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915U - 면상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면상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915U
KR20160000915U KR2020150005760U KR20150005760U KR20160000915U KR 20160000915 U KR20160000915 U KR 20160000915U KR 2020150005760 U KR2020150005760 U KR 2020150005760U KR 20150005760 U KR20150005760 U KR 20150005760U KR 20160000915 U KR20160000915 U KR 201600009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e
flexible sheet
display panel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851Y1 (ko
Inventor
지아 쉬
카이민 첸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09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9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8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K9/50
    • F21K9/30
    • F21K9/5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21Y2101/0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형이고 또한 광의 도광판의 배면 또는 측면으로부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면상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면상 발광 장치는, 평판상의 표시 패널과, 광반사 기능 및 차광 기능을 갖는 가요 시트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가요 시트 사이에 배치된 평판상의 도광부와, 그 도광부의 측부에 배치한 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가요 시트의 상기 광반사 기능을 갖는 일방의 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점착제를 갖고, 상기 점착재에 의해 상기 광반사 기능을 갖는 일방의 면에 상기 도광부를 점착하고, 또한 상기 광원에 인접하는 측 이외, 상기 가요 시트는 상기 도광부의 주위에 노출된 노출 부분을 갖고, 상기 노출 부분 상의 상기 점착재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가요 시트를 점착하였다.

Description

면상 발광 장치{PLANAR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면상 발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의 조작 영역을 발광시키는 면상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의 조작 영역을 발광시키기 위해, 통상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판 사이에 배치된 도광 시트가 개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발광 유닛이 기재되어 있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11) 가 조작 영역을 구비하고, 그리고 기체 (11) 에 접촉 시트 (12) 와 도광 시트 (13) 가 순차 설치되어 있다. 광원 유닛 (14) 내의 발광 다이오드 (141) 의 광은, 도광 시트 (13) 의 단면 (B) 으로부터 입사되어, 도광 시트 내로 도광되고, 도광 시트의 주면 (A) 에 설치된 발광 영역에서 확산된 후, 외부로 출사된다. 또, 그 발광 유닛에 광원 유닛 (14) 과 도광 시트 (13) 의 단면 (B) 사이의 간극을 덮는 커버 부재 (15) (반사층 (151) 과 흡수층 (152) 을 포함한다) 가 형성되고, 그 간극 또는 광원의 상면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커버 부재 (15) 에서 반사되어, 도광 시트 (13) 내에 도광되기 때문에 광원 유닛 (14) 으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도광 시트에 도광시킨다.
CN101230970B
그러나, 상기 구성의 발광 유닛에 있어서, 커버 부재에서 상기 간극 또는 광원의 상면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 또한 흡수함으로써, 광원의 상면측으로부터의 광 누설을 방지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에 의해, 광의 도광 시트의 상면 및 다른 일방의 측면 (즉, 단면 (B) 에 대향하는 측면) 으로부터의 출사를 방지할 수 없다. 종래, 그 도광 시트의 상면 및 다른 일방의 측면으로부터의 광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따로 도광 시트의 주위에 차광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한편, OGS (One Glass Solution) 기술의 발전 및 전자 기기의 박형화에 따라 표시 패널과 부품 실장 기판 사이의 간극이 점점 더 작아져, 예를 들어, 그 간극이 이전의 약 0.2 ㎜ 에서 약 0.1 ㎜ 가 되었다. 이에 대해, 도광 시트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요구된다. 도광 시트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광원의 발광 중심과 도광 시트의 두께 중심이 크게 어긋나기 때문에, 광의 사용률이 하강하는 문제가 생겼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박형이고 또한 광의 도광판의 배면 또는 측면으로부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면상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면상 발광 장치는, 평판상의 표시 패널과, 광반사 기능 및 차광 기능을 갖는 가요 (可撓) 시트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가요 시트 사이에 배치된 평판상의 도광부와, 그 도광부의 측부에 배치한 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가요 시트의 상기 광반사 기능을 갖는 일방의 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점착제를 갖고, 상기 점착재에 의해 상기 광반사 기능을 갖는 일방의 면에 상기 도광부를 점착하고, 또한, 상기 광원에 인접하는 측 이외, 상기 가요 시트는 상기 도광부의 주위에 노출된 노출 부분을 갖고, 상기 노출 부분 상의 상기 점착재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가요 시트를 점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면상 발광 장치에 의해 상기 가요 시트를 구비하고, 점착제로 가요 시트의 일방의 면에 상기 도광부를 점착시키고, 또한 점착제로 도광부의 배면 전체를 덮고 또한 도광부의 배면 및 측면 (광원에 인접하는 측 이외의 3 개의 측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을 봉지하도록,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가요 시트를 점착시킨다. 이 때문에, 백라이트판의 배면 또는 측면에 다른 차광부건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부재 및 조립 공정을 줄임으로써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면상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가요 시트 사이에 상기 도광부가 복수 배치되고, 인접하는 상기 도광부가 연결부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에 의해 복수의 도광부를 연결시키는 것은, 복수의 도광부가 각각 배치되는 것에 비해, 각 도광부 전체의 배치 정밀도를 보증할 수 있어,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면상 발광 장치에 있어서, 연결 방향에 수직하는 폭 방향에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도광부보다 폭이 좁게 되어 있다.
연결부의 폭이 도광부보다 좁기 때문에, 가요 시트의 도광부의 주위로부터 노출된 면적이 커지고, 즉, 가요 시트와 표시 패널 사이의 점착 면적이 커진다. 이 때문에 보다 확실한 점착을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도광부의 고정도 보다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면상 발광 장치에 있어서, 두께 방향에서, 상기 광원의 발광 중심이 상기 도광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에 접근하거나 또는 일치하도록,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도광부 사이에 높이 조정용 점착재를 형성하고 있다.
높이 조정용 점착재의 설치에 의해 도광부의 입사단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입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도광부의 발광부에 있어서 박형화를 보증할 수 있기 때문에 광의 사용률이 향상된다.
상기 면상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발광 중심과 상기 도광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의 고도차는, 상기 광원의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방향에서의 사이즈의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보다 높은 광의 사용률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면상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요 시트는 광반사층 및 차광층을 갖고, 상기 광반사층은 백색 또는 금속 증착막 등의 금속색이며, 상기 차광층은 흑색이다.
그 차광층과 광반사층이 하나의 부재로서 구성되고, 광반사층에서 반사되지 않는 광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광이 광반사층을 투과하여 누설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면상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출 부분은, 상기 도광부의 상기 광원의 반대측으로부터 노출된 제 1 노출 부분과, 상기 도광부의 측방으로부터 노출된 제 2 노출 부분을 포함한다.
제 1 노출 부분 및 제 2 노출 부분의 점착제에 의해 광이 도광판의 광원의 반대측 및 측방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면상 발광 장치에 있어서, 점착 전의 상기 제 1 노출 부분은, 연결 방향에 수직하는 폭 방향에서의 길이가 상기 도광부의 두께의 1.4 배를 초과한다. 이 경우, 제 1 노출 부분의 굽힘 각도가 크지 않은 것을 보증할 수 있어, 표시 패널과의 높은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발광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발광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면상 발광 장치를 적용한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면상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면상 발광 장치에 있어서의 가요 시트와, 도광 시트와, 높이 조정용 점착재가 분해 상태가 되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가요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면상 발광 장치는, 태블릿, 휴대 전화, 차량 기기 등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패널에 있어서의 조작 영역을 발광시키는 것이다. 표시 패널이 키 영역 등의 조작 영역을 구비하고 또한 그 조작 영역을 발광시키는 기기이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면상 발광 장치를 휴대 전화에 적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일부의 스마트폰에 있어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 (1) 의 하부에 조작 영역 (2) 이 형성된다. 도 3 의 조작 영역 (2) 에 있어서, 좌측, 중간, 우측에 3 개의 키 영역이 형성되고, 키 영역마다 상이한 기능이 부여된다. 사용자는, 표시 패널에 있어서의 키 영역을 접촉함으로써, 예를 들어 선택, 퇴출, 메뉴 표시 등의 특정한 조작을 실시한다.
이하, 도 3 ∼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면상 발광 장치 (3) 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 은, 표시 패널의 배면측 (사용자가 조작하는 면의 반대면) 에서 표시 패널을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싸는 부분을 확대 표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도 4 에 있어서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면상 발광 장치 (3) 에 있어서의 가요 시트와, 도광 시트와, 높이 조정용 점착재가 분해 상태가 되었을 때 평면도이다. 도 7 은, 가요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3 및 도 4 에 있어서의 상, 하, 좌, 우 방향을 면상 발광 장치 (3)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하고, 표시 패널 (1) 의 두께 방향을 면상 발광 장치 (3) 의 두께 방향으로 한다. 또, 평면에서 보는 상태란, 표시 패널 (1) 의 배면측이 위를 향하여 수평하게 두는 경우 상방에서 표시 패널 (1) 의 배면측을 보는 상태이다.
면상 발광 장치 (3) 는, 평판상의 표시 패널 (1) 의 일부와, 가요 시트 (4) 와, 평판상의 도광부 (5) 와, 연결부 (6) 와, 높이 조정용 점착재 (7) 와, 광원 (8) 을 구비한다.
도 4 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요 시트 (4) 와, 평판상의 도광부 (5) 와, 연결부 (6) 와, 높이 조정용 점착재 (7) 가, 두께 방향에 있어서, 표시 패널 (1) 의 배면측에 중첩되어 형성된다. 두께 방향에 있어서, 도광부 (5) 가 표시 패널 (1) 과 가요 시트 (4) 사이에 형성되고, 높이 조정용 점착재 (7) 가 도광부 (5) 와 표시 패널 (1) 사이에 형성된다.
도 4 에 있어서, 광원 (8) 이 도광부 (5) 의 하방에 형성되고, 광원 (8) 과 도광부 (5) 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광원 (8) 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FPC) (8a) 과 발광 다이오드 (8b) 를 구비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FPC) (8a) 에 있어서의 배선을 이용하여 전지로부터의 전력을 발광 다이오드 (8b) 에 공급하여 발광 다이오드 (8b) 를 발광시킨다.
도광부 (5) 는, 통상, 가요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광부는 폴리우레탄 수지,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PEN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PC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 (1) 과 가요 시트 (4) 사이에 복수의 도광부 (5) 가 설치된 경우, 인접하는 도광부 (5) 가 연결부 (6) 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 (6) 에 의해 복수의 도광부 (5) 를 연결시킴으로써, 복수의 도광부 (5) 가 각각 배치되는 것에 비해, 각 도광부 (5) 전체의 배치 정밀도를 보증할 수 있어, 위치 차이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연결부 (6) 는 도광부 (5) 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고, 도광부 (5) 와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연결 방향에 수직하는 폭 방향에서, 연결부 (6) 의 폭 (도 4 의 상하 방향의 길이) 이 도광부 (5) 보다 좁다.
높이 조정용 점착재 (7) 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진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높이 조정용 점착재 (7) 에 의해 도광부 (5) 의 광원측의 입사단 (5a) 을 표시 패널 (1) 의 배면측에 첩부할 수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조정용 점착재 (7) 는 도광부 (5) 의 입사단 (5a) 측에만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도광부 (5) 의 입사단 (5a) 과 중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요 시트 (4) 는 광반사 기능 및 차광 기능을 갖는 부재이면, 그 구성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반사층 (41) 의 외측에 차광층 (42) 을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광반사층 (41) 으로서 백색의 수지층 등을 들 수 있고, 차광층 (42) 으로서 흑색의 수지층 등을 들 수 있다. 흑색의 수지층은 흑색의 수지를 직접 사용해도 되고, 혹은 흑색 잉크를 인쇄해도 된다. 그 구성에 의해 광이 광반사층 (41) 을 투과해도, 차광층 (42) 에서 투과한 광을 흡수할 수 있어, 광이 광반사층 (41) 을 투과하여 누설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가요 시트 (4) 의 광반사 기능을 갖는 일방의 면에 점착제를 갖고, 가요 시트 (4) 를 도광부 (5) 에 중첩함으로써, 가요 시트 (4) 의 반사 기능을 갖는 일방의 면과 도광부 (5) 를 점착시킨다.
그리고, 광원 (8) 에 인접하는 측 이외, 가요 시트 (4) 는 도광부 (5) 및 연결부 (6) 의 주위에 노출된 노출 부분을 갖는다. 즉, 광원 (8) 에 인접하는 측에 가요 시트 (4) 와 도광부 (5) 가 중첩되고, 광원 (8) 에 인접하는 측 이외의 적어도 일방의 측에 가요 시트 (4) 는 도광부 (5) 및 연결부 (6) 의 주위에 노출된 노출 부분을 갖는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노출 부분은 도광부 (5) 의 광원 (8) 의 반대측 (도 4 의 상방) 으로부터 노출된 제 1 노출 부분 (4a) 과, 도광부 (5) 의 측방 (좌측 및/또는 우측) 으로부터 노출된 제 2 노출 부분 (4b) 을 포함한다. 또, 추가로 연결부 (6) 의 상하방으로부터 노출된 제 3 노출 부분 (4c) 을 포함한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노출 부분 (4a) 은 표시 패널 (1) 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 부분 (4a1) 및 표시 패널 (1) 에 대해 평행한 평행 부분 (4a2) 을 포함한다. 경사 부분 (4a1) 의 굽힘 각도가 지나치게 크면, 가요 시트 (4) 가 접힐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경사 부분 (4a1) 의 길이 (L) 는 도광부 (5) 의 두께 (h1) 의 1.4 배 이상이 되는 것 (즉, 1.4 * h1 ≤ L) 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 경사 부분 (4a1) 과 평행 부분 (4a2) 이 이루는 각은 45 도 이하인 것을 보증할 수 있다. 요컨대, 점착 전의 제 1 노출 부분 (4a) 의 상하 방향에서의 길이가 도광부 (5) 의 두께 (h1) 의 1.4 배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노출 부분에 있어서의 점착제에 의해 가요 시트 (4) 는, 도광부 (5) 의 배면 전체를 덮고 또한 도광부 (5) 의 배면 및 측면 (도 4 의 광원 (8) 에 인접하는 측 이외의 3 개의 측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을 봉지하도록, 표시 패널 (1) 과 가요 시트 (4) 를 점착시킨다. 이 때문에, 백라이트판 (도식하지 않음) 의 배면 또는 측면에 다른 차광부건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부재 및 조립 공정을 줄임으로써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요 시트 (4) 와 표시 패널 (1) 의 거리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계단적으로 변화한다. 두께 방향에서 가요 시트 (4) 와 높이 조정용 점착재 (7) 가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서 가요 시트 (4) 와 표시 패널 (1) 의 거리가 가장 크다. 가요 시트 (4) 의 제 1 노출 부분 (4a) 의 위치에 가요 시트 (4) 와 표시 패널 (1) 은 직접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거리는 0 이 된다.
또, 도광부 (5) 는 조작 영역에 있어서의 키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통상, 대략 각형으로 형성된다. 또, 도 5,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광부 (5) 가 표시 패널 (1) 과 접촉하는 부분에, 도광부 (5) 의 발광부 (5b) 의 영역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대략 사각형의 발광부 (5b) 가 설치된다. 그 발광부 (5b) 의 형성 방식이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 연결부 (6) 의 폭이 도광부 (5) 보다 좁기 때문에, 가요 시트 (4) 의 도광부의 주위로부터 노출된 면적이 커지고, 즉, 가요 시트와 표시 패널 사이의 점착 면적이 커진다. 이 때문에, 보다 확실한 점착을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도광부의 고정도 보다 확실하게 실현될 수 있다.
이하, 도 5 를 참조하여 높이 조정용 점착재 (7) 의 기능을 설명한다.
통상,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광원 (8) 의 발광 중심 (즉, 발광 다이오드 (8b) 의 발광 중심) 과 도광부 (5) 의 입사단의 두께 방향 상의 중심 (이하는, 두께 중심이라고 칭한다) 이 가까울수록 입사율이 높다. 광원 (8) 의 발광 중심과 도광부 (5) 의 입사단의 두께 중심 사이의 높이의 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높이 조정용 점착재 (7) 를 형성하였다. 높이 조정용 점착재 (7) 를 형성하지 않을 때, 광원 (8) 의 발광 중심과 도광부 (5) 의 두께 중심이 접근 또는 일치하면, 높이 조정용 점착재 (7) 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전자 기기의 박형화에 따라 표시 패널 (1) 과 백라이트판 (도식하지 않음) 사이의 간극이 약 0.1 ㎜ 로 감소되고, 이 때, 도광부 (5) 의 두께 (h1) 가 약 0.07 ㎜ 가 된다. 광원 (8) 의 두께가 특별히 요구되고 있지 않은 경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FPC) (8a) 의 두께 (h2) 가 약 0.12 ㎜ 가 되고, 발광 다이오드 (8b) 의 두께 (h3) 가 약 0.3 ㎜ 가 된다.
예를 들어, 도 5 에 있어서의 높이 조정용 점착재 (7) 의 두께 (h4) 가 약 0.1 ㎜ 이면, 감소되어야 하는 광원 (8) 의 발광 중심과 도광부 (5) 의 두께 중심 사이의 높이의 차 (H) 는,
H = (h2 + h3/2) - (h4 + h1/2) = 0.135 ㎜ 가 된다.
도 5 에 높이 조정용 점착재 (7) 를 설치하지 않고, 두께 (h4') 가 약 0.03 ㎜ 인 통상의 점착재를 채용하면, 감소되어야 하는 광원 (8) 의 발광 중심과 도광부 (5) 의 두께 중심 사이의 높이의 차 (H') 는,
H' = (h2 + h3/2) - (h4' + h1/2) = 0.205 ㎜ 가 된다.
이 때문에, 높이 조정용 점착재 (7) 의 설치에 의해 도광부 (5) 의 입사단 에 있어서 광원 (8) 으로부터의 광의 입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도광부 (5) 의 발광부 (5b) 에 있어서 박형화를 보증할 수 있기 때문에, 광의 사용률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발광 다이오드 (8b) 의 발광 중심과 도광부 (5) 의 입사단의 두께 중심이 가까울수록 입사율이 높고, 발광 다이오드 (8b) 의 발광 중심과 도광부 (5) 의 두께 중심의 고도차 (H) 는, 광원의 발광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 (8b) 의 높이 (h3) 의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h2 + h3/2) - (h4 +h1/2)| ≤ h3/4 가 된다.
따라서, 높이 조정용 점착재 (7) 의 두께 (h4) 의 바람직한 범위는,
h2 + 3h3/4 -h1/2 ≤ h4 ≤ h2 + h3/4 -h1/2
가 된다.
(변형예)
상기 면상 발광 장치 (3) 에 있어서, 표시 패널 (1) 과 가요 시트 (4) 사이에 3 개의 도광부 (5) 가 배치되고, 인접하는 도광부 (5) 가 연결부 (6) 로 연결되어 있지만, 도광부 (5) 및 연결부 (6) 의 수량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1 개 이상의 도광부 (5) 가 존재하면,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다. 표시 패널 (1) 과 가요 시트 (4) 사이에 하나의 도광부 (5) 만을 형성하는 경우, 연결부 (6) 를 형성할 필요가 없는 것은 분명하다.
상기 면상 발광 장치 (3) 에 있어서, 가요 시트 (4) 의 광반사 기능을 갖는 면 전체에 점착제를 가져도 되고, 상기 가요 시트의 광반사 기능을 갖는 일방의 면 일부에 점착제를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도광부 (5) 와 중첩되는 부분에, 도광부 (5) 의 중심 부근과 대응하는 위치에만 상기 점착제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도 상기 광반사 기능을 갖는 일방의 면에 도광부 (5) 를 점착할 수 있다.
1 : 표시 패널
2 : 조작 영역
3 : 면상 발광 장치
4 : 가요 시트
4a : 제 1 노출 부분
4b : 제 2 노출 부분
4c : 제 3 노출 부분
5 : 도광부
5a : 입사단
5b : 발광부
6 : 연결부
7 : 높이 조정용 점착재
8 : 광원
8a :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FPC)
8b : 발광 다이오드
11 : 기체
12 : 접촉 시트
13 : 도광 시트
14 : 광원 유닛
141 : 발광 다이오드
15 : 커버 부재
151 : 반사층
152 : 흡수층

Claims (8)

  1. 평판상의 표시 패널과,
    광반사 기능 및 차광 기능을 갖는 가요 시트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가요 시트 사이에 배치된 평판상의 도광부와,
    그 도광부의 측부에 배치한 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가요 시트의 상기 광반사 기능을 갖는 일방의 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점착제를 갖고,
    상기 점착재에 의해 상기 광반사 기능을 갖는 일방의 면에 상기 도광부를 점착하고, 또한,
    상기 광원에 인접하는 측 이외에, 상기 가요 시트는 상기 도광부의 주위에 노출된 노출 부분을 갖고, 상기 노출 부분 상의 상기 점착재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가요 시트를 점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발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가요 시트 사이에 상기 도광부가 복수 배치되고, 인접하는 상기 도광부가 연결부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발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연결 방향에 수직하는 폭 방향에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도광부보다 폭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발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가요성을 갖고, 두께 방향에서, 상기 광원의 발광 중심이 상기 도광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에 접근하거나 또는 일치하도록,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도광부 사이에 높이 조정용 점착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발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발광 중심과 상기 도광부의 두께 방향의 중심의 고도차는, 상기 광원의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방향에서의 사이즈의 1/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발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 시트는 광반사층 및 차광층을 갖고,
    상기 광반사층은 백색 또는 금속색이고, 상기 차광층은 흑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발광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부분은, 상기 도광부의 상기 광원의 반대측으로부터 노출된 제 1 노출 부분과, 상기 도광부의 측방으로부터 노출된 제 2 노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발광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점착 전의 상기 제 1 노출 부분은, 연결 방향에 수직하는 폭 방향에서의 길이가 상기 도광부의 두께의 1.4 배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발광 장치.
KR2020150005760U 2014-09-09 2015-08-28 면상 발광 장치 KR20048585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20515695.2U CN204176365U (zh) 2014-09-09 2014-09-09 面状发光装置
CN201420515695.2 2014-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915U true KR20160000915U (ko) 2016-03-17
KR200485851Y1 KR200485851Y1 (ko) 2018-03-05

Family

ID=52565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760U KR200485851Y1 (ko) 2014-09-09 2015-08-28 면상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01084U (ko)
KR (1) KR200485851Y1 (ko)
CN (1) CN20417636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2304A (zh) * 2016-10-19 2017-01-2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导光板结构及背光模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3758A (ja) * 2005-07-26 2007-02-08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表示装置
KR20100062556A (ko) * 2008-12-02 2010-06-10 주식회사 하이디스 휴대폰용 키패드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
CN101230970B (zh) 2007-01-22 2010-12-08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照明单元
JP2011071054A (ja) * 2009-09-28 2011-04-07 Shin Etsu Polymer Co Ltd 携帯機器の発光構造
KR20120122752A (ko) * 2011-04-29 201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40013615A (ko) * 2012-07-25 2014-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발광키 유닛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3758A (ja) * 2005-07-26 2007-02-08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表示装置
CN101230970B (zh) 2007-01-22 2010-12-08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照明单元
KR20100062556A (ko) * 2008-12-02 2010-06-10 주식회사 하이디스 휴대폰용 키패드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
JP2011071054A (ja) * 2009-09-28 2011-04-07 Shin Etsu Polymer Co Ltd 携帯機器の発光構造
KR20120122752A (ko) * 2011-04-29 201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40013615A (ko) * 2012-07-25 2014-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발광키 유닛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851Y1 (ko) 2018-03-05
CN204176365U (zh) 2015-02-25
JP3201084U (ja)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0917B2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JP5983031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282259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20150049285A1 (en) Non-Planar Display Backlight Structures
US10274142B2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8651721B2 (en) Planar illumination apparatus
JP2007053063A (ja) シートスイッチモジュール
EP3726285B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assembly and backlight module thereof
JP2009301912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US986423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1881753A (zh) 背光模组和显示装置
JP2012164494A (ja) 液晶モジュール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4215351A (ja) 液晶表示装置
JP4829811B2 (ja) 照光ユニット
JP2017157467A (ja) 面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485851Y1 (ko) 면상 발광 장치
JP2019021488A (ja)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20150042902A1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system including lighting device
CN107608122B (zh) 显示屏、功能组件及移动终端
CN214138245U (zh) 薄型化的车载触控背光装置和显示装置
EP3829147B1 (en) Electronic device and middle frame thereof
KR2015006455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10119077A1 (en) Reflective display
JP2008084651A (ja)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KR10220280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