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334B1 -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 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334B1
KR101371334B1 KR1020110122647A KR20110122647A KR101371334B1 KR 101371334 B1 KR101371334 B1 KR 101371334B1 KR 1020110122647 A KR1020110122647 A KR 1020110122647A KR 20110122647 A KR20110122647 A KR 20110122647A KR 101371334 B1 KR101371334 B1 KR 101371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yster
furrow
gulting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972A (ko
Inventor
정일성
Original Assignee
정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일성 filed Critical 정일성
Priority to KR1020110122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334B1/ko
Publication of KR20130056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027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coulters, ploughs, scraper plat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포크레인을 통해 지면을 파내는 형태로 굴토함에 따라 굴토과정에서 암판과의 충돌이 최소화됨은 물론, 충돌시 암판의 파쇄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굴토된 흙이 자연스럽게 고랑 옆으로 이동하여 쌓이도록 함으로써 흙쌓기 작업을 별도로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굴토과정에서 흙이 포크레인과의 연결지점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연결지점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 장치{EARTHWORK EQUIPMENT OF FURROW}
본 발명은 굴삭기 용 밭고랑 굴토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포크레인을 이용해 밭고랑을 굴토함에 따라 신속한 굴토가 이루어짐은 물론, 굴토와 동시에 굴토된 흙이 고랑 양 옆에 자동으로 쌓이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작업이 생략되어 전체적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는 밭고랑을 형성시킬 때 트랙터를 통해 이동하면서 쟁기가 지면을 긁고 지나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트랙터용 쟁기는 단순히 직선이동하면서 지면을 긁어내능 방식이기 때문에, 이동과정에서 암판에 걸릴 경우 쟁기 자체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랙터용 쟁기는 단순히 굴토 기능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굴토 후 작업자가 굴토된 흙을 고랑 옆으로 모아 쌓아 올려야하는 작업을 추가적으로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27627호(2001.04.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93032호(2007.03.0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포크레인을 통해 지면을 파내는 형태로 굴토함에 따라 굴토과정에서 암판과의 충돌이 최소화됨은 물론, 충돌시 암판의 파쇄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굴토된 흙이 자연스럽게 고랑 옆으로 이동하여 쌓이도록 함으로써 흙쌓기 작업을 별도로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굴토과정에서 흙이 포크레인과의 연결지점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연결지점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판재형태로 사선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는 제1굴토판 및 상기 제1굴토판과 대칭구조로 배치되어 있는 제2굴토판을 포함하되 제1굴토판과 제2굴토판의 전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후단부로 갈수록 제1, 2굴토판 간의 간격이 벌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굴삭기의 붐대와 연결 가능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굴토판 간 연결지점이 지면과 접촉되면서 굴토가 이루어지고 굴토된 흙이 상기 제1, 2굴토판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굴토판과 제2굴토판의 전면은 서로를 향해 함몰된 형태의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굴토된 흙이 상기 제1, 2굴토판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곡면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굴토판과 제2굴토판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있는 흙넘침 방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굴토판과 제2굴토판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포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굴삭기의 붐대와 연결되어 지면을 파내는 형태로 굴토가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에 비해 굴토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포크부에 의해 암반의 파쇄기능이 부여됨에 따라 암반에 의한 굴토 지연 및 파손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제1굴토판과 제2굴토판이 뒤쪽으로 갈수록 상호 간 간격이 벌어지는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굴토과정에서 굴토된 흙이 제1, 2굴토판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벌어지면서 이동되기 때문에 굴토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2굴토판 전면에 곡면부가 형성됨에 따라, 굴토된 흙이 제1, 2굴토판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곡면부를 따라 외부를 향해 상승한 뒤 쌓이게 됨으로 굴토 후 흙쌓기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전체적인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굴토과정에서 굴토된 흙이 제1, 2굴토판을 타고 뒤쪽으로 넘어가려 할 때 흙넘침 방지판에 의해 이동이 차단됨에 따라 흙이 포크레인과 본체 간 연결지점에 끼이거나 고랑 내에 쌓이게 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1은 전체 사시도
도2는 포크레인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장치는 [도 ]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0)와 포크부(300), 체결부(200) 및 흙넘침 방지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는 굴삭기와의 연결 기능과 실질적인 굴토기능 및 자동 흙쌓기 기능을 동시게 갖는 부분으로, 다시 제1굴토판(110)과 제2굴토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굴토판(110)은 굴토기능 및 굴토된 흙을 고랑 일측에 자동으로 쌓아두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기다란 판재 형태이고 전면 전체에는 내측을 향해 움푹 함몰된 형태의 제1곡면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굴토판(120)은 제1굴토판(110)과 마찬가지로 굴토기능 및 굴토된 흙을 고랑 반대쪽에 자동으로 쌓아두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굴토판(110)과 대칭구조, 즉 판재 형태이되 전면 전체에 걸쳐 내측을 향해 함몰된 제2곡면부(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굴토판(110)과 제2굴토판(120)은 전단부가 상호 용접 등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상호간의 간격이 벌어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즉 도면과 같이 제1굴토판(110)과 제2굴토판(120)은 뒤쪽으로 갈수로 상호간의 간격이 벌어져 사선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1굴토판(110)과 제2굴토판(120)에는 체결부(200)가 설치된다.
체결부(200)는 제1굴토판(110)과 제2굴토판(120)간 결합체를 굴삭기 붐대(B)와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연결프레임(210)과 체결프레임(220)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연결프레임(210)은 본체(100)를 굴삭기 붐대(B)와 연결하기에 앞서 제1굴토판(110)과 제2굴토판(120)을 연결하는 보강 리브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순 봉 형태이고 제1굴토판(110)과 제2굴토판(120)의 상부면에 동시에 안착됨에 따라 제1굴토판(110)과 제2굴토판(120)의 상부면이 연결프레임(210)을 매개로 상호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체결프레임(220)은 본체(100)와 굴삭기 붐대(B)간 실질적인 체결기능을 하는 것으로, 연결프레임(210) 상에 위치되어 굴삭기 붐대의 집개(미도시)에 끼워질 수 있는 봉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체결부(200)까지 형성된 본체(100)에는 포크부(300)가 설치된다.
포크부(300)는 굴착과정에서 최초 지면의 굴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굴착과정에서 암반 등의 파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굴삭기 버켓에 형성된 포크와 동일한 형상이며, 제1굴토판(110)과 제2굴토판(120)간 연결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해당 연결지점으로 부터 전면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포크부(300)까지 구비된 본체(100)에는 흙넘침 방지판(400)이 더 설치된다.
흙넘침 방지판(400)은 굴착과정에서 흙이 제1굴토판(110)과 제2굴토판(120)을 타고넘어 고랑에 쌓이거나 체결부(200)와 붐대(B)간 연결지점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단순 판재 형태이고 제1굴토판(110)과 제2굴토판(120)의 앞쪽 상부면에 안착됨에 따라 제1굴토판(110)과 제2굴토판(120)의 상부면 앞쪽 일부를 덮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붐대(B)의 집개(미도시)가 체결부(200)를 물게됨에 따라 본체와 붐대가 상호 체결된다.
이 상태에서 본체를 들어올려 일반적인 굴삭형태로 작동시키면 최초 포크부(300)가 지면에 박힘에 따라 해당 지면이 파쇄되고, 이 상태에서 제1굴토판(110)과 제2굴토판(120)간 연결지점이 파쇄된 지면을 긁어내면 적정 깊이의 고랑이 형성된다.
이 과정에서 굴착된 흙은 본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굴토판(110)과 제2굴토판(120)의 전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렇게 양측으로 벌어지는 과정에서 제1굴토판(110)의 제1곡면부(112)와 제2굴토판(120)의 제2곡면부(122)를 따라 상승된 후 고랑(1) 양측에 쌓이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포크레인에 의한 굴삭 방식으로 굴토가 이루어지고 굴토된흙이 제1굴토판(110)과 제2굴토판(120)을 따라 고랑 양옆으로 이동되어 쌓이게됨에 따라 고랑 형성 후 굴토된 흙을 고랑(1) 양엽에 쌓아야 하는 작업이 필요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굴토과정에서 굴토된 흙이 제1굴토판(110)과 제2굴토판(120)의 전면을 타고 넘어가려 하는데, 이때 제1굴토판(110)과 제2굴토판(120)의 상부면은 흙넘침 방지판(400)이 덮고 있는 상태이므로 흙이 제1굴토판(110)과 제2굴토판(120)을 타고 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흙이 타고 넘어 고랑에 재차 쌓이거나 체결부(200)와 붐대(B) 간 연겸틈새에 끼이는 현상 등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포크레인 붐대에 연결되어 포크레인의 동력을 통해 굴토가 이루어짐에 따라 굴토과정에서 암반의 파쇄도 병행될 수 있고 굴토된 흙이 제1, 2굴토판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어 고랑 양옆에 자동으로 쌓임에 따라 추가적인 흙쌓기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전체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0 : 본체 110 : 제1굴토판
112 : 제1곡면부 120 : 제2굴토판
122 : 제2곡면부 200 : 체결부
210 : 연결프레임 220 : 체결프레임
300 : 포크부 400 : 흙넘침 방지판
B : 붐대 1 : 고랑

Claims (4)

  1. 판재형태로 사선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는 제1굴토판 및 상기 제1굴토판과 대칭구조로 배치되어 있는 제2굴토판을 포함하되 제1굴토판과 제2굴토판의 전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후단부로 갈수록 제1, 2굴토판 간의 간격이 벌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굴삭기의 붐대와 연결 가능한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굴토판 간 연결지점이 지면과 접촉되면서 굴토가 이루어지고 굴토된 흙이 상기 제1, 2굴토판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동되는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굴토판과 제2굴토판의 전면은 서로를 향해 함몰된 형태의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굴토된 흙이 상기 제1, 2굴토판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곡면부를 따라 이동되는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1굴토판과 제2굴토판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있는 흙넘침 방지판
    을 더 포함하는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1굴토판과 제2굴토판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포크부
    를 더 포함하는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장치.


KR1020110122647A 2011-11-23 2011-11-23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 장치 KR101371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647A KR101371334B1 (ko) 2011-11-23 2011-11-23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647A KR101371334B1 (ko) 2011-11-23 2011-11-23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972A KR20130056972A (ko) 2013-05-31
KR101371334B1 true KR101371334B1 (ko) 2014-03-10

Family

ID=4866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647A KR101371334B1 (ko) 2011-11-23 2011-11-23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3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218A (ko) * 2014-06-23 2015-12-31 표영진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
KR102611366B1 (ko) * 2023-07-10 2023-12-06 강석화 포크레인용 쟁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2967U (ko) * 1989-12-13 1991-08-23
JPH0424332A (ja) * 1990-05-17 1992-01-28 Ono Kensetsu Kk 溝掘削工法とこれに用いるバケット
JPH07127089A (ja) * 1993-10-28 1995-05-16 Maeda Corp 掘削用バケット
JP2009100659A (ja) * 2007-10-22 2009-05-14 Akutsu Yoshito 深耕爪を装備した成形培土器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2967U (ko) * 1989-12-13 1991-08-23
JPH0424332A (ja) * 1990-05-17 1992-01-28 Ono Kensetsu Kk 溝掘削工法とこれに用いるバケット
JPH07127089A (ja) * 1993-10-28 1995-05-16 Maeda Corp 掘削用バケット
JP2009100659A (ja) * 2007-10-22 2009-05-14 Akutsu Yoshito 深耕爪を装備した成形培土器ユニッ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218A (ko) * 2014-06-23 2015-12-31 표영진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
KR101657059B1 (ko) * 2014-06-23 2016-09-13 표영진 고지대 경사면 경작지의 골 형성기
KR102611366B1 (ko) * 2023-07-10 2023-12-06 강석화 포크레인용 쟁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972A (ko) 201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2099B2 (ja) トレーリングサクションホッパー浚渫船のドラッグヘッド、および当該ドラッグヘッドを用いて浚渫する方法
US6098320A (en) Front end loader attachment including forks and grapple for digging, dislodging and lifting materials
US2838856A (en) Earth scooping bucket attachment for breaking hardened ground or the like
US7992329B2 (en) Single pointed ripper bucket excavation tool
US8745903B1 (en) Rock removal skid steer attachment
US6928758B1 (en) Trenching tool
KR101371334B1 (ko)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 장치
JP2011042992A (ja) 山留め工法および山留め用の自立フレーム
AU2019280036A1 (en) Narrow Trencher Bucket
KR101274059B1 (ko)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 버켓
US10287747B1 (en) Trench scoop bucket
CN103749008B (zh) 开沟专用立式旋转耕耘机
KR101074573B1 (ko) 전폭형 매설지뢰 제거용 쟁기
KR200459039Y1 (ko) 귀삽 보호 및 마찰 방지용 투수를 갖는 굴삭기용 버켓
JP6960682B2 (ja) トラクタに連結する長いも収穫装置
US6684538B2 (en) Cutting tooth for a trencher chain
KR20130113228A (ko) 굴삭기 버켓
CN107956232A (zh) 岩石层地基破碎用多斗钩式铲斗装置
US20170314227A1 (en) Method for Conversion of Earth-Working Bucket and Attachment Therefor
CN102960088A (zh) 箭形三维深松起获铲
CN213539108U (zh) 一种多功能刷坡铲
US20130219757A1 (en) Mounting plate attachment for excavating device
JP3794992B2 (ja) 樹木植付機
JP6716155B2 (ja) 根菜掘り取り機
RU118512U1 (ru) Драга для лова зарывающихся моллюс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