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676A - 자동 인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인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676A
KR20150144676A KR1020140133158A KR20140133158A KR20150144676A KR 20150144676 A KR20150144676 A KR 20150144676A KR 1020140133158 A KR1020140133158 A KR 1020140133158A KR 20140133158 A KR20140133158 A KR 20140133158A KR 20150144676 A KR20150144676 A KR 20150144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brightness
sensor
illumination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욱
이동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50144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화장실 입구, 화장실 내부, 피난 유도등, 가로등, 휴지 공급 장치 및 쓰레기통 중 하나 이상의 장소 또는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들이 각각 수집한 수집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부가 입력 받은 수집 정보를 토대로 장소 또는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통합 제어부 그리고 통합 제어부가 생성한 제어 신호를 토대로 장소 또는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출력부를 구비하여, 자동 인지 시스템이 조명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동 인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elf-recognition}
본 발명은 자동 인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조명은 하나의 재실 센서로 전체 조명을 온/오프(ON/OFF)하며, 조명이 설치된 환경의 외부 밝기에 상관없이 일정한 빛의 밝기를 낸다. 하지만, 이러한 조명은 전력소모가 많아 경제성이 낮은 단점을 갖는다.
또한 하나의 재실 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화장실에서 용무를 보는 중인데도 불구하고 조명이 꺼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일반적인 화장실은 화장실의 사용 여부를 문에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화장실 내부로 들어가서 사용 여부를 알려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 화장실은 화장지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화장실 사용자나 관리자가 직접 화장실 내부로 들어가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영화관의 바닥 유도등, 가로등, 자전거 LED 라이트는 외부의 밝기에 상관없이 일정한 빛의 밝기를 내는 조명을 이용하고 있어 전력 소모가 많아 경제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으로 화장실 사용 유무 등을 알려주거나 조명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인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조명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인지 시스템은,
화장실 입구, 화장실 내부, 피난 유도등, 휴지 공급 장치 및 쓰레기통 중 하나 이상의 장소 또는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들이 각각 수집한 수집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가 입력 받은 수집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장소 또는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통합 제어부; 및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생성한 제어 신호를 토대로 상기 장소 또는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자동 인지 시스템이 조명의 밝기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인지 방법은,
자동 인지 시스템이 화장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재실 센서가 수집한 화장실 내부의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화장실 내부의 거리 정보를 토대로, 화장실 내부의 거리가 미리 설정한 기준 값에 의한 거리보다 먼지 판단하는 단계; 화장실 내부의 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한 기준 값에 의한 거리보다 멀면 상기 화장실 내부에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화장실 문 또는 천장에 설치된 재실 조명을 사용자가 없음을 나타내는 제1 조명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화장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하는 단계; 및 화장실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 전광판을 제어하여 해당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도록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화장실 사용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화장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지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재실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전광판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출입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제공 및 유무 판단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에 사용되는 센서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조명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지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장실에 자동 인지 시스템을 설치하여 인지하는 방법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며, 화장실이 아닌 이외의 장소에도 동일한 시스템을 설치하여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지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인지 시스템(100)은 입력부(110), 통합 제어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입구 재실 감지부(111), 내부 재실 감지부(112), 조도 감지부(113), 화장지 유무 감지부(114) 및 쓰레기 유무 감지부(115)를 포함한다. 통합 제어부(120)는 제어부(121)와 통신부(122)를 포함하며, 출력부(130)는 복도 조명부(131), 재실 조명부(132), 내부 조명부(133) 및 표시부(134)를 포함한다.
화장실 입구, 화장실 내부, 피난 유도등, 가로등, 휴지 공급 장치 및 쓰레기통 등 다양한 장치들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센서들이 수집한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하는 입력부(110)의 입구 재실 감지부(111)는 화장실 입구에 설치되며, 화장실의 조명이 온/오프(On/Off) 되도록 하기 위하여 화장실 사용자의 진입/진출을 감지하여, 통합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입구 재실 감지부(111)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 등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센서로 한정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입구 재실 감지부(111)는 두 개의 센서로 구현되며, 이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재실 센서와 제2 재실 센서라 지칭한다.
내부 재실 감지부(112)는 화장실 천장 또는 내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부(112)가 설치된다. 내부 재실 감지부(112)가 감지한 감지 정보를 감지부(112)의 식별 정보와 함께 통합 제어부(120)의 제어부(121)로 전달하여, 내부 재실 감지부(112)가 감지한 화장실 내부의 이용자 유무에 따라 조명의 화장실 문과 화장실 입구에 설치된 현황판의 조명을 제1 색 또는 제2 색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감지부(112)는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부여되어 있으며, 이는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화장실 내부의 조명 밝기도 밝게 조절하거나 어둡게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대해 이후 설명한다.
조도 감지부(113)는 자동 인지 시스템(100)이 설치된 환경의 조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한 조도 값인 밝기 정보를 통합 제어부(120)의 제어부(121)로 전달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동 인지 시스템(100)이 화장실 주변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므로 조도 값도 화장실 주변이 될 수 있으나, 피난 유도등이 설치되어 있는 모든 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
화장지 유무 감지부(114)는 화장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휴지 공급기(도면 미도시)에 설치되며, 휴지 공급기 주변에서 인체 감지 센서가 인체를 감지하면 화장지 사용 여부 센서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제어부(121)로 감지 정보를 전달한다. 그리고 화장지 사용 여부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화장지를 사용한 것을 감지하면 모터가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화장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감지 정보를 통합 제어부(120)의 제어부(121)로 전달한다. 또한, 남은 휴지의 양을 감지하고, 휴지가 없을 경우 통신부(122)를 통해 화장실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휴지가 떨어졌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쓰레기 유무 감지부(115)는 화장실 내부에 비치되어 있는 휴지통(도면 미도시)에 설치되며, 휴지통에 차 있는 쓰레기의 높낮이를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통합 제어부(120)의 제어부(121)로 전달하고, 통신부(122)를 통해 화장실 관리자에게 휴지통이 가득 차 있음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입력부(110)가 입력 받은 수집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장소 또는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통합 제어부(120)의 제어부(121)는 화장실 내부의 조명, 재실 조명, 복도 조명 등을 조절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내부 재실 감지부(112)가 화장실 내부에 사용자가 있음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121)는 화장실 내부 조명의 밝기를 밝게 하고, 화장실 입구 한쪽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 전광판의 색깔을 제1 색에서 제2 색으로 변경하여 외부에서도 화장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사용자에 의해 점유된 또는 점유되지 않은 화장실이 어디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21)는 두 개의 입구 재실 감지부(11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토대로 사용자가 화장실로 들어오는지, 화장실로부터 밖으로 나갔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는 두 개의 입구 재실 감지부(111)중 화장실 외부에 가까이 설치된 제1 감지부와 화장실 내부에 가까이 설치된 제2 감지부 중 어느 감지부가 먼저 사용자를 감지하였는지 확인하여, 제1 감지부에서 사용자를 먼저 감지하면 사용자가 화장실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의미하고, 제2 감지부에서 사용자를 먼저 감지하면 사용자가 화장실 밖으로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121)는 화장지 유무 감지부(114)가 감지한 신호 또는 쓰레기 유무 감지부(115)가 감지한 신호를 토대로, 화장실 내에 화장지가 있는지, 사용자에 의해 화장지가 사용되었는지, 쓰레기통이 가득 차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화장지가 없거나 쓰레기통이 가득 찬 것으로 확인하면, 통신부(122)를 통해 원격에 있는 화장실 관리자의 단말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21)는 화장실 사용자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카운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21)가 카운트 기능도 수행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별도의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1)는 화장지 공급 장치 내에 설치되어 있는 축 모터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축 모터가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화장지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축 모터를 제어하는 방법은 여러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통신부(122)는 제어부(121)에서 판단한 결과 원격에 있는 화장실 관리자의 단말(도면 미도시)로 정보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하면, 화장실 관리자의 단말로 화장지가 없음을 알리는 신호 또는 휴지통이 가득 찼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통합 제어부(120)가 생성한 제어 신호를 토대로 자동 인지 시스템(100)이 설치된 장소 또는 장치의 조명 밝기를 제어하는 출력부(130)의 복도 조명부(131)는 제어부(121)의 제어에 따라 입구 재실 감지부(111)가 감지한 화장실 복도의 조명을 밝게 하거나 아니면 반대로 낮춘다.
재실 조명부(132)는 제어부(121)의 제어에 따라 화장실 내부에 사용자 유무에 따라, 화장실 문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 이용 가능 재실 조명의 색을 제1 색 또는 제2 색 중 어느 하나로 발광하도록 한다.
내부 조명부(133)는 제어부(121)의 제어에 따라 화장실 내부의 조명을 사용자가 있을 경우에는 밝게, 반대로 사용자가 없을 경우에는 조명을 어둡게 조절한다. 또한, 내부 조명부(133)는 화장실 내부의 조명 밝기뿐만 아니라 피난 유도등과 같이 자동 인지 시스템(100)에 의해 조명 밝기를 제어 받는 다른 구성 요소의 조명 밝기도 조절할 수 있다.
표시부(134)는 제어부(121)의 제어에 따라 화장실 내부에 사용자의 유무에 따라 화장실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 전광판에 사용 가능한 화장실 번호를 표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동 인지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화장실 조명을 제어하거나, 화장실 재실을 표시하거나, 화장지 유무 또는 휴지통을 원격에서 관리하거나, 피난 유도등의 조명을 제어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하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자동 인지 시스템(100)이 화장실에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화장실 조명과 화장실 재실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인지 시스템(100)의 내부 재실 감지부(112)가 동작하여(S100), 화장실 내부에 화장실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내부 재실 감지부(112)는 화장실 천장 또는 화장실 내벽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내부 재실 감지부(112)가 화장실 내부의 밝기를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를 통합 제어부(120)의 제어부(121)로 전달하면, 제어부(121)는 내부 재실 감지부(112)가 감지한 화장실 내부의 밝기 정보를 토대로 화장실 내부에 사용자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한다(S110). 즉, 내부 재실 센서가 감지한 센서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한 기준 값 보다 가까운지 혹은 먼지 확인한다.
만약 감지한 거리가 미리 설정한 기준 값 보다 먼 경우, 즉, 사용자가 화장실 내부에 없을 경우, 제어부(121)는 제1 조명이 동작하도록 내부 조명부(133)와 재실 조명부(132)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S120, S130). 이를 통해 화장실 문 또는 천장에 설치된 조명은 제1 조명으로 발광하고, 화장실 내부의 조명 밝기는 어두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S130 단계의 절차 후에, 제어부(121)는 표시부(134)로 화장실 상태 정보를 전달하여, 화장실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 전광판에 어떤 화장실이 비어 있는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S140).
반대로 내부 재실 감지부(112)가 감지한 거리가 미리 설정한 기준 값 보다 가까운 경우, 즉, 사용자가 화장실 내부에 있을 경우, 제어부(121)는 제2 조명이 동작하도록 내부 조명부(133)와 재실 조명부(132)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S150, S160). 이를 통해 화장실 문 또는 천장에 설치된 조명은 제2 조명으로 발광하고, 화장실 내부의 조명 밝기가 밝아지도록 한다. S160 단계의 절차 후에, 제어부(121)는 표시부(134)로 화장실 상태 정보를 전달하여, 화장실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 전광판에 어떤 화장실이 사용자에 의해 점유중인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재실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전광판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화장실을 사용한 후, 화장실로부터 이탈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10개의 화장실이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화장실 내부에 있을 경우에는, 내부 재실 감지부(112)가 거리를 감지하면, 미리 설정한 기준 값 보다 가까운 화장실 내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미리 설정한 기준 값은 화장실 내부에 아무도 없을 경우 내부 재실 감지부(112)가 감지하는 센서와 화장실 바닥 사이의 거리와, 화장실 내부에 사용자가 있을 경우 내부 재실 감지부(112)가 감지하는 센서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에 중간 정도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화장실 내부에 있어 화장실을 이용하는 경우, 내부 재실 감지부(112)가 거리를 감지하면 미리 설정한 기준 값 보다 짧게 감지한다. 따라서, 제어부(121)는 화장실 문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재실 조명이 제2 조명(200-2)으로 발광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조명(200-1)으로 파란색 조명을, 제2 조명(200-2)으로 붉은색 조명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사용자에 의해 색상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색이라면 어떠한 색도 반영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어부(121)는 도 3의 화장실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내부 조명(200-3)의 밝기가 밝아지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내부 조명부(133)로 전달한다.
한편,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을 끝마치고 나가는 경우, 내부 재실 감지부(112)는 센서와 화장실 바닥 사이의 거리를 미리 설정한 기준 값 보다 멀게 감지한다. 따라서, 제어부(121)는 화장실 문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재실 조명이 제1 조명(200-1)으로 발광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21)는 화장실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내부 조명(200-4)의 밝기가 어두워지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내부 조명부(133)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화장실 내부에 사용자의 유무에 따라 화장실 조명의 밝기와 재실 조명이 다른 색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화장실 내부로 직접 들어가지 않아도 되고, 다른 사용자의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일일이 노크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화장실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 전광판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화장실 입구에서도 비어있는 화장실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내부 재실 감지부(112)가 화장실 내부의 거리를 감지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21)가 화장실 칸칸마다 내부 조명과 재실 조명을 제어함과 동시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 전광판(400)에도 어떠한 화장실이 사용중인지 또는 비어있는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134)로 전달한다.
도 3의 ①번 화장실은 현재 비어 있는 상태로 재실 조명과 내부 조명이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 4의 화장실 전광판(400)에도 ①번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화장실 입구에서도 손쉽게 비어있는 화장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사용자가 화장실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하였는지, 화장실 내부에서 화장실 밖으로 이탈하였는지 인지하여, 상기 도 3에 나타낸 화장실 복도의 복도 조명(300)을 제어하는 제2 실시예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출입에 대한 예시도이다.
자동 인지 시스템(100)의 입구 재실 감지부(11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센서인 제1 재실 센서(500-1)와 제2 재실 센서(500-2)로 구성된다. 제1 재실 센서(500-1)는 화장실 출입문을 기준으로 출입문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재실 센서(500-2)는 화장실 출입문을 기준으로 출입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두 개의 재실 센서(500-1, 500-2)는 사용자가 화장실 이용을 위해 화장실 출입문으로 들어가거나, 화장실 밖으로 나갈 때마다 동작하여 사용자의 이동을 확인한다(S200). 두 개의 재실 센서(500-1, 500-2)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 등 다양한 센서로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121)는 S200 단계에서 인지한 제1 재실 센서(500-1)가 동작하였는지 확인한다(S210). 그리고 제1 재실 센서(500-1)가 동작하였다면 제2 재실 센서(500-2) 역시 동작하였는지 확인한다(S22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재실 센서(500-1)의 동작 여부와 제2 재실 센서(500-2)의 동작 여부를 순차적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그 순서가 반대로 확인할 수도 있고 동시에 확인할 수도 있다.
만약 제1 재실 센서(500-1)와 제2 재실 센서(500-2)가 모두 동작하였다면, 제어부(121)는 두 개의 센서 중 어떤 센서가 먼저 동작하였는지 확인한다(S230). 만약 제1 재실 센서(500-1)가 제2 재실 센서(500-2)보다 먼저 동작한 것으로 확인하면, 사용자가 화장실로 들어온 것으로 판단한다(S240). 그러면 제어부(121)는 제어부 내부에 관리하고 있는 카운트 숫자가 현재 0인지 확인한다(S241). 카운트 숫자가 0이라 함은 화장실 내부에 어떠한 사용자도 없음을 의미한다.
만약 카운트 숫자가 0이 아니라면, 제어부(121)는 카운트 숫자를 하나 증가시킨다(S242). 그러나 카운트 숫자가 0이라면, 제어부(121)에 저장되어 있는 카운트 숫자를 하나 증가시키고, 복도 조명부(131)로 조명의 상태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243).
한편, S230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제2 재실 센서(500-2)가 제1 재실 센서(500-1)보다 먼저 동작하였다면, 이는 사용자가 화장실에서 밖으로 나간 것으로 판단한다(S250). 따라서, 제어부(121)는 관리하고 있는 카운트 숫자를 하나 감소시킨다(S251). 이와 동시에, 제어부(121)는 카운트 숫자가 0인지 확인하고(S252), 만약 0이라면 복도 조명부(131)로 조명의 상태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253). 그러나 카운트 숫자가 0이 아니라면, 조명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지 않도록 놔둔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 인지 시스템(100)이 설치된 환경에서, 화장지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설명한다.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실 내부의 화장지 공급 장치에 화장지 유무센서(600)와 인체 감지 센서(7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화장지를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화장지 공급 장치 중앙에 축 모터(8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인체 감지 센서(700)와 화장지 유무센서(600)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센서들이 수집한 신호는 화장지 유무 감지부(114)로 전달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제공 및 유무 판단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장실 내부에서 화장지를 이용하기 위해 화장지 공급 장치로 신체 일부(예를 들어, 손)를 가져다 대면, 화장지 공급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인체 감지 센서(700)가 동작한다(S300). 그러면 화장지 유무 감지부(114)는 인체 감지 센서(700)가 수집한 신호를 제어부(121)로 전달하고, 제어부는 수신한 신호를 토대로 인체 감지 센서가 수집한 센서 값에 의한 화장지 공급 장치와 인체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한 기준 값에 의한 거리보다 짧은지 확인한다(S310).
만약 센서 값에 의한 거리가 설정 기준 값에 의한 거리보다 길면, S300 단계의 절차를 반복한다. 그러나, 만약 센서 값에 의한 거리가 설정 기준 값에 의한 거리보다 짧으면, 제어부(121)는 사용자가 화장지를 사용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동시에 화장지 유무 센서(600)가 동작하여 화장지 공급 장치에 화장지가 구비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320). 즉, 화장지 유무 센서(600)는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지 유무 센서(600)와 화장지 사이의 거리를 센싱하고, 그 거리가 미리 설정한 기준 값에 의한 거리보다 먼지 확인한다(S330). 이를 위해 미리 설정한 기준 값은 화장지가 비어있을 때 측정되는 거리보다 약간 짧게 설정하여, 관리자가 화장지를 새로 공급하기 위하여 화장실에 들리기 전 까지 어느 정도 사용자들에게 화장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화장지가 완전히 떨어진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만약 센서 값에 의한 거리가 설정 기준 값에 의한 거리보다 짧으면, 제어부(121)는 화장지 사용 여부 센서(750)가 동작하도록 하여 화장지 공급 장치 중 화장지가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화장지 절단용 톱니가 움직였는지 확인한다(S340, S350). 화장지 사용 화장지 절단용 톱니가 움직였다 함은, 사용자가 화장지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21)는 축 모터(800)가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화장지를 공급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S360).
그러나, S350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화장지 절단용 톱니가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면, 축 모터(800)가 동작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달하지 않고 화장지 사용 여부 센서(750)가 화장지 절단용 톱니의 움직임을 감지할 때까지 대기한다(S370).
한편, S330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센서 값에 의한 거리가 미리 설정한 기준 값에 의한 거리보다 멀면, 제어부(121)는 통신부(120)를 통해 화장실 관리자에게 새 화장지를 공급할 것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S380). 그리고 S340 단계 이후의 절차를 진행한다.
이에 대해 도 8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8의 (a)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장지가 가득 차 있는 경우, 화장지 유무 센서(600)가 센서와 화장지까지의 거리를 센싱하면 미리 설정한 기준 값에 의한 거리보다 짧게 측정된다. 반면, 도 8의 (b)와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장지가 비어 있는 경우에는, 화장지 유무 센서(600)가 센서와 화장지까지의 거리를 센싱하면 미리 설정한 기준 값에 의한 거리보다 길게 측정된다.
그리고 화장지 사용 센서(750)는 화장지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에 구비되어 있는 화장지 절단용 톱니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도록, 톱니의 한쪽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 인지 시스템(100)이 설치된 환경에서, 쓰레기통에 쓰레기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다. 이를 위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쓰레기통에 쓰레기 유무 센서(9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쓰레기 유무 센서(900)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 등을 이용하며, 쓰레기 유무 센서(900)가 수집한 신호는 자동 인지 시스템(100)의 쓰레기 유무 감지부(115)로 전송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에 사용되는 센서의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 유무 센서(900)가 동작하여 쓰레기까지의 높이를 측정하면(S400), 제어부(121)는 쓰레기 유무 센서(900)에 의해 수집된 센서와 쓰레기 사이의 높이와 미리 설정한 기준값에 의한 높이를 비교한다(S410). 만약 센서가 수집한 쓰레기까지의 높이가 미리 설정한 기준값에 의한 높이보다 높다면, 아직 쓰레기통이 쓰레기로 가득 차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여 S400 단계 절차를 지속한다.
그러나, 센서가 수집한 쓰레기까지의 높이가 미리 설정한 기준값에 의한 높이보다 낮다면, 쓰레기통이 쓰레기로 가득 차 있는 것으로 확인하여, 제어부(121)는 통신부(122)를 통해 원격에 있는 화장실 관리자에게 쓰레기통을 비울 것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전달한다(S420).
여기서 쓰레기 유무 센서(900)는 도 10의 (a)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쓰레기통 상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 10의 (c)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쓰레기통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9에서는 쓰레기 유무 센서(900)가 쓰레기통 상측면에 설치된 경우의 자동 인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10의 (c)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쓰레기 유무 센서(900)가 쓰레기통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쓰레기 유무 센서와 쓰레기 사이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거리를 측정하여 쓰레기통이 가득 차 있는지 또는 비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주변의 밝기를 반영하여 조명의 밝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도 11 및 도 12를 참조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외부 밝기에 상관없이 일정한 빛의 밝기를 내는 조명(예를 들어, 피난 유도등)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이에 따른 전력 소모가 많아 경제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자동 인지 시스템(100)을 통해 외부의 밝기를 반영하여 자동으로 조명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피난 유도등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피난 유도등 주변에 조도 센서가 설치되어 있어, 조도 센서가 수집한 주변 밝기 정보를 조도 감지부(113)가 수집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 유도등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조도 센서가 동작하면(S500), 피난 유도등 주변의 밝기 정보를 수집하여 조도 감지부(113)를 통해 제어부(121)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21)는 조도 센서가 수집한 피난 유도등 주변의 밝기가 미리 설정한 제1 기준 값 보다 밝은지 확인한다(S510).
만약 제1 기준 값 보다 어둡다면, 제어부(121)는 피난 유도등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의 밝기를 밝게 조절하도록 내부 조명부(133)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S520). 여기서 내부 조명부(133)는 화장실 내부의 조명 밝기뿐만 아니라 피난 유도등과 같이 자동 인지 시스템(100)에 의해 조명 밝기를 제어 받는 다른 구성 요소의 조명 밝기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S510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주변의 밝기가 제1 기준 값 보다 밝은 것으로 확인하면, 제어부(121)는 S500 단계에서 수집한 피난 유도등 주변의 밝기를 수치로 환산한 값이 제1 기준 값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 기준 값 사이의 값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530). 만약 피난 유도등 주변의 밝기가 제1 기준 값과 제2 기준 값 사이의 밝기를 보이면, 제어부(121)는 피난 유도등의 조명 밝기를 중간으로 조절하도록 내부 조명부(133)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540).
그리고, S530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주변의 밝기가 제1 기준 값과 제2 기준 값 사이가 아닌 것으로 확인하면, 제어부(121)는 주변의 밝기가 제2 기준 값 보다 밝은지 확인한다(S550). 만약 주변의 밝기가 제2 기준 값보다 밝은 것으로 확인하면, 제어부(121)는 내부 조명부(133)로 피난 유도등의 조명 밝기를 어둡게 조절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560). 그러나, S500 단계에서 수집한 피난 유도등의 주변 밝기가 기존의 밝기와 변함이 없으면, 현재 피난 유도등이 방출하는 조명 밝기를 조절하지 않고 S500 단계 이후의 절차를 재 실행한다.
여기서 제1 기준 값과 제2 기준 값은 임의로 설정된 값으로, 제1 기준 값은 일몰 후 어두운 정도를 값으로 나타낸 것으로 야간에 피난 유도등의 조명 밝기를 밝게 하기 위한 기준 정보로 사용된다. 그리고 제2 기준 값은 일출 후 밝은 정도를 값으로 나타낸 것으로, 대낮에 피난 유도등의 조명 밝기를 어둡게 하기 위한 기준 정보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기준 값과 제2 기준 값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설정하는 것을 예로 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비상구 조명에 대해 도 12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조명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낮에는 피난 유도등 주변이 밝기 때문에, 피난 유도등의 조명 밝기를 밝게 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피난 유도등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제어 시스템(100)은 피난 유도등 주변의 밝기를 센싱하고 이를 토대로 피난 유도등의 조명 밝기를 어둡게 하여 전력 소모를 낮춰준다.
반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밤이나 피난 유도등 주변에 사고가 발생(예를 들어, 연기 발생)하여 주변의 밝기가 어두운 경우, 사용자는 피난 유도등을 쉽게 식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자동 제어 시스템(100)은 피난 유도등 주변의 밝기를 센싱하고 이를 토대로 피난 유도등의 조명 밝기를 밝게 조절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피난 유도등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피난 유도등의 조명을 자동 제어 시스템(100)과 연동하여 조명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원리로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가로등의 조명 밝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피난 유도등의 조명은 자동 제어 시스템(100)과 연동하여 외부에서 인터넷 또는 이동 단말기에서 조명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 관리자 또는 자동 제어 시스템(100)이 설치된 건물의 관리자는 외부에서 원격으로 화장실 내 조명이나 피난 유도등 등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자동 제어 시스템(100)의 통신부(122)로부터 전송되는 자동 제어 시스템(100)이 수집한 정보들을 원격에 있는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하면, 관리자는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화장실 내 조명이나 피난 유도등 등의 조명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체 조명을 온(on) 하거나 오프(off)하도록 하고, 조명들의 밝기를 20% 밝기, 50% 밝기 또는 80% 밝기로 조명을 비추도록 제어하는 것을 예로 하여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장실 내 조명이나 피난 유도등 등의 조명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하는 것만을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어있는 화장실을 쉽게 확인 할 수 있어 화장실 이용에 편의를 줄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7)

  1. 조명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인지 시스템에 있어서,
    화장실 입구, 화장실 내부, 피난 유도등, 휴지 공급 장치 및 쓰레기통 중 하나 이상의 장소 또는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들이 각각 수집한 수집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가 입력 받은 수집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장소 또는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통합 제어부; 및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생성한 제어 신호를 토대로 상기 장소 또는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자동 인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화장실 입구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수집된 수집 정보를 감지하는 입구 재실 감지부;
    화장실 천장 또는 상기 화장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집된 수집 정보를 감지하는 내부 재실 감지부; 및
    상기 피난 유도등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가 수집한 상기 피난 유도등 주변의 밝기 정보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
    를 포함하는 자동 인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휴지 공급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가 수집한 센서와 휴지 사이의 높이 정보와 화장지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화장지 유무 감지부; 및
    상기 쓰레기통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가 수집한 쓰레기통 내부의 쓰레기와 센서 사이의 높이 정보를 수신하는 쓰레기 유무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자동 인지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화장실 내부의 조명 밝기를 조절하고, 재실 조명을 제어하고, 상기 피난 유도등의 조명 밝기를 조절하고, 상기 휴지 유무 또는 화장지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쓰레기통 내부의 쓰레기 여부를 판단하여 각각의 조명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생성한 제어 신호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가 휴지가 비어 있거나 쓰레기가 가득 차 있는 것으로 확인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자동 인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가 생성한 제어 신호를 토대로, 화장실 복도의 조명을 밝게 하거나 어둡게 조절하는 복도 조명부;
    상기 제어 신호를 토대로 화장실 문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재실 조명을 제1 조명 또는 제2 조명 중 어느 하나로 발광하도록 하는 재실 조명부;
    상기 제어 신호를 토대로, 화장실 내부의 조명을 조절하거나 피난 유도등 또는 가로등의 조명 밝기를 조절하는 내부 조명부; 및
    상기 제어 신호를 토대로 화장실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 전광판에, 사용 가능한 화장실 번호를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자동 인지 시스템.
  6. 자동 인지 시스템이 조명의 밝기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인지 방법에 있어서,
    자동 인지 시스템이 화장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재실 센서가 수집한 화장실 내부의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화장실 내부의 거리 정보를 토대로, 화장실 내부의 거리가 미리 설정한 기준 값에 의한 거리보다 먼지 판단하는 단계;
    화장실 내부의 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한 기준 값에 의한 거리보다 멀면 상기 화장실 내부에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화장실 문 또는 천장에 설치된 재실 조명을 사용자가 없음을 나타내는 제1 조명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화장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하는 단계; 및
    화장실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 전광판을 제어하여 해당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도록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인지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내부의 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한 기준 값에 의한 거리보다 가까우면 상기 화장실 내부에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재실 조명을 사용자가 있음을 나타내는 제2 조명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화장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의 밝기를 밝게 조절하는 단계; 및
    화장실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 전광판을 제어하여 해당 화장실을 사용할 수 없음을 나타내도록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인지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 센서가 화장실 입구에 제1 센서와 제2 센서로 설치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화장실로 들어가거나 화장실로부터 나올 경우 제1 센서와 제2 센서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상기 자동 인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제2 센서보다 먼저 동작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제2 센서보다 먼저 동작하였다면, 사용자가 화장실 외부에서 화장실로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고, 자동 인지 시스템의 제어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카운트 숫자가 0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카운트 숫자가 0이라면 화장실 내부에 아무도 없었음을 확인하고, 카운트를 하나 증가하고 화장실 복도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을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인지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숫자가 0이 아니라면 이미 화장실 내부에 적어도 한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었음을 확인하고, 카운트를 하나 증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인지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제1 센서보다 먼저 동작하였다면, 사용자가 화장실에서 화장실 외부로 나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에 저장되어 있는 카운트를 하나 감소하는 단계; 및
    상기 감소한 카운트의 숫자가 0인지 확인하고, 0이라면 상기 화장실 복도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을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인지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화장실 출입문을 기준으로 출입문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센서는 화장실 출입문을 기준으로 출입문 내부에 설치되는 자동 인지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인지 시스템이 휴지 공급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인체 감지 센서가 수집한 인체와 휴지 공급 장치 사이의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거리 정보가 미리 설정한 기준 값에 의한 거리보다 짧으면 휴지 공급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지 유무 센서가 수집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장지 유무 센서가 수집한 정보에 따른 화장지 유무 센서와 화장지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한 기준값에 의한 거리보다 짧은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장지 유무 센서와 화장지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한 기준값에 의한 거리보다 짧으면, 상기 휴지 공급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화장지 절단용 톱니의 움직임이 있는지 상기 화장지 절단용 톱니의 한쪽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지 사용 여부 센서가 수집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장지 사용 센서가 상기 화장지 절단용 톱니가 움직여 사용자에 의해 화장지가 사용된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휴지 공급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를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휴지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인지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지 유무 센서와 화장지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한 기준값에 의한 거리보다 길면, 관리자 단말로 화장지 공급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휴지 공급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화장지 절단용 톱니의 움직임이 있는지 상기 화장지 절단용 톱니의 한쪽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지 사용 여부 센서가 수집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인지 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인지 시스템이 휴지통에 설치되어 있는 쓰레기 유무 센서가 수집한 쓰레기와 쓰레기 유무 센서 사이의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쓰레기 유무 센서가 수집한 정보에 따른 쓰레기 유무 센서와 쓰레기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한 기준값에 의한 거리보다 짧은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쓰레기 유무 센서와 쓰레기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한 기준값에 의한 거리보다 짧으면, 관리자 단말로 쓰레기 비움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인지 방법.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인지 시스템이 피난 유도등 또는 가로등에 설치되어 있는 조도 센서로부터, 상기 조도 센서가 수집한 피난 유도등 또는 가로등 주변의 밝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피난 유도등 또는 가로등 주변의 밝기 정보가 미리 설정한 제1 기준 값에 의한 밝기보다 밝은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밝기 정보에 의해 상기 피난 유도등 또는 가로등 주변의 밝기가 상기 제1 기준 값에 의한 밝기보다 어두우면, 상기 피난 유도등 또는 가로등의 조명을 제1 밝기 수준으로 조절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인지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정보에 의해 상기 피난 유도등 또는 가로등 주변의 밝기가 상기 제1 기준 값에 의한 밝기보다 밝으면, 상기 밝기 정보가 상기 제1 기준 값과 미리 설정한 제2 기준 값에 의한 밝기 사이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피난 유도등 또는 가로등 주변의 밝기가 상기 제1 기준 값과 상기 제2 기준 값에 의한 밝기의 사이라면, 상기 피난 유도등 또는 가로등의 조명을 상기 제1 밝기 수준보다 어두운 제2 밝기 수준으로 조절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인지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정보에 의해 상기 피난 유도등 또는 가로등 주변의 밝기가 상기 제1 기준 값과 상기 제2 기준 값에 의한 밝기의 사이가 아니라면, 상기 피난 유도등 또는 가로등 주변의 밝기가 상기 제2 기준 값 보다 밝은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피난 유도등 또는 가로등 주변의 밝기가 상기 제2 기준 값에 의한 밝기보다 밝으면, 상기 피난 유도등 또는 가로등의 조명을 상기 제2 밝기 수준보다 어두운 제3 밝기 수준으로 조절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인지 방법.
KR1020140133158A 2014-06-17 2014-10-02 자동 인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446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792 2014-06-17
KR20140073792 2014-06-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676A true KR20150144676A (ko) 2015-12-28

Family

ID=5508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158A KR20150144676A (ko) 2014-06-17 2014-10-02 자동 인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46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9760A (zh) * 2018-02-12 2018-08-31 普天智能照明研究院有限公司 卫生洁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9760A (zh) * 2018-02-12 2018-08-31 普天智能照明研究院有限公司 卫生洁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7187B2 (ja) 光誘導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781652B1 (ko) 센서등 구동방법
JP2014060162A (ja) 照明装置
JP6290373B2 (ja) 不正変更対策の昼光採光システム
KR20110005899A (ko) 국지적 조명 기구 제어를 포함하는 영역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530377B1 (ko) 명순응 조명장치 제어 시스템
KR101286809B1 (ko) 지능형 사무실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733469B1 (ko)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US9839087B2 (en) Lighting system
KR100975480B1 (ko) 열선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
KR20150144676A (ko) 자동 인지 시스템 및 방법
KR200432159Y1 (ko) 센서등
KR102034351B1 (ko)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97664B1 (ko)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KR101673799B1 (ko) 지하주차장 다중 조명 시스템
KR101243649B1 (ko) 에너지절감기능을 구비한 조명컨트롤장치 및 방법
JP2005108703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208901B1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시스템
JP2013232307A (ja) 玄関用照明装置
JP5988198B2 (ja) 照明装置
KR102178508B1 (ko) 리모컨을 이용하여 밝기조절, 현재시각 읽기 및 감지범위 조절이 가능한 조명등
KR101239657B1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시스템
KR200489948Y1 (ko) 비상탈출구 유도표시장치
JP2016189351A (ja) 照明装置
KR20160082666A (ko)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