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949A - 랜야드와 그 랜야드를 구비한 안전대 - Google Patents

랜야드와 그 랜야드를 구비한 안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949A
KR20150141949A KR1020157026440A KR20157026440A KR20150141949A KR 20150141949 A KR20150141949 A KR 20150141949A KR 1020157026440 A KR1020157026440 A KR 1020157026440A KR 20157026440 A KR20157026440 A KR 20157026440A KR 20150141949 A KR20150141949 A KR 20150141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posture
engaging portion
bobbin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1754B1 (ko
Inventor
아키모토 고즈키
Original Assignee
후지이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이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이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4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93Fall arrest ree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1Belt sorting accessories, e.g. devices keeping the belts in comfortable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랜야드의 권취기(24)에서는, 캠(46)이 회동하여, 자유 자세, 로크 자세 및 대기 자세로 자세 변화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자유 자세는, 캠(46)이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 가능한 자세이다. 로크 자세는, 로크 걸어맞춤부(82)가 캠 받이(52)의 걸림부(96)와 걸어맞춰져 있는 자세이다. 대기 자세는, 대기 걸어맞춤부(84)와 판 스프링(48)이 걸어맞춰져 있는 자세이다. 보빈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46)이 자유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자세 변화된다. 보빈이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대기 자세에 있는 캠(46)의 선단(82a)이 안내면(100)에 안내되어, 캠(46)이 대기 자세로부터 로크 자세로 변화된다.

Description

랜야드와 그 랜야드를 구비한 안전대{LANYARD AND SAFETY BELT WITH SAID LANYARD}
본 발명은, 고소(高所) 작업에 사용되는 랜야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권취기를 구비한 랜야드와, 그 랜야드를 구비한 안전대에 관한 것이다.
고소 작업 현장에서는, 작업자는 안전대를 장착하고 있다. 이 안전대에 랜야드가 연결되어 있다. 이 랜야드의 훅이 구조물이나 라이프라인 등에 걸어맞춰진다. 이에 따라, 만일 작업자가 발을 헛디디더라도, 고소로부터의 추락이 방지되어 있다. 안전대에 의해, 전락(轉落) 사고가 방지되어 있다.
고소 작업은, 어느 정도 넓이의 작업 범위에서 이동하면서 행해진다. 이 작업 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랜야드의 스트랩은, 어느 정도의 이완을 갖게 된다. 이 스트랩의 이완이 크면, 건조물에 걸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만일 발을 헛디뎠을 때에, 이 이완된 분만큼 낙하 거리가 커진다. 이 때문에, 스트랩의 이완은 최소한에 그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트랩의 이완이 지나치게 작으면, 작업 중에 작업자가 랜야드에 잡아당겨진다. 작업성이 손상된다.
권취기를 구비한 랜야드가 사용되고 있다. 이 권취기는, 랜야드의 스트랩을 수납하고 있다. 이 스트랩이 조출 및 권취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권취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 로크 기구는, 스트랩의 권취를 규제한다. 이 권취기가 스트랩을 권취함으로써, 스트랩의 여분의 이완이 억제된다. 또한, 로크 기구의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스트랩의 권취를 규제한다. 작업 중에 작업자가 랜야드에 잡아당겨지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작업성을 저해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랜야드에서는, 작업 위치를 바꿀 때에, 이 로크 해제 및 로크의 조작이 된다. 이 조작으로서, 로크 기구의 조작 레버가 조작된다. 이 조작 레버의 조작을 빈번히 행하는 것은 작업자에게 있어 번거롭다.
일본 실용 공고 평7-45234호 공보에는, 주위 방향의 일부가 절결된 래칫 톱니와, 이 래칫 톱니와 맞물리는 캠을 구비하는 권취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 권취기는, 랜야드에 사용된다. 이 권취기에서는, 이 래칫 톱니와 캠이 맞물려 스트랩의 권취가 로크된다. 래칫 톱니가 절결된 위치에서, 캠의 맞물림 방향이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캠은, 래칫 톱니와 맞물리는 방향과 맞물리지 않는 방향으로 맞물림 방향이 전환된다. 이 위치에서, 캠이 래칫 톱니와 맞물리지 않는 방향으로 전환됨으로써, 스트랩의 권취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권취기에서는, 래칫 톱니가 캠과 접촉하여, 래칫 톱니가 캠을 로크 가능한 자세로 지지하고 있다. 이 자세에서는, 스트랩이 조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스트랩이 권취되면, 래칫 톱니와 캠이 맞물려, 권취를 규제한다. 이 권취 규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캠이 래칫 톱니가 절결된 위치에 올 때까지, 스트랩이 조출된다. 이 위치에서, 캠의 맞물림 방향이 전환된다. 이 위치로부터, 스트랩이 권취된다.
이 로크 기구에서는, 로크 기구의 조작을 위해, 레버 조작이 필요해지지 않는다. 작업자가 스트랩을 조출함으로써, 로크 기구의 로크 및 로크 해제의 조작이 된다. 이 권취기는, 로크 기구의 조작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 공고 평7-45234호 공보
이 권취기에서는, 스트랩을 되감기 위해, 캠을 래칫 톱니가 절결된 위치에 맞출 필요가 있다. 이 위치를 지나치면, 다시 캠이 래칫 톱니에 지지되어, 로크 가능한 자세가 유지된다. 이 권취기에서는, 스트랩을 권취할 때에, 캠을 래칫 톱니가 절결된 위치에 맞추는 것에, 수고가 드는 경우가 있다. 한편, 이 주위 방향으로 래칫 톱니의 절결을 크게 하면, 래칫 톱니가 캠을 지지하는 위치에 맞추는 것에 수고가 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랩 권취의 로크 및 로크 해제의 조작이 용이한 권취기를 구비한 랜야드와, 이 랜야드를 구비한 안전대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랜야드는, 훅과, 이 훅에 연결된 스트랩과, 이 스트랩이 감긴 권취기를 구비한다. 이 권취기는, 보빈과, 프레임과, 캠과, 캠 탄성체와, 캠 받이를 구비한다. 이 보빈은, 프레임에 대하여 그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보빈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트랩이 조출되고,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트랩이 권취되도록 되어 있다. 이 캠과 캠 받이 중의 어느 한쪽이 보빈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른쪽이 프레임과 일체로 되어 있다. 이 캠은, 로크 걸어맞춤부와, 대기 걸어맞춤부를 구비한다. 이 캠은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캠의 회동축은, 보빈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 캠 받이는, 걸림부, 돌기부 및 안내면을 구비한다. 이 캠 받이의 걸림부는, 반경 방향에 있어서 돌기부보다 캠의 회동축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 안내면은, 반경 방향에 있어서 돌기부와 걸림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안내면은, 주위 방향에 있어서 보빈이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캠이 근접하는 방향에 면하고 있다. 이 캠은, 회동하여 자유 자세, 로크 자세 및 대기 자세로, 자세 변화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자유 자세는, 캠을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 가능한 자세이다. 이 로크 자세는,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을 보빈이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캠 받이에 근접하는 방향을 향하게 하여, 로크 걸어맞춤부가 캠 받이의 걸림부와 걸어맞춰져 있는 자세이다. 이 대기 자세는,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을 보빈이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캠 받이에 근접하는 방향을 향하게 하여, 대기 걸어맞춤부와 캠 탄성체가 걸어맞춰져 있는 자세이다. 이 보빈이 주위 방향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이 돌기부에 회동시켜져 자유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자세 변화되어 있다. 보빈이 주위 방향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대기 자세에 있는 캠의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이 안내면에 안내되어, 대기 자세로부터 로크 자세로 변화되어 있다. 이 로크 자세에서는, 캠의 대기 걸어맞춤부와 캠 탄성체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있고, 캠 탄성체가 로크 자세로부터 자유 자세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캠을 압박하고 있다. 캠의 회동축의 축심으로부터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캠의 회동축의 축심으로부터 걸림부까지의 반경 방향 최소 거리보다 크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캠 받이가 지지면을 구비한다. 이 지지면은, 걸림부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면은, 캠 받이의 걸림부에 걸어맞춘 캠의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이 주위 방향 한쪽 방향으로 걸림부로부터 떨어질 때에, 이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을 걸림부에 근접하는 방향을 향하여 지지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면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면은, 반경 방향으로 회동축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보빈의 회전 방향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의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면의 회전 방향의 폭의 각도(θ)는, 5° 이상 3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취기는, 고정판을 구비한다. 이 고정판에 캠의 회동축과 캠 탄성체가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판과 캠 받이 중의 어느 한쪽이 보빈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다른쪽이 프레임과 일체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판은, 스토퍼를 구비한다. 이 스토퍼는, 캠 탄성체의 탄성 변형량을 규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캠 탄성체는, 그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이 캠 탄성체는, 그 양단 사이에서 반경 방향에 있어서 캠을 향하여 돌출되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굴곡부에 캠과의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캠 탄성체는, 그 양단 사이에 연장되는 판 스프링이다. 상기 스토퍼는, 고정판에 형성된 홈이다. 이 홈의 한쌍의 벽면은, 판 스프링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은, 한쌍의 벽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취기는, 프레임과 일체로 고정되는 케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캠 받이는,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캠 받이는, 회전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2 이상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니스형 안전대는, 랜야드와 하니스를 구비한다. 이 랜야드는, 훅과, 이 훅에 연결된 스트랩과, 이 스트랩이 감긴 권취기를 구비한다. 이 권취기는, 보빈과, 프레임과, 캠과, 캠 탄성체와, 캠 받이를 구비한다. 이 보빈은, 프레임에 대하여 그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보빈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트랩이 조출되고,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트랩이 권취되도록 되어 있다. 이 캠과 캠 받이 중의 어느 한쪽이 보빈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른쪽이 프레임과 일체로 되어 있다. 이 캠은, 로크 걸어맞춤부와, 대기 걸어맞춤부를 구비한다. 이 캠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캠의 회동축은, 보빈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 캠 받이는, 걸림부, 돌기부 및 안내면을 구비한다. 이 캠 받이의 걸림부는, 반경 방향에 있어서 돌기부보다 캠의 회동축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 안내면은, 반경 방향에 있어서 돌기부와 걸림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안내면은, 주위 방향에 있어서 보빈이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캠이 근접하는 방향에 면하고 있다. 이 캠은, 회동하여, 자유 자세, 로크 자세 및 대기 자세로 자세 변화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자유 자세는, 캠을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 가능한 자세이다. 이 로크 자세는,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을 보빈이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캠 받이에 근접하는 방향을 향하게 하여, 로크 걸어맞춤부가 캠 받이의 걸림부와 걸어맞춰져 있는 자세이다. 이 대기 자세는,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을 보빈이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캠 받이에 근접하는 방향을 향하게 하여, 대기 걸어맞춤부와 캠 탄성체가 걸어맞춰져 있는 자세이다. 이 보빈이 주위 방향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이 돌기부에 회동시켜져 자유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자세 변화되어 있다. 보빈이 주위 방향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대기 자세에 있는 캠의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이 안내면에 안내되어, 대기 자세로부터 로크 자세로 변화되어 있다. 이 로크 자세에서는, 캠의 대기 걸어맞춤부와 캠 탄성체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있고, 캠 탄성체가 로크 자세로부터 자유 자세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캠을 압박하고 있다. 캠의 회동축의 축심으로부터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까지의 거리는, 캠의 회동축의 축심으로부터 걸림부까지의 반경 방향 최소 거리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 하니스는, 어깨 벨트부와 넓적다리 벨트부로 이루어지고, 어깨 벨트부가 등 부분에서 교차 중합하여 교차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랜야드는 하니스의 교차부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랜야드에서는, 스트랩이 조출되어 캠이 돌기부에 접촉하면, 캠이 대기 자세로 유지된다. 대기 자세로 유지된 캠은, 스트랩이 권취되면, 안내면에 안내되어, 캠 받이와 걸어맞춰져 로크 자세가 되고, 스트랩의 권취가 규제된다. 또한, 스트랩을 조출하여, 캠을 자유 자세로 함으로써, 스트랩의 권취가 된다. 이 랜야드의 권취기에서는, 스트랩 권취의 로크와 로크 해제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니스형 안전대가 도시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대의 권취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전대의 권취기의 일부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2의 권취기의 내부 구조의 일부가 도시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2의 권취기의 사용 상태가 도시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에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권취기의 다른 사용 상태가 도시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의 안전대의 사용 상태가 도시된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2의 권취기의 또 다른 사용 상태가 도시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2의 권취기의 또 다른 사용 상태가 도시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2의 권취기의 또 다른 사용 상태가 도시된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랜야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안전대의 권취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안전대의 권취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적절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하니스형 안전대(2)는 하니스(4) 및 랜야드(6)를 구비한다. 이 하니스(4)는 어깨 벨트부(10)와 넓적다리 벨트부(14)를 구비한다. 어깨 벨트부(10)는 한쌍의 어깨 벨트(8)로 이루어진다. 넓적다리 벨트부(14)는, 한쌍의 넓적다리 벨트(12)로 이루어진다. 한쌍의 어깨 벨트(8)는, 작업자가 장착했을 때에 등 부분에서 교차 중합한다. 교차 중합함으로써, 교차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교차부(16)에, D 고리(18)가 부착되어 있다.
랜야드(6)는 훅(20), 스트랩(22) 및 권취기(24)를 구비한다. 스트랩(22)은 권취기(24)에 권취되어 있다. 권취기(24)로부터 조출되는 스트랩(22)의 선단은, 훅(20)에 연결되어 있다. 이 권취기(24)는 하니스형 안전대(2)의 D 고리(18)에 연결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권취기(24)는 프레임(26), 베어링(28), 주축(30), 보빈(32), 스파이럴 스프링(34), 스프링 케이스(36), 갈고리축(38), 갈고리(40), 갈고리 수용 기어(42), 단차식 리벳(44), 캠(46), 판 스프링(48) 및 고정판(50)을 구비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기(24)는, 캠 받이(52) 및 케이스(54)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받이(52)는 케이스(54)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54)는 프레임(26)과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54)는 프레임(26), 베어링(28), 주축(30), 보빈(32), 스파이럴 스프링(34), 스프링 케이스(36) 등의 다른 부품을 덮고 있다. 캠 받이(52) 및 케이스(54)는 수지로 이루어진다. 캠 받이(52)는 케이스(54)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6)은, 한쌍의 플레이트(56)와 이 한쌍의 플레이트(56)를 연결하는 연결부(58)를 구비한다. 한쌍의 플레이트(56)는, 그 평면이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고 있다. 한쌍의 플레이트(56)에, 주축 구멍(60)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58)는 대략 U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프레임(26)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베어링(28)은, 프레임(26)의 주축 구멍(60)에 통과되어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28)은 수지로 이루어진다.
주축(30)은 축 본체(62) 및 단차식 부시(64)를 구비한다. 축 본체(62) 및 단차식 부시(64)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축 본체(62)의 선단이 한쪽의 베어링(28)에 통과되어 있다. 축 본체(62)의 후단에는, 축선 방향에 평행한 홈(66)이 형성되어 있다. 단차식 부시(64)는 소직경부(64a)와, 소직경부(64a)의 다른쪽끝에 위치하는 대직경부(64b)를 구비한다. 이 대직경부(64b)는, 단차식 부시(64)의 헤드부이다. 이 대직경부(64b)의 외주면에는 모따기(64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식 부시(64)에, 그 축선을 통과하는 구멍(64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64d)에, 축 본체(62)의 선단이 통과되어 있다. 단차식 부시(64)의 소직경부(64a)가, 다른쪽의 베어링(28)에 통과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축(30)은, 프레임(26)에, 베어링(28)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보빈(32)은, 보빈 본체(68) 및 한쌍의 플랜지(70)를 구비한다. 보빈 본체(68) 및 플랜지(70)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보빈 본체(68)의 형상은, 통형상의 측면을 축방향으로 절결한 형상이다. 플랜지(70)의 형상은 원판형이다. 보빈 본체(68)는 한쌍의 플랜지(7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플랜지(70)에는, 회전 방지 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방지 구멍(72)은, 주축(30)이 통과되어 회전 방지된다. 이에 따라, 보빈(32)과 주축(30)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보빈 본체(68)는 쿠션 고무(74)가 부착되어 있다. 보빈 본체(68)에 쿠션 고무(74)가 씌워져 있다. 보빈 본체(68)에는 주축(30)이 통과되어 있다. 보빈(32)은, 프레임(26)의 한쌍의 플레이트(56)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갈고리축(38)은, 한쌍의 플랜지(70)에 가설되는 핀이다. 갈고리축(38)은, 한쌍의 플랜지(70)에 고정되어 있다. 이 갈고리축(38)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갈고리(40)는, 프레임(26)의 다른쪽의 플레이트(56)와 보빈(3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갈고리(40)의 일단부가 갈고리축(38)에 부착되어 있다. 갈고리(40)는, 갈고리축(38)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갈고리(40)의 타단부에는, 코일 스프링(76)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76)의 타단은, 플랜지(70)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축(30)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원심력으로, 갈고리(40)의 타단부가 외경 방향으로 회동한다. 회동한 타단부에는, 코일 스프링(76)에 의해 내경 방향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힘이 작용한다.
갈고리 수용 기어(42)는, 프레임(26)의 다른쪽 플레이트(56)와 보빈(3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갈고리 수용 기어(42)는, 다른쪽 플레이트(56)의 보빈(32)에 대향하는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갈고리 수용 기어(42)는, 다른쪽 플레이트(56)의 평면에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다. 갈고리 수용 기어(42)는 금속제의 판으로 이루어진다. 갈고리 수용 기어(42)는 중앙에 구멍(78)을 구비한다. 이 구멍(78)의 반경 방향 내측에, 갈고리(40)가 위치하고 있다. 이 구멍(78)에는, 갈고리(40)와 걸어맞춤 가능하게 복수의 걸어맞춤부(80)를 구비한다.
스파이럴 스프링(34)은 스프링 케이스(36)에 수납되어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34)의 외경단은, 이 스프링 케이스(36)에 고정되어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34)의 내경단은, 주축(30)의 후단의 홈(66)에 걸려 있다. 이 스프링 케이스(36)가, 한쪽 플레이트(56)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34)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케이스(36)는 수지로 이루어진다.
단차식 리벳(44)은, 한쌍의 플랜지(70)에 가설되는 다른 핀이다. 단차식 리벳(44)은, 한쌍의 플랜지(70)에 가설되어 고정되어 있다. 단차식 리벳(44)의 일단은 한쪽 플랜지(70)에 고정되어 있다. 단차식 리벳(44)의 타단은 다른쪽 플랜지(70)에 고정되어 있다. 이 단차식 리벳(44)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캠(46), 고정판(50) 및 판 스프링(48)에 관해 설명한다. 회동축(86)이 고정판(50)에 고정되어 있다. 이 캠(46)은 회동축(86)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46)은, 로크 걸어맞춤부(82) 및 대기 걸어맞춤부(84)를 구비한다. 로크 걸어맞춤부(82)는 선단(82a)을 구비한다. 이 선단(82a)은 회동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대기 걸어맞춤부(84)는 선단(84a)을 구비한다. 이 선단(84a)은 회동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선단(82a)과 회동축(86)의 축심을 통과하는 직선 L1과, 선단(84a)과 회동축(86)의 축심을 통과하는 직선 L2는 교차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로크 걸어맞춤부(82)와 대기 걸어맞춤부(84)는 회동 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어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양방향 화살표 Dc는, 회동축(86)의 축심으로부터 로크 걸어맞춤부(82)의 선단(82a)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이 캠(46) 및 회동축(86)은, 예컨대 수지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50)은, 축구멍(88) 및 홈(90)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90)은, 회동축(86)과 축구멍(88)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홈(90)은, 대략 コ자형으로 가늘고 길게 굴곡져 연장되어 있다. 이 홈(90)은, 축구멍(88)으로부터 회동축(86)을 향하여 돌출되어 굴곡져 있다. 이 고정판(50)은, 예컨대 수지로 이루어진다. 축구멍(88)에 주축(30)의 대직경부(64b)가 끼워져, 고정판(50)이 주축(30)에 고정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48)은, 그 양단 사이에서, 캠(46)을 향하여 돌출되는 굴곡부(92)를 구비한다. 이 판 스프링(48)의 굴곡부(92)에는, 걸어맞춤 오목부(9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오목부(94)는, 캠(46)의 대기 걸어맞춤부(84)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로서 기능한다. 판 스프링(48)은, 그 양단이 고정판(50)에 고정되어 있다.
도 6은 도 5의 Ⅵ-Ⅵ에서 도시된 단면이다. 판 스프링(48)의 굴곡부(92)는, 홈(90)의 한쌍의 벽면(90a 및 90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 판 스프링(48)은, 그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홈(90)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이 홈(90)의 한쌍의 벽면(90a 및 90b)은, 판 스프링(48)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판 스프링(48)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굴곡부(9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부가, 벽면(90a)과 벽면(90b) 사이에 위치해도 좋다.
도 5의 2점쇄선 Rc는, 회동축(86)이 보빈(32)[주축(30)]과 함께 회전할 때에, 회동축(86)의 축심이 그리는 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캠 받이(52)는 걸림부(96), 돌기부(98), 안내면(100) 및 지지면(102)을 구비한다. 이 캠 받이(52)는, 걸림부(96)는, 안내면(100)과 지지면(102)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오목부이다. 돌기부(98)는, 반경 방향으로 주축(30)측, 즉 회동축(86)측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돌기부(98)는, 캠 받이(52)에 있어서, 궤적(Rc)과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부분이다. 이 캠 받이(52)에서는, 돌기부(98)는, 회동축(86)에 대향하는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양방향 화살표 Dp는, 이 궤적(Rc)과 돌기부(98)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이 거리(Dp)는, 돌기부(98)로부터 회동축(86)의 축심까지의 반경 방향의 최소 거리이다. 이 거리(Dp)는, 주축(30)의 축심과 회동축(86)의 축심과 돌기부(98)가 일직선으로 늘어섰을 때의 돌기부(98)로부터 회동축(86)의 축심까지의 거리이다. 양방향 화살표 Dr은, 궤적(Rc)과 걸림부(96)의 최소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이 거리(Dr)는, 걸림부(96)로부터 회동축(86)의 축심까지의 반경 방향의 최소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이 거리(Dr)는 거리(Dp)보다 크다. 이 걸림부(96)는, 반경 방향에 있어서 돌기부(98)보다 회동축(86)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도 5의 화살표 NR 및 화살표 RR은, 보빈(32)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화살표 NR은, 스트랩(22)이 조출되는 한쪽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화살표 RR은, 스트랩(22)이 권취되는 다른쪽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안내면(100)은, 반경 방향에 있어서 돌기부(98)와 걸림부(96)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안내면(100)은, 걸림부(96)로부터 연속하여 연장되는 면이다. 이 안내면(100)은, 보빈(32)이 화살표 RR의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캠(46)이 근접하는 방향에 면하고 있다.
지지면(102)은, 걸림부(96)로부터 연속하여, 걸림부(96)로부터 화살표 NR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이다. 도 5의 양화살표 θ는, 지지면(102)의 폭을 나타내고 있다. 이 폭은, 보빈(32)의 회전 방향에서의 각도로서 표시되어 있다. 이 캠 받이(52)에서는, 이 지지면(102)은, 보빈(32)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캠(46)은, 회동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캠(46)의 자세는 자유 자세이다. 이 캠(46)은, 보빈(32)의 회전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의 (a)에는, 대기 자세의 캠(46)이 도시되어 있다. 이 자세에서는, 대기 걸어맞춤부(84)의 선단(84a)이, 판 스프링(48)의 걸어맞춤 오목부(94)와 걸어맞춰져 있다. 대기 걸어맞춤부(84)가 판 스프링(48)과 걸어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캠(46)은, 그 회동 방향에서,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 자세에서는, 로크 걸어맞춤부(82)의 선단(82a)이, 화살표 RR의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캠 받이(5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향해져 있다. 이 자세에서는, 반경 방향에 있어서, 선단(82a)은, 돌기부(98)와 걸림부(96)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7의 (b)에는, 로크 자세의 캠(46)이 도시되어 있다. 이 자세에서는, 로크 걸어맞춤부(82)의 선단(82a)이 걸림부(96)에 걸어맞춰져 있다. 로크 걸어맞춤부(82)가 캠 받이(52)와 걸어맞춰져 있다. 이 자세에서는, 로크 걸어맞춤부(82)의 선단(82a)이 화살표 RR의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캠 받이(5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향해져 있다. 이 로크 자세에서는, 캠(46)과 판 스프링(48)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있다. 판 스프링(48)은, 캠(46)을 로크 자세로부터 자유 자세로 변화시키는 회동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다.
도 8에는, 작업자(P)가 하니스형 안전대(2)를 장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쌍의 어깨 벨트(8)가 작업자의 어깨에 걸쳐져 있다. 한쌍의 넓적다리 벨트(12)가 넓적다리에 통과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트랩(22)에 연결된 훅(20)이, 구조물이나 라이프라인에 걸린다.
이 하니스형 안전대(2)에서는, 만일 고소로부터 낙하하더라도, 어깨에서 넓적다리에 걸쳐 충격이 분산되기 때문에, 작업자에 가해지는 부하가 경감된다. 작업자의 등 부분에 권취기(24)가 위치하기 때문에, 매달린 작업자가 부자연스러운 자세가 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작업자의 등 부분에 권취기(24)가 위치하기 때문에, 스트랩(22)이나 권취기(24)가 작업에 방해되지 않는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이 권취기(24)의 조작 방법이 설명된다. 작업자가, 캠(46)이 자유 자세에 있는 상태(도 5의 상태)의 권취기(24)로부터, 스트랩(22)을 조출한다. 이 조출에 의해, 보빈(32)이 한쪽 방향(화살표 NR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46)의 로크 걸어맞춤부(82)가 돌기부(98)에 접촉하여, 캠(46)이 회동시켜진다. 대기 걸어맞춤부(84)가 판 스프링(48)에 접촉하여, 판 스프링(48)을 탄성 변형시킨다. 이 캠(46)이 돌기부(98)를 타고 넘는다. 탄성 변형한 판 스프링(48)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캠(46)을 압박한다.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48)의 압박력에 의해, 캠(46)이 회동하여, 대기 걸어맞춤부(84)의 선단(84a)이, 판 스프링(48)의 걸어맞춤 오목부(94)에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이 하여, 스트랩(22)이 조출되면, 캠(46)의 자세는, 자유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변화된다.
더욱, 스트랩(22)이 조출되면, 대기 자세에 있는 캠(46)은, 캠(46)의 로크 걸어맞춤부(82)가 돌기부(98)에 접촉하여 회동시켜진 자세[도 9의 (a) 참조]와 대기 자세[도 9의 (b) 참조] 사이에서 자세 변화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의 길이가 될 때까지, 스트랩(22)이 조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작업자가 스트랩(22)의 조출을 멈춘다. 스파이럴 스프링(34)(도 3 참조)의 압박력에 의해, 보빈(32)이 다른쪽 방향(화살표 RR의 방향)으로 회전시켜진다. 캠(46)의 로크 걸어맞춤부(82)의 선단(82a)이 안내면(100)에 접촉한다. 보빈(32)의 다른쪽 방향의 회전에 따라, 로크 걸어맞춤부(82)의 선단(82a)이 걸림부(96)를 향하여 안내된다. 이 안내에 의해, 이 선단(82a)이 걸림부(96)에 걸어맞춰진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46)의 자세가, 대기 자세로부터 로크 자세로 변화된다.
이 권취기(24)에서는, 회동축(86)의 축심으로부터 로크 걸어맞춤부(82)의 선단(82a)까지의 거리(Dc)가, 회동축(86)의 축심으로부터 걸림부(96)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r)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0의 (a)의 로크 자세에서는, 캠(46)의 회동이 저지되어 있다. 이 캠(46)의 회동이 저지됨으로써, 보빈(32)의 다른쪽 방향(화살표 RR의 방향)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보빈(32)의 다른쪽 방향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이 로크 자세에서는, 스파이럴 스프링(34)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스트랩(22)의 권취가 규제되어 있다.
도 10의 (a)의 상태에서는, 작업자는, 그 작업 범위에 알맞은 길이의 스트랩(22)을 조출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다. 작업 중에, 스파이럴 스프링(34)의 압박력에 의해, 스트랩(22)이 당겨지는 경우가 없다. 스트랩(22)이 당겨짐으로써 작업이 저해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작업자가, 작업 범위를 바꿀 때에, 도 10의 (a)의 상태로부터 도 10의 (b)의 상태를 거쳐 도 10의 (c)의 상태까지, 권취기(24)로부터 스트랩(22)을 조출한다. 로크 걸어맞춤부(82)의 선단(82a)이 지지면(102)에 의한 지지가 해제되어, 스트랩(22)이 조출된다. 지지면(102)의 지지의 해제에 의해, 판 스프링(48)이 캠(46)을 자유 자세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46)의 자세는 자유 자세로 되돌아간다.
작업자가 스트랩(22)의 조출을 멈춘다. 스파이럴 스프링(34)의 압박력에 의해, 보빈(32)이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켜진다. 스트랩(22)이 권취된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RR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46)은 캠 받이(52)에 접촉한다. 자유 자세에 있는 캠(46)이 캠 받이(52)에 의해 회동한다.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걸어맞춤부(82)가 캠 받이(52)의 돌기부(98)에 접촉하여, 더욱 캠(46)이 회동시켜진다. 회동한 캠(46)은 굴곡부(92)에 접촉한다. 판 스프링(48)은, 캠(46)의 회동을 규제하고, 캠(46)을 자유 자세로 되돌아가게 하는 회동 방향으로 압박한다. 보빈(32)이 화살표 RR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46)은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c)의 자세 사이에서 자세 변화되어, 로크 걸어맞춤부(82)가 돌기부(98)를 타고 넘는다.
더욱, 보빈(32)이 화살표 RR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46)은, 도 11의 (c)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5에 도시된 상태를 거치고, 다시 도 11의 (a) 및 도 11의 (b)의 상태를 거쳐, 도 11의 (c)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자유 자세에 있는 캠(46)이 도 5, 도 11의 (a)부터 도 11의 (c)까지의 자세를 반복하여, 스파이럴 스프링(34)의 압박력에 의해, 보빈(32)이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트랩(22)이 권취된다. 스트랩(22)의 이완이 없어진다.
작업자가, 다음의 작업 범위에 도달하면, 권취기(24)로부터, 스트랩(22)이 조출된다. 이 조출에 의해, 보빈(32)이 한쪽 방향(화살표 NR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46)의 로크 걸어맞춤부(82)가 돌기부(98)에 접촉하여 회동시켜진다. 대기 걸어맞춤부(84)가 판 스프링(48)에 접촉하여, 판 스프링(48)을 탄성 변형시킨다. 이 캠(46)이 돌기부(98)를 타고 넘는다. 탄성 변형한 판 스프링(48)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캠(46)을 압박한다.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48)의 압박력에 의해, 캠(46)이 회동하여, 대기 걸어맞춤부(84)의 선단(84a)이, 판 스프링(48)의 걸어맞춤 오목부(94)에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이 하여, 스트랩(22)이 조출되면, 캠(46)은, 자유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자세가 변화된다.
더욱, 스트랩(22)이 조출되면, 대기 자세에 있는 캠(46)은, 캠(46)의 로크 걸어맞춤부(82)가 돌기부(98)에 접촉하여 회동시켜진 자세[도 9의 (a) 참조]와 대기 자세[도 9의 (b) 참조] 사이에서 자세 변화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의 길이가 될 때까지, 스트랩(22)이 조출된다.
작업자가 스트랩(22)의 조출을 멈춘다. 스파이럴 스프링(34)의 압박력에 의해, 보빈(32)이 다른쪽 방향(화살표 RR의 방향)으로 회전시켜진다. 캠(46)의 로크 걸어맞춤부(82)의 선단(82a)이 안내면(100)에 접촉한다. 보빈(32)의 다른쪽 방향의 회전에 따라, 로크 걸어맞춤부(82)의 선단(82a)이 걸림부(96)를 향하여 안내된다. 이 안내에 의해, 이 선단(82a)이 걸림부(96)에 걸린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46)의 자세가, 대기 자세로부터 로크 자세로 변화된다.
이 권취기(24)에서는, 스트랩(22)의 권취의 로크와 로크 해제가, 스트랩(22)의 조출에 의해 조작된다. 스트랩(22)의 권취의 로크와 로크 해제를, 권취기(24)에 접촉하지 않고 전환할 수 있다. 이 전환을 위해, 종래의 권취기와 같이 조작 레버를 조작할 필요가 없다. 하니스형 안전대(2)에서는, 작업자의 등 부분에 권취기(24)가 위치하고 있지만, 등으로 손을 뻗을 필요가 없다. 이 권취기(24)에서는, 스트랩(22)의 권취의 로크와 로크 해제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 권취기(24)는, 스트랩(22)의 조출 길이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권취기에서는, 권취 규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캠의 맞물림 방향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 맞물림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캠을 래칫 톱니가 절결된 위치에 맞출 필요가 있다. 이에 비하여, 이 권취기(24)에서는, 스트랩(22)이 인출되어, 대기 자세로 변화된 캠(46)은, 스트랩(22)이 되감아져 로크 자세가 될 때까지, 대기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캠(46)의 자세 변화를 위해, 캠(46)을 특정한 위치에 맞출 필요가 없다. 스트랩(22)의 권취의 로크와 로크 해제가, 보다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 권취기(24)에서는, 스트랩(22)이 약간 조출되면, 도 10의 (a)의 로크 자세로부터 보빈(32)이 한쪽 방향(화살표 NR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46)의 로크 걸어맞춤부(82)의 선단(82a)이 걸림부(96)로부터 화살표 NR의 방향으로 떨어진다. 판 스프링(48)이 캠(46)을 자유 자세가 되는 회동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다. 지지면(102)이 이 판 스프링(48)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로크 걸어맞춤부(82)의 선단(82a)을 걸림부(96)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하여 지지하고 있다.
작업 중에 잘못하여, 이 도 10의 (a)의 상태로부터 스트랩(22)이 조출되더라도, 도 10의 (b)의 상태이면, 스트랩(22)이 권취되면, 도 10의 (a)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권취기(24)에서는, 잘못하여 스트랩(22)이 약간 조출되더라도, 캠(46)은 로크 자세로 되돌아간다. 스트랩(22)이 권취가 규제된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지지면(102)을 형성함으로써, 잘못하여 스트랩(22)이 약간 조출되더라도, 스트랩(22)의 권취가 저지된다. 이 관점에서, 이 지지면(102)의 보빈(32)의 회전 방향의 폭의 각도(θ)는,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한편, 지지면(102)의 폭의 각도(θ)가 작은 권취기(24)에서는, 약간 스트랩(22)을 조출함으로써, 스트랩(22)의 권취의 규제가 해제된다. 스트랩(22)의 권취의 로크 상태로부터 권취 상태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이 각도(θ)는,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이 하니스형 안전대(2)는, 작업자의 작업 중에는, 스트랩(22)에 어느 정도의 이완을 갖게 하여 사용된다. 잘못하여 스트랩(22)의 권취의 규제가 해제되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스트랩(22)이 인장된 상태로부터의 인출 길이는 2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이다. 한편, 스트랩(22)의 권취의 로크 상태로부터 권취 상태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스트랩(22)이 인장된 상태로부터의 인출 길이는 18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 이하이다.
이 권취기(24)에서는, 보빈(32)이 다른쪽 방향(화살표 RR의 방향)으로 회전시켜지면, 대기 자세에 있는 캠(46)의 로크 걸어맞춤부(82)의 선단(82a)은, 걸림부(96)를 향하여 안내된다[도 7의 (a) 및 (b) 참조]. 로크 걸어맞춤부(82)의 선단(82a)이 걸림부(96)에 안내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안내면(100)은 보빈(32)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로크 걸어맞춤부(82)의 선단(82a)과 걸림부(96)의 걸어맞춤을 확실하게 유지하는 관점에서도, 안내면(100)은 보빈(32)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로크 걸어맞춤부(82)의 선단(82a)을 안내하여, 걸림부(96)와의 걸어맞춤을 확실하게 유지하는 관점에서, 안내면(100)이, 반경 방향으로 회동축(86)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보빈(32)의 회전 방향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의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권취기(24)에서는, 고정판(50)에 캠(46)의 회동축(86)과 판 스프링(48)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캠(46)과 판 스프링(48)의 상대 위치가 용이하게 정해진다.
이 판 스프링(48)에서는, 고정된 양단 사이의 굴곡부(92)가 캠(46)의 접촉에 의해 탄성 변형한다. 이 판 스프링(48)은, 굴곡부(92)의 전체에서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복원성이 우수하다. 이 판 스프링(48)은 내구성이 우수하다.
판 스프링(48)은, 홈(90)의 한쌍의 벽면(90a 및 90b)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48)의 탄성 변형량이 커지면, 판 스프링(48)은 벽면(90a) 또는 벽면(90b)에 접촉한다. 판 스프링(48)의 탄성 변형량이 한쌍의 벽면(90a 및 90b)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판 스프링(48)의 변형량이, 홈(90)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이 홈(90)은 스토퍼로서 기능하고 있다. 여기서는, 스토퍼로서 홈(90)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 홈(90)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퍼는 판 스프링(48)의 변형량을 규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면 되고, 예컨대 고정판(50)에 세워져 설치된 핀 등이어도 좋다. 이 탄성 변형량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이 판 스프링(48)은, 더욱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판 스프링(48)의 탄성 변형량을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캠(46)의 회동 범위가 규제되어 있다. 이 캠(46)의 회동 범위가 규제됨으로써, 자유 자세, 대기 자세 및 로크 자세의 사이에서 캠(46)의 자세가 변화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 홈(90)의 한쌍의 벽면(90a 및 90b)이 판 스프링(48)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따라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48)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범위에서, 탄성 변형량이 규제되어 있다. 길이 방향의 넓은 범위에서 탄성 변형량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이 권취기(24)는 판 스프링(48)의 내구성이 특히 우수하다.
또한, 이 판 스프링(48)이 고정판(50)과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48)과 한쌍의 벽면(90a 및 90b)과의 거리를 용이하게 일정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 거리가 일정하게 관리됨으로써, 판 스프링(48)의 탄성 변형량을 일정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 판 스프링(48)이 고정판(50)과 일체 성형되는 것은, 판 스프링(48)의 내구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권취기(24)에서는, 스파이럴 스프링(34)의 압박에 의해 보빈(32)이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켜지고, 스트랩(22)의 여분의 이완이 되감긴다. 스트랩(22)이 작업에 알맞은 이완을 가진 길이가 되고, 캠(46)과 캠 받이(52)가 걸어맞춰진다. 만일, 작업자가 고소로부터 낙하하면, 스트랩(22)이 급속히 조출된다. 이에 따라, 보빈(32)이 급속히 회전시켜진다. 보빈(32)의 급속한 회전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갈고리(40)에 원심력이 작용한다. 갈고리(40)의 타단부가 코일 스프링(76)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 회동시켜진다. 이 갈고리(40)가 갈고리 수용 기어(42)의 걸어맞춤부(80)에 걸어맞춰진다. 보빈(32)의 회전이 저지된다. 스트랩(22)의 조출이 저지된다. 이 권취기(24)에서는, 스파이럴 스프링(34)과, 갈고리(40) 및 갈고리 수용 기어(42)의 걸어맞춤과, 캠(46) 및 캠 받이(52)의 걸어맞춤의 조합에 의해, 작업자의 낙하 거리가 최소한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조합에 의해, 스트랩(22)이 작업성을 저해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이 랜야드(6)는, 하니스(4)에 부착되었지만, 몸통 벨트형 안전대에 이용되어도 좋다. 몸통 벨트형 안전대여도, 스트랩(22)의 권취의 로크 및 로크 해제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권취기(24)에서는, 캠 받이(52)는, 케이스(54)에 고정되었지만, 프레임(26)에 고정되어도 좋다. 보빈(32)과 함께 회전하는 캠(46)에 대하여, 캠 받이(52)는 프레임(26)과 함께 고정되어 있으면 된다. 이 권취기(24)에서는, 캠 받이(52)가 케이스(5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캠 받이(52)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이 권취기(24)에서는, 이 케이스(54)가 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캠 받이(52)는 케이스(54)와 함께 일체 성형할 수 있다.
이 권취기(24)에서는, 이 케이스(54)가 프레임(26)과의 사이에 캠(46)과 캠 받이(52)를 배치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권취기의 케이스를 케이스(54)로 바꿔 부착하고, 종래의 권취기에 캠(46)과 캠 받이(52)를 추가로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부품의 교체에 의해, 종래의 권취기를 본 발명에 따른 권취기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는, 보빈(32)과 일체로 회전하는 주축(30)에 캠(46)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었지만, 이 캠(46)은 보빈(32)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도 좋다. 보빈(32)에, 고정판(50)이 고정되어도 좋다.
캠(46) 및 판 스프링(48)이 보빈(32)과 함께 회전하는 권취기(24)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캠 받이(52)가 보빈(32)과 함께 회전해도 좋다. 캠 받이(52)가 보빈(32)이나 보빈(32)과 함께 회전하는 주축(30)에 고정되어도 좋다. 캠(46) 및 판 스프링(48)이 프레임(26)이나 케이스(54)에 부착되어도 좋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랜야드(104)가 도시되어 있다. 이 랜야드(104)는 쇼크 업소버(106)를 구비한다. 그 밖의 구성은, 랜야드(6)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랜야드(6)와 상이한 구성에 관해 설명되고, 동일한 구성에 관해 그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랜야드(6)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된다.
이 랜야드(104)는 훅(20), 스트랩(22), 권취기(24) 및 쇼크 업소버(106)를 구비한다. 이 쇼크 업소버(106)를 통해 안전대에 연결된다. 이 랜야드(104)를 구비하는 안전대에서는, 만일 낙하한 경우, 쇼크 업소버(106)가 낙하의 충격을 완화한다. 이 안전대에서는, 쇼크 업소버(106)의 분만큼 낙하 거리가 길어진다. 그러나, 작업자가 받는 낙하의 충격이 완화된다.
도 13의 권취기(108)는, 권취기(24)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랜야드 및 안전대에 사용된다. 이 권취기(108)는, 프레임(110)과 케이스(112)와 한쌍의 캠 받이(52)를 구비한다. 이 프레임(110)과 케이스(112)와 한쌍의 캠 받이(52)가, 권취기(24)와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권취기(24)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도 13에서는, 그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케이스(112)의 일부가 절결되어 있다. 여기서는, 권취기(24)와 상이한 구성에 관해 설명된다. 권취기(24)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그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권취기(24)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된다.
도 13의 화살표 NR은, 스트랩(22)이 조출되는 한쪽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화살표 RR은, 스트랩(22)이 권취되는 다른쪽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서는, 부호의 기재가 생략되어 있지만, 한쌍의 캠 받이(52) 각각은, 권취기(24)의 캠 받이(52)와 마찬가지로, 걸림부(96), 돌기부(98), 안내면(100) 및 지지면(102)을 구비한다. 이 권취기(108)에서는, 한쌍의 캠 받이(52)가 케이스(112)에 고정되어 있다. 한쌍의 캠 받이(52)는, 보빈(32)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캠 받이(52)는, 보빈(32)의 직경 방향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다. 한쌍의 캠 받이(52)는, 보빈(32)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권취기(108)에서는, 한쌍의 캠 받이(52)를 형성함으로써, 스트랩(22)의 조출 길이를, 권취기(24)에 비해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 캠 받이(52)는, 3 이상이어도 좋다. 3 이상의 캠 받이(52)가, 보빈(32)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캠 받이(52)가 회전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됨으로써, 스트랩(22)의 조출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4의 권취기(114)는, 권취기(24)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랜야드 및 안전대에 사용된다. 이 권취기(114)는 프레임(116), 주축(118), 보빈(120), 고정판(122), 캠 받이(124) 및 케이스(126)를 구비한다. 이들의 구성이 권취기(24)와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권취기(24)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도 14에서는, 그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케이스(126)의 일부가 생략되어 있다. 여기서는, 권취기(24)와 상이한 구성에 관해 설명된다. 권취기(24)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그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권취기(24)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된다.
주축(118)은 프레임(116)에 고정되어 있다. 주축(118)은 프레임(116)과 일체로 되어 있다. 이 주축(118)을 회전축으로 하여, 보빈(120)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프레임(116)에 대하여, 보빈(120)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4의 화살표 NR은, 스트랩(22)이 조출되는 한쪽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화살표 RR은, 스트랩(22)이 권취되는 다른쪽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고정판(122)은 주축(118)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판(122)은, 주축(118)과 함께 프레임(116)과 일체로 되어 있다. 이 고정판(122)에 회동축(86)이 고정되어 있다. 캠(46)은 회동축(86)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 고정판(122)에는, 홈(90)이 형성되어 있고, 판 스프링(48)이 고정되어 있다.
도 14에서는, 부호의 기재가 생략되어 있지만, 캠 받이(124)는, 캠 받이(52)와 마찬가지로, 걸림부(96), 돌기부(98), 안내면(100) 및 지지면(102)을 구비한다. 이 캠 받이(124)는 보빈(120)에 고정되어 있다. 이 권취기(114)에서는, 보빈(120)의 플랜지(128)에 고정되어 있다. 보빈(120)이 회전함으로써, 권취기(24)와 마찬가지로, 캠 받이(124)와 캠(46)이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케이스(126)는, 프레임(116)과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이 보빈(120)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46)이 돌기부(98)에 회동시켜져 자유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자세 변화된다. 보빈(120)이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대기 자세에 있는 캠(46)의 로크 걸어맞춤부(82)의 선단(82a)이 안내면(100)에 안내되어, 대기 자세로부터 로크 자세로 변화된다. 이 로크 자세에서는, 캠(46)과 도시되지 않은 판 스프링(48)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있다. 판 스프링(48)이 로크 자세로부터 자유 자세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캠(46)을 압박한다.
2 : 하니스형 안전대 4 : 하니스
6, 104 : 랜야드 10 : 어깨 벨트부
14 : 넓적다리 벨트부 16 : 교차부
20 : 훅 22 : 스트랩
24, 108, 114 : 권취기 26, 110, 116 : 프레임
30, 118 : 주축 32, 120 : 보빈
34 : 스파이럴 스프링 36 : 스프링 케이스
40 : 갈고리 42 : 갈고리 수용 기어
46 : 캠 48 : 판 스프링
50, 122 : 고정판 52, 124 : 캠 받이
54, 112, 126 : 케이스 66 : 홈
70, 128 : 플랜지 80 : 걸어맞춤부
82 : 로크 걸어맞춤부 84 : 대기 걸어맞춤부
86 : 회동축 88 : 축 구멍
90 : 홈 92 : 굴곡부
94 : 걸어맞춤 오목부 96 : 걸림부
98 : 돌기부 100 : 안내면
102 : 지지면 106 : 쇼크 업소버

Claims (12)

  1. 훅과, 상기 훅에 연결된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은 감긴 권취기를 구비하고,
    상기 권취기는 보빈과, 프레임과, 캠과, 캠 탄성체와, 캠 받이를 구비하며,
    상기 보빈은 프레임에 대하여 그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보빈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트랩이 조출되며,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트랩이 권취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캠과 캠 받이 중의 어느 한쪽이 보빈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다른쪽이 프레임과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캠은, 로크 걸어맞춤부와, 대기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며,
    상기 캠은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캠의 회동축이 보빈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캠 받이는 걸림부, 돌기부 및 안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캠 받이의 걸림부는 반경 방향에 있어서 돌기부보다 캠의 회동축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안내면은 반경 방향에 있어서 돌기부와 걸림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안내면은 주위 방향에 있어서 보빈이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캠이 근접하는 방향에 면하고 있고,
    상기 캠은 회동하여, 자유 자세, 로크 자세 및 대기 자세로 자세 변화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자유 자세는 캠을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 가능한 자세이고,
    상기 로크 자세는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을 보빈이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캠 받이에 근접하는 방향을 향하게 하여, 로크 걸어맞춤부가 캠 받이의 걸림부와 걸어맞춰져 있는 자세이며,
    상기 대기 자세는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을 보빈이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캠 받이에 근접하는 방향을 향하게 하여, 대기 걸어맞춤부와 캠 탄성체가 걸어맞춰져 있는 자세이고,
    상기 보빈이 주위 방향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이 돌기부에 회동시켜져 자유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자세 변화되어 있으며,
    보빈이 주위 방향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대기 자세에 있는 캠의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이 안내면에 안내되어, 대기 자세로부터 로크 자세로 변화되어 있고,
    상기 로크 자세에서는, 캠의 대기 걸어맞춤부와 캠 탄성체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있으며, 캠 탄성체가 로크 자세로부터 자유 자세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캠을 압박하고 있고,
    캠의 회동축의 축심으로부터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캠의 회동축의 축심으로부터 걸림부까지의 반경 방향 최소 거리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인 랜야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받이는 지지면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면은 걸림부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면은, 캠 받이의 걸림부에 걸어맞춘 캠의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이 주위 방향 한쪽 방향으로 걸림부로부터 떨어질 때에, 상기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을 걸림부에 근접하는 방향을 향하여 지지하고 있는 것인 랜야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인 랜야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은 반경 방향으로 회동축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보빈의 회전 방향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의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는 것인 랜야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의 회전 방향의 폭의 각도(θ)는, 5° 이상 30° 이하인 것인 랜야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기는 고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에 캠의 회동축과 캠 탄성체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과 캠 받이 중의 어느 한쪽이 보빈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다른쪽이 프레임과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인 랜야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캠 탄성체의 탄성 변형량을 규제하고 있는 것인 랜야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탄성체는 그 양단이 고정되어 있고, 그 양단 사이에서 반경 방향에 있어서 캠을 향하여 돌출되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굴곡부에 캠과의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랜야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캠 탄성체는 그 양단 사이에 연장되는 판 스프링이고,
    상기 스토퍼는 고정판에 형성된 홈이며,
    상기 홈의 한쌍의 벽면이 판 스프링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판 스프링은 한쌍의 벽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 랜야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기는 프레임과 일체로 고정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캠 받이는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랜야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받이는 회전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2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인 랜야드.
  12. 랜야드와 하니스를 구비하고,
    상기 랜야드는 훅과, 상기 훅에 연결된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이 감긴 권취기를 구비하며,
    상기 권취기는 보빈과, 프레임과, 캠과, 캠 탄성체와, 캠 받이를 구비하고,
    상기 보빈은 프레임에 대하여 그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보빈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트랩이 조출되고,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트랩이 권취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캠과 캠 받이 중의 어느 한쪽이 보빈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다른쪽이 프레임과 일체로 되어 있으며,
    상기 캠은 로크 걸어맞춤부와, 대기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캠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캠의 회동축이 보빈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캠 받이는 걸림부, 돌기부 및 안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캠 받이의 걸림부는 반경 방향에 있어서 돌기부보다 캠의 회동축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상기 안내면은 반경 방향에 있어서 돌기부와 걸림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안내면은 주위 방향에 있어서 보빈이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캠이 근접하는 방향에 면하고 있으며,
    상기 캠은 회동하여, 자유 자세, 로크 자세 및 대기 자세로 자세 변화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자유 자세는 캠을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 가능한 자세이며,
    상기 로크 자세는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을 보빈이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캠 받이에 근접하는 방향을 향하게 하여, 로크 걸어맞춤부가 캠 받이의 걸림부와 걸어맞춰져 있는 자세이고,
    상기 대기 자세는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을 보빈이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캠 받이에 근접하는 방향을 향하게 하여, 대기 걸어맞춤부와 캠 탄성체가 걸어맞춰져 있는 자세이며,
    상기 보빈이 주위 방향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이 돌기부에 회동시켜져 자유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자세 변화되어 있고,
    보빈이 주위 방향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대기 자세에 있는 캠의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이 안내면에 안내되어, 대기 자세로부터 로크 자세로 변화되어 있으며,
    상기 로크 자세에서는, 캠의 대기 걸어맞춤부와 캠 탄성체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있고, 캠 탄성체가 로크 자세로부터 자유 자세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캠을 압박하고 있고,
    캠의 회동축의 축심으로부터 로크 걸어맞춤부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캠의 회동축의 축심으로부터 걸림부까지의 반경 방향 최소 거리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상기 하니스는 어깨 벨트부와 넓적다리 벨트부로 이루어지고, 어깨 벨트부가 등 부분에서 교차 중합하여 교차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랜야드는 하니스의 교차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인 하니스형 안전대.
KR1020157026440A 2013-04-18 2014-01-16 랜야드와 그 랜야드를 구비한 안전대 KR102071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87213A JP5860001B2 (ja) 2013-04-18 2013-04-18 ランヤードとそのランヤードを備えた安全帯
JPJP-P-2013-087213 2013-04-18
PCT/JP2014/050612 WO2014171157A1 (ja) 2013-04-18 2014-01-16 ランヤードとそのランヤードを備えた安全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949A true KR20150141949A (ko) 2015-12-21
KR102071754B1 KR102071754B1 (ko) 2020-01-30

Family

ID=51731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440A KR102071754B1 (ko) 2013-04-18 2014-01-16 랜야드와 그 랜야드를 구비한 안전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93670B2 (ko)
EP (1) EP2954936B1 (ko)
JP (1) JP5860001B2 (ko)
KR (1) KR102071754B1 (ko)
CN (1) CN105102074B (ko)
TW (1) TWI564053B (ko)
WO (1) WO2014171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3568B (en) * 2015-10-23 2021-02-24 Checkmate Lifting & Safety Ltd Portable fall protection device
US10712125B2 (en) * 2015-11-24 2020-07-14 Derrick Willard Weapon restraint system
AT520047B1 (de) * 2017-06-14 2019-10-15 Ing Hans Julian Dzugan Auffanggurtvorrichtung
DE102017120925B3 (de) 2017-09-11 2018-11-08 Bornack Gmbh & Co. Kg Schutzausrüstung mit Sensoreinrichtung
WO2021124404A1 (ja) * 2019-12-16 2021-06-24 株式会社谷沢製作所 安全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234A (ja) 1993-07-28 1995-02-14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外部電極放電ランプ及びランプ組込み機器
JPH0745234Y2 (ja) * 1989-07-20 1995-10-18 藤井電工株式会社 墜落防止用ベルトの巻取器
KR960003635Y1 (ko) * 1993-02-08 1996-04-27 남기혁 코드선 권취장치
JPH08332241A (ja) * 1995-06-08 1996-12-17 Fujii Denko Co Ltd 無墜落昇降柱法
JP2011224257A (ja) * 2010-04-22 2011-11-10 Fujii Denko Co Ltd 2本の巻取り式ランヤードを備えたハーネス型安全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3648B2 (ja) * 1996-06-04 2005-08-17 エヌエスケー・オートリブ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H10305109A (ja) * 1997-05-07 1998-11-17 Sanko Kk 墜落防止用器具
JP3097943U (ja) * 2003-05-21 2004-02-12 藤井電工株式会社 墜落防止用安全帯のベルト巻取機
US7281620B2 (en) * 2003-09-05 2007-10-16 D B Industries, Inc. Self-retracting lifeline
US7946387B2 (en) * 2006-01-03 2011-05-24 D B Industries, Inc. Self-retracting lifeline
JP2008148803A (ja) * 2006-12-15 2008-07-03 Prop:Kk ハーネス型安全帯
CN101945688A (zh) * 2008-02-25 2011-01-12 斯博瑞安保值公司 能量吸收救生索系统
US8567562B2 (en) * 2009-11-02 2013-10-29 B D Industries, LLC Brake assembly for a self-retracting lifeline assembly
WO2011148966A1 (ja) * 2010-05-25 2011-12-01 藤井電工株式会社 落下防止システム、複環部材、「8」字環部材、4つ孔部材、屋根上での作業方法、親綱設置方法、落下防止システムのバケツおよびケラバ用フック
US9056753B2 (en) * 2011-10-18 2015-06-16 LynRus Aluminum Products, LLC Disabling system for auto-arresting safety device
DE102015207363A1 (de) * 2015-04-22 2016-10-27 Oberalp SpA Sicherungsgerä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234Y2 (ja) * 1989-07-20 1995-10-18 藤井電工株式会社 墜落防止用ベルトの巻取器
KR960003635Y1 (ko) * 1993-02-08 1996-04-27 남기혁 코드선 권취장치
JPH0745234A (ja) 1993-07-28 1995-02-14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外部電極放電ランプ及びランプ組込み機器
JPH08332241A (ja) * 1995-06-08 1996-12-17 Fujii Denko Co Ltd 無墜落昇降柱法
JP2011224257A (ja) * 2010-04-22 2011-11-10 Fujii Denko Co Ltd 2本の巻取り式ランヤードを備えたハーネス型安全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754B1 (ko) 2020-01-30
TW201446305A (zh) 2014-12-16
EP2954936A1 (en) 2015-12-16
TWI564053B (zh) 2017-01-01
US20150375021A1 (en) 2015-12-31
WO2014171157A1 (ja) 2014-10-23
EP2954936B1 (en) 2017-08-23
CN105102074B (zh) 2018-09-21
EP2954936A4 (en) 2016-10-19
JP5860001B2 (ja) 2016-02-16
JP2014210008A (ja) 2014-11-13
CN105102074A (zh) 2015-11-25
US9993670B2 (en)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1949A (ko) 랜야드와 그 랜야드를 구비한 안전대
KR101706691B1 (ko) 신발끈 권취용 릴
US5733231A (en) Exercise device with variable resistance
US8001933B2 (en) Retractable pet leash and collar apparatus
US10039266B2 (en) Retractable pet leash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4424447B1 (ja) コードリール
US8794378B2 (en) Method of adjusting a strap of a safety harness
US20100326371A1 (en) Retractable pet leash
KR101552582B1 (ko) 웨빙 권취 장치
US20210037791A1 (en) Lead line adjusting device for companion animal
JP2017019309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20160345541A1 (en) Locking mechanism for pet retractor
US20220333392A1 (en) Binding machine
US11524188B2 (en) Tensioning device
US20180318903A1 (en) Punch die
JP2017025700A (ja) 結束機
EP24140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strap of a safety harness
JP4855424B2 (ja) 安全帯用ストラップ巻取機及び安全帯
JP5638810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20190276270A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cord reel, and apparatus including cord reel and holder
KR101371147B1 (ko) 신속 체결이 가능한 리모컨 장착 벨트
JP6483982B2 (ja) ベルト挿通具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7015042B2 (ja) 安全帯のストラップ巻取装置
JP6462398B2 (ja) 携帯物落下防止具
JP2024065967A (ja) ランヤード用巻取り器及びランヤ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