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695B1 - 향초 워머 - Google Patents

향초 워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695B1
KR102314695B1 KR1020210005117A KR20210005117A KR102314695B1 KR 102314695 B1 KR102314695 B1 KR 102314695B1 KR 1020210005117 A KR1020210005117 A KR 1020210005117A KR 20210005117 A KR20210005117 A KR 20210005117A KR 102314695 B1 KR102314695 B1 KR 102314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cented candle
candle
scented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수
Original Assignee
김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수 filed Critical 김찬수
Priority to KR1020210005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F21V35/003Special means for attaching the candle to the candl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된 촛농을 용이하게 처리하고 저장 한 후 간단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상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을 일시에 해소한 향초 워머에 관한 것으로, 수거통이 안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부에 조명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향초의 촛농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의 수용홈에 안착되거나 탈거되는 수거통; 및 상기 수거통의 상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커버함과 동시에 상부에 향초용기가 안착되도록 한 받침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향초 워머{WARMER FOR SCENTED CANDLE}
본 발명은 향초 워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융된 촛농을 용이하게 처리하고 저장 한 후 간단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상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을 일시에 해소한 향초 워머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향초 워머는 향초 상부로 고열의 빛을 조사하여 향초의 상부가 서서히 용융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용융현상에 의해 향초가 가지고 있는 향기가 공기 중으로 발산되도록 하여 주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향초 워머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베이스부(10)의 상부에는 고형물의 향초(21)가 담긴 향초용기(20)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향초용기(20) 상부에는 기둥지지대(11)을 통해 조명등(12)이 상기 향초용기(20) 상부로 조사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명등(12)이 조사되면 향초(21)의 상부가 서서히 용융되면서 향기가 공기 중으로 발산된다.
이후, 용융된 향초 부위에 포함된 향기 성분이 모두 휘발되면 더 이상 향기가 발산되지 않으므로 향초용기(20) 상부에 녹아 있는 향초(21) 액(촛농)을 버리고 다시 베이스부(10)에 안착시켜 조명등(12)의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준다.
또한 향초 워머를 사용하게 위해서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런데, 실제 향초워머 사용 시 향초용기(20)에 녹아 있는 촛농은 버릴 곳이 마땅하지 않아 쓰레기통에 버리곤 하는 데, 향초용기(20)를 들고 이동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쓰레기통 내부에서 촛농이 경화되어 청소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뜨거운 촛농이므로 안전상의 문제점도 있게 된다.
참고적으로 배수구에는 더욱이 버릴 수 없는 것이 촛농이다.
등록특허공보 10-2051610 등록일자 (2019년11월27일) 등록특허공보 10-2103434 등록일자 (2020년04월16일) 등록특허공보10-1973325 등록일자 (2019년04월22일) 공개특허공보 10-2020-0007514 (공개일자 2020년01월22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융된 촛농을 용이하게 처리하고 저장 한 후 간단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상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을 일시에 해소한 향초 워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거통이 안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부에 조명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향초의 촛농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의 수용홈에 안착되거나 탈거되는 수거통; 및
상기 수거통의 상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커버함과 동시에 상부에 향초용기가 안착되도록 한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향초용기의 내부에 용융된 촛농은 상기 받침부를 수거통으로부터 벗겨낸후 상기 수거통에 부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의 수용홈 바닥면 중앙에는 수거통의 중앙홈부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분리되며, 상기 하단부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체결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에는 하단부의 수용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에는 수거통이 안착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수용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거통의 바닥면 중앙에는 본체부의 돌기부에 삽입되는 중앙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는 향초용기의 저면을 테두리의 턱부을 통해 안정되게 안착 지지하는 안착부와, 상기 턱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거통이 상단부를 커버하며 장착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의 안착부에는 손가락으로 쥐어서 받침부를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둥지지대를 통해 조명부가 설치되고 수거통이 놓여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 놓여지며 향초의 촛농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가지는 수거통; 및
상기 수거통의 상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커버함과 동시에 상부에 향초용기가 안착되도록 한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향초용기의 내부에 용융된 촛농은 상기 받침부를 수거통으로부터 벗겨낸후 상기 수거통에 부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수거통이 안착되는 공간으로 단턱부와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용융된 촛농을 용이하게 처리하고 저장 한 후 간단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상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을 해소한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향초 워머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향초 워머의 구성도,
도 3은 상기 도 2에서 향초 용기가 장착된 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향초 워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향초 워머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본제부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초 워머의 구성도,
도 10은 상기 도 9에서 향초 용기, 받침부 및 수거통이 제거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향초 워머의 구성도, 도 3는 상기 도 2에서 향초 용기가 장착된 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향초 워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향초 워머(100)는,
본체부(110)와, 수거통(120) 및 받침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0)에는 기둥지지대(101)를 통해 조명부(102)가 설치된다.
상기 조명부(102)는 상기 본체부(110)에 연결된 기둥지지대(101)를 통해 고정되는 것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향초용기(140)의 상부로 빛을 조사하는 위치에 고정되는 구성이면 된다.
상기 본체부(110)는 수거통(120)이 안착되는 수용홈(111)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홈(111)의 바닥면 중앙에는 돌기부(118)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118)는 안착되는 수거통(120)의 중앙홈부(122)에 삽입되도록 하여 수거통(120)이 안정되게 수용홈(111) 내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111)의 바닥면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통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10)는 도 8에서와 같이 상단부(113) 및 하단부(116)가 분리되며, 상기 하단부(116)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부(117)를 통해 체결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113)에는 하단부(116)의 수용부(115)가 삽입되는 삽입공(114)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116)에는 수거통(120)이 안착되는 수용홈(111)을 형성하는 수용부(115)가 구성된다.
상기 수거통(120)는 향초의 촛농을 저장하는 곳으로, 저장공간(121)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110)의 수용홈(111)에 안착되거나 탈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거통(120)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본체부(110)의 돌기부(118)에 삽입되는 중앙홈부(122)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수용홈(111)에 안착될 때 상기 돌기부(118)에 삽입됨으로써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거통(120)은 일정량의 향초 촛농이 모아지면 폐기 처리되는 소모품이 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30)는 도 4 및 도 6도에서와 같이 상기 수거통(120)의 상단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상부에 향초용기(140)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향초용기(140)의 저면을 테두리의 턱부(131)을 통해 안정되게 안착 지지하는 안착부(132)와, 상기 턱부(131)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거통(120)이 상단부를 커버하며 장착되는 테두리부(1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130)의 안착부(132)에는 손가락으로 쥐어서 받침부(130)를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공(1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향초 워머(100)의 조립과정과 작동 및 작용에 설명한다.
먼저, 기둥지지대(101)를 통해 조명부(102)가 설치된 본체부(110)의 수용홈(111)에 수거통(120)을 삽입한다.
상기 수거통(120)을 상기 수용홈(111)에 삽입할 때 상기 수용홈(111)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부(118)에 수거통(120)의 중앙홈부(122)를 안착시키면 상기 수거통(120)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지지되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수거통(120)이 본체부(110)에 장착되면 상기 수거통(120)의 상단부에 받침부(130)를 덮어준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2의 구성과 같게 되고, 이어서 상기 받침부(130)의 상단에 도 3에서와 같이 향초용기(140)를 올려놓는다.
이때 상기 향초용기(140)의 하단부는 상기 받침부(130)의 안착부(132) 상에 안착된다.
그런 다음, 조명부(102)을 점등시키면, 램프(예: 할로겐램프)가 점등되면서 빛이 향초용기(140)의 향초(141) 상단부로 조사되며, 고형물의 향초(141)는 조사되는 빛의 열기로 서서히 용융되게 된다.
상기 향초(141)의 용융은 향기를 발산하게 되며 향초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상기 향초(141)가 어느 정도 녹게 되면 향기의 발산이 중단되므로 용융된 촛농을 버려야 되는 시점이 도래한다.
따라서 촛농을 버려야 하는 시점이 도래하면, 향초용기(140)를 이동시킨 후 손가락공(134)에 손가락을 이용하여 받침부(130)를 수거통(120)으로부터 벗겨내고 도 7에서와 같이 향초용기(140)의 상단부에 있는 촛농을 수거통(120)으로 부어준다.
그런 다음 다시 받침부(130)를 수거통(120) 상단부에 닫고 향초 용기(140)를 올려놓는다.
따라서 향초(141)의 상단부는 다시 조명부(102)에 의해 서서히 용융되면서 향초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향초용기(140)에 녹아 있는 촛농을 본체부(110)에 장착된 수거통(120)으로 즉시 수거 및 저장 처리하고, 이후 일정량 이상 저장되면 향초용기(140) 자체를 간단하게 폐기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초 워머의 구성도, 도 10은 상기 도 9에서 향초 용기, 받침부 및 수거통이 제거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초 워머는,
기둥지지대(101)를 통해 조명부(102)가 설치되고 수거통(120)이 놓여지는 베이스부(110A)와, 상기 베이스부(110A)의 상단에 놓여지며 저장공간(121)을 가지는 수거통(120)과, 상기 수거통(120)의 상단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상부에 향초용기(140)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향초용기(140)의 저면을 테두리의 턱부(131)을 통해 안정되게 안착 지지하는 안착부(132)와, 상기 턱부(131)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거통(120)이 상단부를 커버 장착하는 테두리부(133)를 포함하는 받침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10A)는 수거통(120)이 안착되는 공간으로 단턱부(11a)와 안착부(11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초 워머 역시 전술한 동작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한정된 실시예들을 설명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가 예상됨을 당업자는 주의해야 한다.
100: 향초워머 101: 기둥지지대
102: 조명부 110: 본체부
111: 수용홈 112: 통공
113: 상단부 114: 삽입공
115: 수용부 116: 하단부
120: 수거통 121: 저장공간
130: 받침부 131: 턱부
132: 안착부 133: 테두리부
134: 손잡이공 140: 향초용기
141: 향초

Claims (9)

  1. 수거통이 안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부에 조명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향초의 촛농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의 수용홈에 안착되거나 탈거되는 수거통; 및
    상기 수거통의 상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커버함과 동시에 상부에 향초용기가 안착되도록 한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향초용기의 내부에 용융된 촛농은 상기 받침부를 수거통으로부터 벗겨낸후 상기 수거통에 부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 워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수용홈 바닥면 중앙에는 수거통의 중앙홈부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 워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분리되며, 상기 하단부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체결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에는 하단부의 수용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에는 수거통이 안착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수용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 워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의 바닥면 중앙에는 본체부의 돌기부에 삽입되는 중앙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 워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향초용기의 저면을 테두리의 턱부을 통해 안정되게 안착 지지하는 안착부와, 상기 턱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거통이 상단부를 커버하며 장착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 워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안착부에는 손가락으로 쥐어서 받침부를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 워머.
  7. 기둥지지대를 통해 조명부가 설치되고 수거통이 놓여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 놓여지며 향초의 촛농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가지는 수거통; 및
    상기 수거통의 상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커버함과 동시에 상부에 향초용기가 안착되도록 한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향초용기의 내부에 용융된 촛농은 상기 받침부를 수거통으로부터 벗겨낸후 상기 수거통에 부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 워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향초용기의 저면을 테두리의 턱부을 통해 안정되게 안착 지지하는 안착부와, 상기 턱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거통이 상단부를 커버 장착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받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 워머.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수거통이 안착되는 공간으로 단턱부와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 워머.
KR1020210005117A 2021-01-14 2021-01-14 향초 워머 KR102314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117A KR102314695B1 (ko) 2021-01-14 2021-01-14 향초 워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117A KR102314695B1 (ko) 2021-01-14 2021-01-14 향초 워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695B1 true KR102314695B1 (ko) 2021-10-18

Family

ID=7827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117A KR102314695B1 (ko) 2021-01-14 2021-01-14 향초 워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6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080A (ko) 2021-11-22 2023-05-31 김찬수 향초 워머용 국자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291U (ko) * 1994-08-29 1996-03-13 믹서트럭의 슈트 안전장치
JPH1012041A (ja) * 1996-06-24 1998-01-16 Sanrei:Kk 墓前用蝋燭立ての燭台及びこれを用いた墓前用蝋燭立て
KR20160000242U (ko) * 2014-07-11 2016-01-21 김옥임 캔들워머
KR20160003307U (ko) *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 베지테리언부처코리아 디퓨져 기능이 결합된 안전양초용기
KR20180001919U (ko) *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아이비스 캔들워머
KR20180111049A (ko) * 2017-03-31 2018-10-11 한국예술종합학교교육원 주식회사 전기 워머기
KR101973325B1 (ko) 2018-07-11 2019-04-26 박상완 해충퇴치기능이 구비된 향초 워머
KR20190105826A (ko) * 2018-03-06 2019-09-18 장재윤 향초 워머
KR102051610B1 (ko) 2018-02-07 2019-12-03 장재윤 다기능 향초 워머
KR20200007514A (ko) 2018-07-13 2020-01-22 장재윤 다기능 향초 워머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291U (ko) * 1994-08-29 1996-03-13 믹서트럭의 슈트 안전장치
JPH1012041A (ja) * 1996-06-24 1998-01-16 Sanrei:Kk 墓前用蝋燭立ての燭台及びこれを用いた墓前用蝋燭立て
KR20160000242U (ko) * 2014-07-11 2016-01-21 김옥임 캔들워머
KR20160003307U (ko) *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 베지테리언부처코리아 디퓨져 기능이 결합된 안전양초용기
KR20180001919U (ko) *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아이비스 캔들워머
KR20180111049A (ko) * 2017-03-31 2018-10-11 한국예술종합학교교육원 주식회사 전기 워머기
KR102051610B1 (ko) 2018-02-07 2019-12-03 장재윤 다기능 향초 워머
KR20190105826A (ko) * 2018-03-06 2019-09-18 장재윤 향초 워머
KR102103434B1 (ko) 2018-03-06 2020-04-22 장재윤 향초 워머
KR101973325B1 (ko) 2018-07-11 2019-04-26 박상완 해충퇴치기능이 구비된 향초 워머
KR20200007514A (ko) 2018-07-13 2020-01-22 장재윤 다기능 향초 워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080A (ko) 2021-11-22 2023-05-31 김찬수 향초 워머용 국자
KR102618586B1 (ko) 2021-11-22 2023-12-28 김찬수 향초 워머용 국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95600A1 (en) Warmer for scented candle
JP5203137B2 (ja) はんだ鏝台
EP2388517B1 (en) Warmers for scented oils
US6663838B1 (en) Heated volatile dispenser
KR102314695B1 (ko) 향초 워머
US20050019238A1 (en) Device for vaporising and diffusing oils
CA2371907C (en) Heated volatile dispenser
US10316270B2 (en) Burner cup
JP2003502067A5 (ko)
US20140044425A1 (en) Dual mode fragrance-emitt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roved safety during use
GB2375484A (en) Fragrance emitting device
US9341365B2 (en) Eversible candle holder
US200402467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ameless burning of candles
WO2018152058A1 (en) Wickless fragrance delivery methods and systems
US7252805B2 (en) Device for vaporising and diffusing oils
US20190359386A1 (en) Disposable liner container for wax-warmer
JP7096934B1 (ja) アロマキャンドルウォーマー
CN115501371A (zh) 香烛加热器
JP2003304967A (ja) 灯明台
US1230342A (en) Electric disinfector and deodorizer.
KR102618586B1 (ko) 향초 워머용 국자
KR101895189B1 (ko) 조명기능이 구비된 방향기
US11987101B2 (en) Vehicle air freshener
KR200488634Y1 (ko) 캔들 워머 조명
EP1025391B1 (en) Cand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