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886B1 -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 - Google Patents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886B1
KR102622886B1 KR1020210159785A KR20210159785A KR102622886B1 KR 102622886 B1 KR102622886 B1 KR 102622886B1 KR 1020210159785 A KR1020210159785 A KR 1020210159785A KR 20210159785 A KR20210159785 A KR 20210159785A KR 102622886 B1 KR102622886 B1 KR 102622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main body
wall
wall por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3009A (ko
Inventor
김성기
김병직
황은지
황지수
김경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9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886B1/ko
Publication of KR20230073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122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 A45D4/08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for flat curling, e.g. with means for decreasing the heat
    • A45D4/10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for flat curling, e.g. with means for decreasing the heat heated by steam or hot 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이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관리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상에 위치되고, 제1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토출방향과 상이한 제2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 중 어느 하나에서 택일적으로 공기가 토출된다.

Description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HAIR CARE APPLIANCE AND ATTACHMENT FOR THE SAME}
본 발명은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에 관한 것으로서,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스타일링할 수 있는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관리장치는 사용자의 모발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가 모발 건강을 증진시키거나,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모발을 스타일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모발관리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쥐어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고, 모발의 건조 또는 스타일링을 위해 공기가 토출되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발관리장치의 부착물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모발관리장치의 부착물은 모발관리장치를 이루는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며 모발관리장치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모발관리장치는 모발의 굴곡진 형태, 예컨대 웨이브 형상 등을 스타일링할 수 있도록 본체부의 외주면에서 공기를 제공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발을 상기 본체부에 감아 모발관리장치를 작동시키면서 모발의 구부러진 형상을 원하는 만큼 형성할 수 있다.
참고문헌 KR 10-2018-0121607 A1에는 본체부의 외주면에서 공기가 토출되며 사용자의 모발을 본체부에 감아 사용할 수 있는 모발관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의 모발관리장치는 설계적으로 공기의 토출방향이 결정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본체부를 회전시키며 모발을 감아 원하는 형태의 모발 스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참고문헌의 모발관리장치는 본체부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이 설계적으로 특정되어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변경할 수 없고, 따라서 사용자는 모발의 스타일링을 위해 모발관리장치를 특정 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스타일링하기 위한 모발건조장치에서 제공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의 토출방향이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하고 효과적인 구조를 가지며 공기의 토출방향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간단하고 편리하게 공기의 토출방향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의 양방향 유동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모발관리장치에 해당한다. 또한, 모발관리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부착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관리장치의 본체부, 즉 모발관리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부착물은 공기의 회전 유동을 발생시키는 유동가이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움직이며 공기 유동 방향을 선택적으로 바꿀 수 있다.
유동 가이드를 양쪽 방향을 밀어주는 내부 구조물을 갖고 있으며, 유동 가이드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양방향 유동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모발 스타일링 장치용 부착물로서, 모발 스타일링 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체부의 내부 구조물을 일방향으로 돌리면 내부 구조물의 돌기가 유동 가이드의 일방향 가장자리를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유동 가이드에서 공기의 일방향 유동을 발생시킨다.
반대로, 내부 구조물을 타방향으로 돌리면 내부 구조물의 돌기가 유동 가이드의 타방향 가장 자리를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타방향 유동을 발생시킨다. 한편, 스토퍼는 유동 가이드를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여 인접한 유동 가이드 사이에 적절한 틈새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관리장치는 손잡이부, 본체부, 제1토출부 및 제2토출부를 포함한다. 손잡이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고, 본체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며, 제1토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상에 위치되고, 제1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고, 제2토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토출방향과 상이한 제2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 중 어느 하나에서 택일적으로 공기가 토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나머지는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고, 타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 중 나머지 하나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회전부 및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돌출부는 상기 회전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서 일측에 상기 제1토출부가 배치되며, 타측에 상기 제2토출부가 배치되는 외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벽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외벽부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함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벽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조절부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의 개폐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외벽부는 상기 일측이 상기 타측보다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제1토출부가 개방되고, 상기 타측이 상기 일측보다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제2토출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외벽부는 상기 일측이 상기 본체부의 외측을 향해 이동되고 상기 타측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을 향해 이동되도록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토출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2토출부는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외벽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외벽부는 상기 조절부에 의해 서로 동일한 회전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벽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외벽부는 제1외벽부 및 상기 제1외벽부와 이웃하는 제2외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외벽부의 제1토출부는 상기 제2외벽부의 제2토출부를 마주보고, 상기 제1외벽부의 제1토출부가 개방되면 상기 제2외벽부의 제2토출부는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1외벽부의 제1토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는 상기 제1외벽부의 제1토출부가 개방되면 상기 제1외벽부의 일측과 상기 제2외벽부 사이의 개방면에 위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외벽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조절부의 상기 일방향 회전 시 상기 외벽부의 상기 일측을 밀어내어 상기 제1토출부를 개방시키고, 상기 조절부의 상기 타방향 회전 시 상기 외벽부의 상기 타측을 밀어내어 상기 제2토출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고정부, 회전부 및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회전결합부는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회전결합부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외벽부는 제1외벽부 및 상기 제1외벽부와 이웃하는 제2외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외벽부의 제1토출부는 상기 제2외벽부의 제2토출부를 마주보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조절부의 상기 일방향 회전 시 상기 제1외벽부의 일측을 밀어내고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2외벽부에 접촉되어 회전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외벽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서로 일체로 성형되어 함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부는 상기 외벽부의 일측을 관통하여 공기가 토출되는 제1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토출부는 상기 외벽부의 타측을 관통하여 공기가 토출되는 제2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외벽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외벽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제1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외벽부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제2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외벽부는 중앙이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보다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벽부의 상기 일측을 향하는 제1측면이 상기 외벽부의 상기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제1개구를 차폐하고, 상기 외벽부의 상기 타측을 향하는 제2측면이 상기 외벽부의 상기 타측에 접촉되어 상기 제2개구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는 각각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홀이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토출부 또는 상기 제2토출부로 전달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전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팬유닛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1토출부 또는 상기 제2토출부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관리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상에 위치되고, 제1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토출방향과 상이한 제2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관리장치의 부착물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고, 외주면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상에 위치되고, 제1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토출방향과 상이한 제2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 중 어느 하나에서 택일적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의 토출방향이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하고 효과적인 구조를 가지며 공기의 토출방향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간단하고 편리하게 공기의 토출방향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관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관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에 포함되는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에 결합되는 회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의 제1토출부 및 제2토출부가 모두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의 외벽부가 회전되어 제1토출부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의 외벽부가 회전되어 제2토출부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외벽부가 일체로 성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는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본체부에서 제1토출부 및 제2토출부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본체부에서 조절부에 의해 제1토출부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0의 본체부에서 조절부에 의해 제2토출부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관리장치(1)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관리장치(1)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관리장치(1)는 손잡이부(10)와 본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에 의해 쥐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0)를 손으로 잡은 이후 모발관리장치(1)를 작동시켜 모발의 스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부(10)는 기체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체유입부를 통해 손잡이부(10)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는 손잡이부(10) 내부에 배치되는 팬유닛(20)에 의해 유동되어 본체부(100)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팬유닛(20)이 손잡이부(10)에 배치되어 모발관리장치(1) 전체의 무게중심이 손잡이부(10)에 가까워질 수 있고, 따라서 손으로 손잡이부(10)를 쥐고 모발관리장치(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목 부담 등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팬유닛(20) 및 기체유입부가 반드시 손잡이부(10)에 마련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팬유닛(20) 및 기체유입부는 본체부(100)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다만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팬유닛(20) 및 기체유입부가 손잡이부(10)에 마련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손잡이부(10)의 내부에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가열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열부(40)는 손잡이부(1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관리장치(1)는 사용자가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원하는 컬링 형태를 가지도록 스타일링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고, 모발의 건조 또는 스타일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가열부(40)가 공기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는 팬유닛(20)을 경유하여 본체부(100)를 향하는 공기의 유로상에 가열부(40)가 위치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가열부(40)는 전기에너지를 소비하여 열이 발생되는 히터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손잡이부(10)에 마련되어 팬유닛(20) 및 가열부(40)와 전기적/신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부(10)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조작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부(30)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전달되는 입력신호 등에 기초하여 팬유닛(20) 및 가열부(40)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특성의 공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손잡이부(10)와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부(10)와 연결되는 본체부(100)는 손잡이부(10)로부터 제공되는 공기가 내부를 따라 유동되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사용자의 모발에 제공되기 위한 공기가 토출되는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손잡이부(10)를 통해 본체부(100)로 제공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화살표로 표현되어 있다.
본체부(100)는 손잡이부(10)와 일체로 제조될 수 있고, 손잡이부(10)와 분리 가능하도록 별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손잡이부(10)와 분리 가능하도록 제조된 본체부(100)는 모발관리장치(1)의 부착물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발관리장치(1)의 부착물은 상기 본체부(100)를 포함할 수 있고, 손잡이부(10)를 포함하는 모발관리장치(1)에 결합되어 손잡이부(10) 및 본체부(100)를 포함하는 모발관리장치(1)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발관리장치(1)는 본체부(100)를 포함하는 부착물이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본체부(100)를 모발관리장치(1)의 손잡이부(10) 등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관리장치(1)는 손잡이부(10)를 포함하고, 손잡이부(10)에는 본체부(100)를 포함하는 부착물이 결합 가능하도록 본체결합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0)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본체결합부(15)에 부착물에 포함되는 본체부(10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0)는 외주면(105)을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외주면(105)을 통해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사용자의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스타일링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본체부(100)의 외주면(105)에 모발을 감아 모발에 컬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체부(100)의 외주면(105)에 감기는 모발에 공기를 제공하기 용이하도록, 외주면(105)상에 공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외주면(105)상에 상기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가 마련될 수 있고, 제1토출부(250)와 제2토출부(270)는 서로 다른 공기 토출방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 중 어느 하나로부터 택일적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즉, 본체부(100)는 비작동상태 또는 작동상태에서 일시적이거나 비정상적으로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가 모두 폐쇄되거나 개방될 수도 있으나, 설계적으로 의도된 정상적인 작동상태에서 본체부(100)는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 중 어느 하나에서 공기가 토출되고 나머지 하나는 공기가 토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본체부(100)의 외주면(105)에 모발을 감아 원하는 형태의 모발 컬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외주면(105)에서 제공되는 공기는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모발이 본체부(100)에 자연스럽게 감기도록 모발의 감김을 유도할 수도 있다.
다만, 모발관리장치(1)의 사용 과정에서 모발관리장치(1)를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위치나 모발이 감기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즉, 본체부(100)로부터 제공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이 어느 하나로 특정되는 경우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100)는 공기 토출방향이 서로 다른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는 공기 토출방향이 서로 상이하며, 본체부(100)는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공기 토출방향을 조절하여 모발의 스타일링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관리장치(1)는 손잡이부(10), 본체부(100),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고, 본체부(100)는 상기 손잡이부(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토출부(25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면(105)상에 위치되고, 제1토출방향(D1)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2토출부(27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면(105)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토출방향(D1)과 상이한 제2토출방향(D2)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제1토출부(250) 및 상기 제2토출부(270) 중 어느 하나에서 택일적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관리장치(1)의 부착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관리장치(1)의 부착물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고, 외주면(105)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본체부(1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부(100)에는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0)에서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 중 공기가 토출되는 어느 하나가 택일적으로 선택되는 방법을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는 각각 밸브와 같이 공기의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의 공기 유동을 동시에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3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의 개폐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부(300)가 본체부(100)의 내부에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조절부(3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되어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커버부(340)와 돌림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절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토출부(250) 및 상기 제2토출부(270)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절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300)는 상기 제1토출부(250) 및 상기 제2토출부(270)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나머지는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절부(300)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어느 하나만으로 공기가 토출되고 나머지는 폐쇄됨으로써, 공기의 토출방향이 결정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모발을 스타일링할 수 있다.
조절부(300)가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의 개폐를 조절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조절부(300)는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 각각에 마련되어 개별적으로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의 개폐를 동시에 조절하는 단일 개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부(320)를 포함하는 조절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절부(3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L)과 나란한 회전축을 가지며, 일방향(R1)으로 회전 시 상기 제1토출부(250) 및 상기 제2토출부(270)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고, 타방향(R2)으로 회전 시 상기 제1토출부(250) 및 상기 제2토출부(270) 중 나머지 하나를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절부(300)의 회전에 따른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의 개폐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조절부(3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일방향(R1) 회전, 예컨대 시계방향 회전 시 제1토출부(250)와 제2토출부(270) 중 어느 하나의 개구를 차폐하고 타방향(R2) 회전, 예컨대 반시계방향 회전 시 제1토출부(250)와 제2토출부(270) 중 나머지 하나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조절부(300)의 회전에 따라 본체부(100)의 타 구성이 변형되거나 이동되면서 조절부(3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 중 어느 하나가 폐쇄상태로 조절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조절부(300)가 본체부(100)에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조절부(30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 중 공기 토출이 요구되는 어느 하나를 편리하게 선택하고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300)의 고정부(310)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고정부(3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부(32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손잡이부(10)에 구비되는 본체결합부(15)에 결합된 조절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3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절부(300)는 고정부(310)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부(310)는 본체부(100)의 길이방향(L)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손잡이부(10)의 본체결합부(15)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310)는 상기 본체결합부(15)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체결합부(15)에 결합되는 고정부(310)는 회전이 불가하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회전부(320) 등을 고정 및 지지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조절부(300)는 회전부(320) 및 돌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32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돌출부(330)는 상기 회전부(320)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상기 제1토출부(250) 및 상기 제2토출부(27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회전부(32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본체부(100)의 길이방향(L)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320)는 고정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본체부(100) 내에서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회전부(320)는 상기 기둥 형상의 고정부(3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결합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고정부(3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회전결합부(323)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회전결합부(323)의 개수나 고정부(310)상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고정부(310)의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스토퍼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회전부(320)의 회전결합부(323)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관통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회전결합부(323) 중 적어도 하나, 예컨대 고정부(310)의 상단부에 위치되는 회전결합부(323)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는 회전홈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홈은 회전부(320)의 회전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회전부(320)에 대해 허용되는 회전범위만큼 연장될 수 있다. 즉, 회전부(320)는 회전홈과 스토퍼와의 관계에 의해 회전결합부(323)에 형성되는 회전홈의 길이만큼 회전범위가 허용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복수의 회전결합부(323)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25)가 도시되어 있다. 회전부(320)는 고정부(3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결합부(323)가 연결부(325)를 통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회전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부(32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결합부(323) 및 연결부(325)를 포함함으로써,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골격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부(100)의 내부에 공기의 자유로운 유동이 가능하고 회전부(320)의 부피나 하중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부(320)는 반드시 고정부(310)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내용과 같이 고정부(310)를 생략하고 본체결합부(15)가 직접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돌출부(330)는 회전부(320)로부터 본체부(10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330)는 회전부(320)로부터 본체부(100)의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회전부(320)의 회전결합부(323)에 돌출부(330)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돌출부(330)가 회전결합부(323)상에만 존재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돌출부(330)는 본체부(10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회전결합부(323)는 물론 연결부(325)에 함께 마련될 수도 있다.
돌출부(33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상기 제1토출부(250) 및 상기 제2토출부(27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330)는 제1토출부(250) 또는 제2토출부(270)의 내측에 직접 접촉되어 공기의 유로를 직접 차단하거나, 타 구성, 예컨대 본체부(100)의 외벽부(200) 등을 변화시켜 제1토출부(250) 또는 제2토출부(270)의 공기 유동을 차단시킬 수도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조절부(300)는 본체결합부(15)에 삽입 결합될 수 있고, 커버부(340) 및 돌림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340)는 고정부(310) 및 회전부(320)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부(310) 및 회전부(320)를 외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즉, 회전부(320)는 본체부(100)의 외주면(105)과 상기 커버부(340)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려질 수 있다.
돌림부(350)는 커버부(340)의 외측에 배치되어 회전부(320)와 연결될 수 있다. 돌림부(350)는 회전부(320)에 대해 회전이 구속되어 상기 회전부(3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돌림부(350)를 회전시켜 본체부(100) 내부의 회전부(32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부(320)는 커버부(340)를 관통하여 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고, 돌림부(350)는 상기 회전돌기부와 결합되어 회전부(3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돌기는 고정부(310)의 상단부에 위치되는 회전결합부(323)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돌림부(35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절부(300)가 회전부(320)를 포함하여 회전 방식을 통해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용이하며, 회전부(320)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330)가 물리적인 관계에서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 중 어느 하나의 공기 유동을 차단하고 나머지 하나의 공기 유동은 허용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부(100)의 외주면(105)을 형성하는 외벽부(2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면(105)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100)의 둘레를 따라서 일측(202)에 상기 제1토출부(250)가 배치되며, 타측(204)에 상기 제2토출부(270)가 배치되는 외벽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벽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하고 구획할 수 있다. 외벽부(200)는 본체부(100)의 외주면(105)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외벽부(200)는 본체부(100)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일측(202)에 제1토출부(250)가 배치되고, 타측(204)에 제2토출부(27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체부(100)의 외주면(105)을 형성하는 외벽부(200)상에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가 마련됨에 따라, 회전부(320)로부터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30)가 물리적인 방식을 통해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외벽부(200)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외벽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함께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면(105)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는 본체부(10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부(320)가 일방향(R1)으로 회전되어 제1토출부(250)가 개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회전부(320)가 타방향(R2)으로 회전되어 제2토출부(270)가 개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벽부(200)는 본체부(100)의 길이방향(L)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벽부(200)는 본체부(100)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회전축이 위치될 수 있고, 외벽부(200)의 회전축은 전술한 본체결합부(15) 및 커버부(34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외벽부(200)는 조절부(30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조절부(300)의 회전부(320)가 회전됨에 따라 외벽부(200)의 회전이 조절될 수 있고, 외벽부(200)의 회전상태에 따라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 중 어느 하나는 개방되고 나머지 하나는 폐쇄될 수 있다.
예컨대, 외벽부(200)는 회전부(320)가 일방향(R1)으로 회전되면 함께 일방향(R1)으로 회전되거나 회전부(320)와 반대되도록 타방향(R2)으로 회전될 수 있다. 외벽부(200)는 일측(202) 및 타측(204)에 각각 제1토출부(250)와 제2토출부(270)가 마련되고, 외벽부(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일측(202) 및 상기 타측(204)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제1토출부(250)와 제2토출부(270)의 개폐상태가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벽부(200)는 상기 일측(202)이 상기 타측(204)보다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제1토출부(250)가 개방되고, 상기 타측(204)이 상기 일측(202)보다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제2토출부(270)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부(200)는 상기 일측(202)이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을 향해 이동되고 상기 타측(204)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을 향해 이동되도록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토출부(250)가 개방되고 상기 제2토출부(270)는 폐쇄될 수 있다.
외벽부(200)에 마련되는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는 각각 공기가 토출되는 제1개구(253) 및 제2개구(2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토출부(250)의 제1개구(253)는 외벽부(200)의 일측(202)이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이동되면 개방상태가 될 수 있고, 제2토출부(270)의 제2개구(273)는 외벽부(200)의 타측(204)이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이동되면 개방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외벽부(200)는 일측(202) 및 타측(204) 중 어느 하나가 외측으로 이동되면 나머지 하나가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즉, 외벽부(200)의 일측(202)에 마련되는 제1토출부(250)와 타측(204)에 마련되는 제2토출부(270)는 외벽부(200)의 회전 구조에 의해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개방되고 나머지 하나는 폐쇄될 수 있다.
제1토출부(250)의 제1개구(253) 및 제2토출부(270)의 제2개구(273)는 복수의 외벽부(200)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외벽부(200)에 마련되는 제1토출부(250)의 제1개구(253)는 상기 어느 하나의 외벽부(200)와 이웃하는 외벽부(2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어느 하나의 외벽부(200)의 일측(202)이 외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외벽부(200)와 이웃하는 외벽부(200) 사이에는 개방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방면이 제1토출부(250)의 제1개구(253)에 해당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어느 하나의 외벽부(200)의 타측(204)이 외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외벽부(200)와 이웃하는 다른 외벽부(200) 사이에 개방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방면은 제2토출부(270)의 제2개구(273)에 해당할 수 있다.
복수의 외벽부(200) 사이에서 정의되는 제1토출부(250)의 제1토출방향(D1)과 제2토출부(270)의 제2토출방향(D2)은 대략 본체부(100)의 둘레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사용자의 모발이 본체부(100)의 외주면(105)에 감기도록 유도하는 유동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제1토출방향(D1) 및 제2토출방향(D2)은 외벽부(200)를 기준으로 대략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토출방향(D1)은 회전부(320)가 회전되는 일방향(R1)과 대응될 수 있고, 제2토출방향(D2)은 회전부(320)가 회전되는 타방향(R2)과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술한 돌림부(350) 등을 통해 회전부(320)를 회전시켜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 중 공기가 토출되는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모발이 감기는 방향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외벽부(200)는 상기 조절부(300)에 의해 서로 동일한 회전각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외벽부(200)는 본체부(100)의 둘레상에서 균일한 거리를 가지며 배치되고, 조절부(300)의 회전부(320)에 마련되는 돌출부(330) 또한 균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외벽부(200)가 서로 동일한 회전각을 형성함으로써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가 서로 동일한 풍량과 풍속 및 토출방향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외벽부(200)는 제1외벽부(210) 및 상기 제1외벽부(210)와 이웃하는 제2외벽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는 상기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를 마주보고, 상기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가 개방되면 상기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는 폐쇄될 수 있다.
제1외벽부(210)와 제2외벽부(220)는 복수의 외벽부(200) 중 임의로 선택되는 이웃하는 한 쌍의 외벽부(200)에 해당하며,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는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를 마주볼 수 있다.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는 제1외벽부(210)와 제2외벽부(220) 사이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방면을 제1개구(253)로 하여 공기가 토출되며,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를 마주보는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는 폐쇄상태에 해당한다. 이와 반대로,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가 개방되면, 제1외벽부(210)의 제2토출부(271)도 동시에 개방되면서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는 폐쇄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더(28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280)는 상기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가 개방되면 상기 제1외벽부(210)의 일측(202)과 상기 제2외벽부(220) 사이의 개방면에 위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더(280)는 제1토출부(250) 뿐만 아니라 제2토출부(270)에도 마련될 수 있고, 제1외벽부(210) 뿐만 아니라 복수의 외벽부(200)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더(280)는 제1토출부(250)의 제1개구(253)를 가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의 제1개구(253)는 제1외벽부(210)의 일측(202)과 제2외벽부(220) 사이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방면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가이더(280)는 상기 개방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더(280)는 외벽부(200)에서 본체부(100)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면상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더(280)는 외벽부(200)의 내측면에서 본체부(10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고, 복수로 마련되어 본체부(10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가이더(280)는 대략 본체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1토출부(250) 또는 제2토출부(27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토출부(250)에 마련되는 가이더(280)는 상기 제1토출부(250)가 개방되면 제1개구(25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제1토출부(250)가 폐쇄되면 외부로부터 가려질 수 있다.
제2토출부(270)에 마련되는 가이더(280)는 상기 제2토출부(270)가 개방되면 제2개구(27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폐쇄되면 외부로부터 가려질 수 있다.
한편,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의 제1개구(253)와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의 제2개구(273)는 동일한 위치에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의 제1개구(253)와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의 제2개구(273)는 상기 제1외벽부(210) 및 상기 제2외벽부(220) 사이에서 형성되는 개방면을 서로 공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개방면은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가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형성된 경우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의 제1개구(253)에 해당하고,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가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형성된 경우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의 제2개구(273)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외벽부(210) 및 제2외벽부(220)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의 개방면을 통해 제1개구(253) 및 제2개구(273)가 형성되므로 효율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절부(300)의 돌출부(330)는 상기 조절부(300)의 상기 일방향(R1) 회전 시 상기 외벽부(200)의 상기 일측(202)을 밀어내어 상기 제1토출부(250)를 개방시키고, 상기 조절부(300)의 상기 타방향(R2) 회전 시 상기 외벽부(200)의 상기 타측(204)을 밀어내어 상기 제2토출부(27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는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로부터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개방될 수 있고,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는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보다 외측으로 이격되어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회전부(320)를 포함하는 조절부(300)는 상기 회전부(320)에서 돌출되는 돌출부(330)를 포함할 수 있고, 돌출부(330)는 회전부(320)와 함께 회전되면서 외벽부(200)의 일측(202) 또는 타측(204)을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돌출부(330)가 외벽부(200)의 일측(202) 또는 타측(204)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330)는 별도의 구성을 매개로 외벽부(200)의 일측(202) 또는 타측(204)을 밀어내거나, 외벽부(200)의 내측면에 직접 접촉하여 외벽부(200)의 일측(202) 또는 타측(204)을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돌출부(330)가 외벽부(200)의 일측(202) 또는 타측(204)을 밀어내는 경우, 외벽부(200)는 본체부(100)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이 일측(202) 및 타측(204)보다 본체부(10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외벽부(200)의 중앙에 위치된 상태의 돌출부(330)가 회전부(320)의 회전에 의해 외벽부(200)의 일측(202) 또는 타측(204)으로 이동되면서 해당 부분을 밀어낼 수 있다.
또한, 돌출부(330)는 외벽부(200)의 일측(202) 및 타측(204)에서 본체부(10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가이더(280)와 접촉되면서 외벽부(200)의 일측(202) 및 타측(204)을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밀어낼 수도 있다.
나아가, 회전부(320)는 회전결합부(323)를 연결하는 연결부(325)가 상기 돌출부(330)와 함께 외벽부(200)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예컨대, 회전부(320)의 회전 시 연결부(325)는 외벽부(20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더(280)와 접촉되면서 외벽부(20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도 8 및 9를 참고하여 회전부(320)의 회전과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의 개폐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는 회전부(320)가 일방향(R1)으로 회전되어 복수의 외벽부(200)에서 제1토출부(250)가 개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에는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와 제2외벽부(220)의 제1토출부(252)가 개방되고, 제1외벽부(210)의 제2토출부(271)와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는 폐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회전부(320)가 일방향(R1)으로 회전되면, 회전부(320)에 마련되는 돌출부(330)는 외벽부(200)의 일측(202)을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밀어낸다. 돌출부(330)는 외벽부(200)의 내측면에 직접 접촉되거나 전술한 가이더(280)와 접촉되어 외벽부(200)의 일측(202)을 밀어낼 수 있다. 연결부(325)는 돌출부(330)와 함께 외벽부(200)의 가이더(280)와 접촉되어 외벽부(200)의 일측(202)을 밀어낼 수 있다.
돌출부(330)가 외벽부(200)의 일측(202)을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경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L)과 나란한 회전축을 가지는 외벽부(200)는 일측(202)이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타측(204)이 본체부(100)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는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는 본체부(100)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외벽부(210)와 제2외벽부(220)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면은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의 제1개구(253)가 되어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가 개방된다.
복수의 외벽부(200)는 각각 제1토출부(250)가 개방되어 제1토출방향(D1)으로 공기가 토출되고 사용자의 모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에는 회전부(320)가 타방향(R2)으로 회전되어 복수의 외벽부(200)에서 제2토출부(270)가 개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9에는 제1외벽부(210)의 제2토출부(271)와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가 개방되고,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와 제2외벽부(220)의 제1토출부(252)는 폐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회전부(320)가 타방향(R2)으로 회전되면, 회전부(320)에 마련되는 돌출부(330)는 외벽부(200)의 타측(204)을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밀어낸다. 돌출부(330)가 외벽부(200)의 타측(204)을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경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L)과 나란한 회전축을 가지는 외벽부(200)는 타측(204)이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일측(202)이 본체부(100)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는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는 본체부(100)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외벽부(210)와 제2외벽부(220)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면은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의 제2개구(273)가 되어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가 개방된다. 복수의 외벽부(200)는 각각 제2토출부(270)가 개방되어 제2토출방향(D2)으로 공기가 토출되고 사용자의 모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절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310), 회전결합부(323) 및 연결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10)는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손잡이부(10)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결합부(323)는 상기 고정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25)는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회전결합부(323)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결합부(323) 및 상기 연결부(325)는 함께 전술한 회전부(32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9를 참고하면, 상기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는 상기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를 마주보며,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조절부(300)의 상기 일방향(R1) 회전 시 상기 제1외벽부(210)의 일측(202)을 밀어내고 상기 일방향(R1)을 따라 상기 제2외벽부(220)에 접촉되어 회전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즉,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가 개방되는 경우,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는 상기 제1외벽부(210)를 회전시킨 돌출부(33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외벽부(220)는 제1토출부(250)가 개방되며,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는 본체부(100)의 내측을 향해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는 제1외벽부(210)를 회전시킨 돌출부(330)의 회전경로상에 위치되어 돌출부(330)의 회전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에 마련되는 가이더(280) 또한 돌출부(33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수단일 수 있다.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가 개방되는 경우,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는 상기 제2외벽부(220)를 회전시킨 돌출부(33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외벽부(220)는 제2토출부(270)가 개방되며,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는 본체부(100)의 내측을 향해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는 제2외벽부(220)를 회전시킨 돌출부(330)의 회전경로상에 위치되어 돌출부(330)의 회전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에 마련되는 가이더(280) 또한 돌출부(33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수단일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외벽부(200)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외주면(105)을 정의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벽부(200)가 서로 일체로 성형되어 함께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면(105)을 형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각각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를 포함하는 복수의 외벽부(200)가 일체로 성형되는 경우 조절부(300)는 회전부(320)의 돌출부(330)가 외벽부(20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제1토출부(250)의 제1개구(253) 또는 제2토출부(270)의 제2개구(273)를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부(250)는 상기 외벽부(200)의 일측(202)을 관통하여 공기가 토출되는 제1개구(25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토출부(270)는 상기 외벽부(200)의 타측(204)을 관통하여 공기가 토출되는 제2개구(27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는 도 10의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절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절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상기 외벽부(200)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조절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310)를 생략하고 회전부(320)가 손잡이부(10)의 본체결합부(15)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320)는 본체부(10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원기둥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돌출부(330)는 회전부(32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벽부(200)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는 도 10에 도시된 본체부(100)에서 외벽부(200)와 조절부(300)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도 12의 회전부(320)가 일방향(R1)으로 회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에는 도 12의 회전부(320)가 타방향(R2)으로 회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 내지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절부(300)는 상기 일방향(R1)으로 회전되어 상기 돌출부(330)가 상기 외벽부(200)의 상기 일측(202)에서 상기 제1개구(253)를 폐쇄하고, 상기 타방향(R2)으로 회전되어 상기 돌출부(330)가 상기 외벽부(200)의 상기 타측(204)에서 상기 제2개구(273)를 폐쇄할 수 있다.
외벽부(200)의 회전 형태와 달리, 복수의 외벽부(20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조절부(300)에 마련되는 돌출부(330)는 외벽부(20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직접 제1토출부(250)의 제1개구(253) 또는 제2토출부(270)의 제2개구(273)를 차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벽부(200)는 일측(202)에 제1토출부(250)가 마련되고, 제1토출부(250)의 제1개구(253)는 외벽부(200)의 일측(202)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320)는 일방향(R1)으로 회전되어 돌출부(330)가 상기 제1개구(253)를 향해 이동될 수 있고, 돌출부(330)는 제1개구(253)가 위치된 외벽부(20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제1개구(253)를 폐쇄함으로써 제1토출부(250)를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개구(273)와 돌출부(330)가 이격된 제2토출부(270)는 개방되어 제2개구(273)를 통해 제2토출방향(D2)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복수의 외벽부(200)는 본체부(1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제2토출방향(D2)은 대략 본체부(100)의 둘레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모발이 본체부(100)의 외주면(105)에 감기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외벽부(200)는 타측(204)에 제2토출부(270)가 마련되고, 제2토출부(270)의 제2개구(273)는 외벽부(200)의 타측(204)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320)는 타방향(R2)으로 회전되어 돌출부(330)가 상기 제2개구(273)를 향해 이동될 수 있고, 돌출부(330)는 제2개구(273)가 위치된 외벽부(20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제2개구(273)를 폐쇄함으로써 제2토출부(270)를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개구(253)와 돌출부(330)가 이격된 제1토출부(250)는 개방되어 제1개구(253)를 통해 제1토출방향(D1)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복수의 외벽부(200)는 본체부(1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제1토출방향(D1)은 대략 본체부(100)의 둘레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모발이 본체부(100)의 외주면(105)에 감기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체부(100)의 둘레를 기준으로, 제1토출방향(D1)과 제2토출방향(D2)은 대략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설정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체부(100)의 외주면(105)에 모발을 감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조절부(300)를 조절하여 제1토출부(250) 및 제2토출부(270) 중 어느 하나를 활용하여 모발의 스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벽부(200)는 중앙이 상기 일측(202) 및 상기 타측(204)보다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외벽부(200)의 상기 일측(202)을 향하는 제1측면이 상기 외벽부(200)의 상기 일측(202)에 접촉되어 상기 제1개구(253)를 차폐하고, 상기 외벽부(200)의 상기 타측(204)을 향하는 제2측면이 상기 외벽부(200)의 상기 타측(204)에 접촉되어 상기 제2개구(273)를 차폐할 수 있다.
외벽부(200)의 곡률이 낮을수록, 즉 외벽부(200)가 본체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원의 둘레와 유사할수록 돌출부(330)는 외벽부(20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감소될 수 있고, 이는 제1개구(253) 또는 제2개구(273)는 온전한 폐쇄에 불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벽부(200)의 중앙이 일측(202) 및 타측(204)보다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벽부(200)는 적어도 내측면이 위와 같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30)는 회전부(320)로부터 본체부(10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돌출된 끝단을 기준으로 일측(202)면과 타측(204)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202)면은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제1개구(253)를 향할 수 있고, 타측(204)면은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제2개구(273)를 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벽부(200)가 원호의 형상보다 큰 곡률을 가지며 돌출부(330)의 일측(202)면 및 타측(204)면이 외벽부(200)의 내측면에 면의 형태로 접촉되어 제1개구(253) 또는 제2개구(273)를 차폐함으로써, 제1토출부(250) 또는 제2토출부(270)의 폐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개구(253) 및 상기 제2개구(273)는 각각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L)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조절부(300)의 회전부(320)는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회전부(320)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홀(328)이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L)을 따라 배열되고,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관통홀(328)을 통과하여 상기 제1토출부(250) 또는 상기 제2토출부(27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회전부(320)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부(320)는 손잡이부(10)로부터 전달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유로(327)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0)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는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상기 내부유로(327)로만 전달되거나 상기 내부유로(327)와 본체부(100)의 내부로 함께 전달될 수도 있다.
회전부(320)에 형성되는 관통홀(328)은 복수로 마련되어 회전부(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328)은 회전부(320)의 길이 전체에 대해 균등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10)로부터 전달되는 공기가 회전부(320)의 내부유로(327)를 따라 유동되어 회전부(320)의 관통홀(328)을 통해 회전부(320)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손잡이부(10)로부터 멀리 위치되는 영역, 예컨대 본체부(100)의 상단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이나 유압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도 12의 회전부(320)가 일방향(R1)으로 회전되어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 및 제2외벽부(220)의 제1토출부(252)가 폐쇄되고, 제1외벽부(210)의 제2토출부(271) 및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가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과 같이 회전부(320)가 일방향(R1)으로 회전되면 회전부(320)에 마련되는 복수의 돌출부(330) 중 어느 하나는 제1외벽부(210)에서 제1개구(253)가 위치되는 내측면에 밀착되고, 다른 하나는 제2외벽부(220)에서 제1개구(253)가 위치되는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돌출부(330)는 제1개구(253)를 향하는 일측(202)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벽부(200)에서 제1개구(253)가 위치되는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한 쌍의 돌출부(330)와 제1외벽부(210)에 의해 정의되는 구획공간이 정의될 수 있으며, 회전부(320)의 관통홀(328)을 통해 상기 구획공간으로 전달되는 공기는 제1외벽부(210)의 제2개구(273)를 통해 제2토출방향(D2)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4에는 도 12의 회전부(320)가 타방향(R2)으로 회전되어 제1외벽부(210)의 제2토출부(271) 및 제2외벽부(220)의 제2토출부(272)가 폐쇄되고, 제1외벽부(210)의 제1토출부(251) 및 제2외벽부(220)의 제1토출부(252)가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와 같이 회전부(320)가 타방향(R2)으로 회전되면 회전부(320)에 마련되는 복수의 돌출부(330) 중 어느 하나는 제1외벽부(210)에서 제2개구(273)가 위치되는 내측면에 밀착되고, 다른 하나는 제2외벽부(220)에서 제2개구(273)가 위치되는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돌출부(330)는 제2개구(273)를 향하는 타측(204)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벽부(200)에서 제2개구(273)가 위치되는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한 쌍의 돌출부(330)와 제1외벽부(210)에 의해 정의되는 구획공간이 정의될 수 있으며, 회전부(320)의 관통홀(328)을 통해 상기 구획공간으로 전달되는 공기는 제1외벽부(210)의 제1개구(253)를 통해 제1토출방향(D1)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50) 및 상기 손잡이부(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유입부(5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유닛(20)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입부(5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팬유닛(20)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1토출부(250) 또는 상기 제2토출부(27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관리장치(1)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10), 상기 손잡이부(10)와 연결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면(105)상에 위치되고, 제1토출방향(D1)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부(250),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면(105)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토출방향(D1)과 상이한 제2토출방향(D2)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부(270) 및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토출부(250) 및 상기 제2토출부(270)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모발관리장치 10 : 손잡이부
15 : 본체결합부 20 : 팬유닛
30 : 제어부 40 : 가열부
50 : 공기유입부 100 : 본체부
105 : 외주면 200 : 외벽부
210 : 제1외벽부 220 : 제2외벽부
250 : 제1토출부 253 : 제1개구
270 : 제2토출부 273 : 제2개구
280 : 가이더 300 : 조절부
310 : 고정부 320 : 회전부
323 : 회전결합부 325 : 연결부
327 : 내부유로 328 : 관통홀
330 : 돌출부 340 : 커버부
350 : 돌림부

Claims (24)

  1.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상에 위치되고, 제1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토출방향과 상이한 제2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가 상기 조절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고, 타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 중 나머지 하나를 폐쇄하는 모발관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외벽부;
    상기 외벽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부;
    상기 외벽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토출방향과 상이한 제2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외벽부를 회전시키며,
    상기 외벽부가 상기 조절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 중 어느 하나가 폐쇄되고, 타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 중 나머지 하나가 폐쇄되는 모발관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는 상기 일측이 상기 타측보다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제1토출부가 개방되고, 상기 타측이 상기 일측보다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제2토출부가 개방되는 모발관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는 상기 일측이 상기 본체부의 외측을 향해 이동되고 상기 타측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을 향해 이동되도록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토출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2토출부는 폐쇄되는 모발관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외벽부는 상기 조절부에 의해 서로 동일한 회전각이 형성되는 모발관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외벽부는 제1외벽부 및 상기 제1외벽부와 이웃하는 제2외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외벽부의 제1토출부는 상기 제2외벽부의 제2토출부를 마주보고,
    상기 제1외벽부의 제1토출부가 개방되면 상기 제2외벽부의 제2토출부는 폐쇄되는 모발관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벽부의 제1토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는 상기 제1외벽부의 제1토출부가 개방되면 상기 제1외벽부의 일측과 상기 제2외벽부 사이의 개방면에 위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모발관리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외벽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조절부의 상기 일방향 회전 시 상기 외벽부의 상기 일측을 밀어내어 상기 제1토출부를 개방시키고, 상기 조절부의 상기 타방향 회전 시 상기 외벽부의 상기 타측을 밀어내어 상기 제2토출부를 개방시키는 모발관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는 회전결합부; 및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회전결합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모발관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외벽부는 제1외벽부 및 상기 제1외벽부와 이웃하는 제2외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외벽부의 제1토출부는 상기 제2외벽부의 제2토출부를 마주보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조절부의 상기 일방향 회전 시 상기 제1외벽부의 일측을 밀어내고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2외벽부에 접촉되어 회전범위가 제한되는 모발관리장치.
  17.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외벽부;
    상기 외벽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부;
    상기 외벽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토출방향과 상이한 제2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고, 타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 중 나머지 하나를 폐쇄하며,
    상기 외벽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서로 일체로 성형되어 함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모발관리장치.
  18.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외벽부;
    상기 외벽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부;
    상기 외벽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토출방향과 상이한 제2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고, 타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 중 나머지 하나를 폐쇄하며,
    상기 제1토출부는 상기 외벽부의 일측을 관통하여 공기가 토출되는 제1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토출부는 상기 외벽부의 타측을 관통하여 공기가 토출되는 제2개구를 포함하는 모발관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외벽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외벽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제1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외벽부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제2개구를 폐쇄하는 모발관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는 중앙이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보다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벽부의 상기 일측을 향하는 제1측면이 상기 외벽부의 상기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제1개구를 차폐하고, 상기 외벽부의 상기 타측을 향하는 제2측면이 상기 외벽부의 상기 타측에 접촉되어 상기 제2개구를 차폐하는 모발관리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는 각각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홀이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토출부 또는 상기 제2토출부로 전달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전부에 마련되는 모발관리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팬유닛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1토출부 또는 상기 제2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모발관리장치.
  23. 삭제
  24.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고, 외주면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상에 위치되고, 제1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토출방향과 상이한 제2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가 상기 조절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고, 타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토출부 및 상기 제2토출부 중 나머지 하나를 폐쇄하는 모발관리장치의 부착물.
KR1020210159785A 2021-11-18 2021-11-18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 KR102622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785A KR102622886B1 (ko) 2021-11-18 2021-11-18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785A KR102622886B1 (ko) 2021-11-18 2021-11-18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009A KR20230073009A (ko) 2023-05-25
KR102622886B1 true KR102622886B1 (ko) 2024-01-09

Family

ID=8654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785A KR102622886B1 (ko) 2021-11-18 2021-11-18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88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6428A (ja) * 1996-12-23 2000-05-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整髪用具
SG11201607212XA (en) * 2014-03-20 2016-10-28 Dyson Technology Ltd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AU2017236402B2 (en) * 2016-03-24 2019-08-29 Dyson Technology Limited Attachment for a handheld appliance
GB2548616B (en) * 2016-03-24 2020-02-19 Dyson Technology Ltd An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009A (ko)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9295B1 (en) Variable-configuration hair dryer and nozzle
US5157757A (en) Hand held hair dryer with selectively positionable baffle for varying the distribution of air from the dryer
US20030177657A1 (en) Combined diffuser and concentrator for a hair dryer
US5661910A (en) Hand held blow dryer having airflow control means
KR102554855B1 (ko) 헤어컬용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JP2004000475A (ja) 温風ヘアスタイリング器具と附属のヘアケア部品
JP2024105397A (ja) ヘアケア機器用アタッチメント
KR102366465B1 (ko) 헤어드라이어
JP2017522138A (ja) ヘアスタイリングデバイス
KR102622886B1 (ko) 모발관리장치 및 그 부착물
JPH02243104A (ja) 頭部乾燥フード
JP3228401U (ja) 多機能のヘア・ストレイテナー・カーラー
KR102510111B1 (ko)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GB2398239A (en) A nozzle for a hair dryer or heat gun having an adjustable output orifice
KR200481016Y1 (ko) 방향제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
JP2000035142A (ja) 空気圧カ―トリッジ弁
CN107477215B (zh) 燃气阀
KR102537196B1 (ko) 헤어 드라이어
GB2315019A (en) Hair drier with adjustable air flow nozzle
KR102366466B1 (ko) 헤어드라이어
KR20220108447A (ko) 헤어드라이어
KR102367892B1 (ko) 헤어드라이어
JP4171689B2 (ja) 頭髪処理装置
KR20220108446A (ko) 헤어드라이어
JPS621152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