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330A - 복근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복근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330A
KR20150141330A KR1020140069879A KR20140069879A KR20150141330A KR 20150141330 A KR20150141330 A KR 20150141330A KR 1020140069879 A KR1020140069879 A KR 1020140069879A KR 20140069879 A KR20140069879 A KR 20140069879A KR 20150141330 A KR20150141330 A KR 20150141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upport bar
abdominal
backrest
guid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지광
Original Assignee
노지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지광 filed Critical 노지광
Priority to KR1020140069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1330A/ko
Publication of KR20150141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adjustable inclination angle of the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와이어의 단부에 복수개의 무게 추(이하 "원판" 이라 한다)를 선택적으로 설치는 것으로서, 운동 부하량을 조절한 상태로 복근(腹筋)을 단련하는 것으로서, 배를 날씬하게 함은 물론, 요통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복근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등받이(20)와 좌판(30)이 설치된 지지바(10); 상기 지지바(10)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고정바(40); 상기 지지바(10)에 힌지(10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암(50); 상기 회전암(50)의 단부에 설치된 원판 끼움바(51); 상기 지지바(10)의 상단에 설치된 안내롤(60); 상기 안내롤(60)에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고 하단부는 원판 끼움바(51)에 설치되며, 상단부에는 손잡이(120)가 설치된 견인 와이어(11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복근 운동기구{AB bench}
본 발명은 복근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견인와이어의 단부에 복수개의 무게 추(이하 "원판" 이라 한다)를 선택적으로 설치는 것으로서, 운동 부하량을 조절한 상태로 복근(腹筋)을 단련하는 것으로서, 배를 날씬하게 함은 물론, 요통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복근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근 운동은 발끝을 고정한 상태에서, 무릎을 구부리고 복근의 힘을 이용해 몸을 일으키는 운동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복근 운동은 상체를 다리 쪽으로 구부리면서 세우기 위해 허리와 배에 힘을 주면서 일어나기 때문에 허리에 무리를 줄 수 있다.
또한, 허리가 약하거나, 복근력이 약한 사람들은 더더욱 쉽지 않은 게 윗몸 일으키기 운동이다.
이러한 종래 복근운동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을 다양한 운동기구가 제공된 바 있으며,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3-19676호가 있다.
상기 선 출원 고안은 팔걸이와 다리 및 등받이로 구성되는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전방측 다리에 발걸이를 갖는 조절간을 연결구에 결합하여 나비볼트로 조절 가능하게 하고, 등받이의 골조와 후측 다리의 양측에는 내부에 스프링이 탄설된 자바라를 상/하 핀축에 의해 대향으로 고정하여 전방측에는 케이스가 부착된 지지대를 등받이의 골조에 용접고정하고 후방축 다리에는 축지부로 축설하며, 케이스의 내부에는 축봉과 슬라이드간을 직교방향으로 설치하되, 각 축봉과 슬라이드간은 스프링에 의해 외향 탄지되게 설치하여 축봉은 슬라이드 간의 하단부가 걸릴 수 있는 요입홈을 요설하여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복근 운동기구는 등받이와 후측다리의 회동구간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등받이가 탄력적으로 회동되면서 사용자가 등받이에 등을 대고 밀때에 복근이 긴장되고, 일어날 때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을 사용자의 등을 밀어올려 복근을 운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복근 운동기구는 등받이와 후측다리의 회동구간에 설치되는 스프링이 고정되어 설치됨에 따라 운동 부하의 량을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복근의 힘이 적은 초보자의 경우 또는 복근의 힘이 좋은 상급자에 따라 운동의 부하를 조정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등받이와 좌판이 설치된 지지바를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바의 상단에 설치된 안내롤에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하는 견인와이어의 하단에 복수개의 원판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부하량을 조절하여 견인와이어를 당김으로서 효과적인 복근 운동을 할 수 있는 복근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등받이와 좌판이 설치된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고정바; 상기 지지바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암; 상기 회전암의 단부에 설치된 원판 끼움바; 상기 지지바의 상단에 설치된 안내롤; 상기 안내롤에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고 하단부는 원판 끼움바에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설치된 견인 와이어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등받이의 표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 쿠션이 더 설치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바는 브래킷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에는 고정바의 회전량으로 조절하는 복수개의 끼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안내핀이 더 포함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등받이와 좌판이 설치된 지지바를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바의 상단에 설치된 안내롤에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하는 견인와이어의 하단에 복수개의 원판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부하량을 조절하여 견인와이어를 당김으로서 복근 운동을 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은 자세 및 손잡이의 당김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운동(복근, 이두근, 허리, 어께 등)을 실시 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를 중심으로 접거나 펼수 있으므로 협소한 공간에 보관 하거나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운동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운동 기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운동 기구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운동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운동 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운동 기구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바(10)가 마련되어 있되, 상기 지지바(10)의 하단에는 전방 하부바(11)가 설치되어 있고, 상단에는 안내롤(6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바(10)의 전면 중앙에는 등받이(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20)의 하부에는 좌판(3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등받이(20)의 표면에는 전면으로 돌출되는 이동쿠션(21)이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등받이(20)에는 이동쿠션(21)이 분리되지 않도록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편(22)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쿠션(21)을 간편하게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바(10)의 배면에는 고정바(40)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바(40)에 의해서 지지바(10)는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바(40)의 하단에는 후방 하부바(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10)에는 힌지(10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암(5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암(50)의 단부에는 원판 끼움바(5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판 끼움바(51)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지만 양측으로 돌출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암(50)의 단부에는 하부로 돌출되게 완충바(5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완충바(52)의 단부에는 완충부재(5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암(50)의 단부 상측에는 견인 와이어(110)의 하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견인 와이어(110)는 안내롤(60)에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안내롤(60)에 끼워져 있으며, 상기 견인 와이어(110)의 상단에는 손잡이(120)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손잡이(120)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각각 잡을 수 있도록 두 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등 부분이 등받이(20)에 접촉되도록 좌판(30)에 앉은 상태에서 등받이(20)에 설치된 이동쿠션(21)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쿠션(21)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양손으로 손잡이(120)를 각각 잡고 손을 가슴부분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체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손잡이(120)에 연결된 견인 와이어(110)가 당겨지면서 회전암(50)이 힌지(10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상체가 이동할 때 즉, 견인 와이어(110)를 당길 때 사용자는 복근의 힘으로 당기게 되므로 복근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복근 운동의 효과를 향상시키고자 할 때에는 원판 끼움바(51)에 원판을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복수개를 끼워 부하량을 간편하게 조절 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손잡이(120)를 잡고 팔을 상측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팔의 힘으로 당기면 견인 와이어(110) 및 원판(70)이 이동하면서 팔운동(이두근 운동 또는 어께 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는 같이 사용자의 전면(가슴부분)이 등받이(20) 측으로 향하도록 앉은 상태에서 손잡이(120)를 잡고 상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허리 강화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않은 자세와 손잡이의 당김 위치 및 방향에 의해서 다양한 운동을 실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바(10)의 경사 각도를 사용자가 조절 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지지바(10)에 브래킷(80)을 설치하되, 상기 브래킷(80)에는 고정공(8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공(81)의 둘레부의 동일한 반경 위치에 다수개의 각도 조절공(8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각도 조절공(82)에는 안내핀(90)을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바(40)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각도 조절공(82)에 안내핀(90)을 끼우면 고정바(40)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복근 운동 기구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것으로서, 보관 및 이동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 : 지지바 20 : 등받이
21 : 이동 쿠션 30 : 좌판
40 : 고정바 50 : 회전암
51 : 원판 끼움바 51 : 원판 끼움바
60 : 안내롤 80 : 브래킷
82 : 각도 조절공 90 : 안내핀
100 : 힌지 110 : 견인 와이어
120 : 손잡이

Claims (3)

  1. 등받이(20)와 좌판(30)이 설치된 지지바(10);
    상기 지지바(10)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고정바(40);
    상기 지지바(10)에 힌지(10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암(50);
    상기 회전암(50)의 단부에 설치된 원판 끼움바(51);
    상기 지지바(10)의 상단에 설치된 안내롤(60);
    상기 안내롤(60)에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고 하단부는 원판 끼움바(51)에 설치되며, 상단부에는 손잡이(120)가 설치된 견인 와이어(11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0)의 표면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 쿠션(21)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40)는 브래킷(8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80)에는 고정바(40)의 회전량으로 조절하는 복수개의 각도 조절공(82)이 형성되며, 상기 각도 조절공(82)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안내핀(90)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기구.
KR1020140069879A 2014-06-10 2014-06-10 복근 운동기구 KR201501413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879A KR20150141330A (ko) 2014-06-10 2014-06-10 복근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879A KR20150141330A (ko) 2014-06-10 2014-06-10 복근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330A true KR20150141330A (ko) 2015-12-18

Family

ID=55081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879A KR20150141330A (ko) 2014-06-10 2014-06-10 복근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13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3158B2 (en) Leg press
US7806815B2 (en) Core trainer
US8562496B2 (en) Thigh exercise machine with rocking user support
US7654941B2 (en) Exercise apparatus
US9168416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US20150202484A1 (en) Body transformer
US9126073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US20070259762A1 (en) Waist and abdomen exercising fitness equipment
US20140005008A1 (en) Abdomen exercise machine
US7435207B2 (en) Collapsible and storable apparatus for exercising core muscles
KR100909449B1 (ko) 복근 운동기구
AU2013101654A4 (en) Abdomen exercise machine
TWM522050U (zh) 腰腹運動健身椅
TWM440795U (en) Improved structure of exercise machine
US20110183826A1 (en) Exercise apparatus
KR101281675B1 (ko) 의자 좌판에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KR20140052148A (ko) 링크를 이용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150141330A (ko) 복근 운동기구
KR100953493B1 (ko) 다기능 운동기구
KR102252959B1 (ko) 다기능 운동기구
JP6075816B1 (ja) 多目的運動器具
KR20180133432A (ko) 운동 기구
KR200484023Y1 (ko) 복근 운동기
KR20230099955A (ko) 복근 강화기구
JP5881021B2 (ja) 筋力トレーニング座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