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182B1 -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182B1
KR102198182B1 KR1020140060574A KR20140060574A KR102198182B1 KR 102198182 B1 KR102198182 B1 KR 102198182B1 KR 1020140060574 A KR1020140060574 A KR 1020140060574A KR 20140060574 A KR20140060574 A KR 20140060574A KR 102198182 B1 KR102198182 B1 KR 102198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information
sound
mobile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3593A (ko
Inventor
김락용
이승훈
이주완
신태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0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182B1/ko
Priority to CN201480062596.6A priority patent/CN105723635B/zh
Priority to US15/022,077 priority patent/US10015021B2/en
Priority to PCT/KR2014/008592 priority patent/WO2015037963A1/en
Priority to EP19167113.0A priority patent/EP3591903A3/en
Priority to EP14844327.8A priority patent/EP3047583B1/en
Publication of KR20150133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와, 무선 통신 모듈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와, 사운드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의 식별자 정보를 추출하는 음향 통신부와, 수신된 사운드의 세기가 소정 세기 이상이거나, 추출된 식별자 정보의 비트 에러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홈 어플라이언스에 소정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의 네트워크 설정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네트워크 설정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 배치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중 냉장고는, 사용자를 위해, 음식을 저장하고,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을 처리하며, 에어컨은 실내 온도를 조정하거고,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한편, 다양한 통신 방식이 발달함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하려는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홈 어플라이언스의 네트워크 설정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와, 무선 통신 모듈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와, 사운드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의 식별자 정보를 추출하는 음향 통신부와, 수신된 사운드의 세기가 소정 세기 이상이거나, 추출된 식별자 정보의 비트 에러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홈 어플라이언스에 소정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사운드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수신된 사운드의 세기가 소정 세기 이상이거나, 추출된 식별자 정보의 비트 에러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에 소정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무선 통신부와,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소정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와, 사운드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추출하는 음향 통신부와, 수신된 사운드의 세기가 소정 세기 이상이거나, 추출된 네트워크 정보의 비트 에러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운드의 세기가 소정 세기 이상이거나, 추출된 식별자 정보의 비트 에러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홈 어플라이언스에 소정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홈 어플라어언스는, 수신되는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홈 어플라이언스의 네트워크 설정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보 전송시의 보안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으며, 홈 어플라이언스는, 수신된 사운드의 세기가 소정 세기 이상이거나, 추출된 네트워크 정보의 비트 에러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홈 어플라이언스의 네트워크 설정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후, 원격 제어시, 제품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홈 어플라이언스로의 원격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이동 단말기와 홈 어플라이언스 사이의 음향 통신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은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3b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음향 통신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11d는 도 7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은, 홈 어플라이언스(200), 이동 단말기(600), 및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는, 음향 통신(Acoustic communication or sound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통신은,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sound)를출력하되, 사운드 내에 소정의 정보 데이터가 부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보 데이터 부가를 위해, 신호 변조가 필요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변조 컴플렉스 랩트 트랜스폼(modulated complex lapped transform)(MCLT)에 기초하여, 변조를 수행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음향 통신 방식에 의해, 식별자 정보(SSID)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오디오 출력부(253)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마이크(623)를 통해, 해당 사운드를 수신하고, 사운드 내의 식별자 정보(SSID)를 추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된 사운드의 세기(또는 데시벨)가 소정 세기(또는 데시벨) 이상이거나, 추출된 식별자 정보의 비트 에러율(BER)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추출된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소정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홈 어플라이언스의 네트워크 설정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출력되는 소정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는, WiFi와 같은 무선 통신에 의해, 또는 상술한 음향 통신에 의해,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600)가, 음향 통신 의해,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오디오 출력부(653)를 통해, 출력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수신된 사운드의 세기(또는 데시벨)가 소정 세기(또는 데시벨) 이상이거나, 추출된 네트워크 정보의 비트 에러율(BER)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추출된 네트워크 정보를 유효한 정보로 판단하고, 추출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접속시, WiFi와 같은 무선 통신에 의해, 또는 상술한 음향 통신에 의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품 정보(제품명, 모델명 등)를 수신하고, 메모리(6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600)는, 사용자 입력부(630)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명칭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품 정보(제품명, 모델명 등)와 함께 명칭 정보를, 메모리(6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600)가 원격에 위치한 경우라도, 사용자가,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원격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한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명칭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네트워크 등을 통해,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접속할 수 있게 되며, 그 이후, 원하는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품 정보(제품명, 모델명 등)를 서버(500)로 전송하여, 제품 등록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600)는, 사용자 입력부(630)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명칭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품 정보(제품명, 모델명 등)와 함께 명칭 정보를, 서버(500)로 함께 전송하여, 제품 등록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사용자를 위한 전자 기기(electric device)로서, 예를 들어, 냉장고(200a), 세탁기(200b), 에어컨(200c), 조리기기(200d), 청소기(200e) 등이 예시될 수 있다. 그 외, TV 등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 핸드폰, 스마트 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이 가능하다.
도 2a 내지 도 2e는 이동 단말기와 홈 어플라이언스 사이의 음향 통신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이동 단말기(600)와 냉장고(200a) 사이에 음향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2b는, 이동 단말기(600)와 세탁기(200b) 사이에 음향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2c는, 이동 단말기(600)와, 에어컨(200c) 사이에 음향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2d는, 이동 단말기(600)와, 조리기기(200d) 사이에 음향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2e는, 이동 단말기(600)와 청소기(200e) 사이에 음향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2a 내지 도 2e에 따르면, 각각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사운드 출력에 의한 음향 통신,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의 사운드 출력에 의한 통신 또는 이들의 조합이 가능하다.
도 3a은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220),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30), 다른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222), 홈 어플라이언스를 구동하는 구동부(245), 및 내부 제어를 위한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가 냉장고인 경우, 구동부(245)는, 냉장실 구동부, 냉동실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세탁기인 경우, 구동부(245)는, 드럼 또는 터브를 구동하는 구동부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에어컨인 경우, 구동부(245)는, 실외기 내의 압축기 구동부, 실외기 팬 구동부, 실내기 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조리기기인 경우, 구동부(245)는, 캐비티 내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구동부를 포함할 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청소기인 경우, 구동부(245)는, 팬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22)는, 음향 통신이 가능한 음향 통신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통신부(217)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b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3b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내부 블록도는, 도 3a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내부 블록도와 유사하나, 디스플레이 마이컴(221)을 더 구비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표시부(230)가 구비되는 경우, 별도의 표시부(230) 제어를 위한, 디스플레이 마이컴(2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70)는, 메인 마이컴으로서, 디스플레이 마이컴(221)과는 별도의 회로 기판 상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가, 음향 통신이 가능한, 음향 통신부(217)를 포함하는 경우, 음향 통신을 위해, 통신부(222), 특히 음향 통신부(217)가 디스플레이 마이컴(221)과 동일한 회로 기판 상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3b와 같이, 음향 통신부(217)의 제어는, 일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마이컴(221)이 담당하며, 그 이후, 제어부(270), 즉 메인 마이컴(270)이 담당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음향 통신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4a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음향 통신에 의한 사운드를 출력하고,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해당 사운드를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600)는, 음향 통신부(617), 오디오 출력부(653)을 구비하고,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마이크(223)와 음향 통신부(217)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의 음향 통신부(617)는, 출력할 오디오 신호(digital sound)를 제어부(680)에서 수신하여, 출력할 오디오 신호(digital sound)에 소정 데이터(data)를 부가하여, 변조된 사운드를 출력한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부(653)은, 변조된 사운드를,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채널(acoustic channel)을 통해 출력한다.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마이크(223)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sound)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음향 통신부(217)로 전달한다. 음향 통신부(217)는, 사운드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에 의해,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 사이에서, 간단한 정보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4a와 역으로, 홈 어플라이언스(200)에서 음향 통신에 의한 사운드를 출력하고, 이동 단말기(600)가 해당 사운드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며, 쌍방향 음향 통신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는, 음향 통신부(617), 오디오 출력부(653) 외에, 마이크(623)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마이크(223)와 음향 통신부(217) 외에, 오디오 출력부(25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의 이동 단말기(600) 내의 음향 통신부(617)와,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음향 통신부(217), 각각에 대한 내부 블록도를 예시한다.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600) 내의 음향 통신부(617)는, 주파수 변환부(410), 데이터 삽입부(415), 역 변환부(420), 다중화부(425)를 구비할 수 있다.
주파수 변환부(410)는, 시간 기반(time domain)의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의 주파수 변환은, 프레임 단위로 수행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변조 컴플렉스 랩트 트랜스폼(modulated complex lapped transform)(MCLT)에 기반한 주파수 변환일 수 있다.
MCLT 방식은, 프레임 별 overlapping 특성에 따라, 프레임 경계에서의 블럭킹 아티팩트(blocking artifact)를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데이터 삽입부(415)는,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에, 소정의 데이터(data)를 부가, 또는 삽입한다. 즉, 변조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에 부가한다. 구체적으로, 주파수 변환된, 각 주파수별 계수들(크기, 위상 등) 중 위상 계수를 가변하여, 데이터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되는 위상 계수는, 0도 또는 180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부가되는 데이터가 구별 가능하게 된다.
역 변환부(420)는, 정보 데이터가 삽입된 오디오 신호를 역변환(inverse transform)한다. 주파수 변환부(410)에서, MCLT 변환을 수행한 경우, inverse MCLT 변환을 수행하여, 시간 기반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주파수 변환부(410), 데이터 삽입부(415), 역 변환부(420)는, 프레임 단위로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중화부(425)는, 역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다중화하여 출력한다. 즉, 복수의 프레임을 다중화하여, 연속되는 하나의 사운드를 출력한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부(253)은, 다중화된 하나의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오디오 출력부(253)은,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마이크(425)를 통해 사운드를 수신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음향 통신부(217)는, 수신되는 사운드로부터 데이터 추출을 위해, 동기화부(430), 주파수 변환부(435), 데이터 추출부(440)를 구비할 수 있다.
동기화부(430)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동기화한다. 즉, 다중화된 오디오 신호를 동기화시켜, 프레임 단위로 분리할 수 있다.
주파수 변환부(435)는, 시간 기반(time domain)의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의 주파수 변환은, 프레임 단위로 수행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변조 컴플렉스 랩트 트랜스폼(modulated complex lapped transform)(MCLT)에 기반한 주파수 변환일 수 있다.
데이터 추출부(440)는,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로에서, 부가된 데이터를 추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주파수별 계수들 중 위상 계수를 가변하여, 데이터가 부가되므로, 위상 계수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특히, 위상 계수가, 0도 또는 180도의 값을 가지는 경우, 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데이터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MCLT 기반의 음향 통신 방식에 의하면, 원래 출력하려고 한 오디오 신호와 비슷한 사운드를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부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 별 overlapping 특성에 따라, 프레임 경계에서의 블럭킹 아티팩트(blocking artifact)를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c는 도 4b의 음향 통신부(617)의 동작을 오디오 파형과 함께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출력할 오디오 신호(400)를 예시하며, 출력할 오디오 신호(400)는, 시간 기준으로, 복수의 프레임(FR1~FR4)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프레임(FR1) 구간에, 제1 오디오 신호(400a)가, 제2 프레임(FR2) 구간에, 제2 오디오 신호(400b)가, 제3 프레임(FR3) 구간에, 제3 오디오 신호(400c)가, 제4 프레임(FR4) 구간에, 제4 오디오 신호(400d)가 예시된다.
주파수 변환부(410)는, 각 프레임 별로, 오디오 데이터를 주파수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MCLT 방식에 의한 주파수 변환을 수행한다.
그리고, 데이터 삽입부(415)는, 각 프레임 별로, 주파수 변환된 오디오 신호에, 소정의 데이터(data)를 부가한다. 구체적으로, 주파수 변환된, 각 주파수별 계수들(크기, 위상 등) 중 위상 계수를 가변하여, 데이터를 부가한다.
역 변환부(420)는, 각 프레임 별로, 정보 데이터가 삽입된 오디오 신호를 역변환(inverse transform)한다. 이에 따라, 시간 기반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다.
도면에서는, 각 프레임 별로, 제1 내지 제4 오디오 신호(400a~400d)와 유사한, 제1 내지 제4 사운드 신호(401a~401d)를 예시한다. 도면을 보면, 제1 내지 제4 사운드 신호(401a~401d)는, 각각 원래 출력하려고 한 오디오 신호와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다중화부(425)는, 각 프레임 별로, 데이터 부가된 사운드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c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소정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가 출력되어,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해당 사운드를 수신하여, 소정 정보를 추출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그 역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홈 어플라이언스(200)에서 소정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가 출력되어, 이동 단말기(600)가 해당 사운드를 수신하여, 소정 정보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음향 통신부(217)는, 주파수 변환부(410), 데이터 삽입부(415), 역 변환부(420), 다중화부(425)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600) 내의 음향 통신부(617)는, 동기화부(430), 주파수 변환부(435), 데이터 추출부(4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서버(500)는, 통신 모듈(530), 저장부(540), 및 프로세서(520)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 모듈(530)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모듈(530)은,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모듈(530)은, 인터넷 모듈 또는 이동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540)는,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인 경우, 저장부(54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을 위해,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 및 명칭 정보인 경우, 저장부(54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을 위해,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서버(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52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결과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인 경우, 프로세서(52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제조자가 운영하는 서버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관련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운영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무선 통신부(610), A/V(Audio/Video) 입력부(620), 사용자 입력부(630), 센싱부(640), 출력부(650), 메모리(660), 인터페이스부(670), 제어부(680), 및 전원 공급부(6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610)는, 방송수신 모듈(611), 이동통신 모듈(613), 무선 인터넷 모듈(615), 음향 통신부(617), 및 GPS 모듈(6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6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6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6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6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이동 단말기(6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WFii 기반의 무선 통신 또는 WiFi Direct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 통신부(617)는 음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 통신부(617)는, 음향 통신 모드에서,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에, 소정의 정보 데이터를 부가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통신부(617)는, 음향 통신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운드로부터 소정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a 내지 도4c를 참조한다.
그 외,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6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6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621)와 마이크(6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6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6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640)는 이동 단말기(6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싱부(640)는, 감지센서(641), 압력센서(643), 및 모션 센서(6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6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650)는 디스플레이(651), 오디오 출력부(653), 알람부(655), 및 햅틱 모듈(6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51)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6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6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653)는 무선 통신부(6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6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6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655)는 이동 단말기(6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
햅틱 모듈(haptic module)(6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6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메모리(660)는 제어부(6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670)는 이동 단말기(6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6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은 제어부(6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6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690)는, 제어부(6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6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6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8a 내지 도 11d는 도 7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등록을 위한 식별자 정보 요청 신호를 출력한다(S71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는, 적외선(IR) 통신에 의해, 또는 상술한 음향 통신에 의해, 식별자 정보 요청 신호(SSID request signal)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식별자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식별자 정보(SSID)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음향 통신에 의해, 식별자 정보(SSID)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오디오 출력부(25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710 단계(S710)는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무선 통신 스위치가 구비되는 경우, 해당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식별자 정보(SSID)를 출력할 수도 있다. 특히, 음향 통신에 의해, 식별자 정보(SSID)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오디오 출력부(253)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제710 단계(S710) 이전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 또는 네트워크 등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억세스 포인트 모드(AP mode) 진입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a는 이동 단말기(600)에 냉장고 등록을 위한 화면(81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화면(810) 내의 WiFi 등록 등과 같은 항목(미도시)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식별자 정보 요청 신호(SSID request signal)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b는, 식별자 정보 요청 신호(SSID request signal)를 음향 통신 방법에 의해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이동 단말기(600)는, 오디오 출력부(653)를 통해, 식별자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사운드(Soa)를 오디오 출력부(65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마이크(223)를 통해, 식별자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사운드(Soa)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식별자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사운드(Soa)의 세기(또는 데시벨)가 소정 세기(또는 데시벨) 이상이거나, 추출된 식별자 정보 요청의 비트 에러율(BER)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유효한 사운드 또는 유효한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가, 가까운 거리인, 영역(Area 1) 이내에 있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때의 영역(Area1 )은, 사운드 세기가 소정 세기 이상이거나, 비트 에러율이 소정치 이하인 것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가 근접 거리에 있는 경우, 수신되는 정보에 대한 유효 판단으로 하고, 원거리에 있는 경우, 수신되는 정보에 대한 무효 판단함으로써, 복수의 이동 단말기(600) 중 유효한 이동 단말기(600) 만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역으로,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 중 유효한 홈 어플라이언스 만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에서의, 정보 전송시, 보안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식별자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식별자 정보(SSID)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오디오 출력부(253)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수신한다(S715). 그리고, 사운드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추출하며(S720), 수신된 사운드의 세기가 소정 세기 이상 또는 추출된 식별자 정보의 비트 에러율(BER)이 소정치 이하인 지 여부를 판단한다(S725).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접속한다(S728).
도 8c는 식별자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식별자 정보(SSID)를 포함하는 사운드(Sob)가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600)는, 마이크(623)를 통해,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Sob)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600) 내의 음향 통신부(617)는, 동기화부, 주파수 변환부, 데이터 추출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운드로부터 식별자 정보(SSID)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Sob)의 세기(또는 데시벨)가 소정 세기(또는 데시벨) 이상이거나, 추출된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식별자 정보의 비트 에러율(BER)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유효한 사운드 또는 유효한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접속하도록 무선 통신 모듈(615)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양방향으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접속 상태가 된다. 특히, 무선 통신이 가능한 WiFi 접속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소정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출력한다(S73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오디오 출력부(253)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 정보, 또는, 최근 사용하거나,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거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는, 무선 네트워크 정보일 수 있다.
도 8d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Soc)가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Soc)의 세기(또는 데시벨)가 소정 세기(또는 데시벨) 이상이거나, 추출된 네트워크 정보의 비트 에러율(BER)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유효한 사운드 또는 유효한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유효한 네트워크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특히,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무선 통신부(218)를 이용하여, WiFi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해, 해당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e는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접속되는 것을 예시한다.
네트워크 정보 출력의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무선 신호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 모듈(615)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무선 통신부(218)를 통해,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2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이후,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 사이의 접속 상태 유지시,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제품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품 정보(제품명, 모델명 등)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품 정보는, 무선 통신 또는, 음향 통신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수신하고(S735), 제품 정보를 메모리(660)에 저장할 수 있다(S740).
특히, 도 8a와 같은, 냉장고 등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제품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a는 냉장고 등록 화면(905) 내에, 제품명, 모델명과 같은 제품 정보가 저장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냉장고에 대한 명칭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면에서는 입력창(906)에 "coo"라는 명칭이 입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coo" 라는 냉장고의 명칭과 정보와,의 제품 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후, 도 9b와 같이, 냉장고 원격제어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표시되는 원격제어 화면(910) 내의 "coo"라는 항목(912)을 선택하는 경우, 원격제어신호(Srem) 등이,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를 거쳐, 집안 내의 냉장고(200a)로 전송되게 된다. 따라서, 간편하게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품 정보(제품명, 모델명 등)를 서버(500)로 전송하여, 제품 등록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a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제품명, 모델명과 같은 제품 정보(Spr)가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를 거쳐, 서버(5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간편하게 제품 등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사용자 입력부(630)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명칭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품 정보(제품명, 모델명 등)와 함께 명칭 정보를, 서버(500)로 함께 전송하여, 제품 등록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b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제품명, 모델명과 같은 제품 정보(Spr)와 명칭 정보(Sna)가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를 거쳐, 서버(5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간편하게 제품 등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유효한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판단시, 활용되는 사운드 세기에 대한 소정 세기 또는 비트 에러율에 대한 소정치를, 사용자 선택에 의해,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홈 어플라이언스(200)도, 유효한 이동 단말기에 대한 판단시, 활용되는 사운드 세기에 대한 소정 세기 또는 비트 에러율에 대한 소정치를, 사용자 선택에 의해,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도 11a 내지 도 11d는, 무선 통신부(218), 특히 WiFi 모듈을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를 위해, 이동 단말기(600)가, 기 저장된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도 11a는 이동 단말기(600)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 리스트 화면(130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억세스 포인트 장치 리스트 화면(1300)은, 기 저장된 억세스 포인트 장치 항목, 또는 현재 억세스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 장치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사용자 선택에 의해, 특정 억세스 포인트 장치 항목(1305)이 선택되는 경우, 도 11b와 같이, 선택된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음향 통신 모드로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315)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음향 통신 모드로의 진입은 별도의 특정 키 또는 특정 항목 선택에 의해, 진입 가능하다.
그리고, 도 11c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는, 선택된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Snet)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오디오 출력부(653)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마이크(223)를 통해, 사운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운드로부터 특정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Snet)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도 11d와 같이, 추출된 특정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Snet)를 이용하여, 해당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접속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소정 서버(500)에도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은, 이동 단말기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8)

  1. 디스플레이;
    무선 통신 모듈;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
    상기 사운드로부터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식별자 정보를 추출하는 음향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사운드의 세기가 소정 세기 이상이거나, 상기 추출된 식별자 정보의 비트 에러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에 소정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수신 단계 이전에, 홈 어플라이언스의 등록을 위한 억세스 포인트 모드 진입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해 입력된 명칭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품 정보 저장시, 상기 명칭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통신부는,
    상기 수신되는 사운드를 동기화하는 동기화부;
    상기 동기화된 사운드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상기 주파수 변환된 사운드 신호로부터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식별자 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환부는,
    변조 컴플렉스 랩트 트랜스폼(modulated complex lapped transform)(MCLT)에 기초하여, 상기 사운드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로부터 상기 식별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운드의 세기가 소정 세기 이상이거나, 상기 추출된 식별자 정보의 비트 에러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에 소정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수신 단계 이전에,
    홈 어플라이언스의 등록을 위한 억세스 포인트 모드 진입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해 입력된 명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품 정보 저장시, 상기 명칭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서버로 상기 제품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해 입력된 명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품 정보 전송시, 상기 명칭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사운드를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된 사운드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변환된 사운드 신호로부터 상기 식별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6. 무선 통신부;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소정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
    상기 사운드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추출하는 음향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사운드의 세기가 소정 세기 이상이거나, 상기 추출된 네트워크 정보의 비트 에러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통신부는,
    상기 수신되는 사운드를 동기화하는 동기화부;
    상기 동기화된 사운드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상기 주파수 변환된 사운드 신호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0140060574A 2013-09-16 2014-05-20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2198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574A KR102198182B1 (ko) 2014-05-20 2014-05-20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CN201480062596.6A CN105723635B (zh) 2013-09-16 2014-09-16 家用电器及移动终端
US15/022,077 US10015021B2 (en) 2013-09-16 2014-09-16 Home appliance and mobile terminal
PCT/KR2014/008592 WO2015037963A1 (en) 2013-09-16 2014-09-16 Home appliance and mobile terminal
EP19167113.0A EP3591903A3 (en) 2013-09-16 2014-09-16 Home appliance
EP14844327.8A EP3047583B1 (en) 2013-09-16 2014-09-16 Home appliance and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574A KR102198182B1 (ko) 2014-05-20 2014-05-20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593A KR20150133593A (ko) 2015-11-30
KR102198182B1 true KR102198182B1 (ko) 2021-01-04

Family

ID=5486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574A KR102198182B1 (ko) 2013-09-16 2014-05-20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1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967B1 (ko) 2015-09-22 2022-12-29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자식 캘리퍼 브레이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3944A1 (en) 2012-01-12 2013-07-18 Sensory, Incorporated Information Access and Device Control Using Mobile Phones and Audio in the Home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4953B2 (en) * 2008-06-16 2015-06-09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CN103053136B (zh) * 2010-07-06 2015-11-25 Lg电子株式会社 家用电器诊断系统和用于其的诊断方法
KR101275582B1 (ko) * 2010-12-31 2013-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
KR101416937B1 (ko) * 2011-08-02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3944A1 (en) 2012-01-12 2013-07-18 Sensory, Incorporated Information Access and Device Control Using Mobile Phones and Audio in the Home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593A (ko) 201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5021B2 (en) Home appliance and mobile terminal
US9640174B2 (en) Home applian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2993832B1 (en)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924961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US893826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773408B2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573302B2 (en) Terminal and home appliance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587465B1 (ko) 홈 어플라이언스
KR20140089795A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CN104299403A (zh) 控制家用电器的方法及装置
US9860621B2 (en) Home appli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98182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2080514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21923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36722B1 (ko) 홈 어플라이언스
KR102243641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2077563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185995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0690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010384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2152730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