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502Y1 - 사탕용기 - Google Patents

사탕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502Y1
KR200283502Y1 KR2020020011362U KR20020011362U KR200283502Y1 KR 200283502 Y1 KR200283502 Y1 KR 200283502Y1 KR 2020020011362 U KR2020020011362 U KR 2020020011362U KR 20020011362 U KR20020011362 U KR 20020011362U KR 200283502 Y1 KR200283502 Y1 KR 200283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andy
opening
rotating bod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학
Original Assignee
양성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학 filed Critical 양성학
Priority to KR2020020011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5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502Y1/ko

Links

Landscapes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탕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앞커버와 뒷커버로 이루어진 사탕용기에 있어서, 상기 앞,뒤커버상에 관통부를 가지는 내부벽체가 형성되고 외부벽체 상에는 개구부와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내부벽체와 외부벽체의 사이에는 손잡이와 선단면부를 가지는 작동회전체와 개폐편이 설치되어서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작동회전체가 회전되면서 내부벽체의 안쪽에서 관통부를 통하여 흘러 내려온 사탕이나 과자 등의 내용물이 작동회전체의 선단면부에 밀려 올라 오도록 하므로서 상기 사탕이나 과자등 내용물의 위생적인 섭취가 가능하며, 단순한 군것질만이 아닌 호기심과 지능개발등 여러 가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사탕용기{CANDY CASE}
본 고안은 사탕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탕용기의 안쪽에 사탕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관통부를 가지는 내부벽체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벽체와 외부벽체의 사이에 손잡이와 선단면부를 가지는 회전작동체가 설치되어서 상기 손잡이를 이용한 작동회전체의 회전조작으로 사탕용기내의 사탕이 한 개 또는 소량씩 인출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사탕이나 과자등 작은 군것질거리를 담는 사탕용기는 통상 비닐봉투로 이루어지거나 단순히 용기의 몸체 위에서 입구의 개폐를 위한 뚜껑이 덮혀지는 구성을 이루고 있어서 어린이등 소비자가 뚜껑을 열고 사탕이나 과자 등의 내용물을 직접 손으로 집어먹도록 되어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사탕용기는 어린이의 경우 청결하지 못한 손으로 내용물을 집어 먹게 되므로 비위생적이며, 무엇보다도 용기내부에 들어있는 내용물을 먹는 것에만 집중을 하게 되므로 필요이상의 양을 먹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앞커버와 뒷커버로 이루어진 사탕용기에 있어서, 상기 앞,뒤커버상에 관통부를 가지는 내부벽체가 형성되고 외부벽체 상에는 개구부와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내부벽체와 외부벽체의 사이에는 손잡이와 선단면부를 가지는 작동회전체와 개폐편이 설치되어서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작동회전체가 회전되면서 내부벽체의 안쪽에서 관통부를 통하여 흘러 내려온 사탕이나 과자 등의 내용물이 작동회전체의 선단면부에 밀려 올라 오도록 하므로서 상기 사탕이나 과자등 내용물의 위생적인 섭취가 가능하며, 단순한 군것질만이 아닌 호기심과 지능개발등 여러 가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분해 사시도,
도3은 한쪽 커버가 열린상태의 작동설명도로서 개구부가 닫힌 상태도,
도4는 한쪽 커버가 열린상태의 작동설명도로서 개구부가 열린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앞커버 2- 뒷커버
3- 사탕용기 4- 관통부
5- 힌지홈 6- 내부벽체
7- 개구부 8- 가이드 홈
9- 외부벽체 10- 손잡이
11- 선단면부 12- 작동회전체
13- 힌지돌기 14- 개폐편
15,15'- 걸림홈 16,16'- 걸림돌기
17- 결합용보스 18- 사탕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커버(1)와 뒷커버(2)로 이루어진 사탕용기(3)에 있어서, 상기 앞커버(1)와 뒷커버(2)상에는 관통부(4)와 힌지홈(5)을 가지는 내부벽체(6)와, 개구부(7)와 가이드홈(8)을 가지는 외부벽체(9)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내부벽체(6)와 외부벽체(9)의 사이에는 손잡이(10)와 선단면부(11)를 가지는 작동회전체(12)와, 힌지돌기(13)를 가지는 개폐편(14)이 설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5,15'는 걸림홈, 16,16'는 걸림돌기, 17은 결합용 보스, 18은 사탕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된 도1내지 도4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구성도로서, 용기의 몸체역할을 하는 앞커버(1)와 뚜껑의 역할을 하게되는 뒷커버(2)로 이루어진 사탕용기(3)에 있어서, 상기 앞커버(1)와 뒷커버(2)상에는 하부로 관통부(4)를 가지며 일측으로는 힌지홈(5)을 가지는 원형의 내부벽체(6)가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내부벽체(6)의 외측으로는 일정간격을 두고 외부벽체(9)가 형성되되, 상기 외부벽체(9)상에는 개구부(7)와 슬라이드홈(8)이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개구부(7)의 앞쪽과 가이드홈(8)의 뒤쪽 부분으로는걸림돌기(16,16')가 각각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앞커버(1)와 뒷커버(2)의 사이에는 작동회전체(12)와 개폐편(14)이 각각 설치되되, 상기 작동회전체(12)는 "C"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일단의 외측으로는 앞,뒷커버(1,2)의 걸림돌기(16,16')와 맞물릴 수 있도록 걸림요홈(15,15')을 가지는 손잡이(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선단면부(11)가 형성되어서 내부벽체(6)와 외부벽체(9)사이의 공간부에 놓이게 된다. 또한. 개폐편(14)은 일측 양단으로 힌지돌기(13)가 형성되어서 상기 앞커버(1)와 뒷커버(2)가 가지는 내부벽체(6)의 힌지홈(5)에 설치되므로서 힌지돌기(13)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으로 인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뒷커버(2)의 내부벽체(6)안쪽에는 사탕(18)이나 과자등의 내용물이 담겨지고 내부벽체(6)와 외부벽체(9)의 사이에는 작동회전체(12)와 개폐편(14)이 각각 설치되되, 상기 작동회전체(12)는 손잡이(10)가 가이드홈(8)부분에서 외부벽체(9)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놓여지고, 상기 내부벽체(6)의 힌지홈(5)상에는 개폐편(14)일측의 힌지돌기(13)가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뒷커버(2)상에 작동회전체(12)와 개폐편(14)을 올려놓고 상부로부터 앞커버(1)를 덮어주면 상기 앞커버(1)와 뒷커버(2)는 결합용보스(17)에 의하여 결합이 되므로서 하나의 사탕용기(3)가 이루어지게 되는바, 작동회전체(12)의 손잡이(10)가 개구부(7)를 덮고 있는 닫힌 상태에서는 손잡이(10)의 앞쪽에 있는 걸림홈(15)이 앞,뒤커버(1,2)의 걸림돌기(16)에 걸려서 작동회전체(12)의 회전이 임시 고정되어져 있는 상태로서 개폐판(14)이 내부측벽(6)과 외부측벽(9)사이의 공간부를 막아주고 상기 작동회전체(12)의 선단면부(11)는 내부벽체(6)가 가지는 관통부(4)의 뒤쪽에 위치하므로서 내부벽체(6)의 안쪽에 담겨져 있는 사탕(18)이 적어도 한 개 이상 관통부(4)를 통하여 내부벽체(6)와 외부벽체(9)의 사이로 내려와서 작동회전체(12)의 선단면부(11)앞에 놓여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10)를 이용하며 작동회전체(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밀어주면 손잡이(10)의 앞쪽에 있는 걸림홈(15)이 앞,뒤커버(1,2)의 걸림돌기(16)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작동회전체(12)가 내부벽체(6)을 회전축으로하여 가이드홈(8)을 따라 회전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회전체(12)의 선단면부(11)앞에 있던 사탕(18)은 작동회전체(12)의 회전에 따라 내부벽체(6)라 외부벽체(9)의 사이에서 상기 작동회전체(12)의 선단면부(11)에 의해 개폐편(14)이 있는 방향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는 동시에 내부벽체(6)의 안쪽으로부터 사탕(18)이 흘러내려 올 수 있는 관통부(4)는 작동회전체(12)에 의하여 막혀지게 된다. 결국 사탕(18)은 개폐편(14)이 힌지돌기(13)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열리게 될 때까지 밀고 올라오게 되며, 작동회전체(12)의 손잡이(10)가 회전되어 앞,뒤커버(1,2)의 가이드홈(8) 끝에 위치하면서 상기 손잡이(10)의 뒤쪽 걸림홈(15')이 앞,뒤커버(1,2)의 뒤쪽 걸림홈(16')에 걸려지면 상기 작동회전체(12)의 회전이 멈추어 지고 사탕(18)은 작동회전체 (12)의 선단면부(11)에 얹혀진 상태로 개구부(7)을 향해 최대한 밀려 올라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구부(7)안쪽에서 상기 작동회전체(12)의 선단면부(11)에 얹혀져 밀려 올라온 사탕(18)을 손으로 받아 내거나 입안에 털어 넣어 먹으면 되는 것이다.
한편, 작동회전체(12)의 회전으로 선단면부(11)에 밀려 올라온 사탕(18)을 섭취한 후 다시 작동회전체(12)가 원래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손잡이(10)를 반시계방향으로 밀어주면 손잡이(10)의 걸림홈(15')이 앞,뒤커버(1,2)의 걸림돌기(16')로부터 이탈되게 되고 작동회전체(12)는 다시 내부벽체(6)을 회전축으로 회전되므로서 개폐편(14)이 닫혀지고 작동회전체(12)의 선단면부(11)는 내부벽체(6)의 관통부(4) 뒤쪽에 위치되므로서 상기 내부벽체(6)의 안쪽에 담겨져 있는 사탕(18)중 한개 이상이 관통부(4)를 통해 흘러 내려와 있는 대기 상태가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손잡이를 이용한 작동회전체의 조작에 따라 사탕용기내의 사탕을 한 개 또는 소량씩 재미있게 인출해 먹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위생적인 섭취가 가능하며, 호기심의 유발로 어린이의 두뇌발달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제품의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을 주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앞커버(1)와 뒷커버(2)로 이루어진 사탕용기(3)에 있어서, 상기 앞커버(1)와 뒷커버(2)상에는 관통부(4)와 힌지홈(5)을 가지는 내부벽체(6)와, 개구부(7)와 가이드홈(8)을 가지는 외부벽체(9)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내부벽체(6)와 외부벽체(9)의 사이에는 손잡이(10)와 선단면부(11)를 가지는 작동회전체(12)와, 힌지돌기(13)를 가지는 개폐편(14)이 설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탕용기.
KR2020020011362U 2002-04-15 2002-04-15 사탕용기 KR200283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362U KR200283502Y1 (ko) 2002-04-15 2002-04-15 사탕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362U KR200283502Y1 (ko) 2002-04-15 2002-04-15 사탕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502Y1 true KR200283502Y1 (ko) 2002-07-26

Family

ID=7307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362U KR200283502Y1 (ko) 2002-04-15 2002-04-15 사탕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5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758Y1 (ko) 2010-04-01 2012-03-07 류길환 상품 포장용 상자
KR20160000307U (ko) * 2014-07-18 2016-01-27 배지은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758Y1 (ko) 2010-04-01 2012-03-07 류길환 상품 포장용 상자
KR20160000307U (ko) * 2014-07-18 2016-01-27 배지은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
KR200481016Y1 (ko) * 2014-07-18 2016-08-03 배지은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2061A (en) Food grater
US20110163118A1 (en) Metered Dispenser
KR200283502Y1 (ko) 사탕용기
US9126742B2 (en) Novelty dispenser
US6230434B1 (en) Animal trap having anti-backspin feature
US5518134A (en) Pin lock lidded cup
US7036274B2 (en) Casement window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JP2001233370A (ja) 2ピース振出容器用キャップ
US6530505B1 (en) Dispensing container with rotatable lid
CN210192259U (zh) 一种儿童锁盒子
KR200289997Y1 (ko) 과자용기
JP6596524B2 (ja) ゴミ箱開閉装置
JP4283382B2 (ja) 菓子ディスペンサー
KR200449212Y1 (ko) 경구용 내용물 용기구조
CA2460464C (en) Casement window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JP3522224B2 (ja) 振り出し容器
KR800001594Y1 (ko) 상자의 개폐장치
KR200359435Y1 (ko) 고형체 배출장치
JPH11208703A (ja) 錠剤容器
JPH0454127Y2 (ko)
KR100768515B1 (ko) 양방향 개폐수단을 갖는 아이스크림용기
KR20220159823A (ko) 미끄럼 방지 욕실타일
TWM540822U (zh) 旋轉取物容置裝置
GB2295609A (en) Child proof powder dispensing closure
JPS60113382A (ja) テ−プカ−トリツ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