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489A -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 - Google Patents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489A
KR20150139489A KR1020157005056A KR20157005056A KR20150139489A KR 20150139489 A KR20150139489 A KR 20150139489A KR 1020157005056 A KR1020157005056 A KR 1020157005056A KR 20157005056 A KR20157005056 A KR 20157005056A KR 20150139489 A KR20150139489 A KR 20150139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information
mdmact
access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2879B1 (ko
Inventor
클렌 맨스필드 키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이버 솔루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이버 솔루션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이버 솔루션스
Publication of KR20150139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2LAN interconnection over a bridge based backb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04L41/083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reduction of network energy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5Network analysis or design involving simulating, designing, planning or modelling of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66Layer 2 routing, e.g. in Ethernet based M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0Routing based on monitoring res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04L49/3009Header conversion, routing tables or routing ta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5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Layer-2 네트워크 내에 있어서의 효율적인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기 위한 그린 아키텍처를 구축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되는 모든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수집하여 패킷 정보를 추출하는 패킷 수집 프로세스 (S01) 와, 패킷 정보로부터 최신의 타임 스탬프의 MIPT 를 생성하는 MAC-IP 이력 생성 프로세스 (S02) 와, 상기 MIPT 의 정보를 기초로 {SMAC, DMAC} 의 카테고리마다의 패킷수를 일정 간격의 타임 슬롯별로 카운트하여 MAcT 를 생성하는 액세스 분석 프로세스 (S03) 와, 상기 MAcT 의 정보에 기초하여 MDMAcT 를 생성하는 L2 스위치 포트 분석 프로세스 (S04) 와, 상기 MDMAcT 의 포트 접속 구성이 갱신된 GMDMAcT 를 생성하는 그린 아키텍처 구축 프로세스 (S05) 와, 상기 GMDMAcT 의 정보를 표시하는 가시화 프로세스 (S06) 를 갖는다.

Description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METHOD FOR BUILDING GREEN NETWORK}
본 발명은 Layer-2 네트워크 내에 있어서의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ayer-2 네트워크 내에 있어서의 효율적인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기 위한 그린 아키텍처를 구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피스나 학교 등에서의 네트워크 환경의 이용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사용되고 있지 않는 기기에 의해서 소비되는 전력을 삭감하는 전력 절약화에 관한 기술 (그린 아키텍처) 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서는, 서버 룸 내의 랙군 중에서 소정의 랙 내의 서버에 처리를 집중시키고, 가동 중인 서버가 없어진 랙의 전원을 정지시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서는, 네트워크의 용장 (冗長) 구성 부분으로 되어 있는 라우터 및 스위치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082799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44440
Layer-2 네트워크 내에 있어서 효율적인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 위해서는, 네트워크 내에 설치된 모든 장치 (특히 L2 스위치) 의 사용 상황을 감시하고, 그 사용 상황에 따라서 당해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이 유효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1 시부터 익일 8 시까지의 동안, 사용되고 있지 않는 L2 스위치에 대해서 당해 시간대에 전력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Layer-2 네트워크 내에 있어서의 효율적인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기 위한 그린 아키텍처를 구축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 에 관련된 발명은, Layer-2 네트워크 내에 있어서의 효율적인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기 위한 그린 아키텍처를 구축하는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되는 모든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수집하여 {타임 스탬프 (TStamp), 송신원 MAC 어드레스 (SMAC), 송신원 IP 어드레스 (SIP), 송신선 IP 어드레스 (DIP)} 의 패킷 정보를 추출하는 패킷 수집 프로세스와,
상기 패킷 수집 프로세스에서 추출된 패킷 정보로부터 {TStamp, SMAC, SIP} 의 정보에 기초하여, {MAC 어드레스 (MAC), IP 어드레스 (IP), 최신의 타임 스탬프 (LastTimeStamp)} 의 MAC-IP 이력 테이블 (MIPT) 을 생성하는 MAC-IP 이력 생성 프로세스와,
상기 MAC-IP 이력 생성 프로세스에서 생성된 MIPT 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 수집 프로세스에서 추출된 모든 패킷 정보를 {송신원 MAC 어드레스 (SMAC), 송신선 MAC 어드레스 (DMAC)} 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그 카테고리마다의 패킷수를 일정 간격의 타임 슬롯별로 카운트하여 {시간 간격 (TimePeriod), 송신원 MAC 어드레스 (SMAC), 송신선 MAC 어드레스 (DMAC), 액세스수 (Count)} 의 액세스 이력 테이블 (MAcT) 을 생성하는 액세스 분석 프로세스와,
L2 스위치마다 L2 스위치의 포트에 접속된 장치를 검출하고, 상기 액세스 분석 프로세스에서 생성된 MAcT 의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의 이들 장치의 액세스수를 분석하여 {시간대 (HourlyPeriod), L2 스위치 포트 (Port), 송신선 MAC 어드레스 (DMAC), 액세스수 (Count)} 의 L2 스위치 상태 테이블 (MDMAcT) 을 생성하는 L2 스위치 포트 분석 프로세스와,
상기 L2 스위치 포트 분석 프로세스에서 생성된 MDMAcT 의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가 있는 (1 ≤ Count) 포트를 갖는 특정 L2 스위치를 추출하고, 당해 L2 스위치의 액세스가 있는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장치 (DMAC) 를 당해 MDMAcT 로부터 삭제하고, 다른 L2 스위치의 MDMAcT 에 추가하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MDMAcT 의 포트 접속 구성이 갱신된 그린 L2 스위치 상태 테이블 (GMDMAcT) 을 생성하는 그린 아키텍처 구축 프로세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에 관련된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으로서,
상기 그린 아키텍처 구축 프로세스는, 상기 L2 스위치 포트 분석 프로세스에서 생성된 MDMAcT 의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가 있는 (1 ≤ Count) 포트수가 가장 적은 L2 스위치를 검출하고, 그 액세스가 있는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장치 (DMAC) 를 당해 MDMAcT 로부터 삭제하고, 다른 L2 스위치의 MDMAcT 에 추가하는 처리를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MDMAcT 의 포트 접속 구성이 갱신된 GMDMAcT 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에 관련된 발명은, 청구항 2 에 기재된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으로서,
L2 스위치마다 상기 그린 아키텍처 구축 프로세스에서 L2 스위치의 포트 접속 구성이 변경된 GMDMAcT 의 정보를 표시하는 가시화 프로세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에 관련된 발명은, 청구항 3 에 기재된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으로서,
상기 가시화 프로세스는, 상기 액세스 분석 프로세스에서 생성된 액세스 이력 테이블 (MAcT) 을 참조하여 특정 장치 간의 통신 시간대를 분석하고, 그 시간대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길어진 경우, 이들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L2 스위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의 발명에 의하면, 소정 시간대에 있어서의 L2 스위치의 각 포트의 통신 상태, 즉 각 포트에 접속된 장치의 통신 빈도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됨과 함께, 그린 아키텍처 구축을 위해서 L2 스위치의 포트 접속 구성이 자동적으로 변경되게 된다. 이로써 Layer-2 네트워크 내에 있어서의 효율적인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 의 발명에 의하면, 그린 아키텍처 구축을 위해서 L2 스위치의 포트 접속 구성의 변경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 의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 관리자는 L2 스위치의 포트 접속 구성의 변경 정보를 참조하여 용이하게 L2 스위치의 포트 접속 구성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 소정 시간대에 모든 포트에 액세스가 없는 L2 스위치를 알 수 있게 되어, 그 시간대에 있어서 해당되는 L2 스위치를 전원 OFF 할 수 있게 된다. 즉, 불필요한 전력을 사용하지 않아 네트워크 내에 있어서의 전력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 의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 관리자는 특정 장치 간의 통신 시간이 임계값보다 길어진 경우에 표시되는 L2 스위치의 정보를 보고, 각각이 상이한 L2 스위치인 경우에는 장시간에 걸친 통신이 L2 스위치를 경유하여 행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게 되고, 예를 들어 네트워크 내의 통신 부하를 경감하기 위해서, 당해 장치를 동일한 L2 스위치에 접속하여 용이하게 접속 구성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 차트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을 설명하는 네트워크 구성도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에 있어서, 패킷 정보로부터 생성되는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에 있어서, L2 스위치 상태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에 있어서, 그린 아키텍처 구축에 있어서의 알고리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서술하는 실시형태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은, Layer-2 네트워크 내에 설치된 전체 장치 간의 통신을 감시·분석함으로써 Layer-2 네트워크 내에 있어서의 효율적인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기 위한 그린 아키텍처를 구축하는 방법으로서, 도 1 에 나타내는 플로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패킷 수집 프로세스 (S01) 에서는 Layer-2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되는 모든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수집하여 {타임 스탬프 (TStamp), 송신원 MAC 어드레스 (SMAC), 송신원 IP 어드레스 (SIP), 송신선 IP 어드레스 (DIP)} 의 패킷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Layer-2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으로서, 예를 들어 Ipv4 프로토콜의 경우에는 ARP 패킷이 있다.
다음으로 MAC-IP 이력 생성 프로세스 (S02) 에서는 패킷 수집 프로세스 (S01) 에서 추출된 패킷 정보로부터 {TStamp, SMAC, SIP} 의 정보에 기초하여, {MAC 어드레스 (MAC), IP 어드레스 (IP), 최신의 타임 스탬프 (LastTimeStamp)} 의 MAC-IP 이력 테이블 (MIPT) 을 생성한다. 즉, 이 프로세스 (S02) 에서는, Layer-2 네트워크 내에 설치된 장치 간의 통신 패킷 정보로부터, 장치의 MAC 어드레스 (MAC) 와 IP 어드레스 (IP) 의 대응표에 최신의 타임 스탬프 (LastTimeStamp) 를 부가한 이력 테이블 (MIPT) 을 작성하고, 그 후 동일한 MAC 와 IP 를 갖는 통신 패킷이 나타나면, 그 통신 패킷의 타임 스탬프 (TStamp) 정보를 LastTimeStamp 에 덮어쓴다.
다음으로 액세스 분석 프로세스 (S03) 에서는 MAC-IP 이력 생성 프로세스 (S02) 에서 생성된 MIPT 의 정보에 기초하여, 패킷 수집 프로세스 (S01) 에서 추출된 모든 패킷 정보를 {송신원 MAC 어드레스 (SMAC), 송신선 MAC 어드레스 (DMAC)} 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그 카테고리마다의 패킷수를 일정 간격의 타임 슬롯별로 카운트하여 {시간 간격 (TimePeriod), 송신원 MAC 어드레스 (SMAC), 송신선 MAC 어드레스 (DMAC), 액세스수 (Count)} 의 액세스 이력 테이블 (MAcT) 을 생성한다. 여기서, 송신선 MAC 어드레스 (DMAC) 에 대해서는, 패킷 수집 프로세스 (S01) 에서 추출된 패킷 정보의 송신선 IP 어드레스 (DIP) 로부터 MIPT 를 참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 액세스 이력 테이블 (MAcT) 에 의해서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의 장치 간의 액세스 이력을 알 수 있게 되고, 예를 들어, 어느 장치 간에서 통신이 행해졌는지, 어느 정도의 빈도로 통신이 행해지고 있었는지, 또 통신이 계속되고 있던 시간은 어느 정도인지 등의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또 상기에서 설명한 소정 시간, 즉 액세스 이력 테이블 (MAcT) 의 시간 간격 (TimePeriod) 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환경 등을 고려하여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L2 스위치 포트 분석 프로세스 (S04) 에서는 L2 스위치마다 L2 스위치의 포트에 접속된 장치를 검출하고, 액세스 분석 프로세스 (S03) 에서 생성된 액세스 이력 테이블 (MAcT) 의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의 이들 장치의 액세스수를 분석하여 {시간대 (HourlyPeriod), L2 스위치 포트 (Port), 송신선 MAC 어드레스 (DMAC), 액세스수 (Count)} 의 L2 스위치 상태 테이블 (MDMAcT) 을 생성한다.
여기서 L2 스위치의 포트에 접속된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제4653164호 (특허권자 및 발명자는 본원의 출원인 및 발명자와 동일함) 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L2 스위치마다 생성된 L2 스위치 상태 테이블 (MDMAcT) 에 의해서, 소정 시간대 (HourlyPeriod) 에 있어서의 L2 스위치의 각 포트의 통신 상태, 즉 각 포트에 접속된 장치 (DMAC) 의 통신 빈도를 알 수 있게 된다. 또 시간대 (HourlyPeriod) 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환경 등을 고려하여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그린 아키텍처 구축 프로세스 (S05) 에서는 L2 스위치 포트 분석 프로세스 (S04) 에서 생성된 MDMAcT 의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가 있는 (1 ≤ Count) 포트를 갖는 특정 L2 스위치를 추출하고, 당해 L2 스위치의 액세스가 있는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장치 (DMAC) 를 당해 MDMAcT 로부터 삭제하고, 다른 L2 스위치의 MDMAcT 에 추가하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MDMAcT 의 포트 접속 구성이 갱신된 그린 L2 스위치 상태 테이블 (GMDMAcT) 을 생성한다. 이 그린 L2 스위치 상태 테이블 (GMDMAcT) 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의 일례를 도 5 에 나타낸다.
도 5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MDMAcT 의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가 있는 (1 ≤ Count) 포트수가 가장 적은 L2 스위치를 검출하고, 그 액세스가 있는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장치 (DMAC) 를 당해 MDMAcT 로부터 삭제하고, 다른 L2 스위치의 MDMAcT 에 추가하는 처리를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MDMAcT 의 포트 접속 구성이 갱신된 GMDMAcT 를 생성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가시화 프로세스 (S06) 에서는 L2 스위치마다 그린 아키텍처 구축 프로세스 (S05) 에서 L2 스위치의 포트 접속 구성이 변경된 GMDMAcT 의 정보를 표시한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L2 스위치마다의 GMDMAcT 정보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L2 스위치의 포트 접속 구성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 L2 스위치마다의 GMDMAcT 의 정보에 의해서, 소정 시간대 (HourlyPeriod) 에 있어서 모든 포트에 액세스가 없는 (Count = 0) L2 스위치를 알 수 있게 되고, 그 시간대에 있어서 해당되는 L2 스위치를 전원 OFF 할 수 있게 된다. 즉, 불필요한 전력을 사용하지 않아 네트워크 내에 있어서의 전력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에 대해서 도 2 에 나타낸 네트워크 구성도,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 테이블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패킷 수집 프로세스 (S01) 는 도 2 에 나타낸 Layer-2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되는 모든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수집하여, 도 3 에 나타낸 패킷 정보 {타임 스탬프 (TStamp), 송신원 MAC 어드레스 (SMAC), 송신원 IP 어드레스 (SIP), 송신선 IP 어드레스 (DIP)} 를 추출한다. 이 예에서는 10 : 00 : 00 ∼ 10 : 09 : 10 의 시간대에서 추출한 패킷 정보를 나타내고 있고, 예를 들어 10 : 00 : 00 의 시각에 통신 장치 (N31) 로부터 서버 (H1) 에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송신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MAC-IP 이력 생성 프로세스 (S02) 는 패킷 정보로부터 {TStamp, SMAC, SIP} 의 정보에 기초하여, {MAC 어드레스 (MAC), IP 어드레스 (IP), 최신의 타임 스탬프 (LastTimeStamp)} 의 이력 테이블 (MIPT) 을 생성한다.
이 MIPT 의 생성예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MAC-N31, IP-N31} : Tstamp = 10 : 00 : 00 의 정보가 LastTimeStamp 에 설정된다.
{MAC-H1, IP-H1} : Tstamp = 10 : 00 : 10, 10 : 03 : 10, 10 : 06 : 10, 10 : 09 : 10 의 정보 중에서 최후의 10 : 09 : 10 의 정보가 LastTimeStamp 에 설정된다.
{MAC-N22, IP-N22} : Tstamp = 10 : 01 : 30 의 정보가 LastTimeStamp 에 설정된다.
{MAC-H2, IP-H2} : Tstamp = 10 : 01 : 40, 10 : 04 : 50 의 정보 중에서 최후의 10 : 04 : 50 의 정보가 LastTimeStamp 에 설정된다.
{MAC-N31, IP-N31-1} : Tstamp = 10 : 03 : 00, 10 : 06 : 00 중에서 최후의 10 : 06 : 00 의 정보가 LastTimeStamp 에 설정된다. 여기서는 통신 장치 (N31) 의 IP 어드레스가 IP-N31 로부터 IP-N31-1 로 변경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MAC-N31, IP-N31} 의 LastTimeStamp 는 갱신되지 않는다.
{MAC-N11, IP-N11} : Tstamp = 10 : 04 : 40 의 정보가 LastTimeStamp 에 설정된다.
{MAC-N31, IP-N31} : Tstamp = 10 : 09 : 00 의 정보가 LastTimeStamp 에 설정된다. 여기서는 통신 장치 (N31) 의 IP 어드레스가 IP-N31-1 로부터 IP-N31 로 변경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MAC-N31, IP-N31} 의 LastTimeStamp 는 갱신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액세스 분석 프로세스 (S03) 는 MIPT 의 정보에 기초하여, 패킷 정보를 {송신원 MAC 어드레스 (SMAC), 송신선 MAC 어드레스 (DMAC)} 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그 카테고리마다의 패킷수를 10 분 간격의 타임 슬롯별로 카운트하여 {시간 간격 (TimePeriod), 송신원 MAC 어드레스 (SMAC), 송신선 MAC 어드레스 (DMAC), 액세스수 (Count)} 의 액세스 이력 테이블 (MAcT) 을 생성한다. 여기서, 송신선 MAC 어드레스 (DMAC) 에 대해서는, 패킷 정보의 송신선 IP 어드레스 (DIP) 로부터 MIPT 를 참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 MAcT 의 예에서는 10 : 00 : 00 ∼ 10 : 09 : 59 의 시간대에서 N31-H1 간의 액세스수 : 8 회, N22-H2 간의 액세스수 : 2 회, N11-H2 간의 액세스수 : 2 회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L2 스위치 포트 분석 프로세스 (S04) 는 L2 스위치마다 L2 스위치의 포트에 접속된 장치를 검출하고, 도 3 에 나타낸 MAcT 의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의 이들 장치의 액세스수를 분석하여 {시간대 (HourlyPeriod), L2 스위치 포트 (Port), 송신선 MAC 어드레스 (DMAC), 액세스수 (Count)} 의 L2 스위치 상태 테이블 (MDMAcT) 을 생성한다. L2 스위치 (S3) 의 MDMAcT 의 예를 도 4 에 나타낸다.
이 MDMAcT 의 예에서는, 21 : 00 : 00 ∼ 21 : 59 : 59 의 시간대에 포트 (4) 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 장치 (N33) 의 액세스수 : 6 회이고, 그 밖의 통신 장치 (N31, N32) 의 액세스수 : 0 회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그린 아키텍처 구축 프로세스 (S05)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2 스위치 (S2) 의 MDMAcT 의 정보에 기초하여, L2 스위치 (S3) 의 액세스가 있는 포트 (4) 에 접속되어 있는 장치 (N33) 의 DMAC 를 당해 MDMAcT 로부터 삭제하고, 다른 L2 스위치 (S2) 의 MDMAcT 에 추가하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MDMAcT 의 포트 접속 구성이 갱신된 그린 L2 스위치 상태 테이블 (GMDMAcT) 을 생성한다. 이 그린 L2 스위치 상태 테이블 (GMDMAcT) 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의 일례를 도 5 에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L2 스위치 (S3) 의 GMDMAcT 에 있어서, 포트 (4) 에 통신 장치 (N33) 의 DMAC 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또 L2 스위치 (S2) 의 GMDMAcT 에 있어서, 빈 포트인 포트 (1) 에 통신 장치 (N33) 의 DMAC 가 설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가시화 프로세스 (S06) 는 L2 스위치의 포트 접속 구성이 변경된 S2 와 S3 의 GMDMAcT 의 정보를 표시한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이 정보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L2 스위치 (S2 및 S3) 의 포트 접속 구성을 변경하는, 즉 L2 스위치 (S2) 의 포트 (4) 에 접속되어 있던 통신 장치 (N33) 를 그 포트로부터 떼어내고, 다른 L2 스위치 (S2) 의 빈 포트인 포트 (1) 에 통신 장치 (N33) 를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또 L2 스위치 (S3) 의 GMDMAcT 의 정보에 의해서, 시간대 21 : 00 : 00 ∼ 21 : 59 : 59 에 있어서 모든 포트에 액세스가 없는 (Count = 0) 것을 알게 되고, 그 시간대에 있어서 L2 스위치 (S3) 를 전원 OFF 할 수 있게 된다. 즉, 시간대 21 : 00 : 00 ∼ 21 : 59 : 59 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지 않는 L2 스위치 (S3) 의 전력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술한 예에서는 시간대 21 : 00 : 00 ∼ 21 : 59 : 59 에 L2 스위치 (S3) 의 모든 포트에 액세스가 없는 상태인 것을 설명했지만, 그 후의 시간대에서도 동일한 상태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시간대 21 : 00 : 00 ∼ 익일 07 : 59 : 59 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지 않는 L2 스위치 (S3) 의 전력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2.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프로세스 (S01 ∼ S05) 에 대해서는 동일하기 때문에, 가시화 프로세스 (S06) 에 대해서 설명한다.
가시화 프로세스 (S06) 는 액세스 분석 프로세스에서 생성된 액세스 이력 테이블 (MAcT) 을 참조하여 특정 장치 간의 통신 시간대를 분석하고, 그 시간대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길어진 경우, 이들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L2 스위치의 정보를 표시한다. 즉 가시화 프로세스 (S06) 는 네트워크 내에서 장시간에 걸쳐 통신을 하고 있는 장치를 검출하고, 이들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2 개의 L2 스위치의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L2 스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제4653164호 (특허권자 및 발명자는 본원의 출원인 및 발명자와 동일함) 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상기 2 개의 L2 스위치의 정보를 보고, 각각이 상이한 L2 스위치인 경우에는 장시간에 걸친 통신이 L2 스위치를 경유하여 행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게 되고, 예를 들어 네트워크 내의 통신 부하를 경감하기 위해서 당해 장치를 동일한 L2 스위치에 접속하여 용이하게 접속 구성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 에 나타낸 액세스 이력 테이블 (MAcT) 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MAcT 의 예에서는, 10 : 00 : 00 ∼ 10 : 09 : 59 의 시간대에 N31-H1 간의 액세스수가 8 회 있었던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그 후의 시간대에 있어서도 계속하여 N31-H1 간의 액세스가 있고, 예를 들어 10 : 00 : 00 ∼ 10 : 29 : 59 의 시간대에 계속하여 N31-H1 간의 액세스가 있었을 경우, N31-H1 간의 액세스 시간대의 임계값으로서 15 분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 N31-H1 간의 액세스가 검출되어 N31 이 접속되어 있는 L2 스위치 (S3) 와 H1 이 접속되어 있는 L2 스위치 (S1) 가 표시되게 된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이 정보를 보고, 예를 들어 N31 을 L2 스위치 (S3) 로부터 떼어내고, L2 스위치 (S1) 에 접속하여 용이하게 접속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네트워크 내의 통신 부하가 경감되게 되어 네트워크 전체로서의 전력 절약화도 기대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Layer-2 네트워크 내에 있어서의 효율적인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기 위한 그린 아키텍처를 구축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M1 : 네트워크 감시 단말
S1 ∼ S2 : L2 스위치
N11 ∼ N33 : 통신 장치
H1 ∼ H2 : 서버
R1 : 라우터

Claims (4)

  1. Layer-2 네트워크 내에 있어서의 효율적인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기 위한 그린 아키텍처를 구축하는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되는 모든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수집하여 {타임 스탬프 (TStamp), 송신원 MAC 어드레스 (SMAC), 송신원 IP 어드레스 (SIP), 송신선 IP 어드레스 (DIP)} 의 패킷 정보를 추출하는 패킷 수집 프로세스와,
    상기 패킷 수집 프로세스에서 추출된 패킷 정보로부터 {TStamp, SMAC, SIP} 의 정보에 기초하여, {MAC 어드레스 (MAC), IP 어드레스 (IP), 최신의 타임 스탬프 (LastTimeStamp)} 의 MAC-IP 이력 테이블 (MIPT) 을 생성하는 MAC-IP 이력 생성 프로세스와,
    상기 MAC-IP 이력 생성 프로세스에서 생성된 MIPT 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 수집 프로세스에서 추출된 모든 패킷 정보를 {송신원 MAC 어드레스 (SMAC), 송신선 MAC 어드레스 (DMAC)} 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그 카테고리마다의 패킷수를 일정 간격의 타임 슬롯별로 카운트하여 {시간 간격 (TimePeriod), 송신원 MAC 어드레스 (SMAC), 송신선 MAC 어드레스 (DMAC), 액세스수 (Count)} 의 액세스 이력 테이블 (MAcT) 을 생성하는 액세스 분석 프로세스와,
    L2 스위치마다 L2 스위치의 포트에 접속된 장치를 검출하고, 상기 액세스 분석 프로세스에서 생성된 MAcT 의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의 이들 장치의 액세스수를 분석하여 {시간대 (HourlyPeriod), L2 스위치 포트 (Port), 송신선 MAC 어드레스 (DMAC), 액세스수 (Count)} 의 L2 스위치 상태 테이블 (MDMAcT) 을 생성하는 L2 스위치 포트 분석 프로세스와,
    상기 L2 스위치 포트 분석 프로세스에서 생성된 MDMAcT 의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가 있는 (1 ≤ Count) 포트를 갖는 특정 L2 스위치를 추출하고, 당해 L2 스위치의 액세스가 있는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장치 (DMAC) 를 당해 MDMAcT 로부터 삭제하고, 다른 L2 스위치의 MDMAcT 에 추가하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MDMAcT 의 포트 접속 구성이 갱신된 그린 L2 스위치 상태 테이블 (GMDMAcT) 을 생성하는 그린 아키텍처 구축 프로세스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 아키텍처 구축 프로세스는, 상기 L2 스위치 포트 분석 프로세스에서 생성된 MDMAcT 의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가 있는 (1 ≤ Count) 포트수가 가장 적은 L2 스위치를 검출하고, 그 액세스가 있는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장치 (DMAC) 를 당해 MDMAcT 로부터 삭제하고, 다른 L2 스위치의 MDMAcT 에 추가하는 처리를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MDMAcT 의 포트 접속 구성이 갱신된 GMDMAcT 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L2 스위치마다 상기 그린 아키텍처 구축 프로세스에서 L2 스위치의 포트 접속 구성이 변경된 GMDMAcT 의 정보를 표시하는 가시화 프로세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화 프로세스는, 상기 액세스 분석 프로세스에서 생성된 액세스 이력 테이블 (MAcT) 을 참조하여 특정 장치 간의 통신 시간대를 분석하고, 그 시간대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길어진 경우, 이들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L2 스위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
KR1020157005056A 2013-03-29 2014-03-03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 KR102072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74675 2013-03-29
JP2013074675 2013-03-29
PCT/JP2014/055251 WO2014156485A1 (ja) 2013-03-29 2014-03-03 グリーンネットワーク構築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489A true KR20150139489A (ko) 2015-12-11
KR102072879B1 KR102072879B1 (ko) 2020-02-03

Family

ID=51623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056A KR102072879B1 (ko) 2013-03-29 2014-03-03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97031B2 (ko)
JP (1) JP6298445B2 (ko)
KR (1) KR102072879B1 (ko)
IN (1) IN2015MN00396A (ko)
WO (1) WO2014156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2585B2 (en) * 2014-03-06 2018-11-06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pace aligned intelligent VLAN and port mapping
US11394599B2 (en) * 2018-03-12 2022-07-19 Cyber Solutions Inc. System for estimating contact duration between a pair of communication apparatus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8023A (ja) * 2008-12-22 2010-07-01 Alaxala Networks Corp パケット転送方法、パケット転送装置及びパケット転送システム
JP4653164B2 (ja) * 2005-04-27 2011-03-16 株式会社サイバー・ソリューションズ ネットワークマップ生成方法
JP2011082799A (ja) 2009-10-07 2011-04-21 Nec Corp 省電力化システム、省電力化方法、及び省電力化用プログラム
JP2012244440A (ja) 2011-05-20 2012-12-10 Hitachi Ltd パケット転送装置の電源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4842A (ja) 2009-08-20 2011-03-03 Kddi Corp 光伝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3164B2 (ja) * 2005-04-27 2011-03-16 株式会社サイバー・ソリューションズ ネットワークマップ生成方法
JP2010148023A (ja) * 2008-12-22 2010-07-01 Alaxala Networks Corp パケット転送方法、パケット転送装置及びパケット転送システム
JP2011082799A (ja) 2009-10-07 2011-04-21 Nec Corp 省電力化システム、省電力化方法、及び省電力化用プログラム
JP2012244440A (ja) 2011-05-20 2012-12-10 Hitachi Ltd パケット転送装置の電源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97031B2 (en) 2016-11-15
IN2015MN00396A (ko) 2015-09-11
US20150207634A1 (en) 2015-07-23
JP6298445B2 (ja) 2018-03-20
KR102072879B1 (ko) 2020-02-03
WO2014156485A1 (ja) 2014-10-02
JPWO2014156485A1 (ja)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93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traffic in a network
CN106130766B (zh) 一种基于sdn技术实现自动化网络故障分析的系统和方法
US8774056B2 (en) Automated device discovery on a network
US8125895B2 (en) Network looping detecting apparatus
US98479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transit latency in individual data switches and multi-device topologies
Yu et al. Flowsense: Monitoring network utilization with zero measurement cost
JP5717057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スイッチ、及びトラフィック監視方法
US9059922B2 (en) Network traffic distribution
US10819597B2 (en) Network device measurements employing white boxes
Wang et al. Martini: Bridging the gap between network measurement and control using switching asics
CN104135548A (zh) 基于fpga的静态nat实现方法及装置
Shirali-Shahreza et al. Empowering software defined network controller with packet-level information
CN105379210A (zh) 一种数据流处理方法及装置
JP2017188814A (ja) ネットワーク装置
KR20150139489A (ko) 그린 네트워크 구축 방법
EP3718261A1 (en) System for network event detection and analysis
CN105515850B (zh) 利用OpenFlow控制器和配置点实现对ForCES转发件的控制管理方法
CN107241359A (zh) 一种面向软件定义网络的轻量级网络流量异常检测方法
JP2005033391A (ja) 要求とその応答の相関を利用したネットワーク監視装置
CN114567541A (zh) 一种预激活检测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788013A (zh) 一种web端在线多层协议数据包解码方法及装置
CN110933002B (zh) 一种mpls带内检测oam的交换芯片实现方法及装置
Pajin et al. OF2NF: Flow monitoring in OpenFlow environment using NetFlow/IPFIX
JP2012151689A (ja) トラヒック情報収集装置、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およびトラヒック情報収集方法
CN114826978B (zh) 链路质量的测试方法、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