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088A - 홈 어플라이언스 - Google Patents
홈 어플라이언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41088A KR20150141088A KR1020140069658A KR20140069658A KR20150141088A KR 20150141088 A KR20150141088 A KR 20150141088A KR 1020140069658 A KR1020140069658 A KR 1020140069658A KR 20140069658 A KR20140069658 A KR 20140069658A KR 20150141088 A KR20150141088 A KR 201501410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er
- home appliance
- smart grid
- indicator
- mo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13—Household appliance in gener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구동부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와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표시부와,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거나,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거나, 서버로부터 전력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전력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부를 운전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스마트 그리드 모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홈 어플라이언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스마트 그리드 모드를 인식할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 배치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중 냉장고는, 사용자를 위해, 음식을 저장하고,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을 처리하며, 에어컨은 실내 온도를 조정하거고,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한편, 다양한 통신 방식이 발달함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하려는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게 스마트 그리드 모드를 인식할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구동부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와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표시부와,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거나,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거나, 서버로부터 전력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전력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부를 운전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구동부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력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구동부 동작시, 통신부로부터 제1 전력 정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구동부가 계속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통신부로부터 제2 전력 정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구동부가, 소정 시간 동안 일시 정지하였다가, 그 이후, 다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 어플라이언스는, 구동부가 동작하는 동안, 스마트 그리드 모드 진입 입력이 있는 경우,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를 온 시킨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간편하게 스마트 그리드 모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는, 서버와의 접속시, 지속적으로 온되고,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와의 접속시, 지속적으로 온된다. 이에 따라, 서버와의 접속시, 또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와의 접속을 간편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버로부터의 전력 정보 수신에 기초하여, 스마트 그리드 운전이 가능해지며, 따라서, 소비전력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스마트 그리드 모드라도, 오버라이드 모드가 설정된 경우, 오버라이드 모드로 동작하여, 홈 어플라이언스가 연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의 다양한 모드에 대해, 해당하는 인디케이터를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셋업을 위해, 네트워크 셋업 관련 정보를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전송하고,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네트워크 관련 정보 수신 이후,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며, 서버로의 제품 등록을 위해, 억세스 포인트 장치와의 접속 이후, 제품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버로, 홈 어플라이언스이 제품 등록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는, 수신된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이후 억세스 포인트 장치와의 재접속시 활용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 리셋 모드에서는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삭제하고, 제2 리셋 모드에서는, 서버에 등록된 제품 관련 정보와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의 서버 재등록 등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통신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는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3a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표시부의 다양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다른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c는 도 8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b는 도 11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b는 도 14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도 17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홈 어플라이언스와 서버 사이에 전송 가능한 다양한 데이터 패킷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통신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는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3a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표시부의 다양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다른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c는 도 8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b는 도 11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b는 도 14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도 17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홈 어플라이언스와 서버 사이에 전송 가능한 다양한 데이터 패킷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50)은, 홈 어플라이언스(200), AP 장치(400), 서버(500), 네트워크(550), 이동 단말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사용자를 위한 전자 기기(electric device)로서, 예를 들어, 냉장고(도 2의 200a), 세탁기(도 2의 200b), 에어컨(도 2의 200c), 조리기기(도 2의 200d), 청소기(도 2의 200e)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내부에 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하고, 내부 네트워크(10) 내의 전자기기들 또는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접속 가능한 전자기기들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미도시)는, AP 장치(400)와 유, 무선으로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 장치(400)는, 인접 전자 기기(electric device)에 내부 네트워크(10)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AP 장치(400)는, 내부 네트워크(10) 내의 전자 기기들에, 소정 통신 방식에 의한 무선 채널을 할당하고, 해당 채널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통신 방식은, WiFi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이때, 내부 네트워크(10) 내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300)는, AP 장치(400)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접속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모니터링, 원격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AP 장치(400)는, 내부 네트워크(10) 외에,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외부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 장치(400)는,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3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네트워크(550)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300)는, 외부 네트워크(550), 및 AP 장치(400)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접속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모니터링, 원격제어, 스마트 진단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AP 장치(400)는,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서버(5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펌웨어 정보, 운전 정보(코스 정보 등)를 저장하고,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제품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5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제조자 또는 판매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500)는, 공개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운영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구동부가 동작하는 동안, 스마트 그리드 모드 진입 입력이 있는 경우,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를 온 시킨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간편하게 스마트 그리드 모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는, 서버와의 접속시, 지속적으로 온되고,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는, AP 장치(400)와의 접속시, 지속적으로 온된다. 이에 따라, 서버와의 접속시, 또는 AP 장치(400)와의 접속을 간편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네트워크 셋업을 위해, 네트워크 셋업 관련 정보를 AP 장치(400)로 전송하고,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AP 장치(400)로부터 수신하며, 네트워크 관련 정보 수신 이후,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며, 서버(500)로의 제품 등록을 위해, AP 장치(400)의 접속 이후, 제품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버(500)로, 홈 어플라이언스이 제품 등록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수신된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이후 억세스 포인트 장치와의 재접속시 활용가능하게 된다.
한편, 표시부를 통해, AP 장치(400) 접속시와, 서버 접속시를 구분함으로써, 사용자가, 바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리셋 모드에서는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삭제하고, 제2 리셋 모드에서는, 서버(500)에 등록된 제품 관련 정보와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의 서버(500) 재등록 등이 가능해진다.
한편, DR 신호 수신에 기초하여, 스마트 그리드 운전이 가능해지며, 따라서, 소비전력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다양한 모드에 대해, 해당하는 인디케이터를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2a는, 냉장고(200a)를 예시하며, 도 2b는, 세탁기(200b)를 예시하며, 도 2c는, 에어컨(200c)을 예시하며, 도 2d는, 조리기기(200d)를 예시하며, 도 2e는 로봇 청소기(200e)를 예시한다.
도 3a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220),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30), 다른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222), 홈 어플라이언스를 구동하는 구동부(245), 및 구동부(245) 등 내부 유닛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가 냉장고인 경우, 구동부(245)는, 냉장실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실 팬을 동작시키는 냉장실 구동부, 냉동실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동실 팬을 동작시키는 냉동실 구동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를 동작시키는 압축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세탁기인 경우, 구동부(245)는, 드럼 또는 터브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에어컨인 경우, 구동부(245)는, 실외기 내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압축기 구동부, 열교환을 위한 실외기 팬을 동작시키는 실외기 팬 구동부, 열교환을 위한 실내기팬을 동작시키는 실내기 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조리기기인 경우, 구동부(245)는, 캐비티 내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구동부를 포함할 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청소기인 경우, 구동부(245)는, 공기 흡입을 위한 팬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22)는, 적어도, 근거리 자기장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217)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2)는, AP 장치(400)에 접속하거나, AP 장치(400)를 통해 서버(510)에 접속하거나, 서버(510)로부터 전력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통신부(222)를 통해 수신되는 전력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부(245)를 운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외, 홈 어플라이언스 내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의 통신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한편, 통신부(222)는, 집안 내의 AP 장치(40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1 인터페이스부(272)와, 서버, 특히, 제1 서버(510a)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2 인터페이스부(27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서버(510a)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소정 포맷의 데이터 구조가 규정된 경우, 제1 인터페이스부(272)는, 규정된 데이터 구조에 따라,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인터페이스부(272)는, 제1 서버(510a)용 에이젼트(agent)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 AP 장치(400)와 WiFi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222)는, WiFi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인터페이스부(274)는, 제어부(270)와 AP 장치(4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WiFi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변환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 등을 참조하여 다시 기술한다.
도 4는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서버(500)는, 통신 모듈(530), 저장부(540), 및 프로세서(520)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 모듈(530)은,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홈 어플라이언스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모듈(530)은,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제품 정보에 대한 제품 정보 등록 결과 정보를 이동 단말기(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모듈(530)은, 인터넷 모듈 또는 이동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540)는,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저장하고,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을 위해,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서버(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520)는,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홈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이동 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전력 소비 정보인 경우, 프로세서(520)는, 저장부(540)에 저장된, 전력 가격 정보, 온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오프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실시간 전력 정보 등을 전력 정보를, 이동 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제조자가 운영하는 서버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관련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운영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부(310), A/V(Audio/Video) 입력부(320), 사용자 입력부(330), 센싱부(340), 출력부(350), 메모리(360), 인터페이스부(370), 제어부(380), 및 전원 공급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310)는, 네트워크 공유기(550)를 통해, 전력 관리부(5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내부 전력망에 대한 전력 모니터링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부(310)는, 전력 모니터링 요청을 송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100)가 내부 전력망에 대한 원격 제어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부(310)는, 원격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에 대한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310)는, 방송수신 모듈(311), 이동통신 모듈(313), 무선 인터넷 모듈(315), NFC 모듈(317), 및 GPS 모듈(3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3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3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3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3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3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315)은 이동 단말기(3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315)은, WiFi 기반의 무선 통신 또는 WiFi Direct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317)은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317)은, NFC 태그 또는 NFC 모듈이 탑재된 전자장치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즉 태깅하는 경우, 해당 전자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해당 전자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 외,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3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3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321)와 마이크(3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3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3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340)는 이동 단말기(3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3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3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싱부(340)는, 감지센서(341), 압력센서(343), 및 모션 센서(3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3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300)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350)는 디스플레이(351), 음향출력 모듈(353), 알람부(355), 및 햅틱 모듈(3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51)는 이동 단말기(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3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353)은 무선 통신부(3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3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3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355)는 이동 단말기(3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
햅틱 모듈(haptic module)(3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3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메모리(360)는 제어부(3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370)는 이동 단말기(3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3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3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3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3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381)은 제어부(3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3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390)는, 제어부(3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3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3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3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조작패널의 다양한 예이다.
먼저, 도 6a는 냉장고(200a)의 조작패널(600a)의 일예를 도시한다.
조작패널(600a)은, 표시부와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도면에서는, 표시패널(230a)과 다양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입력부(220a)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표시부와 입력부 외에,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 그리드 모드 관련 인디케이터(620),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를 구비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AP 장치(400) 또는 서버(500)로의 접속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는, 표시부로서의 동작 외에, 입력부로서의 동작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최초 전원 온 이후,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 또는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가 눌려지는 경우, 네트워크 온(on) 모드로서,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구동부(245)는, 네트워크 설정과 별개도 동작 중인 것이 가능하다.
한편,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 또는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가 한번 더 눌려지는 경우, 네트워크 오프(off) 모드로서, 네트워크 접속이 끊어질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는, AP 장치(400)와 접속이 되지 않은 경우, 오프 상태일 수 있으며, AP 장치(400)와 접속되었으나 서버(500)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제1 패턴으로 온(on) 될 수 있으며, AP 장치(400) 및 서버(500)에 모두 접속된 상태인 경우, 제2 패턴으로 온(on) 될 수 있다.
이때, 제1 패턴은, 깜빡거리는(blinking)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패턴은, 지속적(constantly)으로 온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드 모드 관련 인디케이터(620)는, 표시부로서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500)를 통해, DR(Demand Response)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그리드 모드 관련 인디케이터(620)가 온(on) 될 수 있다. 그 외에는, 오프될 수 있다.
한편, 그리드 모드 관련 인디케이터는,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와 연계되어 동작될 수 있다. 즉,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가 온된 상태에서, DR(Demand Response)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그리드 모드 관련 인디케이터(620)가 온(on) 될 수 있다.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는, 표시부로서의 동작 외에, 입력부로서의 동작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그리드 모드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가 눌려지는 경우, 스마트 그리드 모드가 온(on)될 수 있다.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가 한번 더 눌려지는 경우, 스마트 그리드 모드가 오프(off)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는, 스마트 그리드 모드가 수행 가능한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실제 DR 신호 수신 이후, DR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 저감을 위한, 구동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와 관계없이, 스마트 그리드 모드가 수행 가능하기만 하면 온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는,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와 연계되어 동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는,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하여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가, AP 장치(400)와 접속되기 이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경우,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는, 제1 패턴으로 온(on) 될 수 있으며, AP 장치(400)와 접속된 경우, 제2 패턴으로 온(on) 될 수 있다. 한편, AP 장치(400)와 접속 이후, 서버(500)와도 접속된 경우, 제2 패턴으로 동일하게 온(on)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패턴은, 깜빡거리는(blinking)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패턴은, 지속적(constantly)으로 온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냉장고(200a)의 조작패널(600a) 내에, 원격 제어 관련 인디케이터(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도 6b는 세탁기(200)의 표시부(230)의 일예를 도시한다.
조작패널(600b)은, 표시부와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도면에서는, 표시패널(230b)과 다양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입력부(220b)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표시부와 입력부 외에,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 그리드 모드 관련 인디케이터(620),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를 구비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 그리드 모드 관련 인디케이터(620),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의 동작은, 도 6a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 도 6c는 건조기(200)의 표시부(230)의 일예를 도시한다.
조작패널(600c)은, 표시부와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도면에서는, 표시패널(230c)과 다양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입력부(220c)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표시부와 입력부 외에,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 그리드 모드 관련 인디케이터(620),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를 구비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 그리드 모드 관련 인디케이터(620),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의 동작은, 도 6a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다른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댁 내(10)에, 배치되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게이트 웨어(gateway)와 같은 AP 장치(400)를 통해, 서버(500)와 접속할 수 있다. 서버(500)는, 제1 서버(510a)와 제2 서버(510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서버(510a)는,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홈 어플라이언스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홈 어플라이언스 제조사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 판매자가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제2 서버(510b)는, 스마트 그리드 운전과 관련된, 전력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거나, 홈 어플라이언스의 소비 전력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510b)는, DR 신호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한편, 제2 서버(510b)의 전력 정보 등의 서비스는, 제1 서버(510a)에서 함께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집 외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300)는, 서버(510a,510b) 등에 접속하여,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 원격제어, 소비전력, 동작 상황 등의 모니터링 등을 위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통신부(222)는, 집안 내의 AP 장치(40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1 인터페이스부(272)와, 서버, 특히, 제1 서버(510a)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2 인터페이스부(27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서버(510a)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소정 포맷의 데이터 구조가 규정된 경우, 제1 인터페이스부(272)는, 규정된 데이터 구조에 따라,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인터페이스부(272)는, 제1 서버(510a)용 에이젼트(agent)(272)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 AP 장치(400)와 WiFi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222)는, WiFi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인터페이스부(274)는, 제어부(270)와 AP 장치(4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WiFi 애플리케이션(274)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변환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서버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제어부(27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WiFi 애플리케이션(274)에서 1차 데이터 변환이 수행되고, 제1 서버(510a)용 에이젼트(agent)(272)에서 2차 데이터 변환이 수행되어, AP 장치(400)를 거쳐, 제1 서버(510a)로 전송될 수 있다. 그 역의 경우도 유사하다.
한편, 제1 서버(510a)와 관련 없는 데이터는, 제1 서버(510a)용 에이젼트(agent)(272)를 거치지 않고, WiFi 애플리케이션(274)에서 1차 데이터 변환이 수행된 이후, 바로, AP 장치(4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 역의 경우도 동일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9 내지 도 10c는 도 8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파워 온 버튼의 동작(S803)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에 전원을 공급한다(S705). 제705 단계(S705) 단계는, 도 8의 제805 단계(S805)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6c의 파워(power) 버튼의 동작에 기초하여, 홈 어플라이언스 내부 각각에 전원이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파워(power) 버튼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가 동작하며, 제어부(270), 구동부(245) 등의 각각의 장치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별도의 입력이 없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각 모듈은, 전원은 공급되나, 동작하지 않는 대기 모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제705 단계(S705)에서,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와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네트워크 셋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S710), 네트워크 셋업 버튼의 동작에 따라, 외부로 네트워크 셋업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S715). 그리고, AP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S720). 그리고, 네트워크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에 접속한다(S725). 한편, 제710 단계(S710) 단계 내지 제725 단계(S725) 단계는, 도 8의 제810 단계(S810) 단계 내지 제825 단계(S825) 단계에 대응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의 초기 동작시, 사용자가 홈 어플라이언스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셋업 버튼을 동작시키는 경우, 네트워크 셋업을 위한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셋업 모드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최초 전원 온시, 또는 네트워크 설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네트워크 셋업 버튼(701)은, 도 10a와 같이, 조작 패널 상에 별도로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와 달리,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가 이를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네트워크 셋업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 또는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가 눌려지는 경우, 네트워크 셋업을 위한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가 제1 시간(예를 들어, 5초) 동안 눌려지는 경우, 네트워크 셋업을 위한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셋업을 위해, 통신부(222), 특히 통신부(222) 내의 WiFi 애플리케이션(274)는, 네트워크 셋업 관련 정보를 AP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 어플라이언스의 포트(port) 정보를, AP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의 포트 정보는, 예를 들어, UDP 포트 정보, TCP 포트 정보일 수 있다.
한편, 통신부(222)는, 소정 이벤트 발생시, 복수의 어트리뷰트 데이터와 해당 값을 포함하는 단일의 데이터 패킷을, AP 장치(400) 또는 서버(50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셋업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도 10b의 (a)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포트(port) 정보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attribure data)와 해당 값(value)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Pka)을, AP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데이터 패킷(Pka)이, 페어(pair)인 한 쌍의 어트리뷰트 데이터(attribure data)와 해당 값(value)을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다른 예로, 네트워크 셋업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도 10c의 (a)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포트(port) 정보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attribure data)와 해당 값(value)을 포함하는 제1 페어(pa1), 프로덕트 아이디(product id)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와 해당 값을 포함하는 제2 페어(pa2), 디바이스 명(device name)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와 해당 값을 포함하는 제3 페어(pa3), 디바이스 패스워드(device password)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와 해당 값을 포함하는 제4 페어(pa4)를 구비하는 데이터 패킷(Pkc)을, 단일 데이터 패킷으로서, AP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Pkc)은, 서버에 대한 주소(domain name)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와 해당 값을 포함하는 페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AP 장치(4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네트워크 셋업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네트워크 관련 정보는, AP 장치(400)의 포트 정보, TCP/IP 정보, 맥 어드레스 정보, 네트워크 식별자 정보(SSI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WiFi 애플리케이션(274)는,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AP 장치(400)에 접속한다.
한편, 메모리(240)는, 추후 활용을 위해, 수신되는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가 동작하여, 네트워크 셋업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제710 단계 내지 제720 단계(S710~S720) 중 제715 단계(S710)에서부터,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는 제1 패턴으로 온할 수 있다. 즉, 블링킹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는, 제710 단계 내지 제720 단계(S710~S720) 동안, 오프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AP 장치(400)에 접속되는 제725 단계(S725)에서,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는 제1 패턴으로 온되고,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는, 제2 패턴으로 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패턴은, 블링킹을 의미하며, 제2 패턴은, 지속적(constant)인 온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서버에 제품 등록이 완료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730), 등록되지 않는 경우, 서버로 제품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S735). 그리고, 서버로부터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S740). 한편, 제730 단계(S730) 단계 내지 제740 단계(S740) 단계는, 도 8의 제830 단계(S830) 단계 내지 제840 단계(S840) 단계에 대응한다.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서버로의 제품 등록을 시도할 수 있다.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AP 장치(400)와의 접속 이후, 서버로 제품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22)는, AP 장치(400)와의 접속 이전에, 네트워크 셋업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AP 장치(400)와의 접속 이후에, 제품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셋업 관련 정보는, 통신부(222)의 포트(port) 정보를 포함하며,제품 관련 정보는, 프로덕트 아이디(product id), 디바이스 명(device name), 디바이스 패스워드(device passwor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2)는, 이벤트 별로 단일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제품 등록 이벤트 발생시, 서버로의 제품 등록을 위해, 프로덕트 아이디(product id), 디바이스 명(device name), 디바이스 패스워드(device password), 서버에 대한 주소에 대한, 각각의 어트리뷰티(attribure data) 정보와 해당 값(value)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22)는, 서버(500)에서, 제품 등록이 완료된 경우, 서버(500)로부터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되는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는 메모리(240)에 저장된다.
제품 등록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품 등록 시도가 있는 경우, 제어부(27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품 등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네트워크 셋업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도 10b의 (a)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포트(port) 정보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attribure data)와 해당 값(value)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Pka)을, AP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데이터 패킷(Pka)이, 페어(pair)인 한 쌍의 어트리뷰트 데이터(attribure data)와 해당 값(value)을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서버 등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도 10b의 (b)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포트(port) 정보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attribure data)와 해당 값(value)을 포함하는 제1 페어(pa1), 프로덕트 아이디(product id)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와 해당 값을 포함하는 제2 페어(pa2), 디바이스 명(device name)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와 해당 값을 포함하는 제3 페어(pa3), 디바이스 패스워드(device password)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와 해당 값을 포함하는 제4 페어(pa4)를 구비하는 데이터 패킷(Pkb)을, 단일 데이터 패킷으로서, AP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패킷(Pkb)은, 도 10b의 (a)와 달리, 서버(500)까지 전송 가능하다.
한편, 데이터 패킷(Pkb)은, 서버에 대한 주소(domain name)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와 해당 값을 포함하는 페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통신부(222)는, AP 장치(400)와의 접속 이전 및 접속 이후에, 네트워크 셋업 관련 정보와 제품 관련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22)는, 제품 관련 정보 전송시, 서버에 대한 주소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셋업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도 10c의 (a)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포트(port) 정보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attribure data)와 해당 값(value)을 포함하는 제1 페어(pa1), 프로덕트 아이디(product id)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와 해당 값을 포함하는 제2 페어(pa2), 디바이스 명(device name)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와 해당 값을 포함하는 제3 페어(pa3), 디바이스 패스워드(device password)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와 해당 값을 포함하는 제4 페어(pa4)를 구비하는 데이터 패킷(Pkc)을, 단일 데이터 패킷으로서, AP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Pkc)은, 서버에 대한 주소(domain name)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와 해당 값을 포함하는 페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서버 등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도 10c의 (b)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데이터 패킷(Pkc)을 전송한다. 이러한 데이터 패킷(Pkc)은, 도 10c의 (a)와 달리, 서버(500)까지 전송 가능하다.
한편, 제730 단계(S730)와 제735 단계(S735) 동안,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는 제1 패턴으로 온되고,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는, 제2 패턴으로 온된다.
한편, 제740 단계(S740)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서버(400)가 접속하므로,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와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 모두 제2 패턴으로 온될 수 있다. 즉, 지속적(constantly)으로 온될 수 있다.
다음,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무선 네트워크 끊김이 소정 기간 이상인 지 여부를 판단하고(S745). 그렇지 않은 경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에 재접속한다(S750). 한편, 제745 단계(S745) 단계 내지 제750 단계(S750) 단계는, 도 8의 제845 단계(S845) 단계 내지 제850 단계(S850) 단계에 대응한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AP 장치(400)와 네트워크가 일시적으로 끊어진 경우, 소정 시간(예를 들어, 2분) 동안 AP 장치(400)와의 재접속 시도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메모리(240)에 저장된, AP 장치(400)의 네트워크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다시, AP 장치(400)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AP 장치(400)와 소정 시간 이상 끊어진 경우, AP 장치와 접속이 끊어진 것으로 확정한다. 즉, 미접속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제745 단계(S745)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AP 장치(400)와 소정 시간 이내 동안, 즉 일시적으로 끊어진 경우로서,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와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 모두 제1 패턴으로 온될 수 있다. 즉, 블링킹(깜박)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달리, 제745 단계(S745)에서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는, 온될 수 있다. 이때 제745 단계(S745)에서의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의 블링킹은, 제725 단계(S725) 내지 제735 단계(S725)와의 블링킹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패턴이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725 단계(S725) 내지 제735 단계(S725)에서의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의, 온/오프 타이밍은, 1:1일 수 있으나, 제745 단계(S745)에서의 온/오프 타이밍은, 1:1이 아닐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가 일시적으로 끊어진 경우에 대한 판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750 단계(S750)는, 서버에 재접속이므로, 제740 단계와 유사하게,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와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 모두 제2 패턴으로 온될 수 있다. 즉, 지속적(constantly)으로 온될 수 있다.
한편, 무선 네트워크가, 소정 시간 이상 동안 끊기는 경우,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와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는 모두 오프(off)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통신부(222)가 AP 장치(400)로부터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un-provisioned라 명명할 수 있으며,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통신부(222)가, AP 장치(400)와의 접속을 시도하고 있는 경우, provisioning라 명명할 수 있으며,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통신부(222)가, AP 장치(400)와의 접속에 관계없이,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 경우, provisioned라 명명할 수 있으며,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통신부(222)가, AP 장치(400)와의 접속/미접속된 경우, connected/disconnected라 명명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통신부(222)가 서버(500)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un-registered라 명명할 수 있으며,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통신부(222)가, 서버(500)와의 접속을 시도하고 있는 경우, registering라 명명할 수 있으며,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통신부(222)가, 서버(500)와 최초로 등록된 경우, registered라 명명할 수 있으며,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통신부(222)가, 서버(500))와의 접속/미접속된 경우, connected/disconnected라 명명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3b는 도 11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통신부(222)는, 접속된 서버에 주기적으로 체크 신호를 전송하고(S905), 체크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서버로부터 수신한다(S910). 한편, 제905 단계(S905) 단계 내지 제910 단계(S910) 단계는, 도 12의 제1005 단계(S1005) 단계 내지 제1010 단계(S1010) 단계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통신부(222)는, 1분 마다, 체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체크 신호는, 하트 비트(heart beat) 신호일 수 있으며, 응답 신호는, 하트 비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일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체크 신호로서, 홈 어플라이언스 상태(appliance status), 컨트롤 락 상태(control lock status)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attribure data)와 해당 값(value)을, 포함하는 단일 데이터 패킷을 체크 신호로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50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3a는, 체크 신호(Sch)가 홈 어플라이언스(200)에서 출력되어, AP 장치(400)를 거쳐, 서버(500)로 전송되고, 이에 대응하여, 응답 신호(Sre)가 서버(500)에서 출력되어, AP 장치(400)를 거쳐,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입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응답 신호가 제1 소정 시간 동안 미수신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915), 해당하는 경우, 체크 신호를 재전송한다(S920). 한편, 제915 단계(S915) 단계 내지 제920 단계(S920) 단계는, 도 12의 제1015 단계(S1015) 단계 내지 제1020 단계(S1020) 단계에 대응한다.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제1 소정 시간 동안, 응답 신호가 미수신 되는 경우, 체크 신호를 재전송한다. 여기서 제1 소정 시간은, 예를 들어,2분에 대응할 수 있다. 체크 신호가, 1분 마다 전송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응답 신호를 2회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체크 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다.
재전송되는 체크 신호는, 하트 비트(heart beat)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재전송되는 체크 신호는, 홈 어플라이언스 상태(appliance status), 컨트롤 락 상태(control lock status)에 대한, 어트리뷰트 데이터(attribure data)와 해당 값(value)을, 포함하는 단일 데이터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b는, 재전송용 체크 신호(Sreq)가 홈 어플라이언스(200)에서 출력되어, AP 장치(400)를 거쳐, 서버(500)로 전송되고, 이에 대응하여, 응답 신호(Smsg)가 서버(500)에서 출력되어, AP 장치(400)를 거쳐,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입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재전송 이후,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응답 신호가 제2 소정 시간 동안 미수신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925), 해당하는 경우, 서버와의 접속이 끊긴 것으로 판단한다(S930). 그리고,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에 재접속한다(S935). 한편, 제925 단계(S925) 단계 내지 제935 단계(S935) 단계는, 도 12의 제1025 단계(S1025) 단계 내지 제1035 단계(S1035) 단계에 대응한다.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제2 소정 시간 동안, 응답 신호가 미수신 되는 경우, 서버(500)와의 접속이 끊긴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제2 소정 시간은, 제1 소정 시간 보다 짧은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재전송 이후, 바로, 접속 상태 확인을 위해, 짧은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1분에 대응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응답 신호를 1분 동안, 즉, 1회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바로, 서버(500)와의 접속이 끊긴 것으로 판단한다.
서버(500)와의 접속이 끊겼으나, AP 장치(400)와의 접속은 유지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는, 블링킹되고,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는, 지속적으로 온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5 내지 도 16b는 도 14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제1 리셋 모드인 지 여부를 판단하고(S1105), 해당하는 경우, AP 장치와의 접속을 끊는다(S1110). 그리고, 메모리 내에 저장된 AP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삭제한다(S1115). 한편, 제1105 단계(S1105) 단계 내지 제1115 단계(S1115) 단계는, 도 15의 제1205 단계(S1205) 단계 내지 제1215 단계(S1215) 단계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제725 단계(S725)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AP 장치(400)에 접속한 상태 또는 제740 단계(S740)와 같이, 서버(5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가 Ta 시간(예를 들어, 5초) 동안 눌려지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제1 리셋 모드(로컬 리셋 모드)로서,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de-provisioned 상태가 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제1 리셋 모드인 경우, AP 장치(400)와의 접속이 끊어지도록, 통신부(222)를 제어하며, AP 장치(400)에서 수신되어 메모리(240)에 저장된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통신부(222)는, 제1 리셋 모드인 경우, 도 16a와 같이, AP 장치(400)와의 접속을 끊을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와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 모두 오프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는, 오프되기 전에, 3회 블링킹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제1105 단계(S1105)에서, 제1 리셋 모드가 아닌 경우, 제1120 단계(S112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제2 리셋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120), 해당하는 경우, 서버로 제품 관련 정보에 대한 삭제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1205). 그리고 서버로부터 삭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130). 한편, 제1120 단계(S1120) 단계 내지 제1130 단계(S1130) 단계는, 도 15의 제1220 단계(S1220) 단계 내지 제1230 단계(S1230) 단계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제740 단계(S740)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서버(5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가 Tb 시간(예를 들어, 10초) 동안, 소정 횟수(예를 들어, 5회) 눌려지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제2 리셋 모드(팩토리 리셋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통신부(222)는, 제2 리셋 모드인 경우,도 16b의 (a)와 같이, 서버(500)로, 삭제 요청 신호(Sreq_de)를 전송하고, 서버(500)로부터 삭제 완료 메시지(Smsg_de)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AP 장치와의 접속을 끊는다(S1135). 그리고, 메모리 내에 저장된 AP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삭제한다(S1140). 한편, 제1135 단계(S1135) 단계 내지 제1140 단계(S1140) 단계는, 도 15의 제1235 단계(S1235) 단계 내지 제1240 단계(S1240) 단계에 대응한다.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제2 리셋 모드에서, 서버(500)로부터 삭제 완료 메시지(Smsg_de)를 수신하는 경우, AP 장치(400)와의 접속이 끊어지도록, 통신부(222)를 제어하며, AP 장치(400)에서 수신되어 메모리(240)에 저장된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통신부(222)는, 제1 리셋 모드인 경우, 도 16b의 (b)와 같이, AP 장치(400)와의 접속을 끊을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8a 내지 도 18d는 도 17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스마트 그리드 모드 진입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710), 해당하는 경우, AP 장치(400) 및 서버(500)에 접속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715), 해당하는 경우,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와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가 제2 패턴으로 온 하도록 한다(S1720).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전원이 온되어, AP 장치(400) 및 서버(500)에 접속되는 경우,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가, 디폴트(default)로 지속적으로 온될 수 있다. 즉, 스마트 그리드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도 지속적으로 온된다.
또는, 도 18a의 (a)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가 눌려지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AP 장치(400) 및 서버(500)에 접속된 상태라면,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가, 지속적으로 온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그리드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제1715 단계(S1715)에서, AP 장치 및 서버에 접속되지 않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AP 장치 및 서버에 미접속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725). 해당하는 경우,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는 제2 패턴으로 온 되고,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는 제1 패턴으로 온되도록 한다(S1730). 즉, 제725 단계(S725)와 같이,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가 블링킹되고,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는 지속적으로 온될 수 있다.
도 18a의 (b)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가 눌려지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AP 장치(400) 접속 및 서버(500) 미접속된 상태라면,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가 블링킹되고,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는 지속적으로 온될 수 있다.
다음, 제1720 단계(S1720) 이후, 또는 제1730 단계(S1730) 이후, 제1740 단계(S1740), 또는 제1750 단계(S1750) 또는 제1760 단계(S1760)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제1740 단계(S1740)에 따르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서버(500)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740), 해당하는 경우, 그리드 모드 인디케이터를 온 한다(S1745).
한편, 스마트 그리드 모드인 상태에서, 도 18b의 (a)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통신부(222)가 서버(500)로부터 dr 신호와 같은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도 18b의 (b)와 같이, 그리드 모드 인디케이터가(620) 일시적으로 온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수신하는 전력 정보는, 단일의 데이터 패킷(Sdr)을 포함하며, 데이터 패킷(Sdr)은, 어트리뷰트 데이터로서, 설정 DR 모드(Set DR Mode)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값(value)으로 지속 시간(duration hour), 지속 분(duration minute), 오프셋 시간(offset hour), 오프셋 분(offset minute)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수신되는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이후, DR 구간(period)(예를 들어, 피크 타임)에 대응하는 시간이 되면, 해당 동작을 잠시 멈추고, 피크 타임 이후에 다시 동작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그리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그리드 모드에 따라, 냉장고의 컴프레서가 일시적으로 오프되거나, 세탁기의 세탁조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22)에서 서버(510)로부터 수신되는 전력 정보 신호는, 제1 전력 정보와 제2 전력 정보 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전력 정보 신호는, 13 프로 소비 전력 절감 신호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2 전력 정보 신호는, 50 프로 소비 전력 절감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홈 어플라이언스 동작시, 구체적으로 구동부(245) 동작시, 통신부(222)로부터 제1 전력 정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구동부(245)가 계속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통신부(222)로부터 제2 전력 정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구동부(245)가, 소정 시간 동안 일시 정지하였다가, 그 이후, 다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소비 전력 저감 요구가 더 큰 제2 전력 정보 신호 수신시, 일단 구동부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구동부(245) 미동작시, 통신부(222)로부터 제1 전력 정보 신호 또는 제2 전력 정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1 전력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750 단계(S1750)에 따르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오버라이드 모드인지 지 여부를 판단하고(S1750), 해당하는 경우,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를 제2 패턴으로 온 시키고, 그리드 모드 인디케이터를 오프시킨다(S1755).
예를 들어, 도 18c와 같이, 오버라이드 버튼(645)이 눌려지는 경우, 그리드 모드 인디케이터(620)가 오프되고,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는, 제2 패턴으로 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8d와 같이, 오버라이드 버튼(645)이 눌려지는 경우,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가 블링킹되고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가 오프되다가,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610)와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 모두 오프될 수 있다.
한편, 오버라이드 버튼(645)는, 표시부(230)에 구비되는 그리드 버튼일 수 있다. 따라서, 그리드 모드 인디케이터(grid mode indicator)가 온 이고, 스마트 그리드 인디케이터(smartgrid indicator)가 온인 상태에서, 그리드 버튼(미도시)이 눌려지는 경우, 오버라이드(override)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오버라이드 모드는, 서버(500)로부터의 전력 정보에도 불구하고, DR 구간(period)(예를 들어, 피크 타임)에 대응하는 시간이 되더라도, 해당 동작을 잠시 멈추지 않고,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동작을 그대로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그리드 모드 보다 우선인 오버라이드 모드에 따라, 냉장고의 컴프레서가, 피크타임에도 불구하고, 일시적으로 오프되지 않고 그대로 운전하거나, 세탁기의 세탁조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하지 않고 그대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제1760 단계(S1760)에 따르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서버(500)로부터, 스마트 그리드 모드 종료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760), 해당하는 경우,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를 오프한다(S1765).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접속 차단 입력이 있는 경우, AP 장치(400)와의 접속을 차단한다.
이때,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AP 장치(400)와의 접속 차단 전에, 파워 오프 이벤트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은, 단일 패킷으로서, 홈 어플라이언스 상태(appliance status), 원격 제어 상태(Remote Control Status), 컨트롤 락 상태(control lock status)와 같은 복수의 어트리뷰트 데이터와 그 값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홈 어플라이언스와 서버 사이에 전송 가능한 다양한 데이터 패킷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통신부(222)는, 이벤트 별로 단일 패킷을 전송하거나, 단일 패킷을 수신한다.
도 19a는,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서버(500)로부터 리프레쉬 요청 데이터(refresh request data)를 수신하는 경우를 예시하며, 도 19b는, 이에 대응하여,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리프레쉬 데이터 패킷을 단일 패킷으로서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건조기나 세탁기인 경우, 리프레쉬 데이터 이벤트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복수의 어트리뷰트 데이터와 그 값을 하나의 단일 패킷으로서,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어트리뷰트 데이터는, 모델 넘버(Model Number), 소프트웨어 버젼(Software Version), 하드웨어 넘버(Hardware Number) 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싸이클 명(Cycle Name), 원격 제어 상태(Remote Control Status), 컨트롤 락 상태(control lock status), 홈 어플라이언스 상태(appliance status), 사이클 상태(cycle state), Estimated Time Remaining, 에러 코드(Error Code), Odometer, Dry Level Setting, Drying Time Setting, Static Shield Status, Wrinkle Guard Status, Steam Option Status, 온도 세팅(Temperature Setting), 현재 DR 모드(Current DR Mode), Device DR Compliance, Device DR Reason Co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냉장고인 경우, 리프레쉬 데이터 이벤트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복수의 어트리뷰트 데이터와 그 값을 하나의 단일 패킷으로서,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어트리뷰트 데이터는, 모델 넘버(Model Number), 소프트웨어 버젼(Software Version), 하드웨어 넘버(Hardware Numb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Temperature Freezer Setting, Temperature Refrigerator Setting, Ice Maker Status, Speed Chill Status, 컨트롤 락 상태(control lock status), Ambient Temperature, Door Status, Water Pressure, Water Filter Status, Air Filter Status, Error Code, 현재 DR 모드(Current DR Mode), Device DR Compliance, Device DR Reason Co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b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에러 코드 발생시, 에러 관련 데이터 패킷(Serror)을 서버(500)로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다.
에러 코드 발생시, 에러 폴트 이벤트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에러 관련 데이터 패킷(Serror)은, 홈 어플라이언스 상태(Appliance State), 원격 제어 상태(Remote Control Status), 에러 코드(Error Code), 에러 상황(Error Details) 와 같은 복수의 어트리뷰트 데이터의 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c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파워 버튼(605)이 눌려지면, 파워 온 이벤트가 발생하여, 관련 데이터 패킷(Spower)을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다.
관련 데이터 패킷(Spower)은, 홈 어플라이언스 상태(appliance status), 원격 제어 상태(Remote Control Status), 컨트롤 락 상태(control lock status)와 같은 복수의 어트리뷰트 데이터와 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d는, 오프 상태의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630)가 눌려지면, 스마트 그리드 이벤트가 발생하여, 통신부(222)는, 관련 데이터 패킷(Ssgd)을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다.
관련 데이터 패킷(Ssgd)은, 현재 DR 모드(Current DR Mode), Current Reason Code와 같은 복수의 어트리뷰트 데이터와 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동작하는 사이클 주기 동안, chime 버튼이 5초 동안 눌려지거나, 원격으로, 컨트롤 락 온 메시지를 수신하면, 컨트롤 락 온 (control lock on) 이벤트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컨트롤 락 상태(control lock status)와 같은 어트리뷰트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chime 버튼이 한 번 더 5초 동안 눌려지는 경우, 컨트롤 락 오프 (control lock off) 이벤트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컨트롤 락 상태(control lock status) 와 같은 어트리뷰트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홈 어플라이언스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와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표시부;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거나,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거나, 상기 서버로부터 전력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운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동작하는 동안, 스마트 그리드 모드 진입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가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및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된 상태에서, 오프 상태의 상기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가 눌려지는 경우, 상기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가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는, 상기 서버와의 접속시, 지속적으로 온되고,
상기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는,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와의 접속시, 지속적으로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는,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와 접속되고, 상기 서버에 미접속된 경우, 제1 블링킹(blink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관련 인디케이터는,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와 일시적으로 접속이 끊겼다가 다시 접속된 경우, 제2 블링킹되며,
상기 제1 블링킹의 온, 오프 타이밍과, 상기 제2 블링킹의 온,오프 타이밍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턴 온 되는 그리드 모드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7항에 있어서,
오버라이드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그리드 모드 인디케이터는 오프되고, 상기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가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오버라이드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그리드 모드에 우선하여, 상기 오버라이드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및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된 상태에서, 오프 상태의 상기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가 눌려지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스마트 그리드 관련 데이터 패킷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가 제1 시간 동안 눌려지는 경우, 제1 리셋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그리드 관련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1 시간 보다 긴 제2 시간 동안 소정 횟수 이상 눌려지는 경우, 제2 리셋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 리셋 모드시,
제1 리셋 모드인 경우,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와의 접속이 끊어지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제2 리셋 모드인 경우,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제품 관련 정보 삭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삭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삭제 완료 메시지 수신 이후,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와의 접속이 끊어지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력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 동작시, 상기 통신부로부터 제1 전력 정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계속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로부터 제2 전력 정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소정 시간 동안 일시 정지하였다가, 그 이후, 다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 미동작시,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정보 신호 또는 상기 제2 전력 정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전력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9658A KR101636722B1 (ko) | 2014-06-09 | 2014-06-09 | 홈 어플라이언스 |
US14/731,506 US10230536B2 (en) | 2014-06-09 | 2015-06-05 | Home applicance with smart grid interfa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9658A KR101636722B1 (ko) | 2014-06-09 | 2014-06-09 | 홈 어플라이언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1088A true KR20150141088A (ko) | 2015-12-17 |
KR101636722B1 KR101636722B1 (ko) | 2016-07-06 |
Family
ID=54770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9658A KR101636722B1 (ko) | 2014-06-09 | 2014-06-09 | 홈 어플라이언스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230536B2 (ko) |
KR (1) | KR10163672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62555A2 (ko) * | 2010-06-26 | 2011-12-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
CN110824936A (zh) * | 2019-11-04 | 2020-02-21 |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 家用电器与具有显示功能的联动设备联动系统 |
CN114826809A (zh) * | 2022-04-22 | 2022-07-29 |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 远程遥控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4259B1 (ko) * | 2004-05-31 | 2008-07-07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네트워크 가전 제어 시스템 |
KR20140039640A (ko) * | 2012-09-24 | 2014-04-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734724B2 (en) | 2000-09-06 | 2010-06-08 | Xanboo Inc. | Automated upload of content based on captured event |
JP2002259657A (ja) | 2001-02-28 | 2002-09-13 | Square Co Ltd | 電化製品、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電化製品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達成するプログラム列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
JPWO2003052656A1 (ja) | 2001-12-14 | 2005-04-28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家庭電化製品、サーバ装置、および家庭電化製品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
JP2004007567A (ja) | 2002-04-17 | 2004-01-08 | Toshiba Corp |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
DE10254152A1 (de) | 2002-11-20 | 2004-06-03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Verfahren zum Datenaustausch zwischen einem elektrischen Gerät und einer Benutzerschnittstelle über ein Datennetz |
AU2003246156A1 (en) | 2003-05-30 | 2005-01-21 | Lg Electronics, Inc. | Home network system |
CN1836402B (zh) | 2003-05-30 | 2012-04-25 | Lg电子株式会社 | 家庭网络系统及其配置系统 |
EP1589698A1 (en) * | 2004-04-19 | 2005-10-26 | Lg Electronics Inc. |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US8994276B2 (en) * | 2006-03-28 | 2015-03-31 | Wireless Environment, Llc | Grid shifting system for a lighting circuit |
JP4646999B2 (ja) | 2008-10-16 | 2011-03-09 | キヤノンIt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印刷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US8626344B2 (en) * | 2009-08-21 | 2014-01-07 | Allure Energy, Inc. |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US8914133B2 (en) | 2009-12-17 | 2014-12-16 | Lg Electronics Inc. |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network system |
KR101611296B1 (ko) | 2010-02-09 | 2016-04-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US8423637B2 (en) | 2010-08-06 | 2013-04-16 | Silver Spring Networks, Inc. |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detecting anomalous events in a utility network |
US8170722B1 (en) | 2010-12-09 | 2012-05-01 | Elbex Vide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and linking electrical appliances for control and status report |
KR101817355B1 (ko) | 2011-01-31 | 2018-01-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마트 전자제품의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 |
KR101769472B1 (ko) | 2011-02-25 | 2017-08-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KR101100228B1 (ko) * | 2011-05-25 | 2011-1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시스템에서의 주소 설정, 관리 및 제어 방법 |
US8984107B2 (en) * | 2011-05-26 | 2015-03-17 | Electric Imp Incorporated | Optically configured modularized control system to enable wireless network control and sensing of other devices |
KR101909026B1 (ko) * | 2011-08-19 | 2018-10-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
US8712394B2 (en) | 2011-12-14 | 2014-04-29 | Blackberry Limited |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to prepare a mobile device for provisioning |
JP5951267B2 (ja) | 2012-01-27 | 2016-07-13 | シャープ株式会社 | 制御装置およびシステム |
KR101924961B1 (ko) | 2012-11-29 | 2018-12-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US20140191856A1 (en) | 2013-01-07 | 2014-07-10 | Lg Electronics Inc. | Home Appliance and Mobile Device |
US20140215496A1 (en) * | 2013-01-29 | 2014-07-31 | Nexovation, Inc. |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functionalitie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evice |
JP2014174816A (ja) | 2013-03-11 | 2014-09-22 | Toshiba Corp | 家電機器 |
JP6379513B2 (ja) | 2013-03-15 | 2018-08-29 | 株式会社リコー |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8954898B2 (en) | 2013-03-15 | 2015-02-10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ource-mask optimization for a lithography process |
KR20140122095A (ko) | 2013-04-09 | 2014-10-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식품관리를 위한 냉장고 및 이동단말기 |
US20150073808A1 (en) | 2013-06-04 | 2015-03-12 | Ims Solutions, Inc. | Remote control and payment transactioning system using natural language, vehicle information, and spatio-temporal cues |
KR102074950B1 (ko) | 2013-08-13 | 2020-03-0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조명 장치,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
US9467853B2 (en) | 2013-10-17 | 2016-10-11 | Lg Electronics Inc. | Server for managing home applian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
US9000896B1 (en) * | 2014-05-30 | 2015-04-07 | Belkin International Inc. | Network addressable appliance interface device |
US10554439B2 (en) | 2014-05-01 | 2020-02-04 | Belkin International, Inc. | Controlling settings and attributes related to operation of devices in a network |
US9874911B2 (en) | 2015-12-14 | 2018-01-23 | Thomson Licensing | Apparatus and method for resetting to factory default with bootloader program |
-
2014
- 2014-06-09 KR KR1020140069658A patent/KR10163672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6-05 US US14/731,506 patent/US1023053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4259B1 (ko) * | 2004-05-31 | 2008-07-07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네트워크 가전 제어 시스템 |
KR20140039640A (ko) * | 2012-09-24 | 2014-04-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6722B1 (ko) | 2016-07-06 |
US10230536B2 (en) | 2019-03-12 |
US20150358175A1 (en) | 2015-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7465B1 (ko) | 홈 어플라이언스 | |
KR101545486B1 (ko) | 홈 어플라이언스 | |
EP2993832B1 (en) |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101924961B1 (ko) |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
KR101924962B1 (ko) |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
US9640174B2 (en) | Home applian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US9773408B2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20140089795A (ko) |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
KR101636722B1 (ko) | 홈 어플라이언스 | |
KR20140081270A (ko) | 이동 단말기,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1969036B1 (ko) |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
KR20140043652A (ko) |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
KR20180016022A (ko) |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198182B1 (ko) |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
KR101969031B1 (ko) |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
KR102010384B1 (ko) |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
KR102192387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
KR20150032100A (ko) |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
KR102152730B1 (ko) |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
KR20150053554A (ko) |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