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798U - 전기발향체 - Google Patents

전기발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798U
KR20180001798U KR2020160007152U KR20160007152U KR20180001798U KR 20180001798 U KR20180001798 U KR 20180001798U KR 2020160007152 U KR2020160007152 U KR 2020160007152U KR 20160007152 U KR20160007152 U KR 20160007152U KR 20180001798 U KR20180001798 U KR 201800017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heater
cup
melt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진
정진원
Original Assignee
김형진
정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진, 정진원 filed Critical 김형진
Priority to KR2020160007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798U/ko
Publication of KR201800017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9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향기를 발산하는 전기발향체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으로 멜트왁스(221)를 수용하는 왁스컵(220)의 하단부에 히터(250)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멜트왁스(221)가 하단부터 녹아 향기의 지속력이 오래 보존되는 전기발향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발향체는 향기를 발산하는 멜트왁스(221)가 수용된 왁스컵(220)에 있어서, 상기 왁스컵(22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멜트왁스(221)를 녹이는 히터(250); 상기 히터(250)에 전원을 관리하는 피씨비(PCB)기판(270); 및 상기 피씨비(PCB)기판(270)에 의해 전기를 공급받는 엘이디조명(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발향체의 엘이디조명(260)은 터치센서(210)를 구비하고 있어 조명의 조도와 색상 선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히터(250)와 상기 왁스컵(220) 사이에 쇠판(230)을 더 구비하여, 상기 왁스컵(220)이 안착되고, 상기 히터(250)에서 발산되는 열이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발향체는 상기 왁스컵(220) 상단에 종 형상으로 구비하되, 상단부가 사선으로 개방된 통 구조로 구비되고, 하단부가 오목부와 볼록부로 부드러운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비된 상측바디(10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상측바디(100)의 상단부는 하단이 폐쇄되어 있어 수납부(1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발향체 {CANDLE WARMER}
본 고안은 향기를 발산하는 전기발향체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으로 멜트왁스(221)를 수용하는 왁스컵(220)의 하단부에 히터(250)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멜트왁스(221)가 하단부터 녹아 향기의 지속력이 오래 보존되고 왁스컵(220)을 소모품으로 교체하면서 사용하는 전기발향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들워머는 할로겐 램프와 같이 고열을 발생시키는 빛을 제공하는 광원을 이용하여 아로마 등의 향기성분이 포함된 발향 캔들에 빛을 조사하고 조사된 발광열에 의해 캔들의 상부를 용융시켜 상기 향기성분이 공기중으로 확산되면서 발향되도록 하는 가열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캔들의 경우 용융되면서 파라핀 성분이 증발되어 상단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되나, 종래의 캔들워머의 경우 램프의 설치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높이가 낮은 캔들을 사용하거나 사용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캔들의 상부로 전달되는 발광열이 감소되어 발향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캔들워머는 상부에 할로겐 조명을 부착하여 할로겐 조명의 열로써 녹인다. 그러나 캔들 제품의 특성상 열에 녹은 왁스는 기화되지 않고 왁스 속 향료만 날아가기 때문에 상부에 일부 녹은 왁스는 덜어내고 사용해야하며, 이 과정에서 캔들 용기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매번 캔들 용기를 닦은 후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0242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멜트왁스(221)의 하단에 히터(250)를 포함하여 멜트왁스(221)를 마지막 부분까지 사용 가능한 전기발향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멜트왁스(221)를 수용하는 왁스컵(220)을 깨끗하게 사용 가능하여 소비자가 사용하기에 용이한 전기발향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속적으로 향기가 발산 가능한 전기발향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엘이디조명(260)이 구비되어 캔들과 조명이 결합된 전기발향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발향체는 향기를 발산하는 멜트왁스(221)가 수용된 왁스컵(220)에 있어서, 상기 왁스컵(22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멜트왁스(221)를 녹이는 히터(250); 상기 히터(250)에 전원을 관리하는 피씨비(PCB)기판(270); 및 상기 피씨비(PCB)기판(270)에 의해 전기를 공급받는 엘이디조명(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발향체의 엘이디조명(260)은 터치센서(210)를 구비하고 있어 조명의 조도와 색상 선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히터(250)와 상기 왁스컵(220) 사이에 쇠판(230)을 더 구비하여, 상기 왁스컵(220)이 안착되고, 상기 히터(250)에서 발산되는 열이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발향체는 상기 왁스컵(220) 상단에 종 형상으로 구비하되, 상단부가 사선으로 개방된 통 구조로 구비되고, 하단부가 오목부와 볼록부로 부드러운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비된 상측바디(10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상측바디(100)의 상단부는 하단이 폐쇄되어 있어 수납부(1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멜트왁스(221)의 하단에 히터(250)를 포함하여 멜트왁스(221)를 마지막 부분까지 사용 가능한 전기발향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멜트왁스(221)를 수용하는 왁스컵(220)을 깨끗하게 사용 가능하여 소비자가 사용하기에 용이하고, 경제적인 전기발향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속적으로 향기가 발산 가능한 전기발향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엘이디조명(260)이 구비되어 캔들과 조명이 결합된 전기발향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터치센서(210)를 포함하고 있어 조명의 조도와 색상 선택이 가능한 전기발향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타이머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과도한 사용을 막고, 안전하게 사용가능한 전기발향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전기발향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기발향체의 간략한 상세도이다.
도 3은 전기발향체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전기발향체의 상면도이다.
도 5는 전기발향체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전기발향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전기발향체의 분해도이다.
본 고안은 향기를 발산하는 전기발향체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으로 멜트왁스(221)를 수용하는 왁스컵(220)의 하단부에 히터(250)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멜트왁스(221)가 하단부터 녹고, 향기의 지속력이 오래 보존되는 전기발향체에 관한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고안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는 상기 제시된 전기발향체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인 전기발향체는,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측바디(100)와 멜트왁스(221)를 수용하는 왁스컵(220)을 구비한 하측바디(2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측바디(200)는, 도 6 내지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씨비(PCB)기판(270), 히터(250), 쇠판(230), 렌즈(240), 멜트왁스(221), 왁스컵(220), 엘이디조명(260), 터치센서(210), 다리부(290) 및 바닥커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는 상기 하측바디(200)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피씨비(PCB)기판(270)은 본 고안인 전기발향체에 전원을 관리 공급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도 3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피씨비(PCB)기판(270)이 전원부와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하측바디(200)의 배면에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씨비(PCB)기판(270)은 타이머를 포함하고 있어 전기발향체의 과도한 사용을 막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발향체는 향기를 발산하는 것으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머리 어지럼증과 두통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피씨비(PCB)기판(270)에 내장된 타이머는 사용자가 2시간, 4시간 및 6시간 중 선택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전기발향체의 과도한 사용을 막아주고, 집을 비우거나 수면 중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히터(250)는 상기 피씨비(PCB)기판(270) 상단에 적층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히터(250)가 상기 멜트왁스(221) 및 왁스컵(220)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250)에서 발산되는 열이 아래에서 위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쇠판(230)은 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히터(250) 상단에 적층되고 상기 왁스컵(220) 하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쇠판(230)은 상기 히터(250)에서 발산되는 열이 간접적으로 상기 왁스컵(220)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왁스컵(220)이 과열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렌즈(240)는 상기 원형의 쇠판(230)을 받칠 수 있도록 내부의 계단 형식으로 홈이 마련되고, 상기 쇠판(230)보다 다소 크게 구비되어 상기 하측바디(200)에 안착되도록 걸림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멜트왁스(221)는 40 내지 70℃의 온도에서 아로마 오일 또는 허브 등이 포함된 향기를 발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멜트왁스(221)는 40℃ 미만의 온도로 히팅 되는 경우 상기 멜트왁스(221)의 향기 발산이 어려울 수 있고, 상기 멜트왁스(221)가 70℃ 초과하여 히팅되는 경우 상기 멜트왁스(221)가 과열될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히팅되어 향기를 발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커버(280)는 상기 피씨비(PCB)기판(270)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피씨비(PCB)기판(270)이 상기 하측바디(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왁스컵(220)은 상기 멜트왁스(221)를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다양한 모양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바닥이 평평하게 마련되어 상기 쇠판(230)에 적층되기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왁스컵(220)은, 상기 히터(250)에서 발산된 열이 상기 쇠판(230)을 통해 전달되고, 상기 쇠판(230)에서 간접적으로 열이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왁스컵(220)의 하단에서부터 열이 전달되므로, 상기 왁스컵(220) 내부에 마련된 멜트왁스(221)의 하단부터 녹게 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사용되는 전기발향체는 상부에 할로겐 조명을 부착하여, 멜트왁스의 상부가 먼저 녹아 상기 멜트왁스의 상부 향료가 먼저 날아가게 되고, 사용할 수록 상기 멜트왁스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면서 상기 할로겐 조명과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경우, 사용 기간이 증가할수록 상기 멜트왁스에서 발산하는 향기의 발향력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사용기간이 증가할수록 왁스컵에 상기 멜트왁스를 덜어내고 사용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왁스컵이 지저분하게 들러붙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면, 본원 고안의 경우, 상기 왁스컵(220) 하단에 히터(250)가 구비되어 상기 멜트왁스(221)의 하단부터 녹이므로, 멜트왁스(221) 속 향료가 모두 기화될 때까지 발향력의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향료가 모두 기화되면 사용하던 멜트왁스컵(220)을 버리고 새로운 멜트왁스컵(220)으로 교체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엘이디조명(260)은 상기 피씨비(PCB)기판(270) 상부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씨비(PCB)기판(270)에 의해 전기를 공급받아 조명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엘이디조명(260)은 상기 멜트왁스(221) 하단에 구비되고, 하기에 설명할 상측바디(100)가 상기 엘이디조명(260)의 상단에 구비되어 조명 갓 역할을 하여 상기 엘이디조명(260)의 조명갓 역할을 하게되므로 간접등의 은은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터치센서(210)는 상기 피씨비(PCB)기판(270)과 연결되어 전원이 관리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터치센서(210)는 상기 하측바디(200)의 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이용에 편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센서(210)는 상기 엘이디조명(260)의 조도와 색상 선택이 가능하고, 상기 타이머의 작동 시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다리부(290)는 상기 하측바디(200) 내부 구성인 왁스컵(220), 쇠판(230), 렌즈(240), 히터(250), 피씨비(PCB)기판(270), 엘이디조명(260), 멜트왁스(221) 및 바닥커버(280)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대 역할을 한다. 상기 다리부(290)는 상기 왁스컵(220)의 중앙부에 마련하여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리부(290)는 볼트와 너트로 구비된다. 상기 다리부(290)의 볼트는 상기 히터(250), 피씨비(PCB)기판(270) 및 바닥커버(280)의 중앙부에 관통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측바디(200) 내부에서 상기 히터(250), 피씨비(PCB)기판(270) 및 바닥커버(280)가 상기 쇠판(230), 렌즈(240) 및 히터(250)와 일정간격 이격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측바디(100)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 형상으로 구비하되 상단부가 사선으로 개방된 통 구조로 구비되고, 하단부가 오목부 및 볼록부의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비된다.
먼저, 상기 상측바디(100)의 상기 상단부는 개방된 통 구조를 통해, 수납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바디(100)의 수납부(110)는 꽃 등을 꽂을 수 있도록 수납 가능한 공간을 마련한다. 상기 수납부(110)를 통해 사용자는 실내 인테리어와 어울리는 수납공간을 마련할 수 있고, 소비자가 원하는 데코레이션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하단부는, 도 1 내지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오목부와 볼록부로 부드러운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측바디(100)의 하단부를 통해, 상기 멜트왁스(221)의 향기가 직접적으로 발향되는 것을 막아 사용시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바디(100)의 하단부는 상기 엘이디조명(260)의 조명갓 역할을 하여 은은한 조명으로써 사용 가능하며, 상기 상측바디(1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직접등과 간접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하단부는 부드러운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본 고안인 전기발향체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내부에 수용된 멜트왁스(221)의 향기 발산력을 평가하기로 한다.
ㄱ. 향기 발산력 평가
하기 실험은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전기발향체(비교예 1 및 2)와 본 고안에 의해 제조된 전기발향체(실시예 1)를 비교하여 향기 발산력을 평가하였다. 본 향기 발산력 평가를 위해 동일한 양의 멜트왁스(221) 50 mg을 평가원 7명에게 상기 멜트왁스(221) 발산력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본 평가는 발산력에 대한 전반적인 기호도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Liker scale)으로 실시하였다.
평가원 1 평가원 2 평가원 3 평가원 4 평가원 5 평가원 6 평가원 7 총점
비교예 1 5 6 5 4 3 2 5 30
비교예 2 4 3 3 2 1 2 2 17
실시예 1 6 5 7 6 5 6 6 41
본 향기 발산력 평가를 통해, 본원 고안에 의해 제조된 전기발향체가 발산력이 가장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원 고안은 상기 히터(250)와 엘이디조명(260)이 상기 멜트왁스(221)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어, 상기 멜트왁스(221)의 하단부터 멜팅(telting) 되므로 사용기간과 관계없이 동일한 향기 발산력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멜트왁스(221)의 하단에 히터(250)를 포함하여 멜트왁스(221)를 마지막 부분까지 사용 가능한 전기발향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멜트왁스(221)를 수용하는 왁스컵(220)을 깨끗하게 사용 가능하여 소비자가 사용하기에 용이하고, 경제적인 전기발향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속적으로 향기가 발산 가능한 전기발향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엘이디조명(260)이 구비되어 캔들과 조명이 결합된 전기발향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터치센서(210)를 포함하고 있어 조명의 조도와 색상 선택이 가능한 전기발향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타이머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과도한 사용을 막고, 안전하게 사용가능한 전기발향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상측바디
110. 수납부
200. 하측바디
210. 터치센서
220. 왁스컵
221. 멜트왁스
230. 쇠판
240. 렌즈
250. 히터
260. 엘이디조명
270. 피씨비(PCB)기판
280. 바닥커버
290. 다리부

Claims (5)

  1. 향기를 발산하는 멜트왁스(221)가 수용된 왁스컵(220)에 있어서,
    상기 왁스컵(22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멜트왁스(221)를 녹이는 히터(250);
    상기 히터(250)에 전원을 관리하는 피씨비(PCB)기판(270); 및
    상기 피씨비(PCB)기판(270)에 의해 전기를 공급받는 엘이디조명(260);가 구비된 전기발향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조명(260)은 터치센서(210)를 구비하고 있어 조명의 조도와 색상 선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전기발향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250)와 상기 왁스컵(220) 사이에 쇠판(230)을 더 구비하여,
    상기 왁스컵(220)이 안착되고, 상기 히터(250)에서 발산되는 열이 간접적으로 전달되도록 구비된 전기발향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컵(220) 상단에 종 형상으로 구비하되,
    상단부가 사선으로 개방된 통 구조로 구비되고,
    하단부가 오목부와 볼록부로 부드러운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비된 상측바디(100)를 포함하는 전기발향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바디(100)의 상단부는 하단이 폐쇄되어 있어 수납부(110)가 구비된된 전기발향체
KR2020160007152U 2016-12-08 2016-12-08 전기발향체 KR2018000179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152U KR20180001798U (ko) 2016-12-08 2016-12-08 전기발향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152U KR20180001798U (ko) 2016-12-08 2016-12-08 전기발향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98U true KR20180001798U (ko) 2018-06-18

Family

ID=6274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152U KR20180001798U (ko) 2016-12-08 2016-12-08 전기발향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79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380A (ko) * 2018-04-12 2019-10-2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로마 발향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523Y1 (ko) * 2006-04-13 2006-06-21 주식회사 에스더코리아 원적외선 방출유도 및 발향 유도용 실내 장식용기
KR101073201B1 (ko) * 2011-03-18 2011-10-12 이길우 공기 살균탈취이온 발생장치
KR20130097858A (ko) * 2012-02-27 2013-09-04 한국과학기술원 조명 기능이 구비된 컵 워머
JP2014504518A (ja) * 2011-01-19 2014-02-24 アイディーシー エンチャンテッド ライティング 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芳香発生照明デバイス
KR20140004200U (ko) * 2012-12-26 2014-07-09 김동규 아로마 테라피 디퓨져
KR20160000242U (ko) 2014-07-11 2016-01-21 김옥임 캔들워머
KR20170096662A (ko) * 2016-02-16 2017-08-25 (주)아모레퍼시픽 다양한 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향 발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523Y1 (ko) * 2006-04-13 2006-06-21 주식회사 에스더코리아 원적외선 방출유도 및 발향 유도용 실내 장식용기
JP2014504518A (ja) * 2011-01-19 2014-02-24 アイディーシー エンチャンテッド ライティング 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芳香発生照明デバイス
KR101073201B1 (ko) * 2011-03-18 2011-10-12 이길우 공기 살균탈취이온 발생장치
KR20130097858A (ko) * 2012-02-27 2013-09-04 한국과학기술원 조명 기능이 구비된 컵 워머
KR20140004200U (ko) * 2012-12-26 2014-07-09 김동규 아로마 테라피 디퓨져
KR20160000242U (ko) 2014-07-11 2016-01-21 김옥임 캔들워머
KR20170096662A (ko) * 2016-02-16 2017-08-25 (주)아모레퍼시픽 다양한 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향 발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380A (ko) * 2018-04-12 2019-10-2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로마 발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4975B2 (en) Fragrance producing lighting device
US7247017B2 (en) Melting plate candles
US9211355B2 (en) Scent warmers having non-incandescent heating and light-emitt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KR102103434B1 (ko) 향초 워머
US8137630B2 (en) Light-emitting smell-altering aroma dispenser
US20030007887A1 (en) Aromatic substance heating device
US20120183280A1 (en) Fragrance producing lighting device
WO2003086486A1 (fr) Diffuseur de parfum
US20140161674A1 (en) Wall socket aroma diffuser using aroma capsule
US7524187B2 (en) Wick holder locking mechanism
US20150070874A1 (en) Flameless fragrance warming apparatus and methods
US10316270B2 (en) Burner cup
KR20180001919U (ko) 캔들워머
US20140334801A1 (en) Fragrance producing lighting device
TW201307759A (zh) 用於加暖裝置的碟子
KR102212706B1 (ko) 다기능 향초 워머
KR20180001798U (ko) 전기발향체
US7607915B2 (en) Heat exchange method for melting plate candle
AU2005285102A1 (en) Improved fuel delivery method for melting plate candle
KR200491234Y1 (ko) 캔들워머가 구비된 램프
US20090170044A1 (en) Decoratively illuminating apparatus using a candle
GB2469505A (en) Light-emitting aroma dispenser
JP3146211U (ja) 芳香ランプ
WO2003089018A1 (en) Aromatic substance heating device
KR20160020869A (ko) 음식물 가열장치를 구비한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