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6383A - Electrical Conta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ctrical Conta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46383A KR20150146383A KR1020150033541A KR20150033541A KR20150146383A KR 20150146383 A KR20150146383 A KR 20150146383A KR 1020150033541 A KR1020150033541 A KR 1020150033541A KR 20150033541 A KR20150033541 A KR 20150033541A KR 20150146383 A KR20150146383 A KR 201501463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plunger
- electrical
- coil spring
- electrical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Landscapes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배선기판이나 반도체 집적회로 등에 구비된 전극에 접촉하는 전기적 접촉자나, 복수의 전기적 접촉자를 갖는 전기적 접속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BACKGROUND OF THE
마주보고 설치된 배선기판 위의 전기회로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적 접촉자는 잘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전기적 접촉자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Electrical contact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al circuits on opposite wiring boards to each other are well known. Such electrical contactors include those described in, for example,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적 접촉자(1)는, 도 22,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같은 형상의 2개의 접촉 핀(2)과 코일스프링(3)을 갖는다. 접촉 핀(2)은 주로 걸림돌기(4), 걸림구멍(5), 플랜지부(6), 핀 선단부(2A)를 갖는다. 걸림돌기(4)는 마주보고 2개 설치되고, 가요성이 있는 지지봉부(4A)로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2개의 걸림돌기(4)는 서로 근접 이간하도록 되어 있다. 걸림구멍(5)은 다른쪽 접촉 핀(2)의 걸림돌기(4)가 끼워지는 구멍으로, 걸림돌기(4)의 폭에 맞추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2개의 접촉 핀(2)이 길이방향의 축 주위로 90도 비켜서 상하방향으로 마주보고, 상하방향에 따른 상대적인 접근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다른쪽 접촉 핀(2)의 걸림구멍(5)의 개구에, 한쪽 접촉 핀(2)의 2개의 걸림돌기(4)가 걸려 2개의 접촉 핀(2)이 연결되게 되어 있다. 플랜지부(6)는 코일스프링(3)이 접촉되는 부분이다. 2개의 접촉 핀(2)이 각각 코일스프링(3)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함으로써, 코일스프링(3)의 양단이 각각 각 플랜지부(6)에 접하여 전기적 접촉자(1)가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전기적 접촉자(1)의 양단부는 각각 외부의 전극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핀 선단부(2A)가 된다.The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전기적 접촉자(7)는, 도 2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플런저(8)와 코일스프링(9)을 갖는다. 플런저(8)는 가늘고 긴 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 코일스프링(9)을 받는 확장부(8A)가 설치되고, 이 확장부(8A)의 상부에 전극과 접촉하는 단자부(8B)가 형성되어 있다. 확장부(8A)의 하부에는, 코일스프링(9) 내에 상하 움직임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심봉부(8C)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9)은 심봉부(8C)를 상하 움직임이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는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9)의 하단부쪽 직경은 서서히 작아져 있고, 가장 직경이 작은 하단부가 외부의 전극 등에 접촉된다.
The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적 접촉자(1)는, 그 전기적 접촉자(1)의 신축에 따라 한쪽 접촉 핀(2)의 걸림돌기(4)가 다른쪽 접촉 핀(2)의 걸림구멍(5)의 가장자리에 몇번이나 접촉하면, 걸림돌기(4)나 지지봉부(4A)가 마모 등으로 손상할 수 있어, 내구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The
또, 각 접촉 핀(2)은 그 걸림돌기(4)가 상대쪽 걸림구멍(5)에 결합할 뿐으로, 서로의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에, 전기적 접속을 주로 담당하는 것은 코일스프링(3)이 된다. 걸림돌기(4)나 지지봉부(4A) 부분은 코일스프링(3)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벌어져 상대쪽 걸림구멍(5)에 결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코일스프링(3)이 접촉 핀(2)을 조이는 정도의 내경으로 하는 것은 어렵다. 게다가, 코일스프링(3)은 압축 스프링으로, 접촉 핀(2)과의 접촉점도 적기 때문에, 각 접촉 핀(2)과 코일스프링(3)과의 사이는 밀착성이 약해진다. 그 때문에, 각 접촉 핀(2)의 플랜지부(6)와 코일스프링(3)과의 접촉부분이 중심적인 전기의 흐름 통로가 되지만, 접촉면적이 좁아 마모, 부식 등을 일으키기 쉽고, 전기적 접촉성이 나쁘다. 또, 접촉 핀(2)의 접촉단이 V자상의 홈으로 되어 있어, 반구상의 범프 전극이 접촉대상인 경우에, V자의 안쪽 방향에의 다소의 위치 어긋남으로, 전기적 접촉성이 순간 나빠져 버린다.Since each of the
게다가, 다른 길이의 전기적 접촉자(1)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접촉 핀(2)도 코일스프링(3)도 그 길이용의 것을 적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전기적 접촉자(1)의 종류가 많은 경우에는, 각 요소부품에 드는 비용도 높아져 버린다.Moreover, in order to realize the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전기적 접촉자(7)는, 플런저(8)와 코일스프링(9)의 2부품으로 형성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코일스프링(9)의 내경은, 플런저(8)의 심봉부(8C)를 상하 움직임이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플런저(8)와 코일스프링(9)이 서로 접촉하거나 하지 않거나 하여 전기적 접촉성이 나쁘다. 플런저(8)와 코일스프링(9)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은, 주로 플런저(8)의 확장부(8A)와 코일스프링(9)의 상단부와의 접점이 된다. 그 때문에, 접촉면적이 좁아 마모, 부식 등에 의해 접촉불량을 일으키기 쉽고, 전기적 접촉성이 나빠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The
또, 코일스프링(9)의 단부에서 한쪽 전극에 접하지만, 코일스프링(9)은 나선상으로 감겨져 있기 때문에, 단부의 잘린 끝 근방은 수평이 아니며, 이 점에서도 전기적 접촉성은 나쁘다.Since the end portion of the coil spring 9 touches one electrode but the coil spring 9 is wound spirally, the vicinity of the cut end of the end portion is not horizontal, and the electrical contact property is also bad at this point.
게다가, 다른 길이의 전기적 접촉자(7)를 실현하기 위해, 플런저(8)와 코일스프링(9)도 그 길이용의 것을 적용하면, 각 요소부품에 드는 비용도 높아져 버린다. 이에 대하여, 코일스프링(9)만을 다른 길이용으로 준비한 경우, 긴 전기적 접촉자(7)에서는, 플런저(8)가 내부에 위치하지 않은 코일스프링(9) 부분이 길어져, 직경방향으로 어떤 외력이 가해지면 용이하게 변형하여, 전기적 접촉자(7)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In addition, if the plunger 8 and the coil spring 9 are also used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the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충분한 전기적 접촉성을 적은 요소 수로 실현할 수 있는 전기적 접촉자나, 그와 같은 전기적 접촉자를 적용한 전기적 접속장치를 제공하려 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al contactor capable of realizing sufficient electrical contact with a small number of elements or an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using such an electrical contactor.
제1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자는, (1) 제1 접촉대상에 접촉하는 플런저부와, 압축 시에 힘을 모아 신장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스프링부가 동일 선재(線材)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플런저 겸용 코일스프링과, (2) 제2 접촉대상에 접촉하는 판상의 플런저로서, 상기 플런저부에서의 기단쪽 선재 부분이 그 플런저의 평면에 전기적으로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코일스프링부에 의해 상기 신장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런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1) A plunger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a first contact object, and a coil spring portion for collecting a force during compression and exerting a force in the elongation direction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same wire material (2) a plate-like plunger contacting the second object to be contacted, the proximal-end wire portion of the plunger portion being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lane of the plunger, and the coil spring portion And a plunger that is supported so as to be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여기에서, 상기 플런저가 상기 플런저부에서의 기단쪽 선재 부분을 끼워 지지하도록 2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nger is provided so as to support the proximal-end wire member of the plunger portion.
또, 상기 플런저부가, 상기 제1 접촉대상 쪽으로 향하는 선재 부분과, 상기 제1 접촉대상에 접촉하는 선재 부분과, 상기 제1 접촉대상 쪽에서 멀어지는 선재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접촉대상에 접촉하는 선재 부분이 파도형상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 접촉대상 쪽으로 돌출해 있는 복수의 돌출부로 상기 제1 접촉대상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lunger portion has a wire member portion that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contact object, a wire member portion that contacts the first contact object, and a wire member portion that is away from the first contact objec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object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toward the first contact object.
제2 본 발명은, 제1 접촉대상 및 제2 접촉대상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기적 접촉자를 복수개 갖는 전기적 접속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전기적 접촉자로서 제1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자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al contactor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t least a part of the electrical contactor hav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tacts for electrically contacting between the first contact object and the second contact object do.
여기에서, 제1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자(제1 전기적 접촉자) 이외의, 플런저를 이용한 제2 전기적 접촉자도 적용하고 있고, 상기 제1 전기적 접촉자의 플런저와 상기 제2 전기적 접촉자의 플런저가 동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a second electrical contact using a plunger other than the electrical contact (first electrical contact) of the first invention is also applied, and the plunger of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and the plunger of the second electrical contact are of the same shape .
제1 본 발명에 의하면, 충분한 전기적 접촉성을 적은 요소 수로 실현할 수 있는 전기적 접촉자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자를 적용한 전기적 접속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electrical contact that can realize sufficient electrical contact with a small number of elements.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to which the electrical contact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도 2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장치에서의 전기적 접촉자의 장착 부분을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피검사체의 전극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전기적 접촉자의 정면 또는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장치에서의 전기적 접촉자의 장착 부분을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피검사체의 전극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전기적 접촉자의 정면 또는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Ⅸ-Ⅸ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Ⅹ-Ⅹ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의 제1 플런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의 제2 플런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의 코일스프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은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8은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에서의 플런저 겸용 코일스프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9는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에서의 플런저 겸용 코일스프링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0은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에서의 플런저 겸용 코일스프링의 플런저부의 접촉부의 형상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1은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에서의 플런저 겸용 코일스프링의 플런저부의 결합부 선재(線材)가 그리는 궤적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2는 종래의 제1 전기적 접촉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전기적 접촉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종래의 제2 전기적 접촉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tact of the first embodiment.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2) of the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2) of the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portion of an electrical contact in the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r a side surface of the electrical contactor in a state in which it is not in contact with an electrode of the test object.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portion of the electrical contact in the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r a side surface of the electrical contactor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electrodes of the test object.
7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tact in signal waveform emphasis.
8 is a side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tact in signal waveform emphasis.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in Fig.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plunger of an electrical contact in signal waveform emphasis.
1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econd plunger of the electrical contact in the signal waveform-wise direction.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coil spring of an electrical contact in a signal waveform emphasis.
1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ctrical conta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5 is a side view showing the electrical contact of the first embodiment.
16 is a plan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ta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7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electrical conta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8 is a front view showing a plunger-used coil spring in the electrical conta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9 is a side view showing a plunger coil spring in the electrical conta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2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shape of a contact portion of a plunger portion of a coil spring serving as a plunger in the electrical conta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2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locus drawn by a connecting portion wire material of a plunger portion of a coil spring serving as a plunger in the electrical conta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rst electrical contact.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al contact shown in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cond electrical contact.
(A) 제1 실시형태(A) Firs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an electrical contact and an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가 적용되어 있는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장치(11)에 대해서, 도 2∼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장치(11)는 피검사체가 사각형이지만, 피검사체가 다른 형상의 것이어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First, the electrical connecting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또, 도 5 및 도 6은 각각,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장치에서의 전기적 접촉자의 장착 부분을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전기적 접촉자가 피검사체의 전극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전기적 접촉자가 피검사체의 전극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도 5(A) 및 도 6(A)는 각각, 전기적 접촉자의 정면 쪽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그린 단면도이고, 도 5(B) 및 도 6(B)는 각각, 전기적 접촉자의 측면 쪽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그린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2∼도 6에서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하」로 언급하는 것으로 한다.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2,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5 and 6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mounting portion of the electrical contact in the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al contact is not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of the test subject And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al contactor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5 (A) and 6 (A) are sectional views drawn on the front side of the electrical contact so that they can be viewed visually, and FIGS. 5 (B) and 6 And is a green cross-section view that can be seen by the ey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referred to as " up & down "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s. 2 to 6.
전기적 접속장치(11)는, 피검사체(12)의 통전시험 등에 이용하는 장치이다. 피검사체(12)는 예를 들어, 집적회로 등의 반도체 디바이스이다. 피검사체(12)는 그 아랫면에 복수의 범프 전극(13)(도 5, 도 6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범프 전극(13)은 피검사체(12)의 아랫면에 설치된 전극이다. 복수의 범프 전극(13)은 피검사체(12)의 아랫면에, 1열, 복수 열, 매트릭스상 또는 다른 배열로 갖추어져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ng
전기적 접속장치(11)는, 주로 배선기판(15), 아래쪽 하우징(16), 위쪽 하우징(17), 프레임(18), 가이드판(19), 전기적 접촉자를 갖는다.The electrical connecting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장치(11)는, 2종류의 전기적 접촉자를 적용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은 한쪽 전기적 접촉자(20)를 장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른쪽 전기적 접촉자(200)가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이고, 전기적 접촉자(20)와 거의 동일하게 하여, 전기적 접속장치(11)에서의 전기적 접촉자의 장착 부분에 장착된다. 전기적 접촉자(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보다 도전성이 양호하고, 주로 신호 파형이 중요한 부분에서의 측정에 이용된다(이하, 전기적 접촉자(20)를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라 부르기도 한다).In the electrical connecting
배선기판(15)은, 아래쪽 하우징(16), 위쪽 하우징(17) 등을 지지하는 판상의 배선기판이다. 배선기판(15)의 배선은, 피검사체(12)를 시험하는 테스터 본체(도시하지 않음)의 배선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기판(15)은 테스터 본체 쪽의 전극을 구성하는 부재로서, 전기적 접촉자(20, 200)의 하단부가 배선기판(15)의 윗면에 설치된 콘택트 패드(22)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통한다.The
아래쪽 하우징(16)은, 위쪽 하우징(17)과 서로 겹쳐진 상태로 전기적 접촉자(20, 200)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아래쪽 하우징(16)에는, 전기적 접촉자(20, 20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1 지지구멍(16A)이 전기적 접촉자(20, 200)의 외경보다도 조금 큰 직경을 갖고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지지구멍(16A)은 피검사체(12)의 아랫면의 각 범프 전극(13)에 대응한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 지지구멍(16A) 내에는, 전기적 접촉자(20, 200)를 받아 지지하는 아래쪽 받음부(16B)가 형성되어 있다. 아래쪽 받음부(16B)는 제1 지지구멍(16A)의 하단부의 내경을 작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아래쪽 받음부(16B)에 후술하는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의 아래쪽 지지 어깨부(73) 또는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의 아래쪽 지지 어깨부(273)가 걸리고, 전기적 접촉자(20, 200)의 하단부가 관통하도록 아래쪽 받음부(16B)의 내경이 설정되어 있다. 아래쪽 받음부(16B)에 전기적 접촉자(20, 200)의 아래쪽 지지 어깨부(73, 273)가 걸림으로써, 전기적 접촉자(20, 200)가 아래쪽 받음부(16B)에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The
아래쪽 하우징(16)은, 배선기판(15)의 위쪽에 겹쳐져 있다. 배선기판(15)의 윗면에서의 각 제1 지지구멍(16A)에 대응하는 위치에, 테스터 본체에 배선으로 접속된 콘택트 패드(2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콘택트 패드(22)에는, 제1 지지구멍(16A)에 삽입된 전기적 접촉자(20, 200)의 하단부가 눌려 접촉되어 있어, 전기적인 접촉을 실현하고 있다.The
아래쪽 하우징(16)에는, 핀 두부(頭部) 결합구멍(23)(도 3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핀 두부 결합구멍(23)은, 가이드 핀(37)의 두부(39)가 결합하기 위한 구멍이다. 핀 두부 결합구멍(23)의 내경은 이 가이드 핀(37)의 두부(39)의 외경과 거의 같은 치수로 설정되어, 가이드 핀(37)의 두부(39)가 움직이지 않고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The
위쪽 하우징(17)은, 아래쪽 하우징(16)과 협동하여, 전기적 접촉자(20, 200)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위쪽 하우징(17)은, 아래쪽 하우징(16)에 겹쳐져, 이들 아래쪽 하우징(16)과 위쪽 하우징(17)으로 전기적 접촉자(20, 200)를, 전기적 접촉자(20, 200)가 신축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위쪽 하우징(17)에는, 아래쪽 하우징(16)의 제1 지지구멍(16A)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지지구멍(17A)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지지구멍(17A)은, 제1 지지구멍(16A)의 위쪽 개구와 같은 내경(전기적 접촉자(20, 200)의 외경보다도 조금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전기적 접촉자(20, 200)를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게 수납하여 지지한다. 복수의 제2 지지구멍(17A)은, 피검사체(12)의 아랫면에 갖추어진 각 범프 전극(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수납하고 있는 전기적 접촉자(20, 200)의 상단부를 범프 전극(13)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되어 있다.The
제2 지지구멍(17A) 내에는, 전기적 접촉자(20, 200)를 위쪽에서 지지하는 위쪽 받음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위쪽 받음부(17B)는, 제2 지지구멍(17A)의 상단부의 내경을 작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위쪽 받음부(17B)에, 후술하는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의 위쪽 지지 어깨부(79) 또는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의 위쪽 지지 어깨부(279)가 걸리고, 전기적 접촉자(20, 200)의 상단부가 관통함으로써, 전기적 접촉자(20, 200)가 위쪽 받음부(17B)에서 지지되도록 위쪽 받음부(17B)의 내경이 설정되어 있다.In the
제1 지지구멍(16A)과 제2 지지구멍(17A)으로, 전기적 접촉자(20, 200) 전체를 받아들여 지지하는 전기적 접촉자 지지구멍(27)이 구성되어 있다. 전기적 접촉자(20, 200)가 전기적 접촉자 지지구멍(27)에 받아들여진 상태로, 전기적 접촉자(20, 200)는 비축상태(외력이 가해져 오그라든 상태)에 있고, 전기적 접촉자(20, 200)의 하단부는 배선기판(15)의 윗면에 설치된 콘택트 패드(22)를 누른 상태가 된다.The
위쪽 하우징(17)에는 핀 축부 결합구멍(28)(도 3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핀 축부 결합구멍(28)은 후술하는 가이드 핀(37)의 축부(軸部)(40)가 결합되는 구멍이다. 핀 축부 결합구멍(28)의 내경은, 가이드 핀(37)의 축부(40)의 외경과 거의 같은 치수로 설정되어 가이드 핀(37)의 축부(40)를 움직이지 않게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The
프레임(18)은, 배선기판(15), 아래쪽 하우징(16) 및 위쪽 하우징(17)을 일체로 고정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가이드판(19)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프레임(18)은 주로 외틀부(31), 고정용 플랜지부(32), 상하이동 지지용 플랜지부(33)(도 4 참조)를 갖는다.The
외틀부(31)는, 아래쪽 하우징(16), 위쪽 하우징(17) 및 가이드판(19)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틀부(31)의 아랫면에는 위치결정용 핀(또는 위치결정용 구멍; 모두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배선기판(15)의 윗면에는, 외틀부(31) 쪽의 위치결정용 핀(또는 위치결정용 구멍)에 대응하여, 위치결정용 구멍(또는 위치결정용 핀; 모두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틀부(31)의 아랫면의 위치결정용 핀(또는 위치결정용 구멍)과, 배선기판(15)의 윗면의 위치결정용 구멍(또는 위치결정용 핀)이 결합하여, 외틀부(31)와 배선기판(15)이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외틀부(31)의 네 모서리에는 고정나사(35)(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나사(35)는 외틀부(31)의 네 모서리의 관통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배선기판(15)의 나사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끼워져, 이들 외틀부(31)와 배선기판(15)을 고정하고 있다.The
고정용 플랜지부(32)는, 외틀부(31)의 사각통 형상의 개구부의 마주보는 안쪽 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2개 설치되어 있다. 각 고정용 플랜지부(32)는 서로 안쪽으로 수평하게 연장한, 거의 반원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용 플랜지부(32)의 아랫면의 높이(배선기판(15)으로부터의 높이)는 아래쪽 하우징(16) 및 위쪽 하우징(17)을 겹친 높이와 거의 같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선기판(15) 위에 겹쳐진 아래쪽 하우징(16) 및 위쪽 하우징(17)을, 각 고정용 플랜지부(32)와 배선기판(15)으로 끼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고정용 플랜지부(32)의 아래에 위쪽 하우징(17)과 아래쪽 하우징(16)을 넣었을 때, 아래쪽 하우징의 아랫면이 외틀부(31)의 아랫면과 같아지도록 되어 있다.Two fixing
각 고정용 플랜지부(32)의 중앙에는, 가이드 핀(37)이 결합하는 핀 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핀 구멍(38)의 내경은, 가이드 핀(37)의 축부(40)의 외경과 거의 같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A
가이드 핀(37)은 두부(39)와 축부(40)를 갖는다. 두부(39)는 아래쪽 하우징(16)의 핀 두부 결합구멍(23)의 내경과 거의 같은 외경의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부(40)는, 위쪽 하우징(17)의 핀 축부 결합구멍(28) 및 고정용 플랜지부(32)의 핀 구멍(38)의 내경과 거의 같은 외경의 원봉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아래쪽 하우징(16)의 핀 두부 결합구멍(23)과, 위쪽 하우징(17)의 핀 축부 결합구멍(28)과, 각 고정용 플랜지부(32)의 핀 구멍(38)은, 가이드 핀(37)이 지남으로써, 동일 축심 상에 축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pin
가이드 핀(37)의 두부(39)가 아래쪽 하우징(16)의 핀 두부 결합구멍(23)에 결합하고, 축부(40)가 위쪽 하우징(17)의 핀 축부 결합구멍(28) 및 고정용 플랜지부(32)의 핀 구멍(38)에 결합하여, 아래쪽 하우징(16), 위쪽 하우징(17) 및 프레임(18)의 위치 결정을 하고 있다. 아래쪽 하우징(16) 및 위쪽 하우징(17)을, 프레임(18)의 각 고정용 플랜지부(32)의 아랫면과 배선기판(15)으로 상하로 끼워 프레임(18)의 개구 내에 지지함으로써, 이들 배선기판(15), 아래쪽 하우징(16), 위쪽 하우징(17) 및 프레임(18)이 서로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The
상하이동 지지용 플랜지부(33)는 가이드판(19)을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게 프레임(18)의 개구 내에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하이동 지지용 플랜지부(33)는 사각형의 틀 형상의 프레임(18)에서의 개구부의 네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상하이동 지지용 플랜지부(33)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로 판부(板部)(42), 가이드 나사구멍(43), 스프링 구멍(44)을 갖는다.The
판부(42)는, 프레임(18)의 외틀부(31)의 네 모서리의 각각에 설치된 프레임(18)과 일체화하고 있는 판재이고, 모서리를 형성하는 2개의 틀 부분을 연결하도록 걸쳐 있다. 판부(42)의 아랫면의 높이는, 고정용 플랜지부(32)의 아랫면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판부(42)의 윗면의 높이는, 판부(42)의 윗면과 가이드판(19)의 플랜지부(54)의 아랫면이 서로 접함으로써, 피검사체(12)의 범프 전극(13)과 전기적 접촉자(20, 200)의 상단부가 최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검사체(12)의 범프 전극(13)과 전기적 접촉자(20, 200)의 상단부가 접촉하여, 전기적 접촉자(20, 200)가 눌려 오그라드는 상태(도 6 참조)가 되도록 판부(42)의 윗면의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The
판부(42)에는, 가이드 나사구멍(43)과 스프링 구멍(44)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나사구멍(43)은 가이드 나사(46)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구멍이다. 가이드 나사구멍(43)은 각 판부(42)의 중앙부에 하나만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스프링 구멍(44)은 스프링(47)을 지지하기 위한 구멍이다. 스프링 구멍(44)은 각 가이드 나사구멍(43)의 양쪽에 2개씩 설치되어 있다.The plate portion (42) is provided with a guide screw hole (43) and a spring hole (44). The
가이드 나사(46)는, 프레임(18)의 개구 내에서의 가이드판(19)의 위치를 규정함과 동시에, 가이드판(19)의 상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나사이다. 가이드 나사(46)는 두부(48), 가이드부(49), 나사봉부(50)로 구성되어 있다.The
두부(48)는 가이드판(19)을 눌러 탈락을 방지하는 부분이다. 두부(48)의 윗면에는 마이너스 드라이버가 결합하는 마이너스 홈(51)이 형성되어 있다.The head portion (48) is a portion for preventing the guide plate (19) from coming off. On the upper surface of the
가이드부(49)는, 가이드판(19)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부분이다. 가이드부(49)는 두부(48)와 나사봉부(50) 사이에 설치되고, 가이드판(19)의 가이드 구멍(59)에 결합하여 가이드판(19)의 상하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부(49)의 길이는, 두부(48)의 아랫면이 가이드판(19)과 접촉하여 지지된 상태(가이드판(19)이 스프링(47)으로 밀어 올려진 상태)로, 전기적 접촉자(20, 200)의 상단부가 가이드판(19)의 축소부(57)에 받아들여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5는, 전기적 접촉자(20, 200)의 상단부가 가이드판(19)의 축소부(57)에 받아들여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The guide portion 49 guides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나사봉부(50)는 판부(42)에 가이드 나사(46)를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나사봉부(50)는 판부(42)의 가이드 나사구멍(43)과 결합하여 가이드 나사(46)를 판부(42)에 고정하고 있다.The
스프링(47)은 가이드판(19)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스프링(47)의 상단은, 판부(42)의 스프링 구멍(44)에 장착되어 가이드판(19)의 플랜지부(54)의 뒷면에 접하고 있다. 합계 8개의 스프링(47)이 4개의 가이드 나사(46)의 가이드부(49)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이드판(19)을 아래쪽에서 힘을 가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판(19)의 플랜지부(54)가 가이드 나사(46)의 두부(48)의 아랫면에 접촉할 때까지 위쪽으로 밀어 올려져, 콘택트 전의 대기상태가 된다.The
가이드판(19)은, 피검사체(12)를 전기적 접속장치(11)에 장착할 때, 피검사체(12)를 위치 결정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피검사체(12)의 각 범프 전극(13)과 대응하는 전기적 접촉자(20, 200)를 정합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가이드판(19)는 주로 수입(受入) 오목부(53)와 플랜지부(54)로 구성되어 있다.The
수입 오목부(53)는 피검사체(12)를 받아들여 지지하는 부분이다. 수입 오목부(53)는 거의 사각형의 접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입 오목부(53)의 저부(底部) 안쪽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치수는 피검사체(12)의 외형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피검사체(12)가 사각형이기 때문에 수입 오목부(53)의 저부의 안쪽도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피검사체(12)가 다른 형상인 경우에는, 수입 오목부(53)의 저부 안쪽도 피검사체(12)에 맞춘 형상이 된다.The import
피검사체(12)가 수입 오목부(53)의 저부의 안쪽에 장착된 상태로, 피검사체(12)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수입 오목부(53)의 저판부(55)에는 다수의 가이드 구멍(56)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56)은 피검사체(12)의 각 범프 전극(13)을 안내하여 받아들이기 위한 개구이다. 각 가이드 구멍(56)은 범프 전극(13)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범프 전극(13)을 용이하게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피검사체(12)가 수입 오목부(53)에 받아들여짐으로써, 피검사체(12)의 각 범프 전극(13)이 각 가이드 구멍(56)의 내부 위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subject 12 is positioned in a state in which the subject 12 is mounted inside the bottom portion of the import
가이드 구멍(56)의 하단부에는, 범프 전극(13)이 지나지 않고, 전기적 접촉자(20, 200)의 상단부를 받아들이는 축소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축소부(57)는, 전기적 접촉자(20, 200)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받아들이는 것을 허용하여, 전기적 접촉자(20, 200)가 범프 전극(13)과 접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A
수입 오목부(53)의 위쪽 개구(53A)의 아래쪽에는 경사면(53B)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53B)은 피검사체(12)를 안내하여 수입 오목부(53)의 저부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An
플랜지부(54)는 프레임(18)의 상하이동 지지용 플랜지부(33)에 대응하는 수입 오목부(53)의 네 모서리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각 플랜지부(54)에는, 가이드 나사(46)의 두부(48)가 접하는 나사두부 홈부(58)가 설치되어 있다. 나사두부 홈부(58)에는, 가이드 나사(46)의 가이드부(49)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 구멍(59)이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54)의 가이드 구멍(59)에 가이드 나사(46)의 가이드부(49)가 결합하여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플랜지부(54)에 의한 지지에 의해 스프링(47)으로 가이드판(19)이 상하로 힘이 가해진다. 가이드 나사(46)를 돌려, 피검사체(12)가 장착된 수입 오목부(53)를 아래쪽으로 누름으로써, 가이드판(19)이 눌려 내려가고, 피검사체(12)의 범프 전극(13)과 전기적 접촉자(20, 200)의 상단부가 접촉하여 검사가 행해지게 되어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장치(11)는, 2종류의 전기적 접촉자(20 및 200)를 적용하고 있다. 가이드판(19)의 가이드 구멍(56)의 윗면 근방이나, 위쪽 하우징(17)의 위쪽 받음부(17B)의 윗면 근방 등에, 그 위치의 범프 전극(13)에 접촉하고 있는 전기적 접촉자가 전기적 접촉자(20) 또는 전기적 접촉자(200)의 어느 쪽인지를 나타내는 마크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마크로서 다른 착색이나 기호(「○」, 「△」등)나 돌기 형상 등을 들 수 있고, 또 한쪽에만 마크를 부여하고, 다른 쪽에 마크를 부여하지 않음으로써 식별 가능하게 해도 좋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lectrical connecting
이하에서는 우선,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의 구성을 설명하고,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에 대해서는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7∼도 13은 각각,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의 전체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는, 하나의 제1 플런저(62), 2개의 제2 플런저(63), 하나의 코일스프링(64)을 갖는다.Figs. 7-13 are projections, respectively, showing all or components of the
제1 플런저(62)는,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가 접촉하는 2부재 중의 제1 접촉대상인 전극들(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장치(11)에 적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선기판(15)의 콘택트 패드(22))에 접촉하기 위한 판상의 플런저이다.The
제1 플런저(62)는, 도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형성 방법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판재에 대한 절삭가공이나 톰슨가공 등에 의해 제1 플런저(62)를 형성해도 좋고, 또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제1 플런저(62)를 형성해도 좋다. 형성할 원래의 재료가 도전성 재료가 아니면, 외형적으로는 형성된 제1 플런저(62)가 되기 전의 상태에 도금이나 도포에 의해 도전성재를 부착하여 제1 플런저(62)를 완성시키도록 해도 좋다. 후술하는 제2 플런저(63)의 형성 방법도 제1 플런저(62)의 형성 방법과 동일하다.The
제1 플런저(62)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개 결합부(66), 스프링 받음부(67), 접촉편(68)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1 플런저(62)의 길이는, 전기적 접속장치(11)에 부착되었을 때에, 배선기판(15)의 콘택트 패드(22)로부터 위쪽 하우징(17)의 윗면의 높이 치수와 거의 같게 되어 있다(도 5(A) 참조).As shown in Fig. 11, the
결합부(66)는, 제1 플런저(62)와 2개의 제2 플런저(63)가 서로 결합될 때에 직접 서로 겹쳐져, 제1 플런저(62)와 제2 플런저(63)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부분이다. 결합부(66)는, 긴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플런저(63)에 넓은 면적으로 안정하게 접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결합부(66) 부분은 결합봉부(69), 선단 삽입부(70), 탈락 방지부(71)로 나눌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66 directly overlaps with the
결합봉부(69)는, 코일스프링(64)에 지지되기 위한 부분이고, 코일스프링(64)보다 약간 긴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결합봉부(69)의 폭 치수는, 코일스프링(64)의 밀착 소경부(84)의 내경과 거의 같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결합봉부(69)의 단면형상의 네 모서리 부분이 코일스프링(64)의 밀착 소경부(84)의 내경부에 접한다. 코일스프링(64)의 밀착 소경부(84)의 내경부의 원 형상이 결합봉부(69)의 외접원과 일치 또는 약간 작게 되어 있고, 결합봉부(69)를 코일스프링(64)의 밀착 소경부(84)가 약간 조이는 상태로 조립된다(도 9, 도 10 참조).The engaging
선단 삽입부(70)는, 조립 시에, 결합봉부(69)의 코일스프링(64) 내로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부분이다. 선단 삽입부(70)는 결합봉부(69)의 선단부(도 11 중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선단 삽입부(70)는, 찔러 넣는 방향에 대하여 장해가 되지 않도록 완만하게 만곡한 경사면을 가져, 코일스프링(64) 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선단 삽입부(70)는 조립된 때에는 2개의 제2 플런저(63)의 접촉편(77) 사이에 위치하여, 접촉편(77)의 돌기(77A)의 간격을 안정시키도록 기능한다. 접촉편(77)의 돌기(77A) 간격은 선단 삽입부(70)의 두께, 따라서 결합부(66)의 두께로 규정되고, 결합부(66)의 두께 치수는 접촉편(77)의 돌기(77A)의 간격이 고려되어 정해져 있다.The leading
탈락 방지부(71)는 선단 삽입부(70)가 코일스프링(64) 내에 삽입된 때, 선단 삽입부(70)가 코일스프링(64)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탈락 방지부(71)는 스프링 받음부(67)와 반대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탈락 방지부(71)는 선단 삽입부(70)의 기단부를 양쪽으로 돌기시켜 형성되어 있다. 양쪽으로 돌기한 탈락 방지부(71)의 폭은 코일스프링(64)의 단부의 밀착 소경부(84)의 내경보다도 약간 불거져 나오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9 참조).The
스프링 받음부(67)는 코일스프링(64)을 받기 위한 부분이다. 스프링 받음부(67)는 결합부(66)와 접촉편(68)과의 경계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단부이다. 결합부(66)의 폭에 비해 접촉편(68)은 폭이 넓게 형성되어, 이들 경계의 단부가 스프링 받음부(67)로 되어 있다. 스프링 받음부(67)에 코일스프링(64)의 단부의 밀착 소경부(84)가 접한다. 코일스프링(64)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플런저(62)가 전기적 접촉자(22)의 요소로서 다소의 상하이동을 허용하도록 지지되어 있다.The
접촉편(68)은 그 전기적 접촉자(20)의 제1 접촉대상(배선기판(15)의 콘택트 패드(22))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부분이다. 접촉편(68)은, 결합부(66)의 기단쪽(도 11의 아래쪽)에 이어져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접촉편(68)은, 아래쪽 하우징(16)의 제1 지지구멍(16A) 및 위쪽 하우징(17)의 제2 지지구멍(17A)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폭 치수를 갖는 거의 사각형상의 사각형 판상부와, 아래쪽 하우징(16)의 아래쪽 받음부(16B)를 관통하는, 사각형 판상부에 연속해 있는 사각형 판상부보다 폭이 작은 치수의 선단부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편(68)의 선단부는, 평탄면상의 배선기판(15)의 콘택트 패드(22)에 안정하게 접촉하도록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편(68)에는, 사각형 판상부와 선단부의 경계에 아래쪽 지지어깨부(73)가 형성되어 있다. 아래쪽 지지 어깨부(73)는, 아래쪽 하우징(16)의 아래쪽 받음부(16B)에 걸려, 접촉편(68)이 제1 지지구멍(16A)으로부터 빠져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아래쪽 지지 어깨부(73)가 아래쪽 하우징(16)의 아래쪽 받음부(16B)에 걸린 상태로, 접촉편(68)의 단부(도 5, 도 9의 하단부)가 제1 지지구멍(16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The
제2 플런저(63)는, 제1 플런저(62)와 협동하여, 2개의 접촉대상 사이를, 즉 제1 접촉대상(배선기판(15)의 콘택트 패드(22))과 제2 접촉대상(범프 전극(13)) 사이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기 위한 판상의 플런저이다. 제2 플런저(63)는 제2 접촉대상(범프 전극(13))을 직접 접촉대상으로 하고 있다.The
제2 플런저(63)는,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개 결합부(75), 스프링 받음부(76), 접촉편(77)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2(A)는 제2 플런저(63) 자체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12(B) 및 (C)는 제2 플런저(63)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The
2개의 제2 플런저(63)는 제1 플런저(62)를 끼우고, 그 상태로 코일스프링(64)에 의해 조립되어, 그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가 구성된다. 2개의 제2 플런저(63)의 결합부(75)가 마주보는 상태로, 제1 플런저(62)의 결합부(66)를 끼우고 있다. 하나의 제1 플런저(62)와 2개의 제2 플런저(63)가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각 플런저(62, 63)가 콘택트 패드(22)와 범프 전극(13)에 각각 접촉하여, 콘택트 패드(22) 및 범프 전극(13) 사이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킨다.The two
2개의 제2 플런저(63)는 동일 형상을 갖는다. 동일 형상의 제2 플런저(63)를 마주보게 하여 그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를 구성함으로써, 제2 접촉대상(범프 전극(13))에의 양호한 접촉을 할 수 있다. 2개의 제2 플런저(63)는 각각, 제1 플런저(62)의 협지(挾持) 상태에서도 서로 독립하여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 접촉대상(범프 전극(13))의 형상이, 볼 형상 등 다소의 위치 벗어남에 의해 접촉 높이 등이 변화하는 형상이어도, 독립한 슬라이드를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접촉 높이의 변화 등에, 각 제2 플런저(63)의 상하방향의 위치가 추종하여 전기적인 접촉의 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The two
결합부(75)는, 제1 플런저(62)와 제2 플런저(63)가 서로 결합될 때에, 제1 플런저(62)의 결합부(66)와 서로 겹쳐져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부분이다. 2개의 제2 플런저(63)의 결합부(75)가 제1 플런저(62)의 결합부(66)를 양쪽에서 끼워, 제1 플런저(62)와 제2 플런저(63)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킨다. 결합부(75)는, 제1 플런저(62)의 결합부(66)와의 접촉을 가능한 한 넓은 면적에서 실현할 수 있도록, 긴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75)는 결합봉부(80), 선단 삽입부(81), 탈락 방지부(82)로 구성되어 있다.The engaging
결합봉부(80)는, 제1 플런저(62)의 결합부(66)를 끼운 채 코일스프링(64)에 지지되기 위한 부분이고, 코일스프링(64)보다도 조금 긴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결합봉부(80)의 단면 치수(폭, 두께)는, 제1 플런저(62)의 결합봉부(69)와 그것을 끼우는 2개의 결합봉부(80)로 만들어지는, 횡단면으로 보아 합계 8개의 모서리 부분(도 9 참조)이, 코일스프링(64)의 밀착 소경부(84)의 내경부에 내접하는 정도의 치수로 선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코일스프링(64)의 밀착 소경부(84)의 내경이, 결합봉부(80, 69, 80)가 결합된 단면 형상의 외접원이 되는 치수로 설정되고, 결합봉부(80, 69, 80)의 결합체를 약간 조이는 상태로 되어 있다(도 9, 도 10 참조). 이와 같은 조임 상태가 되도록, 결합봉부(80)의 폭 치수는 제1 플런저(62)의 결합봉부(69)의 폭 치수보다 좁은 치수로 되어 있다.The engaging
선단 삽입부(81)는, 결합봉부(80)의 코일스프링(64) 내로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부분이다. 선단 삽입부(81)는, 결합봉부(80)보다 선단쪽(도 12 중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선단 삽입부(81)는 찔러 넣는 방향에 대하여 장해가 되지 않는 외형을 갖고, 코일스프링(64) 내에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런저(62)의 결합봉부(69)와 한쪽 제2 플런저(63)의 결합봉부(80)가 코일스프링(64) 내에 미리 삽입된 상태에서, 마지막으로 다른쪽 제2 플런저(63)의 결합봉부(80)가 코일스프링(64) 내에 삽입되고, 이때 다른쪽 결합봉부(80)의 선단 삽입부(81)가 코일스프링(64) 내에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tip
탈락 방지부(82)는, 선단 삽입부(81)가 코일스프링(64) 내에 삽입된 때, 이 선단 삽입부(81)가 코일스프링(64)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탈락 방지부(82)는, 선단 삽입부(81)의 기단부(결합봉부(80)와 선단 삽입부(81)의 경계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탈락 방지부(82)는 선단 삽입부(81)의 기단부를 양쪽으로 돌기시켜 형성되어 있다. 이 양쪽으로 돌기한 탈락 방지부(82)의 폭 치수는, 다 조립된 때에 코일스프링(64)의 단부의 밀착 소경부(84)의 내경보다도 약간 불거져 나오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10 참조). 즉, 제1 플런저(62)의 결합봉부(69)의 양쪽에 2개의 결합봉부(80)가 겹쳐진 상태로, 결합봉부(69)의 양쪽에 서로 겹쳐지는 2개의 탈락 방지부(82)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4개의 모서리부(도 10에 나타낸 탈락 방지부(82)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각 2개의 모서리부)가, 코일스프링(64)의 단부의 밀착 소경부(84)의 내경보다도 약간 불거져 나오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스프링 받음부(76)는, 코일스프링(64)의 일단이 접하여 그 힘을 받기 위한 부분이다. 스프링 받음부(76)는, 결합부(75)와 접촉편(77)과의 경계 부분에 설치된 단부이다. 결합부(75)의 폭에 비해 접촉편(77)은 폭을 넓게 형성하고, 경계에 생기는 폭의 차이를 갖는 부분(단부)이 스프링 받음부(76)로 되어 있다. 스프링 받음부(76)에 코일스프링(64)의 단부의 밀착 소경부(84)가 접함으로써, 제2 플런저(63)가 전기적 접촉자(22) 내에서 코일스프링(64)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접촉편(77)은, 제2 접촉대상(범프 전극(13))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부재이다. 접촉편(77)은 결합부(75)의 기단쪽(도 12의 위쪽)에 이어져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접촉편(77)은 폭 치수가 위쪽 하우징(17)의 제2 지지구멍(17A)의 내경보다도 조금 작은 치수의 거의 사각형 판상부와, 위쪽 하우징(17)의 위쪽 받음부(17B)를 관통하여 가이드판(19)의 축소부(57)에 들어가는, 사각형 판상부의 폭 치수보다 작은 폭 치수의 선단부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편(77)에는 사각형 판상부와 선단부의 경계에 위쪽 지지 어깨부(79)가 형성되어 있다. 위쪽 지지 어깨부(79)는 위쪽 하우징(17)의 위쪽 받음부(17B)에 걸려, 접촉편(77)이 제2 지지구멍(17A)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위쪽 지지 어깨부(79)가 위쪽 하우징(17)의 위쪽 받음부(17B)에 걸린 상태에서, 접촉편(77)의 상단부(도 12 참조)가 제2 지지구멍(17A)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The
각 접촉편(77)의 상단부 선단은, 2개의 돌기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접촉편(77)의 선단 중앙이 U자상으로 패여 오목부가 형성되고, 오목부의 양쪽에 2개의 돌기(77A)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돌기(77A)에는 테이퍼면(77B)(도 8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2개의 돌기(77A)는 각각 2개의 뾰족한 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오목부를 끼우고 마주보는 2개의 테이퍼면(77B)이 만드는 공간은, 범프 전극(13)의 정부(頂部)의 볼록한 부분을 받는 공간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해, 범프 전극(13)과 제2 플런저(63)와의 접촉 시에, 범프 전극(13)의 정부 쪽은, 2개의 테이퍼면(77B)이 만드는 공간에 받아들여져, 제2 플런저(63)의 선단에 접촉해도 범프 전극(13)이 과도하게 눌려 부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개의 제2 플런저(63)가 제1 플런저(62)를 끼웠을 때에, 테이퍼면(77B)이 주위에서 보이는 바깥쪽에 설치된다(도 8 참조). 합계 4개의 돌기(77A)가 범프 전극(13)에 확실하게 접촉하여, 그 접촉점에서 범프 전극(13)에 다소 찔리고,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The tips of the upper ends of the
제2 플런저(63)는 도 12(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돌기(77A)가 제2 플런저(63)의 폭방향으로 넓어지기 쉬운 구성상의 고안(슬릿)을 도입하도록 해도 좋다.The
코일스프링(64)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플런저(62) 및 제2 플런저(63)의 결합봉부(69, 80)의 외주를 덮고, 각 스프링 받음부(67, 76)에 각각 각 단부가 접하여 각 플런저(62, 63)에 대하여 상하이동을 허용하도록 지지하고, 제1 플런저(62) 및 제2 플런저(63) 사이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부재이다. 코일스프링(64)의 양단부 사이에, 제1 플런저(62) 및 제2 플런저(63)의 결합부(66, 75)가 서로 겹친 상태로 지지된다.13, the
코일스프링(64)은, 중간부가 직경이 크고 양단부가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의 직경은, 제1 플런저(62)의 결합봉부(69)와, 그것을 끼우는 2개의 제2 플런저(63)의 결합봉부(80)가 만드는 단면 형상이 접하지 않는 크기(도 9 참조)로 선정되어 있고, 중간부가 신축하는 코일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다. 중간부의 외경은, 제1 플런저(62) 및 제2 플런저(63)의 최대폭 치수보다 조금 크게 설정되어 있다. 코일스프링(64)에서의 작은 직경의 양단부는 밀착 소경부(84)로 되어 있다. 밀착 소경부(84)의 내경은, 제1 플런저(62)의 결합봉부(69)와, 그것을 끼우는 2개의 제2 플런저(63)의 결합봉부(80)가 만드는 단면 형상에 외접하는 외접원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The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는, 하나의 제1 플런저(62)와 2개의 제2 플런저(63)를, 각각의 접촉편(68, 77)을 반대방향으로 하여 결합부(66, 75)를 서로 겹친 상태로 코일스프링(64)에 의해 일체로 하고, 각 스프링 받음부(67, 76)의 위치에서 코일스프링(64)을 막아, 제1 플런저(62) 및 제2 플런저(63)를 이간 불가능하게 그러나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한 것이다.The
이어서,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도 14∼도 19는 각각,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의 전체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 사시도 또는 투영도이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는, 2개의 플런저(263)와 하나의 플런저 겸용 코일스프링(201)을 갖는다.The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에서의 2개의 플런저(263)는,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에서의 2개의 제2 플런저(63)와 동일 또는 매우 유사한 것이다. 그 때문에, 플런저(263)의 상세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도 12 참조).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에서의 플런저(263)와,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에서의 제2 플런저(63)가 동일한 경우에,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와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에서 부품을 공통화할 수 있어, 비용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The two
이하의 설명에서는, 플런저(263)의 각 부(部)에 대한 부호로서, 제2 플런저(63)에서의 대응하는 부분의 부호보다 「200」만큼 큰 부호를 이용하여, 플런저(263)의 각 부 요소를 특정하는 것으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ign of each part of the
플런저 겸용 코일스프링(201)은, 이 한 부재로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에서의 제1 플런저(62)와 코일스프링(64)의 기능을 함께 발휘하는 부재이다.The plunger-cum-
플런저 겸용 코일스프링(201)은 플런저부(262)와 코일스프링부(264)를 갖는다.The plunger-combined
플런저부(262)는,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에서의 제1 플런저(62)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부분이다. 플런저부(262)는,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가 접촉하는 2부재 중의 제1 접촉대상(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장치(11)에 적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선기판(15)의 콘택트 패드(22))에 접촉하기 위한 부분이고, 플런저부(262)를 구성하고 있는 선재 부분은 동일 평면 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 평면은,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에서의 제1 플런저(62)의 판재가 설치되어 있는 평면에 대응시킬 수 있다. 플런저부(262)는 결합부(266)와 접촉부(268)를 갖는다.The
접촉부(268)는, 그 전기적 접촉자(200)의 제1 접촉대상(배선기판(15)의 콘택트 패드(22))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분이다. 접촉부(268)는, 코일스프링부(264)에서 연속해 있는 선재를, 제1 플런저(62)에서의 접촉편(68)의 외형을 따라 뻗게 한 동일한 형상을 갖고, 그 형상이 접촉편(68)의 외형과 거의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아래쪽 지지 어깨부(273)도 갖추고, 아래쪽 지지 어깨부(273)는, 아래쪽 하우징(16)의 아래쪽 받음부(16B)에 걸려, 접촉부(268)가 불필요하게 제1 지지구멍(16A)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접촉부(268)의 선단부 형상은 도 18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20에 예시한 것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 20(A)는 2점에서 접하는 선단부 형상의 예를 나타내고, 도 20(B)는 직선상으로 접하는 선단부 형상의 예를 나타내고, 도 20(C1) 및 도 20(C2)은 선재가 연장해 있는 평면으로부터 일부가 불거져 나와, 접촉길이를 길게 한 선단부 형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The
결합부(266)는, 코일스프링부(264)의 내부 공간 내에서, 2개의 플런저(263)에 끼워져, 플런저부(262)와 2개의 플런저(263)를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선재(線材) 부분이다. 결합부(266)를 구성하는 선재는, 접촉부(268)를 구성하는 선재로부터 연속해 있다. 2개의 플런저(263)에 끼워지도록, 상술한 평면 위에 선재를 직선상 또는 곡선상으로 연장시켜 결합부(266)를 형성시키면 좋고, 선재가 그리는 궤적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21은 결합부(266)의 선재가 그리는 궤적의 여러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A)는 접촉부(268)로부터 선재를 약간 인출하여 결합부(266)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B)는 접촉부(268)로부터 선재를 위쪽으로 파형으로 인출하여 결합부(266)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C)는 접촉부(268)로부터 선재를 위쪽으로 직선상으로 인출하여 결합부(266)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B)∼도 21(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접촉부(268)의 위쪽으로 어느 정도의 길이를 확보한 결합부(266)의 길이는, 결합부(266)를 끼우는 플런저(263)의 결합봉부(280)의 길이 이하가 되도록 선정되어 있다.The engaging
코일스프링부(264)는, 2개의 플런저(263)를 지지함과 동시에, 압축 시에는 플런저(263)를 위쪽으로, 자기로부터 연속하는 플런저부(262)의 접촉부(268)를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는 것이다. 코일스프링부(264)는 상단부 및 중간부가 큰 직경으로 하단부가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단부 및 중간부의 직경은, 플런저부(262)의 결합부(266)와, 그것을 끼우는 2개의 플런저(263)의 결합봉부(280)가 만드는 단면 형상이 접하지 않는 크기(도 16 참조)로 선정되어 있다. 코일스프링부(264)의 상단의 선재는, 2개의 플런저(263)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단부 및 중간부를 위쪽에서 본 경우의 원형을 2등분하는 선(직경) 위를 연장하고 있다(도 16 참조). 중간부가 신축하는 코일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다. 코일스프링부(264)에서의 작은 직경의 하단부는 밀착 소경부(284)로 되어 있다. 밀착 소경부(284)가 플런저부(262)와 그것을 끼운 2개의 플런저(263)가 되는 부분을 작은 직경에 의해 조이고(도 17 참조), 플런저부(262) 및 플런저(263)를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이다.The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에서는, 코일스프링부(264)의 하단부에만 밀착 소경부(284)를 설치한 것이었지만, 코일스프링부(264)의 상단부나 중간부의 일부 등에도 밀착 소경부를 설치하고, 플런저부(262) 및 플런저(263)를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을 늘려, 보다 안정한 지지를 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The contact small diameter portion 284 is provided only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나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는 다음과 같이 하여 사용된다.The
우선, 전기적 접속장치(11)에 피검사체(12)가 장착된다. 이때, 피검사체(12)는 가이드판(19)의 수입 오목부(53)에 장착된다. 즉, 피검사체(12)는 위쪽 개구(53A)의 경사면(53B)을 따라 위치 결정되면서 저판부(55)에 장착된다. 이에 의해, 피검사체(12)의 범프 전극(13)이 저판부(55)의 가이드 구멍(56)에 받아들여진다. 또,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의 접촉편(77)의 상단부나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의 접촉편(277)의 상단부는 축소부(57)에 받아들여져 있다.First, the
이 상태로, 피검사체(12)가 눌려 내려가면, 각 범프 전극(13)이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에서의 2개의 제2 플런저(63)의 돌기(77A)나,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에서의 2개의 플런저(263)의 돌기(277A)에 접촉하고, 각 전기적 접촉자(20, 200)가 눌려 오그라든다(예를 들어, 도 5의 상태에서 도 6의 상태로의 변화 참조).When the subject 12 is depressed in this state, the
접촉편(77, 277)의 선단의 돌기(77A, 277A)가 범프 전극(13)에 접촉하려 할 때, 돌기(77A, 277A)는 범프 전극(13)의 구면 위를 원주방향으로 미끄러지려고 하여,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이 작용하여 범프 전극(13)에 확실하게 접촉한다.The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가 눌려 오그라든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 제1 플런저(62) 및 제2 플런저(63) 사이는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촉된다. 또,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가 눌려 오그라든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 플런저 겸용 코일스프링(201)의 플런저부(262)와, 플런저(263) 사이는 전기적으로 접촉된다.Th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lidably fitted
여기에서, 2개의 제2 플런저(63)나 2개의 플런저(263)는 각각, 독립하여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범프 전극(13)이 변형해 있는 경우 등, 2개의 제2 플런저(63)의 돌기(77A)나 2개의 플런저(263)의 돌기(277A)에의 접촉부분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서도, 2개의 제2 플런저(63)나 2개의 플런저(263)가 그 형상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접촉한다.Since the two
이에 의해, 2개의 접촉대상(배선기판(15)의 콘택트 패드와 범프 전극(13)) 사이가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나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나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를 통하여 2개의 접촉대상 사이에 전기적 신호가 전송된다.Thereby, the two contact objects (the contact pad of the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에서는, 제1 플런저(62) 및 제2 플런저(63)가 함께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면 접촉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는다. 한편,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에서는, 플런저 겸용 코일스프링(201)의 플런저부(262)는 선재로 형성되고, 플런저(263)가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선 접촉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는다. 그 때문에, 전기적 신호의 수수(授受) 관점에서는,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 쪽이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보다 성능이 높다고 할 수 있다.In the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장치(11)가 적용되는 검사장치에 있어서, 피검사체(12)로부터 받아들이는 신호는, 신호 파형의 형상의 웨이트가 큰 신호도 있으면, 신호 파형에서 임의시점에서의 논리(「1」이나 「0」)나 정전압 값이나 정전류 값에 웨이트가 큰 신호(디지털 신호 등)도 있다. 즉, 2개의 접촉대상 사이의 전송에 요구되는 정밀도가 엄격한 신호가 있으면, 그보다도 정밀도의 요구가 엄하지 않은 신호도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장치(11)에서는, 전자의 신호를 전송하는 곳에는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를 적용하고, 후자의 신호를 전송하는 곳에는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를 적용하고 있다.In the inspection apparatus to which the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the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에 의하면, 플런저 겸용 코일스프링이 1부재로 플런저의 기능과 코일스프링의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부품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쉬운 조립공정이나 저렴화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또, 플런저 겸용 코일스프링에서의 제1 접촉대상과 접촉하는 부분은, 플런저와 유사한 외형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접촉대상과의 접촉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코일스프링으로 접촉대상과 접촉하는 기술에서는, 나선 선재의 단부에서 접촉대상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접촉이 나쁜 것으로 되어 있었다.Further, since the portion of the plunger-cum-coil spring that contacts the first contact object has an outer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plunger, the contact with the contact object can be made good. As described above, in the technique of contacting the object to be contacted by the coil spring disclosed in
게다가,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에 의하면, 그 전기적 접촉자(200)에서의 플런저(263)로서,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에서의 제2 플런저(63)와 같은 부재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여, 이 점에서도 싸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에 의하면, 길이가 다른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를 실현하는 경우에 있어서, 플런저 겸용 코일스프링(201)의 길이(예를 들어, 접촉부의 길이)를 바꿈으로써 대응 가능하고, 플런저(263)를 다른 길이의 전기적 접촉자로 공용할 수 있다. 또, 플런저 겸용 코일스프링(201)의 선재의 직경의 선정에 의해, 2개의 플런저(263)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또,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에 의하면, 제1 접촉대상과의 접촉부분으로서, 코일 선재를 구부려 형성한 접촉부를 적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선단 형상의 자유도가 높고, 접촉대상의 형상 등에 따른 선단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장치(11)에 의하면,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 및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를 측정 시에 흐르는 신호의 성질 등에 따라 나누어 사용하도록 했기 때문에, 신호 파형을 그다지 중시하지 않는 곳의 2부재의 접촉대상 사이에 전기적 접촉자(200)를 적용할 수 있고, 각 개소에 따라, 그 개소에 적합한 품질의 전기적 접촉자를 적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장치(11)를 저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lectrical connecting
(B) 다른 실시형태(B) Another embodiment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도 각종 변형 실시형태에 대해 언급했으나, 이하에 예시하는 변형 실시형태를 더 들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there are further modified embodiments exemplified below.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장치(11)에서는,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 및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를 혼재한 것이었으나, 탑재하고 있는 전기적 접촉자가 모두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이도록 전기적 접속장치를 구성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electrical connecting
상기에서는, 제2 플런저(63)를 2개, 제1 플런저(62)를 하나 설치한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20)나, 플런저(263)를 2개, 플런저 겸용 코일스프링(201)에서의 플런저부(262)가 하나인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200)를 나타내었으나, 제1 접촉대상이나 제2 접촉대상에 접속하는 플런저나 플런저부를 각각 하나씩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코일스프링(64)이나 플런저 겸용 코일스프링(201)의 양단 또는 일단의 밀착 소경부의 직경을, 하나씩인 플런저나 플런저부를 고려하여 선정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반대로, 제1 접촉대상에 접속하는 플런저가 하나, 제2 접촉대상에 접속하는 플런저 또는 플런저부가 2개여도 좋다. 코일 선재로 2개의 플런저부를 구성하는 경우, 접촉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상하방향으로 2중 감도록 하여 구성하면 된다.In the above example, two signal plethysensitive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자는, 배선기판이나 반도체 집적회로 등에 갖추어진 전극 등에 접촉되는 장치 전반에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장치는, 본 발명의 전기적 접촉자를 적어도 일부에 이용한 장치이고, 장치의 용도는 검사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electrical cont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hroughout an apparatus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n electrode or the like equipped on a wiring board or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The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using at least a part of the electrical cont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 of the apparatus is not limited to the testing apparatus.
11: 전기적 접속장치
12: 피검사체
13: 범프 전극(제2 접촉대상)
15: 배선기판
16: 아래쪽 하우징
17: 위쪽 하우징
18: 프레임
19: 가이드판
20: 신호 파형 중시 전기적 접촉자
22: 배선기판의 콘택트 패드(제1 접촉대상)
62: 제1 플런저
63: 제2 플런저
64: 코일스프링
200: 제1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촉자
201: 플런저 겸용 코일스프링
262: 플런저부
263: 플런저
264: 코일스프링부
266: 결합부
268: 접촉부11: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12: subject to be inspected
13: bump electrode (second contact object) 15: wiring board
16: Lower housing 17: Upper housing
18: Frame 19: Guide plate
20: Electrical contact with emphasis on signal waveform
22: contact pad of the wiring board (first contact target)
62: first plunger 63: second plunger
64: coil spring 200: electrical contact of the first embodiment
201: Plunger combined coil spring 262: Plunger part
263: plunger 264: coil spring part
266: engaging portion 268:
Claims (6)
제2 접촉대상에 접촉하는 판상의 플런저로서, 상기 플런저부에서의 기단쪽 선재 부분이 상기 플런저의 평면에 전기적으로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코일스프링부에 의해 상기 신장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런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촉자.
A plunger coil spring integrally formed by the same wire member for applying a force in the direction of extension to collect the force at the time of compression; And
A plunger in contact with a second contact object, wherein a proximal end wire portion of the plunger portion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a plane of the plunger, and the plunger is retractably supported by the coil spring portion in the elongation direction, ;
And an electrical contact.
2. The electrical contac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wo of the plungers are provided so as to sandwich the proximal end side wire portion of the plunger portion.
The plung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lunger portion has a wire member portion that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contact object, a wire member portion that contacts the first contact object, and a wire member portion that is away from the first contact object Electrical contact.
4. The electrical contac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wire member portion that contacts the first contact object extends in a waveform and contacts the first contact object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toward the first contact object.
적어도 일부의 전기적 접촉자로서,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적 접촉자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장치.
An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tacts electrically contacting a first contact object and a second contact object,
The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electrical contact is appli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128111 | 2014-06-23 | ||
JP2014128111A JP6404008B2 (en) | 2014-06-23 | 2014-06-23 | Electrical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6383A true KR20150146383A (en) | 2015-12-31 |
KR101678146B1 KR101678146B1 (en) | 2016-11-23 |
Family
ID=5512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3541A KR101678146B1 (en) | 2014-06-23 | 2015-03-11 | Electrical Conta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404008B2 (en) |
KR (1) | KR101678146B1 (en) |
CN (1) | CN105322337B (en) |
TW (1) | TWI587585B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703204A (en) * | 2021-09-03 | 2021-11-26 | 苏州凌云光工业智能技术有限公司 | Probe and display screen lighting ji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3846B1 (en) * | 2016-07-29 | 2018-05-02 | 주식회사 마이크로컨텍솔루션 | Contact probe |
JP2018092813A (en) * | 2016-12-05 | 2018-06-14 | 株式会社ネバーグ | Probe pin and IC socket |
JP6915797B2 (en) * | 2017-01-26 | 2021-08-04 | 株式会社笠作エレクトロニクス | Probe pin |
JP7113067B2 (en) * | 2018-02-19 | 2022-08-04 | ユニテクノ株式会社 | Contact probe and test socket with it |
TWI797109B (en) * | 2018-03-01 | 2023-04-01 | 日商由利科技股份有限公司 | Contact probe and inspection sleeve provided with the contact probe |
CN112086765B (en) * | 2020-08-21 | 2022-04-01 | 国家电网有限公司 | Female support fitting of pipe and transmission system |
KR102414615B1 (en) * | 2020-10-16 | 2022-06-30 | (주)아이윈솔루션 | Connection Pin with Consistant Electric Characteristics |
JP2022079959A (en) * | 2020-11-17 | 2022-05-27 | 山一電機株式会社 | Inspection socket |
KR102235344B1 (en) * | 2020-12-31 | 2021-04-05 | 황동원 | Contact pin, and a spring contact and test socket with the same for high speed signal ic test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88866B2 (en) * | 1992-11-26 | 2000-09-18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IC card |
JP3171252B2 (en) * | 1989-10-16 | 2001-05-28 | 寶酒造株式会社 | Alcohol or food manufacturing method |
JP2004152495A (en) | 2002-10-28 | 2004-05-27 | Yamaichi Electronics Co Ltd | Ic socket for fine pitch ic package |
JP2008516398A (en) | 2004-10-06 | 2008-05-15 | プラストロニックス・ソケット・パートナーズ, エルピー | Contacts for electronic devices |
JP2012181096A (en) * | 2011-03-01 | 2012-09-20 | Micronics Japan Co Ltd | Conta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63025B2 (en) * | 2000-10-17 | 2004-09-08 | 三菱製鋼株式会社 | Contact assembly parts for battery electrode terminals |
JP4900843B2 (en) * | 2008-12-26 | 2012-03-21 | 山一電機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or semiconductor device and contact used therefor |
WO2011021821A2 (en) * | 2009-08-17 | 2011-02-24 | 주식회사 휴먼라이트 | Spring-type ground terminal having an upper and lower electrical contact structure |
WO2011036800A1 (en) * | 2009-09-28 | 2011-03-31 |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 Conta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US8710856B2 (en) * | 2010-01-15 | 2014-04-29 | LTX Credence Corporation | Terminal for flat test probe |
JP4998838B2 (en) * | 2010-04-09 | 2012-08-15 | 山一電機株式会社 | Probe pin and IC socket having the same |
DE202010010827U1 (en) * | 2010-07-29 | 2010-10-21 |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 High Power Connectors |
JP5858781B2 (en) * | 2011-12-29 | 2016-02-10 | 株式会社エンプラス | Probe pin and socket for electrical parts |
US8408946B1 (en) * | 2012-05-26 | 2013-04-02 | Jerzy Roman Sochor | Low inductance contact with conductively coupled pin |
DE102012024185A1 (en) * | 2012-12-11 | 2014-06-12 |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 Contact element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
-
2014
- 2014-06-23 JP JP2014128111A patent/JP6404008B2/en active Active
-
2015
- 2015-02-12 TW TW104104752A patent/TWI587585B/en active
- 2015-03-11 KR KR1020150033541A patent/KR101678146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5-06-23 CN CN201510351110.7A patent/CN105322337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1252B2 (en) * | 1989-10-16 | 2001-05-28 | 寶酒造株式会社 | Alcohol or food manufacturing method |
JP3088866B2 (en) * | 1992-11-26 | 2000-09-18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IC card |
JP2004152495A (en) | 2002-10-28 | 2004-05-27 | Yamaichi Electronics Co Ltd | Ic socket for fine pitch ic package |
JP2008516398A (en) | 2004-10-06 | 2008-05-15 | プラストロニックス・ソケット・パートナーズ, エルピー | Contacts for electronic devices |
JP2012181096A (en) * | 2011-03-01 | 2012-09-20 | Micronics Japan Co Ltd | Conta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703204A (en) * | 2021-09-03 | 2021-11-26 | 苏州凌云光工业智能技术有限公司 | Probe and display screen lighting ji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8146B1 (en) | 2016-11-23 |
TWI587585B (en) | 2017-06-11 |
CN105322337A (en) | 2016-02-10 |
TW201601384A (en) | 2016-01-01 |
CN105322337B (en) | 2019-03-01 |
JP2016008835A (en) | 2016-01-18 |
JP6404008B2 (en) | 2018-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8146B1 (en) | Electrical Conta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 |
KR101310672B1 (en) | Conta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
JP5629611B2 (en) | Conta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
KR101951705B1 (en) | Pogo pin and test socket for implementing array of the same | |
KR101307365B1 (en) |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
KR101012712B1 (en) | Compliant electrical interconnect and electrical contact probe | |
KR101769355B1 (en) | Vertical probe pin and probe pin assembly with the same | |
US9329204B2 (en) | Electrically conductive Kelvin contacts for microcircuit tester | |
JP6637742B2 (en) | Electrical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
JP2015215328A (en) | Probe pin and IC socket | |
US20120092034A1 (en) | Electrically Conductive Kelvin Contacts For Microcircuit Tester | |
JP2019138768A (en) | probe | |
KR20180131312A (en) | Vertical probe pin and probe pin assembly with the same | |
JP5750535B2 (en) | Conta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
KR101727032B1 (en) | Prob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 |
KR101680319B1 (en) | Probe block for testing a liquid crystal panel | |
JP5568563B2 (en) | Conta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
KR101949838B1 (en) | A probe-pin for testing electrical connector | |
JP2019178999A (en) | Electric probe and electric connection device | |
KR20150103019A (en) | Measuring ti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