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277A -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 - Google Patents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277A
KR20160000277A KR1020140077452A KR20140077452A KR20160000277A KR 20160000277 A KR20160000277 A KR 20160000277A KR 1020140077452 A KR1020140077452 A KR 1020140077452A KR 20140077452 A KR20140077452 A KR 20140077452A KR 20160000277 A KR20160000277 A KR 20160000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stewater
combustor
heat collecto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751B1 (ko
Inventor
장주태
Original Assignee
장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주태 filed Critical 장주태
Priority to KR1020140077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75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12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waste water or from condens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05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ly one medium being tubes having different orientations to each other or crossing the conduit for the other heat exchange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28F19/01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by using means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s from heat-exchange fluids, e.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18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removing contaminants, e.g. for dega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회수기의 선단에 폐수 속의 이물질을 제거, 연소시키는 필터연소기를 구비함으로써 폐수의 열회수 효율을 높인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회수기의 선단에 폐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필터로 걸러내는 동시에 필터에 걸린 이물질을 연소시켜 제거하는 필터연소기를 설치하여 열회수기에 이물질이 쌓이거나 이물질로 인해 열회수기가 고장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열 회수기의 기본 구성은 종래 일반적인 열회수기 본체와, 상기 열회수기의 폐수유입관 선단에 설치되는 필터연소기 및 상기 필터연소기에서 배출되는 연소된 재를 청소한 물을 저장하는 연소유량탱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는 필터연소기에 의해 머리카락, 섬유조각, 나뭇가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폐수가 폐수 열회수기 본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폐수가 흐르는 통로에 이물질이 적층되거나 통로를 막아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물질이 제거된 폐수는 청수유도관이 상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다단으로 설치된 열회수기에 유입되어 청수유도관 상면을 흘러가므로 청수유도관 상면에 폐수의 미세이물질이 쌓여 고착화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Wastewater heat collector with a filter combuster}
본 발명은 열회수기의 선단에 폐수 속의 이물질을 제거, 연소시키는 필터연소기를 구비함으로써 폐수의 열회수 효율을 높인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회수기의 선단에 폐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필터로 걸러내는 동시에 필터에 걸린 이물질을 연소시켜 제거하는 필터연소기를 설치하여 열회수기에 이물질이 쌓이거나 이물질로 인해 열회수기가 고장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폐수 열회수기는 목욕탕, 공장, 수영장, 양어장 등과 같이 다량의 온수를 사용하는 곳에서 버려지는 폐수의 열을 재활용하기 위한 장치로, 회수기 몸체 내부에 냉수가 통과하는 열교환관을 설치하고, 그 열교환관 외부로 목욕탕, 공장 등에서 방류되는 고온의 폐수를 유입시켜 폐수와 냉수 간에 열전달이 일어나도록 하여 냉수가 가열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폐수에는 기본적으로 머리카락, 섬유조각,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열회수기 내부에서 폐수가 흐르는 관 내부 또는 외부에 쌓여 열전달을 방해하고 열회수기의 고장원인이 되기도 한다.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열회수기 내부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홈이 형성된 회전스크류를 열교환파이프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각종 이물질이 포함된 폐수가 열교환파이프 내부로 흐를 때, 열교환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스크류가 회전하면서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열교환파이프 내부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시로 열 회수기를 분해하여 청소할 필요가 없고 열 회수율이 우수한 폐수 열 회수기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31033호(2006. 11. 13. 공고) '폐수 열 회수기'로 제시된 바 있다.
그리고, 열회수기 내부에 고압분사노즐 등을 설치하여 폐수가 흐르는 관 표면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폐수 열회수기도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폐수 열회수기의 이물질 청소, 제거방법은 폐수에 포함된 먼지, 모래, 진흙 등 슬러지화되는 미세한 이물질을 폐수유출관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열회수기 내부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머리카락이나 섬유조각, 나뭇가지 등의 이물질은 회전스크류나 고압분사노즐을 이용하더라도 제대로 제거되지 않아 열회수기 내부의 부품에 끼이거나 걸려 고장의 원인이 되거나 폐수가 흐르는 관의 표면에 적층되어 열회수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종래 폐수 열회수기에서는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열회수기의 작동을 멈추고 열회수기를 분리한 후 일일이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회수기 선단에 폐수에 포함된 머리카락, 섬유조각, 나뭇가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동시에 걸러진 이물질을 연소시켜 배출하는 필터연소기를 부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머리카락, 섬유조각, 나뭇가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폐수가 열회수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열 회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열 회수기의 기본 구성은 종래 일반적인 열회수기 본체와, 상기 열회수기의 폐수유입관(IN) 선단에 설치되는 필터연소기 및 상기 필터연소기에서 배출되는 연소된 재를 청소한 물을 저장하는 연소유량탱크(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부인 필터연소기의 구성은, 일측은 개방되고 다른 일측은 폐쇄된 원통형의 외관(10)과, 상기 외관의 내부에 삽입되며 일측은 개방되고 다른 일측은 폐쇄된 원통형의 내관(20)과, 상기 외관과 내관의 사이에 삽입 충전되는 단열재(I)와, 상기 내관의 내부에 삽입되며 일측은 개방되고 다른 일측은 폐쇄된 금속의 망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필터(30)와, 상기 필터 내부에 삽입되며 일측은 개방되고 다른 일측은 폐쇄된 원통형의 연소봉(40)과, 상기 연소봉 내부에 삽입되며 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히트코일(50)과, 상기 외관의 상부 일측에서부터 내관과 필터까지 관통하여 설치되는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유입구(A)과, 상기 외관의 폐쇄된 측면에서부터 내관과 필터까지 관통하여 설치되는 폐수가 배출되는 폐수배출구(B)과, 상기 외관과 내관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연소된 재를 청소한 물이 배출되는 연소유량배출구(100) 및 원형의 철판으로 중앙부는 상기 연소봉의 개방부와 용접 결합되며 상기 연소봉과 접하는 중앙부에는 공기가 통하는 다수 개의 통풍구와 상기 히트코일의 전원선 2가닥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관의 개방부에 끼워져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의 볼트고정부와 볼트로 결합되어 폐수의 유출을 막는 커버(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는 필터연소기에 의해 머리카락, 섬유조각, 나뭇가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폐수가 폐수 열회수기 본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폐수가 흐르는 통로에 이물질이 적층되거나 통로를 막아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물질이 제거된 폐수는 청수유도관이 상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다단으로 설치된 열회수기에 유입되어 청수유도관 상면을 흘러가므로 청수유도관 상면에 폐수의 미세이물질이 쌓여 고착화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열회수기 본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필터연소기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필터연소기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필터연소기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필터연소기에 연소유량탱크가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의 전체 구성도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는 먼저 필터연소기로 유입되어 필터연소기의 내부 필터에 의해 머리카락, 섬유조각, 나뭇가지 등의 이물질이 걸러진 후 열회수기로 유입되어 폐수의 열이 회수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회수기 본체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로, 본 발명의 열회수기 본체는 양측면에 청수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청소용물유입관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다수 개가 상하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다단으로 설치되되 청수통로가 형성된 다수개의 사각관체가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사각관체들 사이에는 양단부가 막힌 길이가 다른 사각봉이 설치되어 폐수가 흐르는 낙하공을 형성하는 청수유도관과, 상기 각 청수유도관 양측단부에 설치되고 다수 개의 횡판으로 공간이 구분되어 하부 청수유도관을 통과한 청수가 상부 청수유도관으로 흐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청수안내유도판과, 상기 청수안내유도판의 하측부에 설치되어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유입관과, 상기 청수안내유도판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배출관과, 상기 본체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유입관과, 상기 본체의 하측부에 설치되어 폐수가 배출되는 폐수배출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열회수기 본체는 본 출원인이 2014. 5. 13.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57108호로 출원한 '폐수열 회수기'와 동일한 구성으로, 종래 폐수 열회수기의 청수유도관을 상하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다단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청수유도관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청수유도관 상부를 흐르는 폐수 속의 이물질이 청수유도관 상부표면에 침전되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폐수열의 회수율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연소기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상기 도 3의 필터연소기의 단면도, 도 5는 필터연소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러한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연소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단 외부부터 내부로 가면서 외관(10), 단열재(I), 내관(20), 필터(30), 연소봉(40), 히트코일(50) 순으로 구성되며,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유입구(A)가 외관 개방부측 상단부에서 외관, 단열재, 내관 및 필터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폐수가 배출되는 폐수배출구(B)가 외관 폐쇄부측 측면에 외관, 단열재 및 내관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연소유량배출구(100)가 외관 하단부에 외관, 단열재 및 내관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외관, 내관, 필터 및 연소봉의 개방부를 막아 밀폐시키기 위한 커버(60)가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의 볼트고정부에 볼트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커버로 상기 외관, 내관, 필터 및 연소봉의 개방부를 막으면 본 발명의 필터연소기가 결합, 완성된다.
상기에서 폐수유입구(A)는 필터(3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반면 폐수배출구(B)는 필터(30)를 관통하지 않고 내관(20)을 관통하여 그 끝단이 필터와 내관 사이까지만 설치되어야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폐수가 열회수기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폐수배출구(B)는 상기 열회수기의 폐수유입관(IN)과 연결되어 필터연소기를 거친 폐수가 열회수기로 공급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필터연소기 각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외관(10)은 필터연소기의 외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한쪽 일측은 개방되고 다른 일측은 폐쇄된 원통형의 관이며, 상기 내관(20)은 상기 외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외관과 같이 일측은 개방되고 다른 일측은 폐쇄된 원통형의 관으로 상기 외관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외관(10)과 내관(20)을 분리하여 설치하는 이유는 외관과 내관 사이에 유리섬유 등의 단열재(I)를 충진하여 내관 내부의 히트코일(50)에서 발산하는 고온의 열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내관의 내부에는 금속의 그물망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필터(30)가 삽입 설치되는데, 필터도 상기 외관 및 내관과 동일하게 일측은 개방되고 다른 일측은 폐쇄된 원통형의 관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필터(30)는 상기 폐수유입구를 통해 필터 내부로 유입되는 폐수 속에 포함된 머리카락, 섬유조각, 나뭇가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정도의 미세한 그물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머리카락, 섬유조각, 나뭇가지 등과 같은 일정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이물질 이외에 진흙, 모래 등과 같은 미세 이물질들은 배출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폐수 속의 이물질들은 필터의 내측면에 걸려 추후 히트코일의 고열에 의해 연소된다.
그 다음, 상기 필터(30) 내부에는 히트코일(50)이 내부에 삽입, 설치된 원통형의 연소봉(40)이 삽입 설치되는데, 이러한 연소봉의 형상도 일측은 개방되고 다른 일측은 폐쇄된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연소봉(40) 몸체는 내부의 히트코일(50)을 교체하기 용이하도록 2단으로 구성하여 커플링으로 결합,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소봉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히트코일(50)은 나선형, 원형, 일자형 등 다양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재질은 니크롬, 구리, 알루미늄 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외관, 내관, 필터 및 연소봉의 개방부를 밀폐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커버(60)의 구성을 살펴보면, 커버의 형상은 외관에 대응하는 원형의 철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앙부에는 상기 연소봉(40)의 외주면이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소봉 중앙부와 접하는 부분에는 공기가 통하는 다수 개의 통풍구(6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풍구(61) 주위에는 상기 히트코일(50)의 전원선(51) 2가닥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히트코일전원선(51)은 상기 통풍구(61)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히트코일이 단선, 접촉불량 등으로 교체를 해야 할 경우에는 커버를 분리한 후 커버에 연결된 연소봉을 빼낸 다음 연소봉의 커플링을 분리해서 내부의 히트코일을 교체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60)의 통풍구(61)에는 히트코일에 의해 가열된 연소봉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S)가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필터연소기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필터연소기의 커버(60) 외측으로 외관의 개방부 외주면에 끼워져 용접으로 결합되는 제1플랜지(70)와 상기 제1플랜지와 대응하여 제1플랜지와 볼트로 결합되되 중앙부에는 상기 커버의 통풍구(61)에 대응하는 관통구(81)가 형성된 제2플랜지(80)를 추가로 구비하여 필터연소기 내부에 공급되는 폐수의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필터연소기의 용량이 작을 경우에는 상기한 커버(60)만으로도 필터연소기를 밀폐시킬 수도 있지만, 폐수의 양이 많아 필터연소기의 용량이 커질 경우에는 상기 커버만으로는 필터연소기 내부의 수압을 견디기 어려우므로 상기한 제1 및 제2플랜지를 이용하여 필터연소기의 밀폐를 강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필터연소기의 커버(60) 외측 또는 상기 제2플랜지(80)의 외측 중앙부에는 상기 연소봉 내부의 히트코일(50)에서 배출되는 열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물망으로 된 반구형의 안전커버(90)를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필터연소기 외부에 컨트롤러(C)를 설치하여 상기 히트코일(50)과 상기 온도센서(S)와 연결시켜 히트코일의 온도와 전류공급시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필터연소기에 연소유량탱크(T)가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연소유량탱크(T)는 필터연소기에서 연소된 이물질의 재가 포함된 물을 저장하고 재를 가라앉힌 후 열회수기의 폐수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연소유량탱크(T)와 필터연소기의 연소유량배출구(100)와의 개폐는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해 제어되는 자동개폐밸브(V)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소유량탱크(T)에는 연소유량탱크 내부를 대기와 통하게 하여 배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에어벤트(A/V), 연소유량탱크 내부의 공기를 필터링하는 에어필터(A/F), 연소유량탱크 내부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게이지(G)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열회수기 선단에 필터연소기를 설치하고, 상기 필터연소기 하단에는 연소유량탱크(T)를 연결, 설치하고 폐수를 필터연소기로 유입시킨다. 이 때 필터연소기 하부의 연소유량배출구(100)에 설치된 자동개폐밸브(V)는 잠긴 상태로 둔다.
상기 필터연소기의 폐수유입구(A)를 통해 필터연소기의 필터(30) 내부로 유입된 폐수는 필터(30) 내측면에 머리카락, 섬유조각, 나뭇가지 등의 이물질이 걸러진 다음 측면의 폐수배출구(B)로 배출되고, 상기 열회수기의 폐수유입관(IN)을 통해 열회수기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열회수기에 유입된 폐수는 청수유도관 상부를 흘러가면서 열교환에 의해 청수유도관 내부의 청수를 데운 다음 폐수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열회수공정이 끝나면 폐수유입구(A) 밸브와 폐수배출구(B) 밸브를 잠근 후 필터연소기 하부의 연소유량배출구(100)의 자동개폐밸브를 열어 필터연소기 내부의 폐수를 모두 배출시킨다.
그 다음, 컨트롤러(C)를 작동시켜 필터연소기의 히트코일(50)에 전류를 공급하여 히트코일의 온도를 300~400℃로 올려 필터(30)에 걸려있는 머리카락, 섬유조각, 나뭇가지 등의 이물질을 모두 연소시킨다. 상기 이물질이 모두 연소되면 재로 변하여 일부는 필터에 붙어있거나 내관으로 떨어지게 된다.
필터에 걸린 이물질이 모두 연소되면 필터연소기의 폐수유입구(A) 및 폐수배출구(B)를 열고, 폐수유입구(A)를 통해 청소용 물 또는 폐수를 공급해서 필터(30) 및 내관(20)에 붙어있는 미립의 재를 씻어내린다. 재가 포함된 물은 1차로 연소유량배출구(100)를 통해 연소유량탱크(T)로 대부분 배출되고 일부는 필터연소기의 폐수배출구(B)로 배출된다.
그리고, 연소유량탱크에 모인 재가 포함된 폐수는 일정 시간이 흘러 재가 가라앉으면 열회수기의 폐수배출관으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에 의하면 폐수 속의 머리카락, 섬유조각, 나뭇가지 등의 이물질은 필터연소기에 의해 걸러지는 동시에 연소되어 제거되며, 폐수 속의 나머지 미세한 이물질들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다단으로 설치된 청수유도관 상면을 따라 흘러가게 되어 청수유도관 상면에 미세한 이물질이 쌓이지 않고 배출되므로 폐수의 열회수율이 높아지게 된다.
10 : 외관 20 : 내관
30 : 필터 40 : 연소봉
41 : 커플링 50 : 히트코일
51 : 히트코일전원선 60 : 커버
61 : 통풍구 70 : 제1플랜지
80 : 제2플랜지 81 : 관통구
90 : 통풍커버 100 : 연소유량배출구
A : 폐수유입구 B : 폐수배출구
I : 단열재 S : 온도센서
T : 연소유량탱크 A/V : 에어벤트
A/F : 에어필터 V : 자동개폐밸브
G : 유량게이지 IN : 폐수유입관
P : 청수유도관

Claims (6)

  1. 양측면에 청수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청소용물유입관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다수 개가 상하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다단으로 설치되되 청수통로가 형성된 다수개의 사각관체가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사각관체들 사이에는 양단부가 막힌 길이가 다른 사각봉이 설치되어 폐수가 흐르는 낙하공을 형성하는 청수유도관과, 상기 각 청수유도관 양측단부에 설치되고 다수 개의 횡판으로 공간이 구분되어 하부 청수유도관을 통과한 청수가 상부 청수유도관으로 흐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청수안내유도판과, 상기 청수안내유도판의 하측부에 설치되어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유입관과, 상기 청수안내유도판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배출관과, 상기 본체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유입관과, 상기 본체의 하측부에 설치되어 폐수가 배출되는 폐수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폐수 열회수기에 있어서,
    일측은 개방되고 다른 일측은 폐쇄된 원통형의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부에 삽입되며, 일측은 개방되고 다른 일측은 폐쇄된 원통형의 내관과;
    상기 외관과 내관의 사이에 삽입, 충전되는 단열재와;
    상기 내관의 내부에 삽입되며, 일측은 개방되고 다른 일측은 폐쇄된 금속의 망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필터와;
    상기 필터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히트코일이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은 개방되고 다른 일측은 폐쇄된 원통형의 연소봉과;
    상기 외관의 상부 일측에서부터 내관과 필터까지 관통하여 설치되는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유입구와;
    상기 외관의 폐쇄된 측면에서부터 내관과 필터까지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폐수 열회수기의 폐수유입관으로 폐수를 배출, 공급하는 폐수배출구와;
    상기 외관과 내관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연소된 재를 청소한 물이 배출되는 연소유량배출구; 및
    원형의 철판으로, 중앙부는 상기 연소봉의 개방부와 용접 결합되며, 상기 연소봉과 접하는 중앙부에는 공기가 통하는 다수 개의 통풍구와 상기 히트코일의 전원선 2가닥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관의 개방부에 끼워져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의 볼트고정부와 볼트로 결합되어 폐수의 유출을 막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필터연소기가 상기 열회수기의 폐수유입관의 선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연소기의 연소봉 몸체는 커플링을 이용하여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내부의 히트코일의 고장 시 연소봉 몸체를 분리하여 히트코일을 교체, 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연소기에는 외관 개방부 외주면에 끼워져 용접으로 결합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볼트로 결합되되 중앙부는 상기 커버의 통풍구에 대응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제2플랜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연소기의 커버 외측 또는 상기 제2플랜지의 외측 중앙부에는 상기 연소봉 내부의 히트코일에서 배출되는 열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망으로 된 반구형의 안전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연소기에는 상기 히트코일과 상기 커버 외측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히트코일의 온도와 전류공급시간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컨트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연소기의 연소유량배출구와 연결되되, 상기 히트코일에 의해 연소된 이물질의 재를 청소한 물을 저장하는 연소유량탱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
KR1020140077452A 2014-06-24 2014-06-24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 KR101635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452A KR101635751B1 (ko) 2014-06-24 2014-06-24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452A KR101635751B1 (ko) 2014-06-24 2014-06-24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77A true KR20160000277A (ko) 2016-01-04
KR101635751B1 KR101635751B1 (ko) 2016-07-04

Family

ID=5516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452A KR101635751B1 (ko) 2014-06-24 2014-06-24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4329A (zh) * 2022-01-29 2022-05-27 中创科技孵化器泰州有限公司 一种原料废水过滤回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7796A (ja) * 1994-10-27 1996-05-14 Takazou Sakamoto 温泉水のスケール除去装置と温泉水を利用した熱交換装置
KR20010016031A (ko) * 2000-10-09 2001-03-05 김기석 셸튜브형 필터 및 자동제어 폐열회수 시스템
KR20090052084A (ko) * 2007-11-20 2009-05-25 (재)한국섬유기계연구소 폐열회수기의 오염물질 연소 제거장치
KR20140066682A (ko) * 2014-05-13 2014-06-02 장주태 폐수열 회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7796A (ja) * 1994-10-27 1996-05-14 Takazou Sakamoto 温泉水のスケール除去装置と温泉水を利用した熱交換装置
KR20010016031A (ko) * 2000-10-09 2001-03-05 김기석 셸튜브형 필터 및 자동제어 폐열회수 시스템
KR20090052084A (ko) * 2007-11-20 2009-05-25 (재)한국섬유기계연구소 폐열회수기의 오염물질 연소 제거장치
KR20140066682A (ko) * 2014-05-13 2014-06-02 장주태 폐수열 회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4329A (zh) * 2022-01-29 2022-05-27 中创科技孵化器泰州有限公司 一种原料废水过滤回收装置
CN114534329B (zh) * 2022-01-29 2023-11-03 中创科技孵化器泰州有限公司 一种原料废水过滤回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751B1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520785A (ja) 凝縮器におけるゴムボール洗浄の多点集中ボール放出システム
CN102679806B (zh) 凝汽器胶球清洗系统节能型装球并发球装置
CN108746181A (zh) 一种土壤修复设备及其工作方法
CN203494840U (zh) 用于耐腐蚀烟气余热换热器的在线循环清洗装置
WO2015196595A1 (zh) 一种燃油燃气锅炉节能器
CN211041021U (zh) 一种高效烟气余热回收装置
KR101635751B1 (ko) 필터연소기가 구비된 폐수 열회수기
CN210717514U (zh) 一种生物质燃料锅炉
CN206755135U (zh) 一种用于立式燃油蒸汽锅炉的节能换热装置
CN210138563U (zh) 一种填充式汽水分离器
CN212777386U (zh) 一种防污染型医疗垃圾焚烧炉
CN105964032A (zh) 一种用于热水器的过滤组件
KR101672517B1 (ko) 폐수열원 히트펌프 열교환기의 오염물질제거를 위한 전처리장치
CN209978074U (zh) 一种不停工在线清理管束堵塞的余热锅炉
CN206989165U (zh) 一种燃气节能蒸汽机
CN206330206U (zh) 农村小型多功能生物质能热气联产供暖装置
CN208983374U (zh) 一种三室rto废气处理装置
CN205925141U (zh) 一种水泵过滤装置
CN205699702U (zh) 一种无纺布生产用熔体过滤设备
CN103820155B (zh) 秸秆气化综合处理系统
CN220017409U (zh) 一种输灰系统过滤装置
CN204996752U (zh) 一种窑炉重油燃烧器清洗装置
CN109724061A (zh) 一种热能利用率高的工业锅炉
CN213207879U (zh) 一种焚烧装置烟气回收设备
CN209027262U (zh) 一种冻干机出水口加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