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314A -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 - Google Patents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314A
KR20160000314A KR1020140077539A KR20140077539A KR20160000314A KR 20160000314 A KR20160000314 A KR 20160000314A KR 1020140077539 A KR1020140077539 A KR 1020140077539A KR 20140077539 A KR20140077539 A KR 20140077539A KR 20160000314 A KR20160000314 A KR 20160000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mold
mold plate
machine body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케이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케이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케이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40077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314A/ko
Publication of KR20160000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79Moulds characterised by mould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의 구성은 내부에 제품 성형을 위한 캐비티를 구비한 몰드(214)가 머신 바디(210)에 장착되어 클로즈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214) 내부의 캐비티에서 제품이 성형되도록 하는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에 있어서, 상기 머신 바디(210)에 구비된 모터(212)와; 상기 모터(212)의 모터축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머신 바디(210)에 회동 작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모터(212)를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대칭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리테이닝 링크부(224)와; 상기 모터(212)의 외측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머신 바디(210)에 지지된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상기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에 대해 근접 가능하도록 상기 머신 바디(210)에 지지되며 그 외측면은 상기 한 쌍의 리테이닝 링크부(224) 중에서 한쪽의 리테이닝 링크부(224)에 연결된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를 이송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터를 아래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머신 바디의 샤프트에 결합된 모터 서포트 프레임(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Molding machine with improved mold plate moving variation protecion structure}
본 발명은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몰딩 제품의 성형을 위한 몰드 플레이트의 이동시에 주요부인 모터가 상향으로 들리는 것과 같은 유동 현상을 방지하고, 몰드에 의해 제품 성형시 몰드가 벌어지는 현상에 의한 제품의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유압식에 비하여 전기 사용량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으며, 전기 사용량 저감에 의해 에너지 효율 등의 면에서 유리한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몰딩 제품의 성형을 위한 주요부인 몰드 플레이트의 이동시에 전후 방향 등으로의 유동을 방지하여 고정밀도를 확실하게 보장하는 새로운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의 대표적인 성형방법으로는 사출용 금형을 이용한 사출성형, 다이캐스팅 금형을 이용한 다이캐스팅 성형, 블로우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을 이용한 블로우 몰딩(성형) 등으로 분류되는데, 이러한 성형 방법 중에서 블로우 성형방법은 두 장을 합진 시트상의 성형품 또는 관상 성형품을 몰드(금형)에 넣고 공기를 내부에 불어넣어 중공품을 만드는 성형법을 말하며 이를 중공성형이라 고도 칭한다. 예를 들어, 병을 제조할 경우에는 우선 관상으로 반제품을 성형한 다음, 이러한 반제품을 몰드 속에 넣어 공기를 불어넣은 상태에서 플라스틱을 경화시켜 병의 형상을 만들고, 몰드에서 블로우 성형된 병을 취출하여 가공함으로써 완제품 병을 만들게 된다. 즉, 블로우 몰딩이란 플라스틱을 녹여 속이 비어 있는 튜브 형태의 반제품(패리슨이라 칭함)을 만들어 낸 다음, 상기 패리슨을 공기 주입구가 있는 몰드에 투입(캐비티에 투입)하여 고압의 공기를 주입한 상태에서 플라스틱을 경화시키고, 이러한 경화된 플라스틱을 금형으로부터 취출하여 잔재 부분을 제거하면 완제품이 되는 성형 방식이다.
상기 블로우 성형을 위해서는 블로우 몰드(블로우 금형)를 지지하는 구조를 구비한 블로우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블로우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은 상기와 같은 생산 과정을 자동화해서 처리할 수 있도록 제작된 기계로서, 상기 블로우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은 PE, PET, PP 등의 플라스틱 원료를 160~180도로 가열해 패리슨을 만들어 내는 실린더와 스크루 및 헤드 부분, 몰드를 부착한 상태에서 좌우로 움직여 패리슨을 금형에 물리는 작업과 고압의 공기를 불어 넣는 작업을 실행시키는 캐리지 부분, 패리슨을 물고 주입된 고압의 공기를 견디며 몰드의 모양(몰드 내부에 형성된 캐비티의 형상)데로 플라스틱이 식을 때까지 유지한 후 다시 몰드를 열어서 제품을 밖으로 취출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형개폐 부분(몰드 개폐 부분), 고압의 공기를 불어 넣어주는 블로우 핀과 이 블로우 핀의 상승 하강 작업 부분, 균일하지 않은 용기의 외경 사이즈에도 불구하고 최종 제품의 벽면 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패리슨의 두께를 조절해주는 패리슨 콘트롤러 부분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블로우 몰딩을 위해 이용되는 몰드는 패리슨을 물어주기 위하여 서로 마주하는 면에 몰드 성형(블로우 몰드 성형)될 제품의 외관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가 각각 구비된 적어도 한 쌍의 몰드 포밍판을 구비하는데, 상기 블로우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은 이러한 블로우 몰드의 각각의 몰드 포밍판을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마주하는 몰드 플레이트 사이에 투입하여 몰드 플레이트로 상기 각 몰드 포밍판을 그립함으로써, 블로우 몰딩시의 성형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블로우 성형시 패리슨 내부로 블로잉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블로우 몰드의 각 몰드 포밍판이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기존에는 블로우 성형시 상기 블로우 몰드를 지지하기 위한 몰드 플레이트를 실린더의 피스톤으로 눌러서 지지하는 유압식 블로우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을 많이 채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유압식 블로우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이하, 편의상 유압식이라 함)은 실린더의 피스톤으로 지속적으로 몰드 플레이트를 밀어주다가 외부의 요인 등에 의해 블로잉 성형시의 블로잉 압력에 비하여 실린더의 피스톤을 밀어주는 힘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생기면, 상기 피스톤이 뒤로 밀려나고, 이처럼 피스톤이 밀리면 블로우 몰드를 눌러서 지지하는 몰드 플레이트 및 블로우 몰드 역시 블로우 성형 중의 블로잉 압력에 의해 밀려나면서 각각의 몰드 포밍판 사이가 벌어지므로, 플라스틱 제품의 형상이 제대로 나오지 못하게 되는 불량이 초래된다. 비단, 블로우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에만 이러한 문제가 생기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사출성형, 다이캐스팅 금형을 이용한 다이캐스팅 성형과 같이 몰드를 이용하여 제품을 만드는 모든 장치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가 공통적으로 초래되고 있다.
또한, 상기 유압식은 유압 모터와 펌프에서 나온 고압의 유압 작동유를 유압호스를 통해 각각의 작동지점까지 보낸 후 설치된 유압실린더를 움직여서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는데, 이를 위해 유압 모터와 펌프는 가동시간 중 항시 작동되며 유압의 특성상 각 작동부분이 사용되지 않는 시간 중에도 가동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가 있고, 이처럼 유압 모터와 펌프 등이 항시 가동되어야 하므로 전기 소비량이 많다는 문제가 있다. 일례로 제품이 생산되는 1 사이클이 20초라 할지라도 유압식의 경우 20초 후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20초 동안 멈춤 없이 유압 모터가 작동되어야 하므로, 전기 사용량이 많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또한, 유압을 사용할 경우 마찰에 의해 뜨거워지는 유압작동유를 냉각하기 위해 많은 양의 냉각수가 필요하며 이러한 냉각수를 만들기 위해 칠러(Chiller)가 기계 작동 중 연속적으로 가동되어야 하기에 종합적인 전기에너지 사용량은 더욱 많아지게 된다.
결국, 기존 유압식 블로우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은 에너지 사용상의 비효율성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해, 유압의 특성상 생산중 유압모터가 항시 가동되어야만 하며 전기에너지로 유압모터를 돌리고 이때의 힘으로 유압펌프를 가동시키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에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손실률이 매우 높다는 점이 문제이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11897호(2003.04.17 등록) 국내공개특허 특1999-0078226호(1999.10.25 공개) 국내공개특허 특2002-0033795호(2002.05.07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몰딩 제품의 성형을 위한 몰드 플레이트의 이동시에 주요부인 모터가 상향으로 들리는 것과 같은 유동 현상을 방지하여 고정밀도를 확실하게 보장하는 새로운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몰드에 의해 제품 성형시 몰드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제품의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몰드의 벌어짐에 의한 제품 불량 방지 구조는 기존에 비하여 간소화되어 여러 가지 면에서 유리한 새로운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몰딩(성형) 작업과 같이 필요시에만 주요부가 가동되도록 구성하여, 유압식에 비하여 전기 사용량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고, 전기 사용량 저감으로 인하여 에너지 절감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제품 성형을 위한 캐비티를 구비한 몰드가 머신 바디에 장착되어 클로즈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 내부의 캐비티에서 제품이 성형되도록 하는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에 있어서, 상기 머신 바디에 구비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머신 바디에 회동 작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모터를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대칭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리테이닝 링크부와; 상기 모터의 외측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머신 바디에 지지된 고정 몰드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몰드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 몰드 플레이트에 대해 근접 가능하도록 상기 머신 바디에 지지되며 그 외측면은 상기 한 쌍의 리테이닝 링크부 중에서 한쪽의 리테이닝 링크부에 연결된 가동 몰드 플레이트와; 상기 몰드를 구성하는 한 쌍의 몰드 포밍판 중에서 한쪽의 몰드 포밍판측에 배치된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몰드를 가압하여 상기 몰드 내부의 상기 캐비티로 성형 재료가 투입되어 성형될 때에 상기 몰드를 지지하는 탄성력을 가하는 리테이닝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를 이송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터를 아래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머신 바디의 샤프트에 결합된 모터 서포트 프레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이 제공된다.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를 이송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를 아래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머신 바디의 샤프트에 결합된 모터 서포트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이 제공된다.
상기 모터는 상기 머신 바디에 모터 서포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모터 서포트 프레임은, 상기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와 상기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 사이에서 전후진 가능하도록 상기 머신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 스틱 작동링크와 상기 제2사이드 스틱 작동링크 및 커넥션부가 일직선 상으로 펼쳐진 스틱 상태에서 상기 로테이션 패널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가 상기 커넥션부에 대해 상대 회동될 때에 상기 모터 서포트 프레임와 상기 모터가 상기 머신 바디에 장착된 상기 샤프트를 기준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머신 바디에 구비된 상기 모터의 상기 모터축에는 로테이션 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리테이닝 링크부는, 상기 로테이션 패널의 일단부측에 선단부가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한쪽 위치에 배치되며 기단부는 힌지부를 매개로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에 연결된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와, 상기 로테이션 패널의 타단부측에 선단부가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다른 쪽 위치에 배치되며 기단부는 힌지부를 매개로 상기 리테이닝 유닛에 연결된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테이닝 유닛은, 상기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머신 바디에 구비된 지지 베이스부와, 상기 지지 베이스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선단부가 상기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의 기단부에 연결된 커넥션부와, 상기 지지 베이스부와 상기 커넥션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커넥션부와 상기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가 일직선 형태로 펼쳐진 스틱 상태에서 상기 몰드의 클로즈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프레싱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베이스부는 내부에 탄성 작용 스페이스가 구비된 박스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션부는 그 기단부측 외주면이 상기 지지 베이스부의 상기 탄성 작용 스페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지지 베이스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링크 구조이며, 상기 프레싱 탄성체는 양면을 구비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스프링은 양면 중에서 한쪽 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탄성 작용부를 구비한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 베이스부와 상기 커넥션부 사이의 상기 탄성 작용 스페이스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한쪽 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상기 탄성 작용부끼리 서로 마주하도록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에 의한 판스프링 세크먼트를 구성하며, 상기 판스프링 세크먼트가 상기 지지 베이스부와 상기 커넥션부 사이의 탄성 작용 스페이스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스프링 세크먼트는 상기 탄성 작용 스페이스에 갯수가 가감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동 몰드 플레이트에 연결된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와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가 수평 방향으로 정직선 형태로 배치되며, 동시에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 기단부측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상기 리테이닝 유닛의 지지 베이스(머신 바디의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측 위치에 연결)의 커넥션부와는 동일 직선상으로 수평하게 펼쳐지는 스틱 상태로 전환되고, 이러한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와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 및 상기 지지 베이스의 커넥션부가 동일 직선상으로 펼쳐진 스틱 상태(stick state)가 되면서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를 고정 몰드 플레이트에 근접되도록 이동시키므로, 두 개의 나란한 고정 몰드 플레이트와 가동 몰드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몰드의 각 몰드 포밍판을 가압하여 홀딩(지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한 스틱 상태(즉,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 및 제2스틱 작동링크와 지지 베이스의 커넥션부가 일직선으로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몰드의 내부에 형성된 캐비티 내부에 투입된 반제품(블로우 성형 제품인 경우 패리슨) 내부에 상기 블로우핀으로 통해 압력 에어를 블로잉함으로써, 완제품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은 몰딩 제품의 성형을 위한 주요부인 가동 몰드 플레이트가 이동할 때에 가동 몰드 플레이트를 아래에서 이송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몰드 플레이트 베이스가 앞쪽으로 들리거나 뒤쪽으로 들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블로잉 성형 제품의 정밀도가 저하되거나 불량 등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동 몰드 플레이트의 저면 기저 지지 부분인 몰드 플레이트 베이스의 유동 현상과 이에 연결된 가동 몰드 플레이트의 유동 현상을 방지하여 고정밀도를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는 데에서 큰 의미가 있다. 다시 말해, 제1스틱 작동 링크와 제2스틱 작동 링크를 로테이션 패널의 회전에 의해 일직선으로 펼치는 스틱 상태와 제1스틱 작동 링크와 제2스틱 작동 링크를 로테이션 패널의 회전에 의해 접혀지는 상태로 전환하는 스틱 해제 상태를 위한 주요부인 모터가 모터 서포트 프레임에 지지되고, 모터 서포트 프레임은 굵은 바아 형태의 샤프트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스틱 작동 링크와 제2스틱 작동 링크의 스틱 상태 전환과 스틱 해제 상태 전환시에 모터 서포트 프레임과 모터가 위쪽으로 들리는 유동 현상을 방지하므로, 고정밀도를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품 성형시 몰드에 작용하는 반력 압력에 대해 판스프링으로 탄성 지지하는 리테이닝 유닛을 구비함으로 인하여 기존의 유압식이 아니라 전동식으로 제품 몰딩(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특징을 가진다. 즉, 몰드의 캐비티 내부에 완제품 성형을 위한 재료를 투입하여 완제품이 성형되도록 할 때에는 성형시의 반발 압력이 작용하여 상기 몰드의 각 몰드 포밍판이 클로즈 상태에서 벌어져 버리는 오픈 상태가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각의 몰드 지지용 몰드 플레이트에 지지 베이스가 구비되고, 지지 베이스에는 커넥션부가 연결되며, 지지 베이스와 커넥션부 사이에는 판스프링이 개재되어 있어서, 상기 몰드 내부의 캐비티를 이용하여 완제품 성형시에 작용하는 반발 압력에 의해 몰드가 벌어지려 하려는 힘이 작용하여도 상기 판스프링의 강인한 탄성 지지력에 의해 몰드가 벌어지는 오픈 상태로 변질되는 일이 없게 되므로, 몰드가 벌어지는 현상에 의한 제품 불량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몰드의 벌어짐에 의한 제품 불량 방지 구조는 기존에 비하여 매우 간소화되어 여러 가지 면에서 매우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유압식이 아니라 전동식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을 구현함으로써, 다량의 전기 소모가 있는 기존 유압식에 비하여 상당한 전기 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에너지 효율 등의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은 주요부의 작동을 각각 설치된 서보모터를 통해 이끌어 내는데, 서보모터의 특성상 작동이 필요한 순간에만 전기를 소비하며 모터가 작동되기에 획기적인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의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인 몰드 플레이트와 몰드의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인 모터와 모터 서포트 브라켓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의 구성은 머신 바디(210)에 구비된 모터(212)와, 이러한 모터(212)의 모터축에 연결된 한 쌍의 리테이닝 링크부(224)와, 모터(212)의 외측 위치에 배치되도록 머신 바디(210)에 지지된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이러한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에 대해 근접 가능하도록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와, 상기 몰드(214)를 구성하는 한 쌍의 몰드 포밍판 중에서 한쪽의 몰드 포밍판측에 배치된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에 의해 몰드(214)를 가압하여 몰드(214) 내부의 상기 캐비티로 성형 재료가 투입되어 성형될 때에 상기 몰드(214)를 지지하는 탄성력을 가하는 리테이닝 유닛(220)을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몰드 플레이트의 정밀 이동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의 구성은 머신 바디(210)에 구비된 모터(212)와, 이러한 모터(212)의 모터축에 연결된 한 쌍의 리테이닝 링크부(224)와, 모터(212)의 외측 위치에 배치되도록 머신 바디(210)에 지지된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이러한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에 대해 근접 가능하도록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와, 상기 몰드(214)를 구성하는 한 쌍의 몰드 포밍판 중에서 한쪽의 몰드 포밍판측에 배치된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에 의해 몰드(214)를 가압하여 몰드(214) 내부의 상기 캐비티로 성형 재료가 투입되어 성형될 때에 상기 몰드(214)를 지지하는 탄성력을 가하면서 동시에 가동 몰드 플레이트의 이동시에는 가동 몰드 플레이트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머신 바디의 샤트프를 기준으로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는 현상(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이동시의 정밀도를 높여주는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220)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몰드 플레이트의 정밀 이동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이라 함은 블로우 몰딩머신 이외에 사출용 금형을 이용한 사출 몰딩머신, 다이캐스팅 금형을 이용한 다이캐스팅 몰딩머신과 같이 모든 종류의 몰딩머신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블로우 몰딩머신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사출 성형을 위한 사출 몰딩머신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몰딩머신에 호환성 있게 채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소형 전동식 블로우 몰딩머신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의 설명에서는 소형 블로우 몰딩머신을 편의상 몰딩머신으로 통칭하기로 한다.
상기 머신 바디(210)는 전면부와 배면부 및 양쪽 측면부를 구비한 대략 육면체 바디 형상으로 구성된다. 머신 바디(210)의 전방 위치에는 정면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머신 바디(210)의 좌우 측면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리니어 가이드 구조가 될 수 있는데, 가이드 레일에는 모터(212)를 지지하기 위한 캐리지(211)가 결합되어 있다. 캐리지(211)는 머신 바디(210)의 측면부에서 볼 때에 전후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판형상 프레임부가 구비된 프레임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캐리지(211)에는 전후 방향(머신 바디(2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가 구비되어 있다. 샤프트는 캐리지(211)의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판형상 프레임부를 관통하여 결합된 로워 샤프트(211LS)와 위쪽의 어퍼 샤프트(211US)를 포함한다. 이때, 어퍼 샤프트(211US)는 캐리지(211)의 정면(머신 바디(21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양쪽으로 나란하도록 두 개가 배치되어 있다. 즉, 캐리지(211)에 두 개의 어퍼 샤프트(211US)와 두 개의 로워 샤프트???가 결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구조이다.
상기 샤프트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각각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프론트 몰드 바디와 리어 몰드 바디 구비되어 있다. 샤프트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프론트 몰드 바디와 리어 몰드 바디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론트 몰드 바디의 상단부측에는 수평 방향으로 컨트롤 샤프트가 구비되어 있다. 컨트롤 샤프트가 어퍼 샤프트(211US)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컨트롤 샤프트의 선단부에는 링크 브라켓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모터(212)는 저면에 캐리지(211)가 구비되고, 캐리지(211)는 머신 바디(210)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은 머신 바디(21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됨)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캐리지(211)가 머신 바디(210)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대 슬라이드되면 모터(212)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대 이동하므로, 모터(212)가 머신 바디(21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모터(212)의 저면에는 모터 서포트 프레임(212BS)이 구비되고, 모터 서포트 프레임(212BS)은 머신 바디(210)의 측면에서 볼 때에 어퍼 샤프트에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모터(212)와 모터(212)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모터 서포트 프레임(212BS)이 후술할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와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 사이에 구비된 구조를 가진다. 캐리지(211)에는 로워 샤프트와 어퍼 샤프트가 결합되고, 모터 서포트 프레임은 캐리지에 결합된 어퍼 샤프트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모터(212)는 머신 바디(210)의 좌우 방향(정면에서 볼 때에 좌우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모터(212)의 모터축도 머신 바디(210)의 좌우 방향(정면에서 볼 때에 좌우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모터(212)의 모터축에는 로테이션 패널(213)의 중심부가 동축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로테이션 패널(213)은 모터축에 결합되는 중심부에서 양쪽 단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점 작아지는 판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로테이션 패널(213)은 중앙부에서 양쪽 단부측으로 갈수록 측면부 사이의 너비가 점점 작아지는 판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머신 바디(210)에 구비된 캐리지(211)에는 후술할 몰드 플레이트를 머신 바디(2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인 이송 구동용 모터(104)(이하, 모터(104)라 함)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104)의 모터축에는 머신 바디(210)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볼스크류가 구비된다. 볼스크류는 모터(104)의 모터축 외주면에 스크류부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모터(104)의 모터축에 커플러를 매개로 볼스크류를 연결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상기 몰드 플레이트는 몰드(214)(금형) 내부의 캐비티에서 제품이 성형될 때에 몰드(214)를 홀딩(지지)하는 기능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몰드 플레이트는 머신 바디(210)에 직립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면서 동시에 서로 내측면끼리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는 하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관통하여 결합된 샤프트 하우징이 구비되고, 샤프트 하우징은 머신바디(210)에 구비된 어퍼 샤프트(211US) 외주면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머신 바디(210)에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된다. 이때, 어퍼 샤프트(211US)는 머신 바디(210)의 정면을 기준으로 서로 나란하게 두 개가 배치되어 있어서,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의 하단부측이 두 개의 어퍼 샤프트(211US)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 하단부측의 샤프트 하우징을 관통하는 랜치 볼트를 어퍼 샤트트에 가압되도록 조여줌으로써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가 어퍼 샤프트(211US)에 지지되어 직립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랜치 볼트 이외에 용접과 같은 다른 고정수단으로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를 어퍼 샤프트(211US)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의 외측면은 상기 프론트 몰드 바디에 구비된 링크 브라켓에 결합되어 있다. 링크 브라켓을 관통하는 볼트를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의 외측면에서 체결하는 것과 같은 공지의 연결수단으로 링크 브라켓과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를 상호 결합할 수 있으며, 이처럼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의 외측면은 머신 바디(210)에 구비된 프론트 몰드 바디에 연결하여 지지하고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의 하단부측은 상기 어퍼 샤프트(211US)에 고정되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를 머신 바디(210)에 안정적으로 세워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는 하단부측에 구비된 샤프트 하우징이 머신 바디(210)에 구비된 어퍼 샤프트(211US) 외주면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머신 바디(210)에 상하 방향으로 세워짐과 동시에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어퍼 샤프트(211US)는 머신 바디(210)의 정면을 기준으로 서로 나란하게 두 개가 배치되어 있어서,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의 하단부측도 두 개의 어퍼 샤프트(211US)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의 외측면에는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220)이 구비되고, 머신 바디에 지지된 리테이닝 링크부에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을 매개로 가동 몰드 플레이트가 연결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머신 바디(210)에 구비된 어퍼 샤프트(211US)에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의 하단부와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의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는 어퍼 샤프트(211US)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가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의 내측면 사이가 근접하거나 멀어질 수 있게 된다. 즉,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가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에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면,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 내측면과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 내측면 사이의 몰드(214) 투입 공간부 사이가 좁아지거나 늘어나게 된다.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의 하단부는 어퍼 샤프트(211US)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의 외측면은 머신 바디(210)에 구비된 프론트 몰드 바디에 연결되어 지지된 상태이고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의 외측면은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과 리테이닝 링크부(224)에 연결된 상태이며, 리테이닝 링크부는 머신 바디의 리어 몰드 바디에 연결된 구조이므로,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가 서로에 대해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를 상기 로워 샤프트(211LS)와 어퍼 샤트프를 매개로 지지하는 캐리지(211)에는 볼스크류 너트가 구비(정확하게는 캐리지(211)의 저면에 볼스크류 너트가 구비)되어, 상기 머신 바디(210)의 이송 구동용 모터(104)의 모터축에 구비된 볼스크류에 볼스크류 너트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이송 구동용 모터(104)의 모터축과 볼스크류 너트가 회전 작동함에 따라 상기 캐리지(211)와 이에 지지된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 및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가 머신 바디(21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중심선 방향(머신 바디(210)의 정면 중앙부 방향)으로 전진하고 후진하는 작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터(212)의 모터축에는 상기한 리테이닝 링크부(224)가 연결되는데, 상기 모터(212)와 리테이닝 링크부(224)도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 및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와 함께 머신 바디(210)의 정면 중심선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정면 중심선 방향에서 후진하게 된다. 이때,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 및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와 모터(212) 및 리테이닝 링크부(224)를 머신 바디(210)의 정면 중심부 방향에서 전진 및 후진시키는 작동은 상기 이송 구동용 모터(104)와 볼스크류 및 볼스크류 너트 이외에 실린더 등의 다른 이송 구동 수단에 의해서도 구현 가능하다.
상기 리테이닝 링크부(224)는 모터(212)의 모터축에 연결됨과 동시에 머신 바디(210)에 회동 작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모터(212)를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대칭되도록 한 쌍의 리테이닝 링크부(224)가 배치되어 있다. 즉, 리테이닝 링크부(224)는 두 개의 몰드 플레이트(즉,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가 몰드(214)(예를 들어, 블로우 성형을 위한 몰드(214))를 홀딩한 상태에서 스틱 상태(stick state)로 유지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리테이닝 링크부(224)는 모터(212)의 한쪽 열 위치에 배치된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와 모터(212)의 다른 쪽 열 위치에 배치된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는 모터(212)의 모터축에 구비된 로테이션 패널(213)의 한쪽 단부측에 외측단이 힌지부(H)를 매개로 연결된다. 또한,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의 내측단은 힌지부(H)를 매개로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의 외측면에 구비된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에 연결된다.
상기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은 한 쌍의 마주하는 몰드가 안쪽면끼리 맞닿아 몰드 내부의 캐비티로 주입된 성형 재료가 성형되어 제품(블로잉 제품)을 성형할 때에 몰드를 지지하는 탄성력을 가하는 기능과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가 이동할 때에 편심되는 것을 방지(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본 발명은 몰드(214)를 구성하는 한 쌍의 몰드 포밍판 중에서 한쪽의 몰드 포밍판측에 배치된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에 의해 몰드(214)를 가압하여 몰드(214) 내부의 캐비티로 성형 재료가 투입되어 성형될 때에 몰드(214)를 지지하는 탄성력을 가하면서 동시에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가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의 정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220)을 포함한다.
상기 머신 바디(210)에 구비된 모터(212)의 모터축에는 로테이션 패널(213)이 구비되고, 상기 리테이닝 링크부(224)는 로테이션 패널(213)의 일단부측에 선단부가 힌지부(H)를 매개로 연결되어 모터(212)의 한쪽 위치에 배치되며 기단부는 힌지부(H)를 매개로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에 연결된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와, 상기 로테이션 패널(213)의 타단부측에 선단부가 힌지부(H)를 매개로 연결되어 모터(212)의 다른 쪽 위치에 배치되며 기단부는 힌지부(H)를 매개로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220)에 연결된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를 포함하는데, 상기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은 지지 베이스부와 커넥션부 및 프레싱 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베이스부는 머신 바디에 구비된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측에 배치되도록 가동 몰드 플레이트에 구비된다. 지지 베이스부는 내측단과 외측단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구성된다. 지지 베이스부의 내측단이 가동 몰드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지지 베이스부의 내측단이 가동 몰드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지지 베이스부의 외측단은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된 캡으로 구성된다. 캡은 내외측면으로 연통된 커넥션부 결합홀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 베이스부(222)에 내측단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외측단이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의 내측단에 연결된 커넥션부(226)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션부는 바아 형상으로서 커넥션부의 내측단에는 외경이 다른 부분보다 더 큰 확장부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션부가 캡의 커넥션부 결합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확장부는 지지 베이스부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커넥션부의 외측단은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의 내측단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 베이스부(222)와 커넥션부(226) 사이에 프레싱 탄성체가 구비된다. 지지 베이스부의 내부에 프레싱 탄성체가 내장되어 가동 몰드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커넥션부의 내측단 사이에 프레싱 탄성체가 개재된 구조이다. 프레싱 탄성체는 커넥션부(226)와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와 로테이션 패널 및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가 일직선 형태로 펼쳐진 스틱 상태에서 몰드(214)의 클로즈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머신 바디에는 샤프트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에는 가동 몰드 플레이트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어퍼 샤프트에 가동 몰드 플레이트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구비된 지지 베이스부에는 커넥션부의 내측단이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커넥션부의 내측단 사이에 프레싱 탄성체가 개재되며, 상기 커넥션부(226)와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와 로테이션 패널 및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가 일직선 형태로 펼쳐진 스틱 상태에서 가동 몰드 플레이트와 지지 베이스부 및 프레싱 탄성체가 샤프트, 다시 말해, 어퍼 샤프트를 따라 전진하고,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와 로테이션 패널 및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가 접혀진 스틱 해제 상태에서 가동 몰드 플레이트와 지지 베이스부 및 상기 프레싱 탄성체가 샤프트, 다시 말해, 어퍼 샤프트를 따라 후진된다.
상기 커넥션부는 내측단에 인접한 외주면이 지지 베이스부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커넥션부의 외주면과 지지 베이스부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커넥션부 내측단의 확장부가 직접 프레싱 탄성체에 접촉되어 있는데, 상기 확장부의 외주면은 물론 커넥션부의 다른 외주면도 지지 베이스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일정 간격의 스페이스가 확보된 구조이다.
상기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는 모터(212)의 모터축에 구비된 로테이션 패널(213)의 다른 쪽 단부측에 외측단이 힌지부(H)를 매개로 연결된다. 또한,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의 내측단은는 힌지부(H)를 매개로 상기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220)의 커넥션부(226)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와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 중에서 앞쪽 위치(머신 바디(210)의 측면에서 볼 때에 앞쪽 위치)의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는 그 내측단이 힌지부(H)를 매개로 모터(212)의 모터축에 구비된 로테이션 패널(213)의 한쪽 단부측에 연결되어 있다.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는 그 외측단이 힌지부(H)를 매개로 모터(212)의 모터축에 구비된 로테이션 패널(213)의 다른 쪽 단부측에 연결되어 있고,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의 내측단은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220)에 힌지부(H)를 매개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의 내측단이 힌지부(H)에 의해 커넥션부의 외측단에 연결된다. 커넥션부가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을 구성하므로, 상기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의 내측단은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220)에 힌지부(H)를 매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모터(212)의 모터축을 기준으로 양쪽 전후 위치에 두 개의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와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가 구비된 구조인데, 상기 모터(212)의 모터축이 회전하여 로테이션 패널(213)의 양쪽 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와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가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몰드 플레이트의 정밀 이동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은 몰드(214)를 구성하는 한 쌍의 몰드 포밍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몰드 포밍판측에 구비되어 몰드(214) 내부의 캐비티로 성형 재료가 투입되어 성형될 때에 몰드(214)를 지지하는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몰드(214)의 각 몰드 포밍판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220)을 핵심 구성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220)은 모터(212)의 모터축에 연결된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머신 바디(210)에 지지된 지지 베이스부(222)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 베이스부(222)는 내부에 탄성 작용 스페이스(222a)가 구비된 관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머신 바디(210)를 구성하는 리어 몰드 바디에 결합되어 있는 볼트 등의 체결구가 지지 베이스부(222)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홀에 조여짐으로써 지지 베이스부(222)가 머신 바디(210)의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측 위치에 고정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체결구와 체결홀 이외에 용접과 같은 다른 고정수단으로 지지 베이스부(222)의 기단부측을 머신 바디(210)(정확하게는, 머신 바디(210)를 구성하는 리어 몰드 바디 부분)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지지 베이스부(222) 내부의 탄성 작용 스페이스(222a)의 양쪽 단부 중에서 한쪽 단부로부터 지지 베이스부(222)의 기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캡결합홀이 형성되고, 캡결합홀에는 바아 형태의 캡이 결합되며, 상기 캡과 캡결합홀 사이에는 오링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베이스부(222) 내부의 탄성 작용 스페이스(222a)의 양쪽 단부 중에서 다른 쪽 단부로부터 지지 베이스부(222)의 선단부로 연통된 커넥션부 결합홀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 베이스부(222) 내부의 커넥션홀에는 상기 리테이닝 링크부(224)의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 기단부에 힌지부(H)를 매개로 연결되는 커넥션부(226)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션부(226)는 그 기단부측 외주면이 지지 베이스부(222)의 탄성 작용 스페이스(222a)에 내장되어 지지 베이스부(222)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바아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커넥션부(226)는 내측단에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더 큰 확장부가 있어서, 상기 커넥션부(226)의 확장부가 지지 베이스부(222)의 외측단에 구비된 캡의 커넥션부 결합홀 둘레벽에 걸려지므로, 상기 커넥션부(226)가 지지 베이스부(222)의 선단부측에서 상대 슬라이드되면서도 지지 베이스부(222)의 선단부에서 빠지는 것은 방지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확장부가 커넥션부(226)를 지지 베이스부(222)의 선단부에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 지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션부(226)는 바아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기 커넥션부(226)의 외주면과 지지 베이스부(222) 내부의 커넥션홀 사이에는 오링이 개재될 수 있다. 판스프링(228) 형태의 프레싱 탄성체가 지지 베이스부(222) 내부의 탄성 작용 스페이스(222a)에 복수개로 배치되는데, 각 판스프링(228)끼리 맞닿은 상태에서 탄성 작용을 하면서 마찰력 등이 생길 때에 판스프링(228)이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 베이스부(222) 내부의 탄성 작용 스페이스(222a)에 오일을 채워넣으며, 이러한 오일이 외부로 세어나가지 않도록 상기 오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프레싱 탄성체는 지지 베이스부(222)의 선단부측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바아 구조의 커넥션부(226)를 밀어내는 탄성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 프레싱 탄성체는 양면(제1면과 제2면)을 구비한 판스프링(228)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판스프링(228)은 양면 중에서 한쪽 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탄성 작용부(228A)를 구비한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지지 베이스부(222)와 커넥션부(226) 사이의 탄성 작용 스페이스(222a)에 개재되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판스프링(228)이 중앙부는 양면(즉, 제1면과 제2면)으로 연통된 탄성 금속재 와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양면 중에서 한쪽 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는 탄성 작용부(228A)를 구비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판스프링(228)을 측단면으로 볼 때에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상기 탄성 작용부(228A)가 한쪽 면 방향(제1면 방향 또는 제2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탄성 작용부(228A)를 누르는 압력(예를 들어, 블로우 몰드 플레이트의 정밀 이동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에 구비된 몰드(214) 내부의 캐비티에서 제품이 블로잉 성형될 때에 작용하는 블로잉 압력 등)이 작용하면 탄성 작용부(228A)가 그러한 압력에 대응하는 탄성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판스프링(228)은 중앙부에 양면으로 연통된 센터홀(228h)이 구비되어 있다. 즉, 판스프링(228)은 탄성 작용부(228A)가 한쪽 면 방향으로 돌출된 링판 형상 스프링 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판스프링(228)은 상기 한쪽 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탄성 작용부(228A)끼리 서로 마주하도록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228)에 의한 판스프링 세크먼트를 구성하는데, 이러한 판스프링 세크먼트가 지지 베이스부(222)와 커넥션부(226) 사이의 탄성 작용 스페이스(222a)에 사이에 하나만 개재되기 보다는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치된다. 즉, 판스프링 세크먼트가 두 개 이상 지지 베이스부(222)와 커넥션부(226) 사이의 탄성 작용 스페이스(222a)에 사이에 개재된 것이다. 또한, 판스프링 세크먼트는 탄성 작용 스페이스(222a)에 갯수가 가감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쪽 열의 두 장의 판스프링(228)과 다른 쪽 열의 두 장의 판스프링(228)이 서로 맞닿도록 중첩되고, 한쪽 열의 두 장의 판스프링(228)과 다른 쪽 열의 두 장의 판스프링(228)의 한쪽 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탄성 작용부(228A)끼리 서로 마주하도록 대칭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판스프링(228)들에 의한 탄성 지지력이 더 커지게 된다. 또한, 한쪽 열의 세 장의 판스프링(228)과 다른 쪽 열의 세 장의 판스프링(228)이 서로 맞닿도록 중첩되고, 한쪽 열의 세 장의 판스프링(228)과 다른 쪽 열의 세 장의 판스프링(228)의 한쪽 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탄성 작용부(228A)끼리 서로 마주하도록 대칭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판스프링(228)들에 의한 탄성 지지력이 두 장이 겹쳐져 있을 때보다 더욱 커지게 된다. 그리고, 한쪽 열의 한 장의 판스프링(228)과 다른 쪽 열의 한 장의 판스프링(228)이 서로 맞닿도록 중첩되고, 한쪽 열의 한 장의 판스프링(228)과 다른 쪽 열의 한 장의 판스프링(228)의 한쪽 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탄성 작용부(228A)끼리 서로 마주하도록 대칭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열에 두 장 또는 세 장의 판스프링(228)이 겹쳐진 경우에 비하여 탄성 지지력은 가장 작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228)의 갯수를 가감하는 방식에 의해 탄성 지지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 지지력 조절이 몰드 플레이트의 정밀 이동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의 조건(제품 성형시 몰드(214)에 반발력으로 작용하는 압력 조건, 다시 말해, 몰드(214)의 클로즈 상태에서 몰드(214)가 벌어지도록 작용하는 반발 압력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두 개의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 사이로 몰드(214)가 투입되는데, 몰드(214)는 프론트 몰드 포밍판(214F)과 리어 몰드 포밍판(214R)을 구비하고, 프론트 몰드 포밍판(214F)의 내측면과 리어 몰드 포밍판(214R)의 내측면에는 성형될 제품의 외관에 대응하는 홈형태의 캐비티홈(정확하게는 전체 캐비티 체적의 2분의 1의 체적인 반 캐비티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프론트 몰드 포밍판(214F)과 리어 몰드 포밍판(214R)이 내측면끼리 맞닿았을 때에 성형될 제품(블로잉 성형될 제품)의 외관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몰드(214)에는 블로우핀(215)으로부터 블로잉되는 에어(성형될 제품의 내부로 블로잉되는 에어)가 내부의 캐비티로 도달하도록 캐비티와 연통된 에어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 사이로 몰드(214)가 투입된 상태에서는 머신 바디(210)에 장착된 블로우핀(215)(압력 에어 분사 노즐이라 할 수 있음)이 몰드(214)의 상측에 배치되고, 블로우핀(215)으로부터 블로잉되는 에어가 몰드(214)에 구비된 에어 유입홀을 통해 캐비티 내부로 유입되므로, 상기 캐비티 내부에 성형 반제품(블로잉 성형시 반제품을 패리슨이라 함)이 들어가 있는 상태이면, 블로우핀(215)으로부터 블로잉되는 에어가 반제품 내부로 유입되면서 반제품을 몰드(214) 내부의 캐비티 형상에 맞추어 완전한 형상으로 만드는 블로잉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모터(212)는 저면에 구비된 모터 서포트 프레임(212BS)이 머신 바디(210)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머신 바디(21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좌우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가이드 레일임)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머신 바디(210)에 구비된 이송 구동용 모터(104)의 모터축을 회전시키면 상기 모터(104)의 모터축에 구비된 볼스크류와 상기 몰드 플레이트에 연결되면서 볼스크류에 결합된 볼스크류 너트에 의해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 및 상기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 사이에 지지된 몰드(214)가 머신 바디(210)의 정면 중심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블로우핀(215)의 아래에 배치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블로우핀(215)에서 블로잉 에어를 금형 내부의 캐비티에 투입되어 있는 반제품(즉, 패리슨) 내부에 주입하여 몰드(214) 내부의 캐비티 형상에 맞는 완제품을 블로잉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즉, 머신 바디(210)의 정면을 기준으로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 및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와 이에 지지된 몰드(214)가 상기 블로우핀(215) 아래로 교대로 들어와서 블로잉 성형이 이루어지고, 블로잉 성형이 이루어지면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 및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와 몰드(214)가 블로우핀(215) 밖으로 빠지는 방식으로 완제품의 블로우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모터(212)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있는 로테이션 패널(213)의 양쪽 단부가 상하 위치에 있도록 회전한 상태에서는 한쪽 위치의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의 선단부는 위쪽으로 올라가 있고 다른 쪽 위치의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의 선단부는 아래쪽으로 내려가 있는 스틱 해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스틱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가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에서 완전히 벌어진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의 하단부가 머신 바디(210)에 구비된 어퍼 샤프트(211US)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가 머신 바디(2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어퍼 샤프트(211US)를 따라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한 쌍의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가 서로 벌어진 상태에서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의 내측면과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의 내측면 사이로 몰드(214)(블로잉 몰드 플레이트의 정밀 이동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인 경우에는 블로우 몰드(214))가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212)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있는 로테이션 패널(213)의 양쪽 단부가 상하 위치가 아닌 수평 위치(머신 바디(210)의 측면에서 볼 때에 수평 위치)에 있도록 회전한 상태가 되면, 상기 한쪽 위치의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의 선단부와 다른 쪽 위치의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의 선단부가 동일한 높이 위치(모터(212)의 모터축과 동일 선상)로 이동하여 상기 두 개의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와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가 수평 방향으로 정직선 형태로 배치되며, 동시에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 기단부측에 힌지부(H)를 매개로 연결된 상기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220)의 지지 베이스부(222)(머신 바디(210)의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측 위치에 연결)의 커넥션부(226)와는 동일 직선상으로 수평하게 펼쳐지는 스틱 상태로 전환되고, 이러한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와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 및 상기 지지 베이스부(222)의 커넥션부(226)가 동일 직선상으로 펼쳐진 스틱 상태(stick state)가 되면서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를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에 근접되도록 이동시키므로, 두 개의 나란한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에 의해 상기 몰드(214)의 각 몰드 포밍판을 가압하여 홀딩(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한 스틱 상태(즉,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 및 제2스틱 작동링크와 지지 베이스부(222)의 커넥션부(226)가 일직선으로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몰드(214)의 내부에 형성된 캐비티 내부에 투입된 반제품(블로우 성형 제품인 경우 패리슨) 내부에 상기 블로우핀(215)으로 통해 압력 에어를 블로잉함으로써, 완제품을 만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스틱 작동 링크와 제2스틱 작동 링크를 로테이션 패널의 회전에 의해 일직선으로 펼치는 스틱 상태와 제1스틱 작동 링크와 제2스틱 작동 링크를 로테이션 패널의 회전에 의해 접혀지는 상태로 전환하는 스틱 해제 상태를 위한 주요부인 모터가 모터 서포트 프레임에 지지되고, 모터 서포트 프레임은 굵은 바아 형태의 샤프트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스틱 작동 링크와 제2스틱 작동 링크의 스틱 상태 전환과 스틱 해제 상태 전환시에 모터 서포트 프레임과 모터가 위쪽으로 들리는 유동 현상을 방지하므로, 고정밀도를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는 데에 핵심적이 특징이 있다.
상기 제1스틱 작동 링크와 제2스틱 작동 링크가 로테이션 패널을 기준으로 일직선으로 펼혀진 스틱 상태에서 몰드(214)를 몰드 플레이트에 의해 몰드(214)를 지지하여 완제품 성형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상기 모터(212)를 스틱 해제 방향으로 역회전시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의 외측단은 위쪽으로 올라가 있고 다른 쪽 위치의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의 내측단은 아래쪽으로 내려가 있는 스틱 해제 상태로 절환시키는데, 이러한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와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의 스틱 해제를 위한 회동 작동시에는 특히 제2스틱 작동 링크(224B)를 모터(212)의 모터축에 연결한 힌지부(H)가 하향 회동(또는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 내측단이 아래로 내려가고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 외측단이 위로 올라가는 작동을 하는 경우에는 제2사이드 스틱 작동링크(224B)를 모터(212)의 모터축에 연결한 힌지부(H)가 상향 회동)되는 작동을 하는데, 이러한 경우 스틱 상태였던 경우에 비하여 거리가 더 짧아지므로, 상기 모터(212)가 뒤쪽으로 밀려나야 되고, 상기 스틱 해제 상태에서 다시 스틱 상태로 절환하려면 반대로 거리가 더 길어지므로, 상기 모터(212)가 앞쪽으로 전진해야 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터(212)가 상부에 설치된 모터 서포트 프레임(212BS)의 저면은 캐리지(211)에 구비된 상기 어퍼 샤프트에 일정 거리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머신 바디(210)의 전후 방향으로 모터 서포트 프레임(212BS) 및 모터(212)가 이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스틱 상태와 스틱 해제 상태 절환시에 상기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와 모터(212)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거나 짧아짐에 대응하여 모터(212)를 전후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가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에 대해 원활하게 전후진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모터 서포트 프레임이 머신 바디에 구비된 굵은 바아 구조의 어퍼 샤프트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스틱 작동 링크와 제2스틱 작동 링크의 스틱 상태 전환과 스틱 해제 상태 전환시에 모터 서포트 프레임과 모터가 위쪽으로 들리는 유동 현상을 방지하므로, 상기 제1스틱 작동 링크와 제2스틱 작동 링크의 스틱 상태와 스틱 해제 상태에 따라 전후진하는 가동 몰드 플레이트가 위로 들리는 현상,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의 이동을 위한 상기 제1스틱 작동 링크와 제2스틱 작동 링크의 구동부인 모터와 모터 서포트 프레임이 위로 들리는 유동 현상을 방지하므로, 성형 제품의 고정밀도를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틱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모터(212)가 뒤로 약간 밀리더라도 스틱 해제는 안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몰드 플레이트의 정밀 이동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의 작동상 문제는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스틱 상태에서 모터(212)와 이에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를 매개로 연결된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가 1mm 정도만 밀리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와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가 몰드(214)를 지지하도록 하는 상기 스틱 상태에서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가 뒤로 1mm 정도 밀려도 크게 문제될 것이 없으며, 더욱이 상기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220)을 구성하는 핵심 구성인 판스프링(228)이 뒤쪽에서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를 통해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를 견고하게 버텨주고 있으므로,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가 상기 스틱 상태(즉,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함께 몰드(214)의 클로즈를 지지한 상태)가 해제될 일이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작동시 더욱 문제될 것이 없게 된다. 모터의 하부에 모터 베이스를 별도로 설치하고, 모터 베이스는 머신 바디에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에 가이드 레일에 의해 일정 거리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성될 경우, 상기 제1스틱 작동 링크와 제2스틱 작동 링크의 스틱 상태와 스틱 해제 상태 전환시에 가이드 레일 부분에서 상기 모터 베이스와 모터가 위로 들리는 유동 현상이 생기면서 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굵은 바아 구조의 어퍼 샤프트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스틱 작동 링크와 제2스틱 작동 링크의 스틱 상태 전환과 스틱 해제 상태 전환시에 모터 서포트 프레임과 모터가 위쪽으로 들리는 유동 현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가동 몰드 플레이트의 이동 정밀도 향상과 몰드에 의해 성형되는 제품의 높은 정밀도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품 성형시 몰드(214)에 작용하는 반력 압력에 대해 판스프링(228)으로 탄성 지지하는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22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으로 인하여 기존의 유압식이 아니라 전동식으로 제품 몰딩(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점에서도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몰드(214)의 캐비티 내부에 완제품 성형을 위한 재료를 투입하여 완제품이 성형되도록 할 때에는 성형시의 반발 압력이 작용하여 상기 몰드(214)의 각 몰드 포밍판이 클로즈 상태에서 벌어져 버리는 오픈 상태가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각의 몰드(214) 지지용 몰드 플레이트에 지지 베이스부(222)가 구비되고, 지지 베이스부(222)에는 커넥션부(226)가 연결되며, 지지 베이스부(222)와 커넥션부(226) 사이에는 판스프링(228)이 개재되어 있어서, 상기 몰드(214) 내부의 캐비티를 이용하여 완제품 성형시에 작용하는 반발 압력에 의해 몰드(214)가 벌어지려 하려는 힘이 작용하여도 상기 판스프링(228)의 강인한 탄성 지지력에 의해 몰드(214)가 벌어지는 오픈 상태로 변질되는 일이 없게 되므로, 몰드(214)가 벌어지는 현상에 의한 제품 불량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몰드(214)의 벌어짐에 의한 제품 불량 방지 구조는 기존에 비하여 매우 간소화되어 여러 가지 면에서 매우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상기 머신 바디(210)에 구비된 두 개의 몰드 플레이트가 몰드(214)를 잡아서 지지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 베이스부(222)의 바아 구조의 커넥션부(226)와 제2스틱 작동 링크(224B) 및 제1스틱 작동 링크(224A)가 힌지부(H)를 기준으로 정렬된 일직선 형태(스트레이트한 형태)로 펼쳐지는 스틱 상태가 되는데, 상기 몰드(214) 내부의 캐비티를 이용하여 완제품을 성형할 때에 성형 압력 등의 반발력이 작용하여 몰드(214)의 벌어지는 힘과 몰드 플레이트의 벌어지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이동 지지 가이드 유닛(220)의 핵심인 판스프링(228)이 이러한 반발 압력에 견고하게 버티는 강인한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게 되므로, 몰드(214)가 견고하게 클로즈된 상태에서 오픈 상태(벌어지는 상태)가 되는 일이 없게 되며, 이로 인하여 완제품 성형시의 몰드(214) 벌어짐으로 인한 제품 불량은 전혀 생기지 않은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몰드(214)의 캐비티를 이용하여 완제품 성형시 10톤의 압력이 작용할 때에 본 발명에서는 몰드(214)가 벌어지더라도 1mm 정도 밖에는 벌어지지 않게 되므로, 몰드(214)의 벌어짐에 의한 제품 불량 요인은 전혀 없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유압식이 아니라 전동식 몰드 플레이트의 정밀 이동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을 구현함으로써, 다량의 전기 소모가 있는 기존 유압식에 비하여 상당한 전기 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에너지 효율 등의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유압식은 기계에 설치된 유압 모터와 펌프에서 나온 고압의 유압작동유를 유압호스를 통해 각각의 작동지점까지 보낸 후 설치된 유압실린더를 움직여 작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를 위해 유압 모터와 펌프는 가동시간 중 항시 작동되며 유압의 특성상 각 작동부분이 사용되지 않는 시간 중에도 가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은 주요부의 작동을 각각 설치된 서보모터를 통해 이끌어 내는데, 서보모터의 특성상 작동이 필요한 순간에만 전기를 소비하며 모터(212)가 작동되기에 획기적인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제1스틱 작동 링크와 제2스틱 작동 링크가 접혀진 스틱 해제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펼쳐지는 스틱 상태로 전환시에 상기 커넥션부의 내측단 부분만이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지는 작용이 일어나고, 이러한 커넥션부만의 기울어지는 작용이 일어날 때에 상기 커넥션부의 내측단과 가동 몰드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판스프링이 일부 눌려지면서 상기 커넥션부가 기울어지는 작용에 의해 초래될 수 있는 가동 몰드 플레이트의 편중 현상(즉, 가동 몰드 플레이트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가 어퍼 샤프트를 기준으로 고정 몰드 플레이트 방향으로 슬라이드 전진할 때에 가동 몰드 플레이트의 어퍼 샤프트와 결합된 부분이 심한 마찰력에 의해 마모되어 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가 고정 몰드 플레이트로 전진할 때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고정 몰드 플레이트 방향으로 가동 몰드 플레이트의 상단부측이 기울어지는 현상)에 의해 어퍼 샤프트에 결합된 가동 몰드 플레이트의 샤프트 결합홀 부분이 어퍼 샤프트를 따라 마찰되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가동 몰드 플레이트의 샤프트와의 연결 부분이 손쉽게 마모되는 등의 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가동 몰드 플레이트가 어퍼 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어퍼 샤프트와의 결합 부분이 어퍼 샤프트 외주면에 강한 힘으로 마찰되면서 지나가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러한 가동 몰드 플레이트에 심한 마찰력이 가해진 상태로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가동 몰드 플레이트의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스틱 작동 링크와 제2스틱 작동 링크를 다시 접혀지도록 하는 스틱 해제 상태에서 가동 몰드 플레이트가 다시 고정 몰드 플레이트에서 벌어질 때에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210. 머신 바디 211. 캐리지
211LS. 로워 샤프트 211US. 어퍼 샤프트
212. 모터 212FR. 모터 서포트 프레임
213. 로테이션 패널 214. 몰드
216. 고정 몰드 플레이트 217. 가동 몰드 플레이트
220. 리테이닝 유닛 222. 지지 베이스부
224. 리테이닝 링크부 224A.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
224B.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 226. 커넥션부
228. 판스프링

Claims (7)

  1. 내부에 제품 성형을 위한 캐비티를 구비한 몰드(214)가 머신 바디(210)에 장착되어 클로즈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214) 내부의 캐비티에서 제품이 성형되도록 하는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에 있어서,
    상기 머신 바디(210)에 구비된 모터(212)와;
    상기 모터(212)의 모터축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머신 바디(210)에 회동 작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모터(212)를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대칭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리테이닝 링크부(224)와;
    상기 모터(212)의 외측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머신 바디(210)에 지지된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상기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 몰드 플레이트(216)에 대해 근접 가능하도록 상기 머신 바디(210)에 지지되며 그 외측면은 상기 한 쌍의 리테이닝 링크부(224) 중에서 한쪽의 리테이닝 링크부(224)에 연결된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를 이송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터를 아래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머신 바디의 샤프트에 결합된 모터 서포트 프레임(2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212)는 상기 머신 바디(210)에 모터 서포트 프레임(212BS)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모터 서포트 프레임(212BS)은, 상기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와 상기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 사이에서 전후진 가능하도록 상기 머신 바디(210)에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 스틱 작동링크(224A)와 상기 제2사이드 스틱 작동링크(224B) 및 커넥션부(226)가 일직선 상으로 펼쳐진 스틱 상태에서 상기 로테이션 패널(21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가 상기 커넥션부(226)에 대해 상대 회동될 때에 상기 모터 서포트 프레임(212BS)와 상기 모터(212)가 상기 머신 바디(210)에 장착된 상기 샤프트를 기준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214)를 구성하는 한 쌍의 몰드 포밍판 중에서 한쪽의 몰드 포밍판측에 배치된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에 의해 상기 몰드(214)를 가압하여 상기 몰드(214) 내부의 상기 캐비티로 성형 재료가 투입되어 성형될 때에 상기 몰드(214)를 지지하는 탄성력을 가하는 리테이닝 유닛(2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머신 바디(210)에 구비된 상기 모터(212)의 상기 모터축에는 로테이션 패널(213)이 구비되고, 상기 리테이닝 링크부(224)는, 상기 로테이션 패널(213)의 일단부측에 선단부가 힌지부(H)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212)의 한쪽 위치에 배치되며 기단부는 힌지부(H)를 매개로 상기 가동 몰드 플레이트(217)에 연결된 제1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A)와, 상기 로테이션 패널(213)의 타단부측에 선단부가 힌지부(H)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212)의 다른 쪽 위치에 배치되며 기단부는 힌지부(H)를 매개로 상기 리테이닝 유닛(220)에 연결된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유닛(220)은, 상기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머신 바디(210)에 구비된 지지 베이스부(222)와, 상기 지지 베이스부(222)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선단부가 상기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의 기단부에 연결된 커넥션부(226)와, 상기 지지 베이스부(222)와 상기 커넥션부(226)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커넥션부(226)와 상기 제2사이드 스틱 작동 링크(224B)가 일직선 형태로 펼쳐진 스틱 상태에서 상기 몰드(214)의 클로즈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프레싱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베이스부(222)는 내부에 탄성 작용 스페이스(222a)가 구비된 박스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션부(226)는 그 기단부측 외주면이 상기 지지 베이스부(222)의 상기 탄성 작용 스페이스(222a)에 내장되어 상기 지지 베이스부(222)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링크 구조이며, 상기 프레싱 탄성체는 양면을 구비한 판스프링(22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스프링(228)은 양면 중에서 한쪽 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탄성 작용부(228A)를 구비한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 베이스부(222)와 상기 커넥션부(226) 사이의 상기 탄성 작용 스페이스(222a)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228)은 상기 한쪽 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상기 탄성 작용부(228A)끼리 서로 마주하도록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228)에 의한 판스프링 세크먼트를 구성하며, 상기 판스프링 세크먼트가 상기 지지 베이스부(222)와 상기 커넥션부(226) 사이의 탄성 작용 스페이스(222a)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 세크먼트는 상기 탄성 작용 스페이스(222a)에 갯수가 가감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
KR1020140077539A 2014-06-24 2014-06-24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 KR20160000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539A KR20160000314A (ko) 2014-06-24 2014-06-24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539A KR20160000314A (ko) 2014-06-24 2014-06-24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314A true KR20160000314A (ko) 2016-01-04

Family

ID=5516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539A KR20160000314A (ko) 2014-06-24 2014-06-24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3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2365A (zh) * 2018-02-09 2018-06-15 浙江科力塑料机械有限公司 塑料中空成型机摆杆联动式升降机构的双重合模保护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226A (ko) 1998-03-30 1999-10-25 어네스트 클라인, 헬무트 카이저 변환회로 장치용 부하측 필터 장치
KR200311897Y1 (ko) 2003-01-23 2003-05-01 반갑수 펄프 몰딩머신
KR20030096778A (ko) 2002-06-17 2003-12-31 아라정보기술 주식회사 결제기능이 있는 카드를 이용한 학생 관리 및결제시스템과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226A (ko) 1998-03-30 1999-10-25 어네스트 클라인, 헬무트 카이저 변환회로 장치용 부하측 필터 장치
KR20030096778A (ko) 2002-06-17 2003-12-31 아라정보기술 주식회사 결제기능이 있는 카드를 이용한 학생 관리 및결제시스템과 방법
KR200311897Y1 (ko) 2003-01-23 2003-05-01 반갑수 펄프 몰딩머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2365A (zh) * 2018-02-09 2018-06-15 浙江科力塑料机械有限公司 塑料中空成型机摆杆联动式升降机构的双重合模保护装置
CN108162365B (zh) * 2018-02-09 2023-09-19 浙江科力塑料机械有限公司 塑料中空成型机摆杆联动式升降机构的双重合模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3048B2 (en) Molding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lded article
CN107428064B (zh) 双轴拉伸吹塑成型装置
KR20140112617A (ko) 몰드 클로즈 리테이닝 구조 및 몰딩 머신
JPWO2006041148A1 (ja) 中空成形装置および中空成形方法
WO2016068077A1 (ja) 開閉装置および成形装置
CN108472857B (zh) 合模装置及方法
KR101596335B1 (ko) 몰드 플레이트의 정밀 이동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
CN101823317B (zh) 可自动切断浇口的机动塑压模具
CN201040418Y (zh) 塑料挤吹机的合模机构
US8758000B2 (en) Apparatus for moulding plastic micro-pieces by ultrasound
KR20160000314A (ko) 몰드 플레이트 이동시의 유동 방지 보강 기능을 구비한 몰딩머신
KR101587824B1 (ko) 하이드로포밍용 튜브 평가장치 및 방법
CN201712136U (zh) 斜拉卧式注塑机
KR101487870B1 (ko) 몰딩 머신
CN103128959A (zh) 吹瓶机锁模装置
JP5943777B2 (ja) 繊維材料を含む複合成形品の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KR20150069227A (ko) 상하작동형 자동가압겔화 성형기
CN210617264U (zh) 应用于吹塑成型设备的快装型吹塑模座
KR101476312B1 (ko) 몰드 클로즈 리테이닝 구조를 구비한 대형 몰딩 머신
KR20130030612A (ko) 이동식 사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사출 금형 시스템
KR101577390B1 (ko) 몰드 사이즈 호환성 구조를 개선한 몰딩머신
KR101858602B1 (ko) 스티로폼 금형 장치
CN106079269B (zh) 一种注塑模具
JP5158731B1 (ja) 圧縮成形方法
CN220482400U (zh) 一种水晶头生产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