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410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410A
KR20110085410A KR1020100005182A KR20100005182A KR20110085410A KR 20110085410 A KR20110085410 A KR 20110085410A KR 1020100005182 A KR1020100005182 A KR 1020100005182A KR 20100005182 A KR20100005182 A KR 20100005182A KR 20110085410 A KR20110085410 A KR 20110085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ater
supply passage
water supply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612B1 (ko
Inventor
김성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5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612B1/ko
Priority to PCT/KR2010/007842 priority patent/WO2011056031A2/en
Priority to EP10828566.9A priority patent/EP2496899B1/en
Priority to CN201080050374.4A priority patent/CN102686961B/zh
Priority to US13/508,324 priority patent/US9267732B2/en
Publication of KR20110085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외부로 물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펜서로 공급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워터탱크; 상기 워터탱크와 디스펜서를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정회전시 상기 디스펜서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 상기 워터탱크 내측의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상기 펌프의 역회전시 개방되어 펌프의 부하를 줄이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실시 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구성이 부가되고 있다.
예컨데, 근래에는 냉장고 도어에 음용수가 취출되는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냉장고가 선호되고 있다.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 사용자는 정수된 차가운 물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냉장고에서는 디스펜서의 조작을 통한 물의 취출 후에 상기 디스펜서의 관로상에 남아 있는 물이 떨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감성 불만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디스펜서의 사용 종료순간 발생되는 잔수가 효과적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외부로 물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펜서로 공급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워터탱크; 상기 워터탱크와 디스펜서를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정회전시 상기 디스펜서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 상기 워터탱크 내측의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상기 펌프의 역회전시 개방되어 펌프의 부하를 줄이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워터탱크의 최고수위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워터탱크는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펌프는 상기 디스펜서의 조작부재의 조작 종료 후 설정시간 동안 역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시 상기 급수유로 내부의 물 또는 공기가 상기 개폐부재를 통해 상기 급수유로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개폐부재의 양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급수유로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급수유로의 압력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이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외측으로 물 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수단을 구속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는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폐수단과 선택적으로 접하는 테두리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급수유로의 외측에서 돌출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가이드부의 측방으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급수유로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급수유로의 압력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수단이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수단을 구속하며, 상기 급수유로의 물 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급수유로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서 돌출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상기 급수유로의 물 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급수유로의 압력에 따라 변형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급수유로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급수유로 내부의 압력에 따라 단부가 탄성 변형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펌프의 역회전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디스펜서의 사용 종료순간에 급수유로상의 잔수를 제거하기 위해 펌프가 역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급수유로 내부의 물은 워터탱크측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펌프의 역회전시 상기 급수유로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어, 상기 급수유로상에 구비된 개폐부재가 개방되어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 회수되는 물 또는 공기가 상기 개폐부재를 통해 상기 급수유로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워터탱크 내부에 위치되므로 배출되는 물과 공기는 상기 워터탱크 내부에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의 역회전시 발생될 수 있는 펌프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순간적인 잔수의 정체가 발생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상기 워터탱크의 내측으로 회수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의 역회전시 물과 함께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개폐부재를 통해 드레인 됨으로써 상기 펌프에 걸리는 부하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급수유로의 내부에 존재하는 물과 공기를 모두 흡입하여 상기 워터탱크 외측의 급수유로상에 공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에 의한 재급수시에 급수유로 상에 잔류되는 공기에 의한 물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디스펜서의 사용 성능 및 감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급수유로와 워터탱크, 디스펜서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개폐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워터탱크와 디스펜서의 물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개폐부재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개폐부재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2와 도 13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4와 도 15는 제 4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6은 제 5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워터탱크와 디스펜서의 물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구획벽(12)에 의해 각각 상부의 냉장실(14)과 하부의 냉동실(16)로 구획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4)과 냉동실(16)의 내부에는 다수의 선반과 서랍 등 식품이 수납될 수 있는 다수의 구성이 제공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4)과 냉동실(16)을 각각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냉장실 도어(22)와 냉동실 도어(2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2)와 냉동실 도어(24)는 각각 상기 캐비닛(1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14)과 냉동실(16)을 각각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2)와 냉동실 도어(24)의 배면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바스켓 등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2)에는 디스펜서(10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00)는 고외측에서 음용수를 취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장실 도어(22)의 전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100)에는 사용자가 눌러 조작하는 조작부재(11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재(110)는 레버 또는 버튼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110)는 상기 디스펜서(100)의 함몰된 내측에 구비되어 물을 받기 위한 컵 또는 용기로 눌러 음용수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22)의 전면에는 조작부(30) 및 디스플레이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을 조절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상기 냉장고(1)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2)의 배면에는 급수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워터탱크(200)가 구비된다. 상기 워터탱크(200)는 상기 디스펜서(1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펜서(100)와 연결된다.
상기 워터탱크(200)는 상기 디스펜서(100)를 통해 물이 다수회 공급될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물이 저장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200)는 상기 냉장실 도어(22)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장실 도어(22)의 배면에는 워터탱크 장착부(210)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워터탱크(200)로의 급수를 위해서는 상기 워터탱크(200)를 상기 워터탱크 장착부(210)로부터 분리한 후에 상기 워터탱크(200)에 물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200)는 상기 워터탱크 장착부(210) 및 상기 냉장실 도어(22) 배면에 밀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탱크(200)는 필요에 따라서 시판되는 규격 크기의 생수병과 같은 페트(PET)병을 상기 워터탱크 장착부(210)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급수유로와 워터탱크, 디스펜서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워터탱크(200)는 상기 냉장실 도어(22)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펜서(100)는 상기 냉장실 도어(22)의 전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200)와 상기 디스펜서(100)는 급수유로(220)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워터탱크(200)가 상기 디스펜서(100)보다 상방에 구비되는 경우 자중에 의해 상기 워터탱크(200) 내부의 물이 상기 디스펜서(100)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200)와 상기 디스펜서(100) 사이의 상기 급수유로(220)에는 펌프(230)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230)는 상기 워터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상기 디스펜서(10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펌프(230)가 정회전하는 경우 상기 급수유로(220)를 통해서 상기 워터탱크(200)의 물이 상기 디스펜서(10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230)가 역회전하는 경우 상기 급수유로(220)상의 잔수 및 공기가 다시 상기 워터탱크(200)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펌프(230)는 상기 디스펜서(100)의 동작을 위한 조작부재(110)의 조작과 동시에 정회전하여 상기 디스펜서(100)에서 물을 취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230)는 상기 디스펜서(100)로부터 물 취출을 완료하여 상기 조작부재(110)로부터 손을 떼는 순간에 역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유로(220)는 상기 워터탱크(200)의 내측에서부터 상기 디스펜서(100)의 출구까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200) 내측의 상기 급수유로(220) 단부에는 필터(2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워터탱크(200) 내부의 물이 상기 급수유로(220)로 유입되는 순간 정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200) 및 디스펜서(100)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급수유로(220)의 일부를 비롯하여 상기 급수유로(220)상의 펌프(230)는 상기 냉장실 도어(22)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2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유로(220)와 펌프(230)는 상기 냉장실 도어(22) 내부에 구비된 단열재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워터탱크(200) 내측의 상기 급수유로(220) 상에는 개폐부재(300)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300)는 상기 펌프(230)의 역회전시 개방되어 상기 펌프(230)의 부하를 줄여주기 위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체크밸브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300)는 상기 워터탱크(200)의 최고수위(Hw)에 대응하는 상기 급수유로(220)상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300)는 상기 워터탱크(200) 내부의 물이 최고수위(Hw)가 되더라도 물에 잠기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워터탱크(200)의 탈착시 상기 급수유로(220)의 단부는 상기 워터탱크(200)의 입구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240)의 외경과, 상기 개폐부재(300)를 포함한 상기 급수유로(220)의 외경은 상기 워터탱크(200)의 입구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개폐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I-I'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재(300)는 일측이 선택적으로 개구되는 관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급수유로(22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로(220)의 상단과 하단은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급수유로(22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30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급수유로(220)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312)이 각각 함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300)는 상기 급수유로(220)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개폐부재(300)는 관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급수유로(220)와 연결되는 연결관(310)과, 상기 연결관(310)에 개구되는 개구부(320), 상기 개구부(320)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30)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330)을 구속하는 커버(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관(310)의 상하측에 형성되는 고정홈(312)의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320)는 상기 급수유로(220)를 지나는 물 또는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20)의 둘레에는 테두리부(32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부(322)는 상기 개폐수단의 밀폐를 위한 것으로 상기 개구부(320)의 직경보다 큰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부(322)와 상기 개폐수단(330)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개구부(320)가 차폐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320)의 외측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관(310)에는 가이드부(34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40)는 상기 개폐수단(33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수단(330)이 유동되어 상기 급수유로(220) 내부의 물 또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340)의 외측면 양측방(도 5에서는 상방과 하방)에는 배출구(342)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342)는 상기 가이드부(34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폐수단(330)의 개방시 상기 급수유로(220)의 물 또는 공기가 상기 배출구(34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330)은 밀폐성능이 우수한 고무,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330)은 상기 가이드 부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개폐수단(330)은 적어도 상기 개구부(320)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342)와 대응하는 상기 개폐수단(330)의 상단과 하단은 내측으로 함몰되어 함몰부(3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320)를 통해 배출되는 물과 냉기가 상기 배출구(342)측으로 유도된 후 상기 배출구(342)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340)의 개구된 전면은 커버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커버(350)의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부(340)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3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350)의 결합시 상기 배출구(342)는 상기 가이드부(340)의 상하방으로 개구되어 원활한 물 또는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워터탱크와 디스펜서의 물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개폐부재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개폐부재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는 상기 냉장실 도어(22)를 열고 상기 워터탱크(200)에 충분한 양의 물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워터탱크(200)에 물을 채워 상기 워터탱크 장착부(210)에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2)를 닫고 물 취출을 위한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2)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워터탱크(200)는 상기 냉장실 도어(22)의 배면에 구비되므로, 고내의 냉기에 의해 상기 워터탱크(200) 내부의 물이 차갑게 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2)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100)의 조작부재(110)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상기 펌프(230)가 정회전하게 된다. 상기 펌프(230)가 정회전하게 되면, 상기 펌프를 기준으로 상기 워터탱크(200)측이 부압(흡입압력)에 의해 물이 흡입되고, 상기 디스펜서(100) 측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재(110)를 조작하는 동안 상기 워터탱크(200)로부터 지속적인 물의 공급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230)가 정회전하게 되면, 상기 워터탱크(200)측의 상기 급수유로(220) 내부에는 부압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300)의 외측보다 상기 급수유로(220) 내부의 압력이 낮게 되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330)은 상기 개구부(320)를 닫게 된다. 상기 개구부(3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워터탱크(200) 내부의 물은 상기 급수유로(220)를 통해서만 이동되며, 상기 펌프(230)를 지나 워터탱크(20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100)를 통한 물 취출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디스펜서(100)의 조작부재(110)의 조작을 종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110)에서 손이나 용기를 떼는 순간 상기 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상기 펌프(230)는 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펌프(230)가 역회전하면 상기 펌프(230)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펜서(100)측의 급수유로(220)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물과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워터탱크(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펌프(230)의 역회전시 상기 디스펜서(100)측의 급수유로(220) 내부는 부압(흡입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100)측의 급수유로(220) 내부의 물과 공기가 흡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230)를 기준으로 상기 워터탱크(200)측의 급수유로(220) 내부는 정압(토출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유로(220) 내부의 물과 공기가 상기 워터탱크(200)의 내측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워터탱크(200)의 내부에는 항상 물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며, 특히 상기 워터탱크(200)의 수위가 높을수록 상기 급수유로(220) 내부의 물을 상기 워터탱크(200) 내측으로 토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부하가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230)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워터탱크(200)측의 급수유로(220) 내부에 정압이 작용하는 순간 상기 개폐부재(300)가 개방된다. 즉, 상기 펌프(230)가 역회전하게 되면, 상기 급수유로(220)의 내측은 상기 개폐부재(300) 외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압이 되며, 상기 개폐수단(330)을 외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개구부(320)가 개방되어 상기 급수유로(220) 내측의 물과 공기가 상기 개폐부재(30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개구부(320)를 통과한 물과 공기는 상기 가이드부(340)에 형성된 배출구(342)를 통해 상기 급수유로(22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300)는 상기 워터탱크(20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이므로 상기 개폐부재(30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물과 공기는 상기 워터탱크(200)의 내측에 자연스럽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300)가 상기 워터탱크(200)의 최고수위(Hw)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므로, 상기 개폐부재(300)에는 저장된 물에 의한 부하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 2 실시 예는 개폐부재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부분은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과 도 11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재(400)는, 상기 급수유로(220)에 연결되어 물 또는 공기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410)과, 상기 연결관(410)의 외측에 형성되는 개구부(420), 그리고, 상기 개구부(420)를 개폐하는 개폐수단(430)과, 상기 개폐수단(430)을 수용하는 가이드부(440)와 상기 가이드부(440)를 차폐하는 커버(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관(41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기 급수유로(220)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유로(220)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420)는 상기 연결관(410)의 내측과 연통되도록 개구된다. 상기 개구부(420)의 둘레는 구 형상의 상기 개폐수단(4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된 안착부(4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440)는 상기 개폐수단(430)이 상기 급수유로(220)내의 압력에 의해 유동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커버(450)는 상기 가이드부(44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며, 상기 개폐수단(430)이 탈거되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450)에는 상기 개폐수단(430)이 상기 개구부(420)를 개방하였을 때 물 또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452)가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개폐부재(400)는, 상기 펌프(230)의 정회전시 상기 펌프(230)를 기준으로 상기 워터탱크(200)측 급수유로(220)의 내측에 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430)이 상기 개구부(420)를 닫게 되어 상기 급수유로(220)를 따라 물이 이동되어 상기 디스펜서(100)로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230)의 역회전시 상기 펌프(230)를 기준으로 상기 워터탱크(200)측 급수유로(220)의 내측에 정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430)이 이동되며, 상기 개구부(420)를 개방하게 되어 상기 급수유로(220) 내측의 물과 공기가 상기 개폐부재(400)의 배출구(452)를 통해 상기 워터탱크(200) 내측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 3 실시 예는 개폐부재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부분은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와 도 13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2과 도 13을 참조하면, 제 3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재(500)는, 상기 급수유로(220)에 연결되어 물 또는 공기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510)과, 상기 연결관(510)의 외측에 형성되는 개구부(520), 그리고, 상기 개구부(520)의 외측에 돌출되며 배출구(532)가 형성되는 돌출부(530) 그리고, 상기 개구부(520)를 개폐하는 개폐수단(5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관(51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기 급수유로(220)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유로(220)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520)는 상기 연결관(510)의 내측과 연통되도록 개구된다.
상기 개구부(520)의 둘레는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는 돌출부(5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530)의 외측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배출구(532)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530)의 단부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개폐수단(540)이 구비된다.
상기 개폐수단(540)은 시트(sheet) 또는 백(bag)과 같은 형상으로 상기 돌출부(53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540)은 압력에 의해 자유롭게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고무나 비닐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520)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230)의 정회전시 상기 펌프(230)를 기준으로 상기 워터탱크(200)측의 급수유로(220)의 내측에 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540)이 상대적으로 저압인 상기 급수유로(220)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개구부(520)를 닫게 되어 상기 급수유로(220)를 따라 물이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펌프(230)의 역회전시 상기 펌프(230)를 기준으로 상기 워터탱크(200)측의 급수유로(220)의 내측에 정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540)이 탄성복원 되며, 상기 개구부(520)를 개방하게 되어 상기 급수유로(220) 내측의 물과 공기가 상기 개폐부재(500)의 배출구(532)를 통해 상기 워터탱크(200) 내측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 4 실시 예는 개폐부재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부분은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와 도 15는 제 4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제 4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재(600)는, 상기 급수유로(220)에 연결되어 물 또는 공기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610)과, 상기 연결관(610)의 외측에 형성되는 개구부(620), 그리고, 상기 개구부(620)를 개폐하는 개폐수단(6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관(61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기 급수유로(220)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유로(220)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620)는 상기 연결관(610)의 내측과 연통되도록 개구된다.
상기 개구부(620)의 둘레에는 상기 개폐수단(64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63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630)는 상기 개폐수단(640)의 단부와 억지끼움 방식, 접착 또는 형합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640)은 상기 연결관(610)의 외측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개구부(620)와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640)은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640)은 상기 연결관(610)에 고정되며 원통형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42)와, 상기 연장부(642)의 단부에서 개폐되는 개폐부(64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644)는 상기 연장부(642)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하폭이 좁아지면서 납작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644)는 상부와 하부가 서로 면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개폐부재(600)는, 상기 펌프(230)의 정회전시 상기 펌프(230)를 기준으로 상기 워터탱크(200)측의 급수유로(220)의 내측에 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640)의 개폐부(644)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급수유로(220)를 따라 물이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펌프(230)의 역회전시 상기 펌프(230)를 기준으로 상기 워터탱크(200)측의 급수유로(220)의 내측에 정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개구부(620)를 통해 물이 상기 개폐수단(6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수단(640)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면, 상기 상하의 폭이 점점 좁아지는 개폐수단(640)의 구조적 특성상 개폐부(644)측으로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644)가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부(644)의 개방으로 상기 급수유로(220) 내측의 물과 공기가 상기 개폐부재(600)의 외측으로 토출되어 상기 워터탱크(20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 5 실시 예는 개폐부재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부분은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은 제 5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워터탱크와 디스펜서의 물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 5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재(700)는, 상기 워터탱크(200) 내측의 급수유로(220)상에 제공된다. 상기 개폐부재(700)는 상기 펌프(230)의 역회전시 개방될 수 있으며, 제어부(250)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식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개폐부재(7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식 개폐밸브이며, 상기 워터탱크(200)의 최고수위(Hw)보다 높은 상기 워터탱크(2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700)의 개방시 상기 급수유로(220)를 통해 상기 워터탱크(200)로 이동되는 물 또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폐부재(700)를 통해 상기 워터탱크(200) 내측으로 직접 배출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개폐부재(700)는 상기 펌프(230)를 제어하는 제어부(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230)가 정회전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개폐부재(70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워터탱크(200) 내부의 물이 상기 급수유로(220)를 통해 상기 디스펜서(100)로 공급될 있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펌프(230)가 역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개폐부재(700)의 개방 신호를 보내 상기 개폐부재(7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펌프(230)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펜서(100)측 급수유로(220) 내의 잔수와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개폐부재(700)를 통해 상기 워터탱크(200)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0. 디스펜서 110. 조작부재
200. 워터탱크 220. 급수유로
230. 펌프 250. 제어부
300,400,500,600,700. 개폐부재

Claims (13)

  1.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외부로 물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저장공간 또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펜서로 공급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워터탱크;
    상기 워터탱크와 디스펜서를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정회전시 상기 디스펜서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
    상기 워터탱크 내측의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상기 펌프의 역회전시 개방되어 펌프의 부하를 줄이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워터탱크의 최고수위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탱크는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디스펜서의 조작부재의 조작 종료 후 설정시간 동안 역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시 상기 급수유로 내부의 물 또는 공기가 상기 개폐부재를 통해 상기 급수유로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개폐부재의 양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급수유로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급수유로의 압력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이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외측으로 물 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수단을 구속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는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폐수단과 선택적으로 접하는 테두리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급수유로의 외측에서 돌출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가이드부의 측방으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급수유로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급수유로의 압력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수단이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수단을 구속하며, 상기 급수유로의 물 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급수유로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서 돌출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상기 급수유로의 물 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급수유로의 압력에 따라 변형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급수유로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급수유로 내부의 압력에 따라 단부가 탄성 변형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펌프의 역회전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00005182A 2009-11-06 2010-01-20 냉장고 KR101085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182A KR101085612B1 (ko) 2010-01-20 2010-01-20 냉장고
PCT/KR2010/007842 WO2011056031A2 (en) 2009-11-06 2010-11-08 Refrigerator and water tank for refrigerator
EP10828566.9A EP2496899B1 (en) 2009-11-06 2010-11-08 Refrigerator and water tank for refrigerator
CN201080050374.4A CN102686961B (zh) 2009-11-06 2010-11-08 冰箱
US13/508,324 US9267732B2 (en) 2009-11-06 2010-11-08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182A KR101085612B1 (ko) 2010-01-20 2010-01-20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410A true KR20110085410A (ko) 2011-07-27
KR101085612B1 KR101085612B1 (ko) 2011-11-22

Family

ID=4492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182A KR101085612B1 (ko) 2009-11-06 2010-01-20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044U (ko) * 2014-09-22 2016-03-31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5703B2 (ja) 1998-01-07 2008-06-0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製氷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044U (ko) * 2014-09-22 2016-03-31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612B1 (ko)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4318B2 (en) Refrigerator
KR101096994B1 (ko) 냉장고
KR101997259B1 (ko) 냉장고
US9222722B2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EP2623906A2 (en) Refrigerator
US10502477B2 (en) Refrigerator appliance
US20130105513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chilled water dispenser
EP2407737A2 (en) Refrigerator
EP2496899B1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for refrigerator
KR101085612B1 (ko) 냉장고
KR101639442B1 (ko) 냉장고
KR101754360B1 (ko) 냉장고
KR101088221B1 (ko) 냉장고
KR20130017010A (ko) 냉장고
KR101079469B1 (ko) 냉장고
KR20130017008A (ko) 냉장고
KR20130017006A (ko) 냉장고
KR20130017004A (ko) 냉장고
KR20130031150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