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818A -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818A
KR20150142818A KR1020140071063A KR20140071063A KR20150142818A KR 20150142818 A KR20150142818 A KR 20150142818A KR 1020140071063 A KR1020140071063 A KR 1020140071063A KR 20140071063 A KR20140071063 A KR 20140071063A KR 20150142818 A KR20150142818 A KR 20150142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duct
filter
dus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911B1 (ko
Inventor
송성범
김승휘
Original Assignee
(주)에이티앤비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디자인캠프문박디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티앤비,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디자인캠프문박디엠피 filed Critical (주)에이티앤비
Priority to KR1020140071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911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8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9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withou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 elements, e.g. fixed nozz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6Separation devices for cleaning ambient air, e.g. air along roads or air in cities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 먼지와 눈 등을 제거하는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롤필터(30)의 오염상태 또는 눈의 적설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10); 및 롤필터(30)의 오염상태 또는 눈의 적설상태를 감지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압축기(52)와 진공청소용 배기팬(71)을 작동시키는 구동부(2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운전 및 유지비용 절감과 낮은 압력 손실로 급기팬의 동력을 절감시키고, 이로 인해 공조기 또는 외조기 제품의 운전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automatic equipment for dust removing and snow removing}
본 발명은 분진 먼지와 눈 등을 제거하는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 및 유지비용 절감과 낮은 압력 손실로 급기팬의 동력을 절감시키고, 이로 인해 공조기 또는 외조기 제품의 운전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제진(除塵: dust removing)은 공기 중에 떠도는 먼지를 없애는 것이다.
그리고 제설(除雪: snow removing)은 쌓인 눈을 치우는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가 다수가 출원 및 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구조상 매우 복잡하고, 제진 및 제설 기능을 함께 작동시키는 기능이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운전 및 유지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공조기 또는 외조기의 운전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높은 압력으로 인해 급기팬의 동력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여재가 많이 필요해서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 선행기술문헌이 출원 및 등록된바 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20519호(제전제진장치)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07284호(분진제거를 위한 미스트 살포장치)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25704호(필터성능 향상을 위한 분진 자동제거시스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70844호(분진처리시스템의 덕트라인 막힘방지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감지부와 구동부, 롤필터와 흡입덕트 그리고 분사덕트와 차압감지부 및 집진기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장비 운전중에 제진 및 제설기능을 함께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운전 및 유지비용이 적게 발생되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공조기 또는 외조기의 운전 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낮은 압력 손실로 급기팬의 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여재가 많이 필요 없어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7목적은 이로 인해 공조기 또는 외조기 제품의 운전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롤필터의 오염상태 또는 눈의 적설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롤필터의 오염상태 또는 눈의 적설상태를 감지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압축기와 진공청소용 배기팬을 작동시키는 구동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필터의 오염상태 또는 눈의 적설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고정필터의 오염상태 또는 눈의 적설상태를 감지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해 포집덕트와 공기압축기 및 진공청소용 배기팬을 작동시키는 구동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지부와 구동부, 롤필터와 흡입덕트 그리고 분사덕트와 차압감지부 및 집진기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장비 운전중에 제진 및 제설기능을 함께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 및 유지비용이 적게 발생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공조기 또는 외조기의 운전 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낮은 압력 손실로 급기팬의 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여재가 많이 필요 없어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공조기 또는 외조기 제품의 운전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의 작동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의 평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의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를 공조기에 적용한 상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의 다른 실시예 정면 사시
도.
도 8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의 다른 실시예 배면 사시
도.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의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의 다른 실시예 정면도.
본 발명에 적용된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는 도 1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필터(30)의 오염상태 또는 눈의 적설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1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롤필터(30)의 오염상태 또는 눈의 적설상태를 감지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압축기(52)와 진공청소용 배기팬(71)을 작동시키는 구동부(20)가 구비되어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상기한 본원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필터케이스(31)에 의해 외부의 물질로부터 보호되면서 정역구동모터(32)에 의해 좌우로 왕복 이송 작동하는 롤필터(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롤필터(3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미세먼지 또는 눈의 흡입 기능을 갖는 흡입덕트(40)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흡입덕트(40)의 입구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적으로 흡입 또는 마찰되는 롤필터(30)를 보호하기 위한 필터보호망(4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롤필터(30)의 타측 즉, 흡입덕트(40)와 대향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고압호스(52)에 의해 에어분사 기능을 갖는 분사덕트(50)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압호스(52)는 에어를 발생시키는 공기압축기(53)와 연결되고, 고압호스(52)는 분사덕트(50)에 의해 보호됨과 아울러 이 분사덕트(50)에는 외부의 공기를 빨아 들여 고압분출되는 기능을 돕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구멍(5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흡입덕트(40)의 상단에는 배관(62)이 구비되고, 이 배관(62)에 연결되어 미세먼지 또는 눈을 배기팬(71)으로 흡입하여 모으는 집진기(70)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감지부(10)는 롤필터(30)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오염 정도 또는 눈 쌓인 정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압센서(61)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압센서(61)와 연결되며, 오염 또는 눈을 감지하게 되면 이를 감지한 후 콘틀롤터(63)에 신호를 보내주어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를 구동시키는 차압감지부(6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구동부(20)는 롤필터(30)의 오염 또는 눈을 감지하면 구동모터(32)의 구동과 공기압축기(53)의 구동 그리고 배기팬(71)과 집진기(70)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고압호스(52)를 통해 분출되는 공기는 흡입덕트(40)에 포집이 용이하도록 하향 10∼45도를 유지한 상태로 분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고압호스(52)를 통해서 20∼40℃의 따뜻한 공기를 분출시켜 눈을 녹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를 공조기(80)의 하우징(81)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의 제2실시예는 도 7 내지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기술적 구성과 거의 동일 유사(도면 부호 병기 동일하게 기재함)하며, 다만 이하의 기술적 구성이 특징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고정필터(95)의 오염상태 또는 눈의 적설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필터(95)의 오염상태 또는 눈의 적설상태를 감지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해 포집덕트(90)와 공기압축기(52) 및 진공청소용 배기팬(71)을 작동시키는 구동부(20)가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는 고정필터(95)를 받쳐주며, 양단 또는 어느 일측에 래크(94)가 형성된 받침대(9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필터(95)에서 좌우로 이송되도록 설치되되, 구동모터(92)의 구동과 피니언(91)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이송됨과 아울러 고정필터(95)의 미세먼지 또는 눈을 흡입함과 동시에 공기압축기(53)와 연결된 고압호스(52)에 의해 에어분사 기능을 갖는 포집덕트(9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포집덕트(90)의 상단 배관(62)에 구비되되, 상기 배관에는 미세먼지 또는 눈을 배기팬(71)으로 흡입하여 모으는 집진기(70)가 구비되고, 포집덕트가 좌우로 이송할 때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한 신축관(일명 자바라호스관)(96)이 구비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포집덕트(90)는 직사각형의 틀로 이루어지되, 상단 내부에는 고정필터(95)의 오염 또는 눈 쌍인 정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압센서(61)가 구비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차압센서(61)와 연결되며, 오염 또는 눈을 감지하게 되면 이를 감지한 후 콘트롤러(63)에 신호를 보내주어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를 구동시키는 차압감지부(60)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제진 및 제설장치의 운전 및 유지비용 절감과 낮은 압력 손실로 급기팬의 동력을 절감시키고, 이로 인해 공조기 또는 외조기 제품의 운전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적용된 제진 및 제설장치는 주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기(80)의 하우징(81)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종 산업현장의 필터가 설치된 부위 또는 주방용 세제 등을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본 발명 제진 및 제설장치를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롤필터(30)에 오염물질 또는 눈이 쌓이게 되고, 그렇게 되면 FAB실 내부에 차압이 발생되어 운전비용이 증가하고 품질 사고 위험도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경우 롤필터(30)를 차압센서(61)로 오염상태 또는 눈의 적설상태를 감지하고, 이후 진공청소용 배기팬(71)을 작동시키고, 이어서 고압호스(52)를 통해 공기를 고압으로 분출시켜 롤필터(30)의 먼지 오염 또는 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롤필터(3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역 구동모터(32)에 의해 좌우로 왕복 이송작동하게 되는 것으로, 롤필터(30)의 어느 한 부위에 오염 정도가 심하면 이를 제거한 후 일측으로 권취되는 것이고, 이후 롤필터(30)의 새로운 부위를 사용하다가 다시 더러워지면 전술한 동작을 반복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롤필터(30)의 작업시간은 폭 2,000mmm 기준으로 약 3분 정도이나 이는 롤필터(30)의 설치장소에 따라 가감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차압센서(61)가 롤필터(30)의 오염상태 또는 눈의 적설상태를 감지하면 차압감지부(60)가 콘트롤러(63)에 신호를 보내 배기팬(71)을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배기팬(71)의 구동에 의해서는 흡입덕트(40)의 내부를 흡입하게 됨과 상기 콘트롤러(63)는 고압호스(52)로 고압의 에어를 분출시킨다.
상기 고압 에어는 도 4,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필터(30)에 묻어 있는 먼지 또는 눈을 흡입덕트(40) 쪽으로 제거시키게 되고, 흡입덕트(40) 내부로 유입된 먼지 또는 눈은 배관(62)을 통해 집진기(7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흡입덕트(40)의 입구에는 반복적으로 흡입 또는 마찰되는 롤필터(30)를 보호하기 위한 필터보호망(4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호스(52)의 외곽에는 분사덕트(50)가 구비되어 고압호스(52)를 외부 물질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분사덕트(50)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구멍(51)이 형성되어 고압호스(52)의 작동시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고압호스(52)에서 분출되는 고압 에어를 더욱 강하게 분출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상기 고압호스(52)를 통해 분출되는 고압 에어는 공기압축(53)를 통해 발생되는 것이고, 특히 상기 고압호스(52)를 통해 분출되는 공기는 흡입덕트(40)에 포집이 용이하도록 하향 10∼45도를 유지한 상태로 분출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경사 각도가 10도 이상일 경우에는 먼지가 위로 확산 되고, 상기 경사 각도가 45도 이하일 경우에는 먼지가 흡입덕트 내부로 잘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경사각도는 10∼45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압호스(52)를 통해서는 20∼40℃의 따뜻한 공기를 분출시켜 눈을 녹일 수도 있게 된다.
즉, 상기 온도가 20℃ 이하일 경우에는 딱딱하게 얼은 눈을 쉽게 녹일 수 없게 되고, 상기 온도가 40℃ 이상일 경우에는 롤필터(30)를 손상시킬 염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온도는 20∼4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롤필터(30)를 반복 청소 후 집진기(70)에 포집된 먼지 등을 청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작용 효과는 도 7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전술한 작용 효과는 흡입덕트와 분사덕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롤필터가 회전 이송되는 것입니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고정필터(95)를 중심으로 포집덕트(90)가 좌우로 이송하여 작동하는 것이 상이하고, 그 외의 나머지 기술적 작용 효과는 거의 동일 유사하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차압센서(61)로 고정필터(95)의 오염상태 또는 눈의 적설 상태를 감지하고, 이후 진공청소용 배기팬(71)을 작동시키고, 이어서 고압호스(52)를 통해 공기를 고압으로 분출시켜 고정필터(95)의 먼지 오염 또는 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포집덕트(90)가 고정필터(95)를 중심으로 좌우로 이송 작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도 9 에 도시된 구동모터(92)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91)이 회전한다. 그러면 피니언(91)은 받침대(93)의 상단 래크(94)에 치합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포집덕트(90)를 좌우로 이송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포집덕트(90)가 좌우로 이송하면서 고정필터(95)의 미세먼지 또는 눈을 제거한 후 배관(62)을 통해 집진기(70)로 모여지도록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포집덕트(90)가 좌우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배관(62)에는 신축관(96)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포집덕트(90)가 좌우로 이송 작동할 때 신축관(96)이 늘어나거나 또는 좁혀지도록 하여 포집덕트(90)의 왕복 작동에 지장이 없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작동 이외의 나머지 기술적 작용 효과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작용 효과와 동일 유사하다.
본 발명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감지부 20: 구동부
30: 롤필터 40: 흡입덕트
50: 분사덕트 60: 차압감지부
70: 집진기 80: 공조기

Claims (12)

  1. 롤필터(30)의 오염상태 또는 눈의 적설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10); 및
    롤필터(30)의 오염상태 또는 눈의 적설상태를 감지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압축기(52)와 진공청소용 배기팬(71)을 작동시키는 구동부(2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는,
    롤필터케이스(31)에 의해 외부의 물질로부터 보호되면서 정역구동모터(32)에 의해 좌우로 왕복 이송 작동하는 롤필터(30);
    롤필터(3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미세먼지 또는 눈의 흡입 기능을 갖는 흡입덕트(40);
    롤필터(30)의 타측 즉 흡입덕트(40)와 대향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고압호스(52)에 의해 에어분사 기능을 갖는 분사덕트(50); 및
    상기 흡입덕트(40)의 상단에는 배관(62)이 구비되고, 이 배관에 연결되어 미세먼지 또는 눈을 배기팬(71)으로 흡입하여 모으는 집진기(7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40)의 입구에는 반복적으로 흡입 또는 마찰되는 롤필터(30)를 보호하기 위한 필터보호망(41)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4.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고압호스(52)는 에어를 발생시키는 공기압축기(53)와 연결되고, 고압호스(52)는 분사덕트(50)에 의해 보호됨과 아울러 이 분사덕트(50)에는 외부의 공기를 빨아 들여 고압분출되는 기능을 돕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구멍(51)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5.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0)는,
    롤필터(30)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오염 정도 또는 눈 쌓인 정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압센서(61); 및
    상기 차압센서(61)와 연결되며, 오염 또는 눈을 감지하게 되면 이를 감지한 후 콘틀롤터(63)에 신호를 보내주어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를 구동시키는 차압감지부(6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6.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는,
    롤필터(30)의 오염 또는 눈을 감지하면 구동모터(32)의 구동과 공기압축기(53)의 구동 그리고 배기팬(71)과 집진기(70)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7.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고압호스(52)를 통해 분출되는 공기는 흡입덕트(40)에 포집이 용이하도록 하향 10∼45도를 유지한 상태로 분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8.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고압호스(52)를 통해서는 20∼40℃의 따뜻한 공기를 분출시켜 눈을 녹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9. 청구항 1 또는 2 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를 공조기(80)의 하우징(81)에 설치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10. 고정필터(95)의 오염상태 또는 눈의 적설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10); 및
    고정필터(95)의 오염상태 또는 눈의 적설상태를 감지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해 포집덕트(90)와 공기압축기(52) 및 진공청소용 배기팬(71)을 작동시키는 구동부(2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는,
    고정필터(95)를 받쳐주며, 양단 또는 어느 일측에 래크(94)가 형성된 받침대(93);
    고정필터(95)에서 좌우로 이송되도록 설치되되, 구동모터(92)의 구동과 피니언(91)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이송됨과 아울러 고정필터(95)의 미세먼지 또는 눈을 흡입함과 동시에 공기압축기(53)와 연결된 고압호스(52)에 의해 에어분사 기능을 갖는 포집덕트(90); 및
    포집덕트(90)의 상단 배관(62)에 구비되되, 상기 배관에는 미세먼지 또는 눈을 배기팬(71)으로 흡입하여 모으는 집진기(70)가 구비되고, 포집덕트가 좌우로 이송할 때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한 신축관(96);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12.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포집덕트(90)는,
    직사각형의 틀로 이루어지되, 상단 내부에는 고정필터(95)의 오염 또는 눈 쌍인 정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압센서(61); 및
    상기 차압센서(61)와 연결되며, 오염 또는 눈을 감지하게 되면 이를 감지한 후 콘트롤러(63)에 신호를 보내주어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를 구동시키는 차압감지부(6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KR1020140071063A 2014-06-11 2014-06-11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KR101591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063A KR101591911B1 (ko) 2014-06-11 2014-06-11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063A KR101591911B1 (ko) 2014-06-11 2014-06-11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818A true KR20150142818A (ko) 2015-12-23
KR101591911B1 KR101591911B1 (ko) 2016-02-05

Family

ID=55082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063A KR101591911B1 (ko) 2014-06-11 2014-06-11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9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3167A (zh) * 2016-08-31 2017-02-1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基于单个压力传感器的空调脏堵检测方法、系统和空调
WO2018230886A1 (ko) * 2017-06-13 2018-12-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폐순환 사재생 주물제조 시스템과 주물제조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에 구비되는 세척장치
KR20180135537A (ko) * 2017-06-13 2018-12-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물제조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폐순환 사재생 주물제조 방법
CN110006104A (zh) * 2018-08-02 2019-07-12 永康市异造科技有限公司 空调外机机身清洁平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781A (ko) * 2017-03-06 2018-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844B1 (ko) 1999-10-12 2005-03-1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기록 방법 및 데이터 복구 방법
KR20070020519A (ko) 2004-06-22 2007-02-21 가부시키가이샤 고가네이 제전제진장치
KR101107284B1 (ko) 2011-07-12 2012-01-25 주식회사 인광이앤씨 분진제거를 위한 미스트 살포장치
KR101125704B1 (ko) 2011-12-20 2012-03-27 이텍산업 주식회사 필터성능 향상을 위한 분진 자동제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658B1 (ko) 2009-04-22 2009-08-17 주식회사 태하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식 필터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844B1 (ko) 1999-10-12 2005-03-1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기록 방법 및 데이터 복구 방법
KR20070020519A (ko) 2004-06-22 2007-02-21 가부시키가이샤 고가네이 제전제진장치
KR101107284B1 (ko) 2011-07-12 2012-01-25 주식회사 인광이앤씨 분진제거를 위한 미스트 살포장치
KR101125704B1 (ko) 2011-12-20 2012-03-27 이텍산업 주식회사 필터성능 향상을 위한 분진 자동제거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3167A (zh) * 2016-08-31 2017-02-1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基于单个压力传感器的空调脏堵检测方法、系统和空调
CN106403167B (zh) * 2016-08-31 2019-01-1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基于单个压力传感器的空调脏堵检测方法、系统和空调
WO2018230886A1 (ko) * 2017-06-13 2018-12-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폐순환 사재생 주물제조 시스템과 주물제조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에 구비되는 세척장치
KR20180135537A (ko) * 2017-06-13 2018-12-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물제조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폐순환 사재생 주물제조 방법
CN110740825A (zh) * 2017-06-13 2020-01-31 韩国生产技术研究院 闭循环砂再生铸件制造系统、铸件制造监控系统及配备于其的洗涤装置
CN110740825B (zh) * 2017-06-13 2021-08-31 韩国生产技术研究院 闭循环砂再生铸件制造系统、铸件制造监控系统及配备于其的洗涤装置
CN110006104A (zh) * 2018-08-02 2019-07-12 永康市异造科技有限公司 空调外机机身清洁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911B1 (ko) 2016-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911B1 (ko) 자동 제진 및 제설 장치
KR200485711Y1 (ko) 용접 분진의 집진장치
US98331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modes of cleaning on a smart robotic cleaner
KR100768343B1 (ko) 살수겸용의 노면 청소 시스템
CN111821778B (zh) 产业机械的空气过滤器装置
CN215128009U (zh) 一种洗地装置和带有洗地装置的吸尘器
CN209350613U (zh) 一种用于触摸屏生产中的切割装置
CN111827063A (zh) 一种公路工程用的路面裂缝修补装置
JP4839814B2 (ja) レンジフード
WO2012171100A1 (en) Pick-up head system
KR100888043B1 (ko) 필터의 연속재생이 가능한 집진시스템
KR102130710B1 (ko) 바닥 전기청소차
CN106178713A (zh) 一种多层布袋交互安装‑抽吸型布袋除尘器
CN213492652U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工业空气净化器
CN107320025B (zh) 适用于规则凸起壁面的清扫机构
JP2010240531A (ja) スクリーンメッシュ式塵埃除去装置
GB2270463A (en) Suction apparatus for cleaning or other purposes
CN108421797A (zh) 一种印刷玻璃的除尘装置
CN211256604U (zh) 道路铣刨机
KR20180109777A (ko) 덕트청소 시스템
CN205340381U (zh) 预热式布袋除尘器
KR100467768B1 (ko) 미스트 오일 집진기의 스와프 제거장치
AU2007288104B2 (en) Apparatus for cleaning cylindrical air filters
CN208688451U (zh) 一种电线表面质量检测装置
CN102772957A (zh) 一种带自动除尘装置的空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