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023Y1 - 복근 운동기 - Google Patents

복근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023Y1
KR200484023Y1 KR2020170000181U KR20170000181U KR200484023Y1 KR 200484023 Y1 KR200484023 Y1 KR 200484023Y1 KR 2020170000181 U KR2020170000181 U KR 2020170000181U KR 20170000181 U KR20170000181 U KR 20170000181U KR 200484023 Y1 KR200484023 Y1 KR 200484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upport
guide rail
pipe
kn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1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 앤 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 앤 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 앤 키텍
Priority to KR20201700001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0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6Abdomen moving lower limbs with immobilized torso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방을 지지하는 전방지지대 및 후방을 지지하는 후방지지대와, 이동안내레일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대와, 무릎받침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레을 포함하여 구성된 복근 운동기가 제공되며, 특히 상기 무릎받침부의 무릎받침쿠션이 구비되는 부위는 필요에 따른 선택적 조작에 의해 좌우 회전 가능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복근 운동기{abdominal muscles training apparatus}
본 고안은 복근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릎을 받쳐주는 부위를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복근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스용 운동기는 실내에서 특정 신체 부위에 대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기기로써, 신체의 각 부위별 특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각각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각종 헬스용 운동기 중 복근 운동기는 인체의 복근을 강화하기 위해 제공되는 운동기이며,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0508호, 등록특허 제10-0909449호, 등록특허 제10-1110269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즉, 전술된 각 종래 기술들에서와 같이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통해 실내에서 간편한 복근 단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전술된 각 종래 기술들의 경우 탄력로프가 제공되면서 이 탄력로프의 탄성 복원력에 의존한 운동이 진행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해당 탄력로프의 최초 설치에 따른 어려움 뿐만 아니라 최초 설치시 정확한 탄력 조절의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전술된 각 종래 기술들은 단순히 복부의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만 수행할 뿐 신체의 복부 이외에 여타 부위에 대한 근력 강화를 동시에 단련하지는 못하였다.
물론,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실용신안 제20-0464221호에서 제공되는 운동기기의 경우 팔뚝 근육과 복부 근육을 동시에 강화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 역시 단순히 동일한 동작만 반복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더욱 다양한 신체 부위에 대한 운동 효과의 제공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즉, 전술된 각 종래 기술들은 단순히 복부의 상하 겹침 운동을 이용한 복부 단련만 수행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허리(혹은, 골반)를 비트는 등의 유연성 운동을 위해서는 별도의 운동기가 필요될 수밖에 없었고, 운동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기가 어려웠던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0508호 등록특허 제10-0909449호 등록실용실안 제20-0464221호 등록특허 제10-1110269호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더욱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무릎을 받쳐주는 부위를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복근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복근 운동기에 따르면 전방측 지면에 안착되는 전방지지대 및 후방측 지면에 안착되는 후방지지대와, 상기 전방지지대로부터 상향 연장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측 양끝단에는 팔꿈치쿠션이 각각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사조절대와, 선단은 상기 경사조절대의 상측 끝단에 위치되어 고정됨과 더불어 후단은 상기 후방지지대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이동안내레일과, 상기 이동안내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무릎받침쿠션을 가지는 무릎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릎받침부의 상기 무릎받침쿠션이 구비되는 부위는 선택적 조작에 의해 이동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만 되거나 혹은, 이동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도 되면서 좌우 회전도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무릎받침부는 상기 이동안내레일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는 절곡형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절곡형 받침플레이트의 상면 중앙측 부위에 구비되는 회전중심축과, 상기 절곡형 받침플레이트의 상면 중 상기 회전중심축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고정파이프와, 상기 절곡형 받침플레이트의 상면 중 상기 회전중심축의 후방측에 좌우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안내홈과, 중앙으로는 상기 회전중심축이 관통되는 중앙관통공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이 중앙관통공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는 상기 고정파이프 및 안내홈과 일치되게 형성되는 고정측관통공 및 회전측관통공이 각각 관통 형성되면서 해당 회전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으로는 상기 각 무릎받침쿠션이 각각 구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블럭과, 상기 회전블럭의 고정측관통공 및 회전측관통공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조작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조절대는 일단이 상기 전방지지대의 중앙측 부위에 고정되면서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는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을 덮거나 혹은, 상기 지지관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지지관의 안내를 받아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관과 조절관은 상대 이동 변위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복근 운동기는 윗몸 일으키기 방식의 일반적인 복근 운동이 아니라 엎드린 상태로 무릎을 당기는 방식의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팔뚝 근육과 복부 근육이 동시에 단련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고안의 복근 운동기는 무릎을 받쳐주는 무릎받침부를 회전되도록 조작하거나 혹은, 회전되지 않도록 선택적인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운동을 손쉽게 전환하면서 행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의 복근 운동기는 무릎받침부에 대한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근 운동시 설정된 각도까지만 허리를 비트는 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다양한 부위에 대한 동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복근 운동기는 경사조절대를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이동안내레일의 경사 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6은 도 1의 “B”부 확대도
도 7은 도 4의 “C”부 확대도
도 8은 도 7의 “C”부에 대한 저면 상태를 나타낸 요부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복근 운동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는 크게 전방지지대(110) 및 후방지지대(120)와, 경사조절대(200)와, 이동안내레일(300)과, 무릎받침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무릎받침부(400)의 무릎받침쿠션(460)이 구비되는 부위는 좌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전방지지대(110) 및 후방지지대(120)는 각각 전방측 지면 및 후방측 지면에 안착되는 부위이다.
즉, 상기한 전방지지대(110) 및 후방지지대(120)가 지면에 얹힌 상태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의 전방측 부위가 좌우로 기울거나 혹은, 후방측 부위가 좌우로 기우는 것을 각각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방지지대(110) 및 후방지지대(120)는 각각 전방측 및 후방측에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경사조절대(200)는 이동안내레일(300)의 선단을 지탱하면서 상기 전방지지대(110)에 연결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경사조절대(200)는 하단이 상기 전방지지대(110)에 결합 고정됨과 더불어 상단은 이동안내레일(300)의 선단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경사조절대(200)가 지지관(210) 및 조절관(220)의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이동안내레일(300)의 기울어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관(210)은 그 일단이 상기 전방지지대(110)의 중앙측 부위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절관(220)은 상기 지지관(210)을 덮는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관(210)의 안내를 받아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조절관(220)이 상기 지지관(210)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지지관(210)과 조절관(220)은 상대 이동 변위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관(210)과 조절관(220)의 서로 대향되는 부위에 결합공(211,221)을 각각 관통 형성하여, 상기 각 결합공(211,221) 간의 일치 후 결합을 통해 해당 위치에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동안내레일(300)의 기울어짐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경사조절대(200)의 상측 양 끝단에는 팔꿈치쿠션(230)이 각각 구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경사조절대(200)의 상측 전방으로는 손잡이 프레임(240)이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그의 팔꿈치를 상기 팔꿈치쿠션(230)에 받쳐지도록 한 후 상기 손잡이 프레임(240)을 파지한 자세로 복근 및 팔 근육에 대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손잡이 프레임(240) 사이에 각종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계기판(250)이 더 구비됨을 예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안내레일(300)은 무릎받침부(4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도록 제공되는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이동안내레일(300)은 그의 선단이 상기 경사조절대(200)의 상측 끝단에 위치되어 고정됨과 더불어 후단은 상기 후방지지대에 위치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안내레일(300)이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면서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되도록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하며, 이때 상기 두 이동안내레일(300)의 양 끝단은 연결프레임(310,320)으로써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각 연결프레임(310,320)에 의해 전술된 손잡이 프레임(240) 및 후방지지대(120)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이동안내레일(300)의 선단 및 후단에는 무릎받침부(400)의 상하 이동 거리를 제한하면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선단측 범퍼(330) 및 후단측 범퍼(340)가 각각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무릎받침부(400)는 사용자의 복근 운동을 위해 사용자의 무릎 부위가 얹히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무릎받침부(400)는 상기 이동안내레일(3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무릎받침쿠션(460)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무릎받침부(400)의 무릎받침쿠션(460)이 설치되는 부위는 상기 이동안내레일(300)과는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무릎받침부(400)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릎받침부(400)가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와, 회전중심축(420)과, 고정파이프(430)와, 회전블럭(440) 및 조작플러그(4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는 상기 이동안내레일(300)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는 부위로써, 양단이 상기 두 이동안내레일(400)의 외측 일부를 덮도록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됨과 더불어 중앙측 부위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의 절곡된 양단 내측에는 상기 두 이동안내레일(300)을 따라 구름 회전되는 복수의 구름롤러(411)가 각각 더 설치되고, 상기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의 절곡된 양단 외측으로는 서로 간의 오므림을 위한 탄력부재(412)가 설치되며, 상기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의 절곡된 양단의 중앙측 부위는 연결볼트(413)가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면서 해당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가 두 이동안내레일(300)로부터 이탈됨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중심축(420)은 회전블럭(440)의 회전 중심으로 제공되는 축으로써, 상기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의 상면 중앙측 부위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전중심축(420)은 상기 회전블럭(44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의 상면 중 상기 회전중심축(420)의 후방측에는 안내홈(414)이 좌우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면서 조작플러그(450)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로써 회전블럭(440)의 회전 거리가 제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파이프(430)는 상기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의 상면 중 상기 회전중심축(420)의 전방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조작플러그(450)가 삽입될 수 있는 파이프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블럭(440)은 상기 회전중심축(420)을 회전 중심으로하여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위로써, 중앙으로는 상기 회전중심축(420)이 관통되는 중앙관통공(441)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이 중앙관통공(441)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는 상기 고정파이프(430) 및 안내홈(414)과 일치되게 형성되는 고정측관통공(442) 및 회전측관통공(443)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무릎받침쿠션(460)은 롤러형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블럭(440)의 양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회전블럭(440)의 상면은 커버체(470)로 감싸여진다. 즉, 상기 커버체(470)로써 상기 회전블럭(440)을 관통하는 회전중심축(42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체(470)에는 상기 회전블럭(440)의 고정측관통공(442) 및 회전측관통공(443)과 일치되는 고정측통과공(471) 및 회전측통과공(472)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작플러그(450)는 상기 커버체(470)의 고정측통과공(471) 및 회전측통과공(472)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블럭(440)의 고정측관통공(442) 및 회전측관통공(443)에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되는 개별 구조물로써, 상기 조작플러그(450)의 삽입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회전블럭(440)이 상기 회전중심축(420)을 기준으로 회전되거나 혹은, 정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회전되지 않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의 사용 예 및 이에 따른 복근 운동기의 동작 상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 형태를 결정한다. 즉, 사용자는 팔뚝 운동 및 복근 운동만 수행할지 혹은, 상기 두 운동과 함께 허리(혹은, 골반)의 비틀기 운동도 수행할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운동 형태의 결정이 이루어지면 이 결정된 운동 형태에 따라 조작플러그(450)를 조작하여 무릎받침부(460)에 대한 회전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팔뚝 및 복근 운동만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조작플러그(450)를 커버체(470)의 고정측통과공(471)에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조작플러그(450)가 회전블럭(440)의 고정측관통공(442) 및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에 고정된 고정파이프(430)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이로써 상기 무릎받침부(400)의 회전블럭(440)은 상기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에 회전되지 않게 구속된 상태로 상기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와 함께 두 이동안내레일(300)의 상하로만 이동되도록 위치된다.
반면, 사용자가 팔뚝과 복근 운동뿐 아니라 허리 운동도 동시에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조작플러그(450)를 커버체(470)의 회전측통과공(472)에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조작플러그(450)가 회전블럭(440)의 회전측관통공(443) 및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의 안내홈(414)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이로써 상기 무릎받침부(400)의 회전블럭(440)은 상기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와 함께 두 이동안내레일(300)의 상하로 이동될 뿐 아니라 상기 회전중심축(420)을 회전 중심으로 상기 안내홈(414)의 형성 거리만큼 회전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사용자는 운동 강도를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운동 강도를 높이고자 한다면 경사조절대(200)를 이루는 지지관(210) 및 조절관(220)의 상대 이동 변위에 대한 조절을 통해 이동안내레일(300)이 더욱 높은 경사 각도를 갖도록 하며, 운동 강도를 낮추고자 한다면 경사조절대(200)를 이루는 지지관(210) 및 조절관(220)의 상대 이동 변위에 대한 조절을 통해 이동안내레일(300)이 더욱 낮은 경사 각도를 갖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초기 운동 형태에 대한 결정과 운동 강도에 대한 결정 및 이를 위한 각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에 엎드린 상태로 그 운동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는 두 손으로 손잡이 프레임(240)을 파지한 상태로 엎드리면서 두 팔꿈치는 경사조절대(200)의 상측 양 끝단에 위치된 팔꿈치쿠션(230)에 얹음과 더불어 두 무릎은 무릎받침부(400)를 이루는 무릎받침쿠션(460)에 각각 얹고, 이후 두 손을 당김과 더불어 복부에 힘을 주어 무릎을 당김으로써 복부 근육 및 팔뚝 근육에 대한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만일, 상기 초기 운동 형태가 허리 운동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된 상태라면 상기와 같이 두 손의 당김 및 무릎의 당김을 수행하면서 복부 근육 및 팔뚝 근육에 대한 운동을 수행함과 더불어 허리나 골반을 비트는 동작을 수행하면서 허리 근육에 대한 운동을 추가로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가 허리나 골반을 비틀 경우 무릎이 얹혀있던 무릎받침쿠션(460)에 상기 비틀림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제공되며, 이로써 회전블럭(440)이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로부터 좌우 회전됨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 근육에 대한 운동이 추가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회전블럭(440)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조작플러그(450)는 안내홈(414)에 의해 그 이동 거리가 제한됨으로써 상기 회전블럭(440)의 과도한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결국, 본 고안의 복근 운동기는 윗몸 일으키기 방식의 일반적인 복근 운동이 아니라 엎드린 상태로 무릎을 당기는 방식의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팔뚝 근육과 복부 근육이 동시에 단련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복근 운동기는 무릎을 받쳐주는 무릎받침부(400)를 회전되도록 조작하거나 혹은, 회전되지 않도록 선택적인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운동을 손쉽게 전환하면서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의 복근 운동기는 무릎받침부(400)에 대한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근 운동시 설정된 각도까지만 허리를 비트는 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다양한 부위에 대한 동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복근 운동기는 경사조절대(200)를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이동안내레일(300)의 경사 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이로써 운동 강도 역시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110. 전방지지대 120. 후방지지대
200. 경사조절대 210. 지지관
220. 조절관 211,221. 결합공
230. 팔꿈치쿠션 240. 손잡이 프레임
250. 계기판 300. 이동안내레일
310,320. 연결프레임 330. 선단측 범퍼
340. 후단측 범퍼 400. 무릎받침부
410. 절곡형 받침플레이트 411. 구름롤러
412. 탄력부재 413. 연결볼트
414. 안내홈 420. 회전중심축
430. 고정파이프 440. 회전블럭
441. 중앙관통공 442. 고정측관통공
443. 회전측관통공 450. 조작플러그
460. 무릎받침쿠션 470. 커버체
471. 고정측통과공 472. 회전측통과공

Claims (3)

  1. 전방측 지면에 안착되는 전방지지대(110) 및 후방측 지면에 안착되는 후방지지대(120)와, 상기 전방지지대(110)로부터 상향 연장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측 양끝단에는 팔꿈치쿠션(230)이 각각 설치되는 경사조절대(200)와, 선단은 상기 경사조절대(200)의 상측 끝단에 위치되어 고정됨과 더불어 후단은 상기 후방지지대(120)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이동안내레일(300)과, 상기 이동안내레일(3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이동안내레일(300)을 따라 이동만 되거나 혹은, 이동안내레일(300)을 따라 이동도 되면서 좌우 회전도 되도록 구성되는 무릎받침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무릎받침부(400)는
    이동안내레일(300)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는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와,
    상기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의 상면에 구비되는 회전중심축(420)과,
    상기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의 상면 중 회전중심축(420)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고정파이프(430)와,
    상기 절곡형 받침플레이트(410)의 상면 중 상기 회전중심축(420)의 후방측에 좌우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안내홈(414)과,
    중앙으로는 상기 회전중심축(420)이 관통되는 중앙관통공(441)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이 중앙관통공(441)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는 상기 고정파이프(430) 및 안내홈(414)과 일치되게 형성되는 고정측관통공(442) 및 회전측관통공(443)이 각각 관통 형성되면서 해당 회전중심축(4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으로는 무릎받침쿠션(460)이 각각 구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블럭(440)과,
    상기 회전블럭(440)의 상면을 감싸면서 상기 회전블럭(440)을 관통하는 회전중심축(42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며, 상기 회전블럭(440)의 고정측관통공(442) 및 회전측관통공(443)과 일치되는 고정측통과공(471) 및 회전측통과공(472)이 각각 관통 형성된 커버체(470)와,
    상기 커버체(470)의 고정측통과공(471) 및 회전측통과공(472)을 관통하여 회전블럭(440)의 고정측관통공(442) 및 회전측관통공(443)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조작플러그(4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대(200)는
    일단이 상기 전방지지대(110)의 중앙측 부위에 고정되면서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는 지지관(210)과,
    상기 지지관(210)을 덮거나 혹은, 상기 지지관(210)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지지관(210)의 안내를 받아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관(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관(210)과 조절관(220)은 상대 이동 변위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기.
KR2020170000181U 2017-01-10 2017-01-10 복근 운동기 KR200484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81U KR200484023Y1 (ko) 2017-01-10 2017-01-10 복근 운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81U KR200484023Y1 (ko) 2017-01-10 2017-01-10 복근 운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023Y1 true KR200484023Y1 (ko) 2017-07-31

Family

ID=5939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181U KR200484023Y1 (ko) 2017-01-10 2017-01-10 복근 운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023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221A (ko) 2003-01-09 2004-07-1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싯대
KR100909449B1 (ko) 2007-08-31 2009-07-28 신동수 복근 운동기구
KR101110269B1 (ko) 2010-05-10 2012-02-17 샤먼조우롱스포팅 굳즈 주식회사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JP3175700U (ja) * 2012-03-06 2012-05-24 周▲いく▼志 足台開角調整可能な腹部引張装置
KR20130000508U (ko) 2011-07-12 2013-01-22 샤먼조우롱스포팅 굳즈 주식회사 삼단식 윗몸 일으키기 등판
JP3205933U (ja) * 2015-06-11 2016-08-18 洛克馬企業股▲分▼有限公司Body Action Enterprise Co., Ltd. 運動器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221A (ko) 2003-01-09 2004-07-1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싯대
KR100909449B1 (ko) 2007-08-31 2009-07-28 신동수 복근 운동기구
KR101110269B1 (ko) 2010-05-10 2012-02-17 샤먼조우롱스포팅 굳즈 주식회사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130000508U (ko) 2011-07-12 2013-01-22 샤먼조우롱스포팅 굳즈 주식회사 삼단식 윗몸 일으키기 등판
JP3175700U (ja) * 2012-03-06 2012-05-24 周▲いく▼志 足台開角調整可能な腹部引張装置
JP3205933U (ja) * 2015-06-11 2016-08-18 洛克馬企業股▲分▼有限公司Body Action Enterprise Co., Ltd. 運動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3730U (ja) フィットネス器具
US7686750B2 (en) Seated abdominal exerciser
US7585263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7611445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EP2111268B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7485079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5665041A (en) Abdominal exerciser
US20140274574A1 (en) Exercise apparatus comprising adjustable foot pads and related methods
US9028375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US7654941B2 (en) Exercise apparatus
US7056224B1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US9126073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US9168416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JP6355718B2 (ja) 腰の円軌道運動が可能な全身運動器
US9199111B2 (en) Exercise apparatus
US20070093363A1 (en) Golf swing simulator and exercise device
US8808152B1 (en) Exercise resistance machine
US7435207B2 (en) Collapsible and storable apparatus for exercising core muscles
US8016731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20090305855A1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KR200463833Y1 (ko) 복근운동기구
US10569127B2 (en) Core exercise machine
KR200484023Y1 (ko) 복근 운동기
KR101410686B1 (ko) 복합운동기구
CN214286552U (zh) 锻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