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3317A -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3317A
KR20150143317A KR1020150079043A KR20150079043A KR20150143317A KR 20150143317 A KR20150143317 A KR 20150143317A KR 1020150079043 A KR1020150079043 A KR 1020150079043A KR 20150079043 A KR20150079043 A KR 20150079043A KR 20150143317 A KR20150143317 A KR 20150143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inlay
base
co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3628B1 (ko
Inventor
나미 와키무라
후미히로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143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8Electrica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3/00Detail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field
    • G06F2113/12Clo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베이스 편성포부에 인레이 선재에 의하여 패턴이 형성된 편성포를 용이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부)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100)은, 베이스 편성포부의 일면측에 노출되는 인레이 선재로 이루어지는 인레이 패턴을 디자인할 수 있으며, 그 인레이 패턴에 관한 인레이 표시 데이터에 의거하여 편성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100)은, 인레이정보 입력부(12)와, 인레이정보 작성부(21A)와, 인레이용 메모리(32)와, 변경판단부(21B)와, 변경코드 특정부(21C)와, 코드변경 지령부(21D)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DESIGN SYSTEM FOR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에 인레이 선재(inlay 線材)를 배치한 편성포를 디자인할 수 있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design system)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monitor)상에서 편성포를 디자인하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이 종래로부터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의 니트 페인트 시스템(knit paint system)을 참조). 이러한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서는, 우선 횡편기(橫編機)의 게이지(gauge)에 의거한 편성단위(編成單位)로 구획된 편성포의 형지(型紙)를 시스템(system)상에 형성하고, 그 편성단위로 횡편기의 편성동작을 지정하는 편성코드(編成code)를 관련 짓는 편성포의 디자인 데이터(design data)를 작성한다. 이와 같이 각 편성단위에 있어서, 횡편기에 어떤 편성동작을 하게 할지를 규정한 편성코드를 적용함으로써 편성포의 디자인을 하고 있다.
: 일본국 특허 제2916990호 공보
최근의 패션의 다양화에 따라 베이스 편성포부에 인레이 선재를 배치한 편성포를 편성하고 싶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인레이 선재는, 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할 때에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와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에 나누어진 스티치(stitch)의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베이스 편성포부를 꿰매도록 배치되는 선재이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7-277738호 공보를 참조). 이러한 요구에 대하여 종래의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서는, 디자인 데이터상에서 베이스 편성포부의 표면에서 인레이 선재가 어떻게 보이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었다. 예를 들면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의 부분에 인레이 선재가 나타나는 것과 같은 인레이 패턴(inlay pattern)을 작성하는 경우에, 인레이 패턴의 상태를 생각하면서 유저(user)가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編成 data)를 가공할 필요가 있지만, 디자인 데이터로부터 인레이 패턴을 생각하는 것은 어렵다. 그 때문에 디자인 데이터로부터 실제의 편성포의 형성상태를 시뮬레이트(simulate)한 시뮬레이션 화상(simulation 畵像)을 작성하거나 혹은 실제로 편성포를 편성하는 등 하여,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를 확인하고 디자인 데이터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복잡한 패턴을 인레이 선재로 형성하는 경우에 수정의 횟수가 복수 회에 이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인레이 선재를 포함하는 편성포의 디자인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 중의 하나는, 베이스 편성포부에 인레이 선재로 패턴을 형성한 편성포를 용이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유저가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단위의 위치와 그 편성단위에 있어서의 편성코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베이스정보를 입력하는 베이스정보 입력부와, 상기 베이스정보를 기억하는 베이스용 메모리와, 상기 베이스정보에 의거하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베이스정보에 의거하여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를 작성하는 편성데이터 작성부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은 인레이정보 입력부와, 인레이정보 작성부와, 인레이용 메모리와, 변경판단부와, 변경코드 특정부와, 코드변경 지령부를 더 구비한다.
· 인레이정보 입력부는,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일면측에서의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와 위치를 포함하는 인레이 표시 데이터를 입력한다.
· 인레이정보 작성부는, 상기 인레이 표시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와 그 위치 및 비노출상태와 그 위치에 관한 인레이정보를 작성한다.
· 인레이용 메모리는 상기 인레이정보를 기억한다.
· 변경판단부는, 상기 인레이용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상기 인레이 선재의 위치와, 상기 베이스용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편성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 또는 비노출상태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상기 위치의 편성코드를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 변경코드 특정부는, 상기 위치의 편성코드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그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 혹은 비노출상태를 실현시키기 위한 변경용 편성코드를 특정한다.
· 코드변경 지령부는, 상기 위치의 기존의 편성코드를 상기 특정된 변경용 편성코드 대신에 상기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상기 편성데이터 작성부에 지령한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으로서, 상기 변경코드 특정부는 복수의 상기 변경용 편성코드의 선택사항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특정된 변경용 편성코드는 상기 선택사항 중에서 선택된 변경용 편성코드인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으로서, 상기 인레이정보 입력부는 또한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일면측에서의 상기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를 특정하지 않고,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에 있어서의 상기 인레이 선재를 배치하는 영역을 입력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하의 영역정보용 메모리와, 인레이 표시처리부를 구비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 영역정보용 메모리는, 상기 인레이 선재를 배치하는 영역에 관련된 정보를 기억한다.
· 인레이 표시처리부는, 상기 베이스용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각 편성단위의 편성코드와, 상기 영역정보용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상기 인레이 선재의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일면측에서의 상기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노출상태를 반영시킨 상기 인레이 표시 데이터를 작성한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으로서, 이하의 고정상태 판정부와, 고정처리 결정부와, 고정처리 지령부를 더 구비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 고정상태 판정부는, 상기 베이스용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각 편성단위의 편성코드와 상기 인레이용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상기 인레이 선재의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인레이 선재 중에서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비고정부분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 고정처리 결정부는, 상기 비고정부분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 이상이다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비고정부분의 어느 위치를 베이스 편성포부에 고정할지를 결정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에 상기 인레이 선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편성코드를 결정한다.
· 고정처리 지령부는, 상기 비고정부분을 고정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편성코드를 상기 고정용 편성코드 대신에 편성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상기 편성데이터 작성부에 지령한다.
상기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 의하면, 베이스 편성포부의 일면(一面)측에 노출되는 인레이 선재의 패턴을 유저가 직접 디자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편성포의 시뮬레이션 화상을 작성하는 횟수나, 실제로 편성을 하는 횟수 등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은, 유저의 입력에 의거하는 인레이 표시 데이터를 고려한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를 자동으로 작성한다. 그 때문에 인레이 선재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디자인할 때의 유저의 부담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변경용 편성코드의 선택사항을 제시하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 의하면, 베이스 편성포부의 조직을 고려한 최적의 변경용 편성코드를 유저가 선택할 수 있다. 그 결과,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 의하여 작성된 편성 데이터를 사용해서 횡편기로 편성포를 편성시켰을 때에, 편성포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영역정보용 메모리와 인레이 표시처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 의하면, 유저가 베이스 편성포부에 있어서의 인레이 선재를 배치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것만으로, 그 배치된 인레이 선재가 실제의 베이스 편성포부상에서 어떻게 보이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고정상태 판정부(固定狀態 判定部)와 고정처리 결정부(固定處理 決定部)와 고정처리 지령부(固定處理 指令部)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 의하면,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의하여 작성된 편성 데이터를 사용해서 편성포를 제작했을 때에, 인레이 선재의 비고정부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1은,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2에 있어서 (A)∼(C)는, 유저에 의한 인레이 표시 데이터의 작성으로부터 인레이 표시 데이터에 의거하는 변경용 편성코드의 결정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은,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 있어서의 인레이 표시 데이터에 의거하여 변경용 편성코드를 결정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4에 있어서 (A)∼(D)는, 인레이 선재를 배치하는 영역을 지정했을 때의 인레이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5는,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 있어서의 인레이 표시 데이터의 작성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6은,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 있어서의 인레이 선재의 자동고정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1의 기능 블럭도(機能 block圖)에 나타내는 편성포(編成布)의 디자인 시스템(design system)(100)은, 입력부(入力部)(1)와, 편집부(編集部)(2)와, 메모리(memory)(3)와, 표시부(表示部)(4)를 구비한다.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100)은, 표시부(4)상에서 편성포를 디자인하고, 그 디자인한 편성포를 횡편기(橫編機)로 편성시키기 위한 편성 데이터(編成 data)를 작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100)의 특징 중의 하나는,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의 일면(一面)측에 노출되는 인레이 선재(inlay 線材)로 이루어지는 인레이 패턴(inlay pattern)을 유저(user)가 직접 디자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각 부(1, 2, 3, 4)의 구성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유저가 작성한 인레이 패턴에 의거하여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100)이 편성 데이터를 작성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입력부≫
입력부(1)는, 유저가 디자인 데이터(design data)를 편집할 때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키보드(keyboard)나 마우스(mouse), 스캐너(scanner),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형태로 구성된다. 본 예에서는 입력 모드(入力 mode)를 절환함으로써, 입력부(1)가 베이스정보 입력부(base情報 入力部)(11) 또는 인레이정보 입력부(inlay情報 入力部)(12)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입력 모드의 절환은 예를 들면 표시부의 화면상에서 탭(tab)이나 버튼(button)을 절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베이스정보 입력부(11)는, 유저가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단위(編成單位)의 위치와 그 편성단위에 있어서의 편성코드(編成code)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베이스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한편 인레이정보 입력부(12)는, 인레이 선재에 관련된 정보 예를 들면 유저가 베이스 편성포부에 있어서의 인레이 선재의 위치 등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여기에서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단위는, 횡편기의 게이지(gauge)에 따라 결정된, 1개 분의 스티치(stitch)를 편성하는 단위이다. 또한 편성코드는, 횡편기가 하는 편성동작을 예를 들면 색이나 숫자, 도형 혹은 이들의 조합에 의해 표현된 것이다. 예를 들면 적색으로 나타내는 편성코드는 횡편기에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를 편성시키는 편성코드, 녹색으로 나타내는 편성코드는 횡편기에 백스티치(back stitch)를 편성시키는 편성코드로 하도록 규정된다. 물론 하나의 편성코드에 의하여 복수의 편성동작이 규정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들의 편성코드는 후술하는 메모리(3)에 기억되어 있다.
≪편집부≫
편집부(2)는,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의 작성을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컴퓨터로 구성할 수 있다. 이 편집부(2)는, 편성데이터 작성부(20)와, 제1처리부(21)와, 제2처리부(22)와, 제3처리부(23)를 구비한다.
[편성데이터 작성부]
편성데이터 작성부(20)는, 베이스정보에 의거하여 실제의 편침(編針)의 동작이나 편사(編絲)의 풀어내는 순서 등을 설정한 편성 데이터를 작성한다. 편성데이터 작성부(20)에서 작성된 편성 데이터는, 자기 디스크(磁氣 disk) 등의 기록매체나, 유선, 무선 등을 통하여 횡편기로 보내진다. 혹은 편성 데이터는, 편성포의 시뮬레이션 화상을 작성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제1처리부]
제1처리부(21)는, 유저가 인레이 표시 데이터를 입력했을 때에, 그 입력된 인레이 표시 데이터를 고려한 편성 데이터의 작성을 하도록 편성데이터 작성부(20)에 지령하는 기능을 가진다. 인레이 표시 데이터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일면측에서의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와 위치를 포함하는 데이터로서, 표시부(4)에 화상으로 표시된다. 그 때문에 유저는, 인레이 선재에 의해 베이스 편성포부의 일면측에 형성되는 인레이 패턴을 표시부(4)상에서 직접 디자인할 수 있다.
본 예의 제1처리부(21)는, 인레이 표시 데이터에 의거하는 편성데이터 작성부에 대한 지령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인레이정보 작성부(inlay情報 作成部)(21A)와, 변경판단부(變更判斷部)(21B)와, 변경코드 특정부(變更code 特定部)(21C)와, 코드변경 지령부(code變更 指令部)(21D)를 구비한다. 각 부(21A∼21D)가 실시하는 처리순서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2처리부]
제2처리부(22)는, 베이스 편성포부에 대하여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가 특정되지 않고 인레이 선재가 배치되는 영역이 지정되었을 때에, 베이스 편성포부의 일면측에서의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를 나타내는 인레이 표시 데이터를 작성한다. 본 예에서는, 인레이 선재가 배치되는 영역에 의거하는 인레이 표시 데이터의 작성은, 인레이 표시처리부(22A)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3처리부]
제3처리부(23)는, 인레이 선재 중에서 베이스 편성포부에 고정되지 않은 비고정부분(非固定部分)을 특정하고, 지나치게 긴 비고정부분이 베이스 편성포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제3처리부(23)는, 지나치게 긴 비고정부분의 일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코드를, 베이스 편성포부에 인레이 선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편성코드를 대신하여 편성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편성데이터 작성부(20)에 지령한다. 이러한 지령은, 베이스 편성포부의 뒤쪽(사용할 때에 보이지 않는 측 예를 들면 스웨터라면 내측)에 배치되는 비고정부분에 대하여 하더라도 좋고, 베이스 편성포부의 앞쪽(사용할 때에 보이는 측 예를 들면 스웨터라면 외측)에 배치되는 비고정부분에 대하여 하더라도 좋고, 양방의 비고정부분에 대하여 하더라도 좋다. 베이스 편성포부의 뒤쪽의 비고정부분에 대하여 상기 지령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예의 제3처리부(23)는, 지나치게 긴 비고정부분이 베이스 편성포부에 자동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고정상태 판정부(固定狀態 判定部)(23A)와, 고정처리 결정부(固定處理 決定部)(23B)와, 고정처리 지령부(固定處理 指令部)(23C)를 구비한다. 각 부(23A∼23C)가 실시하는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메모리≫
메모리(3)는, 베이스정보를 기억하는 베이스용 메모리(base用 memory)(31)와, 인레이 선재에 관한 인레이정보를 기억하는 인레이용 메모리(inlay用 memory)(32)와, 후술하는 고정용 편성코드나 변경용 편성코드를 기억하는 참조용 메모리(參照用 memory)(33)와, 인레이 선재를 배치하는 영역에 관련된 정보를 기억하는 영역정보용 메모리(領域情報用 memory)(34)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는, 메모리(3)의 일부 영역에 의해 각 메모리(31∼34)가 구성되어 있다. 물론 메모리(3)는, 편성포의 디자인에 관계되는 그 이외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표시부≫
표시부(4)는, 편성포의 디자인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부(4)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液晶 display) 등을 들 수 있다. 표시부(4)로서 터치패널(touch panel)을 이용하면, 표시부(4)에 입력부(1)의 역할의 일부를 담당하게 할 수 있다.
<인레이 표시 데이터에 의거하는 편성 데이터의 작성 순서>
다음에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100)에 의한 인레이 표시 데이터에 의거하는 편성 데이터의 작성순서를 설명한다. 그 설명에 있어서는, 도1의 블럭도에 추가로 편성포를 디자인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2의 설명도 및 인레이 표시 데이터의 작성순서를 나타내는 도3의 플로차트(flow chart)를 참조한다.
우선 종래와 마찬가지로 베이스정보 입력부(11)에 베이스 편성포부에 관한 베이스정보(디자인 데이터)를 입력한다. 베이스정보로서, 과거에 작성된 베이스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베이스정보는, 복수의 편성단위로 구분되어 있다. 각 편성단위에는 편성코드가 할당되어 있으며, 이 편성코드에 의해 각 편성단위의 위치에서 어떤 스티치를 작성할지가 지정되어 있다. 각 편성단위에 관련된 편성코드는, 편성단위의 위치에 관한 정보와 함께 베이스정보로서 베이스용 메모리(31)에 기억된다.
도2(A)에, 베이스 편성포부의 베이스정보(7)의 일례를 표시부(4)에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베이스정보(7)에서는, 해칭(hatching)으로 나타내는 부분이 백스티치를 편성하기 위한 편성코드(7B), 백색의 부분이 프론트 스티치를 편성하기 위한 편성코드(7F)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레이 표시 데이터(9)의 입력화면으로 절환하여, 베이스 편성포부의 표면에 노출되는 인레이 선재(7I)의 위치·종류·수 등을 입력한다. 도2(B)에서는, 흑색으로 나타내는 영역이 베이스 편성포부의 표면에 노출된 인레이 선재를 나타내고 있다. 이 인레이 표시 데이터(9)는, 도2(A)의 베이스정보(7)와는 다른 독립된 데이터이다. 인레이 선재(7I)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폭 방향으로 신장하는 선재이기 때문에 인레이 표시 데이터(9)상에서는 지면(紙面)의 좌우방향으로 신장하는 가로막대에 의해 나타낸다. 도2(B)의 직사각형 모양의 인레이 패턴은, 인레이 선재(7I)를 나타내는 가로막대를 지면의 세로방향(베이스 편성포부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복수 배열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인레이 표시 데이터가 입력되면, 인레이정보 작성부(21A)는,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와 그 위치 및 비노출상태와 그 위치에 관한 인레이정보를 작성하여 인레이용 메모리(32)에 기억시킨다. 인레이 선재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표리(表裏)를 꿰매도록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베이스 편성포부의 앞쪽에 노출되는 부분은 인레이 선재 전체의 일부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도2(B)에 있어서 베이스 편성포부의 전폭(全幅)에 이르는 인레이 선재(7I)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직사각형의 인레이 패턴의 양쪽 사이드(점선으로 둘러싼 부분)에서는 인레이 선재(7I)가 베이스 편성포부의 뒤쪽에 배치되어 베이스 편성포부의 앞쪽에서 보이지 않는 비노출상태로 되어 있다. 즉 본 예의 인레이정보 작성부(21A)는, 유저가 입력한 인레이 표시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레이 표시 데이터에는 나타나지 않는 비노출상태의 인레이 선재의 위치를 구하여, 상기 인레이정보를 작성한다. 이 인레이정보에 의거하여 편성포의 뒤쪽에 있어서의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를 표시부(4)에 표시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변경판단부(21B)는, 인레이용 메모리(32)로부터 읽어낸 인레이 선재의 위치(이하 위치(α))와 베이스용 메모리(31)로부터 읽어낸 위치(α)에 대응하는 편성코드를 참조하여, 위치(α)에 있어서의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 또는 비노출상태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위치(α)의 편성코드를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의 순서를 도3의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플로차트의 설명의 전제로서,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되는 편성포에 있어서, 어떤 조건일 때에 인레이 선재가 베이스 편성포부의 앞쪽에 노출되거나 혹은 뒤쪽에 숨는지를 설명한다. 앞쪽 니들베드와 뒤쪽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의하여 평면모양의 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하고, 앞쪽 니들베드의 측에서 본 베이스 편성포부를 앞쪽으로 하는 경우에, 앞쪽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 뒤쪽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스티치는 백스티치로 된다. 한편 인레이 선재는, 앞쪽 니들베드와 뒤쪽 니들베드 사이에 공급되어 프론트 스티치와 백스티치에 끼워 넣음으로써 베이스 편성포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베이스 편성포부를 앞쪽에서 보았을 때에, 베이스 편성포부의 백스티치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인레이 선재가 베이스 편성포부의 앞쪽에 노출된다. 즉 인레이 선재를 공급했을 때에, 앞쪽 니들베드에 스티치가 있으면 인레이 선재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뒤쪽에 숨고, 뒤쪽 니들베드에 스티치가 있으면 인레이 선재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앞쪽에 노출된다. 그 외에, 베이스 편성포부에 메쉬 패턴(mesh pattern) 등을 형성하여 베이스 편성포부에 구멍이 형성되는 경우에, 그 구멍을 통하여 베이스 편성포부의 뒤쪽에 있는 인레이 선재가 보인 상태(노출된 상태)로 된다.
상기의 점을 근거로 하여 변경판단부(21B)는, 베이스용 메모리(31)로부터 베이스정보를 읽어내어, 베이스 편성포부에 있어서 임의의 편성단위를 선택한다(S10).
이어서 변경판단부(21B)는, 인레이용 메모리(32)로부터 인레이정보를 읽어내어, S10에서 선택한 편성단위와 동일한 위치에 인레이 선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 당해 편성단위의 위치에 인레이 선재가 없으면, 처리를 끝낸다.
한편 당해 편성단위의 위치에 인레이 선재가 있으면, 변경판단부(21B)는 편성코드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그 판단에 있어서는 당해 편성단위의 편성코드를 참조한다. 인레이정보에서 인레이 선재가 노출상태로서 규정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편성코드가 인레이 선재를 베이스 편성포부의 뒤쪽에 숨기는 것이라면, 편성코드를 변경하여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를 실현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인레이정보에서 인레이 선재가 비노출상태로서 규정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편성코드가 인레이 선재를 베이스 편성포부의 표면에 노출시키는 것이라면, 편성코드를 변경하여 인레이 선재의 비노출상태를 실현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변경의 필요가 없으면 처리를 끝낸다.
이어서 변경코드 특정부(21C)는, 변경판단부(21B)의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 혹은 비노출상태를 실현시키기 위한 변경용 편성코드를 특정한다(S13). 변경용 편성코드는 미리 참조용 메모리(33)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이용한다. 변경코드 특정부(21C)는, 참조용 메모리(33)로부터 읽어낸 복수의 변경용 편성코드의 선택사항을 표시부(4)에 표시하여, 변경용 편성코드로서 무엇을 선택할지를 유저에게 맡긴다. 노출상태(비노출상태)를 실현시키는 변경용 편성코드가 미리 설정된 단일의 것이라면, 변경코드 특정부(21C)는 자동적으로 그 단일의 변경용 편성코드를 선택한다.
노출상태를 실현시키기 위한 변경용 편성코드로서는, 예를 들면 백스티치를 편성하는 편성코드나, 트랜스퍼(transfer)를 사용한 편성코드를 들 수 있다. 비노출상태로 되는 인레이 선재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프론트 스티치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백스티치를 편성하고나서 인레이 선재의 배치를 하면, 백스티치의 전측(前側)(베이스 편성포부의 앞쪽)에 인레이 선재가 배치되어 인레이 선재가 노출상태로 된다. 또한 트랜스퍼를 사용한 편성코드에 의하여, 베이스 편성포부의 프론트 스티치를 앞쪽 니들베드로부터 뒤쪽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하고나서 인레이 선재의 배치를 하면, 프론트 스티치의 전측에 인레이 선재가 배치되어 인레이 선재가 노출상태로 된다.
한편 비노출상태를 실현시키기 위한 변경용 편성코드로서는, 예를 들면 프론트 스티치를 편성하는 편성코드나, 트랜스퍼를 사용한 편성코드, 스플릿 스티치(split stitch)를 사용한 편성코드를 들 수 있다. 노출상태로 되는 인레이 선재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백스티치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론트 스티치를 편성하고나서 인레이 선재의 배치를 하면, 프론트 스티치의 후측(後側)(베이스 편성포부의 뒤쪽)에 인레이 선재가 배치되어 인레이 선재가 비노출상태로 된다. 또한 트랜스퍼를 사용한 편성코드에 의하여, 베이스 편성포부의 백스티치를 뒤쪽 니들베드로부터 앞쪽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하고나서 인레이 선재의 배치를 하면, 백스티치의 후측에 인레이 선재가 배치되어 인레이 선재가 비노출상태로 된다. 스플릿 스티치를 사용한 편성코드는, (1) 앞쪽 니들베드의 편침 A에 결합되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스티치 X를 뒤쪽 니들베드의 편침 B(편침 A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편침)로 트랜스퍼함과 아울러, 트랜스퍼된 스티치 X로부터 인출되는 스티치 Y를 앞쪽 니들베드의 편침 A에 형성하는 스플릿 스티치를 하고, (2) 스티치 X와 스티치 Y 사이에 인레이 선재를 가로지르게 하고, (3) 스티치 X를 트랜스퍼해서 스티치 Y에 포개어 스티치 X와 스티치 Y 사이에 인레이 선재를 끼워 넣는다고 하는 세개의 조작을 함으로써, 인레이 선재를 베이스 편성포부에 고정하는 편성코드이다. 이 경우에 스티치 X와 스티치 Y의 사이에 끼워져 있는 인레이 선재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앞쪽에서도 뒤쪽에서도 보기 어려운 상태로 된다.
도3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처리를 베이스 편성포부의 모든 편성단위에 대하여 반복하고, 도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편성포부의 어느 위치의 편성코드를 어느 변경용 편성코드로 치환할 것인지에 관한 변환용 데이터(變換用 data)(8)를 작성한다. 변환용 데이터(8) 중에서 크로스 해칭(cross-hatching)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인레이 선재를 노출상태로 하는 변경용 편성 코드(8s), 세로선 해칭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인레이 선재를 비노출상태로 하는 변경용 편성 데이터(8h), 백색 사각형 부분은 변경용 편성코드가 아무것도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변환용 데이터(8)는, 선택사항 중에서 유저에 의해 특정된 변환용 편성코드에 의거하여 작성된다.
변환용 데이터(8)를 작성하면 코드변경 지령부(21D)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베이스정보에 의거하여 편성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변환용 데이터(8)를 참조해서 편성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편성데이터 작성부(20)에 지령을 보낸다. 구체적으로는 코드변경 지령부(21D)는, 베이스정보 중에서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위치의 기존의 편성코드를, 변경코드 특정부(21C)에 의하여 특정된 변경용 편성코드 대신에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편성데이터 작성부(20)에 지령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레이 표시 데이터에 의거하는 편성 데이터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본 예의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100)에 의하면, 유저는, 표시부(4)상에서 인레이 선재를 배치한 인레이 패턴만을 디자인하는 것으로 되어, 인레이 패턴을 구비하는 편성포를 용이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직접 인레이 패턴을 확인하면서 편성포의 디자인을 하기 때문에, 편성포의 시뮬레이션 화상을 작성하거나 실제로 편성을 하거나 하여 편성포의 마무리 상태를 확인하는 횟수를 대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인레이 표시 데이터의 작성순서>
본 예의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100)은, 기존의 베이스 편성포부에 대하여 인레이 선재를 배치하는 영역이 지정되었을 때에,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를 나타내는 인레이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 기능은, 편집부(2)의 제2처리부(22)에 구비되는 인레이 표시처리부(22A)가 담당하고 있다. 이하에서, 제2처리부(22)에 의한 인레이 표시 데이터의 작성순서를 설명한다. 그 설명에 있어서는, 도1의 블럭도에 추가로 도4의 설명도 및 인레이 표시 데이터의 작성순서를 나타내는 도5의 플로차트를 참조한다.
우선 상기한 편성 데이터의 작성순서와 마찬가지로 베이스정보 입력부(11)에 베이스 편성포부에 관한 베이스정보를 입력한다. 도4(A)에서는, 도2(A)에 나타나 있는 베이스정보(7)와 동일한 베이스정보(7)를 입력한 예를 나타낸다.
다음에 도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레이정보 입력부(12)를 통하여 인레이 선재(7I)의 노출상태를 특정하지 않고, 베이스 편성포부에 있어서의 인레이 선재를 배치하는 영역을 입력한다. 입력된 정보는 영역정보용 메모리(34)에 기억된다.
베이스정보와 인레이정보를 취득한 제2처리부(22)의 인레이 표시처리부(22A)는, 베이스용 메모리(31)로부터 읽어낸 베이스정보와, 영역정보용 메모리(34)로부터 읽어낸 인레이정보를 사용해서 복수의 표시단위로 이루어지는 인레이 표시 데이터를 작성한다. 그 인레이 표시 데이터의 작성순서를 도5의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인레이 표시처리부(22A)는, 베이스용 메모리(31)로부터 베이스정보를 읽어내어, 베이스 편성포부에 있어서 임의의 편성단위를 선택한다(S20).
이어서 인레이 표시처리부(22A)는, 영역정보용 메모리(34)로부터 인레이정보를 읽어내어, S20에서 선택한 편성단위와 동일한 위치에 인레이 선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 당해 편성단위의 위치에 인레이 선재가 없으면, 선택한 편성단위에 대응하는 인레이 표시 데이터의 표시단위에 백색(白色)을 할당한다(S24).
한편 당해 편성단위의 위치에 인레이 선재가 있으면, 인레이 표시처리부(22A)는, 그 인레이 선재가 베이스 편성포부의 앞쪽에 노출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그 판단에 있어서는 당해 편성단위의 편성코드를 참조한다. 예를 들면 참조한 편성코드가 횡편기에 프론트 스티치를 편성시키는 것이라면, 인레이 표시처리부(22A)는, 인레이 선재는 프론트 스티치의 뒤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베이스 편성포부의 앞쪽에 노출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인레이 표시 데이터에 있어서의 선택한 편성단위에 대응하는 표시단위에 백색을 할당한다(S24).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참조한 편성코드가 횡편기에 백스티치를 편성시키는 것이라면, 인레이 표시처리부(22A)는, 인레이 선재는 백스티치의 앞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베이스 편성포부의 앞쪽에 노출된다고 판단하여, 선택한 편성단위에 대응하는 인레이 표시 데이터의 표시단위에 흑색(黑色)을 할당한다(S23). 여기에서 표시단위에 할당하는 색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인레이 선재의 노출부분과 비노출부분이 구분될 수 있도록 표시단위에 할당하는 색을 선택한다.
도5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처리를 베이스 편성포부의 모든 편성단위에 대하여 반복하여,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가 나타내어진 인레이 표시 데이터를 작성한다. 예를 들면 도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편성포부의 베이스정보(7)에, 그 좌우방향의 전폭에 이르는 인레이 선재(7I)를 배치하였을 경우에, 도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인레이 표시 데이터(9)가 작성된다. 이 인레이 표시 데이터(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편성포부에 배치된 인레이 선재 중에서, 베이스 편성포부가 백스티치로 되어 있는 부분에만, 인레이 선재가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제1처리부(21)에 의하여, 도4(C)에 나타나 있는 인레이 표시 데이터(9)를 고려한 편성 데이터를 작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베이스 편성포부에 있어서의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를 인레이 표시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으면, 과거에 작성된 베이스정보를 이용하여 신규의 인레이 패턴에 관한 인스퍼레이션(inspiration)이 얻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도4(D)의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레이 표시 데이터에 인레이 선재(7I)의 노출부분을 더 추가하더라도 좋아, 인레이 패턴의 디자인의 자유도(自由度)는 매우 높다.
≪인레이 선재의 비고정부의 고정≫
또한 본 예의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100)은, 인레이 선재 중에서 베이스 편성포부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비고정부분이 베이스 편성포부에 고정되는 편성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 기능은 편집부(2)의 제3처리부(23)가 담당하고 있다. 이하에서, 제3처리부(23)에서 이루어지는 처리에 대해서 도1의 블럭도와 도6의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고정상태 판정부(23A)는, 인레이 선재 중에서 베이스 편성포부의 뒤쪽에 배치되고 또한 베이스 편성포부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비고정부분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30). 그 판정에는, 베이스용 메모리(31)로부터 읽어낸 각 편성단위의 편성코드와, 인레이용 메모리(32)로부터 읽어낸 인레이 선재의 위치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비고정부분의 길이가, 10개 이상의 편성단위에 이르는 길이인지를 판정한다. 판정의 결과, 비고정부분의 길이가 9개 이하의 편성단위에 이르는 길이라면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에서 몇 개분의 편성단위를 판정의 기준으로 할지는, 편사의 굵기나 횡편기의 게이지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하면 되고,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상태 판정부(23A)에 의하여 비고정부분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고정처리 결정부(23B)는 인레이 선재의 비고정부분을 베이스 편성포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편성코드를 결정한다(S31). 고정용 편성코드라는 것은, 베이스 편성포부에 인레이 선재를 고정하기 위한 편성코드로서, 미리 정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참조용 메모리(33)에 고정용 편성코드를 기억시켜 둔다.
상기 고정용 편성코드로서, 대표적으로는 이하에 나타나 있는 세개의 편성코드를 들 수 있다. 고정처리 결정부(23B)가 어떤 고정용 편성코드를 사용할지에 대해서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100)의 초기설정에서 유저가 선택하면 된다. 물론 시스템의 설정 화면에서, 사용하는 고정용 편성코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
[턱(tuck)을 하는 편성코드]
베이스 편성포부의 스티치에 인레이 선재를 턱에 의해 고정시키는 편성코드. 이 경우에 인레이 선재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앞쪽에서 보기 어려운 상태로 된다.
[트랜스퍼를 하는 편성코드]
(1) 앞쪽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뒤쪽 니들베드로 트랜스퍼하고, (2) 트랜스퍼된 스티치에 인레이 선재를 가로지르게 하고, (3) 트랜스퍼된 스티치를 앞쪽 니들베드로 되돌린다고 하는 세개의 조작을 함으로써, 인레이 선재가 베이스 편성포부의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 빠지고, 다시 뒤쪽으로 빠지도록 해서 인레이 선재를 베이스 편성포부에 고정시키는 편성코드. 이 경우에 인레이 선재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앞쪽에 나타난다. 편성포 전체의 디자인에 따라서는, 이 앞에 나타난 부분을 편성포의 디자인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스플릿 스티치를 하는 편성코드]
스플릿 스티치를 하는 편성코드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이 끝났다. 이 경우에 인레이 선재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앞쪽에서도 뒤쪽에서도 보기 어려운 상태로 된다.
또한 고정처리 결정부(23B)는, 소정의 길이 이상의 비고정부분의 어느 위치를 베이스 편성포부에 고정할지를 결정한다(S32). 예를 들면 고정하는 위치는, 비고정부분의 중앙 혹은 그 근방의 위치이더라도 좋고, 소정의 수 간격(예를 들면 1∼3개 간격)의 위치이더라도 좋다. 이 비고정부분의 위치에 관해서도, 시스템의 초기설정이나 그 후의 설정변경에 있어서 유저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해 두면 좋다. 또 고정용 편성코드의 결정과 고정위치의 결정의 순서는 어느 쪽이 먼저이더라도 좋다.
도6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처리를 모든 비고정부분에 대하여 반복하여, 고정처리를 위한 변환용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 변환용 데이터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어느 위치에서 어떤 고정방법으로 인레이 선재를 고정하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변환용 데이터가 얻어지면 고정처리 지령부(23C)는, 편성데이터 작성부(20)에 의해 편성 데이터가 작성될 때에, S32에서 결정한 위치에 대응하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코드를 고정용 코드 대신에 편성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편성데이터 작성부(20)에 지령한다.
또한 표시부(4)를 통하여 변환용 데이터를 유저에게 통지하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고정처리 결정부(23B)가 선택한 고정용 편성코드를, 유저가 다른 고정용 편성코드로 변경하더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트랜스퍼를 하는 편성코드의 경우에, 베이스 편성포부에 인레이 선재를 고정한 위치에서 인레이 선재가 베이스 편성포부의 앞쪽에 노출된다. 그 노출이 편성포 전체의 디자인을 손상시킨다고 유저가 판단한 것이라면, 유저가 트랜스퍼를 사용한 편성코드를, 턱을 사용한 편성코드 혹은 스플릿 스티치를 사용한 편성코드로 변경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3처리부(23)에 의하면,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100)에 의하여 작성된 편성 데이터를 사용해서 편성포를 제작했을 때에, 인레이 선재의 비고정부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편성포의 인레이 선재가 지나치게 길면, 편성포의 사용시에 인레이 선재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걸려서 편성포가 손상되는 등의 결함이 발생될 우려가 있지만, 인레이 선재의 비고정부분을 짧게 함으로써 그러한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스웨터(sweater) 등의 니트웨어(knitwear)에서는, 니트웨어의 내측에 있어서의 인레이 선재의 비고정부분을 짧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100 ;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1 ; 입력부
11 ; 베이스정보 입력부
12 ; 인레이정보 입력부
2 ; 편집부
20 ; 편성데이터 작성부
21 ; 제1처리부
21A ; 인레이정보 작성부
21B ; 변경판단부
21C ; 변경코드 특정부
21D ; 코드변경 지령부
22 ; 제2처리부
22A ; 인레이 표시처리부
23 ; 제3처리부
23A ; 고정상태 판정부
23B ; 고정처리 결정부
23C ; 고정처리 지령부
3 ; 메모리
31 ; 베이스용 메모리
32 ; 인레이용 메모리
33 ; 참조용 메모리
34 ; 영역정보용 메모리
4 ; 표시부
7 ; 베이스정보
7F ; 프론트 스티치를 편성하기 위한 편성코드
7B ; 백스티치를 편성하기 위한 편성코드
7I ; 인레이 선재
8 ; 변환용 데이터
8s ; 인레이 선재를 노출상태로 하는 변경용 편성코드
8h ; 인레이 선재를 비노출상태로 하는 변경용 편성코드
9 ; 인레이 표시 데이터

Claims (4)

  1. 유저(user)가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의 편성단위(編成單位)의 위치와 그 편성단위에 있어서의 편성코드(編成code)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베이스정보를 입력하는 베이스정보 입력부(base情報 入力部)와,
    상기 베이스정보를 기억하는 베이스용 메모리(base用 memory)와,
    상기 베이스정보에 의거하는 표시 데이터(表示 data)를 표시하는 표시부(表示部)와,
    상기 베이스정보에 의거하여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를 작성하는 편성데이터 작성부(編成data 作成部)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design system)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일면(一面)측에서의 인레이 선재(inlay 線材)의 노출상태와 위치를 포함하는 인레이 표시 데이터를 입력하는 인레이정보 입력부(inlay情報 入力部)와,
    상기 인레이 표시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와 그 위치 및 비노출상태와 그 위치에 관한 인레이정보를 작성하는 인레이정보 작성부와,
    상기 인레이정보를 기억하는 인레이용 메모리와,
    상기 인레이용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상기 인레이 선재의 위치와 상기 베이스용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편성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 또는 비노출상태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상기 위치의 편성코드를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변경판단부(變更判斷部)와,
    상기 위치의 편성코드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그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 혹은 비노출상태를 실현시키기 위한 변경용 편성코드를 특정하는 변경코드 특정부(變更code 特定部)와,
    상기 위치의 기존의 편성코드를, 상기 특정된 변경용 편성코드 대신에 상기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상기 편성데이터 작성부에 지령하는 코드변경 지령부(code變更 指令部)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코드 특정부는, 복수의 상기 변경용 편성코드의 선택사항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특정된 변경용 편성코드는, 상기 선택사항 중에서 선택된 변경용 편성코드인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레이정보 입력부는 또한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일면측에서의 상기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를 특정하지 않고,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에 있어서의 상기 인레이 선재를 배치하는 영역을 입력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인레이 선재를 배치하는 영역에 관련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영역정보용 메모리와,
    상기 베이스용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각 편성단위의 편성코드와 상기 영역정보용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상기 인레이 선재의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일면측에서의 상기 인레이 선재의 노출상태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노출상태를 반영시킨 상기 인레이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인레이 표시처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용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각 편성단위의 편성코드와 상기 인레이용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상기 인레이 선재의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인레이 선재 중에서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비고정부분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고정상태 판정부와,
    상기 비고정부분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 이상이다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비고정부분의 어느 위치를 베이스 편성포부에 고정할지를 결정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에 상기 인레이 선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편성코드를 결정하는 고정처리 결정부와,
    상기 비고정부분을 고정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편성코드를, 상기 고정용 편성코드 대신에 편성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상기 편성데이터 작성부에 지령하는 고정처리 지령부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KR1020150079043A 2014-06-13 2015-06-04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KR101753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22387 2014-06-13
JP2014122387A JP6139470B2 (ja) 2014-06-13 2014-06-13 編地のデザイン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317A true KR20150143317A (ko) 2015-12-23
KR101753628B1 KR101753628B1 (ko) 2017-07-04

Family

ID=5379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043A KR101753628B1 (ko) 2014-06-13 2015-06-04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955258B1 (ko)
JP (1) JP6139470B2 (ko)
KR (1) KR101753628B1 (ko)
CN (1) CN105274720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6990B2 (ja) 1993-08-31 1999-07-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ペイントシステム及びニットペイン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6100472B (zh) * 1986-01-22 1988-09-07 李守谦 纬编衬经衬纬毛圈织物及其编织方法和设备
JP2656405B2 (ja) * 1991-09-17 1997-09-24 旭化成工業株式会社 ニットデザインシステムおよびその編成データの作成方法
DE4431898A1 (de) * 1994-09-07 1996-03-14 Scheller Gmbh Einrichtung zur Entwicklung eines Steuerprogramms für eine Strick- oder Wirkmaschine
EP1165872A1 (en) * 1999-03-02 2002-01-02 INVISTA Technologies S.à.r.l. Stitched pile surface structure and process and system for producing the same
JP2007277738A (ja) * 2006-04-03 2007-10-25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デザイン装置
CN101952497B (zh) * 2008-03-12 2012-06-20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针织物设计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6990B2 (ja) 1993-08-31 1999-07-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ペイントシステム及びニットペイン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39470B2 (ja) 2017-05-31
CN105274720A (zh) 2016-01-27
KR101753628B1 (ko) 2017-07-04
EP2955258A1 (en) 2015-12-16
CN105274720B (zh) 2017-04-12
EP2955258B1 (en) 2021-09-29
JP2016003403A (ja) 201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863B1 (ko) 니트 디자인 방법 및 장치
EP1900862B1 (en) Knit simulation device, knit simulation method, and program therefor
US6895787B2 (en) Knit design method and apparatus
US7127321B2 (en) Device for designing tubular knot fabric and method of designing
JP5161297B2 (ja) 編地のデザインシステム
EP2921581B1 (en) Knit design system and knit design method
KR101753628B1 (ko)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KR20160008465A (ko) 케이블 패턴의 편성방법,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및 기억매체
EP2189560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bugging knit design and debug program
JPWO2007058124A1 (ja) ボーダー柄のデザイン装置とデザイン方法とデザインプログラム
JPH09111620A (ja) 編地デザインシステムにおける編目画像の表示方法
EP2492384B1 (en) Knit design apparatus and knit design method
EP2211283A1 (en) Knitting design device, kintting design method and kintting design program
JP2000027055A (ja) デザイン装置
EP2042631B1 (en) Simulation device, simulation method and simulation program of tubular fabric
JP7204583B2 (ja) ニットデザインシステム
EP2042632B1 (en) Simulation device, simulation method and simulation program of tubular fabric
KR102319170B1 (ko)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