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158B1 - 헤어 드라이기 - Google Patents

헤어 드라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158B1
KR101932158B1 KR1020170098457A KR20170098457A KR101932158B1 KR 101932158 B1 KR101932158 B1 KR 101932158B1 KR 1020170098457 A KR1020170098457 A KR 1020170098457A KR 20170098457 A KR20170098457 A KR 20170098457A KR 101932158 B1 KR101932158 B1 KR 101932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ow path
air
hair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기
Original Assignee
김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기 filed Critical 김창기
Priority to KR102017009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158B1/ko
Priority to PCT/KR2018/008647 priority patent/WO201902721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122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의 건조하면서 모발을 스타일링 하는 고데기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부와 본체부가 교차 연결되는 구조의 헤어 드라이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일측에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는 공기가 흐르는 중공의 제1 유로를 형성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강제 유입시켜 상기 제1 유로를 따르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타측 단부와 교차하면서 연결되는 중공의 통 형상의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과 이중 통 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외부는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유로를 형성하고 내부는 중공의 제3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3 유로의 일측 개구부에는 공기 유출구를 제공하는 제3 하우징; 및 상기 제2 유로와 상기 제3 유로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3 하우징을 관통하며 내벽면이 상기 공기 유출구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제1 토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어 드라이기{Hair dryer}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발을 드라이함과 동시에 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 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을 손질하기 위한 기구로서 헤어 드라이기와 헤어 고데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헤어 드라이기는 젖은 모발을 말리기 위해 사용되는 가전 도구로서, 내부에 장착된 발열부에서 나오는 열을 송풍팬으로 송출해 줌으로써, 젖은 모발을 뜨거운 바람을 통해 말리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헤어 고데기는 말린 모발을 펴주거나 모양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가전 도구로서, 열이 가해지는 한 쌍의 제3 하우징에 모발을 삽입시켜 다림질하듯 모발을 펴주거나 모양을 내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헤어 드라이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헤어 고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헤어 드라이기(10)는 원통형의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12)와, 상기 몸체(11)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13)과, 상기 송풍팬(13)의 전방에 설치되는 발열 코일(1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1)의 선단부에는 바람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노즐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헤어 드라이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송풍팬(13)과 발열 코일(14)이 작동하여 열풍 또는 냉풍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젖은 모발을 말린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헤어 고데기(20)는 일단에 구비된 힌지를 중심 축으로 상호 회동하여 타단이 면 밀착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몸체(21,22)와, 상기 제1 및 제2 몸체(21,22)의 상호 면 밀착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열을 발산하는 제3 하우징(23)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헤어 고데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3 하우징(23) 사이에 모발이 삽입되도록 집은 후 모발의 양측에서 다림질을 하듯이 쓸어내려 모발을 펼치거나 컬(curl)을 부여하여 스타일링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각각 독립된 구성과 기능을 갖는 드라이기와 고데기는 모두 기구를 가열된 공기와 제3 하우징을 이용하여 머리를 손질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 작동원리에 유사한 점이 있다. 상기 드라이기와 고데기는 모두 머리를 손질하기 사용한다는 유사한 목적을 갖지만, 별도의 물품으로 존재하였기 때문에 가정이나 미용실에서 두 가지 물품을 모두 구비해야 했으며, 이에 따른 관리의 어려움과 경제적 손실이 이중으로 들어가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 한국공개특허 10-2016-0124351호에는 '고데기 겸용 헤어드라이어'가 소개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의 고데기 겸용 드라이기는 드라이기 용도의 헤드부와, 고데기 용도의 본체부가 별도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데기 겸용 드라이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헤드부를 분리한 본체부만으로 고데기 용도로 사용하거나, 헤드부를 본체부에 결합하여 드라이기 용도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이들의 결합과 분리에 따른 사용상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의 고데기 겸용 드라이기는 분리 또는 결합 여부에 따라 용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드라이 용도와 고데기 용도로 동시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6-0124351호(2016.10.27.출원공개, 고데기 겸용 헤어드라이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사용자 조작이 없더라도 드라이 및 스타일링이 동시에 가능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데기 기능의 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 드라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부의 일측에 손잡이부가 결합되는 구조의 헤어 드라이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일측에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는 공기가 흐르는 중공의 제1 유로를 형성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강제 유입시켜 상기 제1 유로를 따르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과 교차하면서 연결되는 중공의 통 형상의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과 이중 통 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외부는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유로를 형성하고 내부는 중공의 제3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3 유로의 일측 개구부에는 공기 유출구를 제공하는 제3 하우징; 및 상기 제2 유로와 상기 제3 유로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3 하우징을 관통하며 내벽면이 상기 공기 유출구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제1 토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토출공은 상기 제3 하우징의 길이 방향 및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며,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슬릿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공기 유출구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어 드라이기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공은 상기 제3 하우징을 관통하면서 다수개가 시계 방향으로 연속하는 시계 방향 제1 토출공과, 다수개가 반시계 방향으로 연속하는 반시계 방향 제1 토출공으로 분리되고, 다수의 제3 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3 하우징의 외표면을 감싸면서 상기 제3 하우징과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4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하우징 또는 상기 제4 하우징의 원주 방향 회전으로 상기 제3 토출공이 상기 시계 방향 제1 토출공 또는 상기 반시계 방향 제1 토출공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기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의 상기 제1 유로 끝단에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는 방향 제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3 유로의 타측 개구부에 모발 흡입구를 더 제공하고, 제2 하우징 또는 상기 제3 하우징의 상기 모발 흡입구 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2 유로와 상기 제3 유로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3 하우징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며, 내벽면이 상기 공기 유출구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제2 토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하우징은 발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의 상기 제1 유로 상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발열 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단히 조작할 수 있으며, 모드 변경과 같은 별도의 조작이 없어도 드라이 및 스타일링이 동시에 이루어져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헤어 드라이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헤어 고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헤어 드라이기를 나타낸 I-I 방향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주요부인 제3 하우징을 펼쳐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의 헤어 드라이기를 나타낸 Ⅱ-Ⅱ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헤어 드라이기의 공기 회전 방향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헤어 드라이기의 변형 사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헤어 드라이기의 공기 회전 방향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헤어 드라이기를 나타낸 I-I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주요부인 제3 하우징을 펼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헤어 드라이기를 나타낸 Ⅱ-Ⅱ 방향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기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손잡이부(100)와, 상기 손잡이부(100)의 일측 단부에서 대략 'T' 형상으로 교차하도록 연결되며 모발의 드라이와 스타일링이 이루어지는 본체부(200)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손잡이부(100)는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기를 강제 유입시켜 본체부(200)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한 손잡이부(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중공의 제1 하우징(110)으로 구성되고, 제1 하우징(110)의 하측 단부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11)가 형성되며, 상측 단부에는 본체부(200)가 연결되면서 내부가 본체부(200)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제1 하우징(110)은 공기 유입구(111)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서 내부 통로를 따라 공기의 강제 흐름이 이루어지는 제1 유로(120)를 형성한다.
상기 제1 하우징(110)은 손잡이부(100)의 외부 케이스를 형성하며,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 절연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10)은 외부에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 스위치(1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드라이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구동모듈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듈은 구동모터를 갖는 송풍팬(130)를 포함할 수 있고, 특히, 후술하는 본체부(200)의 제3 하우징(220)을 가열하면서 온도를 제어하는 발열 제어모듈(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구동모듈은 내부에 흐르는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 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발열 코일은 상기 발열 제어모듈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듈의 제어는 조작 스위치(112)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200)는 모발을 내부로 유입시켜 드라이와 스타일링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본체부(200)는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을 이루면서 내부는 드라이와 스타일링이 이루어지는 원통형 공간의 제3 유로(240)를 형성하고, 일측 단부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 유출구(260)를 제공하며, 타측 단부는 공기와 함께 모발이 내부로 흡입되는 모발 흡입구(250)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부(200)는 중앙 영역 일측에 손잡이부(100)와 연결되며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된다.
상기 본체부(200)는 외통의 제2 하우징(210)과 내통의 제3 하우징(220)이 소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이중의 원통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제2 하우징(210)과 제3 하우징(220) 사이에는 손잡이부(100)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유로(23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 유로(230)는 손잡이부(100)의 제1 유로(120)와 연통되면서 전체적으로 'T'형상의 공기 흐름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2 하우징(210)은 본체부(200)의 외부 케이스를 형성하고,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 절연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100)의 제1 하우징(110)과 일체형을 이룰 수도 있다.
상기 제3 하우징(220)은 제2 하우징(210)의 내측에서 제2 하우징(210)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결합된다. 상기 제3 하우징(220)은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 절연 수지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하우징(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3 하우징(220)은 발열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3 하우징(220)은 발열 제어모듈에 의하여 가열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상기 제3 하우징(220)은 제2 유로(230)의 공기가 제3 유로(240)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제3 하우징(220)은 제2 유로(230)와 제3 유로(240)를 연통시키는 제1 토출공(221)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토출공(221)은 제3 하우징(220)의 원형 벽면을 따라 길이 방향 및 원주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다수개 형성되며,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가늘고 긴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토출공(221)을 통하여 제2 유로(230)에서 제3 유로(240) 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제3 유로(240) 공간으로 토출됨과 동시에 일측 방향(x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흐르게 된다. 이를 위한 제1 토출공(221)은 내벽면(221a)이 공기 유출구(260)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부(100) 외부에서 공기 유입구(111)를 통하여 강제 유입된 공기는 제1 하우징(110) 내부의 제1 유로(120)를 따라 본체부(200) 방향(y 방향)으로 흐르면서 제2 유로(230)로 유입되고, 제2 유로(230) 공간에서 압축되는 공기는 제1 토출공(221)을 통하여 제3 유로(240)로 토출되면서 흐름 방향이 공기 유출구(260) 방향(x 방향)으로 전환되어 본체부(200)의 공기 유출구(260)를 통하여 다시 외부로 유출된다.
또한, 상기 제1 토출공(221)은 제3 하우징(220)의 표면에서 공기 유출구(260) 방향(x 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1 토출공(221)들은 제3 하우징(220)의 내면을 따라 회전하는 나선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사선 방향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이룰 수 있고, 제1 토출공(221)의 내벽면(221a)도 사선 방향으로 경사를 갖는다. 따라서 제1 토출공(221)은 제3 유로(240)로 토출되는 공기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흐르도록 한다. 이와 같이 토출되는 공기가 나선형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의 흐름에 따른 방향으로 모발을 스타일링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하우징(220)은 모발 흡입구(250) 측에서 제2 유로(230)와 제3 유로(240)를 연통시키는 제2 토출공(222)을 형성한다. 본체부(200)의 상기 모발 흡입구(250)는 사용자의 두피에 근접되어 모발이 흡입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2 토출공(222)은 공기 유출구(260) 방향(x 방향)의 제3 유로(240)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모발을 제3 유로(240) 내부로 흡입시킨다. 이를 위한 제2 토출공(222)은 제3 하우징(220)의 모발 흡입구(250) 측 가장자리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다수개 형성되고, 원 형상을 이루면서 내벽면(222a)은 공기 유출구(260) 방향의 경사를 이룬다. 이때, 제2 토출공(222)은 모발이 효율적으로 흡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두피에 근접되어야 하므로, 가능한 제3 하우징(220)의 모발 흡입구(250) 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토출공(222)은 제2 유로(230) 및 제3 유로(240)를 관통한다면 제2 하우징(210)에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헤어 드라이기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손잡이부(100)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130)이 구동되고, 공기 유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제1 유로(120), 제2 유로(230) 및 제3 유로(240)를 거쳐 공기 유출구(260)로 강하게 유출된다. 이러한 공기의 강제 흐름(A)에 따라 제3 유로(240) 내부에서는 모발 흡입구(250)로부터 유입되는 다른 공기의 흐름(B)이 유도된다. 즉, 송풍팬(130)에 의하여 제3 유로(240) 내에서 공기 유출구(260) 방향으로 유출되는 공기의 흐름(A)에 유도되어 모발 흡입구(250)로부터 다른 공기가 유입되고, 유도 공기의 흐름(B)에 따라 모발이 함께 제3 유로(240) 내부로 흡입된다. 이러한 유도 공기의 흐름(B)은 제2 유로(230)에서 제3 유로(240)로 경사 방향(즉, 공기 유출구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1 및 제2 토출공(221,222)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제2 토출공(222)은 제3 하우징(22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외부 공기와 모발에 대한 강한 흡입력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모발의 흡입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기는 본체부(200) 내부의 제3 유로(240)에 모발 흡입구(250)에서 공기 유출구(260)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고, 이러한 공기의 흐름에 따라 모발(H)도 함께 흡입된다. 또한, 제3 유로(240) 내부로 흡입된 모발(H)은 제3 하우징(220)의 내부 표면을 따라 밀착된다. 또한, 제3 유로(240)를 흐르는 공기는 발열판으로 이루어지는 제3 하우징(220)에 의하여 모발을 드라이 시키기에 충분한 온도를 갖는다. 또한, 드라이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1 유로(120)를 흐르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발열 코일이 제1 하우징(110) 내부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헤어 드라이기를 두피로부터 점차 이격시키게 되고, 이 과정에서 모발은 제3 유로(240)를 흐르는 공기에 의하여 드라이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3 하우징(220)에 밀착되어 펼쳐지면서 제3 하우징(220) 내부의 곡면 형상을 따라 회전하는 컬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기는 간편한 사용으로 드라이와 스타일링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헤어 드라이기의 공기 회전 방향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헤어 드라이기의 변형 사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헤어 드라이기의 공기 회전 방향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기는 제3 하우징(220)의 외면에 제4 하우징(270)이 더 결합되고, 제3 하우징(220)에는 제1 토출공(221)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양 방향으로 모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3 하우징(220)의 외부 표면 즉, 제2 유로(230) 공간에서 제4 하우징(270)이 제3 하우징(220)에 밀착되면서 결합된다. 또한, 제3 하우징(220)에는 제2 유로(230)와 제3 유로(240)를 연통시키는 제1 토출공(221)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토출공(221)은 시계 방향의 나선형을 이루는 다수의 제1 토출공(221-1)과, 반시계 방향의 나선형을 이루는 다수의 제1 토출공(221-2)으로 구성된다. 이때, 각 방향의 제1 토출공(221-1,221-2)에 있어서 내벽면도 해당 토출공의 나선 방향을 따라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4 하우징(270)은 제3 하우징(220)의 표면에 밀착 결합되어 제3 하우징(220)의 특정 방향의 제1 토출공(221-1,221-2)을 막거나 개방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한 제4 하우징(270)은 제3 하우징(220)과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4 하우징(270)에도 제3 하우징(220)의 제1 토출공(221)에 대응하는 제3 토출공(271)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4 하우징(270)의 제3 토출공(271)도 양 방향의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시계 방향의 나선형을 이루는 다수의 제3 토출공(271-1)과, 반시계 방향의 나선형을 이루는 다수의 제3 토출공(271-2)으로 구성된다. 특히, 제4 하우징(270)의 제3 토출공(271)은 제3 하우징(220)의 제1 토출공(221)에 대하여 어느 한 방향의 토출공이 서로 일치하면 다른 방향의 토출공은 서로 불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하우징(220) 또는 제4 하우징(270)은 소정의 회전각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시계 방향의 제1 토출공(221-1)과 제3 토출공(271-1)이 일치되어 제2 유로(230)와 제3 유로(240)가 연통되고, 이때, 반시계 방향의 제1 토출공(221-2)과 제3 토출공(271-2)은 서로 불일치되어 제2 유로(230)와 제3 유로(240)를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유로(230)에서 제3 유로(240)로 토출되는 공기는 서로 일치하여 연통되는 시계 방향의 제1 토출공(221-1)과 제3 토출공(271-1)의 방향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토출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하우징(220) 또는 제4 하우징(270)은 소정의 회전각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반시계 방향의 제1 토출공(221-2)과 제3 토출공(271-2)이 일치되어 제2 유로(230)와 제3 유로(240)가 연통되고, 이때, 시계 방향의 제1 토출공(221-1)과 제3 토출공(271-1)은 서로 불일치되어 제2 유로(230)와 제3 유로(240)를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유로(230)에서 제3 유로(240)로 토출되는 공기는 서로 일치하여 연통되는 반시계 방향의 제1 토출공(221-1)과 제3 토출공(271-1)의 방향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제3 하우징(220) 또는 제4 하우징(270)의 슬라이딩 회전은 제2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는 슬라이딩 제어 스위치(273)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제어 스위치(273)는 제3 하우징(220) 또는 제4 하우징(270)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딩 제어 스위치(273)를 조작하여 시계 방향의 제1 토출공(221-1)과 제3 토출공(271-1)을 일치시키거나 반시계 방향의 제1 토출공(221-2)과 제3 토출공(271-2)을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공들은 시계 방향의 제1 토출공(221-1)과 제3 토출공(271-1)이 일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으로 제3 하우징(220) 또는 제4 하우징(270)이 회전함에 따라 시계 방향의 제1 토출공(221-1)과 제3 토출공(271-1)이 일치되는 면적은 점차 감소됨과 동시에 반시계 방향의 제1 토출공(221-2)과 제3 토출공(271-2)이 일치되기 시작하면서 그 면적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유로(230)에서 제3 유로(240)로 토출되는 공기는 그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연속적·순차적으로 변하게 되고, 사용자는 제3 하우징(220) 또는 제4 하우징(270)의 회전각을 조절하여 공기의 회전 방향이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결국, 이는 제3 유로(240) 내부로 흡입되는 모발의 컬링을 제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스타일의 모발을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기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 제어 플레이트(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 제어 플레이트(140)는 본체부(200)와 연통되는 제1 유로(120)의 끝단에 구비되어 제2 유로(230)로 공급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한다. 방향 제어 플레이트(140)는 제1 유로(120)에서 제2 유로(23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 방향을 제어하며, 도 9와 같이 시계 방향의 회전을 유도하거나, 도 11과 같이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유도한다. 이와 같이 제2 유로(230)로 유입되는 공기의 회전은 제2 유로(230)에서 제3 유로(240)로 토출되는 공기의 회전과 함께 나선형의 공기 흐름을 더욱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제어 플레이트(140)의 제어는 손잡이부(100)의 일측에 마련되는 방향 제어 스위치(141)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손잡이부 110 : 제1 하우징
120 : 제1 유로 130 : 송풍팬
140 : 방향 제어 플레이트 111 : 공기 유입구
200 : 본체부 210 : 제2 하우징
220 : 제3 하우징 230 : 제2 유로
240 : 제3 유로 250 : 모발 흡입구
260 : 공기 유출구 221 : 제1 토출공
222 : 제2 토출공
270 : 제4 하우징 271 : 제3 토출공

Claims (9)

  1. 본체부의 일측에 손잡이부가 결합되는 구조의 헤어 드라이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일측에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는 공기가 흐르는 중공의 제1 유로를 형성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강제 유입시켜 상기 제1 유로를 따르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과 교차하면서 연결되는 중공의 통 형상의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과 이중 통 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외부는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유로를 형성하고 내부는 중공의 제3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3 유로의 일측 개구부에는 공기 유출구를 제공하는 제3 하우징;
    상기 제2 유로와 상기 제3 유로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3 하우징을 관통하며 내벽면이 상기 공기 유출구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고, 다수개가 시계 방향으로 연속하는 시계 방향 제1 토출공과, 다수개가 반시계 방향으로 연속하는 반시계 방향 제1 토출공으로 분리되는 다수의 제1 토출공; 및,
    다수의 제3 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3 하우징의 외표면을 감싸면서 상기 제3 하우징과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4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하우징 또는 상기 제4 하우징의 원주 방향 회전으로 상기 제3 토출공이 상기 시계 방향 제1 토출공 또는 상기 반시계 방향 제1 토출공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기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공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슬릿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의 상기 제1 유로 끝단에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는 방향 제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3 유로의 타측 개구부에 모발 흡입구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제2 하우징 또는 상기 제3 하우징의 상기 모발 흡입구 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2 유로와 상기 제3 유로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3 하우징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며, 내벽면이 상기 공기 유출구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제2 토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은,
    발열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의 상기 제1 유로 상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발열 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기.
KR1020170098457A 2017-08-03 2017-08-03 헤어 드라이기 KR101932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457A KR101932158B1 (ko) 2017-08-03 2017-08-03 헤어 드라이기
PCT/KR2018/008647 WO2019027211A1 (ko) 2017-08-03 2018-07-30 헤어 드라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457A KR101932158B1 (ko) 2017-08-03 2017-08-03 헤어 드라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158B1 true KR101932158B1 (ko) 2018-12-26

Family

ID=65006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457A KR101932158B1 (ko) 2017-08-03 2017-08-03 헤어 드라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2158B1 (ko)
WO (1) WO20190272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4302A1 (en) 2020-05-08 2021-11-11 Koninklijke Philips N.V. Hair dryer
EP3906808A1 (en) 2020-05-08 2021-11-10 Koninklijke Philips N.V. Hair dryer
PL4178394T3 (pl) * 2020-07-07 2024-04-29 Koninklijke Philips N.V. Suszarka do włosów
EP3935993A1 (en) * 2020-07-07 2022-01-12 Koninklijke Philips N.V. Hair dryer
GB2598924B (en) * 2020-09-18 2024-04-03 Dyson Technology Ltd Attachment for a haircare appliance
CN112869327B (zh) * 2020-12-26 2023-04-25 上海派爱德科技有限公司 一种吹风机的风道系统
KR102554855B1 (ko) 2021-07-15 2023-07-13 주식회사 유닉스 헤어컬용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USD1021238S1 (en) 2022-06-02 2024-04-02 Sharkninja Operating Llc Hair care appli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385Y1 (ko) * 2012-04-05 2012-11-05 하상환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0190A (ja) * 1992-03-03 1993-09-17 Hitachi Ltd 遠心ファン
KR20100008631A (ko) * 2008-07-16 2010-01-26 오준희 파마머리용 헤어드라이어 캡
KR101246615B1 (ko) * 2010-11-12 2013-03-25 (주) 사람과나눔 헤어 드라이기
KR20160096888A (ko) * 2015-02-06 2016-08-17 탁월한아이디어발전소 협동조합 헤어드라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385Y1 (ko) * 2012-04-05 2012-11-05 하상환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7211A1 (ko)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158B1 (ko) 헤어 드라이기
EP2611329B1 (en) Hair styling device
JP6335171B2 (ja) コンセントレータ
JP4091913B2 (ja) 選択的に連結されたヘアドライヤー装置
EP3649885B1 (en) Wind velocity changing device and hair dryer
EP4072372B1 (en) Haircare unit
US20130133218A1 (en) Hair dryer
KR102012138B1 (ko) 모발 건조기
KR20110094774A (ko) 고데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KR20210034839A (ko) 헤어 스타일러
KR200475837Y1 (ko) 헤어 브러쉬 조립체
KR101774033B1 (ko) 참빗 헤어드라이기
KR102044975B1 (ko) 듀얼토출 헤어드라이어
KR102094417B1 (ko) 복합기능을 갖는 헤어 아이론
KR101721592B1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KR101771206B1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KR101713997B1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JP5192594B2 (ja) ヘアーカールドライヤー
KR200197508Y1 (ko) 브러쉬 겸용 헤어드라이기
KR200489452Y1 (ko) 고데기 겸용의 헤어 드라이기
KR102332679B1 (ko) 머리손질용 기능성 헤어 드라이기
KR20150017572A (ko) 헤어 컬링용 기구
WO2021224302A1 (en) Hair dryer
KR20190080056A (ko) 헤어 스타일러
KR102415169B1 (ko) 헤어 미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