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893A -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893A
KR20160000893A KR1020140077837A KR20140077837A KR20160000893A KR 20160000893 A KR20160000893 A KR 20160000893A KR 1020140077837 A KR1020140077837 A KR 1020140077837A KR 20140077837 A KR20140077837 A KR 20140077837A KR 20160000893 A KR20160000893 A KR 20160000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ecoxib
crystal
acid
trimeric acid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신병
김진영
서준수
황시애
남보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지씨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지씨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지씨비
Priority to KR1020140077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893A/ko
Publication of KR20160000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61K9/0073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이 공결정을 이루는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쎄레콕시브 결정에 트리메산을 추가하여 신규한 공결정을 확보하도록 하고, 산업화하기에 효율적인 그라인딩법도 개발하여, 특별한 화학장치 없이도 진행할 수 있는 공결정의 제조방법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단독 쎄레콕시브에 비하여, 수용액에서의 용해도 및 용출속도가 증가되어 약제학적으로 생체이용률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elecoxib and trimesic acid cocrystal, material or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king thereof}
본 발명은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쎄레콕시브와 의약용으로 사용되는 트리메산과의 공결정을 제공하기 위한 신규의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분자식 C17H14F3N3O2S(분자량=381.37)의 쎄레콕시브(Celecoxib), 4-[5-(4-메틸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벤젠설폰아마이드는 각광받고 있는 콕스-2 효소저해 관절염치료제이다. 이는 캡슐형태로 50, 100, 200, 400mg 용량으로 쎄레브렉스(Cerebrex)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쎄레브렉스의 공결정 조절형태를 보면 약학적으로 유용한 성분들과의 공결정형태로 개발되었고, 니코틴아마이드와의 공결정(유럽특허 EP1608339 B1), L-프롤린과의 공결정(유럽특허공보 EP235172 A1) 등이 개발되었고, 또한 여러 가지 용매화물(Garima Chawla, et al., Europe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20, 305-317, 2003)이 보고되었다.
공결정은 두 개 이상의 분자가 주로 수소결합 등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각 분자의 화학적 구조에 변형없이 중성분자의 형태를 유지하며, 하나의 결정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공결정은 동일한 구성성분으로 된 염이나 혼합물과는 녹는점, 용해도, 용출, 흡습성, 화학적 안정성 등에서 다르며, 같은 주성분 약물에 구성되는 공분자(coformer)에 따라서도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공결정은 구성성분에 따라 물리화학적이고, 제제학적인 특성이 달라짐에 따라 제약산업적 유용성이 발생하게 된다.
경구용 제제의 생체이용률은 약물이 복용 후 순환계를 통하여 혈액 내로 유입됨으로 측정된다. 이는 약물의 위장관 내에서의 용출 또는 방출과 이어지는 용출된 약물의 시스템적인 흡수과정에 의해 좌우됨을 알 수 있다. 약물의 용출은 주어진 시스템, 즉, 위장관 내 조건에서의 약물의 용해도와 밀접한 관련이 되고, 약물 흡수의 증가는 생체이용률의 증가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약물 방출의 조절이 되면, 서방성 제제로 제조하여 약물 일간 복용회수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약물의 개량은 제제 조성물의 변화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약물 원료의 성질변화 또는 구성의 변화를 통하여, 약물의 물성변화를 꾀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성질변화는 경구용 제제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연고, 패치, 흡입 등 다양한 형태의 제형에 응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쎄레콕시브 공결정 구조는 그 유용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약리성분인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의 공결정을 형성하여, 약물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쎄레콕시브의 용해도와 용출속도를 높여서, 생체이용률을 개선시킬 수 있는 신규의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 및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이 공결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을 제공한다.
상기 쎄레콕시브와 상기 트리메산은, 그 분자 비율이 1:3 내지 1:6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이 공결정을 이루어서 포함되고, 상기 쎄레콕시브와 상기 트리메산의 분자 비율이 1:3 내지 1:6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에탄올이나 메탄올이 1 또는 2 분자비율의 용매화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쎄레콕시브, 상기 트리메산 및 상기 에탄올의 분자 비율이 1:6:1로 이루어지고, 6.56도, 10.66도, 11.61도, 12.56도, 14.09도, 14.76도, 17.05도, 19.57도, 23.39도, 24.06도, 27.30도, 29.45도(2θ) 중 어느 하나의 피크를 갖는 분말 X-선 회절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쎄레콕시브, 상기 트리메산 및 상기 메탄올의 분자 비율이 1:6:2로 이루어지고, 6.56도, 10.64도, 11.59도, 12.54도, 14.06도, 17.06도, 20.76도, 24.06도, 27.31도, 29.45도(2θ) 중 어느 하나의 피크를 갖는 분말 X-선 회절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결정이 약제학적으로 가능한 경구, 외용, 경피, 경점막, 주사용 또는 흡입 제제의 형태로서, 정제, 제피정제, 경질캅셀제, 산제, 크림제, 연고제, 패치제, 플라스타제, 주사제, 에어로젤, 흡입제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쎄레콕시브에 트리메산을 첨가하여 공결정을 제조하되, 상기 공결정에 용매가 1 또는 2 분자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을 용매에 용해하는 단계; 및 상기 쎄레콕시브와 상기 트리메산을 용매에 용해한 용액을 0~10℃에서 결정화하거나, 가온증발이나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시켜서 공결정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판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시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아세토니트릴, N-메틸피롤리돈, 1,4-다이옥산,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메틸에틸케톤, 증류수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을 모르타르(Mortar)나 그라인더(Grinder) 또는 밀(Mill)에서 그라인딩하여 결정을 수득하거나, 용매를 첨가하여 그라인딩 후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결정을 수득하고, 상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판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시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아세토니트릴, N-메틸피롤리돈, 1,4-다이옥산,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메틸에틸케톤, 증류수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쎄레콕시브 결정에 트리메산을 추가하여 신규한 공결정을 확보하도록 하고, 산업화하기에 효율적인 그라인딩법도 개발하여, 특별한 화학장치 없이도 진행할 수 있는 공결정의 제조방법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은 단독 쎄레콕시브에 비하여, 수용액에서의 용해도 및 용출속도가 증가되어 약제학적으로 생체이용률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쎄레콕시브의 분자구조식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1:6:1 에탄올)의 분말 X-선 회절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1:6:1 에탄올)의 열중량/시차열분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1:6:1 에탄올)의 FT-적외선분광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1:6:1 에탄올)의 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1:6:1 에탄올)의 분말 X-선 회절도(Grinding)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1:6:2 메탄올)의 분말 X-선 회절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1:6:2 메탄올)의 열중량/시차열분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1:6:1 에탄올)의 FE-SEM 이미지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1:6:2 메탄올)의 FE-SEM 이미지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1:6:1 에탄올)의 용출시험(pH4.0) 비교결과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1:6:1 에탄올)의 용출시험(pH1.2) 비교결과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은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이 공결정을 이루는데, 예컨대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은 용매법이나 그라인딩에 의하여 공결정을 이루도록 하되, 그 분자 비율이 1:3 내지 1:6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하는 용매에 따라 용매화물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조성물은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이 공결정을 이루어서 포함되고,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의 분자 비율이 1:3 내지 1:6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에탄올이나 메탄올이 1 또는 2 분자비율의 용매화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조성물은 일례로 쎄레콕시브, 트리메산 및 에탄올의 분자 비율이 1:6:1로 이루어지고, 6.56도, 10.66도, 11.61도, 12.56도, 14.09도, 14.76도, 17.05도, 19.57도, 23.39도, 24.06도, 27.30도, 29.45도(2θ) 중 어느 하나의 피크를 갖는 분말 X-선 회절패턴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쎄레콕시브, 트리메산 및 메탄올의 분자 비율이 1:6:2로 이루어지고, 6.56도, 10.64도, 11.59도, 12.54도, 14.06도, 17.06도, 20.76도, 24.06도, 27.31도, 29.45도(2θ) 중 어느 하나의 피크를 갖는 분말 X-선 회절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조성물은 후술하게 될 본 발명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이 뿐만 아니라, 공결정이 약제학적으로 가능한 경구, 외용, 경피, 경점막, 주사용 또는 흡입 제제의 형태로서, 정제, 제피정제, 경질캅셀제, 산제, 크림제, 연고제, 패치제, 플라스타제, 주사제, 에어로젤, 흡입제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제조방법은 쎄레콕시브에 트리메산을 첨가하여 공결정을 제조하되, 공결정에 용매가 1 또는 2 분자비율로 포함될 수 있는데, 이처럼,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을 적당한 용매로 용해시켜 공결정을 생성시키거나, 다른 예로서 그라인딩(Grinding) 등에 의하여 공결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의 분자 비율은 1:3 내지 1:6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제조방법은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을 용매에 용해하는 단계와,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을 용매에 용해한 용액을 0~10℃의 냉장 하에서 결정화하거나, 가온증발이나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시켜서 공결정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판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시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아세토니트릴, N-메틸피롤리돈, 1,4-다이옥산,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메틸에틸케톤, 증류수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제조방법은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을 모르타르(Mortar)나 그라인더(Grinder) 또는 밀(Mill)에서 그라인딩하여 결정을 수득하거나, 용매를 첨가하여 그라인딩 후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결정을 수득하고,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판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시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아세토니트릴, N-메틸피롤리돈, 1,4-다이옥산,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메틸에틸케톤, 증류수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례들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제조방법은 제조되는 공결정을 약제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조성물에서 중요한 요소는 수소결합의 조절이다. 수소결합은 공결정 형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원동력이 된다. 염과 같은 이온결합이 부재하는 만큼 분자 주위의 용매 등 수소결합 상대와 경쟁적으로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동일분자간 수소결합도 존재하므로 적절한 수소결합의 조절없이는 각각의 결정 혼합물이나 용매화물이 생기기 쉽다. 본 발명에서는 쎄레콕시브의 아민 작용기와 트리메산의 카르복실기의 -N-H…O=C-(I)과 트리메산간의 카르복실기 -C=O…H-O-C-(II)의 전형적인 수소결합 양식을 이용하여 공결정 제조를 시도할 수 있다.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의 공결정 제조를 위한 일례로서, 용액결정화법에 의하면, 먼저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을 적당한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만든 다음, 온도를 낮추어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으로 구성된 공결정을 육성하거나, 감압하에 용매를 날려 결정을 육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여과하거나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공결정을 수득한다. 수득된 공결정은 기기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의 공결정 제조를 위한 다른 예로서, 그라인딩법(Cogrinding)에 의하면, 먼저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을 당량비율로 모르타르(Mortar)나 그라인더(Grinder) 또는 밀(Mill)에 넣는다. 그리고, 적합한 기구를 사용하여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을 그라인딩한다. 이 때 필요한 경우 약간량의 용매를 떨어뜨려 그라인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에 대한 기기분석을 통하여 공결정을 확인할 수 있다.
공결정은 분말 X-선 회절법(PXRD), 시차주사열량측정법(DSC) 또는 열중량-시차열분석법(TGA-DTA), 적외선분광법(FT-IR), 핵자기공명분광법(NMR)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더욱 확실한 방법은 3차원 결정구조를 직접 측정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히, 쎄레콕시브-트리메산(쎄레콕시브, 트리메산, 에탄올의 분자비율이 1:6:1) 신규 공결정의 단결정을 제조 수득하여, X-선 회절(SXRD)을 이용하여 결정파라메타를 확인하였다.
삼사결정형[Space Group P-1]으로 각 기본결정축과 축간각도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괄호안의 숫자는 오차를 나타낸다.
a= 8.0052(14) Å
b= 8.9880(14) Å
c= 9.0131(14) Å
alpha= 110.698(10)°
beta= 97.670(10)°
gamma= 111.335(10)°
본 발명에서 PXRD 데이터는 부루커액스 D8 어드밴스(Bruker Axe, D8 Advance) 분말 X-선 회절기를 사용하여 발생되는 파장 1.541 Å의 CuKα-1 X-선을 이용하여 얻었다. TGA-DTA데이터는 TA사 TGA Q5000 IR / SDT Q600을 사용하여 5℃/min의 승온속도로 50~400℃의 온도구간에서 측정되었다. FT-IR 데이터는 퍼킨엘머 시스템 스펙트럼 1(Perkin Elmer Spectrum One System) 적외선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KBr법으로 시료펠렛을 만들어, 450~4,000cm-1 구간에서 0.5cm-1의 정확도(resolution)로 측정하였다. 1H-NMR은 제올사의 400MHz(모델 JNM-AL300)를 사용하고, 시료는 디메틸설폭시드(CDCl3)로 용해시켜 측정하였다.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은 칼자이스사(모델 LEO SUPRA 55, GENESIS 2000, Carl Zeiss)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단결정 구조분석은 부루커액스 CCD 단결정 X-선회절분석기(SMART APEX II CCD X-Ray Diffractometer)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발명은 신규한 쎄레콕시브-트리메산(celecoxib-trimesic acid) 공결정을 제공한다. 이러한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은 약리성분인 쎄레콕시브(celecoxib)에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인 트리메산을 첨가하여 공결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은 수용액에서 쎄레콕시브의 낮은 용해도(pKa=11.1, 용해도 약 7 ㎍/mL)[Neelam Seedher & Somm Bhatia, AAPS Pharm.Sci. Tech, 4(3), 1-9, 2003]를 증가시키며, 용출률 및 용출속도를 증대시킴으로 쎄레콕시브의 생체이용률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에서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은 1:3 내지 1:6의 당량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1: 용액결정화법에 의한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제조>
쎄레콕시브 5g을 트리메산 16.5g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한다. 혼합액에 에탄올 또는 메탄올 400mL을 가한 후 교반하여 잘 혼합하고, 50~60℃에서 환류교반 한다. 반응물이 완전히 용해된 후 4℃에 냉장 보관하여 석출된 고체를 수득하거나, 감압 하에 농축하여 고체를 수득하여 50℃에서 건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을 아래와 같이 분석하였다.
[분말 X선 회절분석]
도 2와 도 7을 비교하면, 두 도면에서 결정형이 뚜렷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서로 거의 유사하며,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은 쎄레콕시브와 다른 신규한 결정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열중량-시차열분석법]
도 3과 도 8에서 보면,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은 279.0℃(에탄올 용매화물), 277.9℃(메탄올 용매화물) 부근에서 뚜렷한 흡열곡선을 보여주고 있으며, 용매의 증발을 시사하고 있으며, 재결정화가 되어 318.1℃(에탄올 용매화물), 318.0℃(메탄올 용매화물) 부근에 동일한 흡열곡선이 나타나, 새로운 결정의 용해를 나타내고 있다.
[FT 적외선 분광분석]
도 4에서 보면,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특성 밴드는 주파수(wavenumber) cm-1의 값으로 539, 690, 742, 913, 1163, 1275, 1404, 1455, 1607, 1717, 2549, 2664, 2870, 3010, 3329, 3401±5(cm-1)에 의해 동정된다. 특히 2500~3500 cm-1의 밴드는 공결정의 수소결합 특성을 보여준다.
[핵자기공명 스펙스럼]
도 5에 나타난 피크를 분석하면,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이 1:6의 분자비로 존재함을 수소비율에서 나타나며, 에탄올 1분자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
수득한 쎄레콕시브-트리메산의 공결정에 대한 SEM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에탄올 용매화물(도 9)과 메탄올용매화물(도 10)의 결정은 유사하게 10~100㎛의 크기로 보인다.
[단결정 X선 회절분석]
수득한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쎄레콕시브, 트리메산, 에탄올의 분자비율이 1:6:1)을 확인하기 위하여, -100℃에서 단결정 X-선 회절분석을 시행하였다. 결정형은 삼사계 결정(Triclinic crystal; P-1)으로 신규결정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증발결정화법에 의한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제조>
쎄레콕시브 500mg을 트리메산 1.65g과 혼합한 후, 에탄올 8mL를 가한 후 교반하거나 소니케이션(sonication)하여 투명한 용액을 제조한다. 이 용액을 상온에서 증발시키면 결정이 석출된다. 수확된 결정을 X-선으로 측정하여 비교하여 보면 앞서 설명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공결정과 동일한 결정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그라인딩법에 의한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제조>
쎄레콕시브 500mg을 트리메산 1.65g과 혼합한 후, 아게이트 모르타르에 담고 아게이트 유봉으로 메탄올 또는 에탄올 0.2mL를 첨가하여 10분간 그라인딩하여, 후드 내에서 하룻밤 건조하였다. 수확된 결정을 X-선으로 측정하여(도 6) 비교하여 보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공결정과 동일한 결정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1: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용출시험>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과 쎄레콕시브 원료 각각 50mg을 흰색의 경질캡슐(1호)에 충전하여, 대한 약전 용출시험법 제2법 패들법을 사용하여, 하기 조건하에서 용출시험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용출 시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시험방법 : 제2법(패들법)
기구: Varian(VK-7025) Dissolution tester
용출액: 500mL, 대한약전 규정 pH 1.2 용출액, pH 4.0 용출액
온도: 37±0.5℃
패들 회전 속도: 100rpm
시험결과에 따르면 쎄레콕시브 원료는 pH 1.2 용출액과 pH 4.0 용출액에서 낮은 용출양상을 보였고,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쎄레콕시브, 트리메산, 에탄올의 분자비율이 1:6:1)의 경우, 상대적으로 쎄레콕시브 보다 높은 용출율을 보여주었다. 이로써 공결정의 우수성을 예측할 수 있으며, 생체이용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은 상기한 셀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희석제, 붕해제, 향료, 윤활제, 계면활성제, 습윤제, 점착방지제 등일 수 있고, 부형체의 함량 또는 치료학적 유효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본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입이 가능한 분리형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캡슐, 타블렛, 파우더 또는 과립, 액체 현탁액, 에멀젼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이 공결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쎄레콕시브와 상기 트리메산은,
    그 분자 비율이 1:3 내지 1:6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
  3.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이 공결정을 이루어서 포함되고, 상기 쎄레콕시브와 상기 트리메산의 분자 비율이 1:3 내지 1:6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에탄올이나 메탄올이 1 또는 2 분자비율의 용매화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쎄레콕시브, 상기 트리메산 및 상기 에탄올의 분자 비율이 1:6:1로 이루어지고, 6.56도, 10.66도, 11.61도, 12.56도, 14.09도, 14.76도, 17.05도, 19.57도, 23.39도, 24.06도, 27.30도, 29.45도(2θ) 중 어느 하나의 피크를 갖는 분말 X-선 회절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쎄레콕시브, 상기 트리메산 및 상기 메탄올의 분자 비율이 1:6:2로 이루어지고, 6.56도, 10.64도, 11.59도, 12.54도, 14.06도, 17.06도, 20.76도, 24.06도, 27.31도, 29.45도(2θ) 중 어느 하나의 피크를 갖는 분말 X-선 회절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조성물.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결정이 약제학적으로 가능한 경구, 외용, 경피, 경점막, 주사용 또는 흡입 제제의 형태로서, 정제, 제피정제, 경질캅셀제, 산제, 크림제, 연고제, 패치제, 플라스타제, 주사제, 에어로젤, 흡입제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형태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조성물.
  7. 쎄레콕시브에 트리메산을 첨가하여 공결정을 제조하되, 상기 공결정에 용매가 1 또는 2 분자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제조방법.
  8.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을 용매에 용해하는 단계; 및
    상기 쎄레콕시브와 상기 트리메산을 용매에 용해한 용액을 0~10℃에서 결정화하거나, 가온증발이나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시켜서 공결정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판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시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아세토니트릴, N-메틸피롤리돈, 1,4-다이옥산,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메틸에틸케톤, 증류수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제조 방법.
  9. 쎄레콕시브와 트리메산을 모르타르(Mortar)나 그라인더(Grinder) 또는 밀(Mill)에서 그라인딩하여 결정을 수득하거나, 용매를 첨가하여 그라인딩 후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결정을 수득하고,
    상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판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시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아세토니트릴, N-메틸피롤리돈, 1,4-다이옥산,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메틸에틸케톤, 증류수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의 제조 방법.
KR1020140077837A 2014-06-25 2014-06-25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008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837A KR20160000893A (ko) 2014-06-25 2014-06-25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837A KR20160000893A (ko) 2014-06-25 2014-06-25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93A true KR20160000893A (ko) 2016-01-06

Family

ID=5516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837A KR20160000893A (ko) 2014-06-25 2014-06-25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8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7750A (zh) * 2019-07-26 2019-11-05 艾美科健(中国)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塞来昔布的结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7750A (zh) * 2019-07-26 2019-11-05 艾美科健(中国)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塞来昔布的结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8737B2 (ja) L−オルニチンフェニルアセテ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809551B2 (en) Solid forms of Ivacaftor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TWI659952B (zh) Plk-4抑制劑之鹽和結晶形式
US20160068530A1 (en) Solid state forms of vemurafenib and vemurafenib salts
JP2008501024A (ja) 混合コクリスタルおよびそれを含んでなる製薬学的組成物
US20200262839A1 (en) Co-crystals of ribociclib and co-crystals of ribociclib monosuccinat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ompositions thereof, and uses thereof
US10174074B2 (en) Salts and polymorphs of SCY-078
WO2015170345A1 (en) Pharmaceutical cocrystals of gefitinib
AU2021381516A1 (en) Integrin inhibitor and uses thereof
KR20230121777A (ko) 화합물의 고체 형태
EA028351B1 (ru) Твердые формы гидрохлорида вемурафениба
JP2020500912A (ja) ブロモドメインタンパク質阻害薬の結晶形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WO2008013823A2 (en) Co-crystals of (2r-trans)-6-chloro-5-[[4-[(4-fluorophenyl)methyl]-2,5-dimethyl-1-piperazinyl]carbonyl]-n,n,1-trimethyl-alpha-oxo-1h-indole-3-acetamide
TW201925190A (zh) 嘧啶基胺基─吡唑化合物之多晶型物及固體形式及製備方法
US20150150868A1 (en) Aripiprazole-organic acid cocrystal, preparation or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111108098B (zh) 一种炔基吡啶类脯氨酰羟化酶抑制剂的晶型及其制备方法
JP7152122B2 (ja) エダラボン塩
KR20160000893A (ko) 쎄레콕시브-트리메산 공결정,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258060A1 (zh) 一种lanifibranor的晶型及其制备方法
WO2021143898A1 (zh) Arb代谢产物与nep抑制剂的复合物新晶型及其制备方法
US20150087686A1 (en) Crystalline forms of saxagliptin
WO2021000687A1 (zh) Pac-1晶型的制备方法
US11970450B2 (en) Multi-component crystals of an orally available HIF prolyl hydroxylase inhibitor
US20180110769A1 (en) Cabozantinib Salts And Their Use As Anti-Cancer Agents
EP3412661A1 (en) Cocrystals of vortioxetine hydrobromide and resorcin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