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6218A -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 - Google Patents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6218A
KR20150146218A KR1020140076466A KR20140076466A KR20150146218A KR 20150146218 A KR20150146218 A KR 20150146218A KR 1020140076466 A KR1020140076466 A KR 1020140076466A KR 20140076466 A KR20140076466 A KR 20140076466A KR 20150146218 A KR20150146218 A KR 20150146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ow
excavator
support
bucket
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7059B1 (ko
Inventor
표영진
Original Assignee
표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영진 filed Critical 표영진
Priority to KR1020140076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059B1/ko
Publication of KR20150146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8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working sub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02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 A01B15/04Shares
    • A01B15/06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sha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이 고르지 못하고 경사가 심한 산간의 고지대에서도 밭갈이가 용이한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궤도바퀴를 갖는 굴삭기 등에 설치되어 급경사지에서도 이동이 용이하여 보다 쉽게 골 형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사면에 따라 쟁기의 기울기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Groove formation equipment for slope land of hilly section}
본 발명은 고지대 경작지의 골 형성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면이 고르지 못하고 경사가 심한 산간의 고지대에서도 밭갈이가 용이한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궤도바퀴를 갖는 굴삭기에 설치함으로써 급경사지에서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 골 형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사면에 따라 쟁기의 기울기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을 경작하는 여러 종류의 농기계 중 하나인 쟁기는 경작지를 갈아 업거나 골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 이와 관련된 기술에는 다양한 것이 있으며 그 일예로는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트랙터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견인되는 링크대가 설치되고 링크대의 후방에는 다수의 쟁기부가 구비된 트랙터용 쟁기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의 전ㅇ후에 각각 설치되는 이송레일과, 링크대 및 지지암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송레일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홀더와, 링크대에 설치된 변위모터의 정역변환에 따라 쟁기부가 설치된 메인프레임을 좌우 어느 한쪽으로 트랙터보다 돌출하도록 이송시키는 변위조절수단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특허문헌 2는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는 삼각대와, 삼각대 후방으로 연장 연결되는 중앙지지틀 및 중앙지지틀의 하방으로 배치되어 경작지의 흙을 파헤치는 보습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트랙터 견인식 이랑 쟁기에 있어서, 삼각대의 양쪽으로 고정축이 각각 설치되고, 고정축에 일련의 절삭원판보습들이 장착되는 가변윙축이 힌지 조인트를 매개로 연결되며, 가변윙축에는 중앙지지틀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전후 작동에 따라 길이 조절되는 연결링크가 설치되어 가변윙축을 삼각대를 기준으로 각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며,
특허문헌 3은 트랙터에 견인되어 경운시 쟁기날이 암석 및 나무뿌리 등에 걸리게 되면 자동으로 회피하도록 트랙터의 유압 라인과 연결 구성하여 쟁기날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였으며, 쟁기날(쟁기 보습)이 광폭 파쇄용과 심토 파쇄용으로 구분되고, 이들을 프레임에 상호 엇갈리게 장착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경운하게 됨에 따라 심경 갈이를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쟁기들은 통상적으로 트랙터에 설치되는 것으로 급경사지 등에서는 이동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경사지에서 골을 형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414989호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13090호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177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트랙터로는 작업이 어려운 지면이 고르지 못하고 경사가 심한 산간의 고지대에서도 밭갈이가 용이한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궤도바퀴를 갖는 굴삭기에 설치되어 급경사지에서도 이동이 용이하여 골 형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사면에 따라 쟁기의 기울기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는 굴삭기의 버킷암과 버킷실린더에 연결되는 골 형성기에 있어서, 지지대에 다수의 보습을 설치하여 구성된 쟁기; 상기 쟁기의 중앙에 연결된 회전지지수단; 상기 회전지지수단의 상부에 부착되고 버킷암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암연결부와 버킷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로드연결부를 구비한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져 굴삭기의 버킷을 작동시키는 유압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굴삭기 본체의 전후진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습은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원하는 간격으로 골을 형성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회전지지수단의 양측에는 지지대의 수평기울기를 제한하는 기울기제한돌기를 형성하여 쟁기가 지나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는 굴삭기에 설치되어 굴삭기의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트랙터로 작업이 어려운 산간의 급경사지에서도 이동이 용이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골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지지수단을 구비하여 경사지의 경사 형태에 맞추어 보습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골 형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보습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원하는 간격으로 골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가 설치된 굴삭기의 일예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의 일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를 구성한 보습의 일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를 구성한 보습의 다른 일예의 사시도
도 5는 쟁기가 기울어진 상태의 골 형성기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궤도바퀴를 갖는 굴삭기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어 굴삭기가 이동할 수 있는 급경사지에서의 골 형성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는 굴삭기(100)의 버킷암(100a)과 버킷실린더(100c)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는 보습(12)을 구비한 쟁기(10)와 쟁기를 굴삭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쟁기(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봉 형상의 지지대(11)에 다수의 보습(12)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보습(12)은 통상의 쟁기를 구성하는 것과 같다.
상기 보습(12)은 지지대(11)와 일체화될 수 있으나, 골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거나 골의 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보습(12)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서 하나의 보습이 손상되었을 때 손상된 보습만을 따로 새 보습으로 교체할 수도 있다.
상기 보습(12)을 지지대(11)에 설치하기 위한 방법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에 따라 다르다. 보습(12) 중에 지지대(11)의 중앙에 설치되는 보습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날개(12w)를 관통하여 구멍이 형성되고, 지지대(11)의 저면에는 상기 연결날개(12w)가 연결되는 연결날개(11w)를 형성하여 고정볼트(13)를 두 연결날개(11w, 12w)를 관통하여 조임에 의해 설치된다.
이렇게 지지대(11)의 중앙에 설치되는 보습(12)을 연결날개(12w)를 형성하여 연결하는 이유는 지지대의 중앙의 상부에는 회전지지수단(20)이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연결홀(11h)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습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관(12p)을 형성하여 결합할 경우 연결관이 연결홀(11h)에 걸리기 때문이다.
보습(12) 중 지지대의 중앙에 설치된 보습을 제외한 다른 보습들을 지지대에 결합하는 방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습(12)의 상단에 지지대(11)의 단면과 같은 구멍이 형성된 연결관(12p)을 설치하고, 이 연결관(12p)에 형성된 구멍에 지지대(11)를 끼워 넣은 후 고정볼트(13)를 조여 결합하는 것이다.
이렇게 연결관(12p)을 보습(12)에 일체로 형성하고, 연결관을 관통하여 조여지는 고정볼트(13)의 단부가 지지대(11)의 표면에 밀착되게 하여 보습을 고정함으로써 보습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고정볼트(13)의 단부는 지지대(11)를 관통하지 않고 지지대의 외벽에 밀착된 상태로 조여지며, 이렇게 조여진 고정볼트에 의해 보습이 고정됨으로 고정볼트를 느슨하게 풀어 보습의 위치를 변경하고 다시 고정볼트를 조이면 보습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습들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골이 형성되는 간격도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11)의 중간 상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홀(11h)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홀(11h)은 연결핀(10p)에 의해 회전지지수단(20)의 저면에 형성된 연결홀(20h)과 연결되어 지지대와 회전지지수단(20)이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지지수단(20)은 그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수단(30)에 의해 굴삭기의 버킷암(100a)과 유압실린더(100c)의 로드에 연결된다.
상기 회전지지수단(20)은 쟁기(10)를 지면과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수단(3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그 일예로는 연결수단(30)에 고정된 고정부와, 쟁기의 지지대(11)에 연결된 회전축을 베어링으로 연결하여 연결수단(30)을 중심으로 쟁기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베어링으로 연결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키거나 작업 장소의 기울기에 의해 쟁기의 일단이 걸렸을 때 쟁기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지지수단(20)의 다른 일예로는 굴삭기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임의로 쟁기를 수평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연결수단(30)에 고정된 유압펌프 또는 전기모터의 회전축에 쟁기(10)를 연결하고, 유압펌프나 전기모터에 동력을 공급하여 회전축을 회전시킴에 의해 인위적으로 쟁기를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버킷암(100a)과 유압실린더(100c)는 굴삭기에 설치되는 버킷을 전후 또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수단으로 이는 통상의 굴삭기에 설치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골 형성기의 쟁기(10) 또한 버킷과 같이 버킷암(100a)과 유압실린더(100c)의 힌지 고정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힌지고정부를 중심으로 전후 또는 상하로 회동될 수 있다.
물론, 쟁기(10)를 지면에 놓거나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리는 작업은 굴삭기의 붐실린더를 구동시켜 붐을 승강시킴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버킷암의 붐 단부를 회전중심으로 회동시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3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에는 버킷암(100a)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암연결부(30a)와, 버킷실린더(100c)의 로드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로드연결부(30r)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은 각각 연결핀(10p)이 끼워져 고정되는 구멍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쟁기(10)의 지지대(11)와 회전지지수단(20)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렇게 연결된 쟁기가 지나치게 많이 기울어질 경우 굴삭기의 이동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이를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대(11)의 중앙 상부에는 기울기제한돌기(40)를 더 형성하였다.
굴삭기가 어느 정도 기울어지면 쟁기도 같이 기울어져 쟁기의 보습이 지면으로부터 분리되거나 깊이 박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쟁기가 기울어지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기울기제한돌기(40)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기울기제한돌기(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쟁기(10)가 어느 정도 기울어지면 회전지지수단(20)의 저면에 그 상단이 접촉되어 쟁기(10)가 더 이상 기울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10: 쟁기 10p: 연결핀
11: 지지대 11w: 고정날개 11h: 연결홀
12: 보습 12w: 고정날개 12p: 연결관
12s: 보강판
13: 고정볼트
20: 회전지지수단 20h: 연결홀
30: 연결수단
30a: 암연결부
30r: 로드연결부
40: 기울기제한돌기

Claims (3)

  1. 굴삭기(100)의 버킷암(100a)과 버킷실린더(100c)에 연결되어 굴삭기의 유압장치에 의해 작동되고 굴삭기 본체의 전후진에 의해 이동되는 골 형성기에 있어서,
    지지대(11)에 다수의 보습(12)을 설치하여 구성된 쟁기(10);
    상기 쟁기(10)의 중앙에 연결 설치된 회전지지수단(20);
    상기 회전지지수단(20)의 상부에 결합되고, 버킷암(100a)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암연결부(30a)와, 버킷실린더(100c)의 로드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로드연결부(30r)를 구비한 연결수단(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12)은 지지대(1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1)의 중앙 양측에는 지지대(11)의 수평기울기를 제한하는 기울기제한돌기(4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
KR1020140076466A 2014-06-23 2014-06-23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 KR101657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466A KR101657059B1 (ko) 2014-06-23 2014-06-23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466A KR101657059B1 (ko) 2014-06-23 2014-06-23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218A true KR20150146218A (ko) 2015-12-31
KR101657059B1 KR101657059B1 (ko) 2016-09-13

Family

ID=55128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466A KR101657059B1 (ko) 2014-06-23 2014-06-23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366B1 (ko) * 2023-07-10 2023-12-06 강석화 포크레인용 쟁기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4443A (ja) * 1994-02-13 1995-08-22 Daihachi Ito 土砂整形作業装置
JPH1161872A (ja) * 1997-08-12 1999-03-05 Kiyoshi Hoshi 作業機用アタッチメント作動装置
KR100414989B1 (ko) 2001-09-24 2004-01-13 부국산업주식회사 스크류를 이용한 이송장치
JP2012034631A (ja) * 2010-08-06 2012-02-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草刈用アタッチメント
KR101217724B1 (ko) 2012-07-23 2013-01-02 이세원 심경 갈이용 쟁기
KR101313090B1 (ko) 2011-04-12 2013-10-01 유한회사 영신 이랑 쟁기
KR101371334B1 (ko) * 2011-11-23 2014-03-10 정일성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4443A (ja) * 1994-02-13 1995-08-22 Daihachi Ito 土砂整形作業装置
JPH1161872A (ja) * 1997-08-12 1999-03-05 Kiyoshi Hoshi 作業機用アタッチメント作動装置
KR100414989B1 (ko) 2001-09-24 2004-01-13 부국산업주식회사 스크류를 이용한 이송장치
JP2012034631A (ja) * 2010-08-06 2012-02-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草刈用アタッチメント
KR101313090B1 (ko) 2011-04-12 2013-10-01 유한회사 영신 이랑 쟁기
KR101371334B1 (ko) * 2011-11-23 2014-03-10 정일성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 장치
KR101217724B1 (ko) 2012-07-23 2013-01-02 이세원 심경 갈이용 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059B1 (ko)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2338B2 (en) Earth working apparatus
KR101193401B1 (ko) 로터리용 배토기
CN107018684A (zh) 一种可调式开沟机
KR101389093B1 (ko) 배토기용 두둑 성형 작업기
KR101313090B1 (ko) 이랑 쟁기
KR101804684B1 (ko) 로터베이터용 복합 작업기
CN105557084B (zh) 土壤旋耕深翻机
KR101363086B1 (ko) 배토기
KR200469752Y1 (ko) 커터가 장착된 쟁기
CN111656895A (zh) 一种用于苗木种植的灌溉沟起垄、施肥一体化装置
CN109565971A (zh) 一种多功能耕地机
US4161072A (en) Ditch digger with adjustable side wings
CN206585902U (zh) 深松旋耕犁结构机具
KR101657059B1 (ko)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
CN206923245U (zh) 一种新型深耕翻土机
CN209643293U (zh) 一种联合整地机
CN107396644A (zh) 一种微型耕地机
CN104919924B (zh) 用于烟叶种植一体机的覆土装置
KR102299200B1 (ko) 농기계용 파종기 연결장치
CN204616323U (zh) 一种轻便式开沟覆膜组合机
KR102185477B1 (ko) 쟁기로터리
US2923073A (en) Ditch digger
CN207118238U (zh) 一种翻转式深松犁
KR101934235B1 (ko) 밭이랑 곡선면 궤도 이탈 방지 및 경사면 수평 유지가 가능한 트랙터용 부속 작업기의 연결장치
CN220023511U (zh) 整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