 직상부에 솔레노이드밸브를 추가적으로 장착하여 디스펜서의 급수버튼 조작에 의하여 급수를 중단하는 즉시 디스펜서를 통하여 잔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으나, 이 경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전장 시스템 및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협소한 도어 내부의 공간에서 솔레노이드밸브의 장착 및 솔레노이드밸브의 제어를 위한 전원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솔레노이드밸브의 장착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어의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냉장고 내부의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며, 또한 비교적 고가(高價)의 부품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되므로 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특히,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하여 정수배출라인의 말단부를 차단토록 하면 정수배출라인 전체에 물이 고여있게 되는데, 이는 급수가 개시될 때 정수배출라인에 차있는 물을 밀어내기 위해서는 워퍼펌프의 용량이 더 커져야 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즉, 냉장고의 정수배출라인에 장착되는 워터펌프는 원가절감을 이유로 펌프 스펙을 설정함에 있어서 최소사양에 맞추어 제작되는데, 정수배출라인에 물이 가등 차게 되면 유량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워터펌프에 부하량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냉장고에 사용되는 워터펌프는 유량조절 등의 문제로 인하여 기어펌프를 사용하는데, 물탱크 교체식 냉장고의 경우에는 워터펌프 가동이 중단되면 물탱크와 워터펌프 사이의 유로에 공기가 차게 되므로 워터펌으의 토출압력이 더욱 저하되며, 이에 따라 펌프의 용량을 소진하게 되어 워터펌프의 초기 기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물탱크 방식을 사용하는 냉장고는 디스펜서가 빈번하게 고장나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급수를 중단할 때 디스펜서의 급수버튼(또는 급수레버)조작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급수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급수를 중단한 이후에는 디스펜서를 통하여 잔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급수가 완료된 후에는 정수배출라인의 유로 상에 차있는 물의 수량을 줄여 급수개시를 위한 워터펌프의 작동시 초기 구동부하를 줄임으로써 고장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별도의 설치공간을 마련하지 않고도 냉장고 내부의 설계변경을 최소화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디스펜서가 장착되는 모든 냉장고에 간단하게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냉장고의 도어에 설치되는 디스펜서(100)와 물이 저장된 물탱크(200)가 정수배출라인(1)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수배출라인(1)에는 워터펌프(300)가 장착되어 디스펜서(100)에 형성된 급수버튼(110)의 조작에 의하여 워터펌프(300)를 구동시켜 디스펜서(100)의 배출구(120)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정수배출라인(1)은 워터펌프(300)의 동작 여부에 따라서 유로가 개방되거나 차단되는 차단요소(10a)와 외부의 공기가 정수배출라인(1)으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잔수차단밸브(10)가 장착되어 정수배출라인(1)의 유로상의 잔수배출을 차단하면서 워터펌프의 작동시 초기 구동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냉장고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물을 뽑아서 먹을 때 정수배출라인의 관로 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디스펜서를 통하여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급수를 중단함과 동시에 물이 배출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가 잔수가 넘치지 않는지 확인할 필요없어 매우 간편하게 디스펜서를 사용할 수 있고, 잔수가 떨어지지 않으므로 디스펜서의 하부 받침대(또는 물받이) 부분이 오염되지 않게 된다.
또한, 비교적 정확하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사전에 설정된 양만큼의 급수가 가능하게 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품질의 고급화로 상품 가치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잔수차단 구조가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신제품을 포함하여 기존의 냉장고 디스펜서에 설계변경이 없이도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범용으로 사용가능하며, 또한 급수개시를 위한 워터펌프의 초기 구동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펌프 용량을 높이지 않으면서도 잔수 차단이 가능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잔수차단밸브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세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잔수차단밸브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잔수차단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잔수차단밸브의 개폐구조를 나타낸 작동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잔수차단밸브를 통한 공기유입구조를 나타낸 작동상태 단면도
도 8은 급수가 중단된 상태에서 정수배출라인에 에어충진구간이 형성된 상태의 개략도
도 9는 본 고안의 잔수차단밸브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세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잔수차단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잔수차단밸브의 분해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도어에 설치되는 디스펜서(100)가 물탱크(200)와 정수배출라인(1)으로 연결되어 디스펜서(100)를 통하여 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되고, 급수 제어구조는 디스펜서(100)에 형성된 급수버튼(110)을 조작함으로써 정수배출라인(1)에 장착된 워터펌프(300)를 구동시켜 디스펜서(100)의 배출구(120)를 통하여 물이 배출토록 되며, 워터펌프(300)의 동작여부에 따라서 물이 급수되거나 또는 급수중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정수배출라인(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고안에서는 물탱크(200)를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수도배관에 연결하여 원수원으로로부터 물을 직접 공급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배출라인(1)은 디스펜서(100)의 배출구(120)에 인접하게 잔수차단밸브(10)가 장착되며, 잔수차단밸브(10)는 하부측으로 유로가 개방되도록 하거나 차단하는 차단요소(10a)와 상부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유입구(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수배출라인(1)은 유연성 튜브로 이루어져 디스펜서(100)와 물탱크(200)를 연결하게 되며, 정수배출라인(1)의 디스펜서측 말단부, 즉 배출구(120)에 형성되는 잔수차단밸브(10)는 정수배출라인(1)에 원통형의 하우징(11)이 장착되고 그 하우징(11) 내부에 밸브체(12)가 내장된다.
이때, 하우징(11)에 내장되는 밸브체(12)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밸브체(12) 자체를 복원력을 갖는 탄성재로 형성하여 차단요소(10a)가 수압의 발생여부에 따라서 일방향으로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밸브체(12)를 도9 내지 도 11과 같이 원통형몸체(16)와 유동체(17)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부품의 조립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동체(17)의 작동여부에 따라서 원통형몸체(16)의 유로가 개방되거나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밸브체(12)를 자체 복원력을 갖는 탄성재로 형성할 경우에는 단수부품으로 유로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밸브체(12)가 하우징(11)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대략적으로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그 원통형의 몸체 하부에 유로차단을 위하여 마주보는 형태로 날개부(13)를 형성하여 유로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날개부(13)가 맞닿은 중앙부에는 도 5와 같이 관통홀(14)을 형성하여 공기유입구(10b)가 형성되도록 하면 상부측, 즉 디스펜서의 외부에서 정수배출라인(1)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펜서(100)를 이용하여 물을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디스펜서(100)의 급수버튼(110)을 작동시키면 워터펌프(300)에 신호가 인가되어 워터펌프(300)의 동작이 개시되고, 따라서 워터펌프(300)가 정수배출라인(1)에 충진되어 있는 물을 밀어내면서 수압이 발생하여 도 6과 같이 밸브체(12)의 날개부(13)가 벌어지면서 유로가 개방되어 디스펜서(100)의 배출구(120)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날개부(13)는 하부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적은 수압에도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역방향으로는 유로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사용자가 물을 취출하다가 급수중단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디스펜서(100)의 급수버튼(110)을 이용하여 급수중단신호를 인가하면 워터펌프(300)의 동작이 중지되고, 밸브체(12)의 자체탄성력에 의하여 날개부(13)의 벌어짐 상태가 복원되면서 유로차단이 이루어져 급수가 즉시 중단된다.
이때, 밸브체(12)에 형성된 관통홀(14)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10b)의 역할을 하게 되어 공기가 정수배출라인(1)으로 유입되는데, 정수배출라인(1)의 말단부, 즉 디스펜서(100)의 배출구(120)가 형성된 부분은 워터펌프(30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장착되므로 공기유입구(10b)를 통하여 정수배출라인(1)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도 8과 같이 정수배출라인(1)에 충진되어 있는 물이 자연중력에 의하여 하부측으로 내려가게 되고 에어충진구간(α)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급수를 중단할 때 급수버튼(110)을 조작하는 즉시 잔수차단밸브(10)에 의하여 잔수차단이 이루어짐은 물론, 정수배출라인(1)의 유로 상에 충진되어 있는 물의 양을 줄여 워터펌프의 작동시 초기 구동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관통홀(14)의 위치는 제작과정에서 성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날개부(13)가 맞닿은 중앙부에 관통홀(14)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지만, 날개부(13) 자체에 관통홀(14)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관통홀(14)의 직경은 밸브체(12) 내부면이 물과 맞닿게 되는 부분의 표면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잔수가 하부로 흘러내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성할 수 있으며, 관통홀(14)을 복수로 형성하여 공기유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은 내공간의 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암,수 결합체(11a,11b)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도록 되고, 암,수 결합체는 나선결합 또는 강제끼움으로 조립하는 방식을 취사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과 밸브체(12)의 결합은 밸브체(12)의 외주면에 플랜지(15)를 형성하여 하우징(11)의 암,수 결합체(11a,11b)가 조립되는 맞물림부에 끼워 조립된다.
따라서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없이도 밸브체(12)가 하우징(11)에 내장된 상태에서 유로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밸브체(12) 자체가 탄성재로 이루어지므로 패킹을 내장하지 않고도 하우징(11)의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잔수차단밸브(10)는 밸브체(12)의 구조를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원통형몸체(16)와 유동체(17)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부품의 조립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동체(17)의 작동여부에 따라서 원통형몸체(16)의 유로가 개방되거나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정수배출라인(1)에 장착된 원통형의 하우징(11)에 상,하로 관통되는 배출공(16a)이 형성된 원통형몸체(16)가 내장되고 그 원통형몸체(16)에 배출공(16a)을 개폐하기 위한 유동체(17)가 장착되어 유동체(17)의 작동에 의하여 배출공(16a)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면서 디스펜서(100)의 배출구(120)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동체(17)는 차단막(17a)과 결합축(17b)으로 이루어져 원통형몸체(16)의 중앙에 형성된 조립구멍(16b)에 강제 끼움으로 조립되고, 결합축(17b)의 외주연에는 이탈방지돌기(17c)가 형성되어 원통형몸체(16)에 조립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되며, 유동체(17)는 탄성재로 이루어져 수압에 의하여 차단막(17a)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잔수차단밸브(10)의 유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원통형몸체(16)에 형성되는 배출공(16a)은 조립구멍(16b)의 주변에 방사형으로 타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몸체(16) 또는 유동체(17)에는 외기와 정수배출라인이 연통되게 통기공(18)이 형성되어 정수배출라인(1)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0b)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펜서(100)를 이용하여 물을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디스펜서(100)의 급수버튼(110)을 작동시키면 워터펌프(300)에 신호가 인가되어 워터펌프(300)의 동작이 개시되고, 따라서 워터펌프(300)가 정수배출라인(1)에 충진되어 있는 물을 밀어내면서 수압이 발생하여 유동체(17)의 차단막(17a)이 하측으로 벌어지면서 유로가 개방되어 원통형몸체(16)의 배출공(16a)이 개방되면서 디스펜서(100)의 배출구(120)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막(17a)은 하부측으로 벌어지므로 적은 수압에도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역방향으로는 유로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사용자가 물을 취출하다가 급수중단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디스펜서(100)의 급수버튼(110)을 이용하여 급수중단 신호를 인가하면 워터펌프(300)의 동작이 중지되고, 유동체(17)의 자체탄성력에 의하여 날개부(13)의 벌어짐 상태가 복원되면서 유로차단이 이루어져 급수가 즉시 중단된다.
이때, 원통형몸체(16) 또는 유동체(17)에 형성되는 통기공(18)이 공기유입구(10b)의 역할을 하게 되어 공기가 정수배출라인(1)으로 유입되는데, 정수배출라인(1)의 말단부, 즉 디스펜서(100)의 배출구(120)가 형성된 부분은 워터펌프(30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장착되므로 공기유입구(10b)를 통하여 정수배출라인(1)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정수배출라인(1)에 충진되어 있는 물이 자연중력에 의하여 하부측으로 내려가게 되고 에어충진구간(α)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급수를 중단할 때 급수버튼(110)을 조작하는 즉시 잔수차단밸브(10)에 의하여 잔수차단이 이루어짐은 물론, 정수배출라인(1)의 유로 상에 충진되어 있는 물의 양을 줄여 워터펌프의 작동시 초기 구동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원통형몸체(16)는 플라스틱 등의 경질재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재로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원통형몸체(16)를 탄성재로 제작할 경우에는 별도의 실링재가 필요없이 하우징과 밸브체의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원통형몸체(16)를 플라스틱 등의 경질재로 제작할 경우에는 별도의 패킹을 삽입하여 하우징과 밸브체의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원통형몸체(16)는 외주면에 플랜지(15)가 형성되어 하우징(11)의 암,수 결합체(11a,11b)가 조립되는 맞물림부에 끼워 조립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없이도 밸브체(12)가 하우징(11)에 간단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유로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1: 정수배출라인
10: 잔수차단밸브 10a: 차단요소
10a: 공기유입구
11: 하우징
12: 밸브체 13: 날개부
14: 관통홀 15: 플랜지
16: 원통형몸체 16a: 배출공
17: 유동체 17a: 차단막
17b: 결합축 17c: 이탈방지돌기
18: 통기공
100: 디스펜서 110: 급수버튼
120: 배출구
200: 물탱크
300: 워터펌프

Claims (6)

  1. 냉장고의 도어에 설치되는 디스펜서(100)와 물이 저장된 물탱크(200)가 정수배출라인(1)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수배출라인(1)에는 워터펌프(300)가 장착되어 디스펜서(100)에 형성된 급수버튼(110)의 조작에 의하여 워터펌프(300)를 구동시켜 디스펜서(100)의 배출구(120)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정수배출라인(1)은 워터펌프(300)의 동작 여부에 따라서 유로가 개방되거나 차단되는 차단요소(10a)와 외부의 공기가 정수배출라인(1)으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잔수차단밸브(10)가 장착되어 정수배출라인(1)의 유로상의 잔수배출을 차단하면서 워터펌프의 작동시 초기 구동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차단밸브(10)는 정수배출라인(1)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11)과, 하우징(11)에 내벽에 밀착되게 장착되는 밸브체(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체(12)는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밸브체(12)의 하단에는 원통형의 몸체의 하부에 유로차단을 위하여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는 날개부(13)와 날개부(13)가 맞닿은 중앙부에 관통홀(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은 내공간의 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암,수 결합체(11a,11b)가 조립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체(12)는 플랜지(15)가 형성되어 암,수 결합체(11a,11b)의 맞물림부에 끼워 조립되어 밸브체(12)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하우징(11)의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차단밸브(10)는 정수배출라인(1)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11)과, 하우징(11)에 내벽에 밀착되게 장착되는 밸브체(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체(12)는 상,하로 관통되게 배출공(16a)이 형성된 원통형몸체(16)와 배출공(16a)을 개방하거나 차단하기 위하여 원통형몸체(16)에 장착되는 유동체(17)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몸체(16) 또는 유동체(17)에는 외기와 정수배출라인이 연통되게 통기공(18)이 형성되어 정수배출라인으로 공기유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17)는 차단막(17a)과 결합축(17b)으로 이루어져 원통형몸체(16)의 중앙에 형성된 조립구멍(16b)에 강제 끼움으로 조립되고, 결합축(17b)의 외주연에는 이탈방지돌기(17c)가 형성되어 원통형몸체(16)에 조립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되며, 유동체(17)는 탄성재로 이루어져 수압에 의하여 차단막(17a)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잔수차단밸브(10)의 유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차단밸브(10)는 하우징(11)이 내공간의 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암,수 결합체(11a,11b)가 조립되어 이루어지고, 원통형몸체(16)에는 플랜지(18)가 형성되어 암,수 결합체(11a,11b)의 맞물림부에 끼워 조립되어 원통형몸체(16)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하우징(11)의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
KR2020140006893U 2014-09-22 2014-09-22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 KR200480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893U KR200480775Y1 (ko) 2014-09-22 2014-09-22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893U KR200480775Y1 (ko) 2014-09-22 2014-09-22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044U true KR20160001044U (ko) 2016-03-31
KR200480775Y1 KR200480775Y1 (ko) 2016-07-07

Family

ID=5564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893U KR200480775Y1 (ko) 2014-09-22 2014-09-22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7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789U (ko) * 1996-07-05 1998-04-30 김광호 냉장고용 워터 디스펜서의 급수밸브
KR20110085410A (ko) * 2010-01-20 201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789U (ko) * 1996-07-05 1998-04-30 김광호 냉장고용 워터 디스펜서의 급수밸브
KR20110085410A (ko) * 2010-01-20 201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775Y1 (ko)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2878B2 (ja) 便器の給水弁とその制御方法
US20150157967A1 (en) Water Filter Cartridge and Assembly
MX2008009653A (es) Derivacion doble para valvulas de limpieza automatica del tipo de diafragma.
US7614528B2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capable of regulating discharged amount of liquid
KR101724567B1 (ko) 잔수 개선 비데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EP1836943B1 (en) Anti-flood safety system for a dishwasher
KR200480775Y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
JP2000266196A (ja) 圧力室式弁
CN210646887U (zh) 一种即关即停出水装置及花洒
CN111248833A (zh) 提示方法、洗涤电器及存储介质
US11243017B2 (en) Drained plumbing system for an ice maker
US9254068B2 (en) Sequenced adjustable volume pumps, refill units and dispensers
KR200452156Y1 (ko) 점적호스용 조립식 압력조절 밸브
JP6546513B2 (ja) オーガ式製氷機
KR20090129828A (ko) 이탈방지용 개폐밸브를 갖춘 팽창탱크를 포함하는 온수기및 이에 사용되는 온수기용 팽창탱크
CN204438542U (zh) 热水器
JPH0961024A (ja) 冷蔵庫の製氷皿への給水装置
US10730738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ccelerated dispensing
CN109402963B (zh) 一种洗衣机洗涤剂自动投放装置
KR101210032B1 (ko) 냉장고용 워터밸브의 유량조절장치
CN113520193B (zh) 一种液体储存盒、供料装置及烹饪系统
CN112013586B (zh) 制冰组件及设有该制冰组件的冰箱
WO2021213551A1 (zh) 一种洗涤剂自动投放装置及洗涤设备
CN211533900U (zh) 进料装置及烹饪电器
KR20240021648A (ko) 관붙이 지수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