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3925A - 기립식 받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립식 받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3925A
KR20150143925A KR1020140072065A KR20140072065A KR20150143925A KR 20150143925 A KR20150143925 A KR 20150143925A KR 1020140072065 A KR1020140072065 A KR 1020140072065A KR 20140072065 A KR20140072065 A KR 20140072065A KR 20150143925 A KR20150143925 A KR 20150143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folding
front plate
plat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338B1 (ko
Inventor
박흥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대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대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대문
Priority to KR1020140072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338B1/ko
Publication of KR20150143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3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42D3/16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means for holding books op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4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combined or formed with other articles, e.g. punches, stands
    • B42F13/40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combined or formed with other articles, e.g. punches, stands enabling the cover to be positioned upright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전면판부와 후면판부를 벌려서 세우거나 접을 수 있게 하는 구성을 쉽게 형성할 수 있고, 기립식 받침의 제작공정을 자동화하기 쉽고, 전개판을 만든 후 몇 번의 접고 부착하는 단순한 공정만으로 기립식 받침을 만들 수 있는 기립식 받침이 개시된다. 상기 기립식 받침은 제1접이선을 중심으로 앞과 뒤로 접을 수 있는 전면판부와 후면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는 상기 제1접이선을 가로지르는 두개의 절단선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사이로 접혀 들어간 상태에서 일부가 상기 전면판부의 내면과 상기 후면판부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거나, 마주하는 일부가 서로 부착되어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가 상기 제1접이선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벌어질 수 있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 중첩되게 접힐 수 있는 벌림각제한 접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Description

기립식 받침 및 그 제조방법{Stand type suppor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캘린더 받침이나 액자 등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기립식 받침의 개선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캘린더지를 받침에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 캘린더 받침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기립식 받침 및 그 제조방법의 개선에 관련된 것이다.
대부분의 기존 탁상용 캘린더에서, 캘린더지들은 결합용 스프링을 통해 캘린더 받침에 결합되어 있다. 이를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탁상용 캘린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탁상용 캘린더(10)는 캘린더 받침(11)과 캘린더지(18)들을 캘린더 받침(11)에 결합하는 결합용 스프링(12)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캘린더 받침(11)은 두꺼운 종이 합지로 만들되, 그의 바닥(11a)은 중앙선을 따라 상대적으로 얇게 만들어 접힐 수 있게 되어 있고, 바닥(11a)의 양측 모서리에서 위로 비스듬히 연장된 경사지지면(11a, 11b)은 상부 모서리끼리 만나며 그들의 상단에는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구멍(13)들이 형성되어 있다. 캘린더지(18) 또한 월별로 낱장으로 만들어지며 각각의 상단에는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구멍(13)들이 받침(11)의 구멍(13)들과 같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캘린더 받침(11)과 캘린더지(18)에 마련된 그 다수의 구멍(13)들에 스프링(12)을 끼워 캘린더지(18)들과 캘린더 받침(11)의 상단을 서로 결합한다. 이에 의해 캘린더 받침(11)은 삼각형으로 자립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간 캘린더지(18)들은 한 장씩 뒤로 넘길 수 있게 되어 있다.
기존의 탁상용 캘린더(10)가 스프링(12)을 채용한 구조로 만들어짐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생긴다. 기존은 탁상용 캘린더(10)는 캘린더 받침(11)과 캘린더지(18)들이 스프링(12)에 의해 묶인 형태로 만들어지므로, 스프링(12)을 체결하는 결합작업이 번거롭다. 그뿐만 아니라, 기존은 탁상용 캘린더(10)는 스프링(12)으로 일체화되어 있어 해가 바뀌면 그 전체를 폐기 처분해야 하는데, 재활용을 위해서는 종이로 만들어진 캘린더 받침(11)과 캘린더지(18)들을 철사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스프링(12)과 분리해야 한다. 스프링(12)의 분리작업은 사람이 일일이 손으로 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다. 그 때문에 스프링(12)을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버리는 경향이 높다. 이로 인해, 종이 자원의 재활용이 낮아진다. 또한, 스프링(12)을 분리하지 않고 캘린더(10)를 통째로 폐기하는 경우, 철사나 플라스틱으로 된 스프링(12)에 의한 환경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스프링 사용에 따른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종래기술로는 공개번호 20-2012-0001530호(발명의 명칭: 다기능 캘린더, 발명자: 우석기)의 공개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우석기 발명의 다기능 캘린더는 스프링은 사용하지 않은 장점은 있지만, 구성이 복잡하여 만들기가 어렵고, 그 제작과정을 자동화하기 어렵고, 접었을 때 두께가 너무 두꺼워서 운송 및 보관에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캘린더 지지에 스프링이 필요치 않고 만들기 쉬우며 스프링 프리 구조의 친환경 캘린더 받침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기립식 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작공정이 간단하여 자동화에 유리한 기립식 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캘린더지나 사진을 쉽게 장착하거나 이탈시킬 수 있고, 캘린더지나 사진만 용이하게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스프링 프리 구조의 기립식 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캘린더 받침을 매우 쉽게 만들 수 있게 해주는 기립식 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프리 구조의 기립식 받침은 제1접이선을 중심으로 앞과 뒤로 접을 수 있는 전면판부와 후면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는 상기 제1접이선을 가로지르는 두개의 절단선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사이로 접혀 들어간 상태에서 일부가 상기 전면판부의 내면과 상기 후면판부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거나, 마주하는 일부가 서로 부착되어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가 상기 제1접이선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벌어질 수 있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 중첩되게 접힐 수 있는 벌림각제한 접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벌림각제한 접이부에는 상기 벌림각제한 접이부를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사이로 접어 넣을 수 있게 하기 위한 한 쌍의 제2접이선, 상기 제1접이선과 상기 한 쌍의 제2접이선 사이에 제3접이선이 각각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벌림각제한 접이부는 상기 한 쌍의 제2접이선을 통해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사이로 접혀들어 가고, 상기 제2접이선과 상기 제3접이선 사이의 상기 벌림각제한 접이부가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의 내면에 각각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판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고 상변을 제외한 좌측변, 우측변, 하측변이 상기 전면판부에 결합하여 상기 전면판부와 함께 캘린더지 등의 판상체로 된 물품을 장착하기 위한 제1장착부를 형성하는 전면테두리부 또는 전면투명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면판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고 상변을 제외한 좌측변, 우측변, 하측변이 상기 후면판부에 결합하여 상기 후면판부와 함께 캘린더지 등의 판상체로 된 물품을 장착하기 위한 제2장착부를 형성하는 후면테두리부 또는 후면투명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면판부, 상기 후면판부 , 상기 벌림각제한 접이부, 상기 전면테두리부 및 상기 후면테두리부는 1장의 전개판을 접고 부착하여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테두리부는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의 일 측변에 상하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테두리부 사이에는 상기 제1접이선과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는 수평절단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테두리부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하는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접이선과 동일 선상의 상기 전면판부와 후면판부 사이의 타 측변에는 상기 날개부와 중첩되어 접히는 부분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테두리부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상기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테두리부가 바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필름이 접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 제조방법은 제1접이선을 중심으로 앞과 뒤로 접을 수 있는 전면판부와 후면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는 좌우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절단선을 통해 형성되어 상기 제1접이선을 가로질러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 일체로 연결된 벌림각제한 접이부가 설치되어 있는 전개판을 준비하는 전개판 준비단계;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상에 판상체로 된 물품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형성하는 장착부 형성단계; 및 상기 제1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를 앞뒤로 접고, 상기 벌림각제한 접이부를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사이로 접어 넣은 상태에서 상기 벌림각제한 접이부 일부를 상기 전면판부의 내면과 상기 후면판부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하거나 상기 벌림각제한 접이부의 마주하는 일부를 서로 부착하여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가 상기 제1접이선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벌어질 수 있는 각도를 제한하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 중첩되게 접힐 수 있게 하는 벌림각제한 접이부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전개판 준비단계에는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한 변에 일체로 연결되고 중앙부가 뚫려 있는 테두리부 또는 구멍이 뚫려 있지 않은 전면투명판부를 가지는 전개판을 준비하고, 상기 장착부 형성단계에는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테두리부 또는 상기 전면투명판부를 향해 접어서 가장자리를 서로 부착하여 상기 장착부를 형성하는 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전면판부의 일 측변에 일체로 연결된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판부의 일 측변에 일체로 연결된 후면테두리부를 가지는 것이고, 상기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테두리부는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의 일 측변에 상하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테두리부 사이에는 상기 제1접이선과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는 수평절단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테두리부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하는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접이선과 동일 선상의 상기 전면판부와 후면판부 사이의 타 측변에는 상기 날개부와 중첩되어 접히는 부분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장착부 형성단계에는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를 상기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테두리부를 향해 접어서 가장자리를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 각각 부착하여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표면에 상기 장착부로서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의 내면 또는 외면에 상기 테두리부가 바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투명필름을 부착하는 투명필름 부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 형성단계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중앙부가 뚫려 있는 테두리부를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하여 상기 장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때에 따라, 상기 전개판 준비단계에는 상기 전면판부과 상기 후면판부의 일측변에 일체로 연결된 전면투명판부와 후면투명판부를 가지는 전개판을 준비하고, 상기 장착부 형성단계에는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를 상기 전면투명판부와 상기 후면투명판부를 향해 접어서 가장자리를 서로 부착하여 상기 장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판부와 후면판부를 벌려서 세우거나 접을 수 있게 하는 구성을 쉽게 형성할 수 있고, 기립식 받침의 제작공정을 자동화하기 쉽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개판을 만든 후 몇 번의 접고 부착하는 단순한 공정만으로 기립식 받침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캘린더 받침 제작에 스프링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에 따라 캘린더지를 지지하기 위해 스프링과 결합하는 과정, 사용 후 폐기 시 스프링을 분리해야 하는 과정도 필요치 않고,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만들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홈 형태의 수용부에 캘린더지나 사진을 장착하거나 빼내면 되므로 캘린더지나 사진의 장착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하고, 종이만으로도 캘린더 받침이나 사진액자, 메뉴판 등을 만들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때에 따라,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여러 해 재사용할 수 있는 기립식 받침도 쉽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개판을 프레스로 찍어서 대량으로 신속하게 만들 수 있고, 만들어진 전개판을 접어서 접착하는 과정으로 만들 수 있어 자동화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캘린더 받침의 제작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은 월별 낱장 캘린더지를 스프링에 끼우는 형태가 아니라 홈 형태의 수용부에 삽입하는 형태이므로 해가 바뀌어도 이미 사용된 캘린더지만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다.
그 외에, 스프링의 원료인 페인트칠 된 철사나 플라스틱이 사용되지도 않고 폐기될 일도 없으므로 이 점 역시 친환경적이다.
도 1은 종래의 탁상용 캘린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의 제작에 사용되는 전개판의 평면도,
도 3은 테두리부를 전면판부와 후면판부에 중첩되게 접어서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 전면판부와 후면판부를 제1접이선을 기준으로 앞뒤로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이 세워진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의 제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7은 기립식 받침의 장착부에 캘린더지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과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의 다른 실시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 기립식 받침의 중앙부 좌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의 제작에 사용되는 전개판의 평면도, 도 3은 테두리부를 전면판부와 후면판부에 중첩되게 접어서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 전면판부와 후면판부를 제1접이선을 기준으로 앞뒤로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이 세워진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의 제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그리고 도 7은 기립식 받침의 장착부에 캘린더지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다.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10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개판(101)을 접고 부착하여 만드는 것으로, 전면판부(110) 및 후면판부(130)를 가진다. 이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 사이를 따라서는 제1접이선(FL)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면판부(110)는 제1접이선(FL)을 중심으로 앞으로 접고, 후면판부(130)는 제1접이선(FL)을 중심으로 뒤로 접어서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를 중첩되게 할 수 있다.
도 2 내지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100)은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에 일체로 연결된 벌림각제한 접이부(120)를 가진다. 이 벌림각제한 접이부(120)는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벌림각제한 접이부(120)는 제1접이선(FL)을 가로지르며 좌우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절단선(121)들에 의해 형성되며,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 사이로 접어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 쌍의 제2접이선(122)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제2접이선(122)은 벌림각제한 접이부(120)의 전후 양 끝 부분에 설치되며,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의 전후방향 반폭정도의 위치에서 제1접이선(FL)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물론, 반드시 평행하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더 바람직하게, 제1접이선(FL)과 한 쌍의 제2접이선(122) 사이에는 제3접이선(123)이 더 설치된다. 제3접이선(123) 역시 제1접이선(FL)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탁상이나 책상에 올려두고 사용하기 위한 탁상용의 기립식 받침(100) 정도의 크기인 경우, 이 실시 예에서의 제1접이선(FL)과 제3접이선(123) 간의 간격은 25㎜ ~ 35㎜ 정도가 적합하다.
위와 같은 벌림각제한 접이부(120)는, 바람직하게, 한 쌍의 제2접이선(122)을 통해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 사이로 접혀들어 가고, 제2접이선(122)과 제3접이선(123) 사이의 벌림각제한 접이부(120)는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의 내면에 각각 부착된다. 제1접이선(FL)과 제3접이선(123) 사이의 부분은 접어서 보관 또는 운송할 때에는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와 함께 서로 접혀서 부피를 작게 할 수 있게 하면서, 세운 상태에서는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가 일정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잡아주어 제1접이선(FL)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 즉,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의 벌림각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 실시 예에서는, 벌림각제한 접이부(120)가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 사이로 접혀 들어간 상태에서 양측 제2접이선(122)과 제3접이선(123) 사이의 부분이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 내면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때에 따라, 제1접이선(FL)의 한쪽 부분만 전면판부(110) 또는 후면판부(130)의 내면에 부착되어도 된다.
더 나아가 제1접이선(FL)과 두 제3접이선(123) 사이의 마주보는 부분을 서로 접착하여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가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는 도 4의 상태에서 제1접이선(FL)과 제3접이선(123) 사이의 마주보는 부분을 서로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벌림각제한 접이부(120)는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 사이로 접혀 들어간 상태에서 일부가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거나, 후면판부(130) 사이로 접혀 들어가거나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벌림각제한 접이부(120)의 마주하는 일부가 서로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착은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대응하는 위치에 끼움부와 절개부를 형성하여 결합하는 끼움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100)은 전면테두리부(140)를 가진다. 전면테두리부(140)는 전면판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변을 제외한 좌측변, 우측변, 하측변이 전면판부(110)에 결합하여 전면판부(110)와 함께 캘린더지(10) 등을 장착하기 위한 제1장착부(103)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100)은, 바람직하게, 후면테두리부(150)를 더 가진다. 후면테두리부(150)는 후면판부(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변을 제외한 좌측변, 우측변, 하측변이 후면판부(130)에 결합하여 후면판부(130)와 함께 캘린더지(10) 등을 장착하기 위한 제2장착부(104)를 형성한다. 이러한 후면테두리부(150)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전면판부(110) 한쪽에만 장착부를 형성하고자 하는 때에는, 도 2에서, 후면테두리부(150)는 필요치 않다.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100)의 위와 같은 전면판부(110), 후면판부(130),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에 설치된 벌림각제한 접이부(120), 전면테두리부(140) 및 후면테두리부(15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1장의 전개판(101)을 접고 부착하여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면테두리부(140)와 후면테두리부(150)는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의 일 측변에 상하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있고, 전면테두리부(110)와 후면테두리부(130) 사이에는 제1접이선(FL)과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는 수평절단선(CL)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테두리부(140)와 후면테두리부(15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이중접이선(DL)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테두리부(140)와 후면테두리부(150)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하는 날개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이중접이선(DL)은 제1, 제2장착부(103, 104)에 넓은 내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장의 캘린더지(10) 등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2중접이선(DL)은 그 사이의 부분을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에 대해 꺾어서 기립시키거나 같은 평면으로 펼쳐서 눕힐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그러나 접이선을 반드시 이중접이선(DL)으로 형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접이선(FL)과 동일 선상의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 사이의 타 측변에는 날개부(160)와 중첩되어 접히는 부분에 절개홈(CG)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홈(CG)은 제1접이선(FL)과 날개부(160)의 접히는 부분이 일치하지 않아서 전면테두리부(140)와 후면테두리부(150)가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에 대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전면테두리부(140)와 후면테두리부(150)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전면테두리부(140)와 후면테두리부(150)가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에 결합한 상태에서 바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필름(170)을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필름으로는 아스테이지나 셀로판지가 적당하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100)의 제조과정을 도 2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예에서는 탁상용 캘린더를 만드는 과정을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개판(101)을 만든다. 장착부를 1개만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후면테두리부(150)가 없는 것을 준비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개판(101)을 만드는 과정은, 종이에 색을 넣고 그 표면에 필요한 문양과 문자 등을 인쇄한 다음 표면을 비닐 등으로 코팅한다. 그런 다음, 전, 후면테두리부(140, 150)를 형성하기 위한 구멍(141, 151)을 뚫고, 칼집을 넣어 벌림각제한 접이부(120)와 수평절단선(CL)을 형성하고, 각각의 접이선들을 형성한다. 코팅 후의 공정은 전개판(101) 형태의 펀치를 이용하여 한 번의 펀칭으로 전개판(101)을 만들 수 있다(S1).
그런 다음, 전, 후면테두리부(140, 150)의 내면 또는 외면에 아스테이지나 셀로판지 등의 투명필름(170)을 접착한다(S2). 이렇게 하면 이후의 공정에서 전면판부(110) 및 후면판부(130)에 결합하여 제1, 제2장착부(103, 104)를 만들 때 테두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를 전, 후면테두리부(140, 150)를 향해 접어서 겹친 다음 날개부(160)를 접어서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의 가장자리, 바람직하게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의 내면에 접합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 제2장착부(103, 104)를 형성한다(S3).
제1, 제2장착부(103, 104)를 형성한 다음, 제1접이선(FL)을 기준으로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를 앞뒤로 접어서 도 4와 같이 만들고, 한편으로는 벌림각제한 접이부(120)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 사이로 접어 넣어서 그 상측 일부분을, 바람직하게 제2접이선(122)과 제3접이선(123) 사이의 부분을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의 내면에 각각 부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100)을 완성한다(S4). 부착을 위한 접착제는 이전 단계에서 미리 도포해둘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100)은 제1접이선(FL)을 중심으로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를 벌려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워서 사용할 수 있고, 보관 또는 유통 시에는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를 제1접이선(FL)을 중심으로 앞뒤로 회동시켜 서로 중첩되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립식 받침(100)을 액자, 상장 받침 또는 메뉴판 받침의 용도로 만든 경우에는 접은 상태로 판매하면 된다.
기립식 받침(100)을 캘린더 받침의 용도로 만든 경우에는, 제1, 제2장착부(103, 104)에 캘린더지(10)를 삽입하여 탁상용 캘린더를 완성하여(S5), 판매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100)을 캘린더 받침으로 사용하는 예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장착부(103, 104)에 캘린더지(10)들을 각각 장착한 상태에서 책상 위에 세워두고 탁상용 캘린더로 사용할 수 있다.
도 8과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의 다른 실시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때에 따라 전면 한쪽에만 장착부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테두리부가 없는 전개판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벌림각제한 접이부(130)의 일부를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에 부착하는 것은 끼움부(IP)와 절개선(IL)을 대응위치에 형성하여, 접착제 없이 끼움방식으로 서로 부착되게 할 수 있다. 끼움부(IP)와 절개선(IL)은 그 설치위치를 서로 바꾸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방식은 얇은 플라스틱판으로 만든 전개판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을 만들 때에 적합하다.
또, 때에 따라 벌림각제한 접이부(12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로 간격을 두고 2개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을 만들 수 있다. 3개 이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머지 사항은 도 2 내지 7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캘린더 등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중앙부가 뚫려 있는 테두리부재를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그 일례로, 전면테두리부(140)와 후면테두리부(150)는 금형을 사용하여 플라스틱 재료로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와는 별도로 만들고,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는 도 2 내지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종이나 얇은 합성수지판으로 된 전개판을 이용하여 만든 후,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돌기(117, 137)와 홈(147, 157)을 통해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100)을 만들 수 있다. 이때, 끼움부(IP)와 절개선(IL)은 도 8에서와는 그 설치위치를 바꾸어서 형성할 수 있다. 즉, 절개선(IL)은 벌림각제한 접이부(130)에 형성하고, 끼움부(IP)는 벌림각제한 접이부(130)를 벗어난 위치의 대응 부분에 형성하여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움방식으로 벌림각제한 접이부(120) 일부를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에 결합할 수 있다. 전면테두리부(140)와 후면테두리부(150)를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경우, 투명필름은 부착하지 않아도 된다.
나머지는 도 2 내지 7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위와 같이 만들어진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100)을 사용한 탁상용 캘린더는 책상 위에 세워두고 사용하다가 해당 월이 지나가면 전면의 제1장착부(103)에 장착하여 보던 캘린더지를 빼내어 후면의 제2장착부(104)에 끼워서 또는 제1장착부(103)의 뒤쪽으로 이동시켜 보관하면 된다.
때에 따라, 제1, 제2장착부(103, 104) 양측 모두에 1년 치 캘린더지들을 각각 장착하여 앞과 뒤쪽 양측 모두에서 날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캘린더지의 앞면과 뒤면 모두에 연월일을 표시한 것을 사용하면 캘린더지의 장수를 줄일 수 있고, 해당 월이 지난 캘린더지는 뒤쪽으로 이동시켜 꽂아두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을 이용하는 경우, 지난해의 캘린더지도 보관하면서 사용할 수 있고, 앞뒤로 다른 종류의 캘린더지, 캘린더지와 안내판 등을 장착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 기립식 받침의 중앙부 측단면도이다.
때에 따라,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의 외면에 필요한 문자나 그림을, 예를 들면, 월력(M)을 직접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1과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벌림각제한 접이부(120)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고, 앞 실시 예들에서 설명했던 제1, 제2장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전면테두리부와 후면테두리부 없이, 제1접이선(FL)을 기준으로 앞뒤로 접을 수 있는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 및 이들에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된 벌림각제한 접이부(120)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100)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월력 대신에 안내문이나 광고문 또는 메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100)은 월력(M)이나 안내문 또는 광고문의 표시 없이 세워서 지지해야 대상물의 내부에 결합하여 대상물을 지지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때에 따라 전개판(101)을 PP나 PE 등의 투명재료로 된 것을 이용하는 경우, 앞에서 설명한 구멍이 뚫린 전면테두리부나 후면테두리부 대신 구멍이 뚫리지 않은 전면투명판부(140a)와 후면투명판부(150a)가 일체로 연결된 것을 사용하여 앞에서 설명한 과정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투명필름을 부착하는 공정은 필요치 않다. 여기에서, 전개판(101)은 전체가 투명한 것을 이용하여도 되지만, 때에 따라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는 비투명으로 하고, 전면투명판부(140a)와 후면투명판부(150a)만 투명하게 된 것을 이용하여도 된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7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이상 도 2 내지 13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100)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전개판은 종이나 얇은 합성수지판을 프레스로 찍어서 대량으로 쉽게 만들 수 있고, 이 전개판에 대해 간단한 몇 번의 접기와 부착 또는 끼움 공정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100)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100)은 제작이 매우 용이하고, 그 제조공정을 자동화하기도 매우 쉽다.
플라스틱으로 된 테두리부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에 제1접이선(FL)과 벌림각도제한 접이부(120)를 형성한 전개판을 접은 것을 플라스틱으로 된 제1, 제2테두리부(140, 150)를 결합하면 세울 수 있는 기립식 받침(100)을 만들 수 있으므로 만들기 쉽다.
캘린더지 여러 장을 한꺼번에 전면에 있는 제1장착부(103)에 바로 삽입할 수 있고, 해당 월이 지나는 경우 그 월의 캘린더지를 꺼내어 후면 쪽 제2장착부(104)에 보관하였다가 필요 시 해당 월의 것만 꺼내어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때에 따라 양쪽 제1, 제2장착부(103, 104) 모두에 당해연도 캘린더지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한 해가 다 지난 경우에는 새해의 캘린더지만 전면 제1장착부(103)에 장착하여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이 때 후면 제2장착부(104)에 있는 지난해의 캘린더지들은 그대로 놓아둔 상태로 사용하면서 필요한 경우에 꺼내어서 필요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후면의 제2장착부(104)에 여유가 없는 경우 가장 오래된 것 또는 필요한 월의 캘린더지만 두고 나머지는 빼내어 버리거나 다른 장소에 보관하면 된다.
또, 때에 따라 전면판부(110)와 후면판부(130)의 표면에 월력(M), 안내문, 메뉴, 광고문 등을 표시하는 경우, 장착부 없이 본 발명에 따른 기립식 받침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의 등가적인 의미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화는 전부 본 발명의 권리범위 안에 속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캘린더 등을 보관하기 위한 기립식 받침의 제작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기립식 받침은 캘린더 받침 외에도 사진이나 그림을 세워두기 위한 액자, 상장 등을 세워서 전시하기 위한 상장받침대, 메뉴판 등을 세워두기 위한 메뉴판 받침대 등 종이나 얇은 판상체로 된 물품을 수납하여 또는 전면판부와 후면판부에 직접 표시하여 세워둘 수 있도록 하는 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10: 캘린더지 100: 기립식 받침
101: 전개판 110: 전면판부
FL: 제1접이선 120: 벌림각제한 접이부
121: 절단선 122: 제2접이선
123: 제3접이선 130: 후면판부
140: 전면테두리부 141, 151: 구멍
150: 후면테두리부 160: 날개부
170: 투명필름 DL: 이중접이선
CL: 수평절단선 CG: 절개홈

Claims (12)

  1. 제1접이선을 중심으로 앞과 뒤로 접을 수 있는 전면판부와 후면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는 상기 제1접이선을 가로지르는 두개의 절단선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사이로 접혀 들어간 상태에서 일부가 상기 전면판부의 내면과 상기 후면판부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거나, 마주하는 일부가 서로 부착되어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가 상기 제1접이선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벌어질 수 있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 중첩되게 접힐 수 있는 벌림각제한 접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식 받침.
  2. 제1항에서, 상기 벌림각제한 접이부에는 상기 벌림각제한 접이부를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사이로 접어 넣을 수 있게 하기 위한 한 쌍의 제2접이선, 상기 제1접이선과 상기 한 쌍의 제2접이선 사이에 제3접이선이 각각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벌림각제한 접이부는 상기 한 쌍의 제2접이선을 통해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사이로 접혀들어 가고, 상기 제2접이선과 상기 제3접이선 사이의 상기 벌림각제한 접이부가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의 내면에 각각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식 받침.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전면판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고 상변을 제외한 좌측변, 우측변, 하측변이 상기 전면판부에 결합하여 상기 전면판부와 함께 캘린더지 등의 판상체로 된 물품을 장착하기 위한 제1장착부를 형성하는 전면테두리부 또는 전면투명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식 받침.
  4. 제3항에서, 상기 후면판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고 상변을 제외한 좌측변, 우측변, 하측변이 상기 후면판부에 결합하여 상기 후면판부와 함께 캘린더지 등의 판상체로 된 물품을 장착하기 위한 제2장착부를 형성하는 후면테두리부 또는 후면투명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식 받침.
  5. 제4항에서, 상기 전면판부, 상기 후면판부 , 상기 벌림각제한 접이부, 상기 전면테두리부 및 상기 후면테두리부는 1장의 전개판을 접고 부착하여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테두리부는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의 일 측변에 상하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테두리부 사이에는 상기 제1접이선과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는 수평절단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테두리부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하는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접이선과 동일 선상의 상기 전면판부와 후면판부 사이의 타 측변에는 상기 날개부와 중첩되어 접히는 부분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식 받침.
  6. 제4항에서, 상기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테두리부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상기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테두리부가 바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필름이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식 받침.
  7. 제1접이선을 중심으로 앞과 뒤로 접을 수 있는 전면판부와 후면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는 좌우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절단선을 통해 형성되어 상기 제1접이선을 가로질러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 일체로 연결된 벌림각제한 접이부가 설치되어 있는 전개판을 준비하는 전개판 준비단계;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상에 판상체로 된 물품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형성하는 장착부 형성단계; 및
    상기 제1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를 앞뒤로 접고, 상기 벌림각제한 접이부를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사이로 접어 넣은 상태에서 상기 벌림각제한 접이부 일부를 상기 전면판부의 내면과 상기 후면판부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하거나 상기 벌림각제한 접이부의 마주하는 일부를 서로 부착하여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가 상기 제1접이선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벌어질 수 있는 각도를 제한하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 중첩되게 접힐 수 있게 하는 벌림각제한 접이부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식 받침 제조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전개판 준비단계에는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한 변에 일체로 연결되고 중앙부가 뚫려 있는 테두리부 또는 구멍이 뚫려 있지 않은 전면투명판부를 가지는 전개판을 준비하고,
    상기 장착부 형성단계에는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테두리부 또는 상기 전면투명판부를 향해 접어서 가장자리를 서로 부착하여 상기 장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식 받침 제조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전면판부의 일 측변에 일체로 연결된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판부의 일 측변에 일체로 연결된 후면테두리부를 가지는 것이고,
    상기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테두리부는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의 일 측변에 상하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테두리부 사이에는 상기 제1접이선과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는 수평절단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테두리부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하는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접이선과 동일 선상의 상기 전면판부와 후면판부 사이의 타 측변에는 상기 날개부와 중첩되어 접히는 부분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장착부 형성단계에는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를 상기 전면테두리부와 상기 후면테두리부를 향해 접어서 가장자리를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 각각 부착하여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표면에 상기 장착부로서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식 받침 제조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서, 상기 테두리부의 내면 또는 외면에 상기 테두리부가 바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투명필름을 부착하는 투명필름 부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식 받침 제조방법.
  11. 제7항에서, 상기 장착부 형성단계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중앙부가 뚫려 있는 테두리부를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하여 상기 장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식 받침 제조방법.
  12. 제8항에서, 상기 전개판 준비단계에는 상기 전면판부과 상기 후면판부의 일측변에 일체로 연결된 전면투명판부와 후면투명판부를 가지는 전개판을 준비하고,
    상기 장착부 형성단계에는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후면판부를 상기 전면투명판부와 상기 후면투명판부를 향해 접어서 가장자리를 서로 부착하여 상기 장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식 받침 제조방법.
KR1020140072065A 2014-06-13 2014-06-13 기립식 받침 및 그 제조방법 KR101632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065A KR101632338B1 (ko) 2014-06-13 2014-06-13 기립식 받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065A KR101632338B1 (ko) 2014-06-13 2014-06-13 기립식 받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925A true KR20150143925A (ko) 2015-12-24
KR101632338B1 KR101632338B1 (ko) 2016-06-27

Family

ID=5508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065A KR101632338B1 (ko) 2014-06-13 2014-06-13 기립식 받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5081A (zh) * 2019-04-04 2019-05-21 山东西城时光文化投资有限公司 纸质展示台架
KR102284964B1 (ko) * 2020-07-24 2021-08-04 주식회사 로운 카운터 안내판 리프트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0059A (ja) * 1994-11-30 1996-06-11 Tanakaya:Kk 枠付き自立パネル
KR101399019B1 (ko) * 2013-09-27 2014-05-27 주식회사 신대문 스프링 프리 구조의 친환경 캘린더 받침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0059A (ja) * 1994-11-30 1996-06-11 Tanakaya:Kk 枠付き自立パネル
KR101399019B1 (ko) * 2013-09-27 2014-05-27 주식회사 신대문 스프링 프리 구조의 친환경 캘린더 받침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5081A (zh) * 2019-04-04 2019-05-21 山东西城时光文化投资有限公司 纸质展示台架
KR102284964B1 (ko) * 2020-07-24 2021-08-04 주식회사 로운 카운터 안내판 리프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338B1 (ko)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9458B1 (ja) 自立可能な平板状物、その展示方法および製造方法
US20110088300A1 (en) Deployable advertising medium formed by a plane panel
EP2992787B1 (en) Wall decoration assembly, kit for making a wall decoration assembly and method for hanging such assembly
US5426876A (en) Calendar photo album
US4024656A (en) Greeting card calendar
KR101632338B1 (ko) 기립식 받침 및 그 제조방법
JP2002160482A (ja) 予備穴のあるバインダー
US7007365B2 (en) Sliding panel photographic card
KR101399019B1 (ko) 스프링 프리 구조의 친환경 캘린더 받침대 및 그 제조방법
US20080052973A1 (en) Self-adhering perforated display assembly
JP2007058181A (ja) 自立可能な平板状物の製造方法
JP2012196963A (ja) 3ヶ月カレンダー
US9073377B2 (en) Pocket-sized disposable photo album kit
JP3151346U (ja) カレンダー
KR20230083589A (ko) 탁상용 세움 안내판
JP6181973B2 (ja) ポップアップカレンダー
KR20120002363U (ko) 탁상용 캘린더 받침대
CN202782276U (zh) 一种相册
JP3231562U (ja) ポチ袋付カレンダー
CN109895529B (zh) 自立型纸制品及其制作方法
RU44078U1 (ru) Настольный календарь
KR20150131741A (ko) 달력
JPH09276104A (ja) 写真等の卓上簡易ホルダー
JP3207800U (ja) 写真立て及び写真立て用シート
JP6263765B2 (ja) カレン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