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032B1 - 냉장고용 워터밸브의 유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워터밸브의 유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032B1
KR101210032B1 KR1020120018539A KR20120018539A KR101210032B1 KR 101210032 B1 KR101210032 B1 KR 101210032B1 KR 1020120018539 A KR1020120018539 A KR 1020120018539A KR 20120018539 A KR20120018539 A KR 20120018539A KR 101210032 B1 KR101210032 B1 KR 101210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flow control
ice mak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휘동
김민원
이재익
황필강
박상천
Original Assignee
정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휘동 filed Critical 정휘동
Priority to KR1020120018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되는 물의 압력에 대응하여 유로가 가변되면서 균일한 양으로 물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냉장고용 워터밸브의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용 워터밸브의 본체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내측이 디스펜서 공급유로와 제빙기 공급유로로 분할되도록 하면서 제빙기의 공급유로 측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압력에 의하여 형태변형이 이루어지는 유량조절패드를 장착하고, 그 유량조절패드의 외주면이 맞닿는 제빙기 공급유로의 내주면에 내입홈을 형성하여 유량조절패드의 형태변화에 따라서 내입홈의 차단정도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압력이 높을 때는 유로를 축소하면서 압력이 낮을 때는 유로를 확대하여 자동으로 유로폭이 가변되면서 공급되는 물의 압력과 관계없이 물을 균일한 양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워터밸브의 유량조절장치{flow control apparatus of water valve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용 워터밸브의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에 대응하여 유로가 가변되면서 균일한 양으로 물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냉장고용 워터밸브의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에서 보관하도록 되는 냉장실과 음식물을 얼려서 보관하도록 되는 냉동실이 함께 구비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냉장고의 외부에서 도어를 열지 않고도 물을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도록 도어 바깥쪽에 디스펜서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으며, 근래에는 냉각된 물을 외부에서 토출하도록 되는 디스펜서와 함께 냉장고의 내부에서 제빙기를 통하여 물을 얼린 얼음을 냉장고 도어의 외부에서 토출할 수 있도록 된 얼음토출기를 상기 디스펜서와 함께 설치하는 것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디스펜서와 제빙기가 함께 구비되는 냉장고는 외부급수원으로부터 급수관을 연결하여 유입된 물이 물탱크로 충진되고 물탱크에서는 다시 디스펜서와 제빙기로 급수관을 연결하여 디스펜서를 통해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제빙기로 물을 공급하여 제빙기에서 얼음을 생성한 후 그 생성된 얼음을 얼음토출기로 이동시켜 도어 외부에서 얼음을 토출할 수 있도록 되는 것으로, 물이 공급되는 공급라인 상에는 워터밸브를 장착하여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냉수와 제빙기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제빙기로 물을 공급할 경우에 물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 제빙기에서 물이 넘치게 되고, 물이 넘치는 상태에서 제빙이 이루어지게 되면 얼음 덩어리가 크게 형성되므로 얼음토출기로 토출되지 않으면서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제빙기로 공급되는 물은 유량체크가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유량의 체크가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플로우 센서를 포함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그 정밀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냉장고를 장기간 사용중에 유량체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워터밸브의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워터밸브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관계없이 균일한 양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이러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정밀하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제빙기로 물을 정량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공급량 조절이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설계상의 간단한 변경만으로도 물의 유입량을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배출구는 개폐밸브에 의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되면서 물을 공급하거나 공급중단하게 되는 냉장고용 워터밸브에 있어서, 상기 워터밸브는 워터밸브 본체에 형성되는 유입구의 내측에 디스펜서 공급유로와 제빙기 공급유로를 형성하여 공급유로가 분할되도록 하고, 유입구의 타측에 형성되는 배출구는 디스펜서에 급수관으로 연결되는 제1배출구와 제빙기에 급수관으로 연결되는 제2배출구로 나뉘어지도록 하여 분할되어진 공급유로를 통하여 공급된 물이 각각의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제빙기 공급유로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유량조절패드를 장착하여 물의 압력에 따라서 제빙기 공급유로의 폭이 자동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빙기 공급유로는 단턱을 형성하여 유량조절패드가 안착되도록 하면서 그 제빙기 공급유로의 내주면에는 내입홈을 형성하여 유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유량조절패드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유량조절패드의 외주면이 내입홈을 일부 차단하거나 개방함으로써 물의 공급량을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입홈은 중앙부에 돌출리브를 형성하여 내입홈이 두 개로 분할되어지도록 하여 유량조절패드의 탄성작동을 제어토록 하고, 이러한 돌출리브의 단부가 유량조절패드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이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제품 설계상에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빙기 공급유로를 통하여 물이 공급될 때 공급되는 물의 압력에 따라서 유량조절패드가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형태가 변형되면서 물이 공급되는 유로의 직경을 자동으로 변경시킬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형태 변형이 물의 압력의 높고 낮음에 따라 자동으로 변형되므로 간단하게 물의 공급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유량체크를 정밀하게 하면서도 제빙기에 물을 정량 공급할 수 있게 되며, 얼음 덩어리가 크게 만들어지지 않도록 되어 얼음토출기가 막히지 않고 냉장고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워터밸브의 유입구의 설계과정에서 간단한 변형만으로도 물의 공급량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시간당 공급하고자 하는 물의 필요 공급량을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제품 설계 및 제작이 용이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량조절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량조절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유량조절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워터밸브(1)는 냉장고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라인 상에 장착하여 급수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수(原水)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으로 연결되어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냉장고 측으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가 형성되도록 워터밸브 본체(10)를 형성하고, 그 배출구(12)가 개폐밸브(17)에 의하여 개방되거나 차단되도록 하며, 상기 유입구(11)는 디스펜서 공급유로(13)와 제빙기 공급유로(14)로 분할하여 각각의 디스펜서 공급유로(13)와 제빙기 공급유로(14)가 제1배출구(12a)와 제2배출구(12b)에 연결되어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제빙기 공급유로(14)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유량조절패드(15)를 장착하여 워터밸브(1)의 유입구(11)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따라서 유량조절패드(15)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제빙기 공급유로(14)의 개방된 폭을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밸브 본체(10)의 유입구(11)를 통하여 공급된 물이 디스펜서 공급유로(13)와 제빙기 공급유로(14)를 경유하여 배출구측으로 유도되고, 상기 배출구(12)는 각각의 제1배출구(12a)와 제2배출구(12b)측에 저수부(16)를 일체로 형성하여 물이 저수부에 임시보관된 상태에서 개폐밸브(17)의 작동에 의하여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되면서 디스펜서 또는 제빙기로 물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배출구(12b)와 연결되는 제빙기 공급유로(14)상에 탄성재로 이루어진 유량조절패드(15)를 장착함으로써 원수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압력이 높을수록 유량조절패드(15)의 형태가 많이 변형되면서 유로를 더욱 차단토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유량조절패드(15)를 장착함에 있어서, 제빙기 공급유로(14)에 단턱(14a)을 형성하여 유량조절패드(15)가 안착되도록 하고, 그 유량조절패드(15)가 끼워진 상태에서 제빙기 공급유로(14)의 내주면에는 내입홈(14b)을 형성하여 그 내입홈을 통하여 유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원수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따라 유량조절패드(15)의 외주면에 내입홈(14b)을 차단하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면서 시간당 공급되는 물의 양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유량조절패드(15)의 작동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압력이 낮은 상태에서는 유량조절패드(15)의 형태변형이 거의 없으므로 내입홈(14b)의 개방된 직경에 변화가 거의 없고 따라서 유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반면에 원수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유량조절패드(15)가 압력에 의하여 눌려지면서 외주면의 형태변형이 일어나게 되면서 내입홈(14b)의 개방된 직경을 차단하게 되면서 유로의 폭을 줄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원수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유로가 넓게 형성되고, 반대로 원수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유로가 좁게 형성되면서 제빙기 공급유로(14)의 개방된 유로 폭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시간당 공급되는 물의 양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급유로에 형성되는 내입홈(14b)의 형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거나, 내입홈(14b)의 중앙에 돌출리브(14c)를 형성하여 분할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내입홈을 분할되게 형성하는 경우에 돌출리브(14c)의 돌출길이에 따라 유량조절패드(15)의 형태 가변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유량조절패드(15)의 형태 가변폭을 줄여 물의 압력에 상대적으로 적게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리브(14c)의 돌출되어진 단부가 유량조절패드(15)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이고, 유량조절패드(15)의 형태 가변폭을 늘려 물의 압력에 상대적으로 크게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리브(14c)의 돌출되어진 단부가 유량조절패드(15)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분할되어진 두 개의 내입홈(14c)에 의하여 유로가 복수로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유로로 형성할 때보다는 상대적으로 물의 압력에 대응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작동하면서 공급되는 물의 양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시간당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전체적인 설계변경과 함께 유량조절패드의 탄성을 조절할 필요없이 제품 설계상에서 돌출리브의 길이를 간단하게 설계변경을 함으로써 유량조절패드(15)의 가변폭을 설정할 수 있어 해당 제품의 필요 공급량에 따라서 물이 배출되는 정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1: 워터밸브
10: 워터밸브 본체 11: 유입구
12: 배출구 13: 디스펜서 공급유로
14: 제빙기 공급유로 14a: 단턱
14b: 내입홈 14c: 돌출리브
15: 유량조절패드 16: 저수부

Claims (5)

  1.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되며, 배출구(12)는 개폐밸브(17)에 의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되면서 물을 공급하거나 공급중단하게 되는 냉장고용 워터밸브(1)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용 워터밸브(1)는 워터밸브 본체(10)에 형성되는 유입구(11)의 내측에 디스펜서 공급유로(13)와 제빙기 공급유로(14)가 형성되어 공급유로가 분할되고, 상기 배출구(12)는 디스펜서 공급유로(13)와 연결되는 제1배출구(12a)와 제빙기 공급유로(14)와 연결되는 제2배출구(12b)가 형성되어 분할되어진 공급유로를 통하여 공급된 물이 각각의 배출구로 배출토록 되며, 상기 제빙기 공급유로(14)는 단턱(14a)이 형성되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유량조절패드(15)가 안착되고, 유량조절패드(15)가 끼워지는 제빙기 공급유로의 내주면에는 내입홈(14b)이 형성되어 유량조절패드(15)의 외주면측에 유로가 형성되어 물의 압력에 따라 제빙기 공급유로(14)의 개방된 폭을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내입홈(14b)의 중앙에 돌출리브(14c)가 형성되어 유로를 분할하여 안정적으로 유량조절이 이루어지면서도 유량조절패드(15)의 형태 가변폭을 설계상에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워터밸브의 유량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리브(14c)는 돌출된 단부가 유량조절패드(15)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워터밸브의 유량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리브(14c)는 돌출된 단부가 유량조절패드(15)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워터밸브의 유량조절장치.
KR1020120018539A 2012-02-23 2012-02-23 냉장고용 워터밸브의 유량조절장치 KR101210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539A KR101210032B1 (ko) 2012-02-23 2012-02-23 냉장고용 워터밸브의 유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539A KR101210032B1 (ko) 2012-02-23 2012-02-23 냉장고용 워터밸브의 유량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0032B1 true KR101210032B1 (ko) 2012-12-07

Family

ID=4790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539A KR101210032B1 (ko) 2012-02-23 2012-02-23 냉장고용 워터밸브의 유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0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327Y1 (ko) 2001-01-10 2001-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297750Y1 (ko) 2002-08-23 2002-12-11 김춘일 점적호스용 수압 조절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327Y1 (ko) 2001-01-10 2001-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297750Y1 (ko) 2002-08-23 2002-12-11 김춘일 점적호스용 수압 조절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8914A (ko) 냉장고
US8505326B2 (en) Ice making apparatus with water spillage prevent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281590B1 (ko)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
KR20130138951A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210032B1 (ko) 냉장고용 워터밸브의 유량조절장치
KR20170101558A (ko) 밸브
US20170350640A1 (en) Water valve preventing redundant water from dripping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JP2006168082A (ja) バルブノズル
US20140239518A1 (en) Refrigerator equipped with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US20070144203A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200448110Y1 (ko) 급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빙기
KR20080006235U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30061430A (ko) 워터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140146373A (ko) 정수필터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727594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유량 조절 장치
KR20090129828A (ko) 이탈방지용 개폐밸브를 갖춘 팽창탱크를 포함하는 온수기및 이에 사용되는 온수기용 팽창탱크
JP6546513B2 (ja) オーガ式製氷機
KR20130013517A (ko) 배수 기능이 향상된 얼음 저장고
KR20150136690A (ko) 젤라틴 캡슐 성형기의 액상 젤라틴 공급장치
KR100763437B1 (ko) 급수제어를 위한 전자석밸브
KR200480775Y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 제어구조
US20200271367A1 (en) Modular water storage tank for a refrigerator
KR102618479B1 (ko) 전자석 급수 밸브
CN110749142A (zh) 制冷设备
KR200454334Y1 (ko) 제빙기용 유량조절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