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394U -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 - Google Patents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394U
KR20160000394U KR2020140005568U KR20140005568U KR20160000394U KR 20160000394 U KR20160000394 U KR 20160000394U KR 2020140005568 U KR2020140005568 U KR 2020140005568U KR 20140005568 U KR20140005568 U KR 20140005568U KR 20160000394 U KR20160000394 U KR 201600003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nchor
hull
rod
bol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5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394U/ko
Publication of KR201600003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3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앵커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앵커 유동으로 인한 선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는,
선체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상측 지지봉;
상기 선체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하측 지지봉;
상기 상측 지지봉 하단과 하측 지지봉 상단 사이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어지고, 상측 지지봉 및 하측 지지봉 외측으로 돌출된 양측의 연장부에 선체로 이어지는 가이드 서포트가 마련된 연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bolster for supporting anchor of semi submersible drilling unit}
본 고안은 반 잠수 시추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측 지지봉과, 하측 지지봉과, 연결봉을 통해 앵커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앵커 유동으로 인한 선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에 관한 것이다.
선박을 일 지점에 머무르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앵커(Anchor)가 이용되고 있다.
이때, 앵커는 크기 및 하중은 선박의 규모에 비례하게 된다.
즉, 대형 선박에는 대형의 고하중 앵커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대형의 고하중 앵커는 수작업으로 승하강이 곤란한바, 윈치 등에 의해 앵커에 연결된 사슬 또는 로프가 풀리거나 감김에 따라 앵커의 승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윈치와 앵커 사이에는 페어리드가 마련되어 페어리드에 의해 앵커에 연결된 사슬 또는 로프가 급격히 구부러져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윈치 등에 연결된 앵커가 유동할 경우 자칫 선체의 손상이 따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 선박에는 포켓형으로 된 앵커 수납부가 마련되어 앵커의 유동이 방지되고 있다.
한편, 최근 극지방 등지에서의 자원 개발을 위한 수단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122645호(공개일1997. 05. 26)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반 잠수 시추선이 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반 잠수 시추선도 일 지점에 머무르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바, 일반 선박과 마찬가지로 앵커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반 잠수 시추선의 경우 폰툰 등으로 구성된 형태적 특성상 포켓형으로 된 앵커 수납부의 마련에 곤란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반 잠수 시추선의 경우 선체 일측에 앵커 지지 구조물을 마련하여 앵커 지지 구조물을 통해 윈치 등에 연결된 앵커를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반 잠수 시추선에 마련되는 앵커 지지 구조물의 경우 앵커의 하중이 일부에 집중될 때 앵커 지지 구조물 자체 또는 선체 연결 부위 등이 쉽게 손상되었으므로 앵커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반 잠수 시추선에서 앵커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앵커 지지과정에서 앵커의 하중이 일부에 집중될 때 선체 연결 부위 등이 쉽게 손상되어 앵커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는,
선체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상측 지지봉;
상기 선체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하측 지지봉;
상기 상측 지지봉 하단과 하측 지지봉 상단 사이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어지고, 상측 지지봉 및 하측 지지봉 외측으로 돌출된 양측의 연장부에 선체로 이어지는 가이드 서포트가 마련된 연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측 지지봉은 중앙지지봉과 좌우 지지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지지봉과 연결봉과의 결합부 좌우 내각이 동일한 각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측 지지봉의 상단에는 선체와 접촉하는 고정플레이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측 지지봉은 연결봉과의 결합부 좌우 내각이 동일한 각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측 지지봉의 하단에는 선체와 접촉하는 고정플레이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의 가이드 서포트는 좌우 대칭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서포트의 하단에는 선체와 접촉하는 고정플레이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는 상측 지지봉과 연결봉 사이의 좌우 내각 및 하측 지지봉과 연결봉 사이의 좌우 내각이 동일한 각도로 되는 것이고, 연결봉에 좌우 대칭 형태를 이루는 가이드 서포트가 마련되는 것인바, 상하측 지지봉에 미치는 앵커의 하중이 연결봉 좌우 및 가이드 서포트로 고르게 분산될 수 있게 되므로 앵커 하중의 집중으로 인한 손상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가 반 잠수 시추선에 적용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를 통한 앵커 지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A)는 상측 지지봉(10)과, 하측 지지봉(20)과, 연결봉(30)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 지지봉(10)은 선체(100)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측 지지봉(10)은 중앙지지봉(11)과 좌우 지지봉(12)(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지지봉(11)과 연결봉(30)과의 결합부 좌우 내각이 동일한 각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 지지봉(10)의 중앙지지봉(11)과 연결봉(30)과의 결합부 좌우 내각이 동일한 각도로 됨으로써, 중앙지지봉(11)과 좌우지지봉(12)(12')으로 이루어진 상측 지지봉(10)에 미치는 앵커(200)의 하중이 연결봉(30)의 좌우로 분산되므로 앵커(200)의 하중이 상측 지지봉(10) 일부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측 지지봉(10)을 이루는 중앙지지봉(11)과 좌우지지봉(12)(12')의 상단에는 각각 선체(100)와 접촉하는 고정플레이트(10a)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 지지봉(10)을 이루는 중앙지지봉(11)과 좌우지지봉(12)(12')의 상단에 각각 선체(100)와 접촉하는 고정플레이트(10a)가 마련됨으로써 고정플레이트(10a)를 선체(10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10a)와 선체(100) 사이를 용접함으로써 선체(100)상에 상측 지지봉(10)을 이루는 중앙지지봉(11)과 좌우지지봉(12)(12')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측 지지봉(20)은 선체(100)의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측 지지봉(20)은 연결봉(30)과의 결합부 좌우 내각이 동일한 각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측 지지봉(20)과 연결봉(30)과의 결합부 좌우 내각이 동일한 각도로 됨으로써 하측 지지봉(20)에 미치는 앵커(200)의 하중이 연결봉(30)의 좌우로 분산되므로 앵커(200) 하중이 하측 지지봉(20) 일부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측 지지봉(20)의 하단에는 선체(100)와 접촉하는 고정플레이트(21)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측 지지봉(20)의 하단에 선체(100)와 접촉하는 고정플레이트(21)가 마련됨으로써 고정플레이트(21)를 선체(10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21)와 선체(100) 사이를 용접함으로써 선체(100)상에 하측 지지봉(20)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봉(30)은 상측 지지봉(10)을 이루는 중앙지지봉(11)과 좌우지지봉(12)(12')의 하단과 하측 지지봉(20)의 상단 사이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것이고, 상측 지지봉(10)을 이루는 중앙지지봉(11)과 좌우지지봉(12)(12') 및 하측 지지봉(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양측의 연장부(20')에 선체로 이어지는 가이드 서포트(31)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봉(30)에서 가이드 서포트(31)는 좌우 대칭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봉(30)의 가이드 서포트(31)가 좌우 대칭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연결봉(30)에 미치는 앵커(200) 하중이 좌우 가이드 서포트(31)를 통해 분산될 수 있게 되므로 앵커(200) 하중이 연결봉(30)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 서포트(31)의 하단에는 선체(100)와 접촉하는 고정플레이트(3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서포트(31)의 하단에 선체(100)와 접촉하는 고정플레이트(32)가 마련됨으로써 고정플레이트(32)를 선체(10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32)와 선체(200) 사이를 용접함으로써 선체(100)상에 가이드 서포트(31)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A)를 통한 앵커(200) 지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상측 지지봉(10)은 중앙지지봉(11)과 좌우지지봉(12)(12')을 포함하는 것으로, 선체(100)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하측 지지봉(20)은 선체(100)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연결봉(30)은 상측 지지봉(10)을 이루는 중앙지지봉(11)과 좌우지지봉(12)(12')의 하단과 하측 지지봉(20)의 상단 사이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0) 일 측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윈치(300)가 앵커(200)에 연결된 사슬 또는 로프(210)를 감고 있을 때 앵커(200)는 선체(100) 일 측면에 매달린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윈치(300) 하부의 선체(100) 일 측면상에 본 고안에 의한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A)를 설치하게 되면 매달린 상태에 있게 되는 앵커(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0)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게 되는 본 고안에 의한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A)에 걸쳐지게 되므로 본 고안에 의한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A)에 의해 앵커(200)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앵커(200)의 하중은 상측 지지봉(10) 및 하측 지지봉(20)에 미치게 되므로 앵커(200)의 하중이 상측 지지봉(10)을 이루는 중앙지지봉(11)과 좌우지지봉(12)(12')의 일부 및 하측 지지봉(20)의 일부에 집중될 경우 상측 지지봉(10) 및 하측 지지봉(20) 또는 이들의 연결 부위 등에 손상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상측 지지봉(10)을 이루는 중앙지지봉(11)과 연결봉(30)과의 결합부 좌우 내각 및 하측 지지봉(20)과 연결봉(30)과의 결합부 좌우 내각은 동일한 각도로 된 것인바, 상측 지지봉(10)을 이루는 중앙지지봉(11)과 좌우지지봉(12)(12') 및 하측 지지봉(20)에 미치는 하중은 연결봉(30) 좌우로 분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연결봉(30)은 좌우 양측의 연장부(30')에 좌우 대칭 형태로 가이드 서포트(31)가 마련된 것인바, 상측 지지봉(10)을 이루는 중앙지지봉(11)과 좌우지지봉(12)(12') 및 하측 지지봉(20)으로부터 연결봉(30)으로 분산된 앵커(200) 하중은 좌우 양측의 가이드 서포트(31)로 분산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측 지지봉(10)을 이루는 중앙지지봉(11)과 좌우지지봉(12)(12') 및 하측 지지봉(20)에 미치는 하중이 연결봉(30)의 좌우로 분산되고, 연결봉(30)의 좌우로 분산된 하중이 가이드 서포트(31)로 분산됨으로써, 상측 지지봉(10)을 이루는 중앙지지봉(11)과 좌우지지봉(12)(12')의 일부 및 하측 지지봉(20)의 일부에 앵커(200)의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앵커(200)의 하중이 일부에 집중됨으로 인한 손상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어 앵커(200)의 지지가 지속적으로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측 지지봉(10)을 이루는 중앙지지봉(11)과 좌우지지봉(12)(12')은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인 바, 앵커(200)가 선체(100)의 일 측면에 매달린 상태에서 윈치(300)로써 앵커(200)에 연결된 사슬 또는 로프(210)를 풀게 되면 앵커(200)는 상측 지지봉(10)의 경사면을 타고 하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앵커(200)가 본 고안에 의한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A)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도 앵커(200)의 하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하측 지지봉(20)은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인 바, 앵커(200)가 수중에 투입된 상태에서 윈치(300)로써 앵커(200)에 연결된 사슬 또는 로프(210)를 감게 되면 앵커(200)는 하측 지지봉(20)의 경사면을 타고 상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선체(100)에 본 고안에 의한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A)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앵커(200)의 승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A)는 상측지지봉(10)을 이루는 중앙지지봉(11)과 연결봉(30)과의 결합의 좌우 내각 및 하측 지지봉(20)과 연결봉(30)과의 결합부 좌우 내각이 동일한 각도로 되는 것이고, 연결봉(30)에 좌우 대칭 형태를 이루는 가이드 서포트(31)가 마련되는 것인 바, 상하측 지지봉(10, 20)에 미치는 앵커(200)의 하중이 연결봉(30)의 좌우 및 가이드 서포트(31)로 고르게 분산될 수 있게 되므로 앵커(200) 하중의 집중으로 인한 손상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상측 지지봉 10a : 고정플레이트
11 : 중앙 지지봉 12,12' : 좌우 지지봉
20 : 하측 지지봉 21 : 고정플레이트
30 : 연결봉 30' : 연장부
31 : 가이드 서포트 32 : 고정플레이트
100 : 선체 200 : 앵커
210 : 사슬 또는 로프 300 : 윈치
A : 앵커 지지 볼스터

Claims (7)

  1. 선체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상측 지지봉;
    상기 선체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하측 지지봉;
    상기 상측 지지봉 하단과 하측 지지봉 상단 사이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어지고, 상측 지지봉 및 하측 지지봉 외측으로 돌출된 양측의 연장부에 선체로 이어지는 가이드 서포트가 마련된 연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지지봉은 중앙지지봉과 좌우 지지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지지봉과 연결봉과의 결합부 좌우 내각은 동일한 각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지지봉의 상단에는 선체와 접촉하는 고정플레이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지지봉은 연결봉과의 결합부 좌우 내각이 동일한 각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지지봉의 하단에는 선체와 접촉하는 고정플레이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가이드 서포트는 좌우 대칭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서포트의 하단에는 선체와 접촉하는 고정플레이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
KR2020140005568U 2014-07-24 2014-07-24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 KR201600003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568U KR20160000394U (ko) 2014-07-24 2014-07-24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568U KR20160000394U (ko) 2014-07-24 2014-07-24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394U true KR20160000394U (ko) 2016-02-03

Family

ID=5535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568U KR20160000394U (ko) 2014-07-24 2014-07-24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39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8642A (zh) * 2018-10-31 2019-03-01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船舶在船台下水时用的腰锚支架及其安装使用方法
CN112660301A (zh) * 2020-12-09 2021-04-16 大连中远海运重工有限公司 挖泥工程船的固定艉锚的管支架结构及安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8642A (zh) * 2018-10-31 2019-03-01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船舶在船台下水时用的腰锚支架及其安装使用方法
CN112660301A (zh) * 2020-12-09 2021-04-16 大连中远海运重工有限公司 挖泥工程船的固定艉锚的管支架结构及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20993A1 (en) Vessel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a floating platfor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a floating platform using said vessel
US87701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wing offshore wind turbines
KR101713850B1 (ko) 길이조정이 가능한 레그를 갖는 잭업 리그
US104715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underwater platforms
CN105035278B (zh) 低升沉半潜式海上结构
US8967068B2 (en) Floating offshore platform and centralized open keel plate
KR20160000394U (ko)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
KR101741523B1 (ko) 해양플랫폼
KR20140141766A (ko) 선박의 앵커 체인 탑재방법
KR101291055B1 (ko) 해상 구조물용 체인 고정장치
CN105083486A (zh) 临时固定装置及其施工方法
JP6420971B2 (ja) 水上風力発電装置用の基礎構造、水上風力発電装置および水上風力発電装置の製造方法
US4351624A (en) File and jacket construc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60018148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
CN205337233U (zh) 一种用于网箱养殖的水泥墩锚
KR100554298B1 (ko) 영구케이블을 이용한 사장교의 비대칭 주두부 가설방법
US91809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wser connection in a TLP—TAD system
KR20170000969A (ko) 계류용 스탠션
JP5684220B2 (ja) 浮標の設置方法
KR20160005887A (ko) 해상 크레인의 리깅장치
US8167514B2 (en) Strake system for submerged or partially submerged structures
KR200479276Y1 (ko) 선박 및 해상부유구조물 정박용 닻
KR20150096355A (ko)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
KR101253411B1 (ko) 드릴쉽의 대형 데릭 탑재 공법
KR20160004355U (ko) 파이프 설치용 커버 플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