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111B1 -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 Google Patents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111B1
KR102510111B1 KR1020220036059A KR20220036059A KR102510111B1 KR 102510111 B1 KR102510111 B1 KR 102510111B1 KR 1020220036059 A KR1020220036059 A KR 1020220036059A KR 20220036059 A KR20220036059 A KR 20220036059A KR 102510111 B1 KR102510111 B1 KR 102510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discharge
main body
nozzle plate
hair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을섭
Original Assignee
심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을섭 filed Critical 심을섭
Priority to KR1020220036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 A45D4/08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for flat curling, e.g. with means for decreasing the heat
    • A45D4/10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for flat curling, e.g. with means for decreasing the heat heated by steam or hot 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48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 A45D20/50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and provision for an air stream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기기에서 유체의 배출방향을 좌,우로 전환할 수 있어 하나의 에어롤로 좌,우측의 머리손질이 가능하게 되는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에 관한 것으로, 모발 관리 기구에 장착되며 둘레면에 길이방향으로 좌측 에어배출홀과 우측 에어배출홀이 한 쌍을 이루면서 복수개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부 둘레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복수개의 제1노즐판과, 상기 본체 외부의 제1노즐판 사이에 에어 배출 통로가 형성되게 장착되며 에어가 각 쌍의 좌측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을 통과하여 좌측 방향이나 우측 방향으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는 제2노즐판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입되며 둘레면에 에어가 통과하는 에어통과홀이 형성되고 회전에 따라 에어통과홀을 통해 좌측 에어배출홀과 우측 에어배출홀의 개폐를 전환시켜 에어가 좌측 방향이나 우측 방향으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부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 방향조절부와 연결되어 좌측 에어배출홀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의 개폐를 전환시키기 위해 방향조절부를 회전시키는 방향전환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AIR ROLL FOR HAIR CARE APPLIANCE}
본 발명은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기기에서 에어의 배출방향을 좌,우로 전환할 수 있어 하나의 에어롤로 좌,우측의 머리손질이 가능하게 되는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에 관한 것이다.
모발을 웨이브하기 위한 고온 공기 스타일링 장치에서, 공기는 모발 관리 기구의 팬 유닛에 의해 입구 안으로 흡인되고 헤드 또는 부착물에 의해 모발 쪽으로 보내져 모발에 웨이브를 주게 된다. 원하는 스타일에 따라, 공기는 가열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헤드 또는 부착물은 종종 강모를 포함하고, 스타일링을 위해 모발이 그 강모에 감겨 유지된다. 공기는 일반적으로 부착물의 표면에 수직하게 부착물 밖으로 송풍된다. 모발을 곱슬 머리로 스타일링할 때, 강모로부터 모발을 푸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모발이 엉킬 수 있다.
모발을 곱슬 머리로 스타일링할 때, 고데기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이 고데기에서는, 모발이 배럴 주위에 감겨 일정 시간 동안 배럴 클립에 의해 고정되기 전에, 가열된 배럴은 높은 온도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고데기를 높은 온도에서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모발을 손상시킬 수 있다.
종래의 모발 웨이브를 위한 모발 관리 기구용 부착물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1984호 "휴대용 기구를 위한 부착물"(이하, '특허문헌 1' 이라 함)에서와 같이 모발 관리 기구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유체 입구, 유체 출구, 상기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유체 유동 경로, 상기 유체 유동 경로 내의 유체를 상기 유체 출구 쪽으로 보내기 위한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갖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적어도 2개의 연장된 판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출구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연장된 판 사이의 겹침부에 의해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하고, 제 1 베인과 제 2 베인은 만곡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연장된 판 사이의 상기 겹침부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과 제 2 베인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모발 관리 기구용 부착물은 원통형의 주위로 바람이 분출되고 머리카락이 원통형에 감기게 하여 모발을 웨이브하게 된다. 이때 바람은 유체 출구를 통해 한쪽 방향으로만 배출됨으로써 얼굴의 좌측과 우측 모발에 맞추기 위해서는 바람의 배출 방향이 다른 좌측용 부착물과 우측용 부착물을 모발 관리 기구에 번갈아가면서 교환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모발에 웨이브를 주기 위해서는 좌측용 부착물과 우측용 부착물을 수차례 모발 관리 기구에서 교환(분리, 체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198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방향전환핸들의 회전에 따라 에어의 토출 방향을 좌,우로 전환시켜 모발 관리 기구에 장착되는 에어롤을 교환없이 단일의 에어롤로 얼굴의 좌측 모발과 우측 모발을 관리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은 모발 관리 기구에 장착되며 둘레면에 길이방향으로 좌측 에어배출홀과 우측 에어배출홀이 한 쌍을 이루면서 복수개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부 둘레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복수개의 제1노즐판과, 상기 본체 외부의 제1노즐판 사이에 에어 배출 통로가 형성되게 장착되며 에어가 각 쌍의 좌측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을 통과하여 좌측 방향이나 우측 방향으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는 제2노즐판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입되며 둘레면에 에어가 통과하는 에어통과홀이 형성되고 회전에 따라 에어통과홀을 통해 좌측 에어배출홀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의 개폐를 전환시켜 에어가 좌측 방향이나 우측 방향으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부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 방향조절부와 연결되어 좌측 에어배출홀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의 개폐를 전환시키기 위해 방향조절부를 회전시키는 방향전환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외측면에 제1노즐판과 제2노즐판이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며, 측면 중앙에 고정부재가 끼워져 방향전환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2통과홈이 형성되고, 제2통과홈을 기점으로 상하에 방향조절부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측 에어배출홀은 에어의 배출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각 쌍은 에어가 꺾여서 배출될 수 있도록 단면 상에서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노즐판에는 안쪽면에 끼움홈으로 끼워지는 제1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양측 하부는 좌,우측 에어배출홀의 측벽면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양쪽면이 '<' 형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노즐판에는 안쪽면에 끼움홈으로 끼워지는 제2끼움돌기가 형성되며,양측 하부는 에어가 좌측 방향이나 우측 방향으로 꺾여서 배출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노즐판의 외부면은 제1노즐판의 외부면 보다 아랫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조절부에는 모발 관리 기구가 연결되는 일측은 에어가 유입되도록 개방되고 타측 중앙에 고정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제1통과홈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본체의 가이드홈에 끼워져 방향전환부에 장착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방향조절부의 좌우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장입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조절부의 내벽면에는 에어를 에어통과홀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에어유도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부에는 일측 중앙에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체결홈의 상하에 방향조절부의 장입돌기가 끼워지는 장입홈이 형성되며, 타측에 좌측 에어배출홀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을 개폐시키기 위한 방향조절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와 방향전환부 사이에는 방향전환부가 임의대로 회전되지 않도록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회전정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정지부재에는 상,하에 방향전환부의 장착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장착홈이 형성되며, 양쪽에 본체의 걸림홈에 걸려 방향전환부가 회전위치에서 임의대로 회전되지 않고 일시 정지될 수 있도록 일시정지편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에 의하면, 방향전환부의 회전에 따라 방향조절부가 좌측 에어배출홀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을 개폐시켜 에어의 배출 방향을 좌측이나 우측 방향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모발 관리 기구에 에어롤을 장착한 상태에서 종래에서처럼 좌측용 기기와 우측용 기기로 번갈아가면서 교체할 필요없이 하나의 에어롤로 좌측 모발 및 우측 모발을 관리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의 방향전환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의 방향전환부와 회전정지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선 절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의 방향전환부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선 절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의 제1노즐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의 제2노즐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의 에어 배출 방향이 좌우로 전환되는 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의 방향전환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의 방향전환부와 회전정지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C-C선 절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의 방향전환부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선 절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B-B선 절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의 제1노즐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의 제2노즐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의 에어 배출 방향이 좌우로 전환되는 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10)은 모발 관리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모발 관리 기구의 작동으로 발생되는 에어가 유입되고 각 제1,2노즐판(200,300) 사이의 에어 배출 통로(P)로 배출될 때 배출 방향을 좌측이나 우측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에어롤(10)은 모발 관리 기구에 끼움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에어롤(10)은 본체(100)와, 제1노즐판(200)과, 제2노즐판(300)과, 방향조절부(400)와, 방향전환부(500)와, 회전정지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모발 관리 기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원통의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모발 관리 기구가 연결되기 위한 연결편(110)이 형성되고 연결편(110)의 둘레에 연결되는 모발 관리 기구가 걸려 일정 위치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걸림턱(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편(110)의 내부에는 오링(1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110)의 외측면에는 모발 관리 기구의 에어 출구 단부에 대한 끼워맞춤 연결이 가능하도록 돌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둘레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좌측 에어배출홀(120)과 우측 에어배출홀(121)이 한 쌍을 이루면서 복수개로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제1노즐판(200)과 제2노즐판(300)이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끼움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측면 중앙에는 방향전환부(5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S)가 끼워져 체결될 수 있도록 제2통과홈(150)이 형성되며, 제2통과홈(150)을 기점으로 상,하에 방향조절부(400)의 좌우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160)이 형성되고, 측면에 회전정지부재(600)가 회전된 상태에서 일시 정지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걸림홈(17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좌,우측 에어배출홀(120,121)은 방향조절부(400)의 회전에 따라 에어의 배출방향을 좌측이나 우측으로 원활하게 전환시켜 코안다 효과가 구현되기 위해 각 쌍의 좌측 에어배출홀(120)과 우측 에어배출홀(121)은 에어가 꺾여서 배출될 수 있도록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방향조절부(400)의 회전으로 좌측 에어배출홀(120)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121)이 개폐될 때 단면 상에서 우측 에어배출홀(121)은 왼쪽으로 기울어져 좌에서 우로 꺾여 우측 방향으로 에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좌측 에어배출홀(120)은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우에서 좌로 꺾여 좌측 방향으로 에어가 빠져나갈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노즐판(200)은 본체(100)의 외부 둘레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장착되며, 안쪽면에 본체(100)의 끼움홈(130)으로 끼워져 제1노즐판(200)이 본체(1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제1끼움돌기(2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노즐판(200)은 양측 하부면이 좌,우측 에어배출홀(120,121)의 벽면과 직선상으로 형성되며, 에어가 배출되는 출구인 양쪽면이 '<' 형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노즐판(200)의 양측면이 '<'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1노즐판(200)과 그에 겹쳐지는 제2노즐판(300) 사이로 배출되는 에어가 우측이나 좌측으로 꺾이면서 공기역학 현상으로 공기의 흐름을 꺾어 모발을 본체로 끌여들여 감싸주는 코안다 효과가 이루어져 모발의 웨이브를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노즐판(200)은 각 쌍의 좌,우측 에어배출홀(120,121) 사이의 본체(1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노즐판(300)은 제1노즐판(200)과 제1노즐판(200) 사이의 본체(100)에 장착되며, 방향조절부(400)의 회전에 따라 에어가 각 쌍의 좌측 에어배출홀(120)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121)을 통과하여 좌측 방향이나 우측 방향으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제1노즐판(200)과 겹쳐질 때 공간을 두어 에어 배출 통로(P)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노즐판(300)의 안쪽면에는 끼움홈(130)으로 끼워져 제2노즐판(300)이 본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제2끼움돌기(3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노즐판(300)의 양측 하부는 에어가 좌측 방향이나 우측 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경사(320)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노즐판(300)의 양측 하부가 경사(320)지게 형성됨으로써 좌측 에어배출홀(120)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121)을 통과하는 에어가 제2노즐판(300)의 경사(320)면을 따라 제1노즐판(200)의 측면 상부를 타고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코안다 효과를 이루면서 빠져나갈 수 있다.
상기 제2노즐판(300)의 외부면은 제1노즐판(200)의 외부면 보다 아랫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좌측 에어배출홀(120)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121)을 통해 제1노즐판(200)과 제2노즐판(300) 사이의 에어 배출 통로(P)로 배출되는 에어가 제1노즐판(200)의 외면을 따라 좌측이나 우측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조절부(400)는 본체(100)의 내부에 장입되며, 모발 관리 기구가 연결되는 일측은 에어가 유입되도록 개방되고, 타측 중앙에 고정부재(S)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제1통과홈(4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조절부(400)의 외측면에는 본체(100)의 가이드홈(160)에 끼워지고 방향전환부(500)의 장입홈(510)에 끼워져 방향전환부(500)의 회전으로 가이드홈(160)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방향조절부(400)의 좌,우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장입돌기(4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조절부(400)의 둘레에는 에어가 통과하는 에어통과홀(420)이 형성되며, 좌,우 회전에 따라 에어통과홀(420)을 통해 각 쌍의 좌측 에어배출홀(120)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121)의 개폐를 전환시켜 에어가 좌측 방향이나 우측 방향으로 흘러나갈 수 있다. 도 13의 (a)에서와 같이 방향조절부(400)가 각 쌍의 좌,우측 에어배출홀(120,121) 중 좌측 에어배출홀(120)을 막고 에어통과홀(420)이 우측 에어배출홀(121)에 위치하여 우측 에어배출홀(121)이 개방되어 에어가 우측 에어배출홀(121)을 통과하여 제1노즐판(200)과 제2노즐판(300) 사이의 에어 배출 통로(P)를 통해 우측 방향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13의 (b)에서와 같이 방향조절부(400)의 회전으로 각 쌍의 좌,우측 에어배출홀(120,121) 중 우측 에어배출홀(121)을 막고 에어통과홀(420)이 좌측 에어배출홀(120)에 위치하여 좌측 에어배출홀(120)이 개방됨에 따라 에어가 좌측 에어배출홀(120)을 통과하고 제1노즐판(200)과 제2노즐판(300) 사이의 에어 배출 통로(P)를 통해 좌측 방향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방향조절부(400)의 내벽면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를 에어통과홀(420)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에어유도편(4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유도편(430)은 에어통과홀(420)의 양쪽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전환부(500)는 방향조절부(400)의 일측 외부에 연결되어 각 쌍의 좌측 에어배출홀(120)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121)의 개폐를 전환시키기 위한 방향조절부(400)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500)는 일측에 방향조절부(400)의 장입돌기(410)가 끼워지는 장입홈(510)이 형성되며, 타측에 좌측 에어배출홀(120)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121)을 개폐시키기 위한 방향조절부(400)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5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부(500)의 일측 중앙에는 고정부재(S)가 체결되는 체결홈(530)이 형성되며, 측면 상,하에는 회전정지부재(600)의 장착홈(610)에 끼워지는 장착돌기(5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정지부재(600)는 본체(100)와 방향전환부(500) 사이에 구비되어 방향전환부(5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고 일시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정지부재(600)는 상,하에 방향전환부(500)의 장착돌기(54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장착홈(610)이 형성되며, 양쪽에는 본체(100)의 걸림홈(170)에 걸려 방향전환부(500)가 회전된 위치에서 임의대로 회전되지 않고 일시 정지될 수 있도록 일시정지편(6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정지부재(600)의 중앙부에는 고정부재(S)가 통과하여 방향전환부(5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3통과홈(630)이 형성되며, 제3통과홈(630)을 기점으로 상하에 장입돌기(410)가 통과하여 장입홈(510)에 장입될 수 있도록 관통홈(6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방향조절부(400)가 장입되고 상기 본체(100)의 일측 외부에 방향전환부(500)가 고정부재(S)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100)의 외부 둘레에 제1노즐판(200)과 제2노즐판(300)이 번갈아가면서 장착되고 상기 본체(100)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모발 관리 기구가 연결되어 모발 관리 기구의 작동으로 발생되는 에어가 상기 방향조절부(400)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함께, 상기 방향전환부(5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장입홈(510)에 결합되는 장입돌기(410)가 회전되어 방향조절부(400)가 방향전환부(5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에어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향전환부(500)가 회전될 때 방향전환부(500)에 연결되는 회전정지부재(600)가 함께 회전되되 상기 일시정지편(620)이 걸림홈(170) 내로 걸려 상기 손잡이(520)를 잡고 돌리지 않는 한 방향전환부(500)가 임의대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향조절부(400)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는 에어통과홀(420)로 유입되고 좌측 에어배출홀(120)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121)을 통해 제1노즐판(200)과 제2노즐판(300) 사이의 에어 배출 통로(P)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통과홀(420)이 본체(100)에 형성되는 각 쌍의 좌,우측 에어배출홀(120,121) 중 우측 에어배출홀(121)에 위치해 있으면 좌측 에어배출홀(120)은 막혀 있고 우측 에어배출홀(121)만 개방되어 에어통과홀(420)로 유입되는 에어는 우측 에어배출홀(121)을 통과하고 제2노즐판(200)의 우측 하부에 형성되는 경사(320)면에 의해 우측으로 꺾여서 제1노즐판(200)과 제2노즐판(300) 사이의 에어 배출 통로(P)를 통해 우측 방향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첨부된 도면 도 13의 (a) 참조)
또한, 상기 손잡이(520)를 잡고 방향전환부(500)를 돌려 상기 방향조절부(400)를 회전시켜 상기 에어통과홀(420)이 각 쌍의 좌,우측 에어배출홀(120,121) 중 좌측 에어배출홀(120)에 위치되면 우측 에어배출홀(121)은 막히고 좌측 에어배출홀(120)만 개방되어 에어통과홀(420)로 유입되는 에어는 좌측 에어배출홀(120)을 통과하고 제2노즐판(200)의 좌측 하부에 형성되는 경사(320)면에 의해 좌측으로 꺾여서 제1노즐판(200)과 제2노즐판(300) 사이의 에어 배출 통로(P)를 통해 좌측 방향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첨부된 도면 도 13의 (b) 참조)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부(500)를 좌,우로 돌림에 따라 장입홈(510)에 결합되는 장입돌기(410)가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로 회전되어 방향조절부(400)가 좌,우로 회전되고 상기 방향조절부(400)의 회전으로 에어통과홀(420)이 각 쌍의 좌측 에어배출홀(120)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121)에 위치하게 되어 하나의 에어롤(10)을 사용하여 좌측 모발과 우측 모발을 함께 관리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에어롤 100 : 본체
110 : 연결편 111 : 걸림턱
112 : 돌출부 120 : 좌측 에어배출홀
121 : 우측 에어배출홀 130 : 끼움홈
140 : 오링 150 : 제2통과홈
160 : 가이드홈 170 : 걸림홈
200 : 제1노즐판 210 : 제1끼움돌기
300 : 제2노즐판 310 : 제2끼움돌기
320 : 경사 400 : 방향조절부
410 : 장입돌기 420 : 에어통과홀
430 : 에어유도편 440 : 제1통과홈
500 : 방향전환부 510 : 장입홈
520 : 손잡이 530 : 체결홈
540 : 장착돌기 600 : 회전정지부재
610 : 장착홈 620 : 일시정지편
630 : 제3통과홈 640 : 관통홈
P : 에어 배출 통로 S : 고정부재

Claims (11)

  1. 모발 관리 기구에 장착되며 둘레면에 길이방향으로 좌측 에어배출홀과 우측 에어배출홀이 한 쌍을 이루면서 복수개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 둘레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복수개의 제1노즐판;
    상기 본체 외부의 제1노즐판 사이에 에어 배출 통로가 형성되게 장착되며 에어가 각 쌍의 좌측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을 통과하여 좌측 방향이나 우측 방향으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는 제2노즐판;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입되며 둘레면에 에어가 통과하는 에어통과홀이 형성되고 회전에 따라 에어통과홀을 통해 좌측 에어배출홀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의 개폐를 전환시켜 에어가 좌측 방향이나 우측 방향으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부;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 방향조절부와 연결되어 좌측 에어배출홀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의 개폐를 전환시키기 위해 방향조절부를 회전시키는 방향전환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1노즐판에는, 안쪽면에 끼움홈으로 끼워지는 제1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양측 하부는 좌,우측 에어배출홀의 측벽면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양쪽면이 '<' 형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외측면에 제1노즐판과 제2노즐판이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며, 측면 중앙에 고정부재가 끼워져 방향전환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2통과홈이 형성되고, 제2통과홈을 기점으로 상하에 방향조절부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에어배출홀은, 에어의 배출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각 쌍은 에어가 꺾여서 배출될 수 있도록 단면 상에서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판에는, 안쪽면에 끼움홈으로 끼워지는 제2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양측 하부는 에어가 좌측 방향이나 우측 방향으로 꺾여서 배출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판의 외부면은 제1노즐판의 외부면 보다 아랫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에는, 모발 관리 기구가 연결되는 일측은 에어가 유입되도록 개방되고 타측 중앙에 고정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제1통과홈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본체의 가이드홈에 끼워져 방향전환부에 장착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방향조절부의 좌우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장입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의 내벽면에는 에어를 에어통과홀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에어유도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에는, 일측 중앙에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체결홈의 상하에 방향조절부의 장입돌기가 끼워지는 장입홈이 형성되며, 타측에 좌측 에어배출홀 또는 우측 에어배출홀을 개폐시키기 위한 방향조절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방향전환부 사이에는 방향전환부가 임의대로 회전되지 않도록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회전정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정지부재에는, 상,하에 방향전환부의 장착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장착홈이 형성되며, 양쪽에 본체의 걸림홈에 걸려 방향전환부가 회전위치에서 임의대로 회전되지 않고 일시 정지될 수 있도록 일시정지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KR1020220036059A 2022-03-23 2022-03-23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KR102510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059A KR102510111B1 (ko) 2022-03-23 2022-03-23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059A KR102510111B1 (ko) 2022-03-23 2022-03-23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111B1 true KR102510111B1 (ko) 2023-03-14

Family

ID=8550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059A KR102510111B1 (ko) 2022-03-23 2022-03-23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084B1 (ko) * 2023-08-17 2023-12-05 서정섭 헤어 컬링용 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984A (ko) 2016-03-24 2018-11-09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휴대용 기구를 위한 부착물
KR102179911B1 (ko) * 2014-03-20 2020-11-17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휴대용 기구를 위한 부착물
GB2601723A (en) * 2020-09-30 2022-06-15 Dyson Technology Ltd Haircare applia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911B1 (ko) * 2014-03-20 2020-11-17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휴대용 기구를 위한 부착물
KR20180121984A (ko) 2016-03-24 2018-11-09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휴대용 기구를 위한 부착물
GB2601723A (en) * 2020-09-30 2022-06-15 Dyson Technology Ltd Haircare applian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ina Yong, "Trying The NEW Dyson Airwrap- is it worth it?", Youtube, [online], 2022.03.17, <URL:https://youtu.be/6jv1J5BplGA>*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084B1 (ko) * 2023-08-17 2023-12-05 서정섭 헤어 컬링용 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053153U (zh) 热定型器具和用于头发护理器具及热定型器具的附件
EP4072372B1 (en) Haircare unit
RU2652925C1 (ru) Насадка для ручного 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US6199295B1 (en) Variable-configuration hair dryer and nozzle
KR101932158B1 (ko) 헤어 드라이기
KR102510111B1 (ko)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JP2005246065A (ja) 手持ち式ドライア用空気脈動化取付具
US8915256B2 (en) Combined device for treating hair
EP2547229B1 (en) Accessory for hair treatment device
KR19990087132A (ko) 헤어 스타일링을 위한 장치
EP3530139B1 (en) Hairdressing apparatus
KR20100086409A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장치
US20230014059A1 (en) Head for curling hair and hair styling device having the same
CN111560760B (zh) 送风装置的喷嘴
US6053181A (en) Instrument for styling hair
KR200475837Y1 (ko) 헤어 브러쉬 조립체
JP7000059B2 (ja) ヘアドライヤー用ブラシ、およびブラシ付ヘアドライヤー
KR101771206B1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KR200489452Y1 (ko) 고데기 겸용의 헤어 드라이기
CN110959975B (zh) 风筒结构及卷发装置
KR200492670Y1 (ko) 헤어 드라이어용 롤러 노즐 장치
KR102415169B1 (ko) 헤어 미용 장치
CN220403369U (zh) 一种双向可调的风吸直发风嘴
KR102610084B1 (ko) 헤어 컬링용 툴
GB2315019A (en) Hair drier with adjustable air flow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