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242U - 캔들워머 - Google Patents

캔들워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242U
KR20160000242U KR2020140005225U KR20140005225U KR20160000242U KR 20160000242 U KR20160000242 U KR 20160000242U KR 2020140005225 U KR2020140005225 U KR 2020140005225U KR 20140005225 U KR20140005225 U KR 20140005225U KR 20160000242 U KR20160000242 U KR 201600002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height
support plate
main body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임
Original Assignee
김옥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임 filed Critical 김옥임
Priority to KR2020140005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242U/ko
Publication of KR201600002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2/00Systems of electric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공간(111)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캔들(10)이 안착되도록 평평한 지지판(112)이 배치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 일단이 체결되어 일정길이로 상향 연장형성되며, 타단에는 수나사산(121)이 형성된 연장관(120); 종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하로 개구된 통공(131)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관(120)의 타단부에 관통삽입되어 체결되는 전등갓(130); 상기 전등갓(130)의 상단 하부위치에 배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연장관(120)의 수나사산(121)과 치합되는 암나사산(141)이 내부에 형성된 체결관부(142)가 직립배치되어 상기 전등갓(130)의 하부면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연장관(120)의 타단에 체결되며, 양측에는 체결공(143)이 각각 형성된 하부지지쇠(140); 상기 하부지지쇠(14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143)에 회전결합되는 체결나사(151)에 의해 상기 하부지지쇠(140)에 체결되며, 하부에는 램프체결공이 형성된 소켓(150); 및 상기 소켓(150)의 램프체결공에 체결되어 하부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지지판(112)에 안착된 캔들(10)의 상부를 용융시키는 램프(160);를 포함하는 캔들워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캔들워머{Candle Warmer}
본 고안은 캔들워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에 안착된 캔들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발광열에 의해 가열된 캔들이 용융되면서 내부에 포함된 향기성분이 발향되도록 하는 캔들워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들워머는 할로겐 램프와 같이 고열을 발생시키는 빛을 제공하는 광원을 이용하여 아로마 등의 향기성분이 포함된 발향캔들에 빛을 조사하고 조사된 발광열에 의해 캔들의 상부를 용융시켜 상기 향기성분이 공기중으로 확산되면서 발향되도록 하는 가열장치이다.
종래의 캔들워머는, 캔들이 일측에 안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캔들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어 발광열을 발산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소켓과, 상기 램프와 소켓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램프에서 발산하는 빛과 열을 집중시키는 전등갓과, 상기 소켓이 전등갓에 체결되도록 하는 지지쇠 및, 상기 지지쇠가 일정 높이에 배치되도록 본체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장관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되었다.
여기서, 종래에는 상기 소켓, 전등갓, 지지쇠 및 연장관을 상호 체결시키기 위해 각 체결부위를 용접시키는 방식으로 조립되었는데, 이러한 용접 체결방식으로 인해 제품의 제조시간이 길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용접후 더미부분을 제거하고 용접부위의 산화방지를 위해 도료처리해야 하는 등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게 되어 제조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접 체결방식으로 각 구성품이 결합되기 때문에 다수 개의 구성품 중 일부 구성품에 기능고장이 발생하거나 훼손된 경우, 부분적인 정비가 곤란하여 제품 자체를 폐기처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효용가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시중에는 높낮이가 다른 다양한 크기의 캔들이 판매되고 있으며, 일반적을 캔들의 경우 용융되면서 파라핀 성분이 증발되어 상단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되나, 종래의 캔들워머의 경우 램프의 설치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높이가 낮은 캔들로 교체하거나 사용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캔들의 높이가 낮아질 수록 캔들의 상부로 전달되는 발광열이 감소되어 발향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53039호(2011.03.28), 양초의 불꽃 열을 이용한 방향제 훈증기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부의 상부에 램프가 배치되어 발광할 수 있도록 이를 지지하는 연장관, 전등갓, 하부지지쇠 및 소켓 등이 용접되지 않고 나사산이나 체결나사에 의한 회전결합으로 조립됨으로써 제조시간을 단축시키고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일부 구성품이 고장나거나 훼손되는 경우 쉽게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정비할 수 있어 경제적 효용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캔들워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공간(111)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캔들(10)이 안착되도록 평평한 지지판(112)이 배치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 일단이 체결되어 일정길이로 상향 연장형성되며, 타단에는 수나사산(121)이 형성된 연장관(120); 종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하로 개구된 통공(131)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관(120)의 타단부에 관통삽입되어 체결되는 전등갓(130); 상기 전등갓(130)의 상단 하부위치에 배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연장관(120)의 수나사산(121)과 치합되는 암나사산(141)이 내부에 형성된 체결관부(142)가 직립배치되어 상기 전등갓(130)의 하부면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연장관(120)의 타단에 체결되며, 양측에는 체결공(143)이 각각 형성된 하부지지쇠(140); 상기 하부지지쇠(14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143)에 회전결합되는 체결나사(151)에 의해 상기 하부지지쇠(140)에 체결되며, 하부에는 램프체결공이 형성된 소켓(150); 및 상기 소켓(150)의 램프체결공에 체결되어 하부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지지판(112)에 안착된 캔들(10)의 상부를 용융시키는 램프(160);를 포함하는 캔들워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등갓(130)의 상부위치에 배치되며, 중앙에는 상하로 개구되고 상기 수나사산(121)과 치합되는 암나사산(171)이 내부면에 형성된 통공(172)이 형성되어 상기 전등갓(130)의 상부면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연장관(120)의 타단에 관통삽입되어 체결되는 상부지지쇠(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워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는 상기 연장관(120)의 일단이 관통삽입되는 관통공(113)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113)의 상부 둘레에는 외부면에 수나사산(114)이 형성된 체결구(115)가 상향 돌출형성되고, 상기 체결구(115)의 상부에는 체결구(115)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향 연장된 가압편(116)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10)는, 중앙에 상기 체결구(115)의 수나사산(114)과 치합되는 암나사산(117)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115)에 회전결합되면서 각 가압편(116)을 내측으로 가압하는 회전너트(1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관(120)은, 상하로 배치된 일단이 일정길이로 상기 관통공(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너트(118)가 체결구(115)에 회전결합되면서 각 가압편(116)에 의해 외부면 둘레가 가압되어 삽입된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워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는 상기 관통공(113)을 중심으로 일정길이로 상향 융기된 형상을 가지며 상단에는 상기 체결구(115)가 형성된 지지부(119)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워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판(112)은,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수평배치되되, 상기 본체부(110)와 독립된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공간(111) 내에서 상기 지지판(112)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지지판(112)을 일정높이로 승강구동시키는 승강모듈(2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워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모듈(210)은, 직립배치되어 상단이 상기 지지판(112)의 하부에 체결되는 레크기어(211)와, 상기 내부공간(111) 내에서 상기 레크기어(211)와 치합되도록 수평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레크기어(211)를 승강시키는 피니언(212) 및, 상기 피니언(212)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피니언(212)이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13)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220); 및 상기 조작부(220)와 신호연결되며 수신된 사용자입력신호에 따라 설정된 높이로 상기 지지판(112)이 승강하도록 상기 구동모터(213)를 구동제어하는 제어회로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워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판(112)에 배치되어 지지판(112)에 안착되는 캔들(10)의 하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회로부(23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하중감지부(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부(230)에는 상기 캔들(10)의 하중변화량에 따른 지지판(112)의 높이설정 제어데이터가 기저장되며, 상기 하중감지부(24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로 캔들(10)의 현재 하중을 판단하고, 상기 높이설정 제어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현재 하중에 대응되는 설정높이로 상기 지지판(112)이 승강되도록 상기 구동모터(213)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워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10)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판(112)에 안착된 캔들(10)의 상단 위치의 현재 높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회로부(23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높이감지부(2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부(230)에는 상기 캔들(10)의 높이변화량에 따른 지지판(112)의 높이설정 제어데이터가 기저장되며, 상기 높이감지부(25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로 캔들(10)의 현재 높이를 판단하고, 상기 높이설정 제어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현재 높이에 대응되는 설정높이로 상기 지지판(112)이 승강되도록 상기 구동모터(213)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워머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 본체부(110)의 상부에 램프(160)가 배치되어 발광할 수 있도록 이를 지지하는 연장관(120), 전등갓(130), 하부지지쇠(140) 및 소켓(150) 등이 용접되지 않고 나사산이나 체결나사에 의한 회전결합으로 조립됨으로써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구성품이 고장나거나 훼손되는 경우 해당 구성품을 쉽게 교체하거나 정비할 수 있어 경제적 효용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램프(160)에서 발광되는 빛과 열을 집중시키는 전등갓(130)의 경우, 하부에 배치되어 연장관(120)의 타단에 회전결합되는 하부지지쇠(140)에 의해 하부면이 지지되고, 전등갓(130)의 상부면을 지지한 상태로 연장관(120)의 타단에 관통삽입되어 회전결합되는 상부지지쇠(170)에 의해 상부면이 지지되면서, 상기 하부지지쇠(140)와 상부지지쇠(170) 사이에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체결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등갓(130)의 유동이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연장관(120)의 경우, 상하로 배치된 일단이 일정길이로 본체부(110)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너트(118)가 체결구(115)에 회전결합되면서 각 가압편(116)에 의해 외부면 둘레가 가압되어 삽입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교체 또는 사용경과에 따라 캔들(10)의 높이가 변동되더라도 상기 회전너트(118)를 풀어 연장관(120)의 고정된 위치를 조절하여 램프(160)가 배치된 높이를 쉽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높이의 캔들(10)을 범용적으로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경과에 따른 캔들(10)의 높이변화와 무관하게 발향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넷째, 본체부(110)의 타측에는 연장관(120)이 삽입되는 관통공(113)을 중심으로 일정길이로 상향 융기된 형상을 갖는 지지부(119)가 돌출형성되므로, 상기 지지부(119)의 상향 연장된 높이만큼 상기 연장관(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섯째, 본체부(110) 상에서 캔들(10)이 안착되는 지지판(112)의 경우 본체부(110)의 일측에 수평배치되되 본체부(110)와 독립된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공간(111) 내에서 지지판(112)의 하부 위치에는 제어회로부(2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지지판(112)을 일정높이로 승강구동시키는 승강모듈(210)이 구비되므로, 상기 캔들(10)의 높이변화에 따라 지지판(112)이 배치된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여 최적의 발향을 위한 램프(160)와의 적정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너트(118)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캔들(10)의 높이변화와 무관하게 발향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승강모듈(210)의 경우 지지판(112)의 하부에 직립배치되는 레크기어(211)와, 상기 레크기어(211)를 회전시키는 피니언(212) 및, 상기 피니언(212)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13)로 구비되어, 조작부(220)를 조작하여 제어회로부(2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모듈(210)을 이용하여 지지판(112)의 높이를 자동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조작부(220)를 통해 사용자가 승강모듈(210)을 통해 지지판(112)의 높이를 임의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램프(160)와 캔들(10)과의 이격거리를 증감하여 발향되는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지지판(112)에는 캔들(10)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부(240)가 배치되며, 제어회로부(230)는 하중감지부(24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승강모듈(210)을 구동제어하여 사용경과에 따라 캔들(10)의 높이가 감소하면서 동시에 비례적으로 하중이 감소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지지판(112)의 높이가 적정수준으로 상승하도록 자동조절할 수 있으므로 캔들(10)의 높이변화와 무관하게 발향성능을 자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덟째, 상기 본체부(110)에는 캔들의 상단 위치의 현재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부(250)가 배치되며, 상기 제어회로부(230)는 높이감지부(25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승강모듈(210)을 구동제어하여 사용경과에 따라 캔들(10)의 높이가 감소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지지판(112)의 높이가 적정수준으로 상승하도록 자동조절할 수 있으므로 캔들(10)의 높이변화와는 무관하게 발향성능을 자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들워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들워머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들워머(100)는, 본체부(110)의 상부에 램프(160)가 배치되어 발광할 수 있도록 이를 지지하는 연장관(120), 전등갓(130), 하부지지쇠(140) 및 소켓(150) 등이 용접되지 않고 나사산이나 체결나사(151)에 의한 회전결합으로 조립됨으로써 제조시간을 단축시키고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경제적 효용가치를 극대화한 가열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 연장관(120), 전등갓(130), 하부지지쇠(140), 소켓(150) 및 램프(16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본체부(110)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들워머(100)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몸체로서, 후술되는 제어회로부(230) 및, 승강모듈(210)이 실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내부공간(111)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캔들(10)이 안착되도록 평평한 지지판(112)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램프(160)를 발광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원의 형태로 변환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연장관(120)은, 램프(160)가 일정높이로 상기 지지판(112)의 상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된 관로로서,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 일단이 체결되어 일정길이로 상향 연장형성되며, 타단에는 하부지지쇠(140)가 회전결합되기 위한 수나사산(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관(120)의 내부에는 양단이 관통된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을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이 관통삽입되어 연장관(120)의 타단 위치에 체결되는 소켓(150)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구동전원이 소켓(150)을 통해 램프(160)에 인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연장관(120)의 일측부는 상향 연장형성되다 중앙부가 측방향으로 절곡되고 타측부에 이르러서 하향 절곡되어 타단에 체결되는 램프(160)가 하부방향을 향해 빛과 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등갓(130)은, 램프(160)에서 발산되는 빛과 열이 하부에 배치된 캔들(10)을 향하도록 집중시키는 부재로서, 종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개구된 통공(131)이 형성되어 연장관(120)의 타단부에 관통삽입되어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등갓(130)의 내부면에는 측방향으로 발산하는 빛과 열이 하부방향으로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지지쇠(140)는, 전등갓(130)이 연장관(120)의 타단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전등갓(130)의 상단 하부위치에배치되고, 중앙에는 연장관(120)의 수나사산((121)과 치합되는 암나사산(141)이 내부에 형성된 체결관부(142)가 직립배치되어 상기 전등갓(130)의 하부면을 지지한 상태로 연장관(120)의 타단에 체결되며, 양측에는 상기 소켓(150)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공(14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소켓(150)은,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인가받아 램프(160)에 제공하는 부재로서, 상기 하부지지쇠(140)의 하부에 배치되어 체결공(143)에 회전결합되는 체결나사(151)에 의해 하부지지쇠(140)에 체결되며 하부에는 램프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램프(160)는, 소켓(150)에서 제공되는 구동전원을 인가받아 발광구동하면서 지지판(112)에 안착된 캔들(10)의 상부를 향해 빛과 열을 발산하는 발광수단으로서, 상기 소켓(150)의 램프체결공에 체결되어 하부방향으로 발광열을 발산하여 지지판(112)에 안착된 캔들(10)의 상부를 용융시킨다.
여기서, 상기 램프(160)로는 발광구동에 따라 고열을 발산하는 할로겐 램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밖에 LED나 백열등을 발열수단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램프(160)는 발광구동에 따라 빛과 함께 고열을 발산하며 발산된 열은 전등갓(130)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집중되어 지지판(112)에 안착된 캔들(10)의 상부를 가열하며, 가열에 따라 캔들(10)의 상부면이 용융되면서 내부에 포함된 향기성분이 대기중으로 확산되어 발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램프(160)에서 발산된 빛은 캔들(10)을 향해 발산되면서 본체부(110)의 상부나 캔들(10)에 입사되면서 주변을 밝히는 조명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체부(110)의 상부에 램프(160)가 배치되어 발광할 수 있도록 이를 지지하는 연장관(120), 전등갓(130), 하부지지쇠(140) 및 소켓(150) 등이 용접되지 않고 나사산(121,141)이나 체결나사(151)에 의한 회전결합으로 조립됨으로써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구성품이 고장나거나 훼손되는 경우 해당 구성품을 쉽게 교체하거나 정비할 수 있어 경제적 효용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충격에 의해 전등갓(130)이 내측으로 함몰되거나 찢어진 경우 상기 하부지지쇠(140)를 회전시켜 연장관(120)의 타단으로부터 탈거하는 것만으로도 용이하게 전등갓(130)을 분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등갓(130)을 교체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등갓(130)이 하부지지쇠(140)에 의해 지지되어 연장관(120) 상에 체결됨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쇠(140)에 의해 하부면만이 지지되기 때문에 외부 가압에 의해 측방향이나 상부방향으로 쉽게 유동되어 체결부위가 쉽게 마모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들워머(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등갓(130)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며, 중앙에는 상하로 개구되고 연장관(120)의 수나사산(121)과 치합되는 암나사산(171)이 내부면에 형성된 통공(172)이 형성되어 상기 전등갓(130)의 상부면을 지지한 상태로 연장관(120)의 타단에 관통삽입되어 체결되는 상부지지쇠(17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등갓(130)의 상부면을 지지한 상태로 연장관(120)의 타단에 관통삽입되어 회전결합되는 상부지지쇠(170)에 의해 상부면이 지지되면서 상기 하부지지쇠(140)와 상부지지쇠(170) 사이에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체결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등갓(130)의 마모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들워머(100)는, 지지판(112)에 안착되는 캔들(10)의 높이에 따라 램프(160)와 캔들(10)의 상부면과의 적정 이격거리가 유지되도록 연장관(1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는 상기 연장관(120)의 일단이 관통삽입되는 관통공(113)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113)의 상부 둘레에는 외부면에 수나사산(114)이 형성된 체결구(115)가 상향 돌출형성되고, 상기 체결구(115)의 상부에는 체결구(115)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향 연장된 가압편(11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는 중앙에 상기 체결구(115)의 수나사산(114)과 치합되는 암나사산(117)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115)에 회전결합되면서 각 가압편(116)을 내측으로 가압하는 회전너트(1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관(120)은 상하로 배치된 일단이 일정길이로 상기 관통공(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너트(118)가 체결구(115)에 회전결합되면서 각 가압편(116)에 의해 외부면 둘레가 가압되어 삽입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관(120)은 상하로 배치된 일단이 일정길이로 본체부(110)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너트(118)가 체결구(115)에 회전결합되면서 각 가압편(116)에 의해 외부면 둘레가 가압되어 삽입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교체 또는 사용경과에 따라 캔들(10)의 높이가 변동되더라도 상기 회전너트(118)를 풀어 연장관(120)의 고정된 위치를 조절하여 램프(160)가 배치된 높이를 쉽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높이의 캔들(10)을 범용적으로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캔들(10)의 높이변화와 무관하게 발향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는 연장관(120)이 삽입되는 관통공(113)을 중심으로 일정길이로 상향 융기된 형상을 갖는 지지부(119)가 돌출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19)의 상향 연장된 높이만큼 상기 연장관(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들워머(100)는, 본체부(110)의 지지판(112)을 승강구동시키는 승강모듈(210)이 구비되어, 캔들(10)이 교체되거나 사용경과에 따라 캔들(10)의 높이가 변동되더라도 상기 지지판(112)이 배치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램프(160)와 캔들(10)의 상부면과의 이격거리를 적정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12)은,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수평배치되되 상기 본체부(110)와 독립된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공간(111) 내에서 상기 지지판(112)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지지판(112)을 일정높이로 승강구동시키는 승강모듈(21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승강모듈(210)은, 직립배치되어 상단이 상기 지지판(112)의 하부에 체결되는 레크기어(211)와, 상기 내부공간(111) 내에서 상기 레크기어(211)와 치합되도록 수평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레크기어(211)를 승강시키는 피니언(212) 및, 상기 피니언(212)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피니언(212)이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13)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캔들(10)의 높이변화에 따라 지지판(112)이 배치된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여 램프(160)와의 적정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너트(118)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캔들(10)의 높이변화와 무관하게 발향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220) 및, 상기 조작부(220)와 신호연결되며 수신된 사용자입력신호에 따라 설정된 높이로 상기 지지판(112)이 승강하도록 상기 구동모터(213)를 구동제어하는 제어회로부(23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2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221)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임의대로 지지판(11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신호를 출력하며, 케이블(222)을 통해 본체부(110)의 내부에 실장된 제어회로부(230)와 신호연결되어 사용자입력신호는 제어회로부(230)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230)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들워머(100)의 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내부공간(111) 내에 회로구성되는 마이컴으로서,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모터(213)를 제어하기 위한 기초데이터로 이용한다. 이와 같이, 조작부(220)를 통해 사용자가 승강모듈(210)을 통해 지지판(112)의 높이를 임의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램프(160)와 캔들(10)과의 이격거리를 증감하여 발향되는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조작부(220)에는 승강모듈(210)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221) 이외에 램프(160)의 발광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버튼(221)이 함께 구비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램프(160)로부터 발산하는 빛의 세기를 제어하여 빛의 발광에 따른 향기성분이 발향되는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모듈(210)은 지지판(112)에 안착되는 캔들(10)의 하중에 따라 지지판(112)의 높이가 자동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판(112)에 배치되어 지지판(112)에 안착되는 캔들(10)의 하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회로부(23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하중감지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230)에는 상기 캔들(10)의 하중변화량에 따른 지지판(112)의 높이설정 제어데이터가 기저장되며, 상기 하중감지부(24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로 캔들(10)의 현재 하중을 판단하고, 상기 높이설정 제어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현재 하중에 대응되는 설정높이로 상기 지지판(112)이 승강되도록 상기 구동모터(213)를 구동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회로부(230)는 하중감지부(24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승강모듈(210)을 구동제어하여 사용경과에 따라 캔들(10)의 높이가 감소하면서 동시에 비례적으로 하중이 감소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지지판(112)의 높이가 적정수준으로 상승하도록 자동조절할 수 있으므로 캔들(10)의 높이변화와 무관하게 발향성능을 자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하중감지부(240) 이외에 지지판(112)에 배치된 캔들(10)의 상단 위치를 감지하여 캔들(10)의 높이변화에 따라 지지판(112)의 높이가 자동조절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들워머(100)는, 상기 본체부(110)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판(112)에 안착된 캔들(10)의 상단 위치의 현재 높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회로부(23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높이감지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230)에는 상기 캔들(10)의 높이변화량에 따른 지지판(112)의 높이설정 제어데이터가 기저장되며, 상기 높이감지부(25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로 캔들(10)의 현재 높이를 판단하고, 상기 높이설정 제어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현재 높이에 대응되는 설정높이로 상기 지지판(112)이 승강되도록 상기 구동모터(213)를 구동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회로부(230)는 높이감지부(25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승강모듈(210)을 구동제어하여 사용경과에 따라 캔들(10)의 높이가 감소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지지판(112)의 높이가 적정수준으로 상승하도록 자동조절할 수 있으므로 캔들(10)의 높이변화와는 무관하게 발향성능을 자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캔들 100...캔들워머
110..본체부 111...내부공간
112...지지판 120...연장관
121...수나사산 130...전등갓
140...하부지지쇠 142...체결관부
143...체결공 150...소켓
160...램프 170...상부지지쇠
210...승강모듈

Claims (8)

  1. 내부공간(111)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캔들(10)이 안착되도록 평평한 지지판(112)이 배치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 일단이 체결되어 일정길이로 상향 연장형성되며, 타단에는 수나사산(121)이 형성된 연장관(120);
    종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하로 개구된 통공(131)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관(120)의 타단부에 관통삽입되어 체결되는 전등갓(130);
    상기 전등갓(130)의 상단 하부위치에 배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연장관(120)의 수나사산(121)과 치합되는 암나사산(141)이 내부에 형성된 체결관부(142)가 직립배치되어 상기 전등갓(130)의 하부면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연장관(120)의 타단에 체결되며, 양측에는 체결공(143)이 각각 형성된 하부지지쇠(140);
    상기 하부지지쇠(14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143)에 회전결합되는 체결나사(151)에 의해 상기 하부지지쇠(140)에 체결되며, 하부에는 램프체결공이 형성된 소켓(150); 및
    상기 소켓(150)의 램프체결공에 체결되어 하부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지지판(112)에 안착된 캔들(10)의 상부를 용융시키는 램프(160);를 포함하는 캔들워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갓(130)의 상부위치에 배치되며, 중앙에는 상하로 개구되고 상기 수나사산(121)과 치합되는 암나사산(171)이 내부면에 형성된 통공(172)이 형성되어 상기 전등갓(130)의 상부면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연장관(120)의 타단에 관통삽입되어 체결되는 상부지지쇠(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워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는 상기 연장관(120)의 일단이 관통삽입되는 관통공(113)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113)의 상부 둘레에는 외부면에 수나사산(114)이 형성된 체결구(115)가 상향 돌출형성되고, 상기 체결구(115)의 상부에는 체결구(115)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향 연장된 가압편(116)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10)는, 중앙에 상기 체결구(115)의 수나사산(114)과 치합되는 암나사산(117)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115)에 회전결합되면서 각 가압편(116)을 내측으로 가압하는 회전너트(1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관(120)은, 상하로 배치된 일단이 일정길이로 상기 관통공(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너트(118)가 체결구(115)에 회전결합되면서 각 가압편(116)에 의해 외부면 둘레가 가압되어 삽입된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워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는 상기 관통공(113)을 중심으로 일정길이로 상향 융기된 형상을 가지며 상단에는 상기 체결구(115)가 형성된 지지부(119)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워머.
  5. 제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12)은,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수평배치되되, 상기 본체부(110)와 독립된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공간(111) 내에서 상기 지지판(112)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지지판(112)을 일정높이로 승강구동시키는 승강모듈(2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워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모듈(210)은, 직립배치되어 상단이 상기 지지판(112)의 하부에 체결되는 레크기어(211)와, 상기 내부공간(111) 내에서 상기 레크기어(211)와 치합되도록 수평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레크기어(211)를 승강시키는 피니언(212) 및, 상기 피니언(212)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피니언(212)이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13)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220); 및
    상기 조작부(220)와 신호연결되며 수신된 사용자입력신호에 따라 설정된 높이로 상기 지지판(112)이 승강하도록 상기 구동모터(213)를 구동제어하는 제어회로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워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12)에 배치되어 지지판(112)에 안착되는 캔들(10)의 하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회로부(23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하중감지부(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부(230)에는 상기 캔들(10)의 하중변화량에 따른 지지판(112)의 높이설정 제어데이터가 기저장되며, 상기 하중감지부(24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로 캔들(10)의 현재 하중을 판단하고, 상기 높이설정 제어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현재 하중에 대응되는 설정높이로 상기 지지판(112)이 승강되도록 상기 구동모터(213)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워머.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판(112)에 안착된 캔들(10)의 상단 위치의 현재 높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회로부(23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높이감지부(2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부(230)에는 상기 캔들(10)의 높이변화량에 따른 지지판(112)의 높이설정 제어데이터가 기저장되며, 상기 높이감지부(25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로 캔들(10)의 현재 높이를 판단하고, 상기 높이설정 제어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현재 높이에 대응되는 설정높이로 상기 지지판(112)이 승강되도록 상기 구동모터(213)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워머.
KR2020140005225U 2014-07-11 2014-07-11 캔들워머 KR201600002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225U KR20160000242U (ko) 2014-07-11 2014-07-11 캔들워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225U KR20160000242U (ko) 2014-07-11 2014-07-11 캔들워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42U true KR20160000242U (ko) 2016-01-21

Family

ID=5531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225U KR20160000242U (ko) 2014-07-11 2014-07-11 캔들워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242U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830Y1 (ko) * 2016-02-19 2017-03-07 주식회사 현피플 캔들워머
KR20180001798U (ko) 2016-12-08 2018-06-18 김형진 전기발향체
KR20180090904A (ko) 2017-01-11 2018-08-14 비틀에코 협동조합 멜팅캔 가열용기
KR101895189B1 (ko) * 2018-03-30 2018-09-04 이준식 조명기능이 구비된 방향기
KR20180002906U (ko) * 2017-03-31 2018-10-11 홍교종 캔들워머 고정장치
KR101940656B1 (ko) * 2018-10-08 2019-01-21 정승진 뮤직 캔들워머
KR20190045473A (ko) * 2017-10-24 2019-05-03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향초를 자동으로 점화와 소등시키는 향초 제어 장치
KR102003154B1 (ko) * 2018-01-19 2019-07-23 김규학 턴테이블형 캔들워머
KR20190095697A (ko) 2018-02-07 2019-08-16 장재윤 다기능 향초 워머
KR20190105826A (ko) 2018-03-06 2019-09-18 장재윤 향초 워머
KR20200007514A (ko) 2018-07-13 2020-01-22 장재윤 다기능 향초 워머
KR102159612B1 (ko) * 2020-08-19 2020-09-28 에이로마 주식회사 조명 겸용 방향 장치
KR20200145894A (ko) * 2019-06-19 2020-12-31 성기택 캔들워머
KR20210056168A (ko) * 2019-11-08 2021-05-18 주식회사 캔들비랩스 양초 거치대
KR20210062167A (ko) * 2019-11-21 2021-05-31 임지현 스마트 스피커용 캔들워머 장치
KR102314695B1 (ko) * 2021-01-14 2021-10-18 김찬수 향초 워머
KR20220002406U (ko) * 2021-03-31 2022-10-07 유성희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캔들워머
US20220395600A1 (en) * 2021-06-11 2022-12-15 Chan Soo Kim Warmer for scented candle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830Y1 (ko) * 2016-02-19 2017-03-07 주식회사 현피플 캔들워머
KR20180001798U (ko) 2016-12-08 2018-06-18 김형진 전기발향체
KR20180090904A (ko) 2017-01-11 2018-08-14 비틀에코 협동조합 멜팅캔 가열용기
KR20180002906U (ko) * 2017-03-31 2018-10-11 홍교종 캔들워머 고정장치
KR20190045473A (ko) * 2017-10-24 2019-05-03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향초를 자동으로 점화와 소등시키는 향초 제어 장치
KR102003154B1 (ko) * 2018-01-19 2019-07-23 김규학 턴테이블형 캔들워머
KR20190095697A (ko) 2018-02-07 2019-08-16 장재윤 다기능 향초 워머
KR20190105826A (ko) 2018-03-06 2019-09-18 장재윤 향초 워머
KR101895189B1 (ko) * 2018-03-30 2018-09-04 이준식 조명기능이 구비된 방향기
KR20200007514A (ko) 2018-07-13 2020-01-22 장재윤 다기능 향초 워머
KR101940656B1 (ko) * 2018-10-08 2019-01-21 정승진 뮤직 캔들워머
KR20200145894A (ko) * 2019-06-19 2020-12-31 성기택 캔들워머
KR20210056168A (ko) * 2019-11-08 2021-05-18 주식회사 캔들비랩스 양초 거치대
KR20210062167A (ko) * 2019-11-21 2021-05-31 임지현 스마트 스피커용 캔들워머 장치
KR102159612B1 (ko) * 2020-08-19 2020-09-28 에이로마 주식회사 조명 겸용 방향 장치
KR102314695B1 (ko) * 2021-01-14 2021-10-18 김찬수 향초 워머
KR20220002406U (ko) * 2021-03-31 2022-10-07 유성희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캔들워머
US20220395600A1 (en) * 2021-06-11 2022-12-15 Chan Soo Kim Warmer for scented can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0242U (ko) 캔들워머
US10064969B2 (en) Lamp-based aroma diffuser using an aroma capsule
JP5960790B2 (ja) 本物の炎を模倣して発光する照明装置
US8672506B2 (en) Solar candle light insert module
JP2011513913A (ja) Led照明燈装置
US20140160736A1 (en) Downlight auxiliary ring
US20050248952A1 (en) Lighting device for pumpkins and other similar articles
CA2647987A1 (en) Imitation candle with simulated lighted wick using external light source
WO2009054649A3 (en) Led lighting lamp
US10941909B2 (en) Luminaire with independently controlled light output
US10113722B2 (en) Rotating multi-socket light fixture
US11359783B2 (en) LED flameless candle assembly
CN204083996U (zh) 机械可调节式筒灯
KR101820047B1 (ko) 실내 조도변화에 따라 디밍되는 조명장치 및 방법
US10088117B2 (en) Luminaire with independently controlled light output
KR101872672B1 (ko) 송풍팬이 설치된 led 가로등주
CN101566282A (zh) 一种散光射灯
CN201706319U (zh) 节能台灯
CN219571743U (zh) 一种可调节的智能led灯具
KR200479962Y1 (ko) 엘이디 전구용 매입등
CN201475831U (zh) Led齿科用灯
KR200487853Y1 (ko) 캔들워머 고정장치
CN207034796U (zh) 一种台式办公平板灯
KR200335736Y1 (ko) 전기스탠드
EP2088361A1 (en) Lighting device with LED and rel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