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481U -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 - Google Patents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481U
KR20160000481U KR2020140005772U KR20140005772U KR20160000481U KR 20160000481 U KR20160000481 U KR 20160000481U KR 2020140005772 U KR2020140005772 U KR 2020140005772U KR 20140005772 U KR20140005772 U KR 20140005772U KR 20160000481 U KR20160000481 U KR 201600004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cutting
rotary
fastening bolt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711Y1 (ko
Inventor
강광원
강영민
이종철
강영덕
Original Assignee
강광원
이종철
강영민
강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광원, 이종철, 강영민, 강영덕 filed Critical 강광원
Priority to KR2020140005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711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4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4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7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1Casings; Hous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취날을 회전 지지하는 하나의 체결 볼트만 이완하면 쉽게 원하는 예취날을 교체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짧은 시간에 쉽고 신속하게 예취날을 교체하여 예취 작업을 할 수 있게 한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예취날을 지지하는 회전판에, 교체하고자 하는 예취날을 삽입함에 따라 예취날을 체결하여 회전 지지하는 체결 볼트의 체결 위치에 위치하도록 위치 결정 돌기를 더 구성함으로써, 누구든지 쉽게 회전 하우징과 회전판 사이의 틈새로 예취날을 끼우더라도 그 체결 위치에 정확하게 놓이게 함으로써, 숙련도가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누구든지 쉽고 체결 볼트를 체결하여 편리하게 예취날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예취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예취날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 구멍에 부시를 끼워 체결 볼트의 회전 지지를 받을 수 있게 하되, 이 부시가 예취날의 회전 구멍에 끼워져서 일체로 장착하거나 빼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예취날과 부시를 함께 틈새로 끼우거나 빼낼 수 있어 예취날의 교체 작업을 더욱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한 예취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LAWN TRIMMER FOR EASILY REPLACING CUTTER}
본 고안은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 하우징과 회전판 사이로 예취날을 삽입하여 바로 체결하여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회전판에서 회전판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예취날만 바로 교체하거나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刈草機)라고 불리는 예취기(刈取機)는 작업 대상에 따라 미맥용(米麥用)·목초용(牧草用)·잡목용(雜木用) 등으로 분류하며, 사용 상태에 따라 작업자가 등이나 어깨에 메어서 사용하는 견착식과 잔디 깎기처럼 작업자가 밀어서 예취하는 견인식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예취기는 예취날의 형식에 따라 왕복날·회전날·고정날로 분류된다. 이러한 예취기에 대하여 본 출원인은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에 대하여 특허문헌과 같이 출원한 바 있다.
특허문헌에 기재한 구성은, 예취기의 회전축(S)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인서트(110)를 일체로 형성한 회전 하우징(100); 상기 회전 하우징(100)의 하부에 회전축(S)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호에 같은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의 체결 볼트(211)로 체결 고정하며, 상기 회전 하우징(100)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는 회전판(200); 상기 각 체결 볼트(211)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상기 회전 하우징(100)과 회전판(200) 사이에 수납되었다가 그 바깥쪽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한 적어도 2개의 예취날(300); 상기 각 체결 볼트(211)를 회전 지지하는 지지점과 인접하게 설치하여, 인접한 예취날(300)이 회전판(200) 밖으로 회전하면 그 측면을 탄성 지지하고, 이웃한 예취날(300)이 회전 하우징(100)과 회전판(200) 사이에 수납하면 바깥으로 빠지지 않게 탄성 걸림 하는 탄성 스프링(400); 상기 회전판(200)에 회전축(S)을 중심으로 원형 형상으로 돌출한 자리면(230)에 끼워지는 베어링 하우징(500); 및 상기 예취날(300)이 수납 인출할 때 간섭받지 않으면서 상기 회전 하우징(100)의 하부 전체를 감싸는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520)을 매개로 상기 베어링 하우징(500)에 결합하는 인서트(610)를 갖는 보호 덮개(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예취기는, 특허문헌에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예취날(300)은 삽입 구멍(210)에 끼워진 인서트(220)에 끼워져서 체결 볼트(211)로 체결 고정한다. 이에, 예취날(300)을 교환하려면 도면과 같이 인서트(220) 위로 들어올려야 한다.
(2) 하지만, 이처럼 인서트(220) 위로 예취날(300)을 들어올리려면 체결 볼트(211)를 푼 다음 회전판(200)에서 회전 하우징(100)을 분리해야 하므로 번거롭다.
(3) 즉, 회전판(200)에서 예취날(300)을 빼내려면 체결 볼트(211)를 이완한 다음, 이 회전판(200)에서 회전 하우징(100)을 빼내야만 인서트(220)에서 예취날(300)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다.
(4) 이에, 회전판(200)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한 여러 개의 예취날 중에서 어느 하나만 교체하려고 하더라도 이처럼 회전판(200)에서 회전 하우징(100)을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5) 특히, 상기 회전 하우징(100)은 회전판(200)에 예취날(30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 볼트(211) 이외의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하므로, 이처럼 회전 하우징(10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이 볼트도 함께 이완해야 한다.
(6) 따라서, 기존 예취기의 경우 여러 개의 예취날(300) 중에서 하나를 교환하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회전 하우징(100)을 분리해야 하므로 교체 시간이 길게 요구된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14-0025474호(출원일 : 2014.03.04)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고안한 것으로, 예취날을 회전 지지하는 하나의 체결 볼트만 이완하면 쉽게 원하는 예취날을 교체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짧은 시간에 쉽고 신속하게 예취날을 교체하여 예취 작업을 할 수 있게 한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예취날을 지지하는 회전판에, 교체하고자 하는 예취날을 삽입함에 따라 예취날을 체결하여 회전 지지하는 체결 볼트의 체결 위치에 위치하도록 위치 결정 돌기를 더 구성함으로써, 누구든지 쉽게 회전 하우징과 회전판 사이의 틈새로 예취날을 끼우더라도 그 체결 위치에 정확하게 놓이게 함으로써, 숙련도가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누구든지 쉽고 체결 볼트를 체결하여 편리하게 예취날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예취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예취날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 구멍에 부시를 끼워 체결 볼트의 회전 지지를 받을 수 있게 하되, 이 부시가 예취날의 회전 구멍에 끼워져서 일체로 장착하거나 빼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예취날과 부시를 함께 틈새로 끼우거나 빼낼 수 있어 예취날의 교체 작업을 더욱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한 예취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는, 예취기의 회전축에 끼워져서 함께 회전하는 회전 하우징(10)·상기 회전 하우징(10)과 미리 정해진 틈새(W)만큼 떨어지게 체결 고정하며, 한 면에는 상기 틈새(W)를 통해 바깥쪽으로 회전하며 예취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여러 개의 예취날(21)을 가진 회전판(20)·및 상기 회전판(20)의 다른 한 면에 베어링(31a) 지지를 통해 공회전할 수 있게 설치한 보호 덮개(30)를 포함하되;, 상기 예취날(21)은 상기 틈새(W) 사이에 끼워져서 회전 하우징(10)의 바깥쪽에서 끼우는 체결 볼트(11)로 회전판(20)과 체결하여 고정하고;, 이 예취날(21)에는 상기 체결 볼트(11)가 끼워지는 회전 구멍(21a)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 구멍(21a)에는 이 체결 볼트(11)가 끼워져서 상기 틈새(W) 사이에서 원활하게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부시(22)를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회전판(20)에는 틈새(W)로 교체를 위하여 예취날(21)을 끼웠을 때, 이 예취날(21)에 끼워진 부시(22)가 체결 볼트(11)의 체결 위치와 겹쳐지게 예취날(21)의 삽입 위치를 알 수 있게 해 주는 위치 결정 돌기(23)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는, 상술한 구성과 같으나, 그 부시(22)의 구성에서, 상기 부시(22)는 예취날(21)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고, 그 바깥 면에는 상기 회전 구멍(21a)이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 홈(22a)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예취날을 회전 지지하는 체결 볼트만 풀면 바로 예취기에서 예취날을 바로 빼낼 수 있고, 여기에 다른 예취날을 끼워 체결 볼트만 조이면 예취날을 쉽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다.
(2) 이처럼 신속한 예취날의 교체는 예취 작업에 따라 예취날을 교체하거나 파손이나 마모로 예취날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 바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예취 작업에 따라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3) 회전판에 예취날을 끼움에 따라 체결 볼트의 체결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위치 결정 돌기를 형성하므로, 회전판과 회전 하우징 사이의 틈새로 예취날을 끼우면 쉽게 이 예취날이 체결 볼트가 끼워질 수 있는 체결 위치까지 쉽게 안내를 받는다.
(4) 따라서, 예취날을 숙련자가 아닌 작업자라도 누구든지 쉽게 그 틈새로 예취날을 끼워서 조립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예취날 교체 작업을 할 수 있다.
(5) 예취날은 회전판에 체결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예취 작업을 하므로 이 체결 볼트를 기준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부시를 장착하는 것이 좋다. 이때, 부시는 예취날에 형성한 회전 구멍에 끼워지게 구성함으로써, 예취날과 함께 한꺼번에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예취날의 장착과 교체할 때 쉽고 신속하게 교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6) 특히, 자갈이 많거나 굵은 나무 가지가 많은 곳에서 예취 작업을 하다 보면 예취날이 금방 상하거나 파손되어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데, 이처럼 간단한 교체 작업으로 예취날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예취 작업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 예취기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특허문헌의 도 3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예취기의 전체 구성 중에서 예취날의 장착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예취기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예취기에서 적용한 부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부시를 예취날에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취날의 일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예취기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에 장착하여 함께 회전하는 회전 하우징(10), 이 회전 하우징(10)의 한 면에 미리 정해진 틈새(W)를 가지도록 체결 고정한 회전판(20), 그리고 이 회전판(20)의 다른 한 면에 공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31a) 지지하여 설치한 보호 덮개(3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회전판(20)에는 회전 하우징(10)을 통해 체결 볼트(11)를 체결함에 따라 회전 지지를 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위치에 여러 개의 예취날(21)을 설치한다. 이때, 각 예취날(21)은 상기 틈새(W)로 끼우고 회전 하우징(10)을 통해 체결 볼트(11)를 체결하여 회전판(20)에 바로 고정하거나 분리하여 바로 교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회전 하우징(10)·회전판·보호 덮개(30)의 구성은 여러 개의 예취날(21)이 회전 방식으로 예취 작업을 통상의 예취기와 같은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간단하게 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회전 하우징(1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통상의 예취기에서 예취날(21)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축(S)에 끼워져서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한다. 이처럼 회전 하우징(10)를 회전축(S)에 장착하는 예시적인 방법으로 회전 하우징(10)에 인서트(12)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인서트(12)를 회전축(S)에 끼워 너트(N)로 체결하여 함께 회전하게 구성한다.
회전판(2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술한 회전 하우징(10)에 체결 볼트(24)로 체결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한다. 이때, 상기 회전판(20)의 한 면, 바람직하게는 회전 하우징(10)과 마주 보는 면에는 예취날(21)을 장착하는 데, 이때 예취날(21)이 회전 하우징(10)과 회전판(20) 사이로 드나들 수 있도록 도 2과 같이 미리 정해진 틈새(W)만큼 떨어지게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0)에는 후술할 보호 덮개(30)와 마주 보는 면에 베어링(31a)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지지대(25)를 형성한다.
보호 덮개(3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회전 하우징(10)보다 조금 넓은 크기로 형성하며, 하부가 아래로 돌출되게 하여 예취기를 사용할 때 지면과 닿는 이 보호 덮개(30)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접촉에 따른 마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보호 덮개(30)에는 상술한 베어링 지지대(25)에 끼워지는 베어링 지지대(31)가 구성되며, 이들 베어링 지지대(25,31) 사이에 베어링(31a)을 장착하여 보호 덮개(30)가 회전판(20)과 별도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이처럼 이루어진 통상의 예취기 구성에서, 상술한 회전판(20)에 장착하는 예취날(21)을 쉽게 교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서, 예취날(21)은 호 형태로 형성하여 회전할 때 안전하게 예취기 내부로 드나들 수 있게 구성한 통상의 기술로 제작하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이러한 예취날(21)은 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를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도면에서는 3개의 예취날(21)을 장착한 예를 보여준다.
특히, 상기 예취날(21)은, 도 3과 같이, 상술한 회전 하우징(10)과 회전판(20) 사이에 형성하는 틈새(W)보다 허용 오차만큼 그 두께를 작게 제작함으로써, 회전 하우징(10)이 회전함에 따라 그 힘으로 이 틈새(W) 밖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예취날(21)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회전 하우징(10) 밖에서 끼우는 체결 볼트(11)가 회전판(20)에 미리 탑재된 인서트 너트(26)에 체결됨에 따라, 회전 하우징(10)과 회전판(20) 사이에서 이 체결 볼트(1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곧, 상기 체결 볼트(11)를 이완하면, 예취날(21)을 상기 틈새(W)를 통해 바로 뺄 수 있게 하여 예취날(21)의 교체 작업을 더욱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체결 볼트(11)는 전체 길이에 걸쳐 나사산이 형성된 것보다 끝 부분에만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예취날(21)이 끼워지는 부분에는 나사산이 없는 부분과 맞닿게 하여 예취날(21)을 보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예취날(21)에는 부시(22)를 더 구성하여 이 예취날(21)이 더욱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부시(22)는 예취날(21)의 회전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어느 한 쪽에 형성한 회전 구멍(21a)에 끼워서 사용한다.
이러한 부시(22)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와셔 형태로 형성하여 회전 구멍(21a)에 맞춰 끼워서 조립함으로써, 예취날(21)의 마모를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회전하면서 예취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판(20)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예취날(21)을 교체할 때 새로운 예취날의 회전 구멍(21a)에 체결 너트(11)가 정확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이 예취날(21)의 위치를 결정해 주기 위한 위치 결정 돌기(23)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결정 돌기(23)는 회전 구멍(21a)이 형성된 예취날(21)의 한쪽을 틈새(W)로 끼웠을 때 이 예취날(21)이 끝이 미리 정해진 길이 이상 들어가지 않게 하고, 특히 이 회전 구멍(21a)이 상기 체결 볼트(11)를 체결함에 따라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오게 하는 곳에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예취날을 회전 지지하는 체결 볼트를 이완하여 회전 하우징에서 풀기만 하는 동작을 통해 예취기에서 예취날을 빼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예취날을 끼운 다음 이 체결 볼트를 체결하는 동작을 통해 예취날을 장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누구든지 쉽고 신속하게 예취날을 교체할 수 있어 예취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부시(22')의 형상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부시(22')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른 부시(22')는, 그 두께를 예취날(21)보다 두껍게 형성하고, 그 바닥면에는 삽입 홈(22a)를 더 형성한 것이다. 이때, 이 삽입 홈(22a)은 상술한 예취날(21)의 회전 구멍(21a)에 끼울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시(22')는 그 전체 두께를 상술한 틈새(W)와 같거나 허용오차 내에 있게 제작함으로써, 예취날(21)과 부시(22')의 표면이 회전 하우징(10)과 회전판(20) 사이에서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쉽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예취날(21)의 두께는 상술한 실시예 1의 경우보다 얇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두께가 얇아지면 쉽게 파손될 수 있으므로, 예취날(21)의 두께를 그대로 두고, 틈새(W)를 부시(22')의 두께만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취날은 회전 하우징(10)과 회전판(20) 사이에서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회전 작용을 할 수 있다.
10 : 회전 하우징
11, 24 : 체결 볼트
20 : 회전판
21 : 예취날
21a : 회전 구멍
22 : 부시
22a : 삽입 홈
23 : 위치 결정 돌기
25, 31 : 베어링 지지대
26 : 인서트 너트
30 : 보호 덮개
31a : 베어링
W : 틈새

Claims (3)

  1. 예취기의 회전축에 끼워져서 함께 회전하는 회전 하우징(10); 상기 회전 하우징(10)과 미리 정해진 틈새(W)만큼 떨어지게 체결 고정하며, 한 면에는 상기 틈새(W)를 통해 바깥쪽으로 회전하며 예취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여러 개의 예취날(21)을 가진 회전판(20); 및 상기 회전판(20)의 다른 한 면에 베어링(31a) 지지를 통해 공회전할 수 있게 설치한 보호 덮개(30);를 포함하되,
    상기 예취날(21)은 상기 틈새(W) 사이에 끼워져서 회전 하우징(10)의 바깥쪽에서 끼우는 체결 볼트(11)로 회전판(20)과 체결하여 고정하고,
    이 예취날(21)에는 상기 체결 볼트(11)가 끼워지는 회전 구멍(21a)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 구멍(21a)에는 이 체결 볼트(11)가 끼워져서 상기 틈새(W) 사이에서 원활하게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부시(22)를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0)에는 틈새(W)로 교체를 위하여 예취날(21)을 끼웠을 때, 이 예취날(21)에 끼워진 부시(22)가 체결 볼트(11)의 체결 위치와 겹쳐지게 예취날(21)의 삽입 위치를 알 수 있게 해 주는 위치 결정 돌기(23)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22)는 예취날(21)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고, 그 바깥 면에는 상기 회전 구멍(21a)이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 홈(22a)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
KR2020140005772U 2014-07-31 2014-07-31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 KR200486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772U KR200486711Y1 (ko) 2014-07-31 2014-07-31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772U KR200486711Y1 (ko) 2014-07-31 2014-07-31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81U true KR20160000481U (ko) 2016-02-15
KR200486711Y1 KR200486711Y1 (ko) 2018-06-22

Family

ID=5535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772U KR200486711Y1 (ko) 2014-07-31 2014-07-31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71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2148A (ja) * 2006-02-23 2007-09-06 Wada Seisakusho:Kk 草苅用カッタ−
KR20110009288U (ko) * 2010-03-24 2011-09-30 윤영금 예초기용 안전커버
KR101317832B1 (ko) * 2013-04-18 2013-10-15 김두용 예초기 칼날
KR20140025474A (ko) 2011-04-19 2014-03-04 인비지덤, 엘엘씨 과포화 가스를 갖는 물질의 제조,그 경피적 전달 및 그 사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2148A (ja) * 2006-02-23 2007-09-06 Wada Seisakusho:Kk 草苅用カッタ−
KR20110009288U (ko) * 2010-03-24 2011-09-30 윤영금 예초기용 안전커버
KR20140025474A (ko) 2011-04-19 2014-03-04 인비지덤, 엘엘씨 과포화 가스를 갖는 물질의 제조,그 경피적 전달 및 그 사용 방법
KR101317832B1 (ko) * 2013-04-18 2013-10-15 김두용 예초기 칼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711Y1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82726B1 (en) Grass trimmer head and grass trimmer
JP6044718B2 (ja) グラインダ
CN105764324B (zh) 旋转体、割草机及割草方法
CA2644993A1 (en) Food product slicer knife and associated slicer and knife removal tool
EP2422909A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falling off of riving knife fastener for rotary saw
KR200486711Y1 (ko) 예취날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예취기
KR101695386B1 (ko) 예초기 컷팅날 유닛
JP2010520817A (ja) 切削工具
KR20140040925A (ko) 예초기용 칼날 연결구조체
KR101187290B1 (ko) 베어진 풀을 쳐낼 수 있으면서 여러 가지 커터를 교체할 수 있는 예초기용 절단유닛
KR200484264Y1 (ko) 예초기용 칼날 구조체
CN204994249U (zh) 一种割草机
KR200485564Y1 (ko) 예취기
KR101808703B1 (ko) 예취기
KR200486549Y1 (ko)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예취기용 회전체
SE528254C2 (sv) Röjningssågapparat försedd med rullspindelskydd
CN210715160U (zh) 一种径向间隙可调的切割泵
JP3201912U (ja) 草刈機
KR20110129743A (ko) 분쇄장치용 분쇄날
KR200186251Y1 (ko) 원터치 조립식 예초기 칼날
KR20140041303A (ko) 예초기용 칼날 보호원판의 지지장치
KR101879301B1 (ko) 예취기
KR20120006553U (ko) 미용가위
US20060208118A1 (en) Blade holder in a chipping device, having blade carriers that rotate during ongoing operation
JP3192185U (ja) 草刈機用草根除去アダプ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