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0007A - Liquid leak detect sensor and liquid leak detect system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iquid leak detect sensor and liquid leak detect system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0007A
KR20150140007A KR1020140068089A KR20140068089A KR20150140007A KR 20150140007 A KR20150140007 A KR 20150140007A KR 1020140068089 A KR1020140068089 A KR 1020140068089A KR 20140068089 A KR20140068089 A KR 20140068089A KR 20150140007 A KR20150140007 A KR 20150140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ubstrate
conductive lines
synthetic resin
conductive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0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3537B1 (en
Inventor
장문수
Original Assignee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8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537B1/en
Publication of KR2015014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0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5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age detection sensor, and a leakage det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comprises: a base substrate made of fluorinated synthetic resin; a detection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having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made of conductive fluorinated synthetic resin; and a protective layer stack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having the detection part, and having an opening to allow the base substrat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to be expose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s of having excellent sensitivity and durability, and easily detecting resistance.

Description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Liquid leak detect sensor and liquid leak detect system compri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 detection sensor and a leak detection system including the leak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은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구성 및 감도가 우수하며 저항치의 검출이 용이한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age detection sensor and a leakage detection system including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More particularly,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has excellent durability and sensitivity and is easy to detect a resistance value.

누수 및 누유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리크 센서(Leak Sensor)가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케이블형 리크 센서, 밴드타입 리크 센서, 모듈형 리크센서 등이 사용되고 있다.A variety of leak sensors are used to detect leaks and leaks. Typically, a cable type leak sensor, a band type leak sensor, a modular leak sensor and the like are used.

케이블형 리크센서는 각종 액체(물, 오일 등)의 노출을 감지하여 액체가 누출되는 지점까지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려주는 누수 및 누유 감지 리크 센서이다. 누수 및 누유의 감지는 도선을 따라 흐르는 전류가 누출된 물 또는 오일의 저항에 의하여 전위차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하여 누수 및 누유의 확인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케이블형 리크 센서는 설치비용이 고가이고, 센서 케이블의 길이가 정해져 있어 사용이 제한적이다. 또한 센서 설치 시 별도 브라켓을 사용해야 하므로 설치가 어렵고, 추가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으며, 누수된 물성 감지후 물성을 제거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아울러 외부기기와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e cable type leak sensor is a leakage and leakage leak sensor that detects the exposure of various liquids (water, oil, etc.) and informs the point where the liquid leaks accurately and quickly. Leakage and leaking detection can detect leakages and leaks by detecting the electric current flowing along the conductor line, the potential difference caused by the resistance of leaked water or oil. However, such a cable type leak sensor is expensive to install and has a limited use because the length of the sensor cable is fix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sensor because additional brackets are required to install the sensor, additional cost is incurred, it takes a long time to remove the physical property after detection of leaking physical property, and it is difficult to connect with an external device.

밴드타입(BEND TYPE) 리크 감지센서(LEAK DETECTION SENSOR)는 전선을 통해Band type (BEND TYPE) Leak detection sensor (LEAK DETECTION SENSOR)

전류가 흐르는 동안 물이 전선에 닿게 되면 저항값이 변하게 되어 그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누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밴드타입 리크 감지센서는 저가의 비용으로 넓은 면적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높은 습도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에러(ERROR) 발생률이 높고, 정확한 누수위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설치의 연계성이 없어 제품설치의 조잡성이 있다. 또한, 성능에 비해 가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고, 설치시 바닥에 고정할 브라켓을 따로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가 어려우며, 외부기기 연결시 단순한 릴레이 접점방식 이외의 연결 디바이스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water touches the wire while the current is flowing, the resistance value changes,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leaka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esistance value. Such a band type leak detection sensor can detect a wide area leak at a low cost and has an advantage of being easy to install.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ate of occurrence of error is high due to high humidity or external impact, and the accurate leak position can not be easily confirm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ce i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racket to be fixed to the floor at the time of installation is separately install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there is no connection device other than a simple relay contact method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모듈형 리크센서는 플라스틱 케이스 내부에 포토 센서(수광부, 발광부)를 위치시켜, 액체를 감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발광부의 빔(BEAM)을 수광부에서 받아들이지만, 발광부 빔(BEAM)이 액체를 감지하게 되면 굴절률의 변화로 빔(BEAM)이 수광부로 가지 못하게 되므로 빛의 수광된 상태로서 누수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모듈형 리크센서는 저가의 비용으로 누수위험 부분을 감지할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하며, 주변장치와 상관없이 자체적 경보가 가능함과 아울러 습도에 따른 에러(ERROR)가 없으나, 케이블 타입(CABLE TYPE)과는 달리 특정 위치의 누수 여부만 확인 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주변장치와 연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별도의 센서고정방안을 계획해야 하므로 제품설치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누수 위험지역의 특정부위만 검출가능 하므로 누수위치가 바뀌게 되면 감지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특허등록 제0909241호에서는 홀포인트가 구비되어 있는 리크센서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누출되는 액이 점성을 가지고 있는 황산, 불산, 염산, 질산 등의 경우에는 누출이 되었다 하더라도 홀에 침투되기가 어려워 반응성이 낮아 제대로 리크 여부를 센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채택하고 있는 합성수지가 산 등에 취약한 재질로 조성되어 한번 누출 감지를 하게 되면 녹아서 다시 재사용할 수 없는 한계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특히 산에 노출되어 센싱을 하는 부분인 은 등과 같은 금속류는 산에 접촉되면 부식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한 번 노출 여부를 센싱한 부분은 잘라내어 버려야 하는 불편함을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The modular leak sensor places a photosensor (light-receiving portion, light-emitting portion) in the plastic case and receives the beam of the light-emitting portion from the light-receiving portion without detecting the liquid, The beam (BEAM) can not reach the light receiving part due to the change of the refractive index. This modular leak sensor is capable of detecting the danger of leakage at low cost, easy to install, self-alarming regardless of peripherals, and there is no error due to humidity. However, cable type (CABLE TYP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nect with a peripheral devic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install the product because a separate sensor fixation plan must be planned, and only a specific part of the dangerous area can be detected, which makes detection difficult when the position of the leakage is chang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909241 has proposed a leak sensor equipped with a hole point. However, in the case of sulfuric acid, hydrofluoric acid, hydrochloric acid, nitric acid, etc., which have a viscous liquid to leak, it is difficult to penetrate into the hole even though it leaks, and the reactivity is low. Particularly, the synthetic resin which is adopted is composed of a material which is vulnerable to acid, and once leaked, it has melted and can not be reused. Especially, metal such as silver which is exposed to the acid, which is a part of sensing, is corrosive and can not be reused because of contact with the acid, so there is still an inconvenience to cut out the portion which is sensed once.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내구성 및 감도가 우수하며 저항치의 검출이 용이한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k detection sensor which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sensitivity and is easy to detect a resistance value, and a leak dete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제1 및 제2 도전라인을 가지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가 형성된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적층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 사이의 베이스 기재는 노출시키는 개방부를 가지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substrate formed of a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A detection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and having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formed of a conductive fluoric synthetic resin; And a protection layer stack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on which the detection unit is formed and having an opening for exposing the base substrat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 각각은 하나의 단자부가 형성된 주라인과 상기 주라인에서 상기 베이스 기재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뻗어나오는 다수개의 가지라인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가지라인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has a main line formed with one terminal portion and a plurality of branch lines extending from the main line across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substrate, The lines may be alternately arranged.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단자부는 같은 방향으로 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terminal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are drawn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단자부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erminal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are drawn out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불소계 합성수지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린(ETFE, Ethylenetetrafluoroethylene)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may be ethylene tetrafluoroethylene (ETFE) or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상기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는 카본 블랙 및 아세틸렌 블랙 중 하나 이상의 도전성 물질이 혼합된 불소계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ductive fluorine-based resin may be a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mixed with at least one conductiv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black and acetylene black.

상기 베이스 기재와 제1 및 제2 도전라인은 동종의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ase substrate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may be formed of the same kind of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로써, 누액이 예상되는 구조물에 배치된 다수개의 누액감지센서; 상기 다수개의 누액감지센서와 연결된 딥스위치; 및 상기 딥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누액감지센서의 전류 및 저항값을 감지 및 측정하는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eakag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leakage detection sensors disposed in a structure where leakage is expected; A dip switch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eak detecting sensors; And a sensor connected to the dip switch for sensing and measuring a current and a resistance value of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상기 다수개의 누액감지센서는 직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eakage detection sensors may be connected in series.

상기 딥스위치는 병렬 연결된 다수개의 저항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p switch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esistors connected in parallel.

본 발명에 의한 누액감지센서는 누출된 물이나 기타 액체가 누액감지센서의 표면 위로 떨어지게 되면 검출부에 형성된 도전라인이 연결되어 전류가 통하게 된다. 이러한 통전 현상을 감지지가 감지하고, 통전 현상이 발생한 누액감지센서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누수 또는 누액의 발생 여부를 알 수 있다.The leak detect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leaked water or other liquid to a surface of a leak detecting sensor, so that a conductive line formed in the detecting part is connected to the leak detecting sensor. Such sensing of the energizing phenomenon is detected, and the position of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in which the energization phenomenon occurs can be known, thereby detecting the occurrence of leakage or leakage.

또한, 오염물질에 강한 불소계 합성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누수 또는 누액을 확인한 후에 간단히 닦아내는 것만으로 물 또는 기타 액체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누액감지센서의 교체 없이 다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Further, by using a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which is resistant to contaminants, it is possible to remove water or other liquid simply by wiping after confirming leakage or leakage. Therefore, the function can be performed again without replacing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또한, 베이스 기재뿐만 아니라 검출부의 도전라인도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양 구성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도전라인은 미세한 너비 및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저항값을 유지할 수 있다.Further, not only the base substrate, but also the conductive line of the detection portion is made of the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thereby enhancing the bonding force of both constitutions and providing excellent durability. In addition, the conductive lines formed of the conductive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can be formed with a small width and an interval, and a stable resistance value can be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도전라인이 대칭되는 패턴을 가지고,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단자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출됨에 따라 누액이 어느 위치에 떨어지더라도 동일한 저항값을 나타내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폭과 간격이 미세하게 형성되더라도 저항값이 높아지지 않고 동일한 저항값을 나타내어 안정한 검출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have a symmetrical pattern, and the terminal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are pulled out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The resistance value is represented. Accordingly, even if the width and the interval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are finely formed, the resistance value is not increased, and the same resistance value is exhibited, so that a stable detection system can be realized.

또한, 검출부 상에 보호층을 적층하여 누액감지센서의 사용 및 설치시에 부주의로 검출 대상이 아닌 물성이 접촉되거나 인체 접촉 및 기타 도체가 접촉되는 사고에 따라 도전라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인체나 도체 물질의 접촉은 차단하고, 검출대상인 액상의 물질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도전라인이 보호됨에 따라 추가적인 구조물 없이 플랜지(Flange), 밸브(Valve)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ductive line from being damaged due to accidental contact of physical properties other than the detection object, human body contact or other conductors when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is used and installed, by laminating a protective layer on the detection portion . That is, it is possible to block the contact of the human body and the conductive material, to improve the sensitivity to the liquid material to be detected, and to prevent the conductive line from being placed in various positions such as a flange, a valve, .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시스템은 누액감지센서 검출부의 저항치가 상승하더라도 딥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전체 저항치를 낮출 수 있고, 이에 따라 감지기의 저항치의 검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ower the entire resistance value by manipulating the dip switch position even i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detection unit rises and thu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nsor can be easily det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검출부의 도전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eakag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leakag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ductive line of a detec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leakag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eakag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eakag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고, 첨부된 도면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Furth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provided for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elemen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s.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The terms " about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in their numerical values or in close proximity to their numerical values when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meanings mentioned are presented, Is used to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an unscrupulous infringer of precise or absolute disclosure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disclos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누액감지센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검출부의 도전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누액감지센서의 일부가 다른 실시형태를 가지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eakag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shown in FIG. 3 is an enlarged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ductive line of a detec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se where a part of the leakage sensor shown in FIG. 1 has another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leakag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는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베이스 기재(110); 상기 베이스 기재 상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을 가지는 검출부(D); 및 상기 상기 검출부가 형성된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적층되는 보호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3, a leakag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substrate 110 formed of a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A detector (D) formed on the base substrate and having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And a protective layer 150 stack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on which the detection unit is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베이스 기재(110)는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불소계 합성수지는 비전도성 및 비점착성을 가지며, 물, 기름 등 오염에 강한 성질을 가져 누출 검출 센서의 베이스 기재로 선택하였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ubstrate 110 may be formed of a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The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has nonconductive and non-tacky properties and is resistant to pollution such as water and oil, and is selected as the base material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상기 불소계 합성수지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린(ETFE, Ethylenetetrafluoroethylene)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베이스 기재(110)의 두께는 100 내지 5000㎛일 수 있고, 면적은 가로×세로가 (30~50cm)×(30~50cm)로 제작될 수 있다.
The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may be ethylene tetrafluoroethylene (ETFE) or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base substrate 110 may be 100 to 5000 μm, and the area may be 30 to 50 cm × 30 to 50 cm.

불소계 합성수지를 열처리하여 베이스 기재(110)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이를 위하여 지지기판(140)을 사용할 수 있다.The base substrate 110 may be formed by heat-treating the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To this end, a support substrate 140 may be used.

우선, 지지기판(140) 상에 베이스 기재(110)를 형성시키고, 공정 완성시에 지지기판(140)에서 베이스 기재(110)를 분리하여 사용하거나, 지지기판(140)과 일체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지지기판(140)은 2 내지 5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base substrate 110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substrate 140 and the base substrate 110 may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substrate 140 at the completion of the process or may be integrally used with the support substrate 140 . For example, the supporting substrate 140 may have a thickness of 2 to 5 mm.

지지기판(140)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된 기판이나 금속으로 된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기판(140)을 선택한 후 그 표면에 샌딩 작업을 하여 표면을 거칠게 한 다음 불소계 합성수지를 도포하여 베이스 기재를 형성할 수 있다.The supporting substrate 1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substrate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a substrate made of a metal can be used. After the support substrate 140 is selected, the surface of the support substrate 140 may be sanded to roughen the surface of the support substrate 140, and then the fluororesin synthetic resin may be applied to form the base substrate.

불소계 합성수지의 종류에 따라 지지기판(140)에 불소계 합성수지액을 코팅하거나 분말상태의 불소계 합성수지를 도포한 후 열처리하여 지지기판(140)에 베이스 기재(110)를 형성시킬 수 있다.The base substrate 110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substrate 140 by coating a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solution on the support substrate 140 or by applying a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in a powder stat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누출 감지 센서의 작동 온도가 100℃ 전후인 경우에는 ETFE를 재질로 된 베이스 기재를 선택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고온인 250℃에서 작동하는 경우에는 내열성이 보다 우수한 PTFE 재질로 된 베이스 기재를 선택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is about 100 캜, a base material made of ETFE can be selected. When operating at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of 250 캜, PTFE A base substrate made of a material can be selected.

상기 베이스 기재(110)의 일면에는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을 가지는 검출부(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은 서로 다른 도전성을 가지는 것으로, 서로 만나거나 교차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 기재(110)의 일면 중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이 형성된 영역이 검출부(D)로 작용하게 된다.A detection part D having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110.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may have different conductivity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not to meet or intersect with each other. That is, the reg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substrate 110 serves as the detection portion D.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 사이에 누출된 액체가 떨어지면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이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에 형성된 단자부(120a, 130b)가 감지기와 연결되어 있고, 통전 현상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누수 및 누액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When the leaked liquid is relea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urrent flows. The terminal portions 120a and 130b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are connected to the sensor.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sensor, the sensor detects the occurrence of leakage and leakage.

따라서,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의 간격이 좁을수록 검출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베이스 기재(110)의 면적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을 미세한 너비로 형성할수록 누액감지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narrower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the higher the detection accuracy. Since the area of the base substrate 110 is limited, the sensitivity of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can be improved as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are formed to have a small width.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은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불소계 합성수지에 도전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도전성 물질을 혼합하여 도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카본 블랙 또는 아세틸렌 블랙 등의 도전성 물질과 혼합된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The method of imparting conductivity to the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mixed to impart conductivit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ductive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mix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arbon black or acetylene black can be used.

도전성 물질의 입자크기 및 함유량에 따라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의 도전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도전성 물질의 입자 크기는 0.3 내지 3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린(ETFE)의 경우에는 5 내지 15중량%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의 경우에는 5 내지 30중량%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ivity of the conductive fluorinated synthetic resin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and the content of the conductive substance. For example, the conductive material may have a particle size of 0.3 to 30 占 퐉. In the case of ethylene tetrafluoroethylenes (ETFE), 5 to 15% by weight of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contained, and in the case of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5 to 30% by weight of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contained .

또한,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의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전성 물질과 함께 비수용성 용제, 바인더 및 용매 등을 혼합하여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Further, in order to improve the moldability of the conductive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a conductive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can be prepared by mixing a non-aqueous solvent, a binder and a solvent together with the conductive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는 미량의 도전성이 아닌 약 600㏀의 도체에 가까운 저항을 가지며, 성형성이 우수하여 이를 이용하여 베이스 기재(110)에 미세한 너비 및 미세한 간격을 가지는 도전라인(120, 130)을 형성할 수 있다.
The conductive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sistivity close to that of a conductor of about 600 kohms, which is not a minute amount of conductivity, and is excellent in moldability. Thus, conductive lines 120 and 120 having a minute width and a minute gap are formed in the base substrate 110, 130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은 베이스 기재(110)상에 검출부(D)의 면적을 최대한 넓게 형성시키되, 서로 만나거나 교차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may be formed by forming the area of the detection unit D as wide as possible on the base substrate 110, Can be formed at intervals.

도전성 불소계 수지로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 패턴을 인쇄한 후 소결하여 베이스 기재(110) 상에 검출부(D)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라인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메탈 마스킹 등의 방법으로 패턴인쇄를 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의 간격은 0.5 내지 3mm일 수 있고, 도전라인의 자체의 너비는 0.1 내지 5mm일 수 있다.The pattern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may be printed with a conductive fluoric resin and sintered to form the detection portion D on the base substrate 110. [ The method of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pattern printing can be performed by a method such as metal masking.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may be between 0.5 and 3 mm, and the width of the conductive line itself may be between 0.1 and 5 mm.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소결 온도는 360 내지 380℃일 수 있다.Also, 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sintering temperature may be 360 to 380 ° C.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기재(110)와 도전 라인(120, 130)은 모두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소결과정에서 일체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전 라인(120, 130)이 쉽게 손상되지 않으며, 형태 및 위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base substrate 110 and the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are formed of a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and can be integrated in the sintering process. As a result, the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are not easily damaged, and shape and position st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베이스 기재(110)와 도전라인(120, 130)을 동종의 PTFE 또는 ETFE을 사용함으로써 그 결합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by using PTFE or ETFE of the same kind as the base substrate 110 and the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the bonding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베이스 기재(110)상에 도전라인(120, 130)을 형성하기 전에 도전라인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표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비점착성 및 이형성을 가지는 PTFE로 된 베이스 기재의 경우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before the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are formed on the base substrate 110, surface treatment may be performed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with the conductive lines.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perform surface treatment in the case of a base substrate made of PTFE having non-tackiness and releasability.

표면처리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베이스 기재의 표면을 에칭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에칭 용액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수지의 에칭에 사용하는 것은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글리콜 에테르를 함유하는 알칼리성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The surface treatment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can be etched. The etching solution used he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those used for etching polyimide resin can be used. More specifically, an alkaline solvent containing a glycol ether can be used.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은 검출부(D)의 면적을 넓히고, 데드 포인트 면적을 줄일 수 있는 형태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은 서로 만나거나 교차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 기재(110)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서로 교대로 배치된 다수개의 라인을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area of the detection portion D is widened and the dead point area can be reduced. For example, The substrates 120 and 130 may have a plurality of lines alternately arranged across the center of the base substrate 110, without intersection or intersec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 각각은 단자부(120a, 130a)가 형성된 주라인(121, 131)과 상기 주라인(121, 131)에서 뻗어나온 다수개의 가지라인(122, 13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지라인(122, 132)은 주라인에서 베이스 기재(110)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뻗어나올 수 있고, 제1 및 제2 도전라인 각각의 가지라인(122, 132)은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3,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includes main lines 121 and 131 formed with terminal portions 120a and 130a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121 and 131 extending from the main lines 121 and 131, Branch lines 122 and 132, respectively. The branch lines 122 and 132 may extend across the center of the base substrate 110 in the main line and branch lines 122 and 132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may be alternately arranged .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은 각각 하나의 단자부(120a, 130b)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단자부는 각각 주라인(121, 131)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은 하나의 단자부를 가짐으로써 누액 감지 시스템의 연결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단자부(120a, 130a)는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may have one terminal portion 120a or 130b and the terminal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main line 121 or 131,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have one terminal portion, thereby facilitating the connection of the leakage sensing system. In addition, the terminal portions 120a and 130a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may be drawn in the same direc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시센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누액감시센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검출부를 구성하는 도전라인의 패턴에 차이가 있다.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liquid leakage monitoring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3,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the conductive lines constituting the detection por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기재(210)의 일면에는 제1 및 제2 도전라인(220, 230)을 가지는 검출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220, 230)은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서로 만나거나 교차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detection unit 220 having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220 and 23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210.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220 and 230 may be formed of conductive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not to meet or cross each other.

본 실시형태에서도 도 1 내지 도 3에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220, 230) 각각은 단자부(220a, 230a)가 형성된 주라인과 상기 주라인에서 뻗어나와 베이스 기재(210)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뻗어나온 가지라인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 각각의 가지라인은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1 to 3,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220 and 230 includes a main line formed with terminal portions 220a and 230a, a main line extending from the main line, Lt; RTI ID = 0.0 > a < / RTI > The branch line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may be alternately arranged.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220, 230)은 각각 하나의 단자부(220a, 230a)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단자부는 각각 주라인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은 하나의 단자부를 가짐으로써 누액 감지 시스템의 연결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Als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220 and 230 may have one terminal portion 220a or 230a, respectively, and the terminal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main line,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have a single terminal portion, thereby facilitating the connection of the leak detection system.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단자부(220a, 230a)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erminal portions 220a and 230a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can be drawn out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주라인과 가지라인이 대칭되는 패턴을 가지고, 단자부(220a, 230a)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출됨에 따라 누액이 어느 위치에 떨어지더라도 동일한 저항값을 나타내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line and branch lin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have a symmetrical pattern, and the same resistance value is exhibit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leakage of the liquid leakage as the terminal portions 220a and 230a are drawn out in mutually opposing directions .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폭과 간격이 미세하게 형성될수록 검출부에 형성되는 저항값이 높아져 이를 검출하기 어려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동일한 저항값을 나타내어 안정한 검출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As the width and the interval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are finely formed, the resistance value formed on the detection part becomes higher and it may be difficult to detect it.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resistance value is exhibited and a stable detection system can be realiz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부(D)가 형성된 베이스 기재(110)의 일면에 보호층(150)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50)은 비도전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베이스 기재(110)와 같이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1 and 5,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be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110 on which the detection unit D is formed.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be formed of a non-conductive synthetic resin, and may be formed of a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such as, but not limited to, a base substrate 110.

도 1에는 표현되지 않았으나,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층(150)은 검출부의 도전라인(120, 130)은 덮되, 제1 및 제2 도전라인(120, 130) 사이의 베이스 기재(110)는 노출시키는 개방부(H)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층(150)은 베이스 기재에 형성된 도전라인(120, 13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도전라인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5,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cover the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of the detection portion and may include a base substrate 11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May have an open portion (H) for exposing. The protective layer 150 protects the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formed on the base substrate and may have the same pattern as the pattern of the conductive lines.

상기 보호층(150)의 적층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도전라인에 불소계 합성 수지를 증착시키거나 별로도 불소계 합성수지로 개방부를 가지는 시트를 제조한 후 이를 적층 시킬 수 있다.The method of laminating the protective layer 15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may be deposited on the conductive line, or a sheet having openings may be formed using a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검출부(D)의 도전라인(120, 130)이 표면에 노출되는 경우 사용 및 설치시 도전라인이 손상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부주의로 검출 대상이 아닌 물성이 접촉되거나 인체 접촉 및 기타 도체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층(150)을 적층 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150)이 적층되더라도 베이스 기재(110)는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부(H)를 통하여 누출된 물이나 액체가 검출부(D)의 도전라인(120, 130) 사이에 침투할 수 있다. 즉, 인체나 도체 물질의 접촉은 차단하고, 검출대상인 액상의 물질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f the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of the detection unit D are exposed on the surface, the conductive lines may be damaged during use and installation. Further, physical properties other than the object of detection may be inadvertently contacted, or human contact and other conductors may be contacted. Therefore, the protective layer 150 may be stacked to prevent this. Even if the protective layer 150 is stacked as shown in FIG. 5, since the base substrate 110 is exposed, water or liquid leaked through the opening portion H can be removed from the conductive lines 120 and 130 of the detection portion D, . ≪ / RTI > That is, contact between a human body and a conductive material is blocked, and sensitivity to a liquid substance to be detected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의한 누액감지센서는 누출된 물이나 기타 액체가 누액감지센서의 표면 위로 떨어지게 되면 검출부에 형성된 도전라인이 연결되어 전류가 통하게 된다. 이러한 통전 현상을 감지지가 감지하고, 통전 현상이 발생한 누액감지센서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누수 또는 누액의 발생 여부를 알 수 있다.The leak detect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leaked water or other liquid to a surface of a leak detecting sensor, so that a conductive line formed in the detecting part is connected to the leak detecting sensor. Such sensing of the energizing phenomenon is detected, and the position of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in which the energization phenomenon occurs can be known, thereby detecting the occurrence of leakage or leakage.

또한, 오염물질에 강한 불소계 합성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누수 또는 누액을 확인한 후에 간단히 닦아내는 것만으로 물 또는 기타 액체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누액감지센서의 교체 없이 다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Further, by using a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which is resistant to contaminants, it is possible to remove water or other liquid simply by wiping after confirming leakage or leakage. Therefore, the function can be performed again without replacing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또한, 베이스 기재뿐만 아니라 검출부의 도전라인도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양 구성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도전라인은 미세한 너비 및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저항값을 유지할 수 있다.Further, not only the base substrate, but also the conductive line of the detection portion is made of the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thereby enhancing the bonding force of both constitutions and providing excellent durability. In addition, the conductive lines formed of the conductive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can be formed with a small width and an interval, and a stable resistance value can be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도전라인이 대칭되는 패턴을 가지고,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단자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출됨에 따라 누액이 어느 위치에 떨어지더라도 동일한 저항값을 나타내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폭과 간격이 미세하게 형성되더라도 저항값이 높아지지 않고 동일한 저항값을 나타내어 안정한 검출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have a symmetrical pattern, and the terminal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are pulled out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The resistance value is represented. Accordingly, even if the width and the interval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are finely formed, the resistance value is not increased, and the same resistance value is exhibited, so that a stable detection system can be realized.

또한, 검출부 상에 보호층을 적층하여 누액감지센서의 사용 및 설치시에 부주의로 검출 대상이 아닌 물성이 접촉되거나 인체 접촉 및 기타 도체가 접촉되는 사고에 따라 도전라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인체나 도체 물질의 접촉은 차단하고, 검출대상인 액상의 물질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도전라인이 보호됨에 따라 추가적인 구조물 없이 플랜지(Flange), 밸브(Valve)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ductive line from being damaged due to accidental contact of physical properties other than the detection object, human body contact or other conductors when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is used and installed, by laminating a protective layer on the detection portion . That is, it is possible to block the contact of the human body and the conductive material, to improve the sensitivity to the liquid material to be detected, and to prevent the conductive line from being placed in various positions such as a flange, a valve,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eakag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시 시스템은 누액이 예상되는 구조물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누액감지센서(S1, S2, Sn); 상기 누액감지센서의 전류 및 저항값을 감지 및 측정하는 감지기(B1); 및 상기 누액감지센서와 감지기를 연결하는 딥스위치(DS1);를 포함할 수 있다. A leaka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eakage detection sensors (S 1 , S 2 , S n ) arranged in a structure in which leakage is expected; A sensor B1 for sensing and measuring a current and a resistance value of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And a dip switch (DS1) for connecting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and the sensor.

상기 누액감지센서(S1, S2, Sn)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누액감지센서일 수 있다. 누액이 예상되는 다수개의 구조물에 각각 누액감지센서를 배치하고, 각각의 누액감지센서는 감지기(B1)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지기(B1)는 누액감지센서의 전류 및 저항값을 감지 및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다수개의 누액감지센서가 직렬로 연결되면, 그 수만큼 저항치가 상승할 수 있고, 저항치가 높아짐에 따라 이의 검출은 어려워질 수 있다. The leakage detection sensors S 1 , S 2 , and S n may be leakage detection sensor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leak detection sensor may be disposed in each of a plurality of structures expected to leak, and each leakage detection sensor may be connected to the detector B1. The sensor B1 can sense and measure the current and resistance value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However, when a plurality of leak detecting sensors are connected in series, the resistance value can be increased by the number, and detection of the leakage can become difficult as the resistance value becomes higher.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딥스위치(DS1)는 병렬 연결된 다수개의 저항(R1, R2, R3, R4)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직렬 연결된 검출부의 저항치 상승에 따라 딥스위치를 조작하여 저항치를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기(B1)는 전체 저항치의 검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p switch DS1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esistors R 1 , R 2 , R 3 , and R 4 connected in parallel. Accordingly, the resistance value can be lowered by operating the dip switch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ries-connected detection section. Accordingly, the detector B1 can easily detect the entire resistance value.

이상,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vident that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omething to do.

110, 210: 베이스 기재 D: 검출부
120, 130, 220, 230: 도전라인 120a, 130a, 220a, 230a:단자부
121, 131: 주라인 122, 132: 가지라인
140: 지지기판 150: 보호층
H: 개방부
110, 210: base substrate D: detection unit
120, 130, 220, 230: conductive lines 120a, 130a, 220a, 230a:
121, 131: main line 122, 132: branch line
140: support substrate 150: protective layer
H: opening portion

Claims (10)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된 제1 및 제2 도전라인을 가지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가 형성된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적층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 사이의 베이스 기재는 노출시키는 개방부를 가지는 보호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A base substrate formed of a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A detection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and having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formed of a conductive fluoric synthetic resin; And
A protective layer stack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on which the detecting portion is formed and having an opening for exposing a base substrat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Wherein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 각각은 하나의 단자부가 형성된 주라인과 상기 주라인에서 상기 베이스 기재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뻗어나오는 다수개의 가지라인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가지라인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has a main line formed with one terminal portion and a plurality of branch lines extending from the main line across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substrate, Wherein the lines are arranged alternate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단자부는 같은 방향으로 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terminal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are drawn out in the same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라인의 단자부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terminal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are drawn out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합성수지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린(ETFE, Ethylenetetrafluoroethylene)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is ethylene tetrafluoroethylene (ETFE) or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는 카본 블랙 및 아세틸렌 블랙 중 하나 이상의 도전성 물질이 혼합된 불소계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fluorinated synthetic resin is a fluorinated synthetic resin in which at least one conductiv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black and acetylene black is m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재와 제1 및 제2 도전라인은 동종의 불소계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substrate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ines are formed of the same kind of fluorine-based synthetic resin.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누액감지센서로써, 누액이 예상되는 구조물에 배치된 다수개의 누액감지센서;
상기 다수개의 누액감지센서와 연결된 딥스위치; 및
상기 딥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누액감지센서의 전류 및 저항값을 감지 및 측정하는 감지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시스템.
9. A leakag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comprising: a plurality of leakage detection sensors arranged in a structure where leakage is expected;
A dip switch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eak detecting sensors; And
A sensor connected to the dip switch for detecting and measuring a current and a resistance value of the leakage detection sensor;
And a leakag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leakage of the liqui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누액감지센서는 직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lurality of leakage detection sensors are connected in seri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딥스위치는 병렬 연결된 다수개의 저항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ip switch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esistors connected in parallel.
KR1020140068089A 2014-06-05 2014-06-05 Liquid leak detect sensor and liquid leak detect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16235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089A KR101623537B1 (en) 2014-06-05 2014-06-05 Liquid leak detect sensor and liquid leak detect system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089A KR101623537B1 (en) 2014-06-05 2014-06-05 Liquid leak detect sensor and liquid leak detect system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007A true KR20150140007A (en) 2015-12-15
KR101623537B1 KR101623537B1 (en) 2016-05-23

Family

ID=5502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089A KR101623537B1 (en) 2014-06-05 2014-06-05 Liquid leak detect sensor and liquid leak detec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53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070A (en) * 2016-12-12 2018-06-20 이재희 Exchangeable leak detection sensor
CN113776745A (en) * 2021-09-14 2021-12-10 深圳市英维克科技股份有限公司 Liquid leakage detection sensor and detec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716B1 (en) * 2016-12-08 2019-03-18 성백명 Reusable leak detection sensor
KR102006469B1 (en) 2019-01-22 2019-08-01 주식회사 씨티에이 Apparatus System for Monitoring liquid Chemical Material Using Probe type Leak Detecting Sensor
KR20200091275A (en)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씨티에이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Liquid Chemical Material Using Leak Detecting Sensor
KR102081261B1 (en) 2019-11-04 2020-02-25 윤정희 Method and system for real time detecting leak of hazardous chemical material using ep network of enterpri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1231B2 (en) * 2003-12-02 2008-08-13 オムロン株式会社 Leak detector
KR200471278Y1 (en) * 2012-12-12 2014-02-11 허지현 a liquid leakage detecting sensor and a liquid leakage detecting appratus having 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070A (en) * 2016-12-12 2018-06-20 이재희 Exchangeable leak detection sensor
CN113776745A (en) * 2021-09-14 2021-12-10 深圳市英维克科技股份有限公司 Liquid leakage detection sensor and det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537B1 (en) 201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537B1 (en) Liquid leak detect sensor and liquid leak detect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1571398B1 (en) Liquid leak detect sensor
KR101544855B1 (en) Flexible sheet typed leak sensor
KR101591918B1 (en) Leak detection sensors
KR102109143B1 (en) Leak detector with liquid inflow means
KR101830005B1 (en) Leak detection sensor
KR101346381B1 (en) Flexible leak sensor
KR20140112462A (en) Acidic solution leakage sensor
KR20190047435A (en) Leakage detection system and leakage detection method
KR101505439B1 (en) Leakag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04273A (en) Organic solvent leak detection device
JP2013140174A (en) Sensor for detecting organic liquids
KR101843075B1 (en) Acid and base leak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istinguishing the leak phase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 by passivation layer
KR101594891B1 (en) Liquid leak detect sensor
KR101461539B1 (en) Flexible sheet typed leak sensor and making process thereof
KR101702360B1 (en) Weak acidic solution leak detection apparatus
KR101578060B1 (en) Flexible sheet typed leak sensor
KR20190001987A (en) Tape type reusable leak detection sensor
KR101458461B1 (en) Leak sensor and making process thereof
KR101799834B1 (en) Multiple leak detection sensor
KR101538509B1 (en) Pipe type leakage sensor
KR101693761B1 (en) Leak sensor for top and lateral face detection
KR20140099634A (en) Acidic solution leakage sensor
KR102053005B1 (en) Liquid leak detect sensor of outdoors type
KR20200041009A (en) Leakage sensor for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