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170B1 -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170B1
KR102319170B1 KR1020190170380A KR20190170380A KR102319170B1 KR 102319170 B1 KR102319170 B1 KR 102319170B1 KR 1020190170380 A KR1020190170380 A KR 1020190170380A KR 20190170380 A KR20190170380 A KR 20190170380A KR 102319170 B1 KR102319170 B1 KR 102319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unit
design
design data
st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1252A (ko
Inventor
요시유키 사카이
가즈키 야스다
마사유키 미나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0008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8Electric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3/00Detail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field
    • G06F2113/12Cl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디자인 데이터에 있어서의 편성포의 편성과정의 전체상을 파악하기 쉬운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은, 디자인 시트를 표시하는 표시부(4)와, 디자인 시트의 각 편성단위에 편성코드를 입력하는 입력부(1)와, 디자인 시트에 의거하여 디자인 데이터를 작성하는 디자인 데이터 작성부(21)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디자인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각 편성단위의 스티치의 니들베드 상에 있어서의 이동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23A)와, 상기 이동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자인 데이터의 시단으로부터 종단을 향하여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스티치의 연결상태에 관한 연결정보를 구하는 도출부(23B)와, 상기 연결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자인 시트에 포개어 상기 연결상태를 선화로 상기 표시부(4)에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 조정부(2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DESIGN SYSTEM FOR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횡편기로 편성하는 편성포를 디자인하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모니터 상에서 편성포를 디자인하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의 니트 페인트 시스템을 참조). 이와 같은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서는,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디자인 시트에 유저가 편성코드를 적용시킴으로써 편성포를 디자인한다. 디자인 시트는, 횡편기의 니들베드의 각 편침에 대응하는 복수의 편성단위를 가로방향으로 배열한 편성코스를 세로방향으로 복수 단 배열한 그리드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은, 편성코드가 할당된 디자인 시트에 의거하여, 디자인 시트에 있어서의 각 편성단위의 위치 및 그 위치에 있는 편성코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디자인 데이터를 작성한다. 또한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은, 그 디자인 데이터에 의거하여, 횡편기에서 편성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편성 데이터를 작성한다.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편성포의 디자인을 보조하는 기능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2에 기재되어 있는 니팅 어시스트 또는 특허문헌3에 기재되어 있는 루프 시뮬레이션 등이 있다. 니팅 어시스트에서는, 디자인 데이터에 의거하는 편성을 할 때에 실끊어짐 등으로 편성을 계속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을 유저에게 알린다. 그 예로서는, 예를 들면 디자인 데이터에 있어서 1개의 스티치에 대한 트랜스퍼의 횟수 및 인접하는 스티치의 간격 등이 허용값을 초과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루프 시뮬레이션은, 디자인 데이터에 의거하여 편성되는 편성포의 시뮬레이션 화상을 모니터에 표시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7-119004호 공보 국제공개 WO 2009/034910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120501호 공보
종래의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서는, 편성포의 편성과정의 전체상(全體像)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예를 들면 니팅 어시스트에 의하여 편성의 계속성에 문제가 없는 디자인 데이터이더라도, 루프 시뮬레이션으로 편성포의 완성도를 확인하였을 때에 패턴이 흐트러지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편성포의 편성과정의 전체상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에, 그 패턴의 흐트러짐이 편성과정의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어 생기는 것인지를 특정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 중의 하나는, 디자인 데이터에 있어서의 편성포의 편성과정의 전체상을 파악하기 쉬운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編成布)의 디자인 시스템은,
횡편기(橫編機)의 니들베드(needle bed)의 각 편침(編針)에 대응하는 복수의 편성단위를 가로방향으로 배열한 편성코스를 세로방향으로 복수 단(段) 배열한 그리드상(grid狀)의 디자인 시트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디자인 시트의 상기 편성단위에 대하여 유저가 편성코드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입력부와,
상기 편성코드가 할당된 상기 디자인 시트에 의거하여, 상기 디자인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각 편성단위의 위치 및 그 위치에 있는 상기 편성코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디자인 데이터를 작성하는 디자인 데이터 작성부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각 편성단위의 스티치의 상기 니들베드 상에 있어서의 이동경로 및 최종적인 이동장소에 관한 이동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이동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자인 데이터의 시단(始端)으로부터 종단(終端)을 향하여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연속하는 스티치의 연결상태에 관한 연결정보를 구하는 도출부와,
상기 연결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자인 시트에 포개어 상기 연결상태를 선화(線畵)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 조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의 일형태로서,
상기 표시 조정부는, 상기 디자인 데이터에 있어서의 웨일방향으로 연결되는 시단 스티치와 종단 스티치의 사이를 일직선으로 연결하여 표시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의 일형태로서,
상기 표시 조정부는, 상기 디자인 데이터에 있어서의 웨일방향으로 연결되는 시단 스티치로부터 종단 스티치에 걸쳐 편성폭방향(編成幅方向)의 스티치의 이동궤적을 표시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의 일형태로서,
상기 디자인 데이터가 편성포의 일부를 편성하기 위한 부분 디자인 데이터인 경우에,
상기 도출부는, 상기 부분 디자인 데이터의 시단 전에 상기 부분 디자인 데이터의 편성폭보다도 넓은 범위에 걸쳐 가상 스티치가 있는 상태를 가정하여 상기 연결정보를 구함과 아울러, 소정의 수 이상의 상기 편성코스를 거쳐 상기 편성코드가 설정되지 않은 상기 가상 스티치는 상기 연결정보로부터 삭제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 의하면, 디자인 데이터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웨일방향의 연결상태가 디자인 시트 상에 표시되기 때문에, 그 연결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스티치의 웨일방향의 연결을 보면, 편성과정의 전체상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디자인 데이터에 의거하는 편성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쉽다.
웨일방향으로 연결되는 시단 스티치와 종단 스티치의 사이를 일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시단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스티치가 최종적으로 어디에 도달하는지를 파악하기 쉽다. 그 때문에, 스티치의 로테이션(rotation)의 상태 등을 파악하기 쉬워진다. 또한 편성에 관여하지 않고 고립되어 있는 스티치 등을 발견하기 쉽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표시부에 편성폭방향의 스티치의 이동궤적을 표시함으로써, 편성포의 어느 위치에서 스티치의 편성폭방향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인접하는 스티치의 간격이 크게 벌어져 있는 장소 등 특징적인 편성을 하고 있는 장소를 파악하기 쉬워진다. 인접하는 스티치의 간격이 크게 벌어져 있는 장소를 특정할 수 있으면, 실끊어짐이 생기지 않도록 디자인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루프 시뮬레이션의 결과로부터는, 편성 도중에 인접하는 스티치의 간격이 크게 벌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없다.
편성포의 일부를 편성하기 위한 부분 디자인 데이터에 대하여 가상 스티치를 설정함으로써, 부분 디자인 데이터의 편성과정의 전체상을 파악할 수 있다. 부분 디자인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1개의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한 기존의 디자인 데이터로부터 조직패턴의 형성에 대응하는 부분을 뽑아낸 것 등을 들 수 있다.
도1은, 실시형태1의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2는, 스티치의 웨일방향의 연결상태를 일직선으로 묘화한 디자인 시트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웨일방향으로 연결되는 스티치의 이동궤적을 묘화한 디자인 시트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4베드 횡편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연결상태의 묘화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실시형태2에서 설명하는 웨일방향으로 연결되는 스티치의 이동궤적을 묘화한 디자인 시트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도5와는 다른 디자인 시트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의 (A), (B)는, 실시형태3에서 설명하는 부분 디자인 데이터로부터 스티치의 연결상태를 묘화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편성포(編成布)의 디자인 시스템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1〉
《전체구성》
도1의 기능 블록도에 나타내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100)은, 입력부(1)와, 편집부(2)와, 메모리(3)와, 표시부(4)를 구비한다.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100)은, 유저가 표시부(4) 상에서 편성포를 디자인하고, 그 디자인한 편성포를 횡편기(橫編機)로 편성시키기 위한 편성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것이다.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100)은, 2베드 횡편기나 4베드 횡편기 등 모든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성포의 디자인에 이용할 수 있다. 이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100)의 특징 중의 하나로서, 디자인한 편성포에 있어서의 웨일방향의 스티치의 연결상태를 표시부(4)에 표시하여, 그 연결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하에,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100)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입력부》
입력부(1)는, 유저가 디자인 데이터를 편집할 때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또는 디지타이저 등의 형태로 구성된다. 본 예에서는, 입력부(1)는 표시부(4)에 표시되는 디자인 시트에 편성코드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여기에서 표시부(4)에 표시되는 디자인 시트는, 횡편기의 니들베드(needle bed)의 각 편침(編針)에 대응하는 복수의 편성단위를 가로방향으로 배열한 편성코스를 세로방향으로 복수 단(段) 배열한 그리드상(grid狀)의 프레임으로 되어 있다. 편성단위는, 도2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그리드상의 프레임(디자인 시트(6))의 1칸으로서, 하나의 편성코드가 할당되는 단위이다. 이 디자인 시트의 가로방향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복수의 편침이 병렬하는 방향)에 대응한다. 한편 디자인 시트의 세로방향은, 편성 시의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시간축이다. 세로방향은, 대체로 편성포의 웨일방향에 대응한다고 생각하여도 좋다.
디자인 시트는, 스티치값(stitch value) 및 니들베드의 래킹 피치 등을 설정하는 추가 시트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스티치값은, 스티치를 형성할 때의 편침의 인하량을 말하는 것이며, 스티치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스티치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래킹 피치는, 횡편기의 앞쪽 니들베드에 대한 뒤쪽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이동량을 말한다. 니들베드의 래킹은, 스티치를 편성폭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등에 사용된다.
각 편성단위에 입력되는 편성코드는, 횡편기에서 행해지는 편성동작을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표현된 아이콘이다. 예를 들면 편성코드는, 색, 숫자, 도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표현된다. 편성코드에 대응하는 편성동작은 미리 정해져 있다. 예를 들면 적색으로 나타내는 편성코드는 횡편기로 프론트 스티치를 편성시키는 편성코드, 녹색으로 나타내는 편성코드는 횡편기로 백 스티치를 편성시키는 편성코드를 이르도록 규정된다. 물론 하나의 편성코드에 복수의 편성동작이 규정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론트 스티치를 편성하고, 그 프론트 스티치를 대향하는 니들베드로 이동시킨다고 하는 편성코드를 들 수 있다. 이들 편성코드는, 후술하는 메모리(3)의 참조용 메모리(33)에 기억되어 있다.
《편집부》
편집부(2)는, 편성포의 디자인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능을 가지며, 예를 들면 컴퓨터로 구성할 수 있다. 이 편집부(2)는, 디자인 데이터 작성부(21)와, 편성 데이터 작성부(22)와, 연결 데이터 작성부(23)와, 표시 조정부(24)를 구비한다.
[디자인 데이터 작성부]
디자인 데이터 작성부(21)는, 디자인 시트에 의거하여, 디자인 시트에 있어서의 각 편성단위의 위치 및 그 위치에 있는 편성코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디자인 데이터를 작성한다. 즉 디자인 데이터는 복수의 편성코드의 집합체로서, 각 편성코드의 실행순서가 규정된 데이터이다. 이 디자인 데이터 작성부(21)는, USB 메모리 등으로부터 읽은 기존의 디자인 데이터에 의거하여, 편성코드가 각 장소에 배치된 새로운 디자인 시트를 작성할 수도 있다.
[편성 데이터 작성부]
편성 데이터 작성부(22)는, 디자인 데이터에 의거하여 횡편기에서 편성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편성 데이터를 작성한다. 편성 데이터는, 실제의 편침의 동작, 캐리지의 이동 및 편사의 송출절차 등이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다. 편성 데이터는, USB 메모리 등의 기록매체, 유선 또는 무선 등을 통하여 횡편기로 보내진다. 이 편성 데이터는, 편성포의 시뮬레이션 화상의 작성에 이용할 수도 있다.
[연결 데이터 작성부]
연결 데이터 작성부(23)는, 데이터 추출부(23A)와 도출부(23B)를 구비하고, 디자인 데이터로부터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스티치의 연결상태를 구한다. 데이터 추출부(23A)는, 디자인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편성단위의 스티치의 니들베드 상에 있어서의 이동경로 및 최종적인 이동장소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스티치의 최종적인 이동장소』는, 편성코드에 규정된 편성동작을 실행한 후에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는 편침의 위치이다. 스티치를 일시적으로 맡겨 두는 편침의 위치는, 『이동경로의 정보』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어느 편성단위에 있어서 앞쪽 니들베드의 편침(A)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앞쪽 니들베드의 2바늘만큼 왼쪽 옆의 편침(C)으로 이동시키는 편성코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스티치를 뒤쪽 니들베드의 편침에 일단 맡겨 둔 후에 뒤쪽 니들베드를 래킹하고, 그 다음에 앞쪽 니들베드의 편침(C)으로 스티치를 이동시킨다. 데이터 추출부(23A)는, 이 뒤쪽 니들베드의 편침을 경유하였다는 정보(이동경로의 정보) 및 앞쪽 니들베드의 편침(C)에 결합되었다는 정보(최종적인 이동장소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메모리(3)의 이동정보용 메모리(31)에 기억시킨다. 데이터 추출부(23A)는, 모든 편성단위에 대하여 이동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에서, 스티치가 이동하지 않는다는 정보도 이동정보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앞쪽 니들베드의 편침(A)에 결합되는 구스티치(舊stitch)에 프론트 스티치를 편성하는 편성코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프론트 스티치는 앞쪽 니들베드의 편침(A)에 결합된다. 이 경우에 최종적인 스티치의 이동장소는, 편성코드를 실행하기 전과 동일한 편침이다.
도출부(23B)는, 이동정보용 메모리(31)에 기억된 이동정보 중에서 스티치의 최종적인 이동장소의 정보에 의거하여, 디자인 데이터의 시단(始端)으로부터 종단(終端)을 향하여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스티치의 연결상태에 관한 연결정보를 구한다. 예를 들면 시단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1신스티치가 편성된 경우에, 도출부(23B)는 시단 스티치와 제1신스티치가 웨일방향으로 연속한다는 정보를 작성한다. 또한 도출부(23B)는, 이동정보에 의거하여 제1신스티치의 이동장소를 찾고, 그 제1신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2신스티치가 편성된 경우에, 시단 스티치와 제1신스티치와 제2신스티치가 웨일방향으로 연속한다는 정보를 작성한다. 도출부(23B)는, 이 조작을 종단 스티치까지 반복하고, 시단 스티치로부터 종단 스티치를 향하여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스티치의 연결상태에 관한 연결정보를 작성하여, 연결정보용 메모리(32)에 기억시킨다. 이 도출부(23B)는, 디자인 데이터의 모든 시단 스티치에 대하여 동일한 조작을 하여, 각 시단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스티치의 연결상태에 관한 연결정보를 작성한다.
[표시 조정부]
표시 조정부(24)는, 편집부(2) 내에 구축되는 디자인 데이터와 대응하는 디자인 시트가 표시부(4)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표시 조정부(24)는, 연결정보용 메모리(32)에 기억된 연결정보에 의거하여 스티치의 웨일방향의 연결상태를 선화(線畵)로 나타내고, 디자인 시트에 포개어 표시부(4)에 표시되도록 한다. 선화로서는, 직선을 연결한 것이나 화살표 등의 기호를 직선상으로 배열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앞쪽 니들베드에 속한 선화의 색과 뒤쪽 니들베드에 속한 선화의 색을 다르게 하여도 좋다. 연결상태의 구체적인 묘화형태(描畵形態)로서, 이하의 2개의 형태를 들 수 있다.
[[제1묘화형태]]
제1묘화형태를 도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2에 디자인 시트(6)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2에서는, 디자인 시트(6)의 모눈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점선으로 나타내는 사각형의 프레임이 편성단위(6u)이고, 디자인 시트(6)는, 편성단위(6u)가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편성코스(60)가 세로방향으로 복수 단 배열되어 구성되어 있다. 편성단위(6u)에 입력된 루프형상은, 프론트 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성코드이다. 상방을 향하는 화살표는, 앞쪽 니들베드로부터 뒤쪽 니들베드로 스티치를 이동시키는 편성코드이다. 『2P』가 기재된 하방으로 경사진 화살표는, 뒤쪽 니들베드를 2피치 이동시키고, 뒤쪽 니들베드로부터 앞쪽 니들베드로 스티치를 이동시키는 편성코드이다. 도2에서는, 통모양 편성포의 앞쪽 편성포부의 편성코드만을 나타내고 있고, 뒤쪽 편성포부의 편성코드는 표시하지 않고 있다. 즉 편성코드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편성코스(60)에는, 뒤쪽 니들베드의 편성코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생각하여도 좋다.
도2에서는, 디자인 데이터의 시단 스티치(7s)와 종단 스티치(7e)를 직사각형으로 나타내고, 시단 스티치(7s)와 종단 스티치(7e)를 일직선으로 연결하여 표시하고 있다. 이 묘화형태에 의하면, 시단 스티치(7s)로부터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되는 스티치가 최종적으로 어느 위치로 이동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기 쉽다. 그 때문에, 디자인 데이터에 있어서의 편성의 오류를 발견하기 쉽다. 예를 들면 도2의 하측에서부터 7단째의 좌단(左端)의 편성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잊어버린 경우에, 좌단에 있는 시단 스티치(7s)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직선으로 연장되는 선화가 표시되기 때문에, 편성코드의 설정에 오류가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서 뒤쪽 편성포부의 연결상태도 도2에 표시하는 경우에, 시단 스티치(7s) 및 종단 스티치의 오른쪽 옆에 뒤쪽 편성포부의 시단 스티치와 종단 스티치를 배치하고, 뒤쪽 편성포부에 있어서의 연결상태를 선화로 나타내면 좋다.
[[제2묘화형태]]
제2묘화형태를 도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3의 디자인 시트(6)는, 도2와 동일하다. 도3에서는, 디자인 데이터에 있어서의 웨일방향으로 연결되는 시단 스티치(7s)로부터 종단 스티치(7e)에 걸쳐 편성폭방향의 스티치의 이동궤적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3에서는, 스티치가 겹치는 장소를 검은색 동그라미로 나타내고 있다. 이 묘화형태에 의하면, 인접하는 스티치의 간격이 크게 벌어져 있거나 더블 스티치를 이동시키고 있다고 하는 실끊어짐의 가능성이 있는 편성을 파악하기 쉽다.
《메모리》
메모리(3)는, 이동정보를 기억하는 이동정보용 메모리(31)와, 연결정보를 기억하는 연결정보용 메모리(32)와, 편성코드를 기억하는 참조용 메모리(33)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는, 메모리(3)의 일부의 영역으로 각 메모리(31)∼(33)가 구성되고 있다. 물론 메모리(3)는, 편성포의 디자인에 관계하는 기타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표시부》
표시부(4)는, 편성포의 디자인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하는 정보로서는, 상기한 디자인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표시부(4)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표시부(4)로서 터치패널을 이용하면, 표시부(4)가 입력부(1)의 역할의 일부를 담당하도록 할 수 있다.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100)에 의하면, 도2,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포의 웨일방향의 연결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편성포의 편성과정의 전체상을 파악하기 쉬워, 디자인 데이터에 의거하는 편성과정의 문제점을 발견하기 쉽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1에서는, 스티치의 최종적인 이동장소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스티치의 웨일방향의 연결상태를 묘화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이에 대하여 실시형태2에서는, 스티치의 최종적인 이동장소만이 아니라, 최종적인 이동장소에 이르는 도중의 스티치의 이동경로의 정보를 가미한 연결상태를 묘화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4는, 디자인 시트(6)의 편성단위(6u)의 확대도이다. 도4에는, 앞쪽 편성포부의 시단 스티치(7s)와 뒤쪽 편성포부의 시단 스티치(8s)가 나타나 있다. 각 시단 스티치(7s, 8s)로부터 연장되는 이점쇄선은, 스티치가 결합되는 니들베드에 따른 연결상태의 묘화루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는, 하부 앞쪽 니들베드(FD), 하부 뒤쪽 니들베드(BD), 상부 앞쪽 니들베드(FU) 및 상부 뒤쪽 니들베드(BU)를 구비하는 4베드 횡편기의 묘화루트가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스티치가 하부 앞쪽 니들베드(FD)에 결합되는 동안에는, 연결상태의 직선은 도면 중의 좌측에서부터 2번째의 이점쇄선의 묘화루트 위를 따라 묘화된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4베드 횡편기에 있어서는, 하부 앞쪽 니들베드(FD)에 결합되는 스티치는, 하부 뒤쪽 니들베드(BD) 또는 상부 뒤쪽 니들베드(BU)로 이동시킬 수 있지만, 상부 앞쪽 니들베드(FU)로 이동시킬 수는 없다. 하부 뒤쪽 니들베드(BD)에 결합되는 스티치는, 하부 앞쪽 니들베드(FD) 또는 상부 앞쪽 니들베드(FU)로 이동시킬 수 있지만, 상부 뒤쪽 니들베드(BU)로 이동시킬 수는 없다. 또한 상부 앞쪽 니들베드(FU)와 상부 뒤쪽 니들베드(BU)의 사이에서 스티치의 이동은 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기구(機構)를 감안하여,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단 스티치(7s)로부터 시단 스티치(8s)를 향하여 상부 뒤쪽 니들베드(BU), 하부 앞쪽 니들베드(FD), 하부 뒤쪽 니들베드(BD), 상부 앞쪽 니들베드(FU)의 순으로 묘화루트를 배열함으로써, 연결상태의 직선이 매우 보기 쉬워진다. 도4의 묘화루트에 따라 연결상태를 묘화한 예를 도5,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5에서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 추가 시트에 있어서 뒤쪽 니들베드의 래킹 피치를 지정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5의 좌단의 시단 스티치(7s)에 계속되는 스티치의 연결상태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하부 앞쪽 니들베드(FD)에 결합되는 시단 스티치(7s)의 2개 위의 편성단위에 프론트 스티치의 편성코드가 설정된 후에, 1개 더 위의 편성단위에 상부 뒤쪽 니들베드(BU)로 스티치를 이동시키는 편성코드가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시단 스티치(7s)로부터 연장되는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직선은, 좌측으로 꺾여 상부 뒤쪽 니들베드(BU)의 묘화루트로 천이(遷移)하고 있다. 하측에서부터 6단째, 8단째, 10단째의 편성코스(60)에 대해서는, 추가 시트에 뒤쪽 니들베드를 래킹시키는 편성코드가 설정되어 있어,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직선은 좌우로 꺾인 상태가 된다. 11단째의 편성코스(60)에는, 상부 뒤쪽 니들베드(BU)로부터 하부 앞쪽 니들베드(FD)로 스티치를 이동시키는 편성코드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직선은 하부 앞쪽 니들베드(FD)의 묘화루트로 천이하여, 종단 스티치(7e)에 연결되어 있다. 그 외의 시단 스티치(7s)에 대해서도, 편성과정에 있어서 어느 니들베드에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스티치의 연결상태를 묘화한다. 이 도5의 도면의 중앙 부근을 보면, 인접하는 스티치의 간격이 크게 벌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티치의 간격이 벌어지면, 실끊어짐 등의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스티치의 이동과정을 포함하여 스티치의 연결상태를 묘화함으로써, 실끊어짐 등의 불량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장소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스티치의 최종적인 이동장소만을 이어서 연결상태를 묘화한 경우에는, 인접하는 스티치의 간격이 크게 벌어진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또한 도6의 예에서는, 9단째의 편성코스(60)에서 우측에서부터 5번째와 6번째의 시단 스티치(7s)의 웨일방향으로 연결되는 스티치에 더블 스티치(검은색 동그라미로 나타낸다)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더블 스티치는, 13단째의 편성코스(60)에서 상부 뒤쪽 니들베드(BU)로 이동된 후에, 14단째의 편성코스(60)에서 하부 앞쪽 니들베드(FD)로 이동되어, 3중의 더블 스티치가 되어 있다. 더블 스티치를 이동시키면, 정상적으로 트랜스퍼를 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스티치의 이동과정을 포함하여 스티치의 연결상태를 묘화함으로써, 실끊어짐 등의 불량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장소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3〉
디자인 데이터로서, 편성포의 일부를 편성하기 위한 부분 디자인 데이터의 편성과정의 전체상을 파악하고자 하는 요구도 있다. 부분 디자인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기존의 디자인 데이터의 일부를 잘라 낸 것이나 패키지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패키지 데이터는, 편성포의 일부를 편성하기 위하여 디자인 시스템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디자인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편성종료 시에 코빼기를 하기 위한 패키지 데이터, 특정의 조직패턴을 편성하기 위한 패키지 데이터 등이 있다.
여기에서 부분 디자인 데이터에서는, 부분 디자인 데이터보다 앞의 편성코스의 정보가 없어 부분 디자인 데이터의 시단 스티치가 어떠한 상태인지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연결정보를 작성할 수 없다. 그래서 도1의 도출부(23B)는, 부분 디자인 데이터의 시단 전에 부분 디자인 데이터의 편성폭보다도 넓은 범위에 걸쳐 가상 스티치가 있는 상태를 가정하여 부분 디자인 데이터의 연결정보를 구한다. 가상 스티치의 설정범위는, 부분 디자인 데이터의 편성폭보다도 좌우 각각 1스티치 이상 넓은 범위로 한다. 가상 스티치의 설정범위는, 편성코스의 전폭(全幅)(즉, 니들베드의 편침의 전부)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출부(23B)는, 소정의 수의 편성코스를 거쳐 편성코드가 설정되지 않은 가상 스티치는 삭제한다. 구체적인 처리예를 도7(A), (B)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7(A)의 디자인 시트(6)는, 기존의 디자인 데이터의 일부를 발췌한 부분 디자인 데이터로부터 얻은 것이다. 디자인 시트(6)의 2단째로부터 상측이 부분 디자인 데이터에 대응한다. 이 디자인 시트(6)에서는, 2단째의 편성코스(60)에 프론트 스티치의 편성코드가 4개, 3단째의 편성코스(60)에 대향하는 베드로의 트랜스퍼의 편성코드가 1개, 4단째의 편성코스(60)에 편성폭방향으로의 트랜스퍼의 편성코드(래킹과 당초 베드로의 트랜스퍼)가 1개, 6단째의 편성코스(60)에 프론트 스티치의 편성코드가 3개 배치되어 있다. 도출부(23B)는, 이와 같은 부분 디자인 데이터에 대하여, 부분 디자인 데이터의 시단보다 하측(디자인 시트(6)의 1단째)에 편성코스(60)의 전폭에 걸쳐 가상 스티치(9s)를 설정한다. 그 가상 스티치(9s)를 시단 스티치로 하고,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절차에 따라 스티치의 웨일방향의 연결정보를 작성한다. 여기에서 도출부(23B)는, 소정의 수 이상의 편성코스(60)를 거쳐 편성코드가 설정되지 않은 가상 스티치(9s)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는, 부분 디자인 데이터의 편성에 관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연결정보로부터 삭제한다(도7(A)의 하단의 도면을 참조). 소정의 수로서는, 예를 들면 3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물론 모든 편성코스(60)를 조사한 다음에, 부분 디자인 데이터의 편성에 관여하지 않는 가상 스티치(9s)를 특정하여도 좋다. 표시 조정부(24)는, 도7(A)의 상단의 도면의 상태를 표시한 후에 도7(A)의 하단의 도면의 상태를 표시하여도 좋고, 상단의 도면의 상태를 한 번도 표시하지 않고 하단의 도면의 상태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7(B)의 디자인 시트(6)에서는, 3단째의 편성코스(60)에 대향하는 베드로의 트랜스퍼의 편성코드가 1개, 4단째의 편성코스(60)에 편성폭방향으로의 트랜스퍼의 편성코드가 1개, 6단째의 편성코스(60)에 프론트 스티치의 편성코드가 4개 배치되어 있다. 디자인 시트(6)의 2단째로부터 상측이 부분 디자인 데이터에 대응한다. 이 예에 있어서도 도출부(23B)는, 부분 디자인 데이터의 시단보다 하측에 편성코스(60)의 전폭에 걸쳐 가상 스티치(9s)를 설정하고, 스티치의 웨일방향의 연결정보를 작성한다. 그리고 도출부(23B)는, 도7(B)의 중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분 디자인 데이터의 편성에 관여하지 않는 가상 스티치(9s)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는 연결정보로부터 삭제한다. 여기에서 본 예의 도출부(23B)는, 도7(B)의 하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은색 동그라미로 나타내는 더블 스티치가 형성될 때까지 편성코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좌측에서부터 2번째의 가상 스티치(9s)에 대해서도 부분 디자인 데이터의 편성에 관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당해 가상 스티치(9s)에 관한 정보를 연결정보로부터 삭제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출부(23B)의 처리에 의하여, 기존의 디자인 데이터의 일부인 부분 디자인 데이터이더라도, 부분 디자인 데이터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웨일방향의 연결상태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부분 디자인 데이터의 편성과정의 전체상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기존의 디자인 데이터를 용이하게 개량할 수 있다.
100 :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1 : 입력부
2 : 편집부
21 : 디자인 데이터 작성부
22 : 편성 데이터 작성부
23 : 연결 데이터 작성부
23A : 데이터 추출부
23B : 도출부
24 : 표시 조정부
3 : 메모리
31 : 이동정보용 메모리
32 : 연결정보용 메모리
33 : 참조용 메모리
4 : 표시부
6 : 디자인 시트
6u : 편성단위
60 : 편성코스
7e : 종단 스티치
7s, 8s : 시단 스티치
9s : 가상 스티치

Claims (4)

  1. 횡편기(橫編機)의 니들베드(needle bed)의 각 편침(編針)에 대응하는 복수의 편성단위를 가로방향으로 배열한 편성코스를 세로방향으로 복수 단(段) 배열한 그리드상(grid狀)의 디자인 시트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디자인 시트의 상기 편성단위에 대하여 유저가 편성코드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입력부와,
    상기 편성코드가 할당된 상기 디자인 시트에 의거하여, 상기 디자인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각 편성단위의 위치 및 그 위치에 있는 상기 편성코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디자인 데이터를 작성하는 디자인 데이터 작성부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각 편성단위의 스티치의 상기 니들베드 상에 있어서의 이동경로 및 최종적인 이동장소에 관한 이동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이동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자인 데이터의 시단(始端)으로부터 종단(終端)을 향하여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연속하는 스티치의 연결상태에 관한 연결정보를 구하는 도출부와,
    상기 연결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자인 시트에 포개어 상기 연결상태를 선화(線畵)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 조정부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조정부는, 상기 디자인 데이터에 있어서의 웨일방향으로 연결되는 시단 스티치와 종단 스티치의 사이를 일직선으로 연결하여 표시하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조정부는, 상기 디자인 데이터에 있어서의 웨일방향으로 연결되는 시단 스티치로부터 종단 스티치에 걸쳐 편성폭방향(編成幅方向)의 스티치의 이동궤적을 표시하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데이터가 편성포의 일부를 편성하기 위한 부분 디자인 데이터인 경우에,
    상기 도출부는, 상기 부분 디자인 데이터의 시단 전에 상기 부분 디자인 데이터의 편성폭보다도 넓은 범위에 걸쳐 가상 스티치가 있는 상태를 가정하여 상기 연결정보를 구함과 아울러, 소정의 수 이상의 상기 편성코스를 거쳐 상기 편성코드가 설정되지 않은 상기 가상 스티치는 상기 연결정보로부터 삭제하는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KR1020190170380A 2018-12-27 2019-12-19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KR102319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44062A JP7152302B2 (ja) 2018-12-27 2018-12-27 編地のデザインシステム
JPJP-P-2018-244062 2018-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252A KR20200081252A (ko) 2020-07-07
KR102319170B1 true KR102319170B1 (ko) 2021-10-28

Family

ID=6900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380A KR102319170B1 (ko) 2018-12-27 2019-12-19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677713B1 (ko)
JP (1) JP7152302B2 (ko)
KR (1) KR102319170B1 (ko)
CN (1) CN111501186B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6990B2 (ja) * 1993-08-31 1999-07-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ペイントシステム及びニットペイント方法
DE19901542C2 (de) * 1999-01-16 2002-10-10 Stoll & Co H Einrichtung zum Entwurf von auf einer Strick- oder Wirkmaschine hergestellten Maschenerzeugnissen
EP1538249B1 (en) * 2002-08-30 2013-10-02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Device for designing tubular knot fabric and method of designing
JP4237601B2 (ja) * 2003-10-15 2009-03-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ループ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とその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5089912B2 (ja) * 2006-04-25 2012-12-05 豊田通商株式会社 編構造モデル生成プログラム、編構造モデル生成装置、及び編構造モデル生成方法
CN101802283B (zh) * 2007-09-10 2012-06-13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针织物设计中的调试装置和调试方法
CN203212760U (zh) * 2012-09-29 2013-09-25 浙江理工大学 针织横机自动起底控制系统
JP6109105B2 (ja) * 2014-03-18 2017-04-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デザインシステムとニットデザイン方法
CN107447352A (zh) * 2016-08-26 2017-12-08 上海沙涓时装科技有限公司 一种针织横机的筒状3d编织方法及其织可穿产品
BR112019022831A2 (pt) 2017-05-02 2020-05-26 Bayer Aktiengesellschaft Derivados heterocíclicos bicíclicos condensados substituídos por 2-(het)arila como agentes de controle de prag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252A (ko) 2020-07-07
CN111501186B (zh) 2022-02-15
EP3677713A1 (en) 2020-07-08
JP2020105646A (ja) 2020-07-09
JP7152302B2 (ja) 2022-10-12
CN111501186A (zh) 2020-08-07
EP3677713B1 (en)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0862B1 (en) Knit simulation device, knit simulation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100684863B1 (ko) 니트 디자인 방법 및 장치
JPH0578960A (ja) ニツトデザインシステムおよびその編成データの作成方法
JP4798239B2 (ja) 刺繍データ作成装置、刺繍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刺繍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媒体
JP5161297B2 (ja) 編地のデザインシステム
KR102319170B1 (ko)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EP1950676B1 (en) Border pattern designing device, designing method, and designing program
JP5307000B2 (ja) 糸加工部を有する編地およびその処理方法ならびにデザイン装置
KR101324525B1 (ko) 니트 디자인 방법 및 장치
EP2921581B1 (en) Knit design system and knit design method
KR20160008465A (ko) 케이블 패턴의 편성방법, 편성포의 디자인 시스템 및 기억매체
EP2189560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bugging knit design and debug program
EP2492384B1 (en) Knit design apparatus and knit design method
KR102319183B1 (ko) 니트 디자인 시스템
JP2000027055A (ja) デザイン装置
KR102679140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니트 디자인 시스템 및 기억매체
JP6139470B2 (ja) 編地のデザインシステム
EP4101962A1 (en)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knit design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09208161A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针织物
JP2006314430A (ja) 縫製データ編集表示装置
JP2000336565A (ja) 編地デザインシステムにおける編目画像の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