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091B1 - 압력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091B1
KR101593091B1 KR1020140075928A KR20140075928A KR101593091B1 KR 101593091 B1 KR101593091 B1 KR 101593091B1 KR 1020140075928 A KR1020140075928 A KR 1020140075928A KR 20140075928 A KR20140075928 A KR 20140075928A KR 101593091 B1 KR101593091 B1 KR 101593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ircuit board
extending portion
grounding member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6069A (ko
Inventor
김치연
박진규
윤종운
이슬기
전성호
한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40075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091B1/ko
Publication of KR20150146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09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압력측정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공이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제1지지부로 이루어진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공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검출소자,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검출소자와 연결된 회로기판,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검출소자 및 회로기판을 은폐시키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접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접지부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제1하우징을 연결한다.

Description

압력측정장치{DEVICE FOR MEASURING PRESSURE}
본 발명은 압력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압력측정장치 즉 압력센서는 각종 압력을 측정하는 데 이용되는 측정기구의 일종이다.
압력센서는 자동차, 화학설비, 반도체 제조설비 등에서,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 또는 밸브측에 설치되어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데 주로 많이 이용되며, 예컨대 자동차의 매니폴드 압력, 엔진 유압,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가스 또는 공기의 압력, 소음기 내의 배기가스 압력, 그외 기타 일반 산업용 압력계 등에 저압에서 고압에 이르기까지 넓은 압력 범위를 고정밀도로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압력센서는 유체가 유입되는 압력도입구 및 압력도입구에 근접하여 설치된 압력소자로 구성되고, 압력소자는 반도체칩 또는 스트레인게이지 등과 같이 다양한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487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7066호 등에 다양한 구조의 압력측정장치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압력측정장치는 고압센서 또는 압력센서라고도 불리우며,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검출소자와, 이러한 상기 검출소자에서 발생된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터미널과, 상기 검출소자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검출소자와 연결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을 접지시키는 접지부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종래의 압력측정장치는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접지부재 및 상기 하우징 간의 구조가 복잡하였다.
이로 인해 상기 회로기판과 접지부재 및 하우징 간의 조립이 어려웠고, 외부의 힘에 의해 상기 압력측정장치에 충격이 발생되면 상기 접지부재와 상기 회로기판의 상호 접하는 부분이 서로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 및 내부구조를 강건하게 하고, 압력측정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압력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압력측정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공이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제1지지부로 이루어진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공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검출소자,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검출소자와 연결된 회로기판,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검출소자 및 회로기판을 은폐시키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접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접지부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제1하우징을 연결한다.
상기 접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일단이 상기 결합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지지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제1지지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 타단과 상기 제2연장부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접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인서트 방식으로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길다.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까지의 거리보다 길고, 조립시 상기 회로기판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접지부재는 탄성압축된다.
상기 접지부재의 압축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1지지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지지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는 하방향으로 제2지지부가 돌출형성되되, 조립에 의한 상기 접지부재의 압축시,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은 상기 제2지지부에 접하여 일측방향으로 이동이 지지되고, 상기 제2연장부의 타단에 연결된 상기 절곡부는 타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지지부에 접한다.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과 상기 제2연장부의 타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과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연장부 일단의 높이는 상기 절곡부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지지부의 하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가압에 의해 탄성압축된 상기 제2연장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외부기기를 연결하는 터미널,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받침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터미널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에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터미널의 일단에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접지부재가 상기 제1지지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제1하우징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회로기판을 용이하게 접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에 접하고,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기 절곡부가 상기 제1지지부에 접함으로써, 상기 압력측정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면적의 상기 회로기판을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인서트 방식으로 고정 결합됨으로써, 상기 접지부재가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제2연장부의 타단을 가압하여 접할때, 상기 제2연장부의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확실하게 접할 수 있다.
상기 접지부재의 압축시, 상기 절곡부가 상기 제1하우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절곡부가 상기 제1지지부에 용이하게 접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의해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이 압축되면,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이 상기 제2지지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2연장부가 일측방향으로 밀리는것을 용이하게 저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절곡부가 상기 제1지지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지지부에 확실하게 접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과 상기 제2연장부의 타단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과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제1연장부 또는 상기 제2연장부가 압축되면서 상기 절곡부가 상기 제1연장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가 상기 제1지지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지지부에 확실하게 접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 일단의 높이가 상기 절곡부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용이하게 접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의해 탄성압축된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이 상기 제2지지부의 하면에 형성된 수용홈에 수용됨으로써, 진동과 같은 외부의 힘이 전달되어도 상기 제2연장부가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저지된다.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스페이서에 형성된 삽입공에 의해 터미널이 회로기판을 관통한 후 파손됨이 없이 안전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C부분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D부분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절곡부의 절곡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C부분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력측정장치는 제1하우징(100)과, 검출소자(200)와, 회로기판(300)과, 제2하우징(400)과, 터미널(500)과, 탄성부재(600)와, 접지부재(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10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공(111)이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상단에는 다수개의 체결부(140)가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하우징(100)은 포트부(110)와, 받침대(120)와, 제1지지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트부(110)는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흡입공(111)이 형성되고, 유체가 유동하는 관 등에 장착되어, 상기 관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 예를 들어 공기 등이 상기 흡입공(111)을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받침대(120)의 중심부에는 상기 포트부(110)의 상부가 배치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포트부(110)와 상기 받침대(120)는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별개로 제작되어 용접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포트부(110)와 상기 받침대(120)는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포트부(110)와 상기 받침대(120)가 상호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부둘레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130)의 상부에는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40)가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제2하우징(4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으로부터 회전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상부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400) 방향으로 절곡된다.
상기 검출소자(200)는 상기 제1하우징(100),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포트부(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공(111)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압력을 검출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검출소자(200)는 상기 흡입공(111)의 상부에 접하도록 한다.
상기 회로기판(300)은 상기 받침대(120)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검출소자(200)와 와이어 본딩 등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300)은 상기 받침대(120)의 상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검출소자(200)의 상부에는 겔(GELL) 등을 도포하여 상기 검출소자(2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하우징(400)은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된 상기 검출소자(200) 및 상기 회로기판(300)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시키는 것으로서, 하부가 상기 제1지지부(130)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받침대(120)의 상면에 접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400)에는 체결홈(42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4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14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체결부(140)가 절곡되어 삽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홈(4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400)의 외주면에서 상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개방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체결부(140)가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홈(42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하우징(4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상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강력하게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 사이에 상기 검출소자(200) 및 상기 회로기판(300)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장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하우징(4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에 결합될 때,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부가 상기 제1지지부(130)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하우징(400)이 상기 제1하우징(100)과 결합될 때,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부가 상기 제1지지부(1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1하우징(100)과 용이하게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5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ㄴ'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하우징(400)의 내부에 내장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터미널(500)은 3개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부방향으로 배치된 면에는 상기 회로기판(300) 방향으로 안착공(4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공(410)의 상부에는 상기 터미널(500)의 일단이 장착되고, 상기 안착공(410)의 하부에는 상기 회로기판(300)이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600)는 상기 안착공(410)에 삽입되어, 상부가 상기 터미널(500)의 일단에 접하고 하부가 상기 회로기판(300)에 접하여, 상기 회로기판(300)과 상기 터미널(500)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600)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3개의 안착공(410)에 각각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600)는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압축된 상태에 놓여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부재(600)의 길이는 상기 안착공(410)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이 상호 접하기 전에 상기 탄성부재(600)가 상기 안착공(410)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터미널(500)의 일단과 상기 회로기판(300)에 접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600)가 상기 안착공(410)에 압축된 상태로 장착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600)가 상기 회로기판(300)과 상기 터미널(500)을 항상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300)의 전기신호는 상기 탄성부재(600)와 상기 터미널(500)을 통해 상기 터미널(500)의 타단에 연결된 외부기기(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재(7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회로기판(300)을 외부의 섀시(CHASSIS) 등에 접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지부재(700)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130)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300)과 상기 제1하우징(100)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접지부재(700)는 상기 제1지지부(130)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300)과 상기 제1하우징(100)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회로기판(300)을 용이하게 접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지부재(7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D부분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부재(700)는 결합부(710)와, 제1연장부(720)와, 제2연장부(730)와, 절곡부(7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710)는 일단이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1연장부(720)는 일단이 상기 결합부(71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지지부(130)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연장부(730)는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300)의 상면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제1지지부(130)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장부(720) 상기 제2연장부(73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장부(720)의 타단과 상기 제2연장부(730)의 타단사이의 거리(D3)는 상기 제1연장부(720)의 일단과 상기 제2연장부(730)의 일단 사이의 거리(D1)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연장부(730)의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300)에 의해 가압될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연장부(720) 또는 상기 제2연장부(730)가 압축되면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740)가 상기 제1지지부(1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절곡부(740)는 상기 제1연장부(720)의 타단과 상기 제2연장부(730)의 타단을 상호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제2연장부(730) 일단의 높이는 상기 절곡부(740)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연장부(730)는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됨으로써, 상기 제2연장부(730) 일단과 상기 제2연장부(730)의 일단에 접하는 상기 회로기판(300)의 상면이 정확하게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740)는 상기 제1연장부(720)와 상기 제2연장부(730)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1지지부(130) 내측면에서 상기 회로기판(300)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740)가 상기 제1하우징(100)의 바닥면이 아닌 상기 회로기판(300) 상면보다 높은 내측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압력측정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면적의 상기 회로기판(300)을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710)는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에 인서트 방식으로 고정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결합부(710)가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접지부재(700)가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지부재(700)를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에 인서트 방식으로 고정 결합할 때, 상기 접지부재(700)를 절곡한 후 고정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접지부재(700)를 절곡하기 전 일자형상으로 하여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에 인서트방식으로 고정한 후 상기 접지부재(700)를 절곡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지부재(700)를 절곡한 후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을 조립한다.
여기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부재(700)는 상기 제1연장부(72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연장부(730) 일단까지의 거리(D1)가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300) 상면까지의 거리(D2)와 같거나 길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접지부재(700)는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의 조립전 상기 접지부재(700)가 압축되지 않은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1연장부(72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연장부(730) 일단까지의 거리(D1)가 도 6의 (b)에 도시된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의 조립상태에서의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300) 상면까지의 거리(D2)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의 조립시, 상기 제1연장부(720)의 일단은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에 의해 탄성압축되고, 상기 제2연장부(730)의 일단은 상기 회로기판(300)에 의해 탄성압축된다.
이로 인해, 상기 회로기판(300)의 상면이 상기 제2연장부(730)의 일단을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고, 상기 제2연장부(730)의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300)의 상면에 확실하게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에는 상기 접지부재(700)가 압축되면 상기 제2연장부(730)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43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부(430)는 상기 접지부재(700)의 압축시, 상기 제2연장부(730)의 일단이 접하여 상기 제2연장부(730)가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접지부재(700)의 압축시, 상기 제1연장부(720)의 일단이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연장부(730)의 일단이 상기 제2지지부(43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1연장부(720)의 일단과 제2연장부(730)의 일단이 일단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저지된다.
즉, 상기 제1연장부(720) 일단 및 상기 제2연장부(730) 일단의 고정됨에 의해 상기 제1연장부(720)의 타단과 상기 제2연장부(730)의 타단에 상호 연결된 상기 절곡부(740)가 상기 제1지지부(13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지지부(130)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조립 및 내부구조를 강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430)의 하면에는 수용홈(43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431)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300)의 상면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2지지부(430)에 접하게 되는 상기 제2연장부(730)의 일단이 수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연장부(730)는 용이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고, 진동과 같은 외부의 힘이 전달되어도 상기 제2연장부(730)가 상기 회로기판(300)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저지된다.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미널과 회로기판 및 스페이서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장치는 제1하우징(100)과, 검출소자(200)와, 회로기판(300)과, 제2하우징(400)과, 터미널(500)과, 접지부재(도시하지?않음)와, 스페이서(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상기 스페이서(800)에 대해서 설명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8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받침대(120)의 상면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회로기판(300)은 상기 스페이서(80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검출소자(200)와 와이어 본딩 등을 통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페이서(800)는 상기 받침대(12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회로기판(300)은 상기 스페이서(800)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스페이서(800)는 상기 회로기판(300)과 제1하우징(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30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터미널(5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하우징(400)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터미널(500)은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회로기판(300)의 전기신호를 상기 외부기기에 전달한다.
상기 터미널(500)은 일단이 상기 제2하우징(40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로기판(300)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로기판(300)에는 상기 터미널(500)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공(310)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800)에는 상기 관통공(310)을 관통한 상기 터미널(500)의 일단에 삽입되는 삽입공(810)이 형성된다.
위와 같은 상기 터미널(500)이 상기 회로기판(300)에 고정 결합되면, 상기 검출소자(200)에서 발생된 신호는 상기 회로기판(300) 및 터미널(500)을 통해 외부기기로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300)이 상기 스페이서(80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800)의 높이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스페이서(800)에 형성된 삽입공(810)에 의해 상기 터미널(500)이 상기 회로기판(300)을 관통한 후 파손됨이 없이 안전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력측정장치는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40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접지부재(700)가 상기 제1지지부(13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회로기판(300)과 상기 제1하우징(100)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회로기판(300)을 용이하게 접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72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연장부(730)의 일단까지의 거리(D1)는 상기 제2하우징(4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300)의 상면까지의 거리(D2)와 같거나 길게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300)이 상기 제2연장부(730)의 타단을 가압하여 접함으로써, 상기 제2연장부(730)의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300)의 상면에 확실하게 접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연장부(730)의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300)에 접하고, 상기 제1연장부(720)와 상기 제2연장부(730)를 상호 연결하는 상기 절곡부(740)가 상기 제1지지부(130)에 접함으로써, 상기 압력측정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면적의 상기 회로기판(300)을 장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300)이 상기 스페이서(80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800)의 높이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스페이서(800)에 형성된 삽입공(810)에 의해 터미널(500)이 회로기판(300)을 관통한 후 파손됨이 없이 안전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제1하우징, 110: 포트부, 111: 흡입공, 120: 받침대, 130: 제1지지부, 140: 체결부
200: 검출소자
300: 회로기판, 310: 관통공
400: 제2하우징, 410: 안착공, 420: 체결홈, 430: 제2지지부, 431: 수용홈
500: 터미널
600: 탄성부재
700: 접지부재, 710: 결합부, 720: 제1연장부, 730: 제2연장부, 740: 절곡부
800: 스페이서, 810: 삽입공

Claims (12)

  1.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공이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제1지지부로 이루어진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공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검출소자;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검출소자와 연결된 회로기판;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검출소자 및 회로기판을 은폐시키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접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접지부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제1하우징을 연결하고,
    상기 접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일단이 상기 결합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지지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제1지지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 타단과 상기 제2연장부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접하되,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인서트 방식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까지의 거리보다 길고,
    조립시 상기 회로기판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접지부재는 탄성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의 압축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1지지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지지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는 하방향으로 제2지지부가 돌출형성되되,
    조립에 의한 상기 접지부재의 압축시,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은 상기 제2지지부에 접하여 일측방향으로 이동이 지지되고,
    상기 제2연장부의 타단에 연결된 상기 절곡부는 타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지지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과 상기 제2연장부의 타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과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 일단의 높이는 상기 절곡부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의 하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가압에 의해 탄성압축된 상기 제2연장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1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외부기기를 연결하는 터미널;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받침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터미널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에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터미널의 일단에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장치.

KR1020140075928A 2014-06-20 2014-06-20 압력측정장치 KR101593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928A KR101593091B1 (ko) 2014-06-20 2014-06-20 압력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928A KR101593091B1 (ko) 2014-06-20 2014-06-20 압력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069A KR20150146069A (ko) 2015-12-31
KR101593091B1 true KR101593091B1 (ko) 2016-02-12

Family

ID=5512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928A KR101593091B1 (ko) 2014-06-20 2014-06-20 압력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0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2282A (zh) * 2021-11-18 2022-03-04 上海索迪龙自动化有限公司 一种用于接近传感器的接地件及接近传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718A (ja) * 2000-11-30 2002-06-14 Nagano Keiki Co Ltd 圧力センサ
JP2007040749A (ja) * 2005-08-01 2007-02-15 Denso Corp 圧力検出装置
KR101395850B1 (ko) 2013-10-01 2014-05-16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압력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718A (ja) * 2000-11-30 2002-06-14 Nagano Keiki Co Ltd 圧力センサ
JP2007040749A (ja) * 2005-08-01 2007-02-15 Denso Corp 圧力検出装置
KR101395850B1 (ko) 2013-10-01 2014-05-16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압력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069A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850B1 (ko) 압력 측정 장치
US9310229B2 (en)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nsor system
US8733182B2 (en) Force sensor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a force sensor assembly
RU2676171C2 (ru) Штекерный узел
KR101600089B1 (ko) 수직형 압력 센서
KR20050018590A (ko) 압력 센서
CN102004014A (zh) 压力传感器
US8302484B2 (en) Pressure sensor system
KR101593093B1 (ko) 압력측정장치
KR101593091B1 (ko) 압력측정장치
US10041845B2 (en) Force sensor device
JP6054243B2 (ja) ガスセンサ
KR101593075B1 (ko) 압력측정장치
KR20220157984A (ko) 압력 센서를 구비한 유체 커넥터
JP6770744B2 (ja) 振動センサ
KR102597323B1 (ko) 압력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5851B1 (ko) 플랜지의 구조
KR101824620B1 (ko) 센서모듈 및 센서모듈의 조립방법
KR20150131439A (ko) 압력측정장치
KR101693024B1 (ko) 센서용 신호전달 조립체
KR101538225B1 (ko) 압력 측정 장치
US11125639B2 (en)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of a fluid and method for producing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of a fluid
KR102408569B1 (ko) 압력 센서 유닛
KR101889309B1 (ko) 압력 및 온도 측정을 위한 일체형 센서
KR20230057644A (ko) 압력 센서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