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108U -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 - Google Patents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108U
KR20160000108U KR2020150001824U KR20150001824U KR20160000108U KR 20160000108 U KR20160000108 U KR 20160000108U KR 2020150001824 U KR2020150001824 U KR 2020150001824U KR 20150001824 U KR20150001824 U KR 20150001824U KR 20160000108 U KR20160000108 U KR 201600001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vel
arch
head
shovel head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환
Original Assignee
조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환 filed Critical 조성환
Priority to KR2020150001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108U/ko
Publication of KR201600001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0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땅을 파고 흙을 뜨는데 사용하는 도구인 삽(shovel)에 관한 것으로서, 땅을 파거나 흙을 뜨기 위한 삽머리를 가지며, 상기 삽머리의 상단면 좌우측단부에서 각각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지되 양측단이 연결되어 아치형(arch type) 구조를 형성하고 아치형 구조의 상부 중심부에서 삽자루와 연결되는 연장 아치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삽머리의 상단면 중심부로 발 디딤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연장 아치부는 상기 삽머리의 상단면 좌우측단부에서 각각 상측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지되 삽머리의 앞쪽으로 휘어져 돌출되는 아치 하부영역과, 상기 아치 하부영역에 연이어 형성되어 상측에 위치되고 말발굽의 형상을 갖는 아치 상부영역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삽자루에 대해 수직의 동일직선상 배치가 아닌 삽머리의 앞쪽에 위치되게 배치함으로써 삽머리의 상단면에 발 디딤하여 작업시 사용자의 정강이 부분이 부딪히지 않도록 구성하는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EASY SHOVEL}
본 고안은 땅을 파고 흙을 뜨는데 사용하는 도구인 삽(shovel)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의 사용을 더욱 편리하고 용이하게 하거나 흙 등을 보다 쉽게 뜰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 편리성과 더불어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삽(shovel)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삽(shovel)은 사용자가 취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발을 이용하여 땅을 파고 흙을 뜨는데 사용하는 도구이다.
이러한 삽은 사용자의 취부 및 사용 용이성을 위한 손잡이를 일단에 갖는 삽 자루부와, 상기 삽 자루부의 끝단에 결합되고 실제 땅을 파거나 흙을 뜨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삽 본체부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일반적 구성을 갖는 삽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손의 움직임과 더불어 발의 사용이 많게 되는데, 종래에는 발의 사용시 삽 본체부에 긴밀한 접촉 및 접촉 유지에 어려움이 있어 미끄러짐이 발생되거나 헛디딤을 갖는 경우가 발생되는 등 발의 사용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일반적 구성을 갖는 삽은 삽 본체부의 중심에 삽 자루부가 연결되는 구조로 인해 발 디딤이 삽 본체부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될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을 이용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좌우측부에 미치는 힘의 균형이 맞지 않아 편중되게 힘이 작용할 수밖에 없고 힘의 편중된 작용에 의해 삽이 뒤틀리거나 발 디딤이 미끄러지는 현상이 자주 초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삽은 삽 본체부에 미치는 발의 디딤에 의한 힘의 불균형으로 인해 땅을 파는 작업시 작업능률이 떨어지며, 심지어는 사용자가 다치는 등 안전사고 우려가 있었다.
나아가, 종래에는 작업장에서 삽을 이용하여 무거운 돌 등의 중량체를 파내거나 옮기는데 쉽지 않는 부분이 있었으며, 종래 삽은 기능성 및 안전성이 우수하다고 볼 수 없을뿐더러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심미성이 뛰어나지 않다.
한편, 선행기술들을 살펴보았을 때,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구조설계를 갖는 삽(shovel)과 유사성을 갖는다 할 수 있는 특허문헌은 쉽게 찾아볼 수가 없었으며, 단지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125770호에서는 삽 본체와 중공관체로 된 삽자루로 구성되는 굴토용 삽에 있어서 삽 본체는 상부 중앙에는 자루홈을, 좌우변에는 발판부를, 하방에는 삽날부를 구비하여 구성하면서 자루홈이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삽 본체와, 상기 삽 본체의 자루홈에 삽자루의 중공관을 끼워 전면에는 제1용착부를, 후면에는 제2용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삽 본체의 소재인 금속판재를 삽 본체 형상으로 절단할 때 자루홈이 돌출되지 않아 금속판재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성형작업을 1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어 양산 제조할 수 있게 되고, 견고한 굴토용 삽을 제조할 수 있는 구성을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124180호에서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하단에 형성된 자루; 상기 자루의 끝단에 형성된 포크 형상의 날부; 상기 날부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된 삽 본체; 상기 삽 본체를 자루에 체결하기 위해 후방 중심에서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결합공과, 자루의 하단부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포크 형상의 날부에 삽 본체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포크 또는 삽의 용도로 사용 가능하고, 또 상기 날부에 외삽되어 자루의 끝단에 체결된 삽 본체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뿐더러 상기 삽 본체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포크겸용 삽을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나아가,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8184호에서는 시비하는 비료의 유실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밑거름 시비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밑거름 시비용 기능삽의 구성을 제안 및 개시하고 있고,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1378호에서는 용기묘의 식재를 위한 식혈을 좀 더 쉽고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묘 식재용 식재삽의 구성을 제안 및 개시하고 있는 등 특정 사용 용도에 적합한 기능삽을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5770호 (2011.11.22.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4180호 (2012.11.13.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8184호 (2011.08.18.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1378호 (2010.02.08. 공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 등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의 사용을 더욱 용이하게 하거나 흙 등을 보다 쉽게 뜰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 편리성 및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삽(shovel)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삽머리부와 이에 접촉되는 발과의 디딤력을 높여 기능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지렛대 원리를 이용할 수 있는 구조설계를 통해 무거운 돌 등의 중량체를 파내거나 옮기는데 보다 유용함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shovel)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발을 이용하여 땅을 파는 등의 작업시 발생되던 힘의 편중(불균형)에 따른 작업능률 저하 및 안전사고 우려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shovel)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발의 사용에 따른 인체공학적 구조설계를 접목한 구성을 갖게 함은 물론 디자인적 측면을 고려하여 기능성 및 안전성 외에 심미성까지 추구할 수 있도록 한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shovel)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은, 땅을 파거나 흙을 뜨기 위한 삽머리를 가지며, 상기 삽머리의 상단면 좌우측단부에서 각각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지되 양측단이 연결되어 아치형(arch type) 구조를 형성하고 아치형 구조의 상부 중심부에서 삽자루와 연결되는 연장 아치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삽머리의 상단면 중심부로 발 디딤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장 아치부는, 상기 삽머리의 상단면 좌우측단부에서 각각 상측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지되 삽머리의 앞쪽으로 휘어져 돌출되는 아치 하부영역과, 상기 아치 하부영역에 연이어 형성되어 상측에 위치되고 말발굽의 형상을 갖는 아치 상부영역을 포함하는 구성이며; 상기 삽자루에 대해 수직의 동일직선상 배치가 아닌 삽머리의 앞쪽에 위치되게 배치함으로써 삽머리의 상단면에 발 디딤하여 작업시 사용자의 정강이 부분이 부딪히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삽머리의 뒤쪽 상단부에 위치되도록 일체 형성하거나 또는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삽머리의 상단면에 디딤하는 사용자 발의 디딤력을 뒷받침 및 안정감 있게 하면서 누름압력을 배가할 수 있고 지렛대 원리로 보다 큰 힘을 작용할 수 있게 돌출구조로 형성되는 발 디딤 보조지지대를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장 아치부는, 원형 또는 반원형이되 내부가 채워진 블록몸체로 형성되거나, 앞쪽 면에서는 볼록형 곡면 구조이고 뒤쪽 면에서는 오목형 곡면 구조를 갖는 곡면형성판으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발의 사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흙 등을 보다 쉽게 뜰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 편리성 및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삽머리와 이에 접촉되는 발과의 디딤력을 높일 수 있어 기능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렛대 원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더욱 쉽게 흙을 뜰 수 있고 무거운 돌 등의 중량체를 파내고 옮기는데 유용함을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종래 발을 이용하여 땅을 파는 등의 작업시 발생되던 발 디딤 및 이로 인한 힘의 편중(불균형)을 개선할 수 있고 인체공학적 구조설계를 접목한 구성을 통해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으면서 안전사고 우려의 단점까지 개선할 수 있으며, 디자인적 측면까지 고려한 설계로 삽이 가져야 할 기능성 및 안전성을 높임과 더불어 심미성까지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의 일 사용상태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의 다른 사용상태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본 고안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고안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100)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머리(110)와 연장 아치부(120), 발 디딤 보조지지대(130), 및 삽자루(1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머리(110)는 땅을 파거나 흙을 뜨는데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삽 본체로서, 끝단 중심부가 뾰족한 첨단부를 갖는 형상의 판형몸체일 수 있고, 때로는 사각형상의 판형몸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삽머리(110)는 강성 증대를 위해 삽 형상을 갖는 판형몸체의 좌우측단부에 각각 강성보강부(111)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강성보강부(111)는 수직의 곡면형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삽머리(110)의 앞쪽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앞쪽 면에서는 볼록형 곡면 구조이고, 삽머리(110)의 뒤쪽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뒤쪽 면에서는 오목형 곡면 구조를 갖는다.
상기 삽머리(110)의 강성보강부(111)는 다음에 기술되는 연장 아치부(120)와 상하 위치하되, 상호간에 연이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장 아치부(120)는 삽 본체인 삽머리(110)의 상단면 좌우측단부에서 각각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지되 양측끝단이 상호 연결됨에 의해 일체형 몸체를 이루어 아치형(arch type)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이 아치형 구조를 갖는 몸체의 상부 중심부에서 삽자루(140)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장 아치부(120)는 삽머리(110)와 삽자루(140)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아치형 구조의 몸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삽머리(110)의 상단면 중심부로 발 디딤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부연하여, 상기 연장 아치부(120)는 종래 삽자루가 삽머리의 중심에 연결되는 구조로 인해 사용자의 발 디딤이 삽머리의 중심이 아닌 좌측이나 우측으로 편중될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개선하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이러한 힘의 편중(불균형)에 따라 발생되는 안전사고 우려와 작업능률 저하 등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이 삽머리(110)의 상단면에서 미끄러져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 아치부(120)를 구비함에 따라 도 4에서 보여주는 예시에서와 같이, 삽머리(110)의 상단면 중심부로 발 디딤을 실시할 수 있고, 땅을 파는 등의 작업시 힘의 균형 및 중심부에서 누름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어 힘의 균형있는 전달 및 세기 등을 높일 수 있으며, 발 사용에 따른 편리성 및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고 더욱 바른 자세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 아치부(120)는 주조(鑄造) 방식을 통해 삽머리(110)와 일체 형성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때로는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등 체결방식에 의한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연장 아치부(120)는 삽자루(140)와 체결방식에 의한 상호간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때로는 주조 등을 이용하여 일체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연장 아치부(120)는 삽머리(110)의 상단면 좌우측단부에서 각각 상측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지되 삽머리(110)의 앞쪽으로 휘어져 돌출되는 아치 하부영역(121)과, 상기 아치 하부영역(121)에 연이어 형성되어 그 상측에 위치되고 말발굽의 형상을 갖게 되는 아치 상부영역(122)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 아치부(120)는 상술한 구체적 구성을 통해 삽머리(110)와 삽자루(140)를 기존에서와 같이 수직의 동일직선상 배치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도 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삽자루(140)를 삽머리(110)의 앞쪽에 위치되게 배치하는 구조설계로서 삽머리(110)의 상단면에 발 디딤하여 작업시 사용자의 정강이 부분이 부딪히지 않도록 하는 인체공학적 설계를 제공하는 것이며, 발을 보다 편리하면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연장 아치부(120)는 아치형 구조를 갖는 몸체에 대해 원형 또는 반원형의 형상이되 내부가 채워진 블록몸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앞쪽 면에서는 볼록형 곡면 구조이고 뒤쪽 면에서는 오목형 곡면 구조를 갖는 곡면형성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 디딤 보조지지대(130)는 삽머리(110)의 뒤쪽 상단부에 위치되도록 일체 형성하거나 또는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삽머리(110)의 상단면에 디딤하는 사용자 발의 디딤력을 뒷받침 및 안정감 있게 하면서 누름 가압력을 배가할 수 있고 지렛대 원리로 보다 큰 힘을 작용할 수 있도록 돌출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발 디딤 보조지지대(130)는 삽머리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구조를 갖고 가로방향으로 횡(橫) 배치 및 세워 배치되는 밴드형 몸체이되, 중심부에 삽머리(110)의 뒤쪽 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구조의 중심돌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돌부(131)의 양측단에서 각각 외측방향을 향하여 연장 및 중심돌부(131)에 비해 절곡각도가 완만해지는 날개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132)에서 각각 외측방향을 향하여 연장 및 삽머리(110) 측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133)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 디딤 보조지지대(13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삽머리(110)에 일체 형성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삽머리(110)의 뒤쪽 상단부 중심에서 뒤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구조의 블록형 몸체(134)이되, 상기 블록형 몸체(134)의 상면(U1)이 삽머리(110)의 상단면(U2)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수평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블록형 몸체(134)는 주조(鑄造)를 통한 삽머리(110)의 성형 제조시 함께 형성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블록형 몸체(134)의 발 디딤 보조지지대(130)는 볼트를 이용한 체결을 통해서도 삽머리(110)의 뒤쪽 상단부 중심에 위치되게 배치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발 디딤 보조지지대(130)를 통해서는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는 작업 수행을 위해 삽머리(110)의 상단면으로 발을 딛게 되는 경우, 삽머리(110)의 상단면과 발 디딤 보조지지대(130)가 사용자 발의 윗부분과 아래부분을 동시에 떠받쳐 지지하는 받침대로서 동시 작용하게 되므로 발의 디딤 면적을 넓힐 수 있고 안정된 발 디딤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발을 헛딛거나 발이 미끄러져나가는 현상을 없앨 수 있고 안정된 발 디딤으로 누름 가압력을 배가할 수 있는 등 종래에 비해 발의 사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발 디딤 보조지지대(130)는 삽머리(110)의 뒤쪽에 위치되는 돌출구조로서, 삽머리(110)로 흙을 뜨거나 무거운 돌 등을 파내고 이동 처리하는데 삽의 지렛대로서 기능하도록 구비한 것인데, 도 5에서 보여주는 예시에서와 같이 지렛대 기능을 제공하므로 단순 삽머리만을 갖는 일반적 삽에 비해 보다 큰 힘을 작용시킬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더욱 쉽게 흙을 뜨거나 무거운 돌을 파내고 옮기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삽자루(140)는 일측에 손잡이(141)가 구비되며, 타측이 연장 아치부(120)와 일체 형성 또는 체결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141)는 곡률 형상구조를 갖게 하는 등 구조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연장 아치부(120)와 발 디딤 보조지지대(130)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해 종래에 비해 발의 사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흙 등을 보다 쉽게 뜰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 편리성 및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10: 삽자루 111: 강성보강부
120: 연장 아치부 121: 아치 하부영역
122: 아치 상부영역 130: 발 디딤 보조지지대
131: 중심돌부 132: 날개부
133: 체결부 134: 블록형 몸체
140: 삽자루 141: 손잡이

Claims (3)

  1. 땅을 파거나 흙을 뜨기 위한 삽머리를 가지며,
    상기 삽머리의 상단면 좌우측단부에서 각각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지되 양측단이 연결되어 아치형(arch type) 구조를 형성하고 아치형 구조의 상부 중심부에서 삽자루와 연결되는 연장 아치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삽머리의 상단면 중심부로 발 디딤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에 있어서,
    상기 연장 아치부는,
    상기 삽머리의 상단면 좌우측단부에서 각각 상측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지되 삽머리의 앞쪽으로 휘어져 돌출되는 아치 하부영역과, 상기 아치 하부영역에 연이어 형성되어 상측에 위치되고 말발굽의 형상을 갖는 아치 상부영역을 포함하는 구성이며;
    상기 삽자루에 대해 수직의 동일직선상 배치가 아닌 삽머리의 앞쪽에 위치되게 배치함으로써 삽머리의 상단면에 발 디딤하여 작업시 사용자의 정강이 부분이 부딪히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머리의 뒤쪽 상단부에 위치되도록 일체 형성하거나 또는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삽머리의 상단면에 디딤하는 사용자 발의 디딤력을 뒷받침 및 안정감 있게 하면서 누름압력을 배가할 수 있고 지렛대 원리로 보다 큰 힘을 작용할 수 있게 돌출구조로 형성되는 발 디딤 보조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아치부는,
    원형 또는 반원형이되 내부가 채워진 블록몸체로 형성되거나,
    앞쪽 면에서는 볼록형 곡면 구조이고 뒤쪽 면에서는 오목형 곡면 구조를 갖는 곡면형성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
KR2020150001824U 2015-03-23 2015-03-23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 KR201600001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824U KR20160000108U (ko) 2015-03-23 2015-03-23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824U KR20160000108U (ko) 2015-03-23 2015-03-23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003 Division 2014-07-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08U true KR20160000108U (ko) 2016-01-11

Family

ID=5517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824U KR20160000108U (ko) 2015-03-23 2015-03-23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10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3639A (zh) * 2016-08-05 2018-02-13 张如裕 一种多功能铲
KR102213053B1 (ko) 2020-04-12 2021-02-08 최병일 무게중심의 분산을 위한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378U (ko) 2008-07-29 2010-02-08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용기묘 식재용 식재삽
KR20110008184U (ko) 2010-02-12 2011-08-18 주식회사 삼지조경산업 밑거름 시비용 기능삽
KR20110125770A (ko) 2010-05-14 2011-11-22 권재열 굴토용 개량 삽
KR20120124180A (ko) 2011-05-03 2012-11-13 옥차량 포크겸용 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378U (ko) 2008-07-29 2010-02-08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용기묘 식재용 식재삽
KR20110008184U (ko) 2010-02-12 2011-08-18 주식회사 삼지조경산업 밑거름 시비용 기능삽
KR20110125770A (ko) 2010-05-14 2011-11-22 권재열 굴토용 개량 삽
KR20120124180A (ko) 2011-05-03 2012-11-13 옥차량 포크겸용 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3639A (zh) * 2016-08-05 2018-02-13 张如裕 一种多功能铲
KR102213053B1 (ko) 2020-04-12 2021-02-08 최병일 무게중심의 분산을 위한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8031B1 (en) High strength shovel and trowels
CN204560128U (zh) 多功能挖掘工具
US20160242351A1 (en) Leverage-enhancing attachment aid for digging and prying tools and method of use
US3848915A (en) Tree balling spade
KR20160000108U (ko)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삽
US5120098A (en) Manual digging implement
US20170280612A1 (en) Pick Shovel
US6837528B1 (en) Shovel with improved stability and root cutting ability
JP3212042U (ja) タケノコ掘具
KR101374689B1 (ko) 포크겸용 삽
ES1075794U (es) Cavador ergonómico.
US20140292009A1 (en) Digging and Tilling Implements with Knee Clearance
CN211531916U (zh) 一种苗木扦插工具
RU40830U1 (ru) Рыхлитель почвы
CN208210581U (zh) 一种基于杠杆原理的新型翻地叉
SU1426478A1 (ru) Лопата
JP3171581U (ja) 除草用具
RU2119732C1 (ru) Лопата
CN213485539U (zh) 一种新型园林铲
JP3121083U (ja) 踏みしろ杆付き櫛歯型鋤
JP2012165698A (ja) 土起こし器具
CN205071619U (zh) 一种单侧踏肩加固铁锨
JP3223824U (ja) 穴あけ器
CN219563176U (zh) 剁切刀
US20060090911A1 (en) Fertilizer stake boring tool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