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6070A - 압력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6070A
KR20150146070A KR1020140075929A KR20140075929A KR20150146070A KR 20150146070 A KR20150146070 A KR 20150146070A KR 1020140075929 A KR1020140075929 A KR 1020140075929A KR 20140075929 A KR20140075929 A KR 20140075929A KR 20150146070 A KR20150146070 A KR 20150146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ircuit board
bent
distance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3075B1 (ko
Inventor
김치연
박진규
윤종운
이슬기
전성호
한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40075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075B1/ko
Publication of KR20150146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발명은 압력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압력측정장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공이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공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검출소자,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검출소자와 연결된 회로기판,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검출소자 및 회로기판을 은폐시키는 제2하우징,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제1하우징에 접지시키는 접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접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접하는 제1절곡부, 일단은 상기 제1절곡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방향으로 돌출된 연결부, 일단은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접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압력측정장치{DEVICE FOR MEASURING PRESSURE}
본 발명은 압력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압력측정장치 즉 압력센서는 각종 압력을 측정하는 데 이용되는 측정기구의 일종이다.
압력센서는 자동차, 화학설비, 반도체 제조설비 등에서,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 또는 밸브측에 설치되어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데 주로 많이 이용되며, 예컨대 자동차의 매니폴드 압력, 엔진 유압,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가스 또는 공기의 압력, 소음기 내의 배기가스 압력, 그외 기타 일반 산업용 압력계 등에 저압에서 고압에 이르기까지 넓은 압력 범위를 고정밀도로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압력센서는 유체가 유입되는 압력도입구 및 압력도입구에 근접하여 설치된 압력소자로 구성되고, 압력소자는 반도체칩 또는 스트레인게이지 등과 같이 다양한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487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7066호 등에 다양한 구조의 압력측정장치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압력측정장치는 고압센서 또는 압력센서라고도 불리우며,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검출소자와, 이러한 상기 검출소자에서 발생된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터미널과, 상기 검출소자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검출소자와 연결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을 접지시키는 접지부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종래의 압력측정장치는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접지부재 및 상기 하우징 간의 구조가 복잡하였다.
이로 인해 상기 회로기판과 접지부재 및 하우징 간의 조립이 어려웠고, 외부의 힘에 의해 상기 압력측정장치에 충격이 발생되면 상기 접지부재와 상기 회로기판의 상호 접하는 부분이 서로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 및 내부구조를 강건하게 하고, 압력측정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압력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압력측정장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공이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공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검출소자,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검출소자와 연결된 회로기판,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검출소자 및 회로기판을 은폐시키는 제2하우징,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제1하우징에 접지시키는 접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접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접하는 제1절곡부, 일단은 상기 제1절곡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방향으로 돌출된 연결부, 일단은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접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절곡부는, 일단이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방향으로 돌출된 제1연장부, 일단이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접한다.
상기 제2절곡부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제3연장부, 일단이 상기 제3연장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방향으로 절곡된 제4연장부, 상기 제4연장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하우징에 접하는 접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절곡부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제3연장부, 일단이 상기 제3연장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방향으로 절곡된 제4연장부, 상기 제4연장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하우징에 접하는 접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연장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4연장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접지부재가 배치되는 지지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인서트 방식으로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2연장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길다.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2연장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까지의 거리보다 길고, 조립시 상기 회로기판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접지부재는 탄성압축된다.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접지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길다.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접지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까지의 거리보다 길되, 상기 접지부재의 압축시 상기 접지부는 탄성절곡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4연장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의 하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조립시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절곡된 상기 접지부가 수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접지부재가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제1하우징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회로기판을 용이하게 접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가 상기 회로기판에 접하고, 제3연장부가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압력측정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면적의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제3연장부의 길이만큼 달리하여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부재가 상기 지지홈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접지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저지되어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가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인서트 방식으로 고정 결합됨으로써, 상기 접지부재가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2연장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가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확실하게 접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접지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까지 거리와 같거나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접지부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확실하게 접할 수 있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조립시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확실하게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접지부가 용이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C부분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D부분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C부분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력측정장치는, 제1하우징(100)과, 검출소자(200)와, 회로기판(300)과, 제2하우징(400)과, 터미널(500)과, 탄성부재(600)와, 접지부재(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10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공(111)이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상단에는 다수개의 체결부(140)가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하우징(100)은 포트부(110)와, 받침대(120)와, 외측벽(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트부(110)는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흡입공(111)이 형성되고, 유체가 유동하는 관 등에 장착되어, 상기 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 예를 들어 공기 등이 상기 흡입공(111)을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받침대(120)의 중심부에는 상기 포트부(110)의 상부가 배치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포트부(110)와 상기 받침대(120)는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별개로 제작되어 용접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포트부(110)와 상기 받침대(120)는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포트부(110)와 상기 받침대(120)가 상호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벽(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부둘레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벽(130)의 내부에는 상기 제2하우징(4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에 결합될 때,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하우징(400)이 상기 제1하우징(100)과 결합될 때,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부가 상기 외측벽(1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1하우징(100)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벽(130)의 상부에는 도 3 및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40)가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제2하우징(4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으로부터 회전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상부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400) 방향으로 절곡된다.
상기 검출소자(200)는 상기 제1하우징(100),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포트부(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공(111)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압력을 검출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검출소자(200)는 상기 흡입공(111)의 상부에 접하도록 한다.
상기 회로기판(300)은 상기 받침대(120)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검출소자(200)와 와이어 본딩 등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300)은 상기 받침대(120)의 상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검출소자(200)의 상부에는 겔(GELL) 등을 도포하여 상기 검출소자(2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하우징(400)은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된 상기 검출소자(200) 및 상기 회로기판(300)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시키는 것으로서, 하부가 상기 외측벽(130)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받침대(120)의 상면에 접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400)에는 체결홈(42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4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14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체결홈(420)에는 상기 체결부(140)가 절곡되어 삽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홈(4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400)의 외주면에서 상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개방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체결부(140)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홈(42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하우징(4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상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강력하게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 사이에 상기 검출소자(200) 및 상기 회로기판(300)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장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락 'ㄴ'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하우징(400)의 내부에 내장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터미널(500)은 3개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부방향으로 배치된 면에는 상기 회로기판(300) 방향으로 안착공(4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공(410)의 상부에는 상기 터미널(500)의 일단이 장착되고, 상기 안착공(410)의 하부에는 상기 회로기판(300)이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600)는 상기 안착공(410)에 삽입되어, 상부가 상기 터미널(500)의 일단에 접하고 하부가 상기 회로기판(300)에 접하여, 상기 회로기판(300)과 상기 터미널(500)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600)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3개의 안착공(410)에 각각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600)는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압축된 상태에 놓여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부재(600)의 길이는 상기 안착공(410)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이 상호 접하기 전에 상기 탄성부재(600)가 상기 안착공(410)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터미널(500)의 일단과 상기 회로기판(300)에 접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600)가 상기 안착공(410)에 압축된 상태로 장착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600)가 상기 회로기판(300)과 상기 터미널(500)을 항상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300)의 전기신호는 상기 탄성부재(600)와 상기 터미널(500)을 통해 상기 터미널(500)의 타단에 연결된 외부기기(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재(7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회로기판(300)을 외부의 섀시(CHASSIS) 등에 접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지부재(700)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300)을 상기 제1하우징(100)에 접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40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접지부재(700)가 상기 회로기판(300)과 상기 제1하우징(100)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회로기판(300)을 용이하게 접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지부재(7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D부분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부재(700)는 제1절곡부(710)와, 연결부(720)와, 제2절곡부(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절곡부(710)는 일단이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로기판(300)이 배치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로기판(300)의 상면과 접한다.
이러한 상기 제1절곡부(710)는 제1연장부(711)와, 제2연장부(7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장부(711)는 일단이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방향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장부(711)의 일단은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에 인서트 방식으로 고정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연장부(711)가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접지부재(700)가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712)는 일단이 상기 제1연장부(711)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하우징(10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720)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회로기판(300)의 상면에 접한다.
여기서,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2연장부(712)까지의 거리(D1)는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300)의 상면까지의 거리(D2)와 같거나 길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이 조립되기 전, 상기 접지부재(700)가 압축되지 않은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2연장부(712)까지의 거리(D1)는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 예를 들어 후술할 제1지지부(43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300)의 상면까지의 거리(D2)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의 상호 조립시, 상기 회로기판(30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접지부재(700)는 탄성압축된다.
따라서,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2연장부(712)까지의 거리(D1)가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300)의 상면까지의 거리(D2)와 같거나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의 상호 조립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장부(712)가 제1지지부(430)의 하면보다 회로기판(300)의 상면에 먼저 닿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연장부(712)가 상기 회로기판(300)의 상면에 확실하게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의 상호 조립시, 상기 회로기판(30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접지부재(700)가 탄성가압됨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20)는 일단이 상기 제1절곡부(71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절곡부(730)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720)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면에 접한다.
이러한 상기 제2절곡부(730)는 제3연장부(731), 제4연장부(732), 접지부(7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3연장부(731)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72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하우징(1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4연장부(732)는 일단이 상기 제3연장부(731)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방향으로 절곡된다.
상기 접지부(733)는 상기 제4연장부(732)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하우징(100)에 접한다.
따라서, 상기 제2연장부(712)가 상기 회로기판(300)에 접하고, 제3연장부(731)가 상기 제1하우징(1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압력측정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면적의 상기 회로기판(300)을 상기 제3연장부(731)의 길이만큼 달리하여 장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접지부(733)까지의 거리(D3)는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면까지의 거리(D4)와 같거나 길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이 조립되기 전, 상기 접지부재(700)가 압축되지 않은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접지부(733)까지의 거리(D3)는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면까지의 거리(D4)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부재(700)의 압축시 상기 접지부(733)는 탄성절곡되어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접지부(733)까지의 거리(D3)가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하우징의 상면까지의 거리(D4)와 같거나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100) 및 상기 제2하우징(400)의 상호 조립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면에 접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접지부(733)가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면에 확실하게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의 상호 조립시, 상기 제1하우징(10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접지부(733)가 탄성절곡됨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지부(733)는 상기 제4연장부(732)로부터 돌출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00)의 외측방향으로 곡면형상으로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접지부(733)에는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면이 상기 접지부(733)에 밀착되어 상기 제1하우징(100)이 상기 접지부(733)를 가압할 때, 상기 접지부(733)는 상기 접지부(733)의 곡면을 따라 상기 제1하우징(10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된다.
따라서, 상기 접지부(733)는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100)의 가압에 의해 용이하게 탄성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에는 상기 접지부재(700)가 압축되면 상기 제1연장부(711)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430)와 상기 제4연장부(732)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44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430) 및 상기 제2지지부(440)에 의해 지지홈(45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부(430)에는 상기 지지홈(450)의 내부에 상기 접지부재(700)가 배치되고 상기 접지부재(700)의 압축시, 상기 제1연장부(711)가 접하여 상기 제1지지부(430)는 상기 제1연장부(711)가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측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440)에는 상기 접지부재(700)의 압축시, 상기 제4연장부(732)가 접하여 상기 제2지지부(440)는 상기 제4연장부(732)가 상기 제1하우징(100)의 외측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저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접지부재(700)의 압축시, 상기 제1연장부(711)가 상기 제1지지부(43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1연장부(711)가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측방향으로 밀리는 것이 저지되고, 상기 제4연장부(732)가 상기 제2지지부(44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4연장부(732)가 상기 제1하우징(100)의 외측방향으로 밀리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조립 및 내부구조를 강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440)의 하면에는 수용홈(44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441)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면에 의해 탄성절곡되어 상기 제1하우징(100)에 접하게 되는 상기 접지부(733)가 수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접지부(733)는 용이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고, 진동과 같은 외부의 힘이 전달되어도 상기 접지부(733)가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저지된다.
여기서, 상기 접지부재(700)를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에 인서트 방식으로 고정 결합할 때, 상기 접지부재(700)를 절곡한 후 고정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접지부재(700)를 절곡하기 전 일자형상으로 하여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에 인서트방식으로 고정한 후 상기 접지부재(700)를 절곡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지부재(700)를 절곡한 후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을 조립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측정장치는, 상기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40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접지부재(700)가 상기 회로기판(300)과 상기 제1하우징(100)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회로기판(300)을 용이하게 접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부재(700)가 상기 지지홈(450)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430) 및 상기 제2지지부(44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접지부재(700)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저지되어 상기 제1하우징(100) 및 상기 제2하우징(400)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2연장부(712)까지의 거리(D1)가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300)의 상면까지의 거리(D2)와 같거나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712)가 상기 회로기판(300)의 상면에 확실하게 접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접지부(733)까지의 거리(D3)가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면까지 거리(D4)와 같거나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접지부(733)가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면에 확실하게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제1하우징, 110: 포트부, 111: 흡입공, 120: 받침대, 130: 외측벽, 140: 체결부
200: 검출소자,
300: 회로기판,
400: 제2하우징, 410: 안착공, 420: 체결홈, 430: 제1지지부, 440: 제2지지부, 441: 수용홈, 450: 지지홈
500: 터미널
600: 탄성부재
700: 접지부재, 710: 제1절곡부, 711: 제1연장부, 712: 제2연장부, 720: 연결부, 730: 제2절곡부, 731: 제3연장부, 732: 제4연장부, 733: 접지부

Claims (10)

  1.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공이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공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검출소자;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검출소자와 연결된 회로기판;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검출소자 및 회로기판을 은폐시키는 제2하우징;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제1하우징에 접지시키는 접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접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접하는 제1절곡부;
    일단은 상기 제1절곡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방향으로 돌출된 연결부;
    일단은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접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는,
    일단이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방향으로 돌출된 제1연장부;
    일단이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절곡부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제3연장부;
    일단이 상기 제3연장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방향으로 절곡된 제4연장부;
    상기 제4연장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하우징에 접하는 접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절곡부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제3연장부;
    일단이 상기 제3연장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방향으로 절곡된 제4연장부;
    상기 제4연장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하우징에 접하는 접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연장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4연장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접지부재가 배치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인서트 방식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2연장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2연장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까지의 거리보다 길고,
    조립시 상기 회로기판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접지부재는 탄성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접지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접지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까지의 거리보다 길되,
    상기 접지부재의 압축시 상기 접지부는 탄성절곡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4연장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의 하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조립시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절곡된 상기 접지부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KR1020140075929A 2014-06-20 2014-06-20 압력측정장치 KR101593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929A KR101593075B1 (ko) 2014-06-20 2014-06-20 압력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929A KR101593075B1 (ko) 2014-06-20 2014-06-20 압력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070A true KR20150146070A (ko) 2015-12-31
KR101593075B1 KR101593075B1 (ko) 2016-02-12

Family

ID=55128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929A KR101593075B1 (ko) 2014-06-20 2014-06-20 압력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0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718A (ja) * 2000-11-30 2002-06-14 Nagano Keiki Co Ltd 圧力センサ
KR20050014871A (ko) * 2002-06-22 2005-02-0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실리콘 막과 납땜층을 포함하는 고압 센서
JP2007040749A (ja) * 2005-08-01 2007-02-15 Denso Corp 圧力検出装置
KR101395850B1 (ko) * 2013-10-01 2014-05-16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압력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718A (ja) * 2000-11-30 2002-06-14 Nagano Keiki Co Ltd 圧力センサ
KR20050014871A (ko) * 2002-06-22 2005-02-0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실리콘 막과 납땜층을 포함하는 고압 센서
JP2007040749A (ja) * 2005-08-01 2007-02-15 Denso Corp 圧力検出装置
KR101395850B1 (ko) * 2013-10-01 2014-05-16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압력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075B1 (ko) 2016-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850B1 (ko) 압력 측정 장치
US9310229B2 (en)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nsor system
CN110763392A (zh) 物理量测定传感器以及传感器模块
KR20160133227A (ko) 차량용 압력센서
KR101593093B1 (ko) 압력측정장치
KR101593091B1 (ko) 압력측정장치
KR101593075B1 (ko) 압력측정장치
JP6054243B2 (ja) ガスセンサ
JP6770744B2 (ja) 振動センサ
KR101395851B1 (ko) 플랜지의 구조
JP6865223B2 (ja) 圧力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24620B1 (ko) 센서모듈 및 센서모듈의 조립방법
KR20150131439A (ko) 압력측정장치
KR101693024B1 (ko) 센서용 신호전달 조립체
JP6608334B2 (ja) 物理量測定装置
KR101538225B1 (ko) 압력 측정 장치
KR20170119789A (ko) Pcb 고정식 센서모듈
US11125639B2 (en)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of a fluid and method for producing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of a fluid
KR102408569B1 (ko) 압력 센서 유닛
KR102434356B1 (ko) 압력 센서 유닛
KR101889309B1 (ko) 압력 및 온도 측정을 위한 일체형 센서
KR102434354B1 (ko) 압력 센서 유닛
KR20230057644A (ko) 압력 센서 유닛
CN107991005B (zh) 压力传感器
JP5516346B2 (ja) セン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