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307U -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 - Google Patents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307U
KR20160000307U KR2020140005389U KR20140005389U KR20160000307U KR 20160000307 U KR20160000307 U KR 20160000307U KR 2020140005389 U KR2020140005389 U KR 2020140005389U KR 20140005389 U KR20140005389 U KR 20140005389U KR 20160000307 U KR20160000307 U KR 201600003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discharge amount
rotary plate
lid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016Y1 (ko
Inventor
김재옥
Original Assignee
배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지은 filed Critical 배지은
Priority to KR2020140005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01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3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3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0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몸체(110)와, 덮개(120)와, 덮개(1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덮개(120)에는 방향제의 향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구(121)가 부채꼴 형태의 배치로 서로 이웃하여서 형성되어 있고, 토출구(121)의 반대방향측에는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23)이 덮개(120)에 반원형의 형태로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에는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개폐구(131)가 형성되어 있어서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계폐구(131)가 토출구(121)와 연통하는 면적에 따라서 상기 덮개(120)에 형성된 복수의 토출구(121)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방향제가 방향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방향제의 토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A CASE FOR CONTAINNING AN AROMATIC}
본 고안은 방향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향제의 토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유동이나 소음 없이 안정적으로 방향제를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된 좁은 공간이나 보통의 거주공간, 사무실, 차량 등의 실내공간에는 공간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키거나 악취를 제거하여 소비자에게 좋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방향제가 사용되는바, 이러한 방향제는 그 용도나 사용공간의 차이에 따라 일정한 곳에 고정시켜 방향물질을 퍼뜨리는 고정형과 사용자가 들고 다니면서 원하는 위치에 방향물질을 뿌리는 스프레이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정형의 방향제는 소정의 방향제 케이스 내부에 고체형이나 겔형 또는 액체형의 방향물질을 넣어 이들 방향물질이 기화되면서 그 향기가 공간으로 퍼져갈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방향물질을 담는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케이스의 외측에 다수개의 홀이 개공되어 이 홀을 통해서 기화된 방향물질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방향제 케이스는 다수의 개구홀을 통해서 방향기체가 방향되도록 하고 있으나 방향량을 조절하는 기술이 없어서 이용자 환경이 좋지 않았다.
또한, 고체형 방향제의 경우에는 케이스 내부에 구비하는 경우 달거락하는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1. 특허문헌1 : 등록실용 제20-0162140호(공고일: 2000년03월02일
2. 특허문헌2 :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1311호(2011년08월11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의 목적은,
첫째, 토출량 조절 회전판을 돌리기만 하는 간단하고도 신속한 동작으로 방향제에서 방향되는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하여 방향제의 사용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방향제 케이스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둘째, 토출량 조절 회전판을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돌리기만 하면 토출량 조절 회전판이 회전되어서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출량 조절 회전판의 개폐동작을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회전판 손잡이의 걸림홈이 스토퍼에 걸려서 고정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방향제를 토출하기 위해서 토출량 조절 회전판를 정지시킨 경우의 정지상태의 토출량 조절 회전판의 유동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하고, 그리하여 토출량 조절 회전판이 딸거락딸거락 하는 소음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제품의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넷째, 방향제의 하부와 측면에서 발산하는 향기를 배출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향제의 배출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방향제를 용이하고도 쉽게 몸체의 내부로 진입시켜서 안치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는, 몸체힌지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방향제가 안치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힌지에 힌지 결합되는 덮개힌지가 형성되어 있어서 몸체를 여닫고, 중앙에는 축이 상기 몸체가 있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축에 축결합하도록 축공이 중앙에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덮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토출량 조절 회전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덮개에는 방향제의 향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구가 부채꼴 형태의 배치로 서로 이웃하여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토출구의 반대방향측에는 토출량 조절 회전판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덮개에 반원형의 형태로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량 조절 회전판에는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개폐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토출량 조절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계폐구가 토출구와 연통하는 면적에 따라서 상기 덮개에 형성된 복수의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방향제가 방향하는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토출량 조절 회전판을 편리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토출량 조절 회전판의 가장자리에는 회전판 손잡이가 덮개를 향하는 방향인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 손잡이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토출량 조절 회전판의 회전이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는, 상기 가이드레일 부근의 덮개에는 복수의 스토퍼가 아치 형태로 등간격으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 손잡이에는 상기 스토퍼에 걸리도록 걸림홈이 요입되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토출량 조절 회전판의 정지 위치를 잡아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는, 방향제가 몸체에 안치될 때 몸체의 바닥면에서 이격되어서 재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는 한 쌍의 하부 스페이서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방향제가 몸체에 안치될 때 유동없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방향제를 홀딩하기 위한 측면 스페이서가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내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방향제가 몸체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측면 스페이스에는 안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인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토출량 조절 회전판을 돌리기만 하는 간단하고도 신속한 동작으로 방향제에서 방향되는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방향제의 사용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방향제 케이스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토출량 조절 회전판을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돌리기만 하면 토출량 조절 회전판이 회전되어서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토출량 조절 회전판의 개폐동작을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회전판 손잡이의 걸림홈이 스토퍼에 걸려서 고정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방향제를 토출하기 위해서 토출량 조절 회전판를 정지시킨 경우의 정지상태의 토출량 조절 회전판의 유동을 잡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토출량 조절 회전판이 달거락달거락 하는 소음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제품의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방향제의 하부와 측면에서 발산하는 향기를 배출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향제의 배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방향제를 용이하고도 쉽게 몸체의 내부로 진입시켜서 안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에 있어서, 덮개(120)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몸체(110)의 내부에 방향제(F)가 들어가서 보관될 수 있다는 것을 보이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에 있어서 덮개(120)와 회전판(1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방향제(F)가 몸체(110)의 내부에 안치된 상태의 사용 상태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방향제(F)가 몸체(110)의 내부에 안치된 상태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의 동작도 및 요부 단면도이다.
다음은 본 고안인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100)는 몸체힌지(h1)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방향제(F)가 안치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몸체(110)와, 몸체힌지(h1)에 힌지 결합되는 덮개힌지(h2)가 형성되어 있어서 몸체(110)를 여닫고, 중앙에는 축(122)이 상기 몸체(110)가 있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덮개(120)와, 덮개(120)의 축(12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축(122)에 축결합하도록 축공(132)이 중앙에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덮개(1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100)에 있어서, 상기 덮개(120)에는 방향제의 향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구(121)(예컨대 3 개)가 부채꼴 형태의 배치로 서로 이웃하여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토출구(121)의 반대방향측에는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23)이 덮개(120)에 반원형의 형태로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에는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개폐구(131)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계폐구(131)가 토출구(121)와 연통하는 면적에 따라서 상기 덮개(120)에 형성된 복수의 토출구(121)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방향제가 방향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을 돌리기만 하는 간단한 구성과 동작으로 방향제에서 방향되는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고 그 결과 방향제의 사용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리하여 방향제 케이스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100)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을 편리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의 가장자리에는 회전판 손잡이(133)가 덮개(120)를 향하는 방향인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 손잡이(133)가 상기 가이드레일(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의 회전이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을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돌리기만 하면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이 회전되어서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의 개폐동작을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10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23) 부근의 덮개(120)에는 복수의 스토퍼(124a,124b,124c,124d)가 아치 형태로 등간격으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 손잡이(133)에는 상기 스토퍼(124a,124b,124c,124d)에 걸리도록 걸림홈(133a)이 요입되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의 정지 위치를 잡아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회전판 손잡이(133)가 스토퍼(124a,124b,124c,124d)가 걸려서 고정되므로 방향제를 토출하기 위해서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를 정지시킨 경우의 정지상태의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의 유동을 잡아주고, 그리하여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이 딸거락딸거락 하는 소리가 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제품의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100)에 있어서, 방향제(F)가 몸체(110)에 안치될 때 몸체(110)의 바닥면(110b)에서 이격되어서 재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몸체(110)의 바닥면에는 한 쌍의 하부 스페이서(141)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제(F)의 하부에서 발산하는 향기를 배출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어서 방향제의 배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100)에 있어서, 방향제(F)가 몸체(110)에 안치될 때 유동없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방향제(F)를 홀딩하기 위한 측면 스페이서(142)가 상기 몸체(110)의 내주면(110a)에 내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제(F)의 하부와 측면에서 발산하는 향기를 배출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어서 방향제의 배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100)에 있어서, 방향제(F)가 몸체(1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측면 스페이스(142)에는 안내면(142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방향제(F)를 용이하고도 쉽게 몸체(110)의 내부로 진입시켜서 안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저면(110c)에는 양면테이프(16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방향제 케이스를 욕실이나, 거실, 사무실, 차량 등에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100)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덮개(120)를 열어서 몸체(110)의 내부에 방향제(F)를 넣어서 안치시키고, 이후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를 회전시켜서 토출구(121)의 개방숫자를 조절한 후에 다시 덮개(120)를 닫으면 된다.
도 1, 2, 4에서는 회전판 손잡이(133)가 오른쪽 스토퍼(124a))에 위치하여서 3 개의 토출구(121)가 모두 열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방향제의 토출량이 가장 많을 것이다.
그리고, 도 8에는 3 개의 토출구(121) 중에서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를 회전시켜서 한 개의 토출구(121)를 닫음으로써 두 개의 토출구(121)가 열려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방향제의 토출량이 조금 줄어들 것이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동작 상태의 경우에는 회전판 손잡이(133)가 5시 방향에 형성된 스토퍼(124b)에 위치하여서 걸림홈(133a)이 스토퍼(124b)에 걸린 상태의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걸림홈(133a)이 스토퍼(124a,124b,124c,124d)에 걸리면서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회전판 손잡이(133)가 세 번째 스토퍼(124c)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토출구(121)가 하나만 열리게 되어서 방향제의 토출량이 더 적을 것이고, 회전판 손잡이(133)가 네 번째 스토퍼(124d)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토출구(121)가 모두 막혀서 방향제는 토출되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향제 케이스
h1 : 몸체힌지 F : 방향제
110 : 몸체 110a : 몸체의 내주면
110b : 몸체의 바닥면 110c : 몸체의 저면
120 : 덮개 h2 : 덮개힌지
121 : 토출구 122 : 덮개의 축
123 : 가이드레일 124a,124b,124c,124d : 스토퍼
130 : 토출량 조절 회전판 131 : 개폐구
132 : 축공 133 : 회전판 손잡이
133a : 걸림홈 141 : 하부 스페이서
142 : 측면 스페이서 142a : 안내면
160 : 양면테이프

Claims (3)

  1. 몸체힌지(h1)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방향제(F)가 안치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힌지(h1)에 힌지 결합되는 덮개힌지(h2)가 형성되어 있어서 몸체(110)를 여닫고, 중앙에는 축(122)이 상기 몸체(110)가 있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덮개(120)와,
    상기 덮개(120)의 축(12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축(122)에 축결합하도록 축공(132)이 중앙에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덮개(1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덮개(120)에는 방향제의 향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구(121)가 부채꼴 형태의 배치로 서로 이웃하여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토출구(121)의 반대방향측에는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23)이 덮개(120)에 반원형의 형태로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에는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개폐구(131)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계폐구(131)가 토출구(121)와 연통하는 면적에 따라서 상기 덮개(120)에 형성된 복수의 토출구(121)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방향제가 방향하는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을 편리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의 가장자리에는 회전판 손잡이(133)가 덮개(120)를 향하는 방향인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 손잡이(133)가 상기 가이드레일(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의 회전이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23) 부근의 덮개(120)에는 복수의 스토퍼(124a,124b,124c,124d)가 아치 형태로 등간격으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 손잡이(133)에는 상기 스토퍼(124a,124b,124c,124d)에 걸리도록 걸림홈(133a)이 요입되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토출량 조절 회전판(130)의 정지 위치를 잡아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방향제(F)가 몸체(110)에 안치될 때 몸체(110)의 바닥면(110b)에서 이격되어서 재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몸체(110)의 바닥면에는 한 쌍의 하부 스페이서(141)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방향제(F)가 몸체(110)에 안치될 때 유동없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방향제(F)를 홀딩하기 위한 측면 스페이서(142)가 상기 몸체(110)의 내주면(110a)에 내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방향제(F)가 몸체(1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측면 스페이스(142)에는 안내면(142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
KR2020140005389U 2014-07-18 2014-07-18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 KR200481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89U KR200481016Y1 (ko) 2014-07-18 2014-07-18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89U KR200481016Y1 (ko) 2014-07-18 2014-07-18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307U true KR20160000307U (ko) 2016-01-27
KR200481016Y1 KR200481016Y1 (ko) 2016-08-03

Family

ID=55310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389U KR200481016Y1 (ko) 2014-07-18 2014-07-18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0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231A (ko) 2020-07-28 2022-02-04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디퓨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721B1 (ko) * 2017-12-22 2020-06-29 이상무 향기 방출용 디퓨저
KR102327313B1 (ko) * 2020-05-29 2021-11-16 고은 방향제를 갖는 차량용 거치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840Y1 (ko) * 1993-04-24 1995-04-15 노용섭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KR200162140Y1 (ko) 1997-08-01 2000-03-02 성재갑 휴대용 방향제 케이스
KR200190868Y1 (ko) * 2000-01-26 2000-08-01 정재은 방향제 용기
KR200283502Y1 (ko) * 2002-04-15 2002-07-26 양성학 사탕용기
KR20110091311A (ko) 2010-02-05 2011-08-11 권문석 방향제 수납 케이스
KR20130071429A (ko) * 2010-05-10 2013-06-28 에스.씨. 존슨 앤 선 인코포레이티드 휘발성 물질 분배기 및 그것의 하우징 및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840Y1 (ko) * 1993-04-24 1995-04-15 노용섭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KR200162140Y1 (ko) 1997-08-01 2000-03-02 성재갑 휴대용 방향제 케이스
KR200190868Y1 (ko) * 2000-01-26 2000-08-01 정재은 방향제 용기
KR200283502Y1 (ko) * 2002-04-15 2002-07-26 양성학 사탕용기
KR20110091311A (ko) 2010-02-05 2011-08-11 권문석 방향제 수납 케이스
KR20130071429A (ko) * 2010-05-10 2013-06-28 에스.씨. 존슨 앤 선 인코포레이티드 휘발성 물질 분배기 및 그것의 하우징 및 카트리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231A (ko) 2020-07-28 2022-02-04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디퓨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016Y1 (ko)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016Y1 (ko)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
JP6064293B2 (ja) 可動式拡散器を有する揮発性物質分配システム
JP5612759B2 (ja) 揮発性物質ディスペンサ、ならびにそのハウジングおよびカートリッジ
KR101209874B1 (ko) 회전형 화장품 케이스
NO20056243L (no) Gjenlukkbart beholderlokk
US20100307530A1 (en) Sifter device for container
RU2017111251A (ru) Контейнер-непросыпайка для снеков с дозатором
US10694830B2 (en) Case for a cosmetic product
US20170258032A1 (en) Litter container
KR20090000299A (ko) 화장품 케이스의 파우더 배출장치
KR101991776B1 (ko)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소스 용기
JP2004222853A (ja) 化粧料容器
JP6594314B2 (ja) 保存容器
JP7101192B2 (ja) さまざまな閉鎖要素のためのモジュール式閉鎖装置
KR20070021626A (ko) 화장품 케이스
KR200399930Y1 (ko) 페이스 파우더 용기
US20080217355A1 (en) Small item dispenser
ES2718081T3 (es) Cerradura para postes delanteros de marcos en paredes para puertas deslizantes retráctiles
KR101478294B1 (ko) 화장품 용기
JP4710273B2 (ja) 送風ファンの吹出し部に設置する芳香装置
US20220017274A1 (en) Musical lid assembly
US2120849A (en) Vanity case
RU2016137775A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в центральную консоль закрывающая деталь для отверстия защелки
KR200162140Y1 (ko) 휴대용 방향제 케이스
KR102622886B1 (ko)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