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656B1 - 뮤직 캔들워머 - Google Patents

뮤직 캔들워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656B1
KR101940656B1 KR1020180119596A KR20180119596A KR101940656B1 KR 101940656 B1 KR101940656 B1 KR 101940656B1 KR 1020180119596 A KR1020180119596 A KR 1020180119596A KR 20180119596 A KR20180119596 A KR 20180119596A KR 101940656 B1 KR101940656 B1 KR 101940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heating
music
disc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진
Original Assignee
정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진 filed Critical 정승진
Priority to KR1020180119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6Musical boxes with plucked teeth, blad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캔들워머를 사용함에 있어서, 종래의 캔들워머를 사용함에 있어서, 향초의 일부분에 열을 가하며 가열부위가 이동되어 전반적인 영역을 주행 가열하여 지속적인 발향이 이루어지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즉 사각박스형의 하부몸체케이스 상부에 원판캔들을 놓는 스핀플래터부와 이를 회전하는 구동벨트부를 구비하고, 원판캔들의 향초의 일영역을 가열시키는 캔들가열구를 갖는 캔들가열암, 상기 캔들가열구를 원판캔들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는 시키는 암이동장치구를 구비하며, 상기 암이동장치구에 가열암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고, 하부몸체케이스에 LED발광부와 음향스피커를 구비하여서, 원판캔들의 향초을 일영역을 가열시켜 향을 퍼트리고, 캔들가열구의 이동과 원판캔들의 회전으로 향초의 가열이 전반적으로 이루어지며 발향이 되고, 가열암높이조절장치가 원판캔들과 캔들가열암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어서 거리변동에 따른 향의 옅어짐을 방지하며, 음향스피커 및 LED발광부로 인하여 향초를 사용함에 분위기를 자아내며 이로 인한 힐링효과를 더욱 높이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뮤직 캔들워머{Music Candle Warmer}
본 발명은 캔들워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형의 하부몸체케이스, 상부에 디스크캔들을 놓고 회전시키는 스핀플래터부, 열을 가하여 향을 내는 봉형의 캔들가열암으로 구성하고, 디스크캔들 측면에 다수의 타공돌기를 갖은 악보드럼, 악보드럼 근방에 오르골 음악을 연주하는 음악건반구로 구비하여서, 향초의 발향으로 인한 후각적효과, 발열램프 조명으로 인한 시각적효과, 오르골음악으로 인한 청각적효과라는 3가지 감각을 자극하여 사용자에게 즐거움과 힐링을 제공하는 뮤직캔들 워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향초는 기존의 양초 왁스에 천연재료와 향료(에센셜 오일)가 첨가된 것으로서, 방향효과는 물론 심신 안정과 피로 회복 등에도 도움이 돼 힐링을 위한 제품으로 많이 사용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일반적인 향초를 사용하는 이들은 향초를 조명적인 목적보다는 향초를 켜서 힐링을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사용한다. 이는 향초를 켜고 나오는 은은한 조명의 시각적인 힐링, 향초의 피움으로 발향하는 특유의 향을 통한 후각적인 힐링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향초는 양초와 같이 심지에 불을 붙이면 고체의 향초가 녹아서 액체가 되고, 액체 촛농이 심지를 타고 올라가 기체로 변하여 연소되면서 주변에 향을 퍼트리며 사용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향초를 심지에 불을 붙여서 사용하게 되면 불의 사용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과 불완전 연소로 인한 그을음과 같은 인체에 해로운 연기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 20-2016-0000893와 같이 캔들 상부에 가열빛을 가하는 워머램프를 설비하여 워머램프의 열로 하부의 캔들에 열을 가하여 캔들을 액화 및 기화하여서 향초를 발향하는 캔들워머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캔들워머는 향초의 상부면 전체에 열을 가하여 기화하여 향을 발하는데 이러한 상부면 전방을 이용한 가열은 초반에는 향이 강하다가 상부면의 향료가 소모되어 시간이 지날수록 향이 점차적으로 옅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향초의 기화로 인해 높이가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되면 향초와 워머램프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거리 증가로 인해 향초에 가해지는 열이 줄어들고 이로 인한 발향효과가 더욱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나 지속적으로 열을 가하면 지속적인 열의 가열로 인하여 향초의 화학적 변형이 이루어지며, 향초를 담는 용기가 녹거나 변형되는 문제점 역시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 20-2016-0000893 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캔들워머를 힐링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이에게 시각적감각, 후각적감각 외에 청각적감각을 제공하여 더욱 평안한 쉼을 제공하고자 하며, 더욱이 기존 향초의 향초의 발향에 있어서, 상부면 전체를 지속적으로 가열함으로 향초의 화학적변형과 용기의 물리적변형의 문제점을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박스형의 하부몸체케이스, 상부에 디스크캔들을 놓고 회전시키는 스핀플래터부, 열을 가하여 향을 내는 봉형의 캔들가열암으로 구성하고, 디스크캔들 측면에 다수의 타공돌기를 갖은 악보드럼, 악보드럼 근방에 오르골 음악을 연주하는 음악건반구로 구비한 뮤직 캔들워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캔들의 향초의 발향으로 인한 후각적효과, 발열램프 조명으로 인한 시각적효과에 악보드럼과 음악건반구가 오르골음악을 제공하여 이를 통해 청각적효과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시각 후각 청각이라는 3가지 감각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더욱 편안한 쉼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디스크캔들의 일부분을 캔들가열암으로 가열하고 디스크캔들이 회전함에 따라 향초 전체를 주행하며 전반적인 발향이 이뤄져 가열부위의 집중으로 인한 문제점을 예방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 캔드 워머의 향초용기전체를 바꾸는 것이 아닌 단순히 디스크캔들을 교체하여 사용자가 원할 때 다양한 향기의 판을 쉽게 선택변경함으로 향과 음악의 선택이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핀플래터부와 캔들가열암의 구성에 예를 보인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보드럼과 음악건반구의 모습의 예를 보인 부분확대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건반센서구와 연주스피커를 갖는 모습의 예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의 캔들워머를 사용함에 있어서, 향초의 발향에 의한 후각적감각, 가열램프 조명의 시각작감각에 음악이라는 청각적감각을 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몸체가 되는 박스형의 하부몸체케이스(100), 상기 하부몸체케이스(100) 상부에 디스크캔들(400)을 놓아 이를 회전 시키는 원형의 스핀플래터부(200), 상기 스핀플래터부(200) 위에 놓여 교체가 가능하며 향초가 되는 원형의 디스크캔들(400), 상기 하부몸체케이스(100) 상부 일측에 디스크캔들(400)에 열을 가하여 향을 내는 봉형의 캔들가열암(300)으로 구성하고, 상기 캔들가열암(300)은 일측은 하부몸체케이스(100)에 결속되어 있으며, 봉의 끝단은 디스크캔들(4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캔들가열암(300) 끝단 하부에는 향초에 열을 가하는 캔들가열램프(310)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캔들가열암(300)는 하부몸체케이스(100)와 결속되는 위치에 캔들가열램프(310)와 디스크캔들(400)과 간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수동으로 캔들가열암(3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320)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디스크캔들(400)은 상부가 열린 원반형의 원반하우징(410), 원반하우징(410) 내부에 향초가 담겨진 내부향초(420)로 구비하고, 상기 원반하우징(410) 측면은 둘레를 따라 돌출된 다수의 타공돌기(511)를 갖은 악보가 되는 악보드럼(510)으로 구비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하부몸체케이스 상부 악보드럼(510) 근방에 상기 악보드럼(510)의 타공돌기(511)로 튕겨져 음악을 연주하는 연주핀(521)을 갖는 음악건반구(520)로 구비하여 상기 악보드럼(510)과 음악건반구(520)로 오르골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캔들가열암(300)는 향초를 사용시에만 캔들가열암(300)를 디스크캔들(400)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수평회전하게 하며, 이때 상기 캔들가열암(300)와 상기 음악건반구(520)가 서로 연관동작하도록하여 상기 캔들가열암(300)가 디스크캔들(400) 상부에 위치하면 음악건반구(520)가 움직여 악보드럼(510)과 맞닿게 하며, 캔들가열암(300)가 디스크캔들(400)에서 벗어나면 음악건반구(520)가 누워져 악보드럼(510)과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악건반구(520)를 직접적으로 소리를 내는 물리적인 음악기기가 아닌 전자기기로 구성하며, 이는 상기 악보드럼(510)의 타공돌기(511)와 접촉시 접촉위치를 인식하여 전기신호로 보내는 접촉건반센서구(522)로 구성하는 것이다. 접촉건반센서구(522)는 접지센서 또는 감압센서를 활용하여 타공돌기(511)와 접촉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케이스(100) 일측에 상기 접촉건반센서구(522)에서 전송된 전기신호를 저장된 음계의 소리로 변환하여 연주해주는 연주스피커(53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주스피커(530)는 상기 캔들가열암(300)의 캔들가열램프(310)와 디스크캔들(400)과 간격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320)를 통해 간격거리를 가까이 할수록 연주스피커(530)의 음량이 커지며 멀어질수록 음량이 작아지도록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케이스(100) 내부에 상기 디스크캔들(400)의 회전과 함께 캔들가열램프(310)가 디스크캔들(400)의 회전 중심과 외각으로 왕복이 되도록 캔들가열암(300)와 결속되는 왕복캠을 구비하고, 상기 왕복캠은 상기 디스크캔들(400)의 회전과 함께 동작도록 상기 스핀플래터부(20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결속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악보드럼(510)와 음악건반구(520)를 구성함에 있어서 이들 음향장치의 모습을 숨기기 위해서 음향장치를 하부바닥에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악보드럼(510)를 디스크캔들(400)의 하부 바닥면 구성하고, 이에 맞물리도록 음악건반구(520)를 상기 디스크캔들(40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부몸체케이스(100) 상부에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핀플래터부(200)는 디스크캔들(400)에 빛을 비춰 은은한 조명효과를 내도록 스핀플래터부(200) 상부면에 조명램프구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캔들워머에 있어서 몸체가 되는 박스형의 하부몸체케이스(100), 상부에 디스크캔들(400)을 놓아 회전 시키는 원형의 스핀플래터부(200), 스핀플래터부(200) 위에 놓여 교체가 가능하며 향초가 되는 원형의 디스크캔들(400), 디스크캔들(400)에 열을 가하여 향을 내는 끝단에 캔들가열램프(310)를 갖는 봉형의 캔들가열암(300)으로 구성하여 실기하게 되면 상기 캔들가열암(300)을 열기를 이용하여 디스크캔들(400)을 가열하여 발향이 되도록하는 것이다. 이때 캔들가열암(300)이 디스크캔들(400)의 일정영역을 가열하는 도중 디스크캔들(400)이 스핀플래터부(200)로 인하여 회전하게 되면 회전으로 인하여 전방을 주행하게 되어 가열영역이 디스크캔들(400)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일정구역의 지속적인 가열로 인한 화학적변형의 문제점 용기의 변형의 문제점등을 예방하며, 특히 부분가열과 그 가열부위의 변동으로 인하여 발향의 정도가 변동 없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캔들가열암(300)에 수동으로 캔들가열암(3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32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캔들가열램프(310)와 디스크캔들(400)과 간격거리를 조절하여 간격조절에 따른 향초의 녹는 양을 조절하여 발향의 강도를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캔들(400)의 원반하우징(410) 측면은 둘레를 따라 돌출된 다수의 타공돌기(511)를 갖은 악보가 되는 악보드럼(510)으로 구비하고, 악보드럼(510) 근방에 상기 악보드럼(510)의 타공돌기(511)로 튕겨져 음악을 연주하는 연주핀(521)을 갖는 음악건반구(520)로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악보드럼(510)의 타공돌기(511)가 음악건반구(520)의 연주핀(521)을 튕겨 악보드럼(510)을 악보로 하여 오르골음악이 연주되는 것이다. 특히 비치되는 디스크캔들(400)을 교체하면 그에 따른 음악을 변경하여 듣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향초의 발향으로 인한 후각적효과, 발열램프 조명으로 인한 시각적효과, 오르골음악으로 인한 청각적효과라는 3가지 감각을 자극하여 사용자에게 즐거움과 힐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캔들가열암(300)는 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수평회전하게 하며, 상기 캔들가열암(300)와 상기 음악건반구(520)가 서로 연관동작하도록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캔들가열암(300)가 디스크캔들(400) 상부에 위치하면 음악건반구(520)가 움직여 악보드럼(510)과 맞닿으며, 캔들가열암(300)가 디스크캔들(400)에서 벗어나면 음악건반구(520)가 누워져 악보드럼(510)과 떨어지게 되어 향초의 발향과 음악의 재생이 함께 동작하여 편의성이 증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악건반구(520)는 상기 악보드럼(510)의 타공돌기(511)와 접촉시 접촉위치를 이를 인식하여 전기신호로 보내는 접촉건반센서구(522)로 구성하고, 상기 하부몸체케이스(100) 일측에 접촉건반센서구(522)에서 전송된 전기신호를 저장된 음계의 소리로 변환하여 연주해주는 연주스피커(53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직접적으로 소리를 내는 물리적인 음악기기가 아닌 전자 음악기기가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설정에 따라 오르골소리, 피아노소리, 기타소리 등 다양한 음악의 연주가 가능하며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연주스피커(530)의 음악소리를 상기 높이조절구(320)로 조작한 간격거리에 따라 그 음량을 조절하도록 하면, 향초의 발향정도와 음악의 소리가 함께 연동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케이스(100) 내부에 상기 디스크캔들(400)의 회전과 함께 캔들가열램프(310)가 디스크캔들(400)의 회전 중심과 외각으로 왕복이 되도록 캔들가열암(300)와 결속되는 왕복캠을 구비하고, 상기 왕복캠은 상기 디스크캔들(400)의 회전과 함께 동작도록 상기 스핀플래터부(20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결속되도록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캔들가열램프(310)가 디스크캔들(400)의 위를 주행할때에 점차적으로 안쪽으로 들어갔다 나오는 나선형으로 주행하게 되어 더욱더 전반적인 영역을 나누어서 가열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드럼노트를 디스크캔들(400)의 하부 바닥면 구성하고, 이에 맞물리도록 음악건반구(520)를 상기 디스크캔들(40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부몸체케이스(100) 상부에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음향장치가 하부바닥에 들어가서 모습을 숨기게 되어 디자인의 심플성이 증가되는 것이다.
100: 하부몸체케이스 200: 스핀플래터부
300: 캔들가열암 310: 캔들가열램프 320: 높이조절구
400: 디스크캔들 410: 원반하우징 420: 내부향초
510: 악보드럼 511: 타공돌기
520: 음악건반구 521: 연주핀
522: 접촉건반센서구 530: 연주스피커

Claims (3)

  1. 향초를 증발시켜 향을 내는 캔들워머에 있어서;
    몸체가 되는 박스형의 하부몸체케이스(100), 상기 하부몸체케이스(100) 상부에 디스크캔들(400)을 놓아 이를 회전 시키는 원형의 스핀플래터부(200), 상기 스핀플래터부(200) 위에 놓여 교체가 가능하며 향초가 되는 원형의 디스크캔들(400), 상기 하부몸체케이스(100) 상부 일측에 디스크캔들(400)에 열을 가하여 향을 내는 봉형의 캔들가열암(300)으로 구성하고,

    상기 캔들가열암(300)은 일측은 하부몸체케이스(100)에 축결합되어 있으며, 캔들가열암(300) 끝단 하부에는 향초에 열을 가하는 캔들가열램프(310)를 구비하고,

    상기 캔들가열암(300)는 하부몸체케이스(100)와 결속되는 위치에 캔들가열램프(310)와 디스크캔들(400)과 간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수동으로 캔들가열암(3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320)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캔들(400)은 상부가 열린 원반형의 원반하우징(410), 원반하우징(410) 내부에 향초가 담겨진 내부향초(420)로 구비하고,

    상기 원반하우징(410) 측면은 둘레를 따라 돌출된 다수의 타공돌기(511)를 갖은 악보가 되는 악보드럼(510)으로 구비하여,

    상기 하부몸체케이스(100) 상부, 상기 악보드럼(510) 근방에 상기 악보드럼(510)의 타공돌기(511)로 튕겨져 음악을 연주하는 연주핀(521)을 갖는 음악건반구(520)로 구비하여 상기 악보드럼(510)과 음악건반구(520)로 오르골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뮤직 캔들워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건반구(520)는 상기 악보드럼(510)의 타공돌기(511)와 접촉시 접촉위치를 이를 인식하여 전기신호로 보내는 접촉건반센서구(522)로 구비하고,

    상기 하부몸체케이스(100) 일측에 접촉건반센서구(522)에서 전송된 전기신호를 저장된 음계의 소리로 변환하여 연주해주는 연주스피커(530)를 구비하며,

    상기 연주스피커(530)의 음악의 볼륨은 캔들가열암(300)를 통해 조절된 캔들가열램프(310)와 디스크캔들(400)과 간격거리에 따라 연동조정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뮤직 캔들워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케이스(100) 내부에 상기 디스크캔들(400)의 회전과 함께 캔들가열램프(310)가 디스크캔들(400)의 회전 중심과 외각으로 왕복이 되도록 캔들가열암(300)와 결속되는 왕복캠을 구비하고,

    상기 왕복캠은 상기 디스크캔들(400)의 회전과 함께 동작도록 상기 스핀플래터부(20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결속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뮤직 캔들워머
KR1020180119596A 2018-10-08 2018-10-08 뮤직 캔들워머 KR101940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596A KR101940656B1 (ko) 2018-10-08 2018-10-08 뮤직 캔들워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596A KR101940656B1 (ko) 2018-10-08 2018-10-08 뮤직 캔들워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656B1 true KR101940656B1 (ko) 2019-01-21

Family

ID=6527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596A KR101940656B1 (ko) 2018-10-08 2018-10-08 뮤직 캔들워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6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242U (ko) * 2014-07-11 2016-01-21 김옥임 캔들워머
KR20160000893U (ko) 2014-09-05 2016-03-15 최현욱 자동차용 인테리어 램프수단의 리플렉터
KR200482830Y1 (ko) * 2016-02-19 2017-03-07 주식회사 현피플 캔들워머
KR20180001919U (ko) *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아이비스 캔들워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242U (ko) * 2014-07-11 2016-01-21 김옥임 캔들워머
KR20160000893U (ko) 2014-09-05 2016-03-15 최현욱 자동차용 인테리어 램프수단의 리플렉터
KR200482830Y1 (ko) * 2016-02-19 2017-03-07 주식회사 현피플 캔들워머
KR20180001919U (ko) *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아이비스 캔들워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82200A1 (en) Flameless candle with fragrance diffusion
US10309599B2 (en) Modulated resonator generating a simulated flame
US7132084B1 (en) Candle warmer
US6074199A (en) Sound producing candle
CN105307690B (zh) 便携式挥发性物质分配器及其中模拟火焰的方法
US11110194B2 (en) Aroma candle lamp with 3D swinging flame
US11067237B2 (en) Resonator generating a simulated flame
KR102212706B1 (ko) 다기능 향초 워머
US20150068079A1 (en) Simulated flame effect fire
KR101940656B1 (ko) 뮤직 캔들워머
TW200840523A (en) Electronic-type simulated incense device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US20030044325A1 (en) Diffuser
US11065416B2 (en) Therapeutic device
JP2018006200A (ja) 装飾用照明装置
KR102003154B1 (ko) 턴테이블형 캔들워머
KR200491234Y1 (ko) 캔들워머가 구비된 램프
JP2016143598A (ja) 芳香器機能付きキャンドルライト
KR101718932B1 (ko) 양초의 향기에 따른 뮤직 출력시스템
KR101960229B1 (ko) 전기식 캔들팟
JP2001327588A (ja) 発香器
TWM574659U (zh) 旋轉香薰燈結構改良
JP2016154831A (ja) 線香煙沈留仏具、線香、香炉および装飾具
US20050239009A1 (en) Sound-producing candle assembly
WO2020077546A1 (zh) 一种3d火焰摇摆香薰蜡烛灯
KR101992737B1 (ko) 플로팅 led캔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