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148A -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 - Google Patents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148A
KR20160018148A KR1020140102308A KR20140102308A KR20160018148A KR 20160018148 A KR20160018148 A KR 20160018148A KR 1020140102308 A KR1020140102308 A KR 1020140102308A KR 20140102308 A KR20140102308 A KR 20140102308A KR 20160018148 A KR20160018148 A KR 20160018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support
offshore structure
bolst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춘복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2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8148A/ko
Publication of KR20160018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8Stoppers for anch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2Handling or lashing of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의 지지 과정에서 앵커의 하중이 집중됨에 따른 구조물의 특정 부분에서 손상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지지를 만족하고, 앵커의 도입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의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1 지지대(10); 해양구조물의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제2 지지대(20); 지지된 앵커(200)의 최대 상승 위치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지지대(10)의 하단과 제2 지지대(20)의 상단 사이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연결대(30); 및 상기 연결대(30)에 지지된 앵커(200)의 좌우측 양단과 접촉하도록 연결대(30)에서 하향 이어지는 수직부(351)와, 상기 수직부(351)의 내부로 진입하는 앵커(200)의 도입 위치를 안내하도록 수직부(351)의 하단에서 횡방향 외측으로 이어지는 곡선부(352)로 이루어진 스토퍼(3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Bolster for supporting anchor of semi-submersible structure }
본 발명은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양구조물에 구비된 앵커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앵커 유동에 의한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에 관한 것이다.
해상 또는 해저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통칭 해양구조물이라 하며, 이러한 해양구조물은 수심에 따라 고정식, 반잠수식, 부유식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해양구조물을 일 지점에 머무르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앵커(Anchor)가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앵커는 해당 해양구조물의 크기와 하중에 비례하는 크기를 갖도록 설계되어 진다.
예를 들어 대형 선박에 사용되는 고하중의 앵커는 수작업에 의한 승강이 곤란하기 때문에, 윈치 등에 의해 앵커에 연결된 사슬이나 로프가 풀리거나 감김에 따라 앵커의 승강이 이루어지고, 흔히 윈치와 앵커 사이에는 페어리드가 마련되어 페어리드에 의해 앵커에 연결된 사슬이나 로프가 급격히 구부러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윈치에 의한 승강 작동 중 앵커가 유동할 경우 자칫 해양구조물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 선박에는 포켓형의 앵커 수납부가 구비된다.
한편 최근 극지방 등지에서의 자원 개발을 위한 수단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122645호(공개일자 1997.05.26)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반잠수식 시추선이 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경우에도 일 지점에 머무르기 위해서는 일반 선박과 마찬가지로 앵커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은 폰툰(Pontoon) 등으로 구성된 형태적인 특성 상, 일반 선박과 같이 포켓형의 앵커 수납부를 마련하기 곤란한 문제가 따른다.
이러한 이유에서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경우에는 구조물(선체)의 일측에 별도의 앵커 지지 구조물(볼스터:Bolster)을 마련하여, 윈치에 연결된 앵커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 마련되는 앵커 지지 구조물의 경우에는 앵커 하중이 일부분에 집중될 시 앵커 지지 구조물 자체 또는 구조물(선체)과 앵커 지지 구조물(볼스터)의 연결 부분 등에서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 마련되는 앵커 지지 구조물의 경우에는 앵커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파랑 등에 의해 앵커 지지 구조물에 거치된 앵커에 불특정한 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결국 이로 인해 앵커 지지 구조물에도 불특정한 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에 앵커 지지 구조물 자체 또는 구조물(선체)과 앵커 지지 구조물(볼스터)의 연결 부분에 대한 손상을 더욱 야기시키게 된다.
또한 종래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 마련되는 앵커 지지 구조물의 경우 앵커를 도입하여 거치시키는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파랑 등에 의해 앵커가 심하게 유동하기 때문에 앵커 지지 구조물을 향해 도입되는 앵커의 승강 조작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고, 이러한 앵커의 도입 과정에서 앵커 지지 구조물에 불특정한 충격 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에 앵커 지지 구조물의 손상을 더욱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앵커의 지지 과정에서 앵커의 하중이 집중됨에 따른 구조물의 특정 부분에서 손상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지지를 만족하고, 앵커의 도입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의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1 지지대(10);
해양구조물의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제2 지지대(20);
지지된 앵커(200)의 최대 상승 위치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지지대(10)의 하단과 제2 지지대(20)의 상단 사이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연결대(30); 및
상기 연결대(30)에 지지된 앵커(200)의 좌우측 양단과 접촉하도록 연결대(30)에서 하향 이어지는 수직부(351)와, 상기 수직부(351)의 내부로 진입하는 앵커(200)의 도입 위치를 안내하도록 수직부(351)의 하단에서 횡방향 외측으로 이어지는 곡선부(352)로 이루어진 스토퍼(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 지지대(10,20)의 횡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대(30)의 양측 연장부(30')에는, 해양구조물의 일 측면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1 서포트(33); 및 해양구조물의 일 측면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는 제2 서포트(3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2 지지대를 매개로 해양구조물 본체와 연결되는 연결대와 스토퍼를 통해 앵커를 지지하여 줌으로써, 앵커의 자체 하중이나 앵커의 인양하중뿐만 아니라 파랑 등의 외력에 의해 다양한 방향과 크기로 작용하는 앵커의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안정적이고 견고한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곡선부를 포함하는 스토퍼를 통해 앵커의 도입 위치를 안내하여 줌으로써, 앵커의 도입 조작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앵커 지지 볼스터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앵커 지지 볼스터의 구성을 보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앵커 지지 볼스터의 구성을 보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 대한 앵커 지지 볼스터의 적용 예를 보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앵커 지지 볼스터에 대한 앵커의 지지 상태를 보이는 예시도.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앵커 지지 볼스터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볼스터(A)는 앵커의 지지 과정에서 볼스터(A) 자체 또는 해양구조물과의 연결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파랑 등에 의한 앵커의 유동에 의한 불규칙적인 하중변화를 고려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앵커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볼스터(A)를 향해 진입하는 앵커의 도입 시에도 앵커의 바른 도입 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볼스터(A)는 제1 지지대(10), 제2 지지대(20), 연결대(30), 및 스토퍼(3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대(10)는 연결대(30)를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 해양구조물(100)의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30)의 길이에 따라 복수의 제1 지지대(10)가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횡방향(좌우측)으로 복수의 제1 지지대(10)가 구비되는 경우, 각 지지대는 연결대(30)와의 결합부가 이루는 내각이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대(10)와 연결대(30)의 결합부 내각을 동일한 각도로 구성함으로써, 제1 지지대(10)에 미치는 앵커(200) 하중이 연결대(30)의 횡방향(좌우측)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앵커(200) 하중이 제1 지지대(10) 일부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해양구조물(100)과 연결되는 제1 지지대(10)의 상단에는 고정플레이트(11)가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제1 지지대(10)의 상단에 고정플레이트(11)를 구비함으로써, 고정플레이트(11)를 해양구조물(100)의 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11)와 해양구조물(100) 사이를 용접하여 해양구조물(100)의 측면에 제1 지지대(10)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대(20) 역시 연결대(30)를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 해양구조물(100)의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 연결대(30)의 길이에 따라 복수의 제2 지지대(20)가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횡방향(좌우측)으로 복수의 제2 지지대(20)가 구비되는 경우, 각 지지대는 연결대(30)와의 결합부가 이루는 내각이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제1 지지대(10)에 미치는 앵커(200) 하중이 연결대(30)의 횡방향(좌우측)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앵커(200) 하중이 제2 지지대(20) 일부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해양구조물(100)과 연결되는 제2 지지대(20)의 하단에도 고정플레이트(21)가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제2 지지대(20)의 상단에 고정플레이트(21)를 구비함으로써 고정플레이트(21)를 해양구조물(100)의 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21)와 해양구조물(100) 사이를 용접하여 해양구조물(100)의 측면에 제2 지지대(20)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연결대(30)는 하방에서 도입된 앵커(200)의 상부와 접촉하여 앵커(200)의 최대 상승 위치를 제한하는 것으로, 제1 지지대(10)의 하단과 제2 지지대(20)의 상단 사이를 따라 횡방향(좌우방향)으로 이어지게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대(30)는 제1,2 지지대(10,20)의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된 연장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제1,2 지지대(10,20)의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된 연장부(30')에는 해양구조물의 일 측면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1 서포트(33)와, 해양구조물의 일 측면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는 제2 서포트(34)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좋다.
이처럼 제1,2 지지대(10,20)의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된 연장부(30')에 제1,2 서포트(33,34)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2 지지대(10,20)와 함께 연결대(30)의 횡방향(좌우방향)으로 앵커(200)의 하중이 더욱 분산되기 때문에, 앵커(200)의 하중이 볼스터(A)의 일부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제1,2 서포트(33,34)는 좌우측에 대해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앵커(200)의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2 지지대(10,20)와 마찬가지로 해양구조물(100)의 측면과 용접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1,2 서포트(33,34)의 끝단에도 고정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35)는 하방에서 도입되는 앵커(200)의 도입을 안내하는 동시에 도입된 앵커(200)의 좌우측 양단과 접촉하여 앵커(200)의 좌우측 유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수직부(351)와 곡선부(3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국 수직부(351)와 곡선부(352)로 구성된 스토퍼(35)는 지지되는 앵커(200)의 폭 규격에 상응하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좌우측 양쪽에 마련된다.
수직부(351)는 지지된 앵커(200)의 좌우측 양단과 접촉하게 연결대(30)에서 수직하게 하향 이어지게 구성된다. 결국 지지된 앵커(200)는 양쪽 단이 수직부(351)에 구속되기 때문에 파랑 등에 의한 유동이 차단된다.
곡선부(352)는 상기 수직부(351)의 내부로 진입하는 앵커(200)의 도입 위치를 안내하게 각 수직부(351)의 하단에서 횡방향 외측으로 휘어지게 구성된다. 결국 볼스터(A)를 향해 상승 이동하는 앵커(200)의 위치가 부정확한 경우라 하더라도 앵커(200)의 양쪽 단이 곡선부(352)에 접촉하게 되면서 바른 위치가 유도되고 상기 수직부(351)의 내부로 정확하게 도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곡선부(352)는 하단이 상기 제1 서포트(33)의 중간부에 연결되게 구성됨이 좋다. 이처럼 곡선부(352)가 수직부(351)에서 하향 외측으로 휘어지며 연장되다가 제1 서포트(33)의 중간부에 결합됨으로써, 상승 이동 중인 앵커(200)가 곡선부(352)에 충격을 가하게 되더라도 곡선부(35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앵커 지지 볼스터(A)의 경우에는 볼스터(A)를 구성하는 제1,2 지지대(10,20), 연결대(30), 및 제1,2 서포트(33,34)들이 좌우 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고, 좌측과 우측에 각기 하나의 앵커(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결국 실시 예에 의한 볼스터(A)는 좌우측으로 대칭 구조를 이루는 한 쌍의 스토퍼(35)가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최 외곽에 마련되는 스토퍼(35)에 각각 구성된 곡선부(352)는 수직부(351)에서 하향 외측으로 휘어지며 연장되다가 제1 서포트(33)의 중간부에 결합되게 구성되고, 내측에 마련되는 스토퍼(35)에 각각 구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곡선부(352)는 수직부(351)에서 하향 외측으로 휘어지며 연장되다가 각 곡선부(352)의 하단이 일체로 연결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A)를 통한 앵커(200) 지지에 관하여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지지대(10,20), 연결대(30), 및 스토퍼(35)를 포함하는 볼스터(A)는 해양구조물(100)의 일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윈치(200)를 통해 앵커(200)에 연결된 사슬이나 로프(210)를 감게 되면, 앵커(200)는 볼스터(A)를 향해 상승하게 된다.
이때 파랑 등에 의해 부정확한 위치로 앵커(200)가 상승하게 될 경우 앵커(200)는 스토퍼(35)의 곡선부(352)에 먼저 접촉되어 슬립되면서 최종 수직부(351)의 내부로 안전하고 정확하게 도입된다.
또한 스포터(35)의 수직부(351)의 내부로 진입된 앵커(200)는 연결대(30)에 접촉됨과 동시에 더 이상의 상승이 종료되고, 볼스터(A)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볼스터(A)를 매개로 해양구조물(100)의 일 측면에 매달린 상태를 이루게 되는 앵커(200)의 하중은, 연결대(30)를 통해 제1,2 지지대(10,20) 및 제1,2 서포트(33,34)측으로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된 앵커(200)의 하중은 제1,2 지지대(10,20) 및 제1,2 서포트(33,34)를 통해 볼스터(A)의 상하좌우로 균등하게 분산될 수 있다.
또한 볼스터(A)를 매개로 해양구조물(100)의 일 측면에 매달린 앵커(200)에 파랑 등으로부터 상하좌우 방향으로 불규칙한 하중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볼스터(A)에 지지된 앵커(200)는 연결대(30)뿐만 아니라 스토퍼(35)의 수직부(351)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차단되어 안전하고 견고한 지지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A: 앵커 지지 볼스터 10: 제1 지지대
11: 고정플레이트 20: 제2 지지대
21: 고정플레이트 30: 연결대
31: 고정플레이트 33: 제1 서포트
34: 제2 서포트 35: 스토퍼
351: 수직부 352: 곡선부
100: 해양구조물 200: 앵커
210: 사슬 또는 로프 300: 윈치

Claims (5)

  1. 해양구조물의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1 지지대(10);
    해양구조물의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제2 지지대(20);
    지지된 앵커(200)의 최대 상승 위치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지지대(10)의 하단과 제2 지지대(20)의 상단 사이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연결대(30); 및
    상기 연결대(30)에 지지된 앵커(200)의 좌우측 양단과 접촉하도록 연결대(30)에서 하향 이어지는 수직부(351)와, 상기 수직부(351)의 내부로 진입하는 앵커(200)의 도입 위치를 안내하도록 수직부(351)의 하단에서 횡방향 외측으로 이어지는 곡선부(352)로 이루어진 스토퍼(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지지대(10,20)의 횡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대(30)의 양측 연장부(30')에는,
    해양구조물의 일 측면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1 서포트(33); 및
    해양구조물의 일 측면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는 제2 서포트(3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5)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곡선부(352)는 하단이 상기 제1 서포트(33)에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터는 좌우 대칭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5)는 좌우측에 한 쌍의 앵커(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좌우 대칭 구조를 이루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스토퍼(35)의 서로 이웃하는 곡선부(352)는 하단이 서로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
KR1020140102308A 2014-08-08 2014-08-08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 KR201600181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308A KR20160018148A (ko) 2014-08-08 2014-08-08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308A KR20160018148A (ko) 2014-08-08 2014-08-08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148A true KR20160018148A (ko) 2016-02-17

Family

ID=5545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308A KR20160018148A (ko) 2014-08-08 2014-08-08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81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8642A (zh) * 2018-10-31 2019-03-01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船舶在船台下水时用的腰锚支架及其安装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8642A (zh) * 2018-10-31 2019-03-01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船舶在船台下水时用的腰锚支架及其安装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763B1 (ko) 쌍동선 시스템의 상부 구조물과 격자에 관한 부하를 줄이고 강철을 절약하는 재하공법 및 쌍동선 시스템
KR101713850B1 (ko) 길이조정이 가능한 레그를 갖는 잭업 리그
CN103917439A (zh) 具有外置柱的离岸平台
US8496406B2 (en) Positioning a sinking tunnel section
CN104727336A (zh) 浅海风电场大型单管桩基础施工方法
KR101741523B1 (ko) 해양플랫폼
US9809943B2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ongate element in a stretch of water, and associated device and installation
KR20160018148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앵커 지지 볼스터
KR20160000394U (ko) 반 잠수 시추선의 앵커 지지 볼스터
CN207861722U (zh) 一种简易水上浮式门吊
CN105692449A (zh) 自升式钻井平台桩腿接长合拢的方法
CN101424177A (zh) 钻井船下入式边际油气田水下钻井基盘及制造安装方法
KR101396858B1 (ko) 바지선의 잭업장치
CN205337233U (zh) 一种用于网箱养殖的水泥墩锚
US20140072371A1 (en) Platform deck installation and removal method and apparatus
JP5759944B2 (ja) 浮魚礁用アンカーの回収方法、およびその回収方法で使用する回収カゴ
CN106014297A (zh) 排管机安装于井架的方法
KR20160005887A (ko) 해상 크레인의 리깅장치
KR20140086200A (ko) 반잠수식 구조물의 탈착식 수직운동 저감장치
CN108661030A (zh) 自升式平台悬臂梁合拢方法
CN204434114U (zh) 桥式起重机的吊梁
KR200479276Y1 (ko) 선박 및 해상부유구조물 정박용 닻
KR102493444B1 (ko) 부유체 안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로드아웃 방법
KR102351593B1 (ko) 부양 탱크의 회수 시스템 및 그 부양 탱크의 회수방법
CN108083131B (zh) 一种三角桁架式桩腿外部吊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